[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8544B1 -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44B1
KR102598544B1 KR1020210119251A KR20210119251A KR102598544B1 KR 102598544 B1 KR102598544 B1 KR 102598544B1 KR 1020210119251 A KR1020210119251 A KR 1020210119251A KR 20210119251 A KR20210119251 A KR 20210119251A KR 102598544 B1 KR102598544 B1 KR 10259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ge
driving
inclination
driving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6421A (ko
Inventor
마정웅
황예성
김건완
Original Assignee
마정웅
(주)챔피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정웅, (주)챔피온코리아 filed Critical 마정웅
Priority to KR102021011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구동 프레임과, 상기 구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탑승 또는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의 프레임을 이루는 케이지 프레임 및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지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INCLINE ADJUSTABLE LIFT}
본 발명은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의 경사 구간을 승강할 때 경사 조절부로 인해 구동 프레임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경사가 조절되어 케이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사람의 이동 또는 물건의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리프트는 아파트나 고층의 건물 또는 대교의 교각 등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에 적용되는 승강 장치로서, 주로 인력 및 장비를 운반함에 실어서 해당되는 위치로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리프트는, 운반함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운반함이 건축물의 상, 하로 세워진 마스트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예를 들면 교각의 해당 위치로 승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수직으로 건축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운반함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마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오르내리기 때문에 운반함에 사람이 탑승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물건의 운반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가령 경사지게 건설된 교각에서 경사진 마스트를 따라 운반함이 승강되는 경우 운반함 역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사람 또는 물건의 운반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는, 리프트의 하단부에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사람 또는 물건이 지지되는 바닥면의 수평을 유지하는 방법 등이 적용되었으나, 이의 경우에도 리프트 전체를 수평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고, 아울러 수평 조절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교각의 경사진 구간 또는 수직 구간을 승강할 때 리프트 전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평 유지를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리프트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0778245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각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의 경사 구간을 승강할 때 경사 조절부로 인해 구동 프레임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경사가 조절되어 케이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사람의 이동 또는 물건의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구동 프레임과, 상기 구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탑승 또는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의 프레임을 이루는 케이지 프레임 및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지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구동 프레임과 상기 케이지 프레임을 힌지 결합하여 힌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구동 프레임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관통된 힌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재가 상기 힌지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재의 단부는 상기 힌지홀의 내경에 비해 클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재의 중앙 부분을 감싸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 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발생부재에 의해서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동력 발생부재는, 상기 구동 프레임에 구비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랙 기어에 대응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구동 프레임에 장착되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 타입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가 중앙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 부분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를 감싸는 디귿(ㄷ) 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기 이동 부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수평에 대한 상기 케이지의 경사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사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각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의 경사 구간을 승강할 때 경사 조절부로 인해 구동 프레임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경사가 조절되어 케이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사람의 이동 또는 물건의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아울러 간소한 구조로 케이지(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축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가 교각의 경사 구간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구동 프레임과 케이지의 개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경사 리프트 조절 장치의 구동 프레임과, 케이지 프레임과, 케이지의 개별 도면과 이들이 결합된 결합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경사 리프트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확대도 및 이의 정면도로서 구동 프레임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프레임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가 교각의 경사 구간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구동 프레임과 케이지의 개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경사 리프트 조절 장치의 구동 프레임과, 케이지 프레임과, 케이지의 개별 도면과 이들이 결합된 결합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경사 리프트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확대도 및 이의 정면도로서 구동 프레임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100)는, 예를 들면 수백 미터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는 교각(1)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교각(1)의 수직 구간뿐만 아니라 경사 구간에 있어서도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100)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100)가 도 1의 교각(1)의 경사 구간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100)는, 다른 건축물 예를 들면 초고층 건물 내지는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100)는, 건축물에 설치된 마스트(10)를 따라 승강하는 구동 프레임(110)과, 구동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탑승 또는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120, 운반부)의 프레임을 이루는 케이지 프레임(130)과, 구동 프레임(110)에 대하여 케이지 프레임(130)의 경사를 조절하여 케이지(12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경사 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지(120)의 수평에 대한 경사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와,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사 조절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가령 교각(1)의 경사 구간으로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100)가 승강할 때에도 경사 조절부(150)에 의해 케이지(120)의 수평이 유지되기 때문에, 인력의 이동 또는 물건의 운반 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구동 프레임(110)은 교각(1)에서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마스트(10)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이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스트(10)에는 선형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게 구동 프레임(110)의 후면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형 이동하는 이동 수단이 장착되며, 따라서 구동 프레임(110)에 장착된 구동모터로부터 주어지는 구동력에 의해서 마스트(10)에 대한 구동 프레임(110)의 선형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동 프레임(110)은 마스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 프레임(110)과 마스트(10)의 중심축이 일치하며, 따라서 교각(1)의 경사 구간을 승강하는 경우 구동 프레임(110)은 교각(1)의 기울기만큼 기울어져서 선형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트(10)가 수평면으로부터 79도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 마찬가지로 구동 프레임(110) 역시 79도의 경사를 가지고 마스트(10)를 따라 선형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케이지(120) 역시도 구동 프레임(110)의 기울기에 맞게 기울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기울어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동 프레임(110)과 케이지 프레임(130)에 상호 작동하는 경사 조절부(150)를 장착하여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경사를 조절하여, 케이지(120) 전체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의 케이지(1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문(121)을 구비하며 탑승 또는 적재 공간을 가지는 케이지몸체(123)와, 케이지몸체(123)에 결합되며 전술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구동 프레임(110)은 마스트(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선 방향을 향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케이지(120)는 경사 조절부(150)에 의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경사 조절로 인해, 케이지몸체(123)의 바닥면이 수평 방향을 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사 조절부(150)는, 기본적으로 세 개의 구성으로 인해 구동 프레임(110)에 대하여 경사를 조절하게 되는데, 케이지 프레임(130)을 구동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재(160)와,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 발생부재(170)와,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힌지부재(160)를 중심으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구동력 발생부재(170)를 이용하여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가이드부재(180)를 통해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되어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힌지부재(1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 프레임(110)에 고정되는데, 이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지 프레임(130)에 힌지홀(161)이 형성되어 힌지부재(160)가 힌지홀(16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부재(160)를 중심으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힌지부재(160)가 케이지 프레임(130)의 힌지홀(16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부재(160)의 단부(160a)는 힌지홀(161)의 내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힌지부재(160)의 중앙 부분을 감싸도록 베어링(165)이 장착됨으로써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고, 아울러 윤활을 위한 오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부재(160)로 인하여서,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구동 프레임(110)에 대해 케이지 프레임(130)이 힌지부재(160)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케이지 프레임(130)이 수평이 되도록 경사를 조절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력 발생부재(170)에 의해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구동력 발생부재(170)는, 구동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랙 기어(171)와, 이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지 프레임(130)에 구비되며 랙 기어(171)에 대응되는 피니언 기어(176)를 구비하는 구동모터(175)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171) 및 피니언 기어(176)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되는데, 구동모터(175)의 샤프트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176)가 회전됨으로써 랙 기어(171)와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전술한 힌지부재(160)에 의해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구동력 발생부재(170)에 의해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 정도가 조절되어 케이지(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구동력 발생부재(170)의 구동력 발생 정도는 전술한 감지부 및 제어부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부가 예를 들면 무게 추를 이용해서 케이지(120)의 전체적인 경사 정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보내고, 제어부가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력 발생부재(170)의 구동력 발생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 및 수평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력 발생부재(170)의 구동모터(175)는 예를 들면 감속모터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힌지부재(160)를 중심으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해서 케이지 프레임(130)이 회전될 때, 케이지 프레임(130)의 안정적으로 회전됨으로써 가령 그 내에 사람이 탑승한 경우 사람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력 발생부재(170)의 아래 부분에 가이드부재(180)를 구비함으로써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경사 조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재(180)는,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 가이드(LM Guide)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부재(160)를 중심으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80)는, 구동 프레임(110)이 장착되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 타입의 가이드레일(181)과, 케이지 프레임(130)의 후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8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부분(18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81)은 전체적으로 중앙 부분보다 단부가 중앙 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알파벳 대문자 'I' 형상을 가지며, 이동 부분(185)은 가이드레일(181)의 단부를 감싸는 '디귿(ㄷ)' 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이드레일(181)로부터 이동 부분(185)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가이드부재(180)의 구조로 인해, 가이드레일(181)에 대한 이동 부분(185)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120)에 사람이 탑승해 있거나 물건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 운반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경사 리프트 장치의 작동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프레임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마스트(10, 도 2 참조)의 경사 구간의 기울기에 따라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 정도는 다르게 발생될 수 있다.
가령, 도 7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 프레임(110)과 케이지 프레임(130)의 중심축이 11도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전술한 구동력 발생부재(170)에 의해서 이에 대응되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힌지부재(160)를 중심으로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을 실행할 수 있으며, 케이지(12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 프레임(110)과 케이지 프레임(130)의 중심축이 3.2도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경사 조절부(150)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게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회전을 실행할 수 있으며, 케이지(12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교각(1)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의 경사 구간을 승강할 때 경사 조절부(150)로 인해 구동 프레임(110)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130)의 경사가 조절되어 케이지(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사람의 이동 또는 물건의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간소한 구조로 케이지(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축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교각
10: 마스트
100: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110: 구동 프레임
120: 케이지
121: 자동문
123: 케이지몸체
130: 케이지 프레임
150: 경사 조절부
160: 힌지부재
160a: 힌지부재의 단부
161: 힌지홀
165: 베어링
170: 구동력 발생부재
171: 랙 기어
175: 구동모터
176: 피니언 기어
175: 구동모터
180: 가이드부재
181: 가이드레일
185: 이동 부분

Claims (11)

  1. 건축물에 설치된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구동 프레임;
    상기 구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탑승 또는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의 프레임을 이루는 케이지 프레임; 및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지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경사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구동 프레임과 상기 케이지 프레임을 힌지 결합하여 힌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구동 프레임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관통된 힌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가 상기 힌지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재의 단부는 상기 힌지홀의 내경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의 중앙 부분을 감싸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 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발생부재에 의해서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발생부재는,
    상기 구동 프레임에 구비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랙 기어에 대응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구동 프레임에 장착되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 타입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케이지 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가 중앙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 부분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를 감싸는 디귿(ㄷ) 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기 이동 부분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수평에 대한 상기 케이지의 경사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사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KR1020210119251A 2021-09-07 2021-09-07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Active KR10259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51A KR102598544B1 (ko) 2021-09-07 2021-09-07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51A KR102598544B1 (ko) 2021-09-07 2021-09-07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21A KR20230036421A (ko) 2023-03-14
KR102598544B1 true KR102598544B1 (ko) 2023-11-06

Family

ID=8550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51A Active KR102598544B1 (ko) 2021-09-07 2021-09-07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06B1 (ko) * 2010-11-22 2011-05-25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 케이지의 경사 및 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45B1 (ko) 2007-08-29 2007-11-22 한건정공 주식회사 리프트 발판 경사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06B1 (ko) * 2010-11-22 2011-05-25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 케이지의 경사 및 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21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822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GB2484709A (en) Stairlift with seat leveling, seat inclination limiting and improved access
EP1516846A2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persons along the shaft of a wind generator.
JP526848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7706469B2 (ja) 作業用歩道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1012634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598544B1 (ko) 경사 조절 리프트 장치
CN114829288B (zh) 电梯装置和方法
KR101167931B1 (ko) 건축물용 리프트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KR102427486B1 (ko) 비계 리프트 장치
CN215924187U (zh) 一种自动扶梯主驱动吊装工装
JP4355630B2 (ja) 自然換気窓の施錠装置
KR20220125634A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EP1414731A1 (en) Lift especially for mounting on a substantially vertical building and security arrangement for said lift
KR102309532B1 (ko)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EP3357550A1 (en) Improved amusement ride
US20150314989A1 (en) Material Lift Hoist Assembly
US20050005522A1 (en) Mezzanine safety gate
JP2011231513A (ja) 引き戸用手摺、引き戸装置
KR20210001192A (ko) 승하선 장치
JP2020147901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200414025Y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US11993485B2 (en) Lifting device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and method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