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742B1 - A pillow - Google Patents
A pil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7742B1 KR102597742B1 KR1020220012969A KR20220012969A KR102597742B1 KR 102597742 B1 KR102597742 B1 KR 102597742B1 KR 1020220012969 A KR1020220012969 A KR 1020220012969A KR 20220012969 A KR20220012969 A KR 20220012969A KR 102597742 B1 KR102597742 B1 KR 102597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headrest
- extension
- pillow
-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110)와, 상기 머리받침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20)는 상향 만곡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베개(100)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rest 110 that supports the head, and a protrusion 120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rest 110 and protrudes upward; The protrusion 120 relates to a pillow 100 that is provided in an upwardly curved and protruding form.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를 편안하게 지지하여 숙면을 가능하게 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specifically, to a pillow that comfortably supports the spine to enable a good night's sleep.
경추(목)는 상부의 머리를 받치고 있고, 흉추(등)는 이 경추를 하부에서 받쳐주면서 적절하게 경추와 머리의 위치를 결정한다. 학습 또는 작업 중 전방의 대상(모니터, 휴대폰 화면, 책, 또는 운전시 전방)을 주시하는 행동의 반복은 머리를 이고 있는 목과 등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더욱이 목을 앞으로 구부리는 잘못된 습관은 이러한 부담을 더욱 배가시켜 추간판 변성 및 척추각도의 이상을 초래한다.The cervical vertebrae (neck) support the head in the upper part, and the thoracic vertebrae (back)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in the lower part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and head. Repeated actions of looking at an object in front (monitor, cell phone screen, book, or forward while driving) while studying or working increase the strain on the neck and back holding the head, and furthermore, the bad habit of bending the neck forward increases this strain. This further doubles, resulting in 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and abnormal spinal angle.
일자목, 거북목이라 흔히 불리는 경추후만증은 경추 추간판의 탄성 감소 및 변성증으로 유발된 결과임과 동시에, 경추추간판에 대한 머리 무게의 과부하를 유발하여 추간판 변성을 더욱 촉진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통념상 일자목, 거북목은 경추 각도 자체의 비정상적인 변화만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그보다는 경추를 하부에서 받치는 흉추(등)의 과장된 후만으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Cervical kyphosis, commonly called straight neck or turtle neck, is a result of decreased elasticity and degeneration of the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and at the same time, it causes an overload of the weight of the head on the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which further promotes 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In general, it is easy to think of straight neck or turtle neck as just an abnormal change in the angle of the cervical spine itself, but it often occurs secondary to exaggerated kyphosis of the thoracic spine (back), which supports the cervical spine at the bottom.
수면 중 바른 자세로 숙면을 유도하고 경추후만증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목적의 베개가 개발 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목의 전만각도만을 고려한 제품들이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경추각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경추보다는 흉추(등)부위의 과도한 후만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고안되어야만 한다. 경추전만만을 유도하고 흉추의 후만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올바른 경추의 전만각과 적절한 두부(머리)의 위치가 유도되기 어렵기 때문이다.Pillows are being developed and released for the purpose of inducing good sleep in the correct posture while sleeping and preventing and improving cervical kyphosis, but most of them are products that only consider the lordotic angle of the neck.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cervical spine angle more effectively, it must be designed to prevent excessive kyphosis in the thoracic (back) area rather than the cervical spine. This is because if only cervical lordosis is induced and the thoracic kyphosis angle is not improved, it is difficult to induce the correct cervical lordosis angle and appropriate head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등부분을 전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들어 올려주기 위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illow that more effectively lifts the user's back forward in a lying posi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향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향 만곡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베개를 제공한다.For the abov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head,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rest and protruding upward; The protrusion provides a pillow provided in an upwardly curved and protruding form.
상기에서, 돌출부는 흉추를 받쳐주는 길이를 가져, 머리받침부에 머리를 베고 누웠을 때 상기 돌출부가 하부에서 흉추를 상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protrusion has a length that supports the thoracic vertebrae, so that when the user lies down with their head on the headrest, the protrusion presses the thoracic vertebrae upward from the lower part.
상기에서, 돌출부는 머리받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headrest and pointing upward,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pointing downward.
상기에서, 제2 연장부는 제1 연장부보다 완만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second extens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more gently than the first extension part.
상기에서, 돌출부는 폭 방향으로 중심부가 높고 폭 방향으로 양측으로 만곡 하향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high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curved downwar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에 따르면, 베개의 머리받침부에 머리를 베면 돌출부가 흉추를 상향 가압하여 척추가 전체적으로 상향 만곡된 형태로 되어 목이 편안해지고, 돌출부 정상 부분이 흉추를 상향 가압하여 정상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당겨지는 효과에 의하여 신체가 이완되며, 돌출부가 폭 방향으로 중심부가 높고 양측이 만곡되어 하향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폭 방향 중심에 누웠을 때 양쪽 어깨가 하향되므로 앞으로 굽어진 어깨 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is laid on the headrest of the pillow, the protrusion presses the thoracic vertebrae upward, so that the entire spine is curved upward, thereby making the neck comfortable, and the top part of the protrusion presses the thoracic vertebrae upward, centering the top part. The body is relaxed by the effect of being pulled to both sides, and the protrusion has a high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curved on both sides to extend downward, so that when lying down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both shoulders are lowered, allowing the shoulders to straighten out when bent forward.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1;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All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explaining this disclosure and are not select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is disclosure.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having,”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y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containing the express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open-ended terms.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this also applies to the singular expressions reci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Expression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or as a new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can be connected or combined through component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베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a state.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도 3의 좌우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 세로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도 1에서 점선은 본 발명 베개(100) 형태를 더 잘 표현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FIG. 3 will be described as the width direction. In Figure 2, the vertical direction is up and down. In Figure 1, the dotted line is shown to better represent the shape of the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100)는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110)와 상기 머 일측에 구비되며 상향 돌출된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0)는 상향 만곡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The
본 발명 베개(100)는 베개 내부에 우레탄, 라텍스, 메모리폼, 스폰지 및 파이프 중에 어느 하나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100) 속피의 경우 땀을 흡수하고, 은나노 항균처리 후 가공된 기능성 소재이며, 겉피의 경우 친환경 자연 소재인 숯, 황토, 쑥, 메밀 및 아로마 테라피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머리받침부(110)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110)에는 후두부가 놓여지도록 오목한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돌출부(120)는 머리받침부(110)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볼록한 만곡 형태로 상향 연장되며 정상을 지나 상향 볼록한 만곡 형태로 하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상향 만곡 볼록한 형태로 구비된다.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정상 부분 일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0)는 흉추를 받쳐줄 수 있는 길이를 가져, 머리받침부(110)에 머리를 베고 누웠을 때 상기 돌출부(120)가 하부에서 흉추를 상향 가압한다. 신체의 하중에 의하여 돌출부(120)는 하향 변형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상기 돌출부(120)의 정상 부분이 흉추를 받치게 된다. 상기 돌출부(120)는 요추 부분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top portion of the
상기 돌출부(120)는 머리받침부(11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하는 제1 연장부(121)와, 상기 제1 연장부(12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하는 제2 연장부(123)를 포함하여, 상향 만곡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제2 연장부(123)는 제1 연장부(121)보다 완만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 연장부(121)가 제2 연장부(123)보다 급격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흉추가 돌출부(120) 정상 부분에 놓일 때 경추 쪽은 급격한 경사를 따라 놓이고 요추 쪽은 완만한 경사를 따라 놓이게 되어 경추 쪽의 흉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더 시원한 느낌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면 중에 몸이 제2 연장부(123) 쪽으로 흘러 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100)에서 머리받침부(110)에 머리를 베고 누우면, 경추(도면 4에서 ① 부분)는 제1 연장부(121) 부분에 위치하며, 돌출부(120)의 정상 부분이 흉추(도면 4에서 ② 부분)를 아래에서 상향 가압한다. 따라서 척추는 전체적으로 상향 만곡된 형태를 가지게 되며, 돌출부(120)의 정상 부분으로부터 제2 연장부(123) 상의 신체 부분이 아래로 당기게 되므로 척추(S)가 전체적으로 이완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제1 연장부(121)와 경추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4, when you lie down with your head on the
본 발명의 베개(100)는 경추를 부분적으로 상향 가압하는 구조가 아니고, 흉추 부분이 상향 가압되도록 하여 척추가 전체적으로 상향 만곡된 형태가 되도록 한다. 척추가 전체적으로 상향 만곡된 형태로 취침하게 되므로 앞으로 굽어진 흉추가 펴지는 방향으로 되며 특정 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화살표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정상 부분의 양측으로 척추가 이완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0)는 폭 방향으로 중심부가 높고 폭 방향으로 양측으로 만곡되며 하향한 형태로 형성된다. 머리받침부(110)에 머리를 베고 돌출부(120)에 누우면 척추는 돌출부(120)의 중심부를 따라 놓이게 된다. 본 발명 베개(100)가 쿠션 재질로 제조되어 돌출부(120)가 신체의 무게로 인하여 하향 변형되나, 돌출부(120)의 폭 방향 중심부가 높고 양측이 낮게 만곡 하향 경사된 형태이므로 양측 어깨는 펴지는 방향으로 되면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100: 베개 110: 머리받침부
120: 돌출부100: pillow 110: headrest
120: protrusion
Claims (5)
상기 돌출부(120)는 상향 만곡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흉추를 받쳐주는 길이를 가져 머리받침부(110)에 머리를 베고 누웠을 때 상기 돌출부(120)가 하부에서 흉추를 상향 가압하며;
상기 돌출부(120)는 평평한 형태의 머리받침부(11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하는 제1 연장부(121)와, 상기 제1 연장부(12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하는 제2 연장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123)는 제1 연장부(121)보다 완만하게 연장되어 흉추가 돌출부(120)의 정상 부분에 놓일 때 경추 쪽은 급격한 제1 연장부(121)의 경사를 따라 놓이고 제1 연장부(121)로부터 연장된 머리받침부(110)에 머리가 놓이며, 요추 쪽은 완만한 제2 연장부(123) 경사를 따라 놓이게 되어 경추 쪽의 흉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100).It includes a headrest 110 that supports the head, and a protrusion 1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rest 110;
The protrusion 120 is provided in an upwardly curved and protruding form and has a length to support the thoracic vertebrae, so that when the protrusion 120 lies down with the head resting on the headrest 110, the protrusion 120 presses the thoracic vertebrae upward from the lower part;
The protrusion 12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121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flat headrest 110 and pointing upward,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21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121 and pointing downward. Includes an extension 123;
The second extension 123 extends more gently than the first extension 121, so that when the thoracic spine is placed on the top of the protrusion 120, the cervical spine lies along the steep slope of the first extension 121. The head is placed on the headrest 110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121, and the lumbar side is placed along the gentle slope of the second extension 123,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thoracic spine on the cervical side increases. A pillow (100) characterized by be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969A KR102597742B1 (en) | 2022-01-28 | 2022-01-28 | A pil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2969A KR102597742B1 (en) | 2022-01-28 | 2022-01-28 | A pill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6257A KR20230116257A (en) | 2023-08-04 |
KR102597742B1 true KR102597742B1 (en) | 2023-11-03 |
Family
ID=8756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2969A Active KR102597742B1 (en) | 2022-01-28 | 2022-01-28 | A pill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774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5271B1 (en) * | 2006-02-09 | 2008-01-15 | 문상현 | Bare rattan pillows |
KR101590068B1 (en) * | 2015-03-20 | 2016-01-29 | 이상일 | Functional pillow |
-
2022
- 2022-01-28 KR KR1020220012969A patent/KR1025977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5271B1 (en) * | 2006-02-09 | 2008-01-15 | 문상현 | Bare rattan pillows |
KR101590068B1 (en) * | 2015-03-20 | 2016-01-29 | 이상일 | Functional pill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6257A (en) | 2023-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44377A (en) | Therapeutic pillow for low back pain | |
US11596247B2 (en) |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 |
KR101056654B1 (en) | Functional pillow | |
KR102223111B1 (en) | Topper for Cushion Material and Mattress with It | |
KR102038522B1 (en) | Sound sleep pillows | |
KR100675262B1 (en) | Functional pillow | |
US6902537B1 (en) | Upper body support device | |
KR102597742B1 (en) | A pillow | |
KR102165906B1 (en) | Cervical acupressure pillow | |
JP6231865B2 (en) | mattress | |
JP5569637B1 (en) | pillow | |
KR102497310B1 (en) | Multi-functional pillow with cervical vertebrae protection structure | |
KR101353497B1 (en) | A pillow | |
US6739007B1 (en) | Air filled therapeutic pillow | |
KR102426779B1 (en) | Fucntional pillow for sound sleep and neck and back disc posture correction | |
KR101787439B1 (en) | Functional pillow | |
JP3137305U (en) | Cervical spine support / height adjustment pillow | |
KR200226847Y1 (en) | Neck pillow for prot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 |
CN112568673A (en) | Ergonomic support pillow | |
KR102598999B1 (en) | Backrest pillow for cervical spine correction | |
CN201067260Y (en) | Multifunctional vertebrae cervicables ecological health care pillow | |
KR102639636B1 (en) | Cervical Pillow | |
JP4551100B2 (en) | Improved bed | |
CN220256201U (en) | Pillow | |
CN214484096U (en) | Pillow with elastic pillow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3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