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7599B1 -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599B1
KR102597599B1 KR1020180147407A KR20180147407A KR102597599B1 KR 102597599 B1 KR102597599 B1 KR 102597599B1 KR 1020180147407 A KR1020180147407 A KR 1020180147407A KR 20180147407 A KR20180147407 A KR 20180147407A KR 102597599 B1 KR102597599 B1 KR 10259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lectronic device
signal
processor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748A (ko
Inventor
이원욱
김방민
박상혁
박찬기
손준호
연동주
함종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599B1/ko
Priority to PCT/KR2019/016223 priority patent/WO2020111685A1/ko
Priority to US17/293,766 priority patent/US11799253B2/en
Publication of KR2020006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GND핀들, 제1CC핀, 및 제2CC핀을 포함하고, 제1USB 타입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CC핀 및 상기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고속 충전 지원 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지원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밖에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AST CHARGNING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액세서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산업을 발달로 인해 휴대용 전자 장치는 급속히 퍼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통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개인용 디지털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MP3 플레이어,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예: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트들은 다양한 표준에 의해 규격화될 수 있다. 다양한 표준들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표준으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방식이 있다.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방식으로써, 그 활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자 장치에서 USB type C의 규격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포트의 제1CC핀 및 제2CC핀을 통해 외부 장치의 연결 정보를 판단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USB type C 규격 조건을 만족하는 포트에서, 제1CC핀및 제2CC핀은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전자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가 연결되더라도,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에는 고속 충전 기능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GND핀들, 제1CC핀, 및 제2CC핀을 포함하고, 제1USB 타입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CC핀 및 상기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고속 충전 지원 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지원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또는 전력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리셉터클에 포함된 제1CC핀,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서리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1CC핀, 상기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액세서리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고속 충전의 지원 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의 지원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장치를 통해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는, 복수의 GND핀들을 포함하는 제1USB 타입의 제1플러그; 상기 제1USB 타입의 특정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제1리셉터클; 및 DET1 단자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잭을 포함하고, 상기 DET1 단자는 상기 복수의 GND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고속 충전 기능과 오디오 신호 출력 기능을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전자 장치를 충전하면서도 음악 또는 비디오 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개선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모듈(170)의 블록도(200)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들(350, 370)과 어댑터(330)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3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들(350, 370)과 어댑터(3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에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에서 외부 장치와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모듈(17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모듈(170)은, 예를 들면,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 오디오 입력 믹서(22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30),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50), 오디오 출력 믹서(260), 또는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입력 장치(150)의 일부로서 또는 전자 장치(101)와 별도로 구성된 마이크(예: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또는 피에조 마이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부터 획득한 소리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가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헤드셋 또는 마이크)로부터 획득되는 경우,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102)와 연결 단자(178)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통신 모듈(192)을 통하여 무선으로(예: Bluetooth 통신)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부터 획득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어 신호(예: 입력 버튼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오디오 입력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입력 채널들 중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채널 별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믹서(220)는 입력된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 믹서(220)는,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된 복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ADC(230)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ADC(230)는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을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오디오 입력 믹서(220)를 통해 합성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는 ADC(230)를 통해 입력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샘플링 비율 변경, 하나 이상의 필터 적용, 보간(interpolation) 처리, 전체 또는 일부 주파수 대역의 증폭 또는 감쇄, 노이즈 처리(예: 노이즈 또는 에코 감쇄), 채널 변경(예: 모노 및 스테레오간 전환), 합성(mixing), 또는 지정된 신호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은 이퀄라이저(equaliz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AC(25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르면, DAC(250)는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260)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믹서(260)는 DAC(250)를 통해 아날로그로 전환된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을 통해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는 DAC(250)를 통해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믹서(260)에 의해 합성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어, dynamic driver 또는 balanced armature driver 같은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55)는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일부 스피커들을 통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채널들(예: 스테레오, 또는 5.1채널)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외부 스피커 또는 헤드셋)와 연결 단자(178)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통신 모듈(192)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오디오 입력 믹서(220) 또는 오디오 출력 믹서(26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오디오 신호 처리기(24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합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270)를 통해 출력될 오디오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오디오 증폭기(미도시)(예: 스피커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증폭기는 오디오 모듈(170)과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리셉터클(315)(예: 도 1의 인터페이스(17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의 커넥터가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 삽입됨에 따라,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315)은, 전자 장치(310)의 하우징(housing)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 및 개구와 이어진 홀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315)의 홀 내부에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310)의 아래쪽 일면에 리셉터클(315)을 포함할 수 있으나, 리셉터클(315)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310)의 다른 면에 리셉터클(315)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315)은 제1USB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제1USB 타입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USB 타입은 USB type 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315)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는 오디오 출력 장치(예: 헤드셋, 이어폰,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제1USB 타입의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USB 타입의 플러그가 상기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15)에 삽입됨에 따라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장치는 제1USB 타입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대신, 상기 제1USB 타입의 플러그 및 오디오 잭을 각각 포함하는 어댑터를 통해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아날로그 오디오 플러그(예: 3.5파이 아날로그 오디오 플러그)는 어댑터의 오디오 잭에 삽입되고, 어댑터의 제1USB 타입의 플러그는 전자 장치(310)의 리셉터클(350)에 삽입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와 전자 장치(3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에 포함된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리셉터클(315)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31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충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1USB 타입(예: USB type C)의 리셉터클(315)을 통해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고속 충전 또는 일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리셉터클(315)을 통해 전자 장치(31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들(350, 370)과 어댑터(330)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3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들(350, 370)과 어댑터(3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리셉터클(315)(예: 도 3a의 리셉터클(315))(이하 제2리셉터클(315))을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오디오 잭(333), 제1USB 타입의 제1리셉터클(335), 제1USB 타입의 제1플러그(337)를 포함하는 어댑터(330)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330)는, 예를 들면 제1USB 타입의 제1리셉터클(335)에 충전 장치(350)의 제1USB 타입의 제3플러그(357)가 삽입됨에 따라, 충전 장치(3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330)는, 오디오 잭(333)(예: 3.5mm 아날로그 오디오 잭)에 오디오 출력 장치(370)의 오디오 플러그(377)(예: 3.5mm 아날로그 오디오 플러그)가 삽입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7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제1USB 타입의 제2리셉터클(315)에 상기 어댑터(330)의 제1플러그(337)가 삽입됨에 따라, 어댑터(330)를 통해 연결된 충전 장치(350) 및 오디오 충전 장치(37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댑터(330)의 제1플러그(337)와 전자 장치(310)의 제2리셉터클(315), 어댑터(330)의 제1리셉터클(335)과 충전 장치(350)의 제3플러그(357)는, 각각 USB type C 의 규격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USB 타입(예: USB type C)의 제1플러그(337)는 복수의 GND핀들, CC핀, 및 VCONN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잭(333)(예: 3.5mm 아날로그 오디오 잭)은 DET1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잭(333)의 DET1 단자는 제1플러그(337)의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잭(333)의 DET1 단자는 제1플러그(337)의 복수의 GND핀들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잭(333)의 DET1단자와 연결된 제1플러그(337)의 하나 이상의 GND핀들은, 어댑터(330)가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때, 제2리셉터클(315)에 포함된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2리셉터클(315)의 복수의 GND핀들로부터 특정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의 검출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70)의 연결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댑터(333)에서, 상기 제1USB 타입(예: USB type C)의 제1리셉터클(333)은 제1CC핀 및 제2CC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333)는 제1리셉터클(335)의 제1CC핀 또는 제2CC핀이 제1플러그(337)의 CC핀 또는 VCONN핀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리셉터클(335)의 제1CC핀 또는 제2CC핀은 제1플러그의 CC핀 또는 VCONN핀을 통해 제2리셉터클(315)의 제1CC핀 또는 제2CC핀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2리셉터클(315)의 제1CC핀 및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350)의 연결을 식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333)는, 오디오 잭(333)과 제1플러그(337)를 연결하는 케이블 상에 안테나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라인은 오디오 잭(333)의 DET1 단자와 제1플러그(337)의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라인은 제1플러그(337)의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제2리셉터클(315)의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2리셉터클(315)의 복수의 GND 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안테나 라인을 이용하여 특정 RF(radio frequency signal)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333)는, 오디오 잭(333)과 제1플러그(337)을 연결하는 케이블 상에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제1플러그(337)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잭(333)을 통해 전송하도록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에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제1USB 타입(예: USB type C)의 제2리셉터클(315)에 포함된 복수의 핀들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연결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 (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PD(power delivery) 제어 블록)에 의해, 제2리셉터클(315)의 복수의 핀들로부터 특정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USB type C 규격 조건을 만족하는 제2리셉터클(315)은, 제1CC핀(A5), 제2CC핀(B5), 복수의 GND핀들(A1, A12, B1, B12)을 포함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리셉터클(315)의 제1CC핀(A5) 및 제2CC핀(B5)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회로를 통해 상기 제2리셉터클(315)에 외부 장치(예: 도 3b의 충전 장치(350) 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37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CC핀(A5) 및 제2CC핀(B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의 연결 여부 및 외부 장치의 종류를 적어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CC핀(A5)과 연결된 b라인 및 제2CC핀(B5)과 연결된 f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 연결된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 또는 일반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리셉터클(315)의 복수의 GND핀들(A1, A12, B1, B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회로를 통해,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복수의 GND핀들(A1, A12, B1, B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a라인 또는 a'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검출되는 저항 값을 판단하여 풀업(pull-up)/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복수의 GND핀들(A1, A12, B1, B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a라인 또는 a'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RF 신호의 검출 여부를 판단하고, RF 신호의 검출 여부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310)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a라인 또는 a'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RF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 회로 구성(예: matching component, RF tunner)을 이용하여 상기 RF 신호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리셉터클(315)에 포함된 D+핀(A6, B6) 및 D-핀(A7, B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D+핀(A6, B6) 및 D-핀(A7, B7)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고 또한 외부 장치가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D+핀(A6, B6) 및 D-핀(A7, B7)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복수의 GND핀들(A1, A12, B1, B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리셉터클(315)의 복수의 RX핀(A10, A11, B10, B11) 및 복수의 TX핀(A2, A3, B2, B3)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d라인 또는 g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리셉터클(315)의 복수의 VBUS(A4, A9, B4, B9)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e라인 또는 e'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전력을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b라인 또는 f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 또는 일반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e라인 또는 e'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지정된 조건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에서 외부 장치와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310)의 제2리셉터클(315)에 포함된 제1CC핀,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 외부 액세서리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310)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350, 3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외부 장치(350, 370)는 직접 전자 장치(310)와 연결되거나 어댑터(330)를 통해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상기 제1CC핀,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상기 동작 520에서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1CC핀,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한 외부 장치의 종류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를 통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가 지원하는 충전 조건에 기반하여 일반 충전을 수행하도록 전력을 송수신하거나,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상기 동작 520에서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560에서, 고속 충전의 조건 하에 외부 장치와 전력을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상기 동작 530에서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550에서 외부 장치와 고속 충전 조건 하에 전력을 송수신하면서 동시에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제1CC핀 및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및 연결된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고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고속 충전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고속 충전 기능만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10)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기반하여 RF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10)는 RF 신호 수신이 요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RF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RF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의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이용하여 안테나 액세서리 장치의 삽입을 요청하는 알림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계없이,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RF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연결된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10)는 제2리셉터클(315)의 D+핀 및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핀 및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장치이며, 외부 장치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장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10)는 D+핀 및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부차적으로 판단하여,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GND핀들, 제1CC핀, 제2CC핀, D+핀 및 D-핀을 포함하고, USB type C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가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CC핀 및 상기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D+핀 및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1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D+핀 및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1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2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D+핀 및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1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2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및
    상기 외부 장치의 고속 충전 지원 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지원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RF(radio frequency signal)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RF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RF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장치를 통해 안테나 액세서리 장치의 삽입을 요청하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VBUS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USB type C의 제1플러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잭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삭제
  9.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전력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리셉터클에 포함된 제1CC핀,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서리 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1CC핀, 상기 제2CC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액세서리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D+핀 및 D-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제1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D+핀 및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제1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제2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D+핀 및 상기 D-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1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2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상기 고속 충전의 지원 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의 지원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장치를 통해 데이터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전력 송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GND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RF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전력 송수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전력 송수신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장치를 통해 안테나 액세서리 장치의 삽입을 요청하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전력 송수신 방법.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가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VBUS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전력 송수신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USB 타입 C의 제1플러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및 전력 송수신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47407A 2018-11-26 2018-11-26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Active KR10259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07A KR102597599B1 (ko) 2018-11-26 2018-11-26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PCT/KR2019/016223 WO2020111685A1 (ko) 2018-11-26 2019-11-25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7/293,766 US11799253B2 (en) 2018-11-26 2019-11-25 Electronic apparatus for supporting high-speed charging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07A KR102597599B1 (ko) 2018-11-26 2018-11-26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48A KR20200061748A (ko) 2020-06-03
KR102597599B1 true KR102597599B1 (ko) 2023-11-03

Family

ID=7085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07A Active KR102597599B1 (ko) 2018-11-26 2018-11-26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99253B2 (ko)
KR (1) KR102597599B1 (ko)
WO (1) WO2020111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8840A (zh) 2020-10-23 2023-08-25 三星电子株式会社 快速充电的方法和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559B2 (ja) * 1998-05-14 2007-01-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源コネクタ
US20060072302A1 (en) 2004-10-01 2006-04-06 Chien Tseng L Electro-luminescent (EL) illuminated wall plate device with push-tighten frame means
JP4023500B2 (ja) 2004-08-03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アンテナ
KR100763947B1 (ko) 2005-07-07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7558899B2 (en) * 2007-04-04 2009-07-07 Imation Corp. Dongl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uple a data storage device and a host computing device
JP5812502B2 (ja) 2010-08-24 2015-11-17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デバイス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装置
US8683090B2 (en) * 2012-04-19 2014-03-25 Apple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n accessory includes particular circuitry
KR102228782B1 (ko) * 2014-10-22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이상 여부 판단 방법
KR102391100B1 (ko) * 2015-06-10 202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550296B2 (ja) * 2015-08-07 2019-07-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US10511703B2 (en) * 2015-08-18 2019-12-17 Lg Electronics Inc. Char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same
CN105305565B (zh) * 2015-11-26 2018-02-23 英特格灵芯片(天津)有限公司 一种充电保护及识别电路及待充电设备
KR102511514B1 (ko) * 2016-02-03 2023-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충전 방식을 이용한 고속 충전 방법 및 장치
US9852098B2 (en) 2016-02-26 2017-12-26 Essential Products, Inc. Systems and techniques for intelligently switching between multiple sources of universal serial bus signals
CN108886376B (zh) 2016-03-29 2021-12-10 索尼公司 接收机和rf信号提供设备
KR20180018049A (ko) * 2016-08-12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483599B2 (en) * 2016-10-05 2019-11-19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ally attached battery pack with audio interface
KR102575430B1 (ko) 2016-10-25 2023-09-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접속 단자를 인식하는 방법
KR102576430B1 (ko) * 2016-11-18 2023-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장치
KR102406959B1 (ko) * 2017-11-28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전력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US10797476B2 (en) * 2018-03-09 2020-10-06 Elbex Video Ltd. Two way and four way cascading optical exchanges provide traffic control for variety of signals with emphasis to WiFi
CN112583063B (zh) * 2019-09-30 2023-04-07 北京大瞬科技有限公司 控制器、充电线缆、识别充电线缆类型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9253B2 (en) 2023-10-24
WO2020111685A1 (ko) 2020-06-04
US20220013968A1 (en) 2022-01-13
KR20200061748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837B1 (ko)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19421B2 (en) Method for detecting wearing of acoustic device and acoust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20488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conversion device
KR102427206B1 (ko) 외부 액세서리 연결에 따른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11869A (ko) 디바이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574467B1 (ko)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73337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20210053094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179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tenna function by using USB connector
US11438082B2 (en)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10609480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US11144484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ceiving audio signal
KR102597599B1 (ko)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083059A (ko)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327709B2 (en) Electronic device, audio-purpos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signal by electronic device connected with audio-purpose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11855393B2 (en)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200389208A1 (en) Extern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using same
KR102701020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구비한 오디오 전자 장치
US12153855B2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using antenna signal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audio
KR102660660B1 (ko) 라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41802B1 (ko) 라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20200055901A (ko)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액세서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