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7100B1 -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100B1
KR102597100B1 KR1020230069201A KR20230069201A KR102597100B1 KR 102597100 B1 KR102597100 B1 KR 102597100B1 KR 1020230069201 A KR1020230069201 A KR 1020230069201A KR 20230069201 A KR20230069201 A KR 20230069201A KR 102597100 B1 KR102597100 B1 KR 10259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vessel
arm
arms
main shaft
carr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범
최익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쓰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쓰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06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1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균주와 담체가 투입되며 가열수단에 의해 바닥면이 가온되는 반응용기(25)를 포함하는 챔버(10), 상기 반응용기(25)에 배치되는 주축(21), 상기 주축(21)에 고정되는 교반축(26)과 상기 교반축(26)에 형성되는 암(27)을 포함하는 회전부(20) 및 상기 주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는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에 있어서. 배양장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5303B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기 내부 온도 50℃ 내에서 48시간 배양한 배양액을 담체에 배양액을 첨가하여 온도 50℃로 48시간 교반하고; 상기 반응용기(25)에 미생물 균주 및 담체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용기(25)의 교반기로 50℃ 온도에서 교반하고; 상기 주축(21)에 결합되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암(27)과; 상기 암(27)의 상단에 결합되고 교반기 바닥을 긁어서 담체가 누룽지화 됨을 방지하는 패달(29)과; 상기 암(27) 상단 양측에 결합된 칼날(60)과; 상기 주축(21)에 결합되고, 상기 암(27) 사이에 배치되고, 가축사체에 상처를 내는 수단을 구비한 분쇄부(70)와; 상기 암(27)과 다른 암과의 벌어진 각도는 130°~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EXTINCTION DEVICE FOR DECOMPOSING DOMESTIC ANIMAL CARCAS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반기 암과 암사이 벌어진 각도를 135°로 구성하여 가축사체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육류 소비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외의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 배출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은 일반 생활 쓰레기와 별도로 분리수거 되어 매립이나 소각 처리되고 있다. 매립 처리는 악취로 인한 민원을 발생시키고 침출수로 인한 토양과 식수 오염을 유발하고 있어 현재 직매립은 금지되어 있다.
또한 가축사체를 소각 처리는 대기 오염을 발생시키는데 특히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은 맹독성 발암물질로서 이에 대한 철저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축사체를 건조 처리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처리하는 가축사체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3306호(등록일자: 2018 .06. 26)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공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부재(1)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처리조(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처리조(2) 내부에는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하는 회전체(3)와 처리조(2) 외벽에는 미생물 활성화를 위해 처리조(2)를 적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4)가 설치된다.
상기 처리조(2) 상부와 측벽 일측에는 미생물 분해활동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5)와 유기성 폐기물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6)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공급부(5)와 상기 가스 배출부(6)에는 응축기(7)와 증발기(8)를 추가로 구비되어 공기 제습 및 발효가스의 제습 탈취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종래기술의 회전체(9)의 단부가 처리조(2) 내벽과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처리조(2) 내벽에 유기성 폐기물이 건조 고착되어 경화층을 형성하고, 이러한 경화층이 가열부(4)가 제공하는 열이 유기성 폐기물에 고르게 전도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화층을 정기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되어 장치의 관리효율이 저하되며 제거작업을 위해 장치를 일시적으로 정지해야 함으로써 폐기물 처리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회전체(3)의 교반축부재가 회전축(9) 상에 단순 배치되는 구조로 인해유기성 폐기물 일부가 특정 지점에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가축사체를 효율적으로 교반하기 위해서는 더욱 교반날개를 정교하게 구성한 교반기가 요구되어 본 발명을 연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33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28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10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35196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반기의 암(arm)과 암 사이 벌어진 각도를 135°로 구성하여 가축사체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가축사체와 혼합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하고, 소멸시킬 수 있는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축사체는 3~4시간 이내에 물로 분해되고 반응용기 내에서 새로 공급되는 고기압 성질의 산소와 저기압 성질의 내부 수증기가 충돌하면서 유증기와 수증기가 분리되어 수증기만 배출되고, 배출된 수증기는 응축기를 통하여 맑은 물로 배출되고, 잔여 마른 공기는 반응용기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는 미생물 균주와 담체가 투입되며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에 의해 바닥면이 가온되는 반응용기(25)를 포함하는 챔버(10), 상기 반응용기(25)에 배치되는 주축(21), 상기 주축(21)에 고정되는 교반축(26)과 상기 교반축(26)에 형성되는 암(27)을 포함하는 회전부(20) 및 상기 주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는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에 있어서,
배양장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5303B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기 내부 온도 50℃ 내에서 48시간 배양한 배양액을 담체에 배양액을 첨가하여 온도 50℃로 48시간 교반하고; 상기 반응용기(25)에 미생물 균주 및 담체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용기(25)의 교반기로 50℃ 온도에서 교반하고;
상기 주축(21)에 결합되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암(27)과; 상기 암(27)의 상단에 결합되고 교반기 바닥을 긁어서 담체가 누룽지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달(29)과;
상기 암(27) 상단 양측에 결합된 칼날(60)과; 상기 주축(21)에 결합되고, 상기 암(27) 사이에 배치되고, 가축사체에 상처를 내는 수단을 구비한 분쇄부(70)와;
상기 암(27)과 다른 암 사이의 벌어진 각도는 130°~140°이며;
상기 암(27)과 다른 암 사이의 간격은 245~260nm이며; 상기 암(27)은 6개 내지 10개가 상기 주축(2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상기 암(27)의 중앙에 파쇄부(6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패달(29)의 각도는 40°~50°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부(70)는 다수개의 톱날(71)과 뾰쪽한 송곳(72)을 포함하되,
상기 담체는 톱밥, 왕겨 및 대나무로 구성되되, 총부피 기준으로 톱밥 60 부피 %, 왕겨 20 부피 %, 대나무 20 부피 %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챔버(10)의 외형은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수증기의 효과적인 포집을 위해 지붕 형상이며;
상기 챔버(10)의 상면에는 담체 투입구(11)와 교반작업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투시창(12)이 형성되고; 챔버(10) 벽체 하부측에는 교반작업이 완료된 폐기물 반출용 배출구 및 외부 공기를 상기 반응용기(25)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미생물 균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 공급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은 가축사체 처리방법에 있어서,
총부피 기준으로 톱밥 60 부피 %, 왕겨 20 부피 %, 대나무 20 부피 %를 혼합한 담체와, 배양장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5303BP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기 내부 온도 50℃ 내에서 48시간 배양한 배양액을 상기 담체에 배양액을 첨가하여 온도 50℃로 48시간 교반하여 담체에 골고루 흡착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가축사체와 조성물의 비를 1:1로 하여 반응용기에 투입하는 제2공정과;
상기 가축사체는 적정온도와 적정산소를 제공하여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통하여 생성되는 효소에 의하여 가축사체가 물로 변하는 제3공정과; 상기 가축사체는 3~4시간 이내에 물로 분해되고 반응용기 내에서 새로 공급되는 고기압 성질의 산소와 저기압 성질의 내부 수증기가 충돌하면서 유증기와 수증기가 분리되어 수증기만 배출되는 제4공정과; 배출된 수증기는 응축기를 통하여 맑은 물로 배출되는 제5공정및 응축기를 통한 잔여 마른 공기는 다시 반응용기 내로 유입되어 수증기 운반을 도와주고 악취를 방지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에 의하면, 가축사체에 상처를 내는 수단을 구비한 분쇄수단과, 교반기 암(arm)과 암 사이 벌어진 각도를 135°로 구성하여 가축사체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가축사체를 미생물로 분해하고 효율적으로 소멸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에 의하면, 가축사체는 3~4시간 내에 물로 분해되고 반응용기 내에서 새로 공급되는 고기압 성질의 산소와 저기압 성질의 내부 수증기가 충돌하면서 유증기와 수증기가 분리되어 수증기만 배출되고, 배출된 수증기는 응축기를 통하여 맑은 물로 배출되고, 잔여 마른 공기는 반응용기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암과 칼날의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a) 및 패달(b)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과 칼날의 배치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의 측면도 및 칼날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암과 칼날의 배치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a) 및 패달(b)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과 칼날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의 측면도 및 칼날의 측면도이다.
삭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축사체의 교반작업과 미생물 균주 발효 분해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10), 상기 챔버(10) 내부에 구비되어 교반작업을 수행하는 회전부(20), 상기 회전부(20)의 주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 상기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챔버(10)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30), 및 발효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챔버(10) 외부로 배출하는 수증기 배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챔버(10)에 있는 반응용기(25)에서 가축사체 외에 톱밥, 왕겨 및 대나무로 구성된 담체와 미생물 균주가 투입 혼합된 물질(이하, “혼합물”이라 한다)을 교반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주축(21)에 결합한 복수의 암(27)에 의해 혼합물의 교반이 원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가축사체를 효과적으로 교반하고 분해할 수 있다.
먼저 챔버(10)의 외형은 개략적으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수증기의 효과적인 포집을 위해 지붕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챔버(10)의 상면에는 담체 투입구(11)와 교반작업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투시창(12)이 형성되고, 챔버(10) 벽체 하부측에는 교반작업이 완료된 폐기물 반출용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면의 능선에는 수증기 배출부(40)의 흡기팬이 설치된다. 한편 챔버(10)의 내부에는 교반작업, 분해 및 소멸이 이루어지는 반응용기(25)가 구비된다.
상기 반응용기(25)의 단면은 반원형 구조로 되어 있다. 처리용량을 높이기 위해 한 쌍의 반응용기(25)가 병설 배치되며 각 반응용기에 상기 회전부(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반응용기(25)의 바닥면에는 미생물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담체를 가온하기 위한 가열수단(22)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수단(22)으로는 전열코일이나 면상발열체 등이 사용된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주축(21)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써, 모터,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주축(2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주축(21)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로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는 주로 체인이 권장되나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상기 공기 공급부(30)는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반응용기(25)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챔버(10)의 상면 복수 개소에 구비되며, 챔버(10)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에 설치되는 송풍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10) 벽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증기 배출부(40)는 상기 배출기 본체와 덕트로 연결되고 챔버(10) 능선의 복수 개소에 구비되는 흡기팬으로 이루어진다.
가축사체의 가수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집한 후 응축기를 통하여 물을 배출한다. 상기 설비의 세부 구성은 종래 처리장치의 구성과 유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가열수단의 전력소모 절감을 위해 바이패스 관을 통해 챔버(10)로 재투입된다.
<실시예 1> 미생물 균주 기탁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 2023년 1월 27일 자로 기탁하였다. 기탁번호는 KCTC 15303BP를 부여받았다. 바실러스 속 미생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통상 호기성 미생물이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 균주는 탄소 복합물인 유기성 폐기물을 미생물이 배출하는 효소로 분해하여 H2O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실시예 2> 담체 제조 및 미생물 배양체 접종
배양장에서 기탁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5303B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기 내부 온도 50℃에서 48시간 배양한다.
담체는 톱밥, 왕겨 및 대나무로 구성된다. 담체는 총부피 기준으로 톱밥 60 부피 %, 왕겨 20 부피 %, 대나무 20 부피%을 혼합한다. 위와 같이 조성된 담체에 미생물 소멸균을 흡착시킨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 폐기물: 조성물은 1:1이다.
<실시예 3>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
본 발명의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은 다음 공정으로 구성된다.
(가) 미생물 배양 및 흡착 : 미생물 배양은 확보된 원균을 48시간 혐기배양하여 배양액을 만들고 그 배양액을 반응용기 내에 담체를 확보한 뒤 배양액을 투입하여 50℃ 온도에서 48시간 교반하여 담체에 골고루 흡착시킨다.
(나) 가축사체를 처리기기에 투입한다.
(다) 가축사체는 적정 온도와 적정산소를 제공하여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통하여 생성되는 효소에 의하여 가축사체가 물(H2O)로 변한다.
(라) 가축사체는 3~4시간 이내에 물로 분해되고 반응용기 내에서 새로 공급되는 고기압 성질의 산소와 저기압 성질의 내부 수증기가 충돌하면서 유증기와 수증기가 분리되어 수증기만 배출된다.
(마) 배출된 수증기는 응축기를 통하여 맑은 물로 배출된다.
(바) 응축기를 통한 잔여 마른 공기는 다시 반응용기 내로 유입되어 수증기 운반을 도와주고 악취를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암과 칼날의 배치도이다.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응용기(25) 내에 장착된 회전부(20)는 교반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주축(21: Shaft)이 상기 반응용기(25)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주축(21)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암(arm, 27)이 결합한다.
암과 암 사이의 간격은 245~ 260nm이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로 암과 암 사이의 간격은 252nm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27)은 6개 내지 10개가 상기 주축(2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9개의 암(27)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암과 다른 암 사이 벌어진 각도는 135°의 각도(α)이다.
상기 암(27)의 상단에 패달(29)이 결합한다. 상기 패달(29)은 교반기 바닥을 긁어서 담체가 누룽지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암(27) 상단 양측에 칼날(60)이 결합한다. 또한 상기 암(27) 중앙에 파쇄 부(6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칼날(60)과 돌출 형성된 파쇄부(61)는 가축사체에 상처를 내고 찢는 역할을 한다. 상처가 난 가축사체에 미생물 균주가 침투한다. 반응용기(25)에서 패달(29)이 결합한 암(27)이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교반한다.
유기성 물질인 가축사체는 미생물에 의해서 100% 분해되고, 소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암의 단면도이다.
암(27)은 주축(21)에 동일선상에 6개~ 10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로 상기 암(27)은 주축(21)에 동일선상에 9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암과 암 사이의 간격은 245~ 260nm이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로 암과 암 사이의 간격은 252nm이다. 상기 암(27)의 상단에 패달(29)이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a) 및 패달(b)의 도면이다.
도 5(a)는 암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패달의 단면도이다.
상기 암(27)의 상단에 패달(29)이 결합된다. 상기 패달(29)은 반응용기 내부 온도를 높일 시 교반기 바닥을 긁어서 담체가 누룽지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달(29)의 각도는 40°~ 50°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로 상기 페달(29)의 각도는 45°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과 칼날의 배치도이다.
암 A와 암 B의 벌어진 각도는 130°~ 140°이다. 또한 암 B와 암 C의 벌어진 각도는 130°~ 140°이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암(27)과 다른 암(27)과 벌어진 각도는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암과 다른 암 사이 벌어진 각도는 135°의 각도(β)를 두는 것은 사체 투입 시 모돈(母豚) 키 210cm 몸통 폭 80cm이기 때문에 가축사체 투입과 분쇄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의 측면도 및 칼날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암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칼날의 측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암의 측면에는 파쇄부(61)에 다수개의 칼날(62)이 돌출 형성된다. 도 7(b)에 도시된 분쇄부(7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톱날(71)과 뾰쪽한 송곳(72)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톱날(71)과 송곳(72)은 가축사체에 상처를 내고 찢는 역할을 한다. 상처가 난 가축사체에 미생물 균주가 침투한다. 가축사체는 미생물의 가수분해로 100% 소멸한다. 상기 분쇄부(70)는 암(27)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는 가축사체에 상처를 내는 수단을 구비한 분쇄수단과, 교반기 암과 암 사이 벌어진 각도를 135°로 구성하여 가축사체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가축사체를 미생물로 분해하고 효율적으로 소멸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챔버 11: 투입구 12: 투시창 20: 회전부
21: 주축 25: 반응용기
26: 교반축 27: 암
30: 공기 공급부 40: 수증기 배출부
50: 구동부 60: 칼날
61: 파쇄부 62: 돌출칼날
71: 톱날 72: 송곳

Claims (8)

  1. 미생물 균주와 담체가 투입되며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에 의해 바닥면이 가온되는 반응용기(25)를 포함하는 챔버(10), 상기 반응용기(25)에 배치되는 주축(21), 상기 주축(21)에 고정되는 교반축(26)과 상기 교반축(26)에 형성되는 암(27)을 포함하는 회전부(20) 및 상기 주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는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에 있어서,
    배양장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5303B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기 내부 온도 50℃ 내에서 48시간 배양한 배양액을 담체에 배양액을 첨가하여 온도 50℃로 48시간 교반하고; 상기 반응용기(25)에 미생물 균주 및 담체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용기(25)의 교반기로 50℃ 온도에서 교반하고;
    상기 주축(21)에 결합되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암(27)과; 상기 암(27)의 상단에 결합되고 교반기 바닥을 긁어서 담체가 누룽지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달(29)과;
    상기 암(27) 상단 양측에 결합된 칼날(60)과; 상기 주축(21)에 결합되고, 상기 암(27) 사이에 배치되고, 가축사체에 상처를 내는 수단을 구비한 분쇄부(70)와;
    상기 암(27)과 다른 암 사이의 벌어진 각도는 130°~140°이며;
    상기 암(27)과 다른 암 사이의 간격은 245~260nm이며; 상기 암(27)은 6개 내지 10개가 상기 주축(2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암(27)의 중앙에 파쇄부(6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패달(29)의 각도는 40°~50°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부(70)는 다수개의 톱날(71)과 뾰쪽한 송곳(72)을 포함하되,
    상기 담체는 톱밥, 왕겨 및 대나무로 구성되되, 총부피 기준으로 톱밥 60 부피 %, 왕겨 20 부피 %, 대나무 20 부피 %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챔버(10)의 외형은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수증기의 효과적인 포집을 위해 지붕 형상이며;
    상기 챔버(10)의 상면에는 담체 투입구(11)와 교반작업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투시창(12)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10) 벽체 하부측에는 교반작업이 완료된 폐기물 반출용 배출구 및 외부 공기를 상기 반응용기(25)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미생물 균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 공급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가축사체 처리방법에 있어서,
    총부피 기준으로 톱밥 60 부피 %, 왕겨 20 부피 %, 대나무 20 부피 %를 혼합한 담체와, 배양장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5303BP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기 내부 온도 50℃ 내에서 48시간 배양한 배양액을 상기 담체에 배양액을 첨가하여 온도 50℃로 48시간 교반하여 담체에 골고루 흡착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가축사체와 조성물의 비를 1:1로 하여 반응용기에 투입하는 제2공정과;
    상기 가축사체는 적정온도와 적정산소를 제공하여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통하여 생성되는 효소에 의하여 가축사체가 물로 변하는 제3공정과;
    상기 가축사체는 3~4시간 이내에 물로 분해되고 반응용기 내에서 새로 공급되는 고기압 성질의 산소와 저기압 성질의 내부 수증기가 충돌하면서 유증기와 수증기가 분리되어 수증기만 배출되는 제4공정과;
    배출된 수증기는 응축기를 통하여 맑은 물로 배출되는 제5공정 및 응축기를 통한 잔여 마른 공기는 다시 반응용기 내로 유입되어 수증기 운반을 도와주고 악취를 방지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분해 처리방법


KR1020230069201A 2023-05-30 2023-05-30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Active KR10259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201A KR102597100B1 (ko) 2023-05-30 2023-05-30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201A KR102597100B1 (ko) 2023-05-30 2023-05-30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100B1 true KR102597100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201A Active KR102597100B1 (ko) 2023-05-30 2023-05-30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10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278A (ja) * 1996-07-11 1998-01-27 Kaijo Hoanchiyou Chokan 微生物による生ごみ処理機
KR100235196B1 (ko) 1997-08-21 1999-12-15 이명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1104915A (ja) * 1999-10-13 2001-04-17 Takagi Ind Co Ltd 生ごみ乾燥処理装置
JP2002096045A (ja) * 2000-09-25 2002-04-02 Okuma Corp 生ごみ処理装置
KR20080097858A (ko) * 2007-05-03 2008-11-06 신남원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101171082B1 (ko) 2010-12-02 2012-08-20 김이동명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30141852A (ko) * 2012-06-18 2013-12-27 류두현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50034503A (ko) * 2013-09-26 2015-04-03 이재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15764B1 (ko) * 2016-05-11 2017-03-14 (주)오클린테크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미생물 제제
KR101873306B1 (ko) 2017-11-27 2018-08-02 주식회사 블루텍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942856B1 (ko) 2017-04-07 2019-01-28 박찬권 가축사체, 음식물쓰레기 기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처리를 위한 이동식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278A (ja) * 1996-07-11 1998-01-27 Kaijo Hoanchiyou Chokan 微生物による生ごみ処理機
KR100235196B1 (ko) 1997-08-21 1999-12-15 이명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1104915A (ja) * 1999-10-13 2001-04-17 Takagi Ind Co Ltd 生ごみ乾燥処理装置
JP2002096045A (ja) * 2000-09-25 2002-04-02 Okuma Corp 生ごみ処理装置
KR20080097858A (ko) * 2007-05-03 2008-11-06 신남원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101171082B1 (ko) 2010-12-02 2012-08-20 김이동명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30141852A (ko) * 2012-06-18 2013-12-27 류두현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50034503A (ko) * 2013-09-26 2015-04-03 이재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15764B1 (ko) * 2016-05-11 2017-03-14 (주)오클린테크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미생물 제제
KR101942856B1 (ko) 2017-04-07 2019-01-28 박찬권 가축사체, 음식물쓰레기 기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처리를 위한 이동식 처리장치
KR101873306B1 (ko) 2017-11-27 2018-08-02 주식회사 블루텍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3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rganic fertilizer
JP4386933B2 (ja) 有機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KR102597101B1 (ko) 친환경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151917B1 (ko)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JPH10151434A (ja) 有機系廃棄物処理装置及び方法
CN216106657U (zh) 一种水泡粪肥料化复合发酵装置
KR101898892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소멸장치
KR102597100B1 (ko)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CN106391659A (zh) 多轴生物垃圾处理机
JP4701351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KR10072761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331783C (zh) 消灭型有机垃圾生物处理机
KR102579255B1 (ko) 담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JP2008023450A (ja) 有機性廃棄物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0015227A (ja) ゴミ処理装置
CN206305176U (zh) 多轴生物垃圾处理机
JP2004113911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108610107A (zh) 一种易腐固体有机废弃物好氧生物发酵处理装置
KR100394084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장치 및 방법
KR017699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저·상온 소멸방법 및 그 장치
JP3422947B2 (ja) 生ゴミ分解処理装置
CN113333427A (zh) 易腐垃圾常温好氧生态相变制水处理装置
KR980009206A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CN115650775B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及方法
CN100422119C (zh) 有机废弃物免堆处理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