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6974B1 -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974B1
KR102596974B1 KR1020230066158A KR20230066158A KR102596974B1 KR 102596974 B1 KR102596974 B1 KR 102596974B1 KR 1020230066158 A KR1020230066158 A KR 1020230066158A KR 20230066158 A KR20230066158 A KR 20230066158A KR 102596974 B1 KR102596974 B1 KR 102596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plate
reoperation
sub
cerv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선
Original Assignee
(주)서지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지오젠 filed Critical (주)서지오젠
Priority to KR102023006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974B1/ko
Priority to US18/393,037 priority patent/US20240390041A1/en
Priority to EP23219901.8A priority patent/EP4467089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9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23Variable length plates adjustable in both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33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 A61B17/8042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the additional component being a cover over the screw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52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 A61B17/8057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the interlocking form comprising a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477Coup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는, 척추 수술 시 디스크가 제거된 척추에 나사못을 이용해 설치되어 수술 부위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사각판 형상의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된 수술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재수술 시 나사못에 의해 설치되어 재수술 부위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판 형상의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는 연속 되도록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 유지된 상태로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CERVICAL PLATE FOR EASY REOPERATION}
본 발명은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 재수술 시 기 설치된 플레이트를 제거할 필요 없이 재수술용 플레이트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척추체는 몸통을 이루는 32~35개의 척추골(vertebra)과 척추골 사이의 추간원판(intervertebral disk) 즉,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체간의 지주를 이루면서 상단의 두개골과 하단의 골반을 연결하는 우리 몸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이다.
척추골은 위로부터 7개의 경추(cervical), 12개의 흉추(thoracic), 5개의 요추(lumber), 5개의 천추(sacrum), 3~5개의 미추(coccyx)로 이루어지는데, 성인에서는 5개의 천추가 유합하여 1개의 천골이 되고, 3~5개의 미추가 유합하여 1개의 미골이 된다.
일반적으로 경추는 상기 척추체의 맨 윗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7개의 등골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에서부터 제1경추는 환추라고도 하며, 둥근모양으로 두개골을 받치고 있는 관절면이 있으나, 추체와 극돌기가 없고, 제2경추는 축추라고도 하며 목의 회전을 돕는 것으로 추체에서 위로 솟아오른 추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3경추에서 제6경추까지는 작고 넓은 추체와 삼각형의 추공과 끝이 둘로 갈라진 극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7경추는 융추라고도 하며, 길고 끝이 둘로 갈라지지 않은 극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경추는 사고로 인한 외부의 충격이나 비뚤어진 자세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손상을 입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한 경추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와 스크류로 이루어진 경추플레이트(경추 고정장치)를 경추에 삽입 고정하는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추플레이트는 고정하는 범위가 넓어 인접부위에 재수술을 할 경우 새롭게 스크류를 체결할 공간이 부족하여 기존에 설치된 경추플레이트를 제거한 뒤 새롭게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기존에 경추 4-5번에 수술을 받은 환자가 경추 5-6번에 문제가 발생하여 재수술을 받을 경우, 경추5번 뼈에 공간이 부족하여 기존에 설치된 경추플레이트를 모두 제거해야만 경추 5-6번의 수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수술이 번거롭고,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림은 물론,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그리고 금전적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01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최초 수술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의 끝단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재수술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의 끝단에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재수술 시 기존의 플레이트를 제거할 필요 없이 원활한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는, 척추 수술 시 디스크가 제거된 척추에 나사못을 이용해 설치되어 수술 부위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사각판 형상의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된 수술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재수술 시 나사못에 의해 설치되어 재수술 부위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판 형상의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는 연속 되도록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 유지된 상태로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나사못이 스크류 방식으로 관통하여 척추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2개가 한 세트를 이루며, 복수의 세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면에 결합되되,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덮이도록 하는 제1커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커버유닛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세트 수와 동일한 수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세트 단위로 동시에 개방되거나 덮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3방향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면에 결합되되,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덮이도록 하는 제2커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커버유닛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중심에 결합되되,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동시에 개방되거나 덮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하 관통 형성되며, 수술 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척추면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측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4면 중 상호 대칭을 이루는 2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선단부가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은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은 하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어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어 다단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어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어 다단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및 상기 돌출부는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결속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결합력이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은 하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되, 내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되, 내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홈 및 상기 돌출부는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결속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결합력이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에 설치된 메인 플레이트를 제거할 필요 없이 재수술용 서브 플레이트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그로 인해, 수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금전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에 있어서, 결합홈과 돌출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에 있어서, 끼움홈과 돌출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에 있어서, 끼움홈과 돌출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에 있어서,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척추 재수술 시 기 설치된 플레이트를 제거할 필요 없이 재수술용 플레이트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척추 수술에 사용된 경추 플레이트는 고정하는 범위가 넓어 기존의 수술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재수술을 해야 할 경우, 재수술 시 설치되어야 하는 경추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결합될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기존에 설치된 경추 플레이트를 모두 해체하고 다시 설치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기에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그리고 금전적인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척추 수술에 사용되는 경추 플레이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수술, 다시 말해 처음 진행되는 수술에 사용되는 경추 플레이트와, 재수술에 사용되는 경추 플레이트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 설치된 경추 플레이트를 해체하지 않고도 재수술에 사용되는 경추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기 설치된 경추 플레이트에 연속되도록 설치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리성은 물론, 수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환자가 갖는 정신적, 신체적, 그리고 금전적인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척추 수술 시 디스크가 제거된 척추에 나사못(600)을 이용해 설치되도록 하여 수술 부위의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각판 형상의 메인 플레이트(A)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A)가 설치된 수술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재수술이 진행되어야 할 경우, 나사못(600)에 의해 해당 부위의 척추에 설치되어 재수술 부위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판 형상의 서브 플레이트(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A)는 척추 수술이 처음 진행될 때 설치되는 경추 플레이트를 의미하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B)는 최초 진행된 수술 부위에 인접하여 재수술이 진행될 경우 설치되는 경추 플레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서브 플레이트(B)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A)가 기 설치된 상태에서 재수술이 진행될 시, 상기 메인 플레이트(A)를 해체할 필요 없이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플레이트(B)는 기 설치된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연속되도록 연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서브 플레이트(B)는 수술 간에 상기 나사못(600)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B)를 관통하여 수술 부위의 척추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서브 플레이트(B)에는 상기 나사못(600)이 스크류 방식으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상기 나사못(600)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100)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되는 체결공(100)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 다시 말해, 2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하며, 이처럼 동일 선상으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2개의 체결공(100)으로 이루어지는 세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체결공(100) 세트는 각 세트 간에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나사못(600)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A)가 척추에 설치될 시, 척추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되는 부위가 균등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는 체결공(100)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덮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결공(100)에 관통 결합된 상기 나사못(600)의 무분별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커버유닛(300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상면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되, 하나의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이 하나의 체결공(100)에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공(100)과 동일한 개수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A)가 갖는 구조를 단순화 시킴은 물론, 수술 간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된 체결공(100)에 관통 결합된 상기 나사못(600)의 이탈 방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2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체결공(100)을 세트 단위로 동시에 개방되거나 덮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회전이 가능한 구조라 함은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와 같은 회전이 가능한 회전축 부재에 의한 결합 구조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상면에 결합되되, 세트를 이루는 2개의 체결공(100) 사이 부분에 결합되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ㅅ'자 형상의 제1커버유닛(300a)이 회전 함에 따라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된 체결공(100)의 상부를 세트 단위로 동시에 개방되거나 덮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된 체결공(100)의 세트 수와 동일한 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된 체결공(100)의 수가 총 6개라 가정할 경우, 2개씩 짝을 이루어 동일 선상에서 인접하여 형성되어 각각이 세트를 이룸으로써, 3개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공(1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은 각 세트와 인접하여 3개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은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결합되는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2개의 체결공(100)의 상부를 동시에 개방되도록 하거나 덮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커버유닛(300a)에 의해 체결공(1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못(600)이 체결공(100)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나사못(600)이 결합된 이후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을 회전시켜,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의 단부가 상기 나사못(600)이 결합된 체결공(100)의 상부를 덮어 줌으로써, 상기 나사못(600)의 무분별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연속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 형성되는 체결공(100)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중심을 기준으로 3방향의 둘레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플레이트(B) 역시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동일하게 나사못(600)에 의해 수술 부위의 척추에 설치되는 바,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 형성된 체결공(100)에 관통 결합되는 상기 나사못(600)의 무분별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 형성된 체결공(100)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제2커버유닛(300b)이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상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커버유닛(300b)이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 결합되는 회전 가능한 구조는 상술한 상기 제1커버유닛(300a)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커버유닛(300b)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중심을 기준으로 3방향의 둘레에 각각 형성되는 3개의 체결공(100)의 상부가 동시에 개방되거나 덮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Y'자 형상의 제2커버유닛(300b)의 각 단부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중심에 힌지와 같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함으로써,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 형성되는 3개의 체결공(100)의 상부가 동시에 덮이도록 하여 체결공(100)에 관통 결합된 상기 나사못(600)의 무분별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Y'자 형상의 제2커버유닛(300b)의 각 단부가 회전에 의해 3개의 체결공(100)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3개의 체결공(100)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못(60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는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측공(2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측공(200)은 수술 시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척추면을 수술자가 실시간으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A)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는 상기 관측공(2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A)가 갖는 자체 하중이 감소되어 수술 이후 환자의 신체, 특히나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되는 체결공(100)과 제1커버유닛(300a)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 형성되는 체결공(100)과 제2커버유닛(300b)의 형태 및 상기 나사못(600)의 관통 결합에 따른 상호 대응 관계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초 수술을 통해 기 설치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최초 수술 이후, 인접 부위에 재수술을 통해 새롭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연속적으로 연결 가능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B)는 상기와 같이 연속적인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가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치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A)는 이후 새롭게 설치되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연결되는 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일측이 슬라이딩 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4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끼움홈(400)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척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는 바,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4개의 측면 중 상호 대칭을 이루는 2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B)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A)의 일측에 연속되어 연결 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선단부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400)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돌출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플레이트(B)에서 상기 돌출부(500)가 형성된 반대측 면에는 이후, 추가로 다른 서브 플레이트(B)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홈(400)과 동일한 끼움홈(40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1차 수술(최초 수술을 의미함.)에서 메인 플레이트(A)가 설치된 상태에서 2차 수술(재수술)이 진행됨에 따라 기 설치된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서브 플레이트(B)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후 3차 수술이 진행될 경우, 2차 수술에 설치된 상기 서브 플레이트(B)와 다른 서브 플레이트(B)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서브 플레이트(B)에는 상기 끼움홈(400)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500) 및 다른 서브 플레이트(B)에 형성된 돌출부(50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홈(400)이 서로 반대측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홈(400)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되, 수평 방향을 갖는 결합홈(41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400)에 끼워지는 상기 돌출부(500)는 외측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400)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410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B)는 상기 끼움홈(400)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410a)과, 그에 대응되어 삽입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돌출부(5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수술 이후 환자의 움직임이나 외압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설치 위치에서 무분별하게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41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400)의 내주면이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홈(410a)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500)의 테이퍼 형상과 동일한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끼움홈(400)의 수평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끼움홈(400)의 내주면 양측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50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범위 내에서 수직 방향, 즉,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내입되는 결합홈(410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끼움홈(400)에 끼워지는 상기 돌출부(500)는 상기 돌출부(500)의 외주면 중 수직 방향의 상기 결합홈(410b)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51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홈(401b)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510)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5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테이퍼 형상의 결합돌기(510)가 삽입되는 결합홈(410b) 역시 상기 결합돌기(510)의 테이퍼 형상과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510) 및 상기 결합홈(410b)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결합홈(410b)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510)가 인력에 의해 상기 결합홈(410b)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결합홈(410b)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400)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일측 한곳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된 3개 이상의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홈(410b)은 상기 끼움홈(400)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결합홈(41b)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결합돌기(510) 역시 상기 돌출부(500)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결합홈(410)b)이 형성되는 수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돌출부(5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홈(400) 및 상기 돌출부(500)는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끼움홈(400)을 갖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상기 돌출부(500)를 갖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B) 간의 결합력이 보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상기 끼움홈(400) 및 돌출부(5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400)의 하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어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어 다단 형성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500)는 상기 끼움홈(400)과 반대로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어 상부와 사부가 구분되어 다단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호간에 밀착될 경우,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상기 메인 플레이트(A)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리도록 다단 형성된다 함은, '┏'자 형상과 같이 하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는 상기 끼움홈(400)과 '┛'자 형상과 같이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는 상기 돌출부(500)가 밀착되어 상호 보완적 되어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맞물리는 것을 의미하며,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는 형상의 상기 돌출부(500)를 갖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하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는 형상의 상기 끼움홈(400)을 갖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A)에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브 플레이트(B)가 무분별하게 상측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도 4a 및 도 4b에서는 상기 끼움홈(400) 및 돌출부(500)가 다단 형성되되, 하나의 단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단 형성 구조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2개~3개의 단,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져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결속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끼움홈(400) 및 돌출부(500)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계단처럼 다단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400)의 하부와 상기 돌출부(500)의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각각 내입되되, 사선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결속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끼움홈(400)은 하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되, 내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내입되는 상기 돌출부(500)는 상기 끼움홈(400)과 반대로 내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끼움홈(400) 및 상기 돌출부(500)가 상호 보완적으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끼움홈(400) 및 돌출부(500)의 경사면은 상술한 다단 형성 구조에 대한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테이퍼진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는 기 설치된 상기 메인 플레이트(A)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서브 플레이트(B)를 새롭게 추가로 설치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언급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끼움홈(400) 및 돌출부(5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A)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B)의 결속력이 보강되어 수술 이후에도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체결공
200 : 관측공
300a : 제1커버유닛
300b : 제2커버유닛
400 : 끼움홈
410a, 410b : 결합홈
500 : 돌출부
510 : 결합돌기
600 : 나사못
A : 메인 플레이트
B : 서브 플레이트

Claims (16)

  1. 척추 수술 시 디스크가 제거된 척추에 나사못을 이용해 설치되어 수술 부위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사각판 형상의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된 수술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재수술 시 나사못에 의해 설치되어 재수술 부위 척추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판 형상의 서브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는 연속 되도록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 유지된 상태로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4면 중 상호 대칭을 이루는 2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선단부가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범위 내에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 중 수직 방향의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테이퍼 형상과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홈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가 인력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나사못이 스크류 방식으로 관통하여 척추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
    을 포함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2개가 한 세트를 이루며, 복수의 세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면에 결합되되,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덮이도록 하는 제1커버유닛;
    을 더 포함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유닛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세트 수와 동일한 수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세트 단위로 동시에 개방되거나 덮이도록 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3방향의 둘레에 형성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면에 결합되되,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덮이도록 하는 제2커버유닛;
    을 더 포함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유닛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중심에 결합되되,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가 동시에 개방되거나 덮이도록 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하 관통 형성되며, 수술 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척추면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측공;
    을 포함하는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30066158A 2023-05-23 2023-05-23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Active KR10259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158A KR102596974B1 (ko) 2023-05-23 2023-05-23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US18/393,037 US20240390041A1 (en) 2023-05-23 2023-12-21 Cervical plate for reoperation
EP23219901.8A EP4467089A1 (en) 2023-05-23 2023-12-22 Cervical plate for re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158A KR102596974B1 (ko) 2023-05-23 2023-05-23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974B1 true KR102596974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158A Active KR102596974B1 (ko) 2023-05-23 2023-05-23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390041A1 (ko)
EP (1) EP4467089A1 (ko)
KR (1) KR1025969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804A (ja) * 1998-04-16 1999-11-02 Homuzu Giken:Kk 骨接合装置
JP2007515257A (ja) * 2003-12-22 2007-06-14 ライフ・スパイン・エルエルシー 可動型頚椎プレート及び頚椎プレート構造物
JP2008086817A (ja) * 1997-02-11 2008-04-17 Warsaw Orthopaedic Inc 骨プ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KR20130057010A (ko) 2011-11-23 2013-05-31 이성수 케이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척추 고정장치
JP2019030621A (ja) * 2017-08-08 2019-02-28 ソルコ バイオ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頚椎固定装置
JP2020011090A (ja) * 2014-07-03 2020-01-23 アキュームド・エルエルシー 移動可能な継手を備える骨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0749B2 (en) * 2005-05-12 2011-12-06 Stern Joseph D Revisable anterior cervical plating system
WO2009067659A1 (en) * 2007-11-21 2009-05-28 Globus Medical, Inc.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system with extendable plates
CN102159149A (zh) * 2008-09-18 2011-08-17 斯恩蒂斯有限公司 前路经椎弓根的螺钉和板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817A (ja) * 1997-02-11 2008-04-17 Warsaw Orthopaedic Inc 骨プ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H11299804A (ja) * 1998-04-16 1999-11-02 Homuzu Giken:Kk 骨接合装置
JP2007515257A (ja) * 2003-12-22 2007-06-14 ライフ・スパイン・エルエルシー 可動型頚椎プレート及び頚椎プレート構造物
KR20130057010A (ko) 2011-11-23 2013-05-31 이성수 케이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척추 고정장치
JP2020011090A (ja) * 2014-07-03 2020-01-23 アキュームド・エルエルシー 移動可能な継手を備える骨プレート
JP2019030621A (ja) * 2017-08-08 2019-02-28 ソルコ バイオ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頚椎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467089A1 (en) 2024-11-27
US20240390041A1 (en) 202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3288B2 (en) Vertebral implant, vertebral fastening device of the implant and implant instrumentation
US11413159B2 (en) Lateral insertion spinal implant
US20090234389A1 (en) Interspinous spinal fixation apparatus
EP3058898B1 (en) Spacer with temporary fixation plate
US20080294262A1 (en) Cages for Setting and Intersomatically Fusing Vertebrae
US7527641B2 (en) Translational hinged door plate system
US10456181B2 (en) Spinal plate assembly having locking mechanism
US6506191B1 (en) Osteosynthetic fastening device
AU2013206566B2 (en) Bone stabilization member with bone screw retention mechanism
US9050151B2 (en) Bone plate and aiming block
US6689134B2 (en) Longitudinal plate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length
US8486115B2 (en) Spinal plate assemblies with backout protection cap and methods
US6248106B1 (en) Cross-coupled vertebral stabilizers
US7481811B2 (en) Translational plate with spring beam retainer
US20090105830A1 (en) Interbody fusion device, integral reten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CA2600732A1 (en) Translational scissor plate fixation system
KR20120082396A (ko) 골 플레이트 나사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96974B1 (ko) 재수술이 용이한 경추 플레이트
US20090030466A1 (en) Anterior vertebral plate with suture lock
US20140194929A1 (en) Orthopedic Fastener Blocking System
EP3610812B1 (en) Connector for simultaneously fixing screw head and rod
US20100087871A1 (en) Vertebral fixation plate assembly
US11857224B2 (en) Bone plate
US20120165870A1 (en) Plate-and-screw implant assembly for bone fixation
US11547457B2 (en) Anterior cervical plate with integrated 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