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5866B1 -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866B1
KR102595866B1 KR1020230047760A KR20230047760A KR102595866B1 KR 102595866 B1 KR102595866 B1 KR 102595866B1 KR 1020230047760 A KR1020230047760 A KR 1020230047760A KR 20230047760 A KR20230047760 A KR 20230047760A KR 102595866 B1 KR102595866 B1 KR 10259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amper
thread
bol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재
Original Assignee
천호풀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호풀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호풀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8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덕트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 특히 회전형 댐퍼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고장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는, 덕트용 댐퍼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동축이 축설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하되,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결되어서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DAMPER DRIVE APPARATUS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덕트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 특히 회전형 댐퍼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고장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가스 상태의 각종 유체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를 통하여 이송되며, 이러한 덕트 내 유로를 개폐하기 위해 댐퍼를 설치한다.
한편 공기 조화의 경우, 공기를 여러 가지 상태로 바꿀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기계실에 설치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덕트를 통해 필요 공간으로 공기를 분배 공급하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가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용 댐퍼는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되나,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덕트의 단면에 상응하는 블레이드 형태로써 덕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댐퍼가 덕트를 가로지르게 회전하면 덕트가 폐쇄되고, 댐퍼가 90도 회전하면 덕트가 완전 개방되는 회전형 댐퍼이다.
상기 회전형 댐퍼는 개폐 작동의 자동 제어를 위해 별도의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모터 구동 방식과 실린더 구동 방식이 있다.
그런데 모터 구동 방식은 서브모터의 사용으로 설치비용이 크게 발생함은 물론 감속 제어를 위한 구조 등이 추가되어 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어,
댐퍼의 90도 회전 작동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일반적인 공압 실린더가 주로 사용되었다.
종래의 댐퍼 구동장치는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이 댐퍼의 회전축에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피스톤이 전진하여 인출되거나 후진하여 인입되면서 댐퍼를 회전시킨다.
그런데 댐퍼가 장기간 자주 사용되면 댐퍼의 회전축과 피스톤의 링크 연결 구조가 헐거워지거나 파손되어 댐퍼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94832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종 덕트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 특히 회전형 댐퍼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고장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는,
덕트용 댐퍼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동축이 축설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하되,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결되어서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서,
상기 구동축은 외주면에 피동기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피동기어부에 치합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회전축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의 둘레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축공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삼면을 감싸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덕트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는,
피스톤 로드가 구동축에 직결되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직선 운동을 상기 구동축의 회전으로 전화시켜 댐퍼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져 그 구조가 간소화되며, 특히 상기 피스톤 로드와 구동축이 랙기어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댐퍼의 개폐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어하여 작동시킬 수 있고,
구동축과 회전축의 연결 구조가 매우 견고하면서, 댐퍼 구동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댐퍼 구동 장치가 덕트 외부에 보다 안전하게 장착되어 유지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풀림 방지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하우징(10), 구동 실린더(20), 브래킷(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댐퍼(1)는 덕트(2) 내부에서 회전축(1a)으로 축설되는 회전형 댐퍼이면 족하고, 댐퍼(1)가 장착되는 덕트(2)의 종류나 구조 등에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덕트(2)용 댐퍼(1)의 회전축(1a)이 결합되는 구동축(11)이 축설되어 있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 결합하되,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직결되어서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구동축(11)을 회전시키는 피스톤 로드(21)를 구비한 구동 실린더(20);
상기 하우징(10)의 삼면을 감싸는 바디부(31)와, 상기 바디부(31)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덕트(2)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부(32)를 구비한 브래킷(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박스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면과 양 측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10)에 상기 브래킷(30)의 바디부(31)가 결합하여 하우징(10)의 외관을 대신하여 구성되는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상면에 구동축(11)이 끼워지는 축공(12)이 천공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양 측면이 구비된 형태일 경우 각 측면에 가이드공이 추가로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1)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축공(12)에 축설되어 좌우로 수평 회전한다.
이러한 구동축(11)은 몸체부(111)와 축부(112)로 구성되어 결합공(113)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축부(112)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축공(12)에 축설되면서 상기 몸체부(111)가 하우징(10)(보다 엄밀하게는 브래킷(30)의 바디부(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112)의 외주면에는 피스톤 로드(21)의 랙기어부(211)가 치합되는 피동기어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11)은 상기 결합공(113)에 상기 댐퍼(1)의 회전축(1a)이 끼워져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111)에는 상기 결합공(113)의 둘레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나사공(115)을 구비하여, 고정볼트(116)가 상기 나사공(115)에 체결되면서 상기 축공(12)의 회전축(1a)을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공(113)은 상기 회전축(1a)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져 상기 댐퍼(1)의 회전축(1a)이 끼워지며,
상기 나사공(115)은 구동축(11)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 나사공(115)에는 상기 고정볼트(116)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볼트(116)는 대표적으로 무두볼트가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볼트(116)는 상기 나사공(115)에 체결되면서 상기 축공(12)에 끼워진 회전축(1a)의 외주면을 최소 2방향 이상에서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1a)이 상기 구동축(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 실린더(20)는 피스톤 로드(21)와 실린더 바디(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실린더(20)는 박스형의 실린더 바디(22)에서 전, 후진하여 인출입된는 피스톤 로드(21)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로드(21)의 일면에는 상기 피동기어부(114)에 치합되는 랙기어부(2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 로드(21)가 전, 후진할 때 상기 구동축(11)이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바디(22)는 피스톤 로드(21)의 전후진 행정 거리 양 측에 별도의 공압 니블을 구비하여, 공압이 일방향으로 공급될 때 피스톤 로드(21)가 전진하여 인출되고, 공압이 타방향으로 공급될 때 피스톤 로드(21)가 후진하여 인출되게 할 수도 있고,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댐퍼(1)의 즉각적이고 정확한 폐쇄 작동 및 구조 단순화를 위해, 일방향 공압 공급 구조 및 스프링 탄지 구조를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 바디(22)는 상기 피스톤 로드(21)가 끼워지는 인출로(221)가 일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21)는 외측 끝단부에 작동판(212)이 상기 인출로(221)를 좌우로 구획화시키도록 구비되어 있고,
공압 니블(23)이 상기 인출로(221)에서 상기 작동판(212)의 외측(도4 기준 좌측)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로(221)에서 상기 작동판(212)의 내측(도4 기준 우측) 부위에는 압축스프링(24)이 내장되어 있다.
이에 상기 구동 실린더(20)로 공압이 공급되면 공압의 압력으로 상기 가압판이 상기 압축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밀려서 상기 피스톤 로드(21)가 상기 실린더 바디(22)의 외부로 전진하여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되는 피스톤 로드(21)는 랙 기어 구조를 통해 상기 구동축(11)에 결합된 회전축(1a), 즉 상기 댐퍼(1)를 일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덕트(2)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실린더(20)로의 공압 공급이 정지되면 상기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이 상기 가압판에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21)가 상기 실린더 바디(22) 내부로 후진하여 인입됨에 따라 상기 댐퍼(1)가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덕트(2)를 폐쇄한다.
이때 상기 구동 실린더(20)로 공급되는 공압의 압력을 조절하면 상기 피스톤 로드(21)의 전진 행정 거리에 따른 상기 구동축(11)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댐퍼(1)의 개도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브래킷(30)은 전, 후면과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상기 바디부(31)와, 상기 바디부(31)의 양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직각 연결된 상기 결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31)는 양 측벽부(311)(312) 사이에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되는 수용부(313)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32)에 볼트 체결공(321)이 구비되어 있어, 댐퍼 구동 장치를 덕트(2)의 외면에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31)는 상기 수용부(313)의 바닥부(314)에 상기 축공(12)에 대응하는 끼움공(315)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11)의 몸체부(111)가 상기 바닥부(314)의 저면에 밀접하게 축설되며,
상기 댐퍼(1)의 회전축(1a)은 상기 하우징(10) 및 바닥부(314)를 모두 관통형태로 상기 구동축(11)의 결합공(113)에 끼워져 결합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30)은 일 측벽부(311)의 외측면에 상기 구동 실린더(20)가 결합하며, 양 측벽부(311)(312)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1)가 끼워지는 관통공(31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0)과 구동 실린더(20)와 브래킷(30)의 양 측벽부(311)(312)가 동일선 상으로 정렬되어 상호 결합되게 한다.
이에 상기 피스톤 로드(21)는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브래킷(30)의 양 측벽부(311)(312)의 관통공(316)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된다.
즉, 도면과 달리 상기 구동 실린더(20)를 상기 브래킷(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구동 실린더(20)의 무게로 인해 브래킷(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일측으로 쏠리면서 결합부(32)의 볼트 결합 구조가 이를 지탱하지 못하여 브래킷(30)이 처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한 조립 구조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한 조립 구조를 통해 피스톤 로드(21)의 전, 후진에 따른 행정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32)는 댐퍼 구동 장치가 설치되는 덕트(2)의 구조에 따라 양 측벽부(311)(312)에 대한 절곡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원형 덕트의 경우 상기 결합부(32)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덕트(2)의 곡률을 감안하여 양 측벽부(311)(312)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사각형 덕트의 경우 상기 결합부(32)는 도 5, 도 6과 같이 양 측벽부(311)(312)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30)은 결합부(32)가 덕트(2)의 외측면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구동 실린더(20)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볼트 결합 구조가 헐거워져서 풀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에 고정구(W)를 추가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볼트(B)는 외주면에 제1 나사산(B11)이 형성된 헤드부(B1)와, 상기 헤드부(B1)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제2 나사산(B21)이 형성된 나사부(B2)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나사산(B11)은 왼 나사이고, 상기 제2 나사산(B21)은 오른 나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W)는 상기 헤드부(B1)의 내측면을 받치도록 상기 나사부(B2)에 끼워지고,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B11)에 결합하는 제3 나사산(W11)이 형성된 관부(W1)와, 상기 관부(W1)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연결되되 상기 볼트(B)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절곡된 결속부(W2)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W2)들은 절곡 상태에서 그 내경이 상기 나사부(B2)의 외경보다 크면서, 가압 상태에서 그 내경이 상기 나사부(B2)의 내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절곡되어 있어,
상기 볼트(B)의 조임 시 상기 관부(W1)의 가압으로 상기 결속부(W2)들이 절곡 반대 방향으로 꺾이면서 결속부(W2)의 각 끝단이 상기 제2 나사산(B21)에 억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B)는 일반적인 볼트 형태로써, 다만 헤드부(B1)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B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버와 스패너의 동시 사용을 위해 공구홈(B12)과 육각면(B13)이 동시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관부(W1)는 파이프 형태로써 내주면에 왼 나사로 구성된 상기 제3 나사산(W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W2)들은 상기 관부(W1)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결속부(W2)들 사이에 유격홈(B13)이 형성되어 있어, 결속부(W2)가 가압될 때 절곡하여 꺾일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W2)는 내측 사선방향으로 절곡된 탄성 절곡부와, 상기 탄성 절곡부의 내측 끝단에서 헤드부(B1)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연결된 걸림부로 구성되고, 걸림부의 끝단에는 복수개의 톱니(W2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고정구(W)를 상기 나사부(B2)에 끼워서 왼 나사 방향으로 조이면상기 관부(W1)가 헤드부(B1)에 나사 결합하면서 결속부(W2)가 헤드부(B1)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B)를 너트(N)에 끼워서 오른 나사 방향으로 조이면 볼트(B)의 체결이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결속부(W2)가 결합부(32)에 접촉하면서 저항 압력이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볼트(B)가 계속 회전하면 오른 나사인 나사부(B2)는 너트(N)에 조여지는 반면에, 고정구(W)는 관부(W1)가 헤드부(B1)에서 풀리게 된다.
그런데 상기 결속부(W2)가 결합부(32)에 접촉하여 전진 불가한 상태이므로, 볼트(B)가 계속 조여질 때 결속부(W2)가 내측으로 펼쳐지면서 관부(W1)가 풀려서 결합부(32)에 접촉한다.
그리고 볼트(B)를 완전하게 조이면, 관부(W1)의 계속된 전진으로 인해 결속부(W2)가 타측으로 꺾이면서 압축되어 볼트(B)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탄성력이 발생하여, 풀림 방지 와셔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볼트(B)의 조임으로 꺾인 결속부(W2)는 결합부(32)와 관부(W1)의 압력으로 내측으로 가압되어 절곡 구조가 펴지면서 반대로 꺾이는데, 이때 결속부(W2)의 끝단부에 마련된 톱니(W21)들이 제2나사산(B21)을 파고들어서 억지 끼움됨에 따라 고정구(W)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조여진 볼트(B)는 나사부(B2)와 관부(W1)의 조임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볼트(B)가 풀리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관부(W1)가 헤드부(B1)에 조여지면서 결속부(W2)의 탄성력이 강해져 볼트(B)의 풀림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관부(W1)의 전진이 불가함에 따라 결속부(W2)가 나사부(B2)의 회전을 2차적으로 방지하여, 결국 볼트(B)가 진동에 의해 풀리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덕트(2)용 댐퍼 구동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11 : 구동축
12 : 축공 20 : 구동 실린더
21 : 피스톤 로드 22 : 실린더 바디
23 : 공압 니블 24 : 압축스프링
30 : 브래킷 31 : 바디부
32 : 결합부

Claims (4)

  1. 덕트(2)용 댐퍼(1)의 회전축(1a)이 결합되는 구동축(11)이 축설되어 있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 결합하되,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직결되어서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구동축(11)을 회전시키는 피스톤 로드(21)를 구비한 구동 실린더(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삼면을 감싸는 바디부(31)와, 상기 바디부(31)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덕트(2)의 외면에 볼트(B)와 너트(N)로 조여져 결합하는 결합부(32)를 구비한 브래킷(3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32)를 덕트(2)의 외측면에 고정시키는 볼트(B)는,
    외주면에 제1 나사산(B11)이 형성된 헤드부(B1)와, 상기 헤드부(B1)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제2 나사산(B21)이 형성된 나사부(B2)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나사산(B11)은 왼 나사이고, 상기 제2 나사산(B21)은 오른 나사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B1)의 내측면을 받치도록 상기 나사부(B2)에 끼워지고,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B11)에 결합하는 제3 나사산(W11)이 형성된 관부(W1)와, 상기 관부(W1)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연결되되 상기 볼트(B)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절곡된 결속부(W2)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W2)들은 절곡 상태에서 그 내경이 상기 나사부(B2)의 외경보다 크면서, 가압 상태에서 그 내경이 상기 나사부(B2)의 내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절곡되어 있는 고정구(W)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볼트(B)의 조임 시 상기 관부(W1)의 가압으로 상기 결속부(W2)들이 절곡 반대 방향으로 꺾이면서 결속부(W2)의 각 끝단이 상기 제2 나사산(B21)에 억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1)은 외주면에 피동기어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21)는 상기 피동기어부(114)에 치합되는 랙기어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1)은 상기 회전축(1a)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113)과, 상기 결합공(113)의 둘레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나사공(115)과, 상기 나사공(115)에 체결되어 축공(12)의 회전축(1a)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30)은 일 측벽부(311)의 외측면에 상기 구동 실린더(20)가 결합하며, 양 측벽부(311)(312)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1)가 끼워지는 관통공(3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KR1020230047760A 2023-04-11 2023-04-11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Active KR10259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760A KR102595866B1 (ko) 2023-04-11 2023-04-11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760A KR102595866B1 (ko) 2023-04-11 2023-04-11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866B1 true KR102595866B1 (ko) 2023-10-30

Family

ID=8855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760A Active KR102595866B1 (ko) 2023-04-11 2023-04-11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8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84B1 (ko) * 2005-12-13 2006-12-2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덕트용 댐퍼의 구동장치
KR100758310B1 (ko) * 2006-12-08 2007-09-17 조은정 환기덕트용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84B1 (ko) * 2005-12-13 2006-12-2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덕트용 댐퍼의 구동장치
KR100758310B1 (ko) * 2006-12-08 2007-09-17 조은정 환기덕트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6663B1 (de) Türschliesser
US20100024494A1 (en) Preassembled cam lock assembly
DE102005021663B3 (de) Crashbox
DE102016120721B4 (de) Drehbare Befestigungsvorrichtung und Anwendungsverfahren dafür
CN1230238A (zh) 带有用来锁住和开锁的动力系统的门锁
KR102595866B1 (ko) 덕트용 댐퍼 구동 장치
CN107060535A (zh) 一种尾大门转臂式自锁锁闭机构
EP1991804B1 (de) Verdrehsicherung für einen stellmotor
DE10017254C1 (de) Überwurfschraube und Schraubverbindung zwischen einem Bremsschlauch und einer Bremsleitung
DE102011006371B4 (de) Zylinderschalter
CN108561406A (zh) 一种实体止退螺纹紧固件
CN220792785U (zh) 一种具有拆卸组装功能的半导体行业特种气体气源柜
DE3510445A1 (de) Elektrischer schubstangenantrieb fuer rauchabzugs- und lueftungsklappen
KR102685162B1 (ko) 댐퍼 링크 샤프트 및 이를 이용한 댐퍼
EP3507540B1 (de) Installationsgerät für die deckenmontage
DE102006061589A1 (de) System mit Schraube
EP1865122A1 (de)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von Revisionsöffnungen
CN222478396U (zh) 锁体结构和智能锁
US20140265082A1 (en) Overhead Door Torsion Spring Adjuster
DE102016209361B4 (de) Tretlager für ein Fahrrad
DE19706347A1 (de) Sperrmuttersystem
DE102012015042B4 (de)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CH684361A5 (de) Modular-Stableuchte.
JP2006250303A (ja) 手動弁
EP2251536A1 (de) Planetengetriebevorrichtung für eine Regelvorrichtung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