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017B1 -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 Google Patents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5017B1 KR102595017B1 KR1020210065820A KR20210065820A KR102595017B1 KR 102595017 B1 KR102595017 B1 KR 102595017B1 KR 1020210065820 A KR1020210065820 A KR 1020210065820A KR 20210065820 A KR20210065820 A KR 20210065820A KR 102595017 B1 KR102595017 B1 KR 1025950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seismic isolation
- channel
- isolation pad
- fl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 B65D90/143—Detachable individual l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B65D90/042—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 B65D90/043—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the liners being in the form of tiles or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 구조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상에 설치되고, 수평 외력에 대해서 진자운동을 통해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플랜지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쥴럼 면진 패드,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에 위치하는 잔넬 브라켓, 상기 잔넬 브라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잔넬 브라켓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잔넬 및 상기 잔넬에 의해서 지지되는 물탱크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The water tank structure includes a flange fixed to the floor, a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installed on the flange to prevent damage through pendulum movement against horizontal external force, and a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coupled to the flange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It includes a channel bracket located on the pad, a channel placed on the channel bracket and guided by the channel bracket, and a water tank assembly supported by the chan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탱크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되는 수직 파이프 및 펜쥴럼 면진 패드를 이용하여 물탱크 지지체의 상면의 수평을 맞추는 물탱크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that level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upport using a height-adjustable vertical pipe and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일반적으로 아파트, 학교, 빌딩, 공장 등에는 크기가 대형이면서 사각형 모양의 물탱크를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large, square-shaped water tanks are installed in apartments, schools, buildings, factories, etc.
종래의 물탱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높이로 돌출되는 콘크리트 기초를 일정한 간격을 두어 복수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 물탱크를 받치는 고정프레임을 볼트 등으로 고정시켜 사용하였다.To construct a conventional water tank, multiple concrete foundations protruding from the floor at a certain height we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fixed frame supporting the water tank was fixed to the upper surface with bolts, etc.
그러나, 콘크리트 기초를 사용하여 물탱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기초 간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고, 물탱크 본체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정밀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 하므로 콘크리트 기초와 물탱크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지진 등에 의한 지진동 발생시 바닥이 콘크리트 기초와 함께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installing a water tank using a concrete foundation, the height between the concrete foundations is not constant,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water tank body, making precise height adjustment impossible, resulting in a gap between the concrete foundation and the water tank. Addit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or shakes along with the concrete foundation when ground motion occurs due to an earthquake, etc.
이러한 배경에서, 철제구조물로 되어있고 높이가 조절되는 물탱크를 설치하는 기초가 제안되고 있다.Against this background, a foundation for installing a height-adjustable water tank made of steel structure is being proposed.
본 발명의 과제는, 물탱크 구조의 안정성을 위해 물탱크 지지체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하게 하는 물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ank structure that easily maintains the horizontality of the water tank support for the stability of the water tank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물탱크 구조의 안정성을 위해 물탱크 지지체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하게 하는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that easily maintains the horizontality of the water tank support for the stability of the water tank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상에 설치되고, 수평 외력에 대해서 진자운동을 통해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플랜지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쥴럼 면진 패드,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에 위치하는 잔넬 브라켓, 상기 잔넬 브라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잔넬 브라켓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잔넬 및 상기 잔넬에 의해서 지지되는 물탱크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lange fixed to the floor, installed on the flange, preventing damage through a pendulum motion against horizontal external force, and height and height between the flange and the above problem. It includes a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that is adjustably coupled, a channel bracket positioned on the pendulum isolation pad, a channel disposed on the channel bracket and guided by the channel bracket, and a water tank assembly supported by the channel. do.
또한,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pipe disposed betwee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and the flange.
또한,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와 상기 잔넬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pipe disposed betwee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and the channel bracket.
또한, 복수의 물탱크 지지체는 각각 상기 플랜지,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기 잔넬 브라켓 및 상기 잔넬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파이프는, 제1 포스트와, 상기 제1 포스트 및 상기 제1 포스트 아래에 결합되는 제2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스트 및 상기 제2 포스트는 서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ater tank supports each include the flange,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the channel bracket, and the channel, and the vertical pipe is coupled to the first post, the first post, and below the first post. and a second post, wherein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또한, 상기 제1 포스트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아래에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스트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상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st includes a first body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post includes a second body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bod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수직 파이프는 상기 제2 포스트 아래에 결합되는 제3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스트는 상기 제2 바디의 아래에 형성된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포스트는 제3 바디와 상기 제3 바디의 상에 형성된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결합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pipe further includes a third post coupled below the second post, the second post further includes a third coupling portion formed below the second body, and the third post is coupled to the third post. It includes a body and a fourth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third body, and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ortion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잔넬은 상기 복수의 물탱크 지지체를 서로 수평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Additionally, the channel can horizont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water tank support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플랜지 하부에서 상기 플랜지가 고정되는 콘크리트 기초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ncrete foundation to which the flange is fixed at the lower part of the flange.
또한, 상기 물탱크 조립체는, 상기 물탱크 조립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텀 플레이트와, 상기 물탱크 조립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물탱크 조립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assembly includes at least one bottom plate forming a bottom of the water tank assembly, at least one side plate forming a side of the water tank assembly, and at least on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ssembly. It may include one top plate.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은, 바닥에 고정되는 플랜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랜지 상에 진자운동을 통해서 지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펜쥴럼 면진 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에 위치하는 잔넬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잔넬 브라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잔넬 브라켓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잔넬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잔넬 상에 물탱크 조립체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other problems includes installing a flange fixed to the floor, and pendulum seismic isolation to prevent damage due to an earthquake through pendulum movement on the flange. Installing a pad, installing a channel bracket located o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installing a channel placed on the channel bracket and guided by the channel bracket, and installing a water tank assembly on the channel. It includes the step of seating.
본 발명의 물탱크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은, 물탱크 지지체의 높이 조절로 수평을 맞추어 틈새 없이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without gap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support body,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and stability.
또한, 펜쥴럼 면진 패드는 지진에 의한 진자운동으로 인한 강한 충격에도 구조체의 손상과 인명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s can reduce damage to structures and casualties even from strong shocks caused by pendulum movements caused by earthquakes.
또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과정에서 수시로 수평 정도를 확인하면서 설치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is construction simple, but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done quickly while checking the horizontality at any time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so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물탱크 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의 물탱크 지지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랜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펜쥴럼 면진 패드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펜쥴럼 면진 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잔넬 브라켓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물탱크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직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의 수직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물탱크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excluding the water tank assembly to explain the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water tank support of the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lange of Figure 3 in detail.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of Figure 3.
Figure 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of Figure 3.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nd plan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hannel bracket of Figure 3.
Figure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water tank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water tank support of Figure 9.
FIG. 11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pipe of FIG. 10.
Figure 12 is an exploded view to explain a vertical pipe of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water tank support of Figure 13.
Figure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general or dictionary meaning.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or word concept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with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mpletely repres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not be replaced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variations, and applicable example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should be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Additionally,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ss,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the scope of not being technically contradictory to each other.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water tank structur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물탱크 구조(10)는 콘크리트 기초(101), 제1 물탱크 지지체(100) 및 물탱크 조립체(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콘크리트 기초(101)는 지면에 평활하게 설치된 바닥면(50) 상에 설치된다. 콘크리트 기초(101)는 추후 제1 물탱크 지지체(100)가 상면에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10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콘크리트 기초(101)는 재료의 특성상 서로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울 수 있다. The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콘크리트 기초(10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복수의 콘크리트 기초(101) 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의 하면은 서로 다른 높이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면(TB)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각각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물탱크 조립체(500)는 제1 물탱크 지지체(1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물탱크 조립체(5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물탱크 조립체(5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고 사방이 막힌 조립체일 수 있다. 물탱크 조립체(500)는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The
물탱크 조립체(500)는 제1 물탱크 지지체(100)의 상면(TB)에 위치하므로, 상면(TB)의 수평이 유지되는 경우 물탱크 조립체(500)와 제1 물탱크 지지체(100) 사이에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Since the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물탱크 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excluding the water tank assembly to explain the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101)는 바닥면(50) 상에 설치되고, 바닥면(5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예를 들어, 도면의 세로 방향)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2, the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콘크리트 기초(101) 상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콘크리트 기초(101)에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1개의 콘크리트 기초(101)에 4개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개의 콘크리트 기초(101)에 3개 미만 또는 5개 이상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각각 잔넬(105)을 포함할 수 있다. 잔넬(105)은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잔넬(105)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정렬된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물탱크 조립체(500)를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water tank supports 100 may include a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의 물탱크 지지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water tank support of the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플랜지(102), 펜쥴럼 면진 패드(103), 잔넬 브라켓(104) 및 잔넬(105)로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제1 물탱크 지지체(100)의 플랜지(102)는 콘크리트 기초(10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플랜지(102)는 추후 펜쥴럼 면진 패드(103)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플랜지(102) 상에 플랜지(102)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하부에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를 포함한다.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를 통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의 상면(TB)의 수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pendulum
잔넬 브라켓(104)은 펜쥴럼 면진 패드(10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잔넬 브라켓(104)은 잔넬(105)이 안착될 수 있게 잔넬(105)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잔넬(105)은 잔넬 브라켓(10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잔넬(105)은 물탱크 조립체(500)를 직접 지지하고, 제1 물탱크 지지체(100) 사이의 연결을 담당할 수 있다.The
도 4는 도 3의 플랜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lange of Figure 3 in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플랜지(102)는 나사홈(102a) 및 볼트부(102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나사홈(102a)은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와 연결될 수 있다. 나사홈(102a) 및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는 나사선과 나사홈으로 구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볼트부(102b)는 콘크리트 기초(101)에 플랜지(10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랜지(102)가 콘크리트 기초(101)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와 달리 바닥면(50)에 콘크리트 기초(101) 없이 바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볼트부(102b)는 콘크리트 기초(101)가 아닌 바닥면(50)에 바로 고정될 수 있다.The
도 5는 도 3의 펜쥴럼 면진 패드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펜쥴럼 면진 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of FIG. 3, and FIG. 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of FIG.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 및 펜쥴럼 면진(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는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는 플랜지(102)의 나사홈(102a)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물탱크 지지체(1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는 펜쥴럼 면진(33)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심이 아래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펜쥴럼 면진(33)은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와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 사이에서 진동하되 외력이 없을 때는 중력에 의해서 중심부로 위치될 수 있다.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는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 및 펜쥴럼 면진(3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는 잔넬 브라켓(104)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는 펜쥴럼 면진(33)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심이 위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endulum isolation pad
펜쥴럼 면진(33)은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와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펜쥴럼 면진(33)은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와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 사이에서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endulum
펜쥴럼 면진(33)의 상부 및 하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펜쥴럼 면진(33)은 상부와 하부 반구형 사이에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펜쥴럼 면진(33)은 외력이 없는 경우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와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 사이에서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endulum
또한, 펜쥴럼 면진(33)의 상부 및 하부가 반구형임에 따라서 지진에 의한 외력이 어느 방향으로 오는 경우에도 그 방향에 따라서 진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다양한 방향의 지진에 대해서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endulum
2016년에 시행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의2에 따라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화재안전기준 해설서에 따라, 2019년 3월 14일 국토교통부에 의해 제정된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에 의하면 소화용수 탱크와 일반 물탱크(식용수)는 중요도(특)인 건물에 설치하는 경우, 내진용으로 설치해야 한다. 또한,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물탱크도 내진설계를 적용해야 한다.In accordance with Article 9-2 of the <Act on Fire Preventio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implemented in 2016, it was enac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n March 14, 2019, in accordance with the commentary on fire safety standards for seismic design of firefighting facilities. According to <Building Earthquake Resistance Design Standards>, fire extinguishing water tanks and general water tanks (drinking water) must be installed for earthquake resistance when installed in buildings of special importance. In addition, water tank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must also have earthquake-resistant design.
이에 따라,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지진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만일, 펜쥴럼 면진 패드(103)가 없는 경우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지진의 외력에 의해서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펜쥴럼 면진 패드(103)의 진자운동으로 인해 외력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제1 물탱크 지지체(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due to an earthquake is applied to the pendulum
구체적으로,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펜쥴럼 면진(33)의 위에는 반구 모양의 상부 FP(Friction Plate)(32)가 배치되어 있고, 펜쥴럼 면진(33)의 아래에는 반구 모양의 하부 FP(34)가 배치되어 미끌림을 유도한다. 상부 FP(32)와 하부 FP(34)는 고강도 특수 마찰판일 수 있다. 상부 FP(32)와 하부 FP(34)는 접촉부분에 경질 크롬도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되어 있어 원활한 미끌림을 유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ndulum
펜쥴럼 면진 패드(103)의 복원력은 상부 FP(32)와 하부 FP(34)의 마찰력에 따라 결정되고, 이러한 마찰력은 물탱크 조립체(500)의 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펜쥴럼 면진 패드(103)의 세부적인 수치는 물탱크 조립체(500)의 중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restoring force of the pendulum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 및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쥴럼 면진 패드 상부 플레이트(31) 및 펜쥴럼 면진 패드 하부 플레이트(35)는 원형일 수도 있고, 볼록 다각형일 수도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pes of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도 7은 도 3의 잔넬 브라켓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nd plan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hannel bracket of Figure 3.
도 7을 참조하면, 잔넬 브라켓(104)은 십자 잔넬 지지부(111) 및 날개 잔넬 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십자 잔넬 지지부(111)는 잔넬(105)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십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십자 잔넬 지지부(111)는 구체적으로, 4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십자 잔넬 지지부(111)는 4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들은 각각 서로 정렬된 제1 물탱크 지지체(100)들의 정렬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The
날개 잔넬 지지부(112)는 십자 잔넬 지지부(111)의 연장된 4방향의 양 옆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 잔넬 지지부(112)는 십자 잔넬 지지부(111)가 연장된 4방향의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총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날개 잔넬 지지부(112)는 추후에 잔넬(105)의 측면에서 잔넬(105)의 연장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wing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Figure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water tank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조립체(500)는 바텀 플레이트(501), 사이드 플레이트(502) 및 탑 플레이트(50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바텀 플레이트(501)는 물탱크 조립체(500)의 하부로 조립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501)는 특정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501)는 복수가 조립되어 물탱크 조립체(500)의 하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사이드 플레이트(502)는 물탱크 조립체(500)의 4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502)는 바텀 플레이트(501)와 같이 특정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502)의 규격은 바텀 플레이트(501)와 동일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드 플레이트(502)는 복수가 조립되어 물탱크 조립체(500)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503)는 물탱크 조립체(500)의 상부로 조립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503)는 특정 규격을 가질 수 있다. 탑 플레이트(503)의 규격은 바텀 플레이트(501) 및/또는 사이드 플레이트(502)와 동일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탑 플레이트(503)는 복수가 조립되어 물탱크 조립체(500)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콘크리트 기초(101)의 고르지 못한 상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물탱크 조립체(500)의 경우 수평이 유지된 상면(TB) 상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제1 물탱크 지지체(100)에 의해서 극복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first
즉,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자체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바 서로 다른 높이의 콘크리트 기초(101) 상에 설치됨에도 상면(TB)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물탱크 지지체(100)는 제1 높이 조절(hc1)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상면(TB)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물탱크 구조(10)는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나아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물탱크 구조(10)의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지진에 의한 외력을 완화시켜 제1 물탱크 구조(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새로 제정된 국토교통부의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에 따르면 물탱크도 내진설계를 하여야 하므로 펜쥴럼 면진 패드(103)에 의해서 이러한 법률 사항을 준수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endulum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water tank structur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Par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물탱크 구조(11)는 제2 물탱크 지지체(110)를 포함한다. 제2 물탱크 지지체(110)는 제1 수직 파이프(2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second
도 10은 도 9의 물탱크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water tank support of Figure 9.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수직 파이프(200)는 펜쥴럼 면진 패드(103)와 잔넬 브라켓(1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직 파이프(2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면(TB)의 수평을 더욱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first
제2 물탱크 구조(11)는 도 1의 콘크리트 기초(101)가 없이 플랜지(102)가 바로 바닥면(50)에 고정될 수 있다. 물탱크 조립체(500)는 법적으로 바닥면(50)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제2 물탱크 구조(11)는 콘크리트 기초(101) 대신에 제1 수직 파이프(200)로 물탱크 조립체(500)가 바닥면(50)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In the second
제1 수직 파이프(200)는 제1 수직 파이프(200) 가운데에 수직 파이프 결합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파이프(200)는 수직 파이프 결합부(200a)를 통해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물탱크 구조(11)는 펜쥴럼 면진 패드(103) 및 제1 수직 파이프(200)의 2가지 요소를 통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면(TB)의 수평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제1 수직 파이프(200)를 사용하는 것은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조시키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시공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릴 수 있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예의 제1 수직 파이프(200)는 설치만으로 완성이 될 수 있어, 더 빠르게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는 상면(TB)의 수평을 맞추기 어려워 제1 수직 파이프(200)를 통한 경우 상면(TB)의 수평 또한 더욱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And, compared to using a concrete foundation, using the first
도 11은 도 10의 수직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pipe of FIG. 10.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수직 파이프(200)는 제1 포스트(210) 및 제2 포스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스트(210) 및 제2 포스트(220)는 결합부(200a)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00a)는 제1 결합부(210b) 및 제2 결합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제1 포스트(210)는 제1 바디(210a) 및 제1 결합부(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바디(210a)는 제1 결합부(21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결합부(210b)는 제1 바디(210a)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0b)는 제2 결합부(220b)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210b)는 나사선이고, 제2 결합부(220b)는 나사홈 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제2 포스트(220)는 제2 바디(220a) 및 제2 결합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20a)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2 바디(220a)는 제2 결합부(22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b)는 제2 바디(220a)의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b)는 제1 결합부(210b)와 결합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물탱크 구조(11)는 콘크리트 기초 대신 제1 수직 파이프(200)를 이용하여 시공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플랜지(102)와 제1 수직 파이프(200)가 모두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면(TB)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이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면(TB)의 수평 작업이 훨씬 용이해질 수 있다.The second
이하,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2, water tank structur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Par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의 수직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Figure 12 is an exploded view to explain a vertical pipe of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물탱크 구조(11)의 제2 물탱크 지지체(110)는 제2 수직 파이프(200-1)를 포함할 수 있다.9 and 12, the second
제2 수직 파이프(200-1)는 제1 포스트(210), 제2 포스트(220) 및 제3 포스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pipe 200-1 may include a
제2 포스트(220)는 제3 결합부(2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220c)는 제4 결합부(230b)와 결합할 수 있다. 제3 포스트(230)는 제2 포스트(220)의 아래에서 제2 포스트(220)와 결합할 수 있다. 제3 포스트(230)는 제3 바디(230a) 및 제4 결합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3 바디(230a)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3 바디(230a)는 제4 결합부(23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부(230b)는 제3 바디(230a)의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부(230b)는 제3 결합부(220c)와 결합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직 파이프(200-1)는 2개가 아닌 3개의 포스트로 형성되어 제2 물탱크 지지체(110)가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수직 파이프(220-1)는 자체적인 결합부가 2개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더 용이하게 상면(TB)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pipe 200-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of three posts instead of two, so that the height that the second
또한, 펜쥴럼 면진 패드(103)로 세밀하게 제1 높이 조절(hc1)을 1차로 할 수 있고, 제2 수직 파이프(200)의 결합부(200a)의 제2 높이 조절(hc2)을 통해 2차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더욱 세밀하게 물탱크 지지체의 상면(TB)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펜쥴럼 면진 패드(103)가 바닥면(50) 상에 직접 설치되어 콘크리트 기초(101)보다 진도에 강하고, 보수가 더 용이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ight adjustment (hc1) can be made in detail using the pendulum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water tank structur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Par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water tank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3 물탱크 구조(12)는 제3 물탱크 지지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물탱크 지지체(120)는 플랜지(102) 상에 제1 수직 파이프(200)를 설치하고, 제1 수직 파이프(200) 상에 펜쥴럼 면진 패드(103)를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 the third water tank structure 12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또한, 플랜지(102)와 결합하여 설치되는 제1 수직 파이프(200)를 통하여 설치 시, 제1 수직 파이프(200)의 결합부(200a)를 통해 상대적으로 크게 1차적으로 제2 높이 조절(hc2)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1 수직 파이프(200) 상에 설치된 펜쥴럼 면진 패드(103)의 나사부(103a)로 제1 높이 조절(hc1)을 2차적으로 세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크게 수행되는 제2 높이 조절(hc2)이 상대적으로 작게 수행되는 제1 높이 조절(hc1)보다 먼저 수행되므로, 상면(TB)의 수평을 맞추기가 훨씬 더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nstalled through the first
본 실시예는 물탱크 조립체(500) 바로 아래에서 펜쥴럼 면진 패드(103)가 위치하고 있어 만약 윗부분에 지진에 의한 힘이 가해지게 될 경우 제3 물탱크 지지체(120)의 파손을 더 잘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endulum
이하, 도 1, 도 3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3, and 15. Par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은 먼저, 플랜지를 설치한다(S100).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기초(101)는 지면에 평활하게 설치된 바닥면(50) 상에 설치된다. 콘크리트 기초(101)는 추후 제1 물탱크 지지체(100)가 상면에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10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02)는 콘크리트 기초(10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02)는 추후 펜쥴럼 면진 패드(103)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5, in the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is first installed (S100).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펜쥴럼 면진 패드를 설치한다(S200).Again, referring to FIG. 15,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is installed (S200).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플랜지(102) 상에 플랜지(102)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하부에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를 포함한다.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펜쥴럼 면진 패드 나사부(103a)를 통해서 제1 높이 조절(hc1)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의 상면(TB)의 수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the pendulum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잔넬 브라켓을 설치한다(S300).Again, referring to FIG. 15, the channel bracket is installed (S300).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잔넬 브라켓(104)은 펜쥴럼 면진 패드(10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잔넬 브라켓(104)은 잔넬(105)이 안착될 수 있게 잔넬(105)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잔넬을 설치한다(S400).Again, referring to FIG. 15, the channel is installed (S400).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잔넬(105)은 잔넬 브라켓(10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잔넬(105)은 물탱크 조립체(500)를 직접 지지하고, 제1 물탱크 지지체(100) 사이의 연결을 담당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물탱크 조립체를 안착한다(S500).Again, referring to FIG. 15, the water tank assembly is seated (S500).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물탱크 조립체(500)는 제1 물탱크 지지체(1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물탱크 조립체(5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물탱크 조립체(5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고 사방이 막힌 조립체일 수 있다. 물탱크 조립체(500)는 복수의 제1 물탱크 지지체(1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 the
본 실시예는 플랜지(102)와 펜쥴럼 면진 패드(103)가 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면(TB)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나아가, 펜쥴럼 면진 패드(103)는 지진에 의한 외력을 완화시켜 제1 물탱크 구조(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최근에 제정된 내진설계기준도 충족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이하,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6,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Par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은 먼저, 플랜지를 설치한다(S100).Referring to Figure 16, in the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is first installed (S100).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플랜지(102)는 콘크리트 기초 없이 바닥면(50)에 바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가 건조되는 시간이 필요 없어 본 실시예는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Referring specifically to FIG. 9, the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은 도 15의 펜쥴럼 면진 패드 설치(S200) 단계를 동일하게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6, the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ame step of installing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S200) as shown in FIG. 15.
이어서, 수직 파이프를 설치한다(S250).Next, install the vertical pipe (S250).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1 수직 파이프(200)는 펜쥴럼 면진 패드(103)와 잔넬 브라켓(1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직 파이프(200)는 제2 높이 조절(hc2)이 가능하여 상면(TB)의 수평을 더욱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수직 파이프를 설치한 후에 도 15의 잔넬 브라켓 설치(S300), 잔넬 설치(S400) 및 물탱크 조립체를 안착(S500)하는 단계를 동일하게 수행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6, after installing the vertical pipe, the steps of installing the channel bracket (S300), installing the channel (S400), and seating the water tank assembly (S500) of FIG. 15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본 실시예는 펜쥴럼 면진 패드(103) 및 제1 수직 파이프(200)의 2가지 요소를 통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면(TB)의 수평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조시키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시공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릴 수 있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예의 제1 수직 파이프(200)는 설치만으로 완성이 될 수 있어, 더 빠르게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나아가, 콘크리트 기초는 상면(TB)의 수평을 맞추기 어려워 제1 수직 파이프(200)를 통한 경우 상면(TB)의 수평 또한 더욱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rough two elements, the pendulum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7,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Par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은 도 16의 플랜지 설치(S100) 단계를 동일하게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7, the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same flange installation (S100) step of FIG. 16.
이어서, 수직 파이프를 설치한다(S150).Next, install the vertical pipe (S150).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제3 물탱크 지지체(120)는 플랜지(102) 상에 제1 수직 파이프(200)를 설치하고, 제1 수직 파이프(200) 상에 펜쥴럼 면진 패드(103)를 설치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3, the third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의 펜쥴럼 면진 패드 설치(S200), 잔넬 브라켓 설치(S300), 잔넬 설치(S400) 및 물탱크 조립체 안착(S500)하는 단계를 동일하게 수행한다.Again, referring to FIG. 17, the steps of installing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S200), installing the channel bracket (S300), installing the channel (S400), and installing the water tank assembly (S500) of FIG. 16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본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크게 수행되는 제2 높이 조절(hc2)이 상대적으로 작게 수행되는 제1 높이 조절(hc1)보다 먼저 수행되므로, 상면(TB)의 수평을 맞추기가 훨씬 더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물탱크 조립체(500) 바로 아래에서 펜쥴럼 면진 패드(103)가 위치하고 있어 만약 윗부분에 지진에 의한 힘이 가해지게 될 경우 제3 물탱크 지지체(120)의 파손을 더 잘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latively large second height adjustment hc2 is performed before the relatively small first height adjustment hc1, so it can be much easier to level the upper surface TB.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endulum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Claims (10)
상기 플랜지 상에 설치되고, 수평 외력에 대해서 진자운동을 통해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플랜지와 제1 간격만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펜쥴럼 면진 패드;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에 위치하는 잔넬 브라켓;
상기 잔넬 브라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잔넬 브라켓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잔넬;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고, 제2 간격만큼 높이 조절을 수행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 파이프; 및
상기 잔넬에 의해서 지지되는 물탱크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파이프는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와 상기 잔넬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물탱크 구조.
Flange fixed to the floor;
A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installed on the flange, preventing damage through a pendulum motion against a horizontal external force, and including a screw portion coupled to the flange to be height-adjustable by a first distance;
A channel bracket located o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a channel disposed on the channel bracket and guided by the channel bracket;
A vertical pipe connecting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coupling part that adjusts the height by a second interval; and
Including a water tank assembly supported by the channel,
The vertical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and the channel bracket,
the second interval is greater than the first interval
Water tank structure.
상기 플랜지 상에 설치되고, 수평 외력에 대해서 진자운동을 통해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플랜지와 제1 간격만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펜쥴럼 면진 패드;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에 위치하는 잔넬 브라켓;
상기 잔넬 브라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잔넬 브라켓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잔넬;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고, 제2 간격만큼 높이 조절을 수행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 파이프; 및
상기 잔넬에 의해서 지지되는 물탱크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파이프는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물탱크 구조.
Flange fixed to the floor;
A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installed on the flange, preventing damage through a pendulum motion against a horizontal external force, and including a screw portion coupled to the flange to be height-adjustable by a first distance;
A channel bracket located o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a channel disposed on the channel bracket and guided by the channel bracket;
A vertical pipe connecting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coupling part that adjusts the height by a second interval; and
Including a water tank assembly supported by the channel,
The vertical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and the flange, and the second gap is greater than the first gap.
Water tank structure.
복수의 물탱크 지지체는 각각 상기 플랜지,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기 잔넬 브라켓 및 상기 잔넬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파이프는,
제1 포스트와 상기 제1 포스트 아래에 결합되는 제2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스트 및 상기 제2 포스트는 서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탱크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water tank supports each include the flange,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the channel bracket, and the channel,
The vertical pipe is,
Comprising a first post and a second post coupled below the first post,
A water tank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상기 제1 포스트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아래에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스트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위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서로 결합되는 물탱크 구조.
According to clause 3,
The first post includes a first body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body,
The second post includes a second body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body,
A water tank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수직 파이프는 상기 제2 포스트 아래에 결합되는 제3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스트는 상기 제2 바디의 아래에 형성된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포스트는 제3 바디와 상기 제3 바디의 위에 형성된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결합부는 서로 결합되는 물탱크 구조.
According to clause 4,
The vertical pipe further includes a third post coupled below the second post,
The second post further includes a third coupling portion formed below the second body,
The third post includes a third body and a fourth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third body,
A water tank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잔넬은 상기 복수의 물탱크 지지체를 서로 수평으로 연결해주는 물탱크 구조.
According to clause 3,
The channel is a water tank structure that horizont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water tank supports to each other.
상기 플랜지 하부에서 상기 플랜지가 고정되는 콘크리트 기초를 더 포함하는 물탱크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tank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concrete foundation to which the flange is fix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nge.
상기 물탱크 조립체는,
상기 물탱크 조립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텀 플레이트와,
상기 물탱크 조립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물탱크 조립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물탱크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tank assembly,
At least one bottom plate forming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ssembly,
At least one side plate forming a side of the water tank assembly,
A water tank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top plat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ssembly.
상기 플랜지 상에 진자운동을 통해서 지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펜쥴럼 면진 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 상에 위치하는 수직 파이프를 제2 간격만큼 높이 조절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를 상기 제2 간격보다 작은 제1 간격만큼 높이 조절하는 단계;
상기 수직 파이프 상에 위치하는 잔넬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잔넬 브라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잔넬 브라켓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잔넬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잔넬 상에 물탱크 조립체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펜쥴럼 면진 패드는 상기 플랜지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물탱크 구조 형성 방법.Installing a flange fixed to the floor;
Installing a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on the flange to prevent damage due to earthquakes through pendulum movement;
Installing a vertical pipe located on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by adjusting the height to a second interval;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by a first gap smaller than the second gap;
Installing a channel bracket located on the vertical pipe;
Installing a channel placed on the channel bracket and guided by the channel bracket; and
Including the step of seating the water tank assembly on the channel,
The pendulum seismic isolation pad includes a screw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flange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How to form a water tank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5820A KR102595017B1 (en) | 2021-05-21 | 2021-05-21 |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5820A KR102595017B1 (en) | 2021-05-21 | 2021-05-21 |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7820A KR20220157820A (en) | 2022-11-29 |
KR102595017B1 true KR102595017B1 (en) | 2023-10-30 |
Family
ID=8423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5820A Active KR102595017B1 (en) | 2021-05-21 | 2021-05-21 |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501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560B1 (en) * | 2007-11-22 | 2008-02-29 | 영성산업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self-leveling water tank using foundation pad for water tank |
KR101640229B1 (en) * | 2016-03-25 | 2016-07-15 | (주)아쿠아 | The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n internal non-reinforcement and water breaker device |
KR101691326B1 (en) * | 2016-03-29 | 2016-12-29 | 주식회사 문창 | Seismic Water Tank |
KR102032122B1 (en) * | 2019-07-23 | 2019-10-15 | 주식회사 삼양테크 | Base system of water tank based on height-adjustable |
-
2021
- 2021-05-21 KR KR1020210065820A patent/KR1025950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560B1 (en) * | 2007-11-22 | 2008-02-29 | 영성산업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self-leveling water tank using foundation pad for water tank |
KR101640229B1 (en) * | 2016-03-25 | 2016-07-15 | (주)아쿠아 | The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n internal non-reinforcement and water breaker device |
KR101691326B1 (en) * | 2016-03-29 | 2016-12-29 | 주식회사 문창 | Seismic Water Tank |
KR102032122B1 (en) * | 2019-07-23 | 2019-10-15 | 주식회사 삼양테크 | Base system of water tank based on height-adjust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7820A (en) | 2022-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2082B1 (en) | Water tank support structure for height adjust and seismic performance reinforce | |
US8156696B2 (en) | Seismically stable flooring | |
US20120174500A1 (en) | Frictional Non Rocking Damped Base Isolation System To Mitigate Earthquake Effects On Structures | |
KR102007938B1 (en) | earth-quake-resistant construction between the slabs and Wall in Buildings | |
KR101386253B1 (en) | Seismic reinforcing device | |
CN105604206A (en) | Slippage seismic isolation pendulum | |
JP2010160154A (en) | Storage rack structure for storing nuclear fuel element | |
KR102595017B1 (en) | Water Tank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 |
KR19980032541A (en) | Seismic support device | |
CN111836932A (en) | Anti-seismic device | |
KR101866864B1 (en) | Seismic clamping of the fire pipe | |
KR102191280B1 (en) | Vibration isolation device using ball and spring | |
KR102032122B1 (en) | Base system of water tank based on height-adjustable | |
JP2016138426A (en) | Door device of highly earthquake-resistant partition device | |
KR20160087789A (en) | the distribution board having earthquake-proof device and for horizontal control | |
KR102210420B1 (en) | Wooden house with seismic structure | |
KR101677671B1 (en) | Clumped access floor having earthquake-resistant coreframe | |
KR20190098589A (en) | Seismic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2129397B1 (en) | A column earthquake-proof structure of HANOK(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 |
JP7148904B1 (en) | A seismic isolation device that combines sliding lubricating friction bearings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a pull spring | |
KR20210029350A (en) | Seismic Isolation System with Horizontal Adjustment | |
JP2001208130A (en) | Base isolation support device with friction material storing tank | |
KR102216686B1 (en) | Roof plate seismic structure of polyethylene complex panel water tank | |
KR102350187B1 (en) | panel support assembly with earthquake-resistant base module | |
RU2012131377A (en) | SEISMIC RESISTANT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