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4738B1 -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 Google Patents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738B1
KR102594738B1 KR1020200106661A KR20200106661A KR102594738B1 KR 102594738 B1 KR102594738 B1 KR 102594738B1 KR 1020200106661 A KR1020200106661 A KR 1020200106661A KR 20200106661 A KR20200106661 A KR 20200106661A KR 102594738 B1 KR102594738 B1 KR 10259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module
image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6067A (en
Inventor
배영민
Original Assignee
배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민 filed Critical 배영민
Priority to KR102020010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0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3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검색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서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학습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 input module receiving at least one learning card image containing a character string or design image from a user terminal; A step where 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a target image pre-stored in a content DB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A search module searching for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in the content DB; And the learning module may include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guides the user to write or draw the learning content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and early childhood learning content server using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콘텐츠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카드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고,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콘텐츠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 content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identifies a preset target image from an image of a learning card and matches the target image. It relates to an 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provides and a content server that implements it.

일반적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In general, Augmented Reality is a field of Virtual Reality and is a computer graphics technique that synthesizes virtual objects in the real environment to make them look like objects that exist in the original environment.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가상현실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환경에 몰입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가진다.Unlike existing virtual reality, which targets only virtual spaces and objects, augmented reality has the characteristic of combining virtual objects on the basis of the real world and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through the real world alone. In other words, virtual reality technology generally immerses the user in a virtual environment, so the user cannot see the real environment, wherea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llows the user to see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real environment and virtual objects are mixed. It has a shape.

최근에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아학습용 낱말 카드를 전용 단말기로 촬영하면 낱말 카드에 적힌 글씨를 화면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 하는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learn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are being developed. For example, content is being developed that displays the words written on the word card on the screen in augmented reality when a word card for early childhood learning is photographed with a dedicated terminal.

그러나 종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관련 기술은 낱말 카드의 낱말 자체에 인식 가능한 코드 등이 미리 인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낱말 카드가 제품으로 생산된 이후에는 해당 낱말 카드에 동일한 콘텐츠만 제공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early childhood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requires a recognizable code to be pre-printed on the words of the word card itself,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only the same content must be provided to the word card after the word card is produced as a product. there 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354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3545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학습카드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고,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preset target image from an image of a learning card, searches for and provides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검색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서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학습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 input module receiving at least one learning card image including a character string or design image from a user terminal; A step where 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a target image pre-stored in a content DB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A search module searching for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in the content DB; And the learning module may include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guides the user to write or draw the learning content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할 목표 이미지 및 상기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편집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상기 목표 이미지 및 상기 학습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storing a target image to be identified and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in a content DB; A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user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edi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editing the target image and the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인식하면, 상기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3차원 객체의 단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If,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the analysis module recognizes a string containing any one of consonants, vowels, or single letters from the learning card image, the search module in the step of searching the learning content searches fo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tring. Learning content containing words of 3D objects can be searched in the content DB.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상기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if the analysis module recognizes a design image including any one of animals, plants, or objects from the learning card image, the search module in the step of searching the learning content selects the design image Learning content in which the shape corresponding to is included as a 3D object or learning content in which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mage is included as a 3D object can be searched in the content DB.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의 상기 학습모듈은, 상기 도안 이미지를 따라 그리거나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if the analysis module recognizes a design image including any one of animals, plants, or objects from the learning card image, the learning module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recognizes the design image. A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that encourages users to draw along an image or write a word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mage.

상기 학습카드에는,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식별되기 위한 인증코드가 상기 문자열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고, 검색하는 단계의 검색모듈은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의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목표 이미지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 상기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In the learning card, an authentication code for identification from the analysis module is formed in an area excluding the character string or the design image, and the search module in the search step determines that the analysis module in the image identification step identifies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When both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target image are identified,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can be searched in the content DB.

상기 학습카드의 상기 문자열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다른 문자열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haracter string or the design image of the learning card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character string or another design image stored in the content DB.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의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복수의 학습카드 이미지에서 복수의 상기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모듈은,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에서 검색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simultaneously identifies a plurality of the target images in the plurality of learning card images, and the search module in the search step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identified target images. Other learning content can be searched in the content DB.

상기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글자면, 조합된 낱글자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상기 동시에 식별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복수의 낱글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말이면, 조합된 낱말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arching for the learning content, the search module selects the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combined single letter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if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simultaneously identified in the analysis module are a specific letter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If the content DB is searched and the plurality of simultaneously identified target images are a specific word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etters,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combined word as a 3D object can be searched in the content DB.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입력모듈,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분석모듈,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모듈로 이루어진 콘텐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at least one learning card image containing a string or design image from a user terminal, an analysis module that identifies a preset target imag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and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It may include a content server consisting of a search module that searches the content DB and a learning modul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induces the user terminal to write or draw the learning content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학습카드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고,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dentifying a preset target image from an image of a learning card and providing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참여율을 높이고, 이에 따라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earning content through various methods, it provides the effect of arousing interest, increasing learning participation rate, and thereby increasing learning efficienc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의 학습카드를 예시하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서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을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콘텐츠 서버를 예시한 블록도.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card for an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arget images in the 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arly childhood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ent server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ure 5;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MODULE as used herein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 specific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mea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s thereof will be provided. Any necessary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제1 실시예]][First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입력모듈, 분석모듈, 검색모듈, 학습모듈, 통신모듈, 편집모듈은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웹 서버에 포함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put module, analysis module, search module, learning module, communication module, and editing module described below may be included in a web server accessible to the user terminal or may be included in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학습카드는 유아가 글자 또는 그림을 학습시키기 위한 복수의 단위 형태의 카드이며, 학습카드에는 자음, 모음, 낱글자, 동물, 식물, 사물 중 어느 하나의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프린팅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rning cards described below are cards in the form of multiple units for children to learn letters or pictures, and the learning cards have a string or design image of any one of consonants, vowels, letters, animals, plants, and objects printed on them. It can be or be attached.

목표 이미지는 학습카드에 프린팅되거나 부착된 자음, 모음, 낱글자, 동물, 식물, 사물 중 어느 하나의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와 동일한 형상과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로서, 콘텐츠 DB에 저장되며, 학습카드에 형성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와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The target image is an image that has the same shape and form as a string or design image of any of the consonants, vowels, letters, animals, plants, and objects printed or attached to the learning card. It is stored in the content DB and is a string formed on the learning card. Alternatively, it serves as a medium to search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that matches the design image.

이하에서 설명하는 학습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콘텐츠 데이터이다. 학습 콘텐츠에는 학습카드에 포함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가 3차원 객체의 증강현실 형태로 포함된다. 학습 콘텐츠에는 3차원 객체 외에도 소리 또는 영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Learning content described below is content data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Learning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ring or design image included in the learning card in the form of an augmented reality 3D object. Learning content may include sound or image information in addition to 3D object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 학습 콘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학습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storing in a content DB (S100), a step of receiving a learning card image (S200), a step of identifying a target image (S300), and learning content. It includes searching (S400), providing a user interface (S500), and transmitting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user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S600). It further includes editing the learning content (S110).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는 학습카드에서 식별하기 위한 목표 이미지가 콘텐츠 DB에 저장된다.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는 학습카드의 일면에 프린팅되거나 또는 부착된 문자열 및 도안 이미지와 동일한 형상 및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이다. 또한, 콘텐츠 DB에는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목표 이미지가 낱글자“가” 라면, 학습 콘텐츠는 낱글자“가”를 증강현실 형태의 3차원 객체로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를 포함한다.In the step of storing in the content DB (S100), the target image for identification in the learning card is stored in the content DB. In the step of storing in the content DB (S100), the target image stored in the content DB is an image that has the same shape and form as the string and design image printed o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earning card. Additionally,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is stored in the content DB. For example, if the target image is the single letter “ga”, the learning content includes data to implement the single letter “ga”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는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가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상시적으로 업데이트, 편집 또는 삭제가 가능한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자는 학습카드를 제작한 제작자, 학습카드를 판매하는 판매자 또는 학습카드를 구매한 구매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e step of storing in the content DB (S100), the target image and learning content may be stored in advance by the content provider, and can be constantly updated, edited, or deleted by the content provider. Here, the content provider may be one of the creators of the learning cards, the seller selling the learning cards, or the purchaser of the learning cards.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는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In the step of receiving a learning card image (S200), the input module receives at least one learning card image including a character string or design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즉,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의 입력모듈은 사용자 단말기가 학습카드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면, 그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다. 여기서 디지털카메라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촬영 장치일 수 있다.That is, the input module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learning card image (S200) receives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photographs the learning card using a digital camera. Here, the digital camera may be a photographing device built into the user terminal o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디지털 카메라가 설치되고,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된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ny one of terminals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and equipped with a display screen capable of outputting learning content.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는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제공받으면,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분석모듈로 전송한다.In the step of receiving the learning card image (S200), when the input module receives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from the user terminal,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s transmitted to the analysis module.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는 분석모듈이 입력모듈로부터 제공받은 학습카드 이미지를 분석하고,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S300), the analysis module analyzes the learning card image provided from the input module and identifies the target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ent DB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분석모듈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면 이를 식별하고,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없다는 알림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can identify if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s the same as the target image pre-stored in the content DB, and can identify the target image if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does not have the same image as the target image pre-stored in the content DB. You can create a notification event that does not exist.

분석모듈은 마커리스(Markerless) 형태로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즉, 분석모듈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목표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마커 또는 코드가 입력되지 않아도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the target imag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n a markerless format. In other words, the analysis module can identify the target image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marker or code to recognize the target image in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면,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가 수행된다.If 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the target image from the learning card image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S300), the step of searching learning content (S400) is performed.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는 검색모듈이 콘텐츠 DB에서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다. 검색모듈은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의 검색이 완료되면 그 학습 콘텐츠를 통신모듈에 제공한다.In the step of searching for learning content (S400), the search module searches for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in the content DB. When the search module completes the search for learning content matching the target image, it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는 통신모듈이 검색 완료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통신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이동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In the transmitting step to the user terminal (S600),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searched learn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either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가 완료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가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가 수행된다.After the step of searching learning content (S400) is completed and before the step of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S600), the step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S500) is performe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는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이다.The step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S500) is a step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encourages the user to write or draw learning conten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by touching the screen.

예컨대, 학습 콘텐츠가 자음 “ㄱ”이라면 학습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ㄱ”을 따라 쓸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학습모듈은 사용자가 “ㄱ”을 따라 쓰는 중에 터치된 구역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를 하여 따라 쓰기를 유도하고, 사용자가 “ㄱ”을 전부 따라 쓰면 학습 완료를 알리는 이벤트를 제공한다.For example, if the learning content is the consonant “ㄱ,” the learning module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users to write “ㄱ”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learning module encourages writing by marking the area touched while the user is writing “ㄱ” with a specific color, and provides an event notifying the completion of learning when the user traces “ㄱ” in its entirety.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의 전송모듈은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에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함께 제공한다.When transmitting the learn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600), the transmission module provides the user interface provided in the step (S500)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편집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diting step (S110).

편집하는 단계(S110)는 편집모듈이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등록, 삭제 또는 편집하는 단계(S110)이다. 편집하는 단계(S110)는 위에서 설명한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수행된다.The editing step (S110) is a step (S110) in which the editing module registers, deletes, or edits the target image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The editing step (S110) is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er described above.

편집하는 단계(S110)는 편집모듈이 본인인증 절차를 완료한 콘텐츠 제공자에게 편집툴을 제공하고, 콘텐츠 제공자는 편집툴을 이용하여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In the editing step (S110), the editing module provides an editing tool to the content provider who has completed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and the content provider can edit the target image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using the editing too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providing various learning contents to a user terminal in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using various examples.

첫 번째 예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문자열(목표 이미지)을 식별하면,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의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식별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컨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는 검색모듈에서 검색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As a first example, if 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a string (target image) containing any one of consonants, vowels, or single letters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S300), the step of searching for learning content (S400) )'s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words reminiscent of the string identified in the analysis module. And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S600), the learning content retrieved from the search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예를 들면,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낱글자 “나”를 목표 이미지로 인식하면 검색모듈은 낱글자 “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 “나비”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For example, if the analysis module recognizes the single letter “I” as the target imag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word “butterfly” associated with the single letter “I”.

만약, 콘텐츠 DB에 낱글자 “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나비”, “나주”, “나무”)가 복수개 존재할 경우, 검색모듈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한다. 검색모듈은 무작위 선정 방식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하거나 또는 오름차순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If there are multiple learning contents (e.g., “butterfly”, “naju”, “tree”) containing words reminiscent of the single letter “I” in the content DB,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plurality of contents in a predetermined order. Search for any one of the learning contents. The search module can search for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in a random selection method or search for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in ascending order.

뿐만 아니라, 검색모듈은 복수의 학습 콘텐츠 모두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모듈이 복수의 학습 콘텐츠를 모두 검색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에는 검색된 복수의 학습 콘텐츠 모두가 일정 시간 동안 반복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rch module can search all of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When the search module searches all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all of the found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may be displayed repeated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 the user terminal.

두 번째 예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의 검색모듈은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As a second example, if the analysis module recognizes a design image containing any one of animals, plants, or objects from the learning card image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S300), the search in the step of searching for learning content (S400) The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design image as a 3D object 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a word corresponding to a design image as a 3D object.

예를 들면,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식별한 도안 이미지가 비행기에 대한 도안 이미지이면, 검색모듈은 비행기의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거나 또는 단어 “비행기”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For example, if the design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modul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s a design image of an airplane,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shape of an airplane as a 3D object or the word “airplane” Search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included as a 3D object.

본 실시예에서 검색모듈은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rch module may search learning content differently depending on a method preset by the content provider.

세 번째 예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의 학습모듈은 도안 이미지를 따라 그리거나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As a third example, if the analysis module recognizes a design image containing any one of animals, plants, or objects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image (S300), the step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S500) The learning module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encourages users to draw along a design image or write a word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mage.

예를 들면, 분석모듈이 비행기에 대응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고, 검색모듈이 비행기 형상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에, 학습모듈은 사용자가 비행기의 형상을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한, 사용자가 단어 “비행기”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For example, when the analysis module recognizes a design image corresponding to an airplane and the search module searches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shape of an airplane, the learning module creates a user interface that guides the user to draw along the shape of the airplane. It also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guides the user to trace the word “airplane.”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설명된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인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learning efficiency by providing various learning contents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콘텐츠 DB에 저장된 다른 문자열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는 원하는 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에 저장하고, 그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학습카드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a string or design image with another string or another design image stored in the content DB. The content provider stores the desired target image in the content DB and attach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to the learning card, enabling customized learning.

예를 들어,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학습카드에 부착 형식으로 제작된 경우에 콘텐츠 제공자는 학습카드에 먼저 부착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탈착하고, 원하는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학습카드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제작된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에 저장하여 사용자 맞춤형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string or design image is created to be attached to a learning card, the content provider first detaches the string or design image attached to the learning card and attaches the desired string (target image) or another design image (target image). can be produc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learning card. Additionally, user-tailored learning can be performed by storing the newly created character string (target image) or other design image (target image) in the content DB.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학습카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학습 활용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learning utilization by producing a variety of learning card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의 학습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card for an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학습카드(10)에는 분석모듈로부터 식별되는 위한 인증코드(12)가 형성된다. 인증코드(12)는 학습카드(10)에 프린팅 또는 부착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an authentication code 12 for identification from the analysis module is formed on the learning card 10. The authentication code 12 is formed in the area excluding the character string or design image printed or attached to the learning card 10.

분석모듈은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 및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한다.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와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에만 목표 이미지(11)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both the authentication code (12) and the target image (11)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10).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11 only when 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both the authentication code 12 and the target image 11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10.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학습카드 외에 다른 문서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dentification of target images from documents other than learning card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서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Figures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arget images in the 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분석모듈은 복수의 학습카드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모듈은 식별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에서 검색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analysis module can simultaneously identify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learning card images. Then,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other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identified target images.

예컨대, 분석모듈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글자면, 검색모듈은 조합된 낱글자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For example, if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simultaneously identified in the analysis module are specific letter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combined letters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자음 “ㅂ”이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모음 “ㅏ”가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자음“ㄱ”이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낱글자 “박”을 조합한다. 그리고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글자가 박”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1)에는 낱글자 “박”이 3차원 객체(20)로 형성된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A), the first learning card (10-1) contains the consonant “ㅂ”, and the second learning card (10-2) contains the vowel “ㅏ”. I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contains the consonant “ㄱ”, the input module transmits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or the image o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ll are provided, the analysis module simultaneously identifies the target image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or the image o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and selects the single letter “Bak” from a plurality of consonants and vowels. Combine. And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word “park” combined in the analysis module. As shown in Figure 3 (B), learning content in which the word “Bak” is formed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 of the user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복수의 낱글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말이면, 조합된 낱말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Referring to FIG. 4, if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simultaneously identified in the analysis module are a specific word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etters,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combined word as a 3D object. .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낱글자 “자”가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낱글자 “동”이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낱글자“차”가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낱글자로부터 낱말“자동차”를 조합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4, the first learning card (10-1) contains the single letter “ja”, and the second learning card (10-2) contains the single letter “dong”. I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contains the single letter “tea”, the input module receives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or the image o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ll are provided, the analysis module simultaneously identifies the target image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or the image o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and combines the word “car” from a plurality of letters. do.

그리고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말“자동차”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And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word “car” combined in the analysis module.

여기서, 검색모듈이 검색하는 학습 콘텐츠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말“자동차”의 형상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1)에는 낱말 “자동차”의 형상이 3차원 객체(20)로 형성된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Here, the learning content searched by the search module may be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shape of the word “car” combined in the analysis module, as shown in (B) of FIG. 4. In this case, learning content in which the shape of the word “car” is formed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 of the user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의 흥미를 높이고 또한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by providing different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arget images of the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est in learning can be increased and lear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 설명하는 학습카드, 사용자 단말기(200), 목표 이미지, 학습 콘텐츠, 콘텐츠 제공자(2)는 제1 실시에에서 설명한 학습카드, 사용자 단말기, 목표 이미지, 학습 콘텐츠, 콘텐츠 제공자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The learning card, user terminal 200, target image, learn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er 2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s the learning card, user terminal, target image, learn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er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ere is no duplicate The explanation is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을 예시한 블록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arly childhood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학습카드를 촬영한 뒤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콘텐츠 서버(100)로 전송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콘텐츠 제공자(2)가 등록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100)는 목표 이미지에 매칭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 뒤, 검색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Referring to Figure 5, in the early childhood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200 photographs a learning card and transmits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to the content server 100, the content server 100 sends the learning card The image is analyzed to identify the target image registered by the content provider (2)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Then, the content server 100 searches the content DB 110 for learning content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and then provides the searched learn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기(200)는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학습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된 학습 콘텐츠를 터치 동작을 통해 따라 쓰거나 따라 그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learning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er 100 on the screen.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ability to trace or draw the displayed learning content through a touch operation.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콘텐츠 서버(100)를 예시한 블록이다.FIG. 6 is a block illustrating the content serv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의 콘텐츠 서버(100)는 콘텐츠 DB(110), 입력모듈(120), 분석모듈(130), 검색모듈(140), 학습모듈(150), 통신모듈(160) 및 편집모듈(1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content server 100 of the early childhood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DB 110, an input module 120, an analysis module 130, a search module 140, and a learning module ( 150), a communication module 160, and an editing module 170.

콘텐츠 DB(110)에는 학습카드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목표 이미지 및 복수의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복수의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다.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는 후술하는 편집모듈(170)에 의해 편집될 수 있다.The content DB 110 stores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for identification from a learning card and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matching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The target image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110 can be edited by the editing module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입력모듈(12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예컨대, 입력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이 학습카드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면, 그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는다.The input module 120 receives at least one learning card image including a character string or design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photographs a learning card using a digital camera, the input module 120 receives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from the user terminal 200.

분석모듈(130)은 입력모듈(120)에 입력된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콘텐츠 DB(110)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분석모듈(130)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110)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면 이를 목표 이미지로 식별하고,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110)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없다는 알림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130 analyzes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nput to the input module 120 and identifies the target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ent DB 110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f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contains an image identical to the target image pre-stored in the content DB 110, the analysis module 130 identifies it as the target image, and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ncludes the target image pre-stored in the content DB 110. If the same image does not exist, a notification event can be generated indicating that the target image cannot be identified.

분석모듈(130)은 마커리스(Markerless) 형태로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즉, 분석모듈(130)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목표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마커 또는 코드가 입력되지 않아도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130 identifies the target imag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n a markerless format. In other words, the analysis module 130 can identify the target image even if a separate marker or code for recognizing the target image is not input into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검색모듈(140)은 콘텐츠 DB(110)에서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다. 검색모듈(140)은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의 검색이 완료되면 그 학습 콘텐츠를 통신모듈(16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The search module 140 searches the content DB 110 for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at matches the target image. When the search module 140 completes the search for learning content matching the target image, it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학습모듈(15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learning module 150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guides the user to write or draw the learning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by touching the screen.

예컨대, 학습 콘텐츠가 자음 “ㄱ”이라면 학습모듈(15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터치하여 “ㄱ”을 따라 쓸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학습모듈은 사용자가 “ㄱ”을 따라 쓰는 중에 터치된 구역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여 따라 쓰기를 유도하고, 사용자가 “ㄱ”을 전부 따라 쓰면 학습 완료를 알리는 이벤트를 제공한다.For example, if the learning content is the consonant “ㄱ,” the learning module 150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writing along “ㄱ”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learning module encourages writing by displaying the area touched while the user is writing “ㄱ” in a specific color, and provides an event notifying the completion of learning when the user traces “ㄱ” in its entirety.

통신모듈(16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통신모듈(160)은 검색모듈(140)에서 검색된 학습 콘텐츠 및 학습모듈(15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6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transmits the learning content retrieved from the search module 140 and the user interface generated from the learning module 150 to the user terminal 200.

편집모듈(170)은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등록, 삭제 또는 편집한다. 편집모듈(170)은 본인인증 절차를 완료한 콘텐츠 제공자(2)에게 편집툴을 제공하고, 콘텐츠 제공자(2)는 편집툴을 이용하여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The editing module 170 registers, deletes, or edits the target image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110. The editing module 170 provides an editing tool to the content provider 2 who has completed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and the content provider 2 can edit the target image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110 using the editing tool. You can.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Meanwhile, the infant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earn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various methods described below.

첫 번째 예로,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인식된 목표 이미지가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문자열이면, 그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As a first example, if the target imag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s a string containing any one of a consonant, a vowel, or a single letter, the content server 100 sends learning content containing a word reminiscent of the string to the user terminal (200). ) is provided as

예를 들면, 분석모듈(130)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낱글자 “나”를 목표 이미지로 인식하면 검색모듈(140)은 낱글자“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 “나비”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For example, when the analysis module 130 recognizes the single letter “I” as the target imag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the search module 140 stores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word “butterfly” associated with the single letter “I” in the content DB. Search in (110).

만약, 콘텐츠 DB(110)에 낱글자 “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나비”, “나주”, “나무”)가 복수개 존재할 경우, 검색모듈(140)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한다. 검색모듈(140)은 무작위 선정 방식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하거나 또는 오름차순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If there is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e.g., “butterfly”, “naju”, “tree”) containing words reminiscent of the single letter “I” in the content DB 110, the search module 140 may Search for one of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in a given order. The search module 140 may search for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in a random selection method or may search for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in ascending order.

두 번째 예로,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인식된 목표 이미지가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이면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As a second example, if the target imag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s a design image including any of animals, plants, or objects, the content server 100 provides learning content contain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mage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Alternatively, learning content containing words corresponding to design images as three-dimensional objects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예를 들면, 분석모듈(130)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식별한 도안 이미지가 비행기에 대한 도안 이미지이면, 검색모듈(140)은 비행기의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하거나 또는 단어 “비행기”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For example, if the design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module 130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s a design image of an airplane, the search module 140 searches the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shape of the airplane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in the content DB 110. ) or search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word “airplane” as a 3D object in the content DB 110.

세 번째 예로,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인식된 목표 이미지가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이면 도안 이미지를 따라 그리거나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As a third example, if the target imag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is a design image including any one of animals, plants, or objects from the image, the content server 100 draws along the design image or creates a word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mage. A user interface that encourages users to write along the lines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예를 들면, 분석모듈(130)이 비행기에 대응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고, 검색모듈(140)이 비행기 형상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비행기의 형상을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단어 “비행기”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For example, when the analysis module 130 recognizes a design image corresponding to an airplane and the search module 140 searches for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shape of an airplane, the user interface allows the user to draw along the shape of the airplane. I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guides the user to write the word “airplane”.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학습카드의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다른 문자열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2)는 원하는 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110)에 저장하고, 그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학습카드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early childhood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string or pattern image of the learning card with another string or another pattern image stored in the content DB 110. The content provider 2 stores a desired target image in the content DB 110 and attache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to a learning card, enabling user-customized learning.

예를 들어,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학습카드에 부착 형식으로 제작된 경우에 콘텐츠 제공자(2)는 학습카드에 먼저 부착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탈착하고, 원하는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학습카드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제작된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110)에 저장하여 사용자 맞춤형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string or design image is produced to be attached to a learning card, the content provider 2 detaches the string or design image first attached to the learning card and attaches the desired string (target image) or another design image ( Target image) can be produc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learning card. Additionally, user-customized learning can be performed by storing the newly created character string (target image) or another design image (target image) in the content DB 110.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학습카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학습 활용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infant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variety of learning cards, thereby increasing learning utilization.

다른 한편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학습카드(10)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때, 학습카드(10)에 형성된 인증코드(12)를 함께 식별함으로써 학습카드(10) 외에 다른 문서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infant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target image from the learning card 10, the authentication code 12 formed on the learning card 10 is included. By identify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rget image from being identified from documents other than the learning card 10.

예컨대, 학습카드(10)에는 분석모듈(130)로부터 식별되는 위한 인증코드(12)가 형성된다. 인증코드(12)는 학습카드(10)에 프린팅 또는 부착된 문자열(11) 또는 도안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For example, an authentication code 12 for identification from the analysis module 130 is formed on the learning card 10. The authentication code 12 is formed in the area excluding the character string 11 or design image printed or attached to the learning card 10.

분석모듈(130)은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 및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한다. 검색모듈(140)은 분석모듈(130)에서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와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에만 목표 이미지(11)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The analysis module 130 identifies both the authentication code 12 and the target image 11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10. The search module 140 stores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mage 11 in the content database only when the analysis module 130 identifies both the authentication code 12 and the target image 11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10. Search in (110).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복수의 학습카드 이미지에서 복수의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식별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fant learn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identifies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from a plurality of learning card images and delivers different learn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identified plurality of target images. can provide

예컨대, 분석모듈(130)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글자면, 검색모듈(140)은 조합된 낱글자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For example, if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simultaneously identified in the analysis module 130 are specific letter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search module 140 stores learning content containing the combined letters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in a content DB ( 110).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자음 “ㅂ”이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모음 “ㅏ”가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자음“ㄱ”이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120)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130)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낱글자 “박”을 조합한다. 그리고 검색모듈(140)은 분석모듈(130)에서 조합된 낱글자가 “박”일 경우, “박”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A), the first learning card (10-1) contains the consonant “ㅂ”, and the second learning card (10-2) contains the vowel “ㅏ”. I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contains the consonant “ㄱ”, the input module 120 receives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third learning card ( When all images of 10-3) are provided, the analysis module 130 simultaneously identifies the target image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to the image o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and selects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The single letter “Bak” is combined from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 And, if the single letter combined in the analysis module 130 is “Park,” the search module 140 searches the content DB 110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Park.”

다른 예를 들어, 도 4의(A)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낱글자 “자”가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낱글자 “동”이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낱글자“차”가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120)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130)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낱글자로부터 낱말“자동차”를 조합한다. 그리고 검색모듈(140)은 분석모듈(130)에서 조합된 낱말이 “자동차”일 경우, “자동차”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A), the first learning card (10-1) contains the single letter "ja", and the second learning card (10-2) contains the single letter "dong". I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contains the single letter “cha”, the input module 120 receives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or the third learning card ( When all images of 10-3) are provided, the analysis module 130 simultaneously identifies the target image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first learning card 10-1 to the image of the third learning card 10-3 and selects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Combine the word “car” from the letters of . And when the word combined in the analysis module 130 is “car,” the search module 140 searches the content DB 110 for learning content containing “car.”

여기서, 검색모듈(140)이 검색하는 학습 콘텐츠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말“자동차”의 형상(20)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1)에는 낱말 “자동차”의 형상이 3차원 객체(20)로 형성된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Here, the learning content searched by the search module 140 may be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shape 20 of the word “car” combined in the analysis module, as shown in (B) of FIG. 4. In this case, learning content in which the shape of the word “car” is formed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 of the user terminal 1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체 또는 부분적 기능들은 일련의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기계어로 번역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가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외에도,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tire or partial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implemented as software that translates a series of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into machine language, or such software is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at it can be included and provid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tical disks. Included are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USB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S100: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
S110: 편집하는 단계
S200: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S300: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S400: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S50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S600: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S100: Step of saving content in DB
S110: Editing steps
S200: Step of receiving learning card image
S300: Identifying target image
S400: Step of retrieving learning content
S500: Step to provide user interface
S600: Transmitting to user terminal

Claims (10)

입력모듈, 분석모듈, 검색모듈, 학습모듈 및 편집모듈을 포함하는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를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학습카드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각 학습카드로부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학습카드의 나열된 순서에 따라 문자열을 조합하는 단계;
상기 검색모듈이 상기 조합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것으로 미리 매칭된 객체의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모듈이 상기 검색된 학습 콘텐츠를 증강현실 형태로 보여주고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조합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객체가 자음 및 모음이 결합된 낱글자이면, 상기 낱글자를 3차원의 증강현실 객체 형태로 출력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조합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객체가 복수의 낱글자로 이루어진 낱말이면, 상기 낱말에 상응하는 형상 이미지를 3차원의 증강현실 객체 형태로 출력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학습카드에는,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식별되기 위한 인증코드가 문자를 제외한 영역에 더 형성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증코드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 상기 연상되는 객체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편집 모듈이 본인인증 절차를 완료한 사용자에게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등록, 삭제 또는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In the 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n early childhood learning content server including an input module, an analysis module, a search module, a learning module, and an editing module,
The input module receiving images for a plurality of learning cards from the user terminal;
The analysis module identifying any one of consonants, vowels, or single letters from each learning card, and combining character strings according to the listed order of the learning cards;
The search module searches a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of an object pre-matched as being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string; and
A step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where the learning module displays the retrieved learn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form and encourages the user to write or draw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that outputs the single letter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object if the object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string is a single letter combined with a consonant and a vowel,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that outputs a shape image corresponding to the word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object if the object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string is a wor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tters. Characterized by
In the learning card, an authentication code for identification from the analysis module is further formed in the area excluding letters,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ssociated object when 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both the consonant, vowel, or single letter and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Characterized by
The editing module further includes providing an editing tool that can register, delete, or edit target images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to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카드의 문자는 상기 학습카드에 착탈식으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nfant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s on the learning card are removable and replaceable with the learning c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학습카드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받는 입력모듈, 상기 각 학습카드로부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학습카드의 나열된 순서에 따라 문자열을 조합하는 분석모듈, 상기 조합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것으로 미리 매칭된 객체의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검색된 학습 콘텐츠를 증강현실 형태로 보여주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조합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객체가 자음 및 모음이 결합된 낱글자이면, 상기 낱글자를 3차원의 증강현실 객체 형태로 출력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조합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객체가 복수의 낱글자로 이루어진 낱말이면, 상기 낱말에 상응하는 형상 이미지를 3차원의 증강현실 객체 형태로 출력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학습카드에는,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식별되기 위한 인증코드가 문자를 제외한 영역에 더 형성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증코드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 상기 연상되는 객체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인인증 절차를 완료한 사용자에게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등록, 삭제 또는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툴을 제공하는 편집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images of a plurality of learning cards from a user terminal, an analysis module that identifies one of consonants, vowels, or single letters from each learning card, and combines strings according to the listed order of the learning cards, the combination A search module that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of objects pre-matched as associated with a string, and a search module that displays the searched learn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and encourages the user to write or draw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learning module that provides an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that outputs the single letter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object if the object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string is a single letter combined with a consonant and a vowel,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that outputs a shape image corresponding to the word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object if the object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string is a wor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tters. Characterized by
In the learning card, an authentication code for identification from the analysis module is further formed in the area excluding letters,
The search module searches the content DB for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ssociated object when the analysis module identifies both the consonant, vowel, or single letter and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image of the learning card. Characterized b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editing module that provides an editing tool that allows users who have completed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to register, delete, or edit target images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B.
Early childhood learning content server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0200106661A 2020-08-25 2020-08-25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Active KR102594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61A KR102594738B1 (en) 2020-08-25 2020-08-25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61A KR102594738B1 (en) 2020-08-25 2020-08-25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067A KR20220026067A (en) 2022-03-04
KR102594738B1 true KR102594738B1 (en) 2023-10-25

Family

ID=8081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661A Active KR102594738B1 (en) 2020-08-25 2020-08-25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80250A (en) 2023-11-28 2025-06-05 조현서 Field experienc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936B1 (en) * 2023-01-27 2023-05-30 주식회사 이지콘텐츠연구소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based language education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381B1 (en) * 2012-12-06 2014-08-20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System and method of learning language using augmented reality marker
KR20170023545A (en) 2015-08-24 2017-03-06 오정금 The Sheet paper for education and thereof system
KR20170113946A (en) * 2016-03-30 2017-10-13 오연재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Instru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633014B1 (en) * 2016-09-21 2024-02-02 강거웅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character card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80250A (en) 2023-11-28 2025-06-05 조현서 Field experienc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067A (en)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enan et al. Concise diction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20220415196A1 (en) E-reader interface system with audio and highlighting synchronization for digital books
Earhart Traces of the old, uses of the new: The emergence of digital literary studies
Kirschenbaum Bitstreams: The Future of Digital Literary Heritage
CN103198502A (en) Digital comic editor and method
CN106097794A (en) The Chinese phonetic alphabet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mbination is recognized reading learning system and recognizes reading method
EP0168481A1 (en) Personalized graphics and text material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9155076A (en)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the display fictitious object of interest of figure
CN103198503A (en) Digital comic editor and method
KR102594738B1 (en) Method and server of providing education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arly childhood
US7147473B2 (en) Hand-writing practicing system
Leggett Digitization and digital archiving: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CN104978577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026475B1 (en) Processing visual input
CN106663185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39953A (en) Learning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10029014A (en)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s like pdf files for multi-modes
KR101955017B1 (en) Editing structure for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education material
CN115294594A (en) Document analysis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Rajski Writing Systems: Richard Yates, Remington Rand, and the Univac
KR202301304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files by applying non-fungible token technology
Wiley et al. Beginning R 4
KR20180008382A (en) Information link system, information link program, and information link system operating method
US202502008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esigns
Nazemi Non-visual representation of complex documents for use in digital talking boo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