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2116B1 -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116B1
KR102592116B1 KR1020230049142A KR20230049142A KR102592116B1 KR 102592116 B1 KR102592116 B1 KR 102592116B1 KR 1020230049142 A KR1020230049142 A KR 1020230049142A KR 20230049142 A KR20230049142 A KR 20230049142A KR 102592116 B1 KR102592116 B1 KR 102592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culture
culture tank
fluid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두
박재남
김태룡
홍현석
Original Assignee
(주)에코비트엠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비트엠엔에스 filed Critical (주)에코비트엠엔에스
Priority to KR102023004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1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1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4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introduction of gas through the stirrer or mix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8Flow directing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12M29/08Air lif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18External loop; Means for reintroduction of fermented biomass or liquid perco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6Conditioning fluids entering or exiting the reaction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4Incubators; Climatic cha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which comprises: a culture tank containing a culture medium to culture microorganisms that decompos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culture medium; an air diffuser accommodated in the culture tank to receive external air and supply microbubbles of the air to the culture tank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 fluid circulation unit having a fluid inflow pipe that is a pipe disposed outside the side of the culture tank and branched from the lower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culture tank and enable a fluid to flow in from the culture tank and a fluid output pipe branched from the upper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culture tank and enable the fluid to flow out into the culture tank; and a non-powered stirr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air diffuser in the culture tank and rotated by the momentum of the culture medium flowing out of a culture medium outflow pipe. Accordingly, a culturing speed in the culture tank is fast and a culture cycle is shortened to increase microbial culture efficiency.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배양방법{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Microorganism culturing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 처리장의 폭기조의 폭기액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a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aeration liquid of an aeration tank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a method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will be.

통상적으로 폐수 처리방법으로 물리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이 있다. 이 중 물리화학적 방법은 처리 비용이 높고 처리 후의 생성물을 처리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반해 생물학적 방법은 유기물 성분을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분해하고 메탄가스를 생성시켜 폐수 내 유기물을 제거하므로 처리 후 생성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분해, 해독, 분리하여 진행하고, 생활 하수의 2차 처리, 유기물을 함유한 공장폐수 및 이로부터 생성되는 슬러지의 처리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방법은 낮은 처리비용과 다양한 공정의 이점이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Typically,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include physicochemical methods and biological methods. Among these,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have high processing costs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hrough a separate process to treat the product after treatment. On the other hand, biological methods remove organic substances in wastewater by decomposing organic substances into carbon dioxide and generating methane gas, so the amount of products after treatment is relatively small.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mainly use microorganisms to decompose, detoxify, and separate pollutants in wastewater, and are mainly used for secondary treatment of domestic sewage, factory wastewater containing organic matter, and sludge generated therefrom. This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method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s of low treatment cost and various processes.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주로 배양조에서 배양 증식되며, 세균류, 진균류,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 등이 포함되는 혼합 배양체로서 폐수 중에 녹아있는 용존 산소를 이용하여 증식하면서 유기성 오염 물질을 영양 성분으로 이용하여 유기성 오염 물질을 분해함으로써 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미생물 배양조는 미생물이 높은 효율로 배양 번식할 수 있는 자연조건과 유사한 환경으로, 즉 내부에 배양 균주 및 유,무기 배지, 공기를 공급하여 미생물을 배양 증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배양조의 환경 처리 조건이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배양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최적화된 배양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Microorganisms used in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are mainly grown in culture tanks and are mixed cultures containing bacteria, fungi, protozoa, and metazoans, which proliferate using dissolved oxygen dissolved in wastewater, converting organic pollutants into nutrients. It can be used to purify wastewater by decomposing organic pollutants. A microbial culture tank is an environment similar to natural conditions in which microorganisms can be cultivated and propagated with high efficiency, that is, the microorganisms are cultivated and proliferated by supplying culture strains, organic and inorganic media, and air insi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lture device in which the environmental treatment conditions of the culture tank are optimized to improve the culture efficiency of microorganisms for wastewater treatment.

국제특허공개 WO 96/15992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96/15992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데드 존의 발생없이 미세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뿐 아니라 유체 순환시 바닥면에 유체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거대 공기방울이 발생하여 배양조 내 유체와의 접촉시간이 줄어들어 용존 산소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에 따라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속도가 증가하고, 배양주기는 단축시키며, 배양효율을 높이며 전력 사용량도 최소화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배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 only smooth the supply of air and supply fine air uniformly without causing dead zones, but also to generate large air bubbles due to vortices generated when fluid collides with the bottom surface during fluid circulation, thereby damaging the fluid in the culture tank.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that solves the problem of low dissolved oxygen due to reduced contact time, thereby increasing the culture speed of aerobic microorganisms, shortening the culture cycle, increasing culture efficiency, and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The aim is to provide a method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is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배양액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배양되는 배양조; 상기 배양조 내에 수용되고,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복수의 홀을 통해 공기의 미세버블을 배양조에 공급하는 산기부; 상기 배양조의 측면 외부에 배치된 관으로, 상기 배양조 하부측과 연통되어 배양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관, 및 상기 배양조 상부측과 연통되어 배양조로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관이 형성된 유체 순환부; 및 상기 배양조 내 산기부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배양액 유출관에서 유출된 배양액의 운동량에 의해 회전되며, 유체를 상기 산기부측으로 유동시키는 무동력 교반기;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가 제공된다.A culture tank in which the culture medium is accommodated and microorganisms that decompos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culture medium are cultivated; an air diffuser accommodated in the culture tank, receiving external air and supplying fine air bubbles to the culture tank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 pipe disposed outside the side of the culture tank, forming a fluid inlet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side of the culture tank and allows fluid to flow from the culture tank, and a fluid outflow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ide of the culture tank and allows fluid to flow out of the culture tank. fluid circulation unit; and a non-powered agitator installed on the diffuser portion in the culture tank at predetermined intervals, rotated by the momentum of the culture fluid flowing out of the culture fluid outflow pipe, and causing the fluid to flow toward the diffuser portion.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comprising a. is provided.

상기 산기부는 상기 배양조의 내측면 및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 두고 원형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인 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산기관은 복수 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평형으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산기관들은 산기관연결관으로 상호 연결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The diffuser unit includes a diffuser tube which is a pip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and bottom surface of the culture tank, and the diffuser tube is arranged in a plurality in equilibrium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e diffuser tubes.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diffuser connector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복수 개의 산기관은 상부로부터 상부 산기관, 중간 산기관 및 하부 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원형으로 배치되는 산기관의 원형 지름이 상부 산기관 > 중간 산기관 > 하부 산기관 순으로 작아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ffusers include an upper diffuser, a middle diffuser, and a lower diffuser from the top, and the circular diameter of the diffuser arranged in a circle may be decreased in the order of upper diffuser > middle diffuser > lower diffuser. there is.

상기 상부 산기관을 기준으로 배양조 내측면과의 간격은 80 내지 160 mm 이고, 상기 하부 산기관을 기준으로 배양조 바닥면과의 간격은 200 내지 500 mm 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nk based on the upper diffuser may be 80 to 16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ure tank and the lower diffuser may be 200 to 500 mm.

상기 상부 산기관은 상부 공기유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 산기관은 하부 공기유입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upper diffuser may communicate with the upper air inlet, and the lower diffuser may communicate with the lower air inlet.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상부 산기관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홀; 상기 중간 산기관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 홀; 및 상기 하부 산기관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3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 a first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diffuser to discharge fine bubbles downward; a second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diffuser to discharge fine bubbles downward; and a third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diffuser for discharging fine bubbles downward.

상기 홀은 상기 산기관의 내측벽에서 외측벽 측으로 홀 지름이 점차로 커져 홀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hol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wall to the outer wall of the diffuser, so that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hole.

상기 경사면은 홀 중심축과 이루는 각(θ)이 20 내지 40°일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may have an angle (θ) of 20 to 40° with the hole central axis.

상기 상부 산기관과 하부 산기관의 간격은 250 내지 400 mm 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diffuser and the lower diffuser may be 250 to 400 mm.

상기 산기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고 메쉬 망을 포함하여 공기의 미세버블을 발생시키는 미세버블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microbubble plat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air diffuser and including a mesh network to generate microbubbles of air.

상기 미세버블 플레이트(140)는 28 내지 36 mesh가 형성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plate 140 may have a mesh of 28 to 36.

상기 산기부는 상기 배양조 내에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파이프인 공기탱크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탱크관에서 분기되고, 상기 배양조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공기탱크관과 상호 연통되며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봉 형태의 산기관인 테이퍼 산기봉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탱크관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과 연통될 수 있다.The diffuser is located longitudinally in the cent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ure tank, includes an air tank pipe that is a pip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branches off from the air tank pipe, and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nk and It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mmunicates with the air tank pipe, and includes a tapered diffuser rod, which is a rod-shaped diffuser pipe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air tank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an air inlet pip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You can.

상기 테이퍼 산기봉은 상기 공기탱크관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분기된 상부 테이퍼 산기봉 및 하부 테이퍼 산기봉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테이퍼 산기봉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4 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테이퍼 산기봉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5 홀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tapered diffuser includes an upper tapered diffuser and a lower tapered diffuser respectively branched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air tank pipe, and the upper tapered diffuser includes a fourth diffuser located at the lower side to discharge fine bubbles to the bottom.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fifth holes may be formed in the lower tapered diffuser rod to discharge microbubbles downward.

상기 유체 순환부는 상기 유체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유출관으로 상승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The fluid circulation unit may be equipped with a pump that provides power to elevate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uid inlet pipe to the fluid outlet pipe.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배양방법이 제공된다.A method of cultivating microorganisms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above-described microorganism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is provided.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는 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미세 공기버블을 데드 존을 최소화하여 균일하게 공급하고, 유체 순환시 유체가 바닥면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와류를 최소화함으로써 배양조 내 미세버블과 유체와의 접촉시간을 늘려 용존 산소량을 높임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속도가 증가하고, 배양주기는 단축시키며, 배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양조 내 유체 교반과 산소공급 조건을 최적화하는 산기관 구조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 교반기를 포함하므로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ens the supply of air, supplies fine air bubbles uniformly by minimizing dead zones, and minimizes vortices generated when the fluid collides with the bottom surface during fluid circu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flow rate within the culture tank. By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microbubbles and fluid, the culture speed of aerobic microorganisms can be increased, the culture cycle can be shortened, and cultur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power usage can be reduced as it includes a diffuser structure that optimizes fluid agitation and oxygen supply conditions in the culture tank and a non-powered stirrer that does not use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에 포함되는 산기관(120)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에 포함되는 무동력 교반기(3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추가 구성만을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1 is a partial side view of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plan view of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ffuser 120 included in 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non-powered stirrer 300 included in 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schematic diagram showing only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side view of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op plan view of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에 포함되는 산기관(120)의 일부 측면 및 측단면도(A-A 절단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에 포함되는 무동력 교반기(30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추가 구성만을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partial side view of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top plan view of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is a partial side and cross-sectional view (A-A section) of the diffuser 120 included in 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of the non-powered agitator 300 included in 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ide schematic diagram showing only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icrobial culturing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는 폐수처리장의 폭기조의 폭기액을 배양액으로 직접 사용하여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다.The microbial culturing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ultivate microorganisms by directly using the aeration liquid from the aeration tank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s a culture medium.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는 배양조(10), 제1 산기부(100a), 유체 순환부(200) 및 무동력 교반기(300)를 포함한다.The microorganism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lture tank 10, a first diffuser 100a, a fluid circulation unit 200, and a non-powered stirrer 300.

배양조(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배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배양액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배양되는 배양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lture tank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ulture tank in which a culture solution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received and microorganisms that decompos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culture solution are cultured.

제1 산기부(100a)는 사다리꼴 회전체형으로 상기 배양조(10) 내에 수용되고,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복수의 홀(130)을 통해 공기의 미세버블을 배양조(10)에 공급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iffuser 100a has a trapezoidal rotating body shape and is accommodated in the culture tank 10, and has a structure that receives external air and supplies fine bubbles of air to the culture tank 10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130. It is characterized by

유체 순환부(200)는 상기 배양조(10)의 측면 외부에 배치된 관으로, 상기 배양조(10) 하부측과 연통되어 배양조(10)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관(210), 및 상기 배양조 상부측과 연통되어 배양조(10)로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관(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id circulation unit 200 is a pipe disposed outside the side of the culture tank 10,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ide of the culture tank 10, and includes a fluid inlet pipe 210 through which fluid flows from the culture tank 10, And a fluid outflow pipe 220 is formed tha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ide of the culture tank and allows fluid to flow out into the culture tank 10.

무동력 교반기(300)는 배양조(10) 내 제1 산기부(100a)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배양액 유출관(220)에서 유출된 배양액의 운동량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powered stirrer 300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irst diffuser 100a in the culture tank 10 and is rotated by the momentum of the culture solution flowing out of the culture solution outflow pipe 220.

배양조(10)는 상단에 커버(12)가 추가 결합되고, 커버(12)에는 배양액이 유입되는 배양액 공급부(14), 배양액 공급부(14)로 폐수처리장 폭기조의 폭기액을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펌프(15), 배양 미생물 및/또는 배지가 투입되는 균주 투입부(16)가 형성될 수 있다.The culture tank 10 is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cover 12 at the top, and the cover 12 has a culture solution supply part 14 through which the culture solution flows, and a culture solution supply pump that supplies the aeration solu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eration tank to the culture solution supply part 14. (15), a strain input portion 16 into which cultured microorganisms and/or medium is input may be formed.

배양조(10) 표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단열부(11)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양조(10)의 표면 외부를 둘러싸도록 단열소재를 접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양조(10) 내부의 배양액 온도를 20 내지 30℃의 미생물 배양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n insulating part 11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outside or inside the surface of the culture tank 10, and more preferably, an insulating material can be adhe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rface of the culture tank 10.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culture medium inside the culture tank 10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of 20 to 30°C.

상기 배양조(10)에는 배양조 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9)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A water level sensor 19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culture tank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ulture tank 10.

수위 센서(19)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일 수 있다. 접촉식 수위 센서는 가이드로프식(본 발명의 도 5에 도시됨), 플로트식, 정전용량식, 압력식, 차압식 등일 수 있고, 비접촉식 센서는 전파식 또는 초음파식 센서일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or 19 may be a contact or non-contact sensor. The contact type water level sensor may be a guide rope type (shown in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float type, capacitance type, pressure type, differential pressure type, etc., and the non-contact type sensor may be a radio wave type or ultrasonic type sensor.

또한, 배양조(10)의 하단에 미생물 배양이 완료된 배양액이 배출되는 배출부(18)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discharge portion 18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ulture tank 10 through which the culture solution in which the microbial culture is completed is discharged.

한편, 제1 산기부(100a)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Meanwhile, the first diffuser 100a will be looked at in detail below.

산기부(100)는 배양조(10) 내측면 및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 두고 원형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인 산기관(120)을 포함한다.The diffuser 100 includes a diffuser 120, which is a pip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culture tank 10.

산기관(120)은 복수 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평형으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산기관들(120)은 산기관연결관(128)으로 상호 연결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iffusers 120 are arranged in equilibrium with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diffusers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diffuser connector 128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복수 개의 산기관(120)은 상부로부터 상부 산기관(122), 중간 산기관(124) 및 하부 산기관(126)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으로 배치되는 산기관의 원형의 지름이 상부 산기관(122) > 중간 산기관(124) > 하부 산기관(126) 순으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diffusers 120 includes an upper diffuser 122, a middle diffuser 124, and a lower diffuser 126 from the top, and the circular diameter of the diffuser pipes arranged in a circle is the upper diffuser. (122) > middle diffuser (124) > lower diffuser (126) is preferably decreased in this order.

상부 산기관(122)을 기준으로 배양조(10) 내측면과의 간격(W1)은 80 내지 16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40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 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측면과의 간격(W1)이 유지될 때 배양조(10) 내 유체의 순환이 와류를 일으키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미세버블과 유체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여 용존 산소량을 적절히 늘릴 수 있다.The distance (W 1 )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nk 10 based on the upper diffuser 122 is preferably 80 to 160 mm, more preferably 100 to 140 mm, and even more preferably 110 to 130 mm. It can be mm. When the distance (W 1 ) from the inner surface is maintained in the above range, the circulation of fluid in the culture tank 10 can be achieved without causing eddy currents, and as a result,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microbubbles and the fluid increases,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t can be increased appropriately.

한편, 하부 산기관(126)을 기준으로 배양조(10) 바닥면과의 간격(h1)은 200 내지 50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m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과의 간격(h1)을 유지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바닥면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와류를 최소화하면서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류 발생에 따라 큰 공기버블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체와 접촉시간을 늘리고 용존 산소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때, 산기관(120)과 바닥면의 간격(h1)이 200 mm 미만인 경우에는 와류 발생량이 증가하여 용존 산소량이 감소할 수 있고, 500 mm 초과의 경우에는 배양조(10) 바닥면까지 유체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미생물 배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h 1 ) from the bottom of the culture tank 10 based on the lower diffuser 126 is preferably 200 to 500 mm, more preferably 150 to 450 mm, and even more preferably 200 mm. It may be from 300 mm. By maintaining the distance (h 1 )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is way, the fluid can be circulated while minimizing the eddy currents generated when the fluid flow collides with the bottom surface.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large air bubbles due to vortex generation can be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contact time with the fluid and maximiz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h 1 ) between the diffuser 120 and the bottom is less than 200 mm, the amount of vortex generation may increase and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may decrease, and if it is more than 500 mm, the fluid may reach the bottom of the culture tank 10. Microbial culture efficiency may decrease due to poor circulation.

상기 복수 개의 산기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의 공기 또는 산소를 유입시키는 통로인 공기유입부(110, 112)와 연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산기관(122)은 상부 공기유입부(110)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 산기관(126)은 하부 공기유입부(112)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 또는 산소 유입이 산기관(120)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산기관(120) 전체의 공기 또는 산소가 충분히 많은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ffusers 12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lets 110 and 112, which are passages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or oxygen, and preferably the upper diffuser 122 is the upper air inlet. It communicates with the unit 110, and the lower diffuser 126 may communicate with the lower air inlet 112. In this way, external air or oxygen is introduced simultaneously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iffuser 120, so that air or oxygen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entire diffuser 120 in a sufficiently large amount.

공기유입부(110, 120)는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air inlets 110 and 120 may be connected to an air pump (not shown) that supplies external air.

산기관(120)의 파이프 직경은 15 내지 25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3 mm 일 수 있다. 파이프 직경이 15 mm 보다 작은 경우 미세버블 배출량이 적어져 배양액 내 산소 공급이 저하될 수 있고, 파이프 직경이 25 mm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이프 내 유체 이동속도가 느려져 미세버블의 형성이 저하되어 배양액 내 용존 산소량이 낮아질 수 있다.The pipe diameter of the diffuser 120 is preferably 15 to 25 mm, and more preferably 18 to 23 mm. If the pipe diameter is smaller than 15 mm, the discharge of microbubbles may decrease, which may reduce the oxygen supply in the culture medium. If the pipe diameter exceeds 25 mm, the speed of fluid movement within the pipe will slow down, reducing the formation of microbubbles, which may reduce the dissolved oxygen in the culture medium. Oxygen levels may decrease.

상부 산기관(122)의 원형 배치는 직경이 400 내지 500 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480 mm 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산기관(126)의 원형 배치는 직경이 100 내지 200 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mm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회전체를 이루기 때문에 산기관(122)이 배치된 중심 부위에 미세버블이 충분히 공급되어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주기가 짧아지고 충분한 양으로 배양될 수 있다. 또한, 무동력 교반기(300)에 의해 산기관(120) 중심측으로 하강하는 유체는 하부 산기관(126) 측으로 이동한 후 외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하부 산기관(126)의 원형 배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유체 상승이 더욱 용이하여 유체의 순환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산기관(122), 중간 산기관(124) 및 하부 산기관(126)이 동일한 형태로 배치될 경우에는 상승 유체가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고 수직 통로만 남게 되므로 원활한 유체 순환이 어려울 수 있다.The circular arrangement of the upper diffuser 122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400 to 500 mm, and more preferably 450 to 480 mm. In addition, the circular arrangement of the lower diffuser 126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100 to 200 mm, and more preferably 120 to 160 mm. In this way, because it forms a trapezoidal rotating body whos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microbubbles are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where the diffuser 122 is placed, so that the culture cycle of aerobic microorganisms is shortened and they can be cultured in sufficient quantities. In addition, the fluid that desc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diffuser 120 by the non-powered stirrer 300 moves toward the lower diffuser 126 and then rises outward, and at this time, the circular arrangement diameter of the lower diffuser 126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 fluid can rise more easily and the fluid can circulate more easily. However, when the upper diffuser 122, the middle diffuser 124, and the lower diffuser 126 are arranged in the same form,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ising fluid passes is narrowed and only the vertical passage remains, making smooth fluid circulation difficult. .

상기 복수 개의 산기관(120) 중 어느 하나에는 외부의 공기를 배양조(10) 내부로 배출하는 홀(130)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산기관(122), 중간 산기관(124) 및 하부 산기관(126) 각각 홀(130)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holes 130 for discharging external air into the culture tank 10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ffusers 120, preferably the upper diffuser 122 and the middle diffuser. Each of the holes 124 and the lower diffuser 126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1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130)은 상부 산기관(122)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홀(132); 중간 산기관(124)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 홀(134); 및 하부 산기관(126)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3 홀(1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130)이 산기관(120) 하부 방향 즉, 유체의 하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유체의 와류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공기의 거대 버블 형성을 방지하여 용존 산소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hole 130 includes a first hole 132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diffuser 122 to discharge fine bubbles downward; A second hole 134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diffuser 124 to discharge fine bubbles downward; and a third hole 136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diffuser 126 to discharge fine bubbles downward. In this way, the hole 130 is install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diffuser 120, that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luid, thereby minimizing the vortex of the fluid and preventing the formation of large air bubbles, thereby maximiz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상기 상부 산기관(122)과 하부 산기관(126)의 간격은 250 내지 40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50 mm 일 수 있다. 상기 간격 범위인 경우에 산기관(120) 사이의 영역에 미세버블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고, 간격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버블 공급의 데드 존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간격 미만인 경우에는 배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diffuser 122 and the lower diffuser 126 is preferably 250 to 400 mm, and more preferably 300 to 350 mm. If the gap is within the above range, microbubbles may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area between the air diffusers 120. If the gap exceeds the above range, a dead zone of microbubble supply may occur, and if the gap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a dead zone of microbubble supply may occur. Cultivation efficiency may decrease.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홀(130)은 산기관(120)의 내측벽에서 외측벽 측으로 홀 지름이 점차로 커져 홀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 the diameter of the hole 13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wall to the outer wall of the diffuser 120, so that an inclined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at the edge of the hole.

상기 경사면은 홀(130) 중심축과 이루는 각(θ)이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일 수 있다. 상기 각(θ)이 20° 보다 작은 경우 홀(130) 주위에 미세버블이 공급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고, 40°를 초과하는 경우 미세버블의 공급 속도가 낮아질 수 있다.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hole 130 is preferably 20 to 40°, and more preferably 25 to 35°. If the angle (θ) is less than 20°, the range of the dead zone where fine bubbles are not supplied around the hole 130 may be expanded, and if it exceeds 40°, the supply speed of fine bubbles may be lowered. You can.

상기 홀(130)의 직경은 넓은 직경을 기준으로 2 내지 7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mm 일 수 있다. 상기 하한 미만으로 홀(130) 직경이 형성되는 경우 미세버블의 공급량이 부족할 수 있고, 상한을 초과하는 홀(130) 직경이 형성되는 경우 미세버블의 유출 속도가 낮아져 데드 존이 발생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hole 130 is preferably 2 to 7 mm, more preferably 3 to 5 mm, based on the wide diameter. If the hole 130 diameter is formed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supply amount of microbubbles may be insufficient, and if the hole 130 diameter exceeds the upper limit, the outflow speed of the microbubbles may decrease and a dead zone may occur.

한편, 산기관(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고 메쉬 망을 포함하여 공기의 미세버블을 발생시키는 미세버블 플레이트(1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기관(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icrobubble plate 140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diffuser 120 and including a mesh net to generate fine bubbles of air, and more preferably inside the diffuser 120. It can be located in .

상기 미세버블 플레이트(140)는 28 내지 36 mesh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4 mesh가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3 mesh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28 mesh 보다 큰 그물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기버블 크기가 커져 유체와의 접촉시간이 짧아져 산소 공급이 저하될 수 있고, 36 mesh 보다 작은 그물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미세버블의 생성율이 낮아질 수 있다.The microbubble plate 14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28 to 36 mesh, more preferably with a 30 to 34 mesh, and even more preferably with a 31 to 33 mesh. If meshes larger than 28 mesh are formed, the size of the air bubbles increases, shortening the contact time with the fluid, which may reduce oxygen supply, and if meshes smaller than 36 mesh are formed, the production rate of microbubbles may decrease.

상기 메쉬 단위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기준에 따른 것이다.The mesh unit i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listed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한편, 상기 유체 순환부(200)는 상기 유체 유입관(210)으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유출관(220)으로 상승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luid circulation unit 200 may be equipped with a pump (not shown) that provides power to raise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uid inlet pipe 210 to the fluid outlet pipe 220.

무동력 교반기(300)는 몸체(310) 및 교반 날개(32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배양조(10)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교반 날개(320)는 몸체(310) 측면에서 분기된 날개이다.The non-powered stirrer 300 may include a body 310 and a stirring blade 320. The body 31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in the culture tank 10, and the stirring wing 320 is a wing branched from the side of the body 310.

교반 날개(320)는 균일한 각도를 이루며 2 내지 4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날개(320)는 별도의 전력 공급없이 유체 순환부(200)의 유체 유출관(220)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운동량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부 유체가 산기부(100)로 하강할 수 있다.The stirring wings 320 form a uniform angle and may be formed in 2 to 4 pieces, preferably in 3 pieces. The stirring blade 320 rotates by the momentum of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fluid outlet pipe 220 of the fluid circulation unit 200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and the rotation causes the upper fluid to descend into the diffuser 100. can do.

상기 무동력 교반기(300)는 교반 날개(320) 측 폭이 150 내지 17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6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64 mm 일 수 있다. 상기 폭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배양조 내 유체의 순환 범위가 좁아져 순환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어렵고,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교반 날개(320)의 회전 속도가 느려져 유체 순환이 어려워 질 수 있다. The non-powered stirrer 300 preferably has a side width of the stirring blade 320 of 150 to 170 mm, more preferably 155 to 168 mm, and even more preferably 160 to 164 mm. If the width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circulation range of the fluid in the culture tank becomes narrow, making it difficult for smooth circulation to occur, and if it exceeds the upper limit,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blade 320 may slow down, making fluid circulation difficult.

한편, 배양조(10)에는 배양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ulture tank 10.

온도조절부(400)는 열매 탱크(410), 열전도관(420) 및 열전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may include a fruit tank 410, a heat conduction pipe 420, and a heat transfer unit 430.

열매 탱크(410)는 열매 또는 필요한 경우 냉매를 저장하고, 열매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하고, 반응기(10) 밖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The fruit tank 410 stores fruit or refrigerant if necessary, includes a heater (not shown) that heats the fruit, and may be installed separately outside the reactor 10.

열전도관(420)은 열매 탱크(410)에서 배양조(10)로 열을 전달하는 파이프일 수 있다.The heat conduction pipe 420 may be a pipe that transfers heat from the fruit tank 410 to the culture tank 10.

열전달부(430)는 열전도관(420)과 연결되고 배양조(10) 내 유체에 열을 전달하도록 배양조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전달부(430)는 배양조(10) 내부 표면에 솔레노이드형으로 설치되는 파이프로서 내부에 가열된 열매가 흐르면서 열매의 열이 파이프를 통해 배양조(10) 내 유체에 전달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unit 430 is connected to the heat conduction pipe 420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ulture tank to transfer heat to the fluid within the culture tank 10. Preferably, the heat transfer unit 430 is a solenoid-shaped pip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nk 10. As the heated fruit flows inside, the heat of the fruit can be transferred to the fluid in the culture tank 10 through the pipe. .

한편, 배양조(10) 또는 커버(12)에는 배양 완료 후 배양조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노즐(5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washing nozzle 50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ulture tank 10 or the cover 12 to spray washing water inside the culture tank after completion of cultivation.

상기 배양조(10) 내부에는 배양 완료 후 배양조 내부를 살균하는 고온 살균기(51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high-temperature sterilizer 51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culture tank 10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culture tank after completion of cultivation.

고온 살균기(510)는 배양조(10) 하측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매가 흐르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The high-temperature sterilizer 510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culture tank 10, and may be formed as a pipe through which fruit flows.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용 미생물 배양장치는 콘트롤러(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장치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pur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controller (not show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can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Figure 6 is a partial side view of a microorganism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top plan view of the microorganism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icroorganism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는 제1 실시예의 제1 산기부(100a) 대신에 제2 산기부(100b)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that it includes a second diffuser (100b) instead of the first diffuser (100a) of the first embodiment. You can.

제2 산기부(100b)는 공기탱크관(150)과 테이퍼 산기봉(152, 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iffuser 100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ir tank pipe 150 and tapered diffuser rods 152 and 154.

제2 산기부(100b)는 상기 배양조(10) 내에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파이프일 수 있다.The second diffuser 100b is located longitudinally in the center of the culture tank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a pip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테이퍼 산기봉(152, 154)은 공기탱크관(150)에서 분기되고, 배양조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공기탱크관(150)과 상호 연통되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봉 형태의 산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pered diffuser rods (152, 154) are branched from the air tank pipe (15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nk,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tank pipe (150), and have a rod shape with a plurality of hol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diffuser.

공기탱크관(150)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10, 112)과 연통될 수 있다.The air tank pipe 15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let pipes 110 and 112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테이퍼 산기봉은 상기 공기탱크관(150)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 테이퍼 산기봉(152) 및 상기 공기탱크관(150)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apered diffuser preferably includes an upper tapered diffuser 152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tank pipe 150 and a lower tapered diffuser 154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tank pipe 150.

상부 테이퍼 산기봉(152)을 기준으로 배양조(10) 내측면과의 간격(W2)은 80 내지 16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40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 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측면과의 간격(W2)이 유지될 때 배양조(10) 내 유체의 순환이 와류를 일으키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미세버블과 유체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여 용존 산소량을 적절히 늘릴 수 있다.The distance (W 2 )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nk 10 based on the upper tapered diffuser rod 152 is preferably 80 to 160 mm, more preferably 100 to 140 mm, and even more preferably 110 to 110 mm. It may be 130 mm. When the distance (W 2 ) from the inner surface is maintained in the above range, the circulation of fluid in the culture tank 10 can be achieved without causing eddy currents, and as a result,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microbubbles and the fluid increases,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t can be increased appropriately.

한편,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을 기준으로 배양조(10) 바닥면과의 간격(h2)은 200 내지 50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m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과의 간격(h2)을 유지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바닥면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와류를 최소화하면서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류 발생에 따라 큰 공기버블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체와 접촉시간을 늘리고 용존 산소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과 바닥면의 간격(h2)이 200 mm 미만인 경우에는 와류 발생량이 증가하여 용존 산소량이 감소할 수 있고, 500 mm 초과의 경우에는 배양조(10) 바닥면까지 유체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미생물 배양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h 2 ) from the bottom of the culture tank 10 based on the lower tapered diffuser rod 154 is preferably 200 to 500 mm, more preferably 150 to 450 mm, and even more preferably It may be 200 to 300 mm. By maintaining the distance (h 2 )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is way, the fluid can be circulated while minimizing the eddy currents generated when the fluid flow collides with the bottom surface.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large air bubbles due to vortex generation can be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contact time with the fluid and maximiz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h 2 ) between the lower tapered diffuser rod 154 and the bottom is less than 200 mm, the amount of vortex generation may increase and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may decrease, and if it is more than 500 mm,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ure tank 10 Since fluid circulation is not smooth, microbial culture efficiency may be reduced.

상부 테이퍼 산기봉(152)과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은 3개의 봉 형태의 관이 균일한 각도로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tapered diffuser rod 152 and the lower tapered diffuser rod 154 are three rod-shaped pipes branching at a uniform angle.

복수 개의 상기 테이퍼 산기봉(152, 154) 각각은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tapered diffuser rods 152 and 154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부 테이퍼 산기봉(152)에는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4 홀(162)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에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5 홀(164)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fourth holes 162 may be formed in the upper tapered diffuser 152 and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to discharge microbubbles downward, and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tapered diffuser 154. Thus, a plurality of fifth holes 164 that discharge microbubbles downward may be formed.

상기 공기탱크관(150)의 직경은 3 내지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m 일 수 있다. 상기 직경이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산기관(100b) 공기탱크관(150)에 공급되는 공기량이 낮아 원활하게 테이퍼 산기봉(152, 154)에 공급되는 공기 밀도가 낮아져 결과적으로 결과적으로 미세버블의 배출량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직경이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이프 내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느려져 테이퍼 산기봉(152, 154)에 빠른 공기 공급이 어려워 질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air tank pipe 150 is preferably 3 to 10 mm, and more preferably 5 to 7 mm. If the diameter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air tank pipe 150 of the second diffuser 100b is low, and the density of air smoothly supplied to the tapered diffuser rods 152 and 154 is lowered,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fine bubbles. The discharge amount may be lowered, and if the diameter exceeds the upper limit, the flow rate of air moving in the pipe may become slow,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supply air to the tapered diffuser rods 152 and 154.

상기 상부 테이퍼 산기봉(152)과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의 간격은 250 내지 400 mm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50 mm 일 수 있다. 상기 간격 범위인 경우에 상부 테이퍼 산기봉(152)과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 사이의 영역에 미세버블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고, 간격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버블 공급이 되지 않는 데드 존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간격 미만인 경우에는 배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tapered diffuser 152 and the lower tapered diffuser 154 may be 250 to 400 mm, and more preferably 300 to 350 mm. If the gap is within the above range, fine bubbles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area between the upper tapered diffuser 152 and the lower tapered diffuser 154, and if the gap exceeds the above range, fine bubbles are not supplied. Dead zones may occur, and if the interval is less than the above, culture efficiency may decrea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를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ultivating microorganis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the above-described microorganism culturing device for treating wastewat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양조(10)
단열부(11)
커버(12)
배양액 공급부(14)
배양액 공급펌프(15)
균주 투입부(16)
배출부 (18)
수위 센서(19)
제1 산기부(100a)
상부 공기유입부(110)
하부 공기유입부(112)
산기관(120)
상부 산기관(122)
중간 산기관(124)
하부 산기관(126)
산기관연결관(128)
홀(130)
제1 홀(132)
제2 홀(134)
제3 홀(136)
미세버블 플레이트(140)
제2 산기부(100b)
공기탱크관(150)
상부 테이퍼 산기봉(152)
하부 테이퍼 산기봉(154)
제4 홀(162)
제5 홀(164)
유체 순환부(200)
유체 유입관(210)
유체 유출관(220)
무동력 교반기(300)
몸체(310)
교반날개(320)
온도조절부(400)
열매 탱크(410)
열전도관(420)
열전달부(430)
세척노즐(500)
고온 살균기(510)
Culture tank (10)
Insulation section (11)
Cover(12)
Culture medium supply unit (14)
Culture medium supply pump (15)
Strain input unit (16)
Discharge section (18)
Water level sensor(19)
First base (100a)
Upper air inlet (110)
Lower air inlet (112)
Diffuser (120)
Upper diffuser (122)
Intermediate diffuser (124)
Lower diffuser (126)
Diffuser connector (128)
Hall(130)
Hole 1 (132)
2nd hole (134)
3rd hole (136)
Microbubble plate (140)
Second perinatal area (100b)
Air tank pipe (150)
Upper tapered diffuser (152)
Lower tapered diffuser (154)
Hole 4 (162)
Hole 5 (164)
Fluid circulation unit (200)
Fluid Inlet Pipe (210)
Fluid Outlet Pipe (220)
Non-powered stirrer (300)
Body (310)
Stirring wing (320)
Temperature control unit (400)
Fruit Tank(410)
Heat conduction tube (420)
Heat transfer unit (430)
Washing nozzle (500)
High temperature sterilizer (510)

Claims (15)

배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배양액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배양되는 배양조;
상기 배양조 내에 수용되고,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복수의 홀을 통해 공기의 미세버블을 배양조에 공급하는 산기부;
상기 배양조의 측면 외부에 배치된 관으로, 하부 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양조와 연통되어 배양조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관, 및 상부 측면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양조와 연통되어 배양조로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관이 형성된 유체 순환부; 및
상기 배양조 내 산기부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유체 유출관에서 유출된 배양액의 운동량에 의해 회전되는 무동력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산기부는 상기 배양조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 두고 원형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인 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산기관은 복수 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평형으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산기관들은 산기관연결관으로 상호 연결되어 서로 연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산기관은 상부로부터 상부 산기관, 중간 산기관 및 하부 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원형으로 배치되는 산기관의 원형 지름이 상부 산기관 > 중간 산기관 > 하부 산기관 순으로 작아지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상부 산기관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 홀; 상기 중간 산기관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 홀; 및 상기 하부 산기관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미세버블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3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 culture tank in which the culture medium is accommodated and microorganisms that decompos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culture medium are cultivated;
an air diffuser accommodated in the culture tank, receiving external air and supplying fine air bubbles to the culture tank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 pipe disposed outside the side of the culture tank, branched from the lower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culture tank, and a fluid inlet pipe through which fluid flows from the culture tank, and a fluid branching from the upper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culture tank, through which fluid flows out into the culture tank. a fluid circulation section in which an outflow pipe is formed; and
It includes a non-powered stirr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acid base in the culture tank and rotated by the momentum of the culture solution flowing out of the fluid outflow pipe,
The diffuser includes a diffuser that is a pip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ulture tank, and the diffuser is arranged in a plurality in equilibrium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plurality of diffusers are diffuser pipes. They are interconnected by connector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diffusers include an upper diffuser, a middle diffuser, and a lower diffuser from the top, and the circular diameters of the diffusers arranged in a circle become smaller in the order of upper diffuser > middle diffuser > lower diffuser,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 a first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diffuser to discharge fine bubbles downward; a second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diffuser to discharge fine bubbles downward; and a third 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diffuser for discharging fine bubbles down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산기관은 상부 공기유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 산기관은 하부 공기유입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air diffus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ir inlet, and the lower air diffus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air inl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산기관의 내측벽에서 외측벽 측으로 홀 지름이 점차로 커져 홀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le is a microorganism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hol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wall to the outer wall of the diffuser,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홀 중심축과 이루는 각(θ)이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hole is 20 to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산기관과 하부 산기관의 간격은 250 내지 40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diffuser and the lower diffuser is 250 to 40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고 메쉬 망을 포함하여 공기의 미세버블을 발생시키는 미세버블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icrobubble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diffuser and further includes a microbubble plate that includes a mesh network and generates microbubbles in the ai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버블 플레이트(140)는 28 내지 36 mes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microbubble plate 140 is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28 to 36 mesh is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순환부는 상기 유체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유출관으로 상승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wherein the fluid circulation unit is equipped with a pump that provides power to raise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uid inlet pipe to the fluid outlet pipe.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10항, 및 제1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배양방법.A method of cultivating microorganisms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microbial culture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6 to 10, and 14.
KR1020230049142A 2023-04-14 2023-04-14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Active KR102592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42A KR102592116B1 (en) 2023-04-14 2023-04-14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42A KR102592116B1 (en) 2023-04-14 2023-04-14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116B1 true KR102592116B1 (en) 2023-10-20

Family

ID=8851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142A Active KR102592116B1 (en) 2023-04-14 2023-04-14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11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5992A1 (en) 1994-11-18 1996-05-30 Yasuhide Takashima Method and apparatus for sewage purification in available microorganism-group fermentation and cycling system
KR20040067254A (en) * 2003-01-22 2004-07-3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Bioreactor for Cultivating Bacteria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0375500Y1 (en) * 2004-11-02 2005-03-11 (주)에이엔티이십일 Device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Fludized Microorganism Carrier
KR20060049219A (en) * 2004-06-15 2006-05-18 (주)에코데이 Water treatment process and equipment
KR200472329Y1 (en) * 2012-12-12 2014-04-16 이재학 device for culturing microorg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5992A1 (en) 1994-11-18 1996-05-30 Yasuhide Takashima Method and apparatus for sewage purification in available microorganism-group fermentation and cycling system
KR20040067254A (en) * 2003-01-22 2004-07-3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Bioreactor for Cultivating Bacteria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060049219A (en) * 2004-06-15 2006-05-18 (주)에코데이 Water treatment process and equipment
KR200375500Y1 (en) * 2004-11-02 2005-03-11 (주)에이엔티이십일 Device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Fludized Microorganism Carrier
KR200472329Y1 (en) * 2012-12-12 2014-04-16 이재학 device for culturing microorg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549B1 (en) Microbial incubator for wastewater treatment
CN204779060U (en) Immobilization helotism sewage treatment plant
US201000340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ltivating Algae
CN103228779A (en) Bioremediation system and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CN205295351U (en) Pipeline type microalgae photobioreactor
CN104611221A (en) Closed runway pool type photobioreactor
CN213294853U (en) High-efficiency circulating anaerobic reaction generator
US20100288695A1 (en) Process and system for algae production from the byproducts of waste water treatment
RU2236451C1 (en) Aerobic liquid phase fermentation apparatus
KR102592116B1 (en)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culturing microorganism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KR100872381B1 (en) Advance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arbon source by solubilizing algae
KR101417859B1 (en) microbe culture apparatus for inducing anaerobic digestion activity of organic wastes
CN101974412A (en) Photosynthetic hydrogen preparation device
CN210394377U (en) Anaerobe culture system
KR100930330B1 (en) Microbial incubator for wastewater treatment
JP2008178792A (en) Biological reaction method and biological reaction apparatus
KR201701266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high concentrated wastewater
RU2766892C1 (en) Bioreactor for cultivating aerobic microorganisms
CN108707545A (en) A kind of fixed microbial culture garden
CN113462521B (en) A culture system for anaerobic ammonia-oxidizing bacteria
CN201506790U (en) Fermentation tank
CN107188304A (en) A kind of method of wastewater treatment and system
CN206318778U (en) A kind of vertical biomass generator
CN215627892U (en) A kind of culture system of anammox bacteria
RU2319381C1 (en) Apparatus for cultivation of baker's ye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