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50B1 -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0350B1 KR102590350B1 KR1020210113521A KR20210113521A KR102590350B1 KR 102590350 B1 KR102590350 B1 KR 102590350B1 KR 1020210113521 A KR1020210113521 A KR 1020210113521A KR 20210113521 A KR20210113521 A KR 20210113521A KR 102590350 B1 KR102590350 B1 KR 102590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posture
- unit
- sensor unit
- p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8000020307 Sp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0 art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ome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시트(sheet)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반신과 양 어깨를 통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등 부분에 밀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 어깨 움직임에 따른 상기 밴드부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기울어짐 각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측정값과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을 제공한다.A main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sheet; A band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main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through the user's upper body and both shoulders; and a first sensor unit coupled to the band unit to measure a tensile force of the band unit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user's both shoulders, wherein 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second sensor unit that measures a tilt angle with respect to the user's upper body;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prese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and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측정한 후 잘못된 자세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imbalance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that measures the user's sitting posture through a sensor and then corrects the incorrect posture through feedback.
최근 통계 자료에 의하면, 연령별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평균 7.96시간으로 하루 중 매우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앉아있는 동안 자신의 자세가 어떠한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앉은 자세일 때, 자기 체중의 8배의 부담이 허리에 가해진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앉아 있더라도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 이는 올바른 자세와 비교할 때 1.5 내지 3배의 압력이 추가적으로 허리에 가해진다.According to recent statistical data, the average time spent sitting by age group is 7.96 hours, which occupies a very large portion of the day. Nevertheless, most people are not aware of their posture while sitting. It is known that when sitting in a sitting position, a burden of eight times one's own body weight is placed on the lower back. In particular, if you take a hunched posture even when sitting, 1.5 to 3 times more pressure is applied to your lower back compared to the correct posture.
2000년대 초반부터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척추 질환에 의한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이런 척추 질환은 앉은 자세를 올바르게 고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관련하여, 종래 척추 질환을 예방하고 교정하는 자세 교정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어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품들은 잘못된 자세에 대한 피드백이 없거나 휴대성이 부족하여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As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computers has increased since the early 2000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Meanwhile, these spinal diseases can be prevented to some extent by correcting the sitting posture. In relation to this, posture correction products that prevent and correct conventional spinal diseases have been released on the market and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However, conventional products had the disadvantage of not providing feedback on incorrect posture or being inconvenient due to lack of portability.
또한, 종래 기술 중 일부는 교정기가 자세를 올바른 형태로 교정해주기 때문에 코어 근육이 서서히 약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dditionally, some of the prior art techniques had the problem that core muscles may gradually weaken because the corrector corrects posture to the correct for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종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 특히 앉은 자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자세 불균형을 예방 및 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re capable of preventing and correcting the user's posture imbalance by analyzing the user's posture, especially the sitting posture, by using various sensors and providing feedback on this. We would like to provide a system.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본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어깨와 허리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설계하고자 한다.In addition, we aim to further improve user convenience for this system by developing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is installed on the user's smart device. Additionally, we would like to design hardware that can more accurately measure shoulder and waist movements while the user is sitting.
또한,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위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provide feedback on the user's sitting posture and provide notifications for stretching to the user. In addition, it facilitates the connection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mak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nveni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시트(sheet)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반신과 양 어깨를 통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등 부분에 밀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 어깨 움직임에 따른 상기 밴드부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를 포함하고,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e a main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sheet; A band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main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through the user's upper body and both shoulders; And a first sensor unit coupled to the band unit to measure the tensile force of the band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both shoulders of the user,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기울어짐 각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측정값과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second sensor unit that measures a tilt angle with respect to the user's upper body;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prese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and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2센서부는 상반신에 대한 전후방 기울어짐 제1각도 및 좌우측 기울어짐 제2각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can measure a first front-back tilt angle and a second left-right tilt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respectively.
상기 외부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이며,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된 전용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측정값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분석되고, 자세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device is the user's smart devic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s postur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and posture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자세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vibration unit that generates vib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r the posture information.
상기 밴드부에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의 제1지점 및 좌측 어깨의 제2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측정하는 제1서브센서유닛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first sub-sensor units that measure the spatial positions of the first point of the user's right shoulder and the second point of the user's left shoulder are formed in the band portion, respectively.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우측 허리의 제3지점 및 좌측 허리의 제4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측정하는 제2서브센서유닛이 각각 배치되는 허리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wearable on the user's waist, and a waist band portion in which second sub-sensor units that measure the spatial positions of the third point of the user's right waist and the fourth point of the left waist are respectively disposed. do.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1각도가 45도 내지 90도 이내 범위에 있는 제1자세와 90도 내지 120도 이내 범위에 있는 제2자세에 대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ng unit preferably generates vibration for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first angle is within the range of 45 degrees to 90 degrees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first angle is within the range of 90 degrees to 120 degre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iscuss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to be establis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은 각 종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 특히 앉은 자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sture imbalance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sensors to analyze the user's posture, especially the sitting posture, and provide feedback regarding the same.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본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어깨와 허리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user convenience for this system can be further improved by developing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is installed on the user's smart device. Additionally, the user's shoulder and waist movements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in a sitting position.
또한, 앉은 자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위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Additionally, it can provide feedback on sitting posture and provide notifications for stretching to the user. In addition, this system facilitates the connection between each component, mak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nvenien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하드웨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소프트웨어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대한 시제품 사진.
도 5는 도 1의 시스템을 착용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2센서부를 통해 상반신에 대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예시도.
도 6은 각 자세에 대한 예시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제1서브센서유닛 및 제2서브센서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움직임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posture imba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hardware conceptual diagram of Figure 1.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oftware of Figure 1.
Figure 4 is a prototype photo of Figure 1.
Figure 5 is an example of measuring movement of the upper body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for a user wearing the system of Figure 1.
Figure 6 is a photo showing examples of each posture.
Figure 7 is an example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upper body more precisely through the first sub-sensor unit and the second sub-sensor uni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alyzing a user's posture in a dedicated application using the measurement values of FIG. 7.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func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드웨어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소프트웨어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한 시제품 사진이며, 도 5는 도 1의 제2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예시도이고, 도 6은 각 자세에 대한 예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posture imba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hardware of FIG. 1 ,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oftware of FIG. 1 . FIG. 4 is a photo of the prototype of FIG. 1, FIG. 5 is an example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upper body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of FIG. 1, and FIG. 6 is a photo showing examples of each postur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은 본체부(100), 밴드부(200), 제1센서부(300), 제2센서부(110), 제어부(120), 통신모듈(130), 진동부(400), 배터리부(500), 메모리부(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대한 피드백(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1 to 6, the posture imbalance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부(100)는 시트(sheet) 형태를 갖는다. 본체부(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소정 빈 공간을 갖는다.The
밴드부(2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반신과 양 어깨를 통해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등 부분(특히, 양쪽 날개 뼈 사이)에 밀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밴드부(200)는 우측 팔이 끼워지는 우측밴드부와 좌측 팔이 끼워지는 좌측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부는 본체부에 연결되어 'X'자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밴드부(2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1센서부(300)는 밴드부(2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 어깨 움직임에 따른 밴드부(200)의 인장력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1센서부(300)는 예를 들어, 로드셀(load cell)일 수 있다. 사용자가 어깨를 움직이면, 움직임 정도에 따라 밴드부(200)가 늘어나는 양 즉, 신장량은 달라진다. 사용자가 본 시스템을 착용하면, 사용자는 일단 제1센서부(300)의 측정값이 0(제로)이 되도록 길이조절부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1센서부(300)는 우측밴드부와 좌측밴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센서부(300)는 밴드부(200)가 신장되면, 우측밴드부와 좌측밴드부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당겨지는(인장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300)는 본체부(100) 내에 수납될 수 있다.The
본 시스템이 사용자에 착용되면, 이 때, 제1센서부(300)는 무게 단위를 통해,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어깨가 움츠러들면 좌측 밴드부(200)가 신장되면서, 제1센서부는 좌측 어깨의 움직임 양을 무게(g)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센서부(300)는 어깨의 움직임 양 즉, 어깨신장량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is system is worn by a user, the
제2센서부(110)는 본체부(100)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기울어짐 각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센서부(110)는 상반신에 대한 전후방 기울어짐 제1각도 및 좌우측 기울어짐 제2각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센서부(110)는 3축(X축, Y축 및 Z축) 가속도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센서부(110)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3축 지자기 센서로 구성되는 MEMS 기반의 9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 및 제2각도는 지면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한편, 상반신은 일직선 모양의 모델링(도 6 참조)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한편, 제1센서부(300) 및 제2센서부(110)는 자체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각도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는 제1자세, 정자세 및 제2자세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자세는 제1각도가 45도 내지 90도 이내 범위에 있는 자세를 의미한다. 정자세는 제1각도가 90도인 자세를 의미한다. 제2자세는 제1각도가 90도 내지 120도 이내 범위에 있는 자세를 의미한다. 제2각도는 사용자의 상반신이 좌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의미한다. 그 결과, 제2센서부(110)는 본체부(100)의 기울기를 통해 본체부(100)와 밀착되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전후방 및 좌우측 기울기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제어부(120)는 제1센서부(300) 및 제2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측정값을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측정값을 각도와 무게로 각각 변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센서부(300) 및 제2센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20)는 본체부(100)에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다. The control unit 120 can convert the measured values through the
그리고, 제어신호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측정값이 외부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On/Off 스위치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외부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자세정보를 수신하여 자세정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제어신호는 진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제어신호는 후술할 에어유닛(9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signal allows the measured value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20 can block power suppli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On/Off switch formed on the
외부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D)이며, 스마트디바이스(D)에 설치된 전용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측정값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분석되고, 자세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전용애플리케이션은 특히, 앉은 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할 수 있다. 전용애플리케이션은 측정값이 누적되면 이를 통계 처리하여 월별, 일별, 시간대별 등 시계열에 따른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s the user's smart device (D), and the user's postur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s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D), and postur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 particular,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analyze the sitting posture and guide the user to the correct sitting posture. When measurement values are accumulated,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process them into statistics and provide data on the user's sitting posture according to time series such as monthly, daily, and time period.
또한, 스마트디바이스(D)와 통신하는 외부서버에는 올바른 앉은 자세를 정의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올바른 앉은 자세는 제1각도, 제2각도 및 어깨신장량의 3가지 기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외부서버는 다수의 서로 다른 스마트디바이스(D)와 통신할 수 있다. 전용애플리케이션은 본 시스템에서 스마트디바이스(D)로 전송되는 측정값을 기준으로 이에 대응되는 앉은 자세에 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dditionally, data defining the correct sitting posture is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smart device (D). The correct sitting posture can be set by three criteria: first angle, second angle, and shoulder extension amount. Meanwhile, the external server can communicate with multiple different smart devices (D).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display images of the corresponding sitting posture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s transmitted from the system to the smart device (D).
또한, 앉은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 스마트디바이스(D)는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전용애플리케이션은 측정값을 기준으로 잘못된 앉은 자세를 취하는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디바이스(D)와 본 시스템 사이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한다. 피드백은 예를 들어, 진동부(400)를 통한 진동의 형태이거나, 음성 등의 사운드, 에어유닛(900)을 통한 압력 등일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sitting pos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smart device (D) can provide stretching content to the user. In contrast, a dedicated application can provide feedback to users who adopt an incorrect sitting posture based on measurement values. This is achie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at connects the smart device (D) and the system. For example, the feedback may be in the form of vibration through the vibrating
통신모듈(130)은 미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며, 측정값과 제어신호를 전송(송,수신)한다. 여기서, 측정값은 제1센서부(300) 및 제2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다. 통신모듈(130)은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 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본체부(100)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본 시스템과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D)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0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at least one prese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sends and receives) measured values and control signals. Here, the measured value is measured through the
진동부(400)는 제어신호 또는 자세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부(400)는 예를 들어, 진동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400)는 제1자세와 제2자세에 대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진동부(400)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엘이디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부(140)는 본 시스템에 대한 전원 On/Off 정보, 잔존 배터리량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배터리부(500)는 본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부(500)는 예를 들어, 3.7V 350mAh 리튬 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부(500)는 몰렉스 커넥터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500)는 레귤레이터에 의해 본 시스템에 3.3V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배터리부(500)는 인쇄회로기판에 리튬 배터리 충전 회로를 추가하여 충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메모리부(600)는 본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알고리즘 관련 데이터, 제1센서부(300) 및 제2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측정값, 제1센서부(300) 등에 대한 초기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600 contains algorithm-related data for the operation of this system, measurement values measured through the
도 7은 제1서브센서유닛 및 제2서브센서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움직임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전용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7 is an example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upper body more precisely through the first sub-sensor unit and the second sub-sensor unit, and Figure 8 shows the user's posture in a dedicated application using the measurement values of Figure 7. This diagram shows an example of analysis.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밴드부(200)에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의 제1지점 및 좌측 어깨의 제2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측정하는 제1서브센서유닛(70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서브센서유닛(700)은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서브센서유닛(700)은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예를 들어, 3차원 공간 좌표의 형태로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a first
여기서, 제1지점은 구체적으로 우측 어깨의 상면이고, 제2지점은 좌측 어깨의 상면일 수 있다. 제1서브센서유닛(700)은 지면에서 우측 어깨까지의 제1높이와 지면에서 좌측 어깨까지의 제2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측 어깨와 좌측 어깨가 어느 일 측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서브센서유닛(700)은 제1지점에 대한 공간 좌표와 제2지점에 대한 공간 좌표를 이용하여 우측 어깨와 좌측 어깨가 어느 일 측으로 틀어져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point may b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shoulder, and the second point may be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shoulder. The first
또한,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우측 허리의 제3지점 및 좌측 허리의 제4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측정하는 제2서브센서유닛(800)이 각각 배치되는 허리밴드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리밴드부(1000)는 본 시스템을 통한 올바른 앉은 자세에 대한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킨다. 제2서브센서유닛(800)은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서브센서유닛(800)은 제3지점 및 제4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예를 들어, 3차원 공간 좌표의 형태로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ystem is formed to be wearable on the user's waist, and the second sub-sensor unit 800 that measures the spatial position of the third point of the user's right waist and the fourth point of the left waist is disposed, resp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band portion 1000. The waist band portion 1000 further improves the accuracy of correct sitting posture through this system. The second sub-sensor unit 80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Additionally, the second sub-sensor unit 800 may measure the spatial posi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points in the form of, for example, three-dimensional space coordinates.
여기서, 제3지점은 우측 허리 특히, 골반의 우측 상부이고, 제4지점은 좌측 허리 특히, 골반의 좌측 상부일 수 있다. 제2서브센서유닛(800)은 지면에서 우측 허리까지의 제3높이와 지면에서 좌측 허리까지의 제4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측 허리와 좌측 허리가 어느 일 측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서브센서유닛(800)은 제3지점에 대한 공간 좌표와 제4지점에 대한 공간 좌표를 이용하여 우측 허리와 좌측 허리가 어느 일 측으로 틀어져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third point may be the right waist, particularly the upper right side of the pelvis, and the fourth point may be the left waist, especially the upper left side of the pelvis. The second sub-sensor unit 800 can measure the third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right waist and the fourth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left wais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easure whether the right waist and left waist are tilted to one side. Additionally, the second sub-sensor unit 800 can measure whether the right waist and the left waist are twisted to one side using the spatial coordinates for the third point and the spatial coordinates for the fourth point.
허리밴드부(1000)는 전술한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D)와 무선 통신을 위한 서브통신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통신모듈은 제1서브센서유닛(700) 및 제2서브센서유닛(800)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스마트디바이스(D)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브통신모듈은 본체부(100) 내의 통신모듈(13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The waistband unit 1000 may include a sub-communication module 13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smart device (D) described above. The sub-communication module can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hrough the first
본 시스템은 스마트디바이스(D)에 설치되는 전용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1지점 내지 제4지점에 대한 공간 좌표를 이용하여 우측 어깨와 좌측 어깨 사이의 높낮이, 전후방과 좌우측 틀어짐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제1지점과 제2지점에 대한 각 공간 좌표 사이의 좌표 차이인 제1차이를 이용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우측 허리와 좌측 허리 사이의 높낮이, 전후방과 좌우측 틀어짐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제3지점과 제4지점에 대한 각 공간 좌표 사이의 좌표 차이인 제2차이를 이용한다. This system uses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D)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height between the right shoulder and left shoulder, and whether the front/back and left/right are distorted, using spatial coordinates for the first to fourth points. You can. This uses the first difference, which is the coordinate difference between each spatial coordinate for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addition, this system can more accurately analyze the height between the right and left waist, and whether the waist is distorted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This uses the second difference, which is the coordinate difference between each spatial coordinate for the third and fourth points.
또한,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우측 어깨와 좌측 허리 사이 즉, 제1지점과 제4지점 사이의 제1직선거리(L1)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좌측 어깨와 우측 허리 사이 즉, 제2지점과 제3지점 사이의 제2직선거리(L2)를 측정할 수 있다. 올바른 앉은 자세의 경우, 제1직선거리(L1)와 제2직선거리(L2)가 동일하다.Additionally, this system can measure the first straight line distance (L1) between the user's right shoulder and left waist, that is,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fourth point. Additionally, this system can measure the second straight line distance (L2) between the user's left shoulder and right waist, that is, between the second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the case of a correct sitting posture, the first straight line distance (L1)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distance (L2) are the same.
본 시스템에서, 올바른 앉은 자세는 제1각도, 제2각도 및 어깨신장량 뿐만 아니라, 제1차이, 제2차이, 제1직선거리 및 제2직선거리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올바른 앉은 자세는 7개 측정값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다. 또한, 올바른 자세를 규정하는 데이터는 외부서버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In this system, the correct sitting posture can be defined based on the first angle, second angle, and shoulder extension, as well as the first difference, second difference, first straight line distance, and second straight line distance. In other words, the correct sitting posture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by seven measurements. Additionally, data defining correct posture can be stored in advance on an external server.
한편, 제어부(120)는 제1서브센서유닛(700) 및 제2서브센서유닛(800)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값에 의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체부(100)는 에어공간부, 압력센서, 펌프부 및 밸브부를 포함하는 에어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공간부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격벽에 의해 4분할되는 제1에어공간 내지 제4에어공간을 포함한다. 에어공간부는 펌프부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소정 압력을 갖게 된다. 본 시스템에서 에어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사용자는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based on measurement values measured by the first
본 시스템은 펌프부가 작동될 때, 밸브부가 닫히도록 제어된다. 이 때, 에어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반면, 밸브부가 열리고, 펌브부의 작동이 정지되면, 에어공간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밸브부와 펌프부의 동작 조건에 따라 에어공간부 내의 압력은 조절될 수 있다.This system is controlled so that the valve section closes when the pump section operates. At this time, air may be injected into the air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ve part is opened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part is stopped, the air in the air space par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pressure within the air spa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valve unit and the pump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우측 어깨, 좌측 어깨, 우측 허리 및 좌측 허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이에 대응되어 제1에어공간 내지 제4에어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기를 주입시켜 일정 압력으로 사용자의 상반신을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잘못된 자세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잘못된 앉은 자세에서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앉은 자세를 취한 경우, 밸브부는 열리고, 펌프부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에어공간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t least one of the user's right shoulder, left shoulder, right waist, and left waist is tilted to one side, the system supplies ai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ir spaces in response to this. By injecting it, the user's upper body can be pressurized at a certain pressure. Through this, the user can recognize incorrect pos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orrects his/her posture from an incorrect sitting posture and assumes the correct sitting posture, the valve unit opens,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stops, and the air in the ai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본체부 200: 밴드부
300: 제1센서부 110: 제2센서부
120: 제어부 130: 통신모듈
140: 엘이디부
400: 진동부 500: 배터리부
600: 메모리부 700: 제1서브센서유닛
800: 제2서브센서유닛 900: 에어유닛
1000: 허리밴드부
D: 스마트디바이스100: main body 200: band part
300: first sensor unit 110: second sensor unit
120: Control unit 130: Communication module
140: LED
400: Vibration unit 500: Battery unit
600: Memory unit 700: First sub-sensor unit
800: Second sub-sensor unit 900: Air unit
1000: Waist band part
D: Smart device
Claims (7)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반신과 양 어깨를 통해 상기 본체부가 사용자의 등 부분에 밀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 어깨 움직임에 따른 상기 밴드부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대한 기울어짐 각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측정값과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부는 상반신에 대한 전후방 기울어짐 제1각도 및 좌우측 기울어짐 제2각도를 각각 측정하며,
상기 밴드부에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의 제1지점 및 좌측 어깨의 제2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측정하는 제1서브센서유닛이 각각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우측 허리의 제3지점 및 좌측 허리의 제4지점에 대한 공간 위치를 측정하는 제2서브센서유닛이 각각 배치되는 허리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값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4지점 사이의 제1직선거리(L1) 및 상기 제2지점과 제3지점 사이의 제2직선거리(L2)를 포함하고,
올바른 앉은 자세의 경우, 상기 제1직선거리와 상기 제2직선거리가 동일하며,
상기 본체부는 에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유닛은 격벽에 의해 제1에어공간 내지 제4에어공간으로 4분할되는 에어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공간부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 좌측 어깨 우측 허리 및 좌측 허리 중 적어도 하나가 일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제1에어공간 내지 상기 제4에어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
A main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sheet;
A band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main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through the user's upper body and both shoulders; and
A first sensor unit coupled to the band unit and measuring the tensile force of the band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both shoulders of the user,
The main body part,
a second sensor unit that measures the tilt angle of the user's upper body;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an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prese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and the control signal,
The second sensor unit measures a first angle of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and a second angle of tilt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respectively,
A first sub-sensor unit is formed in the band portion to measure the spatial position of the first point of the user's right shoulder and the second point of the user's left shoulder,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be wearable on the user's waist, and a waist band portion in which second sub-sensor units that measure the spatial positions of the third point of the user's right waist and the fourth point of the left waist are respectively disposed,
The measured value includes a first straight line distance (L1)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fourth point and a second straight line distance (L2) between the second point and the third point,
In the case of a correct sitting posture, the first straight line distance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distance are the same,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air unit,
The air unit includes an air space divided into four parts by a partition wall into first to fourth air spaces,
The air spac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ir is injec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ir spaces when at least one of the user's right shoulder, left shoulder, right waist, and left waist is tilted to one side. Postural imbalance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상기 외부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이며,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된 전용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측정값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분석되고, 자세정보가 생성되는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ternal device is the user's smart device,
A posture imbalance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in which the user's postur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s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and posture information is generated.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자세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A system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posture imbalance,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unit that generates vib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r the posture information.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1각도가 45도 내지 90도 이내 범위에 있는 제1자세와 90도 내지 120도 이내 범위에 있는 제2자세에 대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4,
A posture imbalance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in which the vibration unit generates vibration for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first angle is within the range of 45 degrees to 90 degrees and a second posture in the range of 90 degrees to 120 degre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521A KR102590350B1 (en) | 2021-08-26 | 2021-08-26 |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521A KR102590350B1 (en) | 2021-08-26 | 2021-08-26 |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1088A KR20230031088A (en) | 2023-03-07 |
KR102590350B1 true KR102590350B1 (en) | 2023-10-16 |
Family
ID=8551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3521A Active KR102590350B1 (en) | 2021-08-26 | 2021-08-26 |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0350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1934A (en) * | 2010-07-28 | 2012-02-09 | 오렌지로직 (주) | Posture correction helper system |
KR20190018265A (en) * | 2017-08-14 | 2019-02-22 | 주식회사 메이드웨이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monitoring |
KR20200001328A (en) * | 2018-06-27 | 2020-01-06 | 이재현 | Posture correction help system |
KR20210001286U (en) * | 2019-12-02 | 2021-06-10 | 박연하 | Smart Sensor Barrier Calibration Band |
-
2021
- 2021-08-26 KR KR1020210113521A patent/KR10259035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1088A (en) | 2023-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18663B2 (en) | Feedback wearable | |
EP3010414B1 (en) | Gait monitor and method of monitoring gait of person | |
US20210161458A1 (en) | Balance compensating device, body center measuring apparatus, balance compensation system, and balance compensation method | |
Bertolotti et al. | A wearable and modular inertial unit for measuring limb movements and balance control abilities | |
KR101834077B1 (en) | A postural balance training system | |
KR101976092B1 (en) | Posture correction system to correct round shoulder posture | |
CN106037752A (en) | Portable cervical vertebra rehabilitation auxiliary device and system | |
WO2013057622A1 (en) | A device for monitoring a user and a method for calibrating the device | |
KR102433074B1 (en) | Balance training system with heterogeneous sensor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rrect posture using the same | |
CN207950567U (en) | A kind of swimming position monitoring system | |
KR20210031221A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RECTIONS OF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In POSTURE SENSOR worn on the user’s head | |
CN107967794A (en) | A kind of method by electronic equipment monitoring user's posture | |
KR20160025864A (en) | Posture detecting upper garment and posture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5233000B2 (en) | Motion measuring device | |
KR102590350B1 (en) | Posture imbalance preventing and correction system | |
KR20150056123A (en) | Pose recognition apparatus using smartphone | |
KR101618443B1 (en) | Exercise system for posture and movement correction | |
CN105902271A (en) | Lower limb side force lin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 |
CN106236102B (en) | Motion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 |
EP2708185A1 (en) | Alarm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ncorrect postures | |
JP3155862U (en) | Pedometer with level | |
TWI740253B (en) | Posture fixer system | |
KR101947095B1 (en) | System for posture calibration and method thereof | |
KR20230161226A (en) | System for Body Measuring Three-Dimensional | |
EP3326518B1 (en) |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body pos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