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0121B1 - 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 Google Patents

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121B1
KR102590121B1 KR1020210021641A KR20210021641A KR102590121B1 KR 102590121 B1 KR102590121 B1 KR 102590121B1 KR 1020210021641 A KR1020210021641 A KR 1020210021641A KR 20210021641 A KR20210021641 A KR 20210021641A KR 102590121 B1 KR102590121 B1 KR 10259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vehicle
lane
dri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8031A (en
Inventor
유진주
김수현
Original Assignee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티투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121B1/en
Publication of KR2022011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0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2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차량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차로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고, 상기 제2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는 안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navigation guide server includes a lan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turning zone is divided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nd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 in the first zone, information about the lane to which the vehicle must change is generated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When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is required in the second zone, it may include a guidance guide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about how many lanes to move in which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there is.

Description

내비게이션 가이드 방법 및 서버,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가이드 방법 및 서버,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주행 경로의 상황에 맞춰 차로 변경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서로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정확한 차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guide method, server, and naviga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guide method, server, and naviga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fferent guide information for lane chan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vehicle's driving path, so that the vehicle can drive in the correct lane. It is an invention about technology.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등과 같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현재 선박, 항공기, 차량 등과 같은 각종의 이동체들에 탑재되어 이동체의 현재 위치와 이동 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A navigation device uses GPS signals received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o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of a moving object, such as a vehicle, on a map. These navigation devices are currently mounted on various moving objects such as ships, aircraft, and vehicles and are widely used to check the current location and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or to determine the moving path.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주행 경로로 차량을 안내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주행 경로 주변에 위치한 지형지물 및 도로 혼잡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는 안내 가이드를 제공한다.In general, when a user inputs a destination, a navigation device used in a vehicle searches for a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using map information and guides the vehicle to the driving route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visually or audibly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geographical features located around the driving route, road congestion, etc., thereby providing a guide to help the user reach the destination.

한편, 교차로나 일반도로와 고속도로가 만나는 IC(Inter Change) 및 고속도로와 고속도로가 만나는 JC(JunCtion)와 같이 회전 지점이 포함되어 있는 지점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 지점에 대한 정확한 안내가 필수적이다. On the other hand, if you have to pass through a point containing a turning point, such as an intersection or an IC (Inter Change) where a general road meets a highway, or a JC (Junction) where a highway meets a highway, you must accurately identify the turning point to prevent accidents. Guidance is essential.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주행 경로 상 회전 정보에 대해서만 제공할 뿐, 언제 어디서 정확하게 회전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직진 차로에서 주행하다가 무리하게 회전 차로로 차선을 변경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navig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y on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urns on the driving route and do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when and where exactly to turn, so accidents occur when driving in a straight lane and forcibly changing lanes to a turning lane.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red.

또한, 회전 차로에서 주행하다가 주행 경로 상 직진 주행을 해야하는 경우, 사전에 이를 인지하지 못해 무리하게 직진 차로로 차선을 변경하여 정체를 유발시키고,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when driving in a turning lane and having to drive straight on the driving route, there was a problem of not recognizing this in advance and forcibly changing lanes to the straight lane, causing congestion and causing accidents.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가이드 방법 및 서버, 내비게이션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주행 경로에서 회전을 해야 하는 경우, 회전 구역을 회전준비구역과 회전근접구역으로 구분하고 회전준비구역 및 회전근접구역에서 제공하는 안내 가이드를 서로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정확한 차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navigation guide method, server, and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inventions design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When a turn must be made in the driving route, the turn area is divided into a turn preparation area and a turn proximity area and the turn is made. The purpose is to enable vehicles to drive in the correct lane by providing different guidance in the preparation area and the turning area.

일 실시예에 차량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차로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고, 상기 제2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는 안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navigation guide server includes a lan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turning zone is divided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nd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 in the first zone, information about the lane to which the vehicle must change is generated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When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is required in the second zone, it may include a guidance guide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about how many lanes to move in which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there is.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구역의 추천 차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와 상기 추천 차로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guide guide unit may determine a recommended lane of the turning zone,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ehicle's driving lane and the recommended lane, and determine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적 속도 또는 정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determine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based o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tatic speed or congestion informa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경로 이탈 빈도를 수집하고, 상기 경로 이탈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The guidance unit may collect the frequency of deviation from the route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determine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based on the frequency of deviation from the route.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가이드 방법은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고, 상기 제2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navigation guid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determining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rmining a turning area included in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ividing the zone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nd when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is required in the first zone, information about the lane that the vehicle must change into is generated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If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 in Zone 2, it may include generating information on which direction and how many lanes to move based on the vehicle's driving lane as a guidance guide for Zone 2.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차로 판단부, 상기 주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an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turning area included in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divided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nd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 in the first zone, information about the lane that the vehicle needs to change is generated and output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and If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 in the second zone, it may include a guide unit that generates and outputs information about how many lanes to move in which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You can.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제2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회전 구역 내에 포함된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출력할 수 있다.When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is required in the second zone, the guide unit may use a geographical feature included in the turning zone to output the information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는 스피커로 안내하고 상기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동시에 안내할 수 있다.The guide guide may simultaneously guide the guide in the first zone using a speaker and guide the guide in the second zone using a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가이드 방법 및 서버, 내비게이션 장치는 주행 경로의 상황에 맞게 회전 구역을 회전준비구역과 회전근접구역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법으로 안내 가이드를 제공하므로 주행 상황에 알맞은 정확한 안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The navigation guide method, server, and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vide the turning area into a turning preparation area and a turning proximity area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situation and provide guidance in different ways, thereby providing accurate guidance appropriate to the driving situation. can be provid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가이드 방법 및 서버, 내비게이션 장치는 회전준비구역에서 제공하는 안내 가이드와 회전근접구역에서 제공하는 안내 가이드를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회전 구역을 이탈하여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의 정체를 억제하고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guide method, server, and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 different guidance guides provided in the turn preparation area and guidance provided in the turn proximity area,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driving outside the turn area. This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road congestion and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도 1 및 도 2는 회전준비구역과 회전접근구역을 구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을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차로 판단부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공신경망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인공신경망 모듈의 노드에서의 계산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신경망 모듈과 각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출력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신경망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차량의 주행 차로에 따라 안내 가이드가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서 서로 다른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서 서로 다른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서 서로 다른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와 차량 및 사용자 단말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s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ividing a rotation preparation area and a rotation approach area.
Figure 3 is a table for explaining criteria for dividing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vehicl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lane determination unit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inpu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output to a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alculation process at the nod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nd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pu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taining information output b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ases in which a guidance guide is needed and cases in which it is not required depending on the vehicle's driving lane.
Fig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different guides i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different guides i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different guides in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navigation guide server,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provi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또한, 이하 설명되는 내비게이션 장치(1)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차량과는 별개로 구성된 독립된 장치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일 구성 요소로 구현되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으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도 모두 포함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1 described below not only refers to an independent devic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vehicle that provides only navigation services, but also may refer to a device that is implemented as a component of the vehicle and provides navigation services, It can be interpret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a server that provides navigation services to a user terminal or vehicle, or a user terminal that provides navigation services.

도 1 및 도 2는 회전준비구역과 회전접근구역을 구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ividing a rotation preparation area and a rotation approach area.

개시된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구역이 포함된 주행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구역은 자동차전용도로를 신설 또는 확장하기 위해 기존 도로를 자동차전용도로로 편입시키거나 다른 자동차전용도로로 연결하기 위한 부체도로(Rampway)이거나, 일반 도로에 마련된 교차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losed navigation device 1 can guide a driving route that includes a turning area. Here, the turning area may be a rampway for incorporating an existing road into an automobile-exclusive road to create or expand an automobile-exclusive road, or for connecting to another automobile-exclusive road, or may include an intersection provided on a general road.

도 1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를 포함하는 차량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체도로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용도로를 주행할 수 있다. 주행경로는 첫 번째 부체도로가 아닌 두 번째 부체도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안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vehicle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1 can drive on an automobile road including at least two floating roads. The driving route may be guided by using the second subway road rather than the first subway road.

개시된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신호에 기초한 현재 위치에서 안내하는 부체도로의 거리에 기초하여 회전준비구역(10)과 회전근접구역(20)을 구분할 수 있다.The disclosed navigation device 1 can distinguish between the turn preparation area 10 and the turn proximity area 20 based on the distance of the floating road guiding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GPS signal.

즉, 회전준비구역(10)은 운전자가 회전에 직접적인 액션을 취할 필요는 없지만, 회전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구역이다. 회전근접구역(20)은 운전자가 회전을 위해 주변 주행 환경을 인지하고, 차로 변경과 같은 액션을 취해야하는 구역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the turn preparation area 10 is an area where the driver does not need to take direct action to turn, but must be aware of the turn. The turn proximity zone 20 refers to an area where the driver must be aware of the surrounding driving environment and take actions such as changing lanes in order to make a turn.

한편, 회전준비구역(10)과 회전근접구역(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설정한 이름이므로, 이하에서는 회전준비구역(10)을 제1 구역으로 지칭하고, 회전근접구역(20)은 제2 구역(20)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rotation preparation area 10 and rotation proximity area 20 are names establish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hereinafter, the rotation preparation area 10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zone, and the rotation proximity zone 20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zone. This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area 2 (20).

도 2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를 포함하는 차량은 도 1과 달리, 일반도로를 주행할 수 있다. 일반 도로는 도 2와 같이 교차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unlike FIG. 1, a vehicle including the navigation device 1 can drive on public roads. A general road may include an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2.

주행 경로 상 교차로에서 우회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신호 및 회전 구역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를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구분한다. When it is necessary to turn right at an intersection on the driving route, the navigation device 1 divides the driving route into a first zone 10 and a second zone 20 based on the GPS signal and the distance to the turning zone.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250m까지는 제1 구역(10), 회전 지점으로부터 100m에서까지는 제2 구역(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zone 10 up to 250 m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 second zone 20 up to 100 m from the turning point.

그 후 내비게이션 장치(1)는 구분된 제1 구역(10)과 제2 구역(20) 미 현재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안내 가이드를 출력함으로써, 차량이 안전하게 회전 구역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Thereafter,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different guidance guides in the divided first zone 10 and second zone 20 based on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allowing the vehicle to safely pass through the turning zone. You can do it. A detailed explanation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도 1 및 도 2 이외에도 내비게이션 장치(1)는 다양한 회전 구역이 포함된 주행 경로에서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안내하는 주행 경로 상에 회전 경로가 포함되지 않고 회전 경로를 지나치는 주행 경로를 포함하더라도, 내비게이션 장치(1)는 현재 위치에서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 차로가 아닌 직진 차로로 주행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FIGS. 1 and 2 , the navigation device 1 can distinguish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in a driving route including various turning zones. In addition, even if the guiding driving path does not include a turning path and includes a driving path that passes the turning path, the navigation device 1 can distinguish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at the current location. And, accordingly, it can be guided to drive in the straight lane rather than the turning lane.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FIG. 3 is a table for explaining criteria for dividing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개시된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구역에서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시작하는 오프셋을 도로 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도로 별로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설정하는 것을 정적 설정값으로 지칭한다. 그러나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정적 설정값을 기준으로 하되, 주행 환경 요소에 따라 적절하게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변경할 수 있다.The disclosed navigation device 1 can set offsets for starting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in the turning zone for each road. Setting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for each road in this way is referred to as a static setting value. However, the navigation device 1 may change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appropriately according to driving environment factors while using a static set value as a standard.

도 3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도로 정보에 따라 고속도로, 도시 고속도로, 2차로 이상 차도, 골목길로 도로를 구분하고, 서로 다른 구역 시작점을 설정할 수 있다. 도로 정보는 지도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경로 상에서 도로 정보를 기초로 정적 설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navigation device 1 can classify roads into highways, city highways, roads with two or more lanes, and alleyways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and set different zone starting points. Roa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map information, and the navigation device 1 may use static settings based on road information on the driving route.

구체적으로 고속도로에서 회전 구역이 포함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지점 전 1km에서 300m 전까지를 제1 구역(1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지점 전 300m에서 회전 지점까지를 제2 구역(20)으로 구분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turning area is included on a highwa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vide the area from 1 km before the turning point to 300 m before the turning point as the first area 10. Addition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vide the area from 300 m before the turning point to the turning point into a second area 20.

도시 고속도로에서 회전 구역이 포함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지점 전 700m에서 200m 전까지를 제1 구역(1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지점 전 200m에서 회전 지점까지를 제2 구역(20)으로 구분할 수 있다.When a turning zone is included on an urban highwa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stinguish the area from 700 m to 200 m before the turning point as a first zone 10. Addition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vide the area from 200 m before the turning point to the turning point into a second area 20.

2차로 이상의 차도에서 회전 구역이 포함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지점 전 250m에서 100m 전까지를 제1 구역(1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지점 전 100m에서 회전 지점까지를 제2 구역(20)으로 구분할 수 있다.If a turning area is included in a roadway with two or more lanes,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vide the area from 250 m to 100 m before the turning point into the first area 10. Addition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vide the area from 100 m before the turning point to the turning point into a second area 20.

골목길에서 회전 구역이 포함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을 구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회전 지점 전 50m에서 회전 지점까지를 제2 구역(20)으로 구분할 수 있다.If a turning area is included in an alle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not distinguish the first area 10 . Addition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vide the area from 50 m before the turning point to the turning point into a second area 20.

이렇게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경로에 포함된 각 도로 별 도로 정보를 통해 도로의 상황에 맞게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구분한 후, 이에 기초하여 안내 가이드를 제공하므로. 운전자는 충분한 거리 내에서 회전 지점에 대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navigation device 1 divides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through road information for each road included in the driving route, and then provides guidance based on this. . Drivers can prepare for turning points within sufficient distance.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환경 요소에 따른 변경 요소에 기초하여 정적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change the static set value based on change factors according to driving environment factors.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신호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주행 차로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주행 차로가 주행 경로 상 포함되는 추천 차로와 불일치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과 제2 구역(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etermine the current driving lane based on GPS signals and surroun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If the driving lane does not match the recommended driving lane included in the driving rout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주행 경로 상 추천 차로가 10차로인데 차량이 1 차로에서 주행하는 경우에는 이동해야 하는 차로가 많으므로,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의 시작지점을 정적 설정값에 따른 1km보다 더 길게 설정하거나, 제2 구역(20)의 시작지점을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on a highway, the recommended driving route has 10 lanes, but if the vehicle drives in 1 lane, there are many lanes to move to, so the navigation device 1 statically sets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area 10. Depending on the value, it can be set longer than 1km, or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area 20 can be set longer.

내비게이션 장치(1)는 차량의 주행 속도와 도로의 정적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제1 구역(10)과 제2 구역(20)의 시작지점을 변경할 수도 있다. The navigation device 1 may change the starting points of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by comparing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tatic speed of the road.

예를 들어, 80km가 도로 정적 속도인 도시 고속도에서 차량이 100km/h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는 차로를 변경하는데 안전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차량 제1 구역(10)의 시작지점을 700m보다 더 길게 설정하거나, 제2 구역(20)의 시작지점을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에게 회전 지점을 빠르게 인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vehicle is traveling at a speed of more than 100 km/h on a city highway where 80 km is the static road speed, the navigation device 1 sets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zone 10 of the vehicle 700 m to allow safe lane changes. It can be set longer, or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area 20 can be set longer. Through this, the driver can quickly recognize the turning point.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정체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10)과 제2 구역(20)의 시작지점을 변경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change the starting points of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based on conges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주행 경로가 정체 중인 경우, 운전자는 회전 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시간을 평소의 주행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에 대한 정적 설정값을 단축시키고, 이에 따른 적절한 안내 가이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ing route is congested, the driver can secure more time to recognize the turning point than during normal driving. In this cas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shorten the static set values for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and provide appropriate guidance to the driver accordingly.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정보에서 수집하는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기초하여 제1 구역(10)과 제2 구역(20)의 시작지점을 변경할 수도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may change the starting points of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based on the driver's driving habits collected from driving information.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안내하는 주행 경로에서 운전자의 경로 이탈 빈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avigation device 1 can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driver's route departure from the guided driving route and calculate the driver's driving skill level through this.

예를 들어,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가 높으면(예: 운전 숙련도가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이에 따른 적절한 안내 가이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가 낮으면(예: 운전 숙련도가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적절한 안내 가이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적 설정값의 변경 요소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는 이 외에도 다양한 변경 요소를 통해 정적 설정값을 주행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river's driving skill is high (e.g., the driving skill satisfies a threshold value), the navigation device 1 shortens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thereby Appropriate guidance can also be provided to the driver. On the contrary, if the driver's driving skill is low (e.g., the driving skill does not meet the threshold), the navigation device 1 increases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Accordingly, appropriate guidance may be provided to the driver. And this dynamic setting value change factor is only an example. In other words, the navigation device 1 can change the static set value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through various other change factors.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1)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navigation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차량 및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30), 입력된 목적지까지 차량을 안내하는 주행 경로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0), 주행 경로에 필요한 정보 및 추천 차로와 같은 안내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부(50), 차량 및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0), 주행중인 차량의 차로를 판단하는 차로 판단부(100) 및 전술한 구성을 제어하는 안내 가이드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비게이션 장치(1)의 전반적인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구성을 안내 가이드부(80)로 지칭하여 설명하지만, 안내 가이드부(80)는 그 특성에 따라 제어부로 지칭될 수 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navigation device 1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0 that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and external servers, a display unit 40 that outputs a driving route that guides the vehicle to the entered destination and various user interfaces. , an output unit 50 that output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riving route and a guide such as recommended lanes in sound, a storage unit 60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and external servers, etc., and determines the lane of the vehicle being driven. It may include a lane determination unit 100 that determines the lane and a guidance guide unit 80 that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FIG. 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overall processor of the navigation device 1 is described as the guidance guide unit 80. However, the guidance unit 80 may be referred to as a control unit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there is.

통신부(30)는 차량으로부터 주행 정보 및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0 can receive driving information and GPS signals from the vehicle.

주행 정보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가이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현재 차량의 속도 및 위치, 후술할 차로 판단부(100)가 차로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1)가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도 있고, 통신부(30)를 통해 차량 또는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Driv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s navigation guide, and may includ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current speed and location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to determine the la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 is. Such driving information may be independently generated by the navigation device 1, or may be received from the vehicle or a server providing a navigation guide ser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따라서, 통신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에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유무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30)는 외부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하거나 저장부(60)에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의 업데이트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s driving speed and the driving lane through wired or wireless means.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30 may receive GPS signals from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a wireless interface.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30 may receive map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or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to update map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디스플레이부(40)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주행 경로, 차량의 주행 속도, 지도 정보 및 안내 가이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 is composed of a display and can visually display the driving route, vehicle driving speed, map information, and guidance guide. The display may include a variety of display panel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한편, 디스플레이가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if the display includes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is, a software device, such as a touch pad, it may serve a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user input.

출력부(50)는 안내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스피커 및 그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50 is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as sound and may include a speaker and an interface necessary therefor.

저장부(60)는 통신부(30)가 수신한 다양한 정보 및 내비게이션 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60 can store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1.

구체적으로 저장부(60)가 저장하는 주행 정보는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주행 속도, 엔진 상태, 주행하는 차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0)는 통신부(30)가 수신하는 GPS 신호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안내 가이드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0)는 지도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안내 가이드부(70)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도 정보에는 회전 지점에 대한 추천 차로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by the storage unit 6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driving speed received from the vehicle, engine status, and driving lane.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60 can temporarily store the GPS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0 and transmit it to the guidance unit 70.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60 may store map information in advance and provide information for the guidance unit 70 to search for a driving route to reach the destination. The m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geographical features, recommended lanes for the turning point.

저장부(60)는 안내 가이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60)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세요"라는 안내 가이드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안내 가이드부(70)의 제어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부(40) 및 출력부(50)로 미리 저장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60 can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formation guid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60 stores the guide “Turn to the right” in data form, and stores it in advance in the display unit 40 and the output unit 50 under the control of the guide unit 70. data can be provided.

저장부(6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60)는 후술하는 안내 가이드부(7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60 i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or RAM such as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or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60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guide unit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차로 판단부(100)는 주행중인 차량이 현재 전체 도로 중에서 몇 차선으로 주행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주행 영상을 기초로 인공신경망 모듈을 활용하여 현재 주행중인 차량이 가장 왼쪽 차선으로부터 몇 번째 차선이지, 또는 가장 오른쪽 차선으로부터 몇 번째 차선인지에 대한 정보를 추론하여 판단할 수 있다. 차로 판단부(100)에서 판단된 현재 주행중인 차량의 차로 정보는 안내 가이드부(70)로 송신될 수 있다.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may determine which lane of the entire road the driving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in. Specifically, based on driving images acquired through cameras installed in the vehicl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is used to infer information about which lane the currently driving vehicle is from the leftmost lane or which lane is from the rightmost lane. This can be judged. Information on the lane of the currently driving vehicle determined by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guide unit 70.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통해 차로 판단부(100)가 어떠한 방법으로 차로를 판단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본다.Hereinafter, we will look in detail at how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determines the lane through FIGS. 5 to 1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차로 판단부(10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차로 판단부(100)는 차로 판단부(100)로 지칭하여 설명한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put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input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ill be referred to as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도 5를 참조하면, 차로 판단부(100)는 영상 정보 수집 모듈(110),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 출력 정보 분포 계산 모듈(130), 레퍼런스 정보 분포 계산 모듈(140), 신뢰도 캘리브레이션 모듈(150), 특징 추출 모듈(160) 및 차로 변경 확정 인공신경망 모듈(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0, a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an output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30, a reference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40, and reliability calibration. It may include a module 150, a feature extraction module 160, and a lane change confirm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70.

영상 정보 수집 모듈(110)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전방 및 측면의 주행 영상 정보(210)를 수집하고, 수집한 영상을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로 송신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0 collects driving image information 210 of the front and sides of the vehicle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mounted on the vehicle, and converts the collected images in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Can be sent.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은 영상 정보 수집 모듈(110)이 수집한 차량의 주행 영상 정보(210)를 입력 정보로 하고, 현재 차량이 몇 차선을 주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추론한 차로 예측 정보(220) 및 추론된 차로에 대한 신뢰도 정보(230)를 출력 정보로 하는 인공신경망 모듈로서,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은 상기 입력 정보와 출력 정보를 기초로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 세션(121)과, 입력 정보를 기초로 출력 정보를 추론하는 추론 세션(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uses the vehicle's driving image information 210 collected by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0 as input information, and lane prediction information ( 220) and reliability information 230 for the inferred lane as output information, and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is a learning session 121 that performs learning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and an inference session 122 that infers output information based on input information.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학습 세션(121)은 입력 정보와 출력 정보를 기초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세션이며, 추론 세션(122)은 학습된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주행 영상 정보(210)를 분석하여, 현재 차량이 몇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는지 추론한 차로 예측 정보(220)와, 이에 대한 신뢰도 정보(230)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The learning session 121 of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is a session that can perform learning based on input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and the inference session 122 uses the learned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By analyzing the driving image information 210 input in real time,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that infers which lane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ing in and reliability information 230 related thereto can be output together.

예를 들어,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재 주행중인 차량에 대한 차로를 추론한 결과, 주행 차로가 제1차로라고 판단된 경우 제1차로를 차로 예측 정보(220)로 출력하고, 동시에 제1차로로 판단한 신뢰도 정보(230, 예를 들어 0.8)를 출력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image is input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put image and inferring the lane for the currently driving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lane is the first lane, the first lane can be output as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and at the same time, reliability information 230 (for example, 0.8) determined as the first lane can be output as output information.

또한,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차로 예측 정보(220)는 구체적으로 특정 차선을 기준으로 몇 번째 차선인지에 대한 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1차선을 기준으로 현재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로가 몇 번째 차선인지에 대한 차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반대로 도로의 마지막 차선을 기준으로 현재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로가 몇 번째 차선인지에 대한 차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output from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may be specifically output as information about which lane the lane is based on a specific lane. For example, you can output lane information about which lane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in based on the first lane of the road, and conversely, how many lanes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in based on the last lane of the road. Lane information about whether it is the second lane can be output.

차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같이 특정 차선을 기준으로 몇 번째 차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경우, 운전자는 차량과 근접해 있는 기준 차선을 기준으로 자신의 차선이 몇 번째 차선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주행 경로에 따라 차선을 변경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차선 변경을 준비하고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In providing lane informa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formation is provided on which lane is based on a specific lane, the driver can know which lane is his/her lane based on the reference lane closest to the vehicle. ,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prepare and change lanes more stably when changing lanes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공신경망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인공신경망 모듈의 노드에서의 계산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alculation process at the nod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도 7을 참조하면,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다층 신경망 모델은 입력층(260, input layer), 은닉층(270, hidden layer) 및 출력층(280, output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ulti-layer neural network model of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may be composed of an input layer (260), a hidden layer (270), and an output layer (280).

입력층(260)은 각 입력 인자에 대응되는 노드로 구성되며, 노드의 수는 입력 인자의 개수와 같다. 은닉층(270)은 입력층(260)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자값들의 선형 결합을 시그모이드 함수와 같은 비선형 함수로 처리하여 출력층 또는 다른 은닉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지면의 한계상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이 한 개의 은닉층(270)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은 복수개의 은닉층(27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층(280)은 출력 인자에 대응되는 노드로서 분류 모형에서는 클래스의 수만큼 출력 노드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되는 정보는 현재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선이 몇 차로인지에 대한 차로 예측 정보(220) 및 이데 대한 신뢰도 정보(230)가 출력 정보로 구성이 되는바 출력층(2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층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활용 환경에 따라 복수 개의 출력층(280)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The input layer 260 is composed of nodes corresponding to each input factor, and the number of nodes is equal to the number of input factors. The hidden layer 270 may process a linear combination of argument values transmitted from the input layer 260 into a non-linear function such as a sigmoid function and transmit it to the output layer or another hidden layer. In FIG. 7,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is shown as having one hidden layer 270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groun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hidden layers 270. can do. The output layer 280 is a node corresponding to an output factor, and in a classification model, output nodes can be created as many as the number of class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information consists of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about which lane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in and reliability information 230 about this as output information. The output layer 280 is shown in FIG. 7. As shown, it is depicted as one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utput layers 280 depending on the utilization environmen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각각의 노드에서는 실제로 연산이 일어나는데,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연산 과정은 인간의 신경망을 구성하는 뉴런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모사하도록 수학적으로 설계되어있다. As shown in FIG. 8, when inpu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calculations actually occur at each node. The calculation process of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is performed using the neurons constituting the human neural network. It is mathematically designed to simulate the processes that occur in

노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반응을 하는데, 그 반응의 크기는 바이어스(bias) 값을 제외하고 입력 값과 노드의 파라미터(parameter, 또는 가중치, weights)를 곱한 값과 대략 비례한다. 일반적으로 노드는 여러 개의 입력을 받으며 입력의 개수만큼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파리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여러 입력에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곱한 값들은 전부 더해지고 그 합은 출력층(280)인 활성 함수(activation function)의 입력으로 들어가게 된다. 활성 함수의 결과가 노드의 출력에 해당하며 이 출력값이 궁극적으로 분류나 회귀 분석에 쓰이게 된다. A node responds when it receives stimulation of a certain size or more, and the size of the response is roughly proportional to the value multiplied by the input value and the node's parameters (or weights), excluding the bias value. Generally, a node receives multiple inputs and has as many parameters as the number of inputs. Therefore, by adjusting this parameter, different weights can be assigned to various inputs. Finally, all multiplied values are added and the sum is input to the activation function, which is the output layer 280. The result of the activation function corresponds to the output of the node, and this output is ultimately used for classification or regression analysis.

신경망 모델의 각 층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력값에 따라 각 노드의 활성화/비활성화 여부가 결정된다. 입력 정보는 첫 번째 층(입력층, input layer)의 입력이 되며 그 이후엔 각 층의 출력이 다시 다음 층의 입력이 된다. 모든 계수는 학습 과정에서 계속 조금씩 변하는데, 결과적으로 각 노드가 어떤 입력을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반영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인공 신경망 모델의 '학습(training)'은 이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의미한다.Each layer of the neural network model consists of at least one node, and activation/deactivation of each node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input value. The input information becomes the input of the first layer (input layer), and after that, the output of each layer becomes the input of the next layer. All coefficients continue to change slightly during the learning process, ultimately reflecting which input each node considers important. And ‘training’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described above refers to the process of updating this coefficient.

본 발명의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인공신경망은 CNN 네트워크를 차용할 수 있다.A representative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lied to the car road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NN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피드-포워드적인 심층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의 한 종류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콘볼루션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통합 계층(pooling layer), 완전하게 연결된 계층(fully connected layer)들로 구성된 신경망을 의미한다. 한국어로는 합성공 신경망으로 지칭된다. CNN은 2차원 데이터의 학습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역전달(Backpropagation algorithm)을 통해 훈련될 수 있다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a type of feed-forward deep neural network (DNN) used to analyze visual images. It consists of one or several convolutional layers, a pooling layer, It refers to a neural network composed of fully connected layers. In Korean, it is referred to as a synthetic neural network. CNN has a structure suitable for learning two-dimensional data and can be trained through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CNN 과정은 크게 특징 추출, 영향 최소화 및 분류 작업을 반복하면서, local feature으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는 global feature을 얻을 수 있다.The CNN process largely repeats the tasks of feature extraction, impact minimization, and classification, and can obtain global features that can represent the entire image from local features.

CNN의 경우 동일한 계수를 가지는 필터를 전체 영상에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변수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때문에, topology 변화에 무관한 항상성(invariance)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하며,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과 같이 입력되는 이미지를 기초로 차로를 판단함에 있어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In the case of CNN, by repeatedly applying filters with the same coefficients to the entire image, the number of variables is dramatically reduced, so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invariance that is independent of topology changes, and this effect is achiev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accuracy when determining a lane based on an image that is also input.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적용되는 신경망으로서, CNN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적용되는 신경망 구조는 CNN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검출에 유용한 Google Mobile Net v2, VGGNet16 및 ResNet50 등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인공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neural network applied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CNN, but the neural network structure applied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CNN. Rather, various know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such as Google Mobile Net v2, VGGNet16, and ResNet50, which are useful for image detection, can be applied.

도 9는 본 발‘m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신경망 모듈과 각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인공신경망 모듈의 파라미터가 학습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nd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pecifically a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by which parameter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re updated through learning.

도 9를 참조하면,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의해 출력되는 차로 예측 정보(220)와 이에 대한 신뢰도 정보(230)는 출력 정보 분포 계산 모듈(130)로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and corresponding reliability information 230 output by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may be input to the output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30.

출력 정보 분포 계산 모듈(130)은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차로 예측 정보(220) 및 이에 대한 신뢰도 정보(230)에 대한 데이터 분포도를 구체적으로 계산하는 모듈이다. The output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30 is a module that specifically calculates the data distribution for the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and the reliability information 230 output from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예를 들어,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이 입력된 100장의 이미지를 기초로 각각 몇 차로로 주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차로 예측 정보(220)와, 이에 대한 신뢰도 정보(230)를 추론을 거쳐 출력을 하였다면, 출력 정보 분포 계산 모듈(130)은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이 출력한 차로 예측 정보(220)와 신뢰도 정보(230)를 수신한 후, 수신한 정보들을 기초로 이에 대한 분포도를 분석하여 제1데이터 분포도(X)를 생성할 수 있다. 제1데이터 분포도(X)는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입력되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추론하여 출력한 출력 정보들이 어떠한 값들로 분포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For example,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infers and outputs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about which lane each is driving on based on the 100 input images, and reliability information 230 about this. If so, the output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30 receives the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and reliability information 230 output by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and then creates a distribution map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a first data distribution chart (X) can be generated. The first data distribution chart (X) refers to information about what values the output information inferred and output for each image input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is distributed.

레퍼런스 정보 분포 계산 모듈(140)은 차량의 실제 주행 차로 예측 정보에 대한 레퍼런스(reference) 정보를 수집하고 레퍼런스 정보(240)의 데이터 분포도를 계산하여 제2데이터 분포도(Y)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ference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40 may collect referenc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s actual driving lane prediction information and calculate the data distribution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240 to generate a second data distribution (Y).

레퍼런스 정보(240)는 인공신경망 모듈의 파라미터를 업데이트 함에 있어서 기준이 될 수 있는 정보로서, 그라운드 트루스(Ground Truth) 정보라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입력되는 이미지들에 대한 실제 차로 정보들이 레퍼런스 정보(240)에 포함될 수 있다.Reference information 240 is information that can serve as a standard when updating parameters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and is also called ground truth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ctual lane information for images input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may be includ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240.

신뢰도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인공신경망 모형의 출력 값이 실제 신뢰도(confidence)를 반영하도록 인공신경망 모형의 각종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정보 A의 출력 정보 B 에 대한 모형의 출력이 0.9가 나왔을 때, 90 % 확률로 B일 것 이라는 의미를 갖도록 인공신경망 모형의 각종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liability calibration module 150 may perform calibration to change various parameter value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so that the output valu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reflects actual reliability. For example, when the output of the model for output information B of input information A is 0.9,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to change various parameter value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so that it means that there is a 90% probability that it will be B.

신뢰도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모형을 켈리브레이션함에 있어서, 출력 정보 분포 계산 모듈(130)로부터 제1데이터 분포도(X)를 수신하고, 레퍼런스 정보 분포 계산 모듈(140)로부터 제2데이터 분포도(Y) 수신하고, 제2데이터 분포도(Y)를 기준으로 제 1데이터 분포도(X)와 제2데이터 분포도(Y)의 차이가 감소하도록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파라미터(parameter)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으로 켈리브레이션을 할 수 있다.When calibrating the model of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the reliability calibration module 150 receives the first data distribution diagram (X) from the output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30 and uses the reference information dis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40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map (Y)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map (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ata distribution map (X) and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map (Y) is reduced to reduce the differenc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by updating parameters.

차로 예측과 관련하여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입력된 이미지 100장에 대해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이 각각 추론한 차로 예측 정보가, 제1차로로 예측한 비율 20%, 2차로로 예측한 비율이 50%, 3차로로 예측한 비율이 30%이고, 레퍼런스 정보(240)에 의할 경우 1차로 비율이 30%, 2차로로 비율이 45%, 3차로로 비율이 25% 인 경우, 신뢰도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실제 레퍼런스 정보(240) 비율에 맞추도록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파라미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To describe an embodiment in relation to lane prediction, the lane prediction information inferred by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for 100 input images is 20% predicted as the first lane, and 20% predicted as the second lane. If the ratio of one lane is 50%, the predicted ratio of 3 lanes is 30%, and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240), the ratio of 1 lane is 30%, the ratio of 2 lanes is 45%, and the ratio of 3 lanes is 25%. , the reliability calibration module 150 may update the parameters of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to match the actual reference information 240 ratio.

이에 따르면,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신뢰도 정보(230)가 차로 예측 정보(220)에 대한 실제 확률에 가까워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According to this, the reliability information 230 output from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has the effect of becoming closer to the actual probability of the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0.

또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신뢰도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아웃풋 레이어에 해당하는 소프트맥스 함수를 부드럽게(soften) 해주는 방법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K개의 라벨(label)이 붙어 있는 다중 분류 문제 상황에서 로직 백터(Logit vector) Z를 단일 스칼라 파라미터(single scalar parameter)인 T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1과 변환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one embodiment, the reliability calibration module 150 can perform calibration by softening the softmax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layer. Specifically, the reliability calibration module 150 can perform calibration by softening the softmax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layer. In a classification problem situation,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by converting the logic vector Z with Equation 1 below using T, a single scalar parameter.

(수학식 1)(Equation 1)

q^는 켈리버레이트 확률(calibrated probability)을 의미하며, 상기 수학식 3은 K개의 라벨(label)이 붙어 있는 다중 분류 문제에서 로직 백터(Logit vector)를 단일 스칼라 파라미터(single scalar parameter)인 T로 나눔으로써,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q^ means calibrated probability, and Equation 3 above is a logic vector in a multi-classification problem with K labels attached to a single scalar parameter, T This means performing calibration by dividing by .

수학식 3에서 단일 스칼라 파라미터인 T 가 1인 경우, 소프트맥스(Softmax)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구하는 원래의 식이 되며, T 가 커질 수록 최종 q 는 1/K 로 수렴하게 되며, T가 0에 가까워질수록 q는 1에 가까워 진다.In Equation 3, if T, a single scalar parameter, is 1, it becomes the original equation for calculating reliability using Softmax. As T increases, the final q converges to 1/K, and as T approaches 0, As the number increases, q gets closer to 1.

또한, 단일 스칼라 파라미터 T는 학습에 의해 최적의 값이 결정되어 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의 밸리데이션 세트(validation set)와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또 다른 밸리데이션 세트인 캘리브레이션 밸리데이션 세트를 이용하여 단일 스칼라 파라미터 T 대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mal value of the single scalar parameter T can be determined through learning, specifically, calibration validation, which is another validation set that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validation set of the car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Learning can be performed on a single scalar parameter T using a set.

구체적으로 신뢰도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캘리브레이션 밸리데이션 세트를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밸리데이션 세트에서의 NLL(Negative Log Likelihood) 값이 최소가 되도록 단일 스칼라 파라미터 T에 대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을 하는 경우, 단일 스칼라 파라미터인 T는 소프트 맥스의 아웃풋의 최대값을 바꾸지 않으면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종래 모델의 캘리브레이션에만 영향을 주고 정확도(accuracy)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종래 학습되어 있는 인공신경망 모듈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Specifically, the reliability calibration module 150 may use the calibration validation set to perform learning on a single scalar parameter T so that the Negative Log Likelihood (NLL) value in the calibration validation set is minimized. When performing calibration in this way, T, a single scalar parameter, can be calibrated without changing the maximum value of the output of the soft max. Therefore,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conventionally trai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s because it only affects the calibration of the conventional model and does not affect the accuracy.

도 10은 본 발명의 출력층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인공신경망에 따라 출력된 정보가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pu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information output according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of Figure 1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of the navigation devic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는 주행 영상 정보(210)로 도 3과 동일하나, 출력층이 하나의 레이어가 아니 제1출력층(81)과 제2출력층(8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o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riving image information 210, which is the same as FIG. 3, but the output layer is not one layer, but the first output layer 81 and the It may include a second output layer 82.

제1출력층(81)과 제2출력층(82)은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역할을 수행하는데, 대표적으로 소프트맥스 함수 또는 교차 엔트로피 함수(cross entropy fun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프트맥스 함수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The first output layer 81 and the second output layer 82 serve as an activation function, and typically a softmax function or a cross entropy function may b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xplanation below will be based on the softmax func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120)은 출력층에서 제1소프트맥스 함수와 제2소프트맥스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제1소프트맥스 함수는 제1차선을 기준으로 현재 주행중인 차량이 몇 번째 차로로 운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제1차로 예측 정보(221)와 이에 대한 제1차로 신뢰도 정보(231)를 출력하고, 제2소프트맥스 함수는 마지막 차선을 기준으로 현재 주행중인 차량이 몇 번째 차로로 운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제2차로 예측 정보(222)와 이에 대한 제2차로 신뢰도 정보(232)를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rst softmax function and the second softmax function in the output layer, the first softmax function is based on the first lane. The first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1) and the first lane reliability information (231) about which lane the currently driving vehicle is traveling in are output, and the second softmax function outputs the current driving lane based on the last lane. Second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2 about which lane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nd corresponding second lane reliability information 232 can be output.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프트맥스 함수의 출력 정보는 제1차선을 기준으로 2번째 차로로 판단한 제1차로 예측 정보(221)와 이에 대한 제1차로 신뢰도 정보(231)가 각각 2차로 및 0.999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2 소프트맥스 함수의 출력 정보는 마지막 차선을 기준으로 2번째 차로로 판단한 제2차로 예측 정보(222)와 이에 대한 신뢰도 정보(232)가 각각 2차로 및 0.994로 출력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1,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first softmax function includes first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1,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second lane based on the first lane, and first lane reliability information 231 for this, respectively. It can be output as 2 lanes and 0.999, and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second softmax function is the second lane prediction information 222, which is judged to be the second lane based on the last lane, and the reliability information 232 for this, respectively, as the second lane and 0.999. It can be output as 0.994.

차로 판단부(100)는 출력된 차로 예측 정보와 이에 대한 신뢰도 정보를 기초로 신뢰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출력된 차로 예측 정보를 현재 주행중인 차량의 차로 정보라 판단하고, 판단한 차로 정보를 안내 가이드부(70)로 송신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일 예로 0.8이상일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4로 돌아와 차로 판단부(100)에서 판단한 차로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가이드를 생성하는 안내 가이드부(70)에 대해 알아본다.If the reliability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set standard based on the output lane predic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reliability information,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output lane prediction information is lan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driving vehicle and provides the determined lane inform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guide unit 70. The preset standard can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may be 0.8 or more. Hereinafter, we will return to FIG. 4 and look at the guidance unit 70 that generates a guidance guide using the lan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도 4를 참조하면, 안내 가이드부(70)는 내비게이션 장치(1)의 안내 가이드를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내비게이션 장치(1)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guidance unit 70 can generate a guidance guide for the navigation device 1 and provide it to the driver while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1.

구체적으로 안내 가이드부(70)는 차량의 주행 정보 및 GPS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10) 및 상기 제2 구역(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 가이드부(70)는 저장부(60)에 미리 저장된 정적 설정값을 기준으로 도로 정보에 따라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구분하고, 현재 주행하는 추천 차로, 도로의 정적 속도, 주행 속도 및 운전자의 경로 이탈 빈도에 기초하여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확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ance unit 70 may divide the turning area included in the driving route into the first area 10 and the second area 20 based o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GPS signals. As described above in FIG. 3, the guidance unit 70 divides the first area 10 and the second area 20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based on static settings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ly driving recommended lane, the static speed of the road, the driving speed, and the driver's route deviation frequency.

안내 가이드부(70)는 제1 구역(10)에서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를 생성하고, 제2 구역에서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 가이드부(70)는 주행 정보 및 차로 판단부(100)에서 판단한 현재 차량의 주행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0)에서의 안내 가이드와 제2 구역(20)에서의 안내 가이드를 다르게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The guide unit 70 may generate a guide that is output in the first zone 10 and a guide that is output in the second zone. Specifically, the guidance unit 70 provides a guidance guide in the first area 10 and a guidance guide in the second area 20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determined by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can be created identically or differently.

예를 들어, 안내 가이드부(70)는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2 구역(20)에서 차량이 추천 차로로 주행 차로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구역(20)은 제1구역(10)보다 회전해야 하는 지점이 가까우므로, 안내 가이드부(70)는 운전자의 빠른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제1 구역(10)에서 추천 차로로 주행 차로를 변경하라는 안내 가이드를 제1 구역(10)에서 출력할 안내 가이드보다 더 큰 소리 또는 더 짧은 주기로 안내를 하거나, 운전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0)의 제1구역(10)에서의 안내 가이드보다 더 구체적으로, 자세히 안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ance unit 70 may determine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If the vehicle needs to change the driving lane to the recommended lane in the second zone 20, the second zone 20 is closer to the point where it must turn than the first zone 10, so the guidance unit 70 In order to induce the driver to make a quick turn, the guide to change the driving lane from the first zone 10 to the recommended lane is announced louder or at a shorter cycle than the guide to be output in the first zone 10, or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is, more specific and detailed guidance can be provided than the guidance guide in the first area 10 of the display unit 40.

또한, 안내 가이드부(70)는 안내 가이드를 결정함에 있어, 지형지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에서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에는 지형지물을 포함하지 않고, 제2 구역(20)에서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에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는 제2구역(20)에서 보다 정확히 회전 구역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the guidance unit 70 may use geographical features when determining a guidance guide. For example, the guide output from the first area 10 may not include a geographical feature, but the guide output from the second area 2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feature. In this case, the driv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accurately perceive information about the turning zone in the second zone 20.

안내 가이드부(70)가 안내 가이드를 다르게 결정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이하 다른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A specific example in which the guidance unit 70 determines a different guidance guid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안내 가이드부(70)는 내비게이션 장치(1)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guidance unit 70 has a memory (not shown)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navigation device 1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and use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processor (not shown) that performs the operation. At this time,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each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한편, 내비게이션 장치(1)는 도 4에서 전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명칭에 구속되지 않고 전술한 동작에 필요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안내 가이드부(70)와 차로 판단부(100)를 별도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지만, 안내 가이드부(70)와 차로 판단부(100)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n FIG. 4,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necessary 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name. In FIG. 4, the guidance unit 70 Although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is shown as a separate component, the guidance guide unit 70 and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도 12는 개시된 내비게이션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13은 차량의 주행 차로에 따라 안내 가이드가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sclosed navigation device 1, and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ases in which a guidance guide is needed and cases in which it is not required depending on the vehicle's driving lane.

도 12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경로 상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S100).Referring to FIG. 12,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ivide the turning area included in the driving rout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S100).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는 미리 저장된 정적 설정값을 기준으로 도로 정보에 따라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구분하고, 현재 차량이 주행중인 차로, 추천 차로, 도로의 정적 속도, 주행 속도 및 운전자의 경로 이탈 빈도 등과 같은 변경 요소에 기초하여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확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in FIG. 4, the navigation device 1 divides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based on pre-stored static settings,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ing.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may be determined based on changing factors such as the actual lane, the recommended lane, the static speed of the road, the driving speed, and the frequency of the driver deviating from the route.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이 주행하는 구역이 제1 구역(10) 또는 제2 구역(20)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300).The navigation devic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area i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ing is in the first area 10 or the second area 20 based on GPS information (S200, 300).

만약 차량이 제1 구역(10)에서 주행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차로가 추천 차로에서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If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first zone 10,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lane is in the recommended lane (S210).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는 차로 판단부(100)에서 판단한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이 추천 차로에서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ing in the recommended lane based on lan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만약 차량이 추천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차로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안내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S220).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recommended lan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guidance guide indicating that a change in the driving lane is necessary (S220).

내비게이션 장치(1)가 제1 구역(10)에서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량(11)이 제1구역에서 주행하면서, 1차선으로 주행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행 경로에 따라 직진을 하기 위해 3차선 또는 4차선으로 차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오른쪽 차로 변경을 준비하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포함하면서, 디스플레이부(40)는 추천 차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The guidance guide output by the navigation device 1 in the first area 10 may va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in a situation where the first vehicle 11 is driving in the first zone and driving in the first lane, the vehicle may move to the third or fourth lane in order to proceed stra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path. If a change is necessary, the display unit 40 may output a user interface displaying the recommended lane while including the guidance message “Prepare to change to the right lane.”

만약, 제3차량(13)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차선에서 주행하고 있고, 4차선이 추천 차로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차로를 계속 주행하라는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거나, 별도의 안내를 하지 않을 수 있다(S400).If the third vehicle 13 is driving in the 4th lane as shown in FIG. 14, and the 4th lane is the recommended lane,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guide to continue driving in the driving lane, or provides a separate Guidance may not be provided (S400).

만약 차량이 제2 구역(20)에서 주행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차로가 추천 차로에서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If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second zone 20,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lane is in the recommended lane (S310).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신호 및 차로 판단부(100)에서 판단한 차량의 주행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차로가 추천 차로에서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lane is in the recommended lane based on the GPS signal and the vehicle's driving lan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만약 주행 차로가 추천 차로가 아니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주행 차로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안내 가이드를 출력한다(S320).If the driving lane is not the recommended lane,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guidance guide indicating that the driving lane needs to be changed (S320).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차량(12)이 제2 구역에서 주행하고 있으면서, 2차선으로 주행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행 경로에 따라 직진을 하기 위해 3차선 또는 4차선으로 차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오른쪽 차로 변경을 준비하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포함하면서, 디스플레이부(40)는 추천 차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in a situation where the second vehicle 12 is driving in the second zone and driving in two lanes, it must drive in three or four lanes in order to proceed stra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path.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splay unit 40 may output a user interface displaying the recommended lane while including the guidance message “Prepare to change to the right lane.”

이 때, 내비게이션 장치(1)가 제2 구역(20)에서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는 제1 구역(10)에서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보다 더 큰소리를 안내를 하거나 사용자가 안내 가이드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를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ance guide output from the second zone 20 by the navigation device 1 makes a louder sound than the guidance guide output from the first zone 10 or is used so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e guidance guide more accurately. We can provide specific guidance.

예를 들어 제1 구역(10)에서 "오른쪽 차로 변경을 준비하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출력하였다면, 제2 구역(20)에서 "추천 차로인 3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세요 또는 현재 차로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2차선을 이동하세요"라는 구체적인 안내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2안내 가이드를 출력함에 있어서, 제1안내 가이드와 다르게 디스플레이부(40)에 표현되는 안내 가이드에 대한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1안내 가이드 보다 더 큰 소리로 안내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차로를 변경해야 하는 알림을 더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essage "Prepare to change to the right lane" is printed in the first zone (10), the message "Please change lanes to the recommended lane 3" is printed in the second zone (20) or "Change to the left lane based on the current lane." You can print out a specific guidance guide that says, “Please move to the second lane.” In addition, when outputting the second guid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screen that changes the color of the gui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in various ways, unlike the first guide. The guide can be output louder than the guide. Through this, drivers can more effectively recognize notifications to change lanes.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2 구역(20)에서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는 경우, 운전자가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한 지형지물을 포함하는 안내 멘트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안내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guide in the second area 20, 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the guide using a user interface or a guidance message that includes geographical features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the driver.

예를 들어 추천 차로가 1차선이나 차량이 직진 차로에서 주행 중이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이번 신호등에서 좌회전입니다. 왼쪽으로 차로를 이동하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추천 차로가 직진 차로나 차량이 좌회전 차로에서 주행 중이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현재 주행 차로는 좌회전 차로입니다. 오른쪽 차로로 이동하세요"라는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recommended lane is 1 lane or the vehicle is driving in a straight lan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guidance message such as “You are turning left at this traffic light. Please move the lane to the left.” If the recommended lane is a straight lane or the vehicle is driving in a left turn lan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guidance message such as “The current driving lane is a left turn lane. Please move to the right lane.”

만약 주행 차로가 추천 차로면,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2 구역(20)에서도 주행 차로를 계속 주행하라는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거나, 별도의 안내를 하지 않을 수 있다(400).If the driving lane is a recommended lane, 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guidance guide to continue driving in the driving lane in the second area 20 or may not provide separate guidance (400).

도 14 내지 도 16은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에서 서로 다른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14 to 16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outputting different guides in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To avoid redundant explanation, they are explained together below.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에서 안내 가이드를 도 14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40)에 각각의 회전 지점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00m 우회전, 500m 우회전)를 출력하면서, 주행 정보에 기초한 차량의 현재 속도(85km/h) 및 목적지까지 예상 소요 시간을 포함한 정보(15분)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guidance guide in the first area 10 as shown in FIG. 14 . 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each turning point (800m right turn, 500m right turn) on the display unit 40, while displaying the vehicle's current speed (85km/h) and destination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stimated time required (15 minute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신호 및 차로 판단부(100)에서 판단한 주행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제1 구역(10)에서 추천 차로가 아닌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는 추천 차로인 오른쪽 차로로 이동하라는 안내 멘트, "오른쪽 차로로 이동하세요"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면서 출력부(50)를 통해 "현재 차로는 좌회전 차로입니다. 오른쪽 차로의 변경을 준비하세요"라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51)로 출력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driving in a lane other than the recommended lane in the first area 10 based on the GPS signal an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ane determination unit 100.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user interface telling people to move to the right lane, which is the recommended lane, and "Please move to the right lane," and outputs a message through the output unit 50, "The current lane is a left turn lane. Change to the right lane." A voice signal saying “Get ready” can be output to the speaker 51.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2 구역(20)에서 안내 가이드를 도 15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40)에 각각의 회전 지점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m 좌회전, 500m 우회전)를 출력하면서, 주행 정보에 기초한 차량의 현재 속도(35km/h) 및 목적지까지 예상 소요 시간(15분)을 포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guidance guide in the second area 20 as shown in FIG. 15 . 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each turning point (50 m left turn, 500 m right turn) on the display unit 40, while displaying the vehicle's current speed (35 km/h) and destination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stimated time required (15 minute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이 제2 구역(20)에서 추천 차로가 아닌 직진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차로인 왼쪽 차로로 이동하라는 안내 멘트, "좌회전 하세요"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면서 출력부(50)를 통해 "이번 신호등에서 좌회전하세요"라는 지형지물의 명칭을 포함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51)로 출력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determines, based on the GPS signal, that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second zone 20 in a straight lane rather than the recommended lane. As shown in FIG. 16,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o move to the left lane, which is the recommended lane, and a user interface saying "Turn left," while providing topographic information saying "Turn left at this traffic light" through the output unit 50. A voice signal including the name of the water can be output to the speaker 51.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2 구역(20)에서 안내 가이드를 도 16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40)에 회전 지점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m 우회전) 이외에도, 화살표로 추천 차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면서, 주행 정보에 기초한 차량의 현재 속도(85km/h) 및 목적지까지 예상 소요 시간을 포함한 정보(15분)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may output a guidance guide in the second area 20 as shown in FIG. 16 . 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a recommended lane with an arrow in addition to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a turning point (500m right turn) on the display unit 40, and displays the vehicle's current speed (85km)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h) 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estimated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15 minute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내비게이션 장치(1)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이 제2 구역(20)에서 추천 차로가 아닌 좌회전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는 추천 차로인 오른쪽 차로 또는 5차선으로 이동하라는 안내 멘트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5차선으로 이동하세요"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면서 출력부(50)를 통해 "현재 차로는 좌회전 차로입니다. 5차선으로 이동하세요"라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51)로 출력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determines, based on the GPS signal,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left turn lane rather than the recommended lane in the second zone 20.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the user interface "Please move to the 5th lane" as shown in FIG. 16 and a guidance message to move to the recommended right lane or the 5th lane through the output unit 50. The voice signal “The lane is a left turn lane. Please move to lane 5”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51.

이렇게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에서의 안내 가이드를 서로 다르게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경로를 이탈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navigation device 1 outputs different guides for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driver deviating from the driving path.

한편,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1 구역(10) 및 제2 구역(20)을 구분하더라도, 제1 구역(10)에서 차량이 추천 차로에서 주행 중이라면,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지 않고, 제2 구역(20)에서만 안내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는 제2 구역(20)에서 주행 경로 상 회전 지점에 진입할 필요가 없이 직진 주행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제2 구역(20)에서도 안내 가이드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even if the navigation device 1 distinguishes between the first zone 10 and the second zone 20, if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recommended lane in the first zone 10, it does not output a guidance guide and displays the second zone 10. The information guide can only be printed in area 20. Additionally, when the navigation device 1 must drive straight in the second zone 20 without entering a turning point on the driving path, the navigation device 1 may not output a guidance guide in the second zone 20 as well.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와 차량 및 사용자 단말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navigation guide server,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구체적으로, 도 17은 앞선 도면을 통해 설명하였던 내비게이션 가이드의 실행 주체가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200)로 구현되는 경우,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200)와 차량(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7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vigation guide server 200, the vehicle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when the navigation guide explained in the previous drawing is implemented as the navigation guide server 200. This is a drawing.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200)는 도 4에서 설명하였던 구성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따른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경우, 차량(300)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차량(300)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고 차량(300)의 주행 정보 및 차량(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300)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고, 제1구역에서 차량(300)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차량(300)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고, 제2구역에서 차량(300)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차량(300)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 및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차량(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navigation guide server 20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FIG. 4 . Therefore, when the navig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FIG. 17 is the entity that provides the navigation guide service to the driver, it determines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300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300 and determines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300.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300, the turning area included in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300 is divided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nd the lane change of the vehicle 300 in the first zone is If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lane that the vehicle 300 needs to change is generated as a guide in the first zone, and if the lane of the vehicle 300 needs to be changed in the second zone, which lane should the vehicle 300 need to change be selected based o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300? Information on how many lanes to move in the direction can be generated as a guide for Zone 2,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guide for Zone 1 and Zone 2 created in this way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300. can do.

한편,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사용자 단말기(400)인 경우,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 및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차량(300)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방법 제1구역 및 제2구역을 결정하는 방법, 제1구역의 안내 가이드 및 제2구역의 안내 가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ity that provides the navigation guide service to the driver is the user terminal 400, the navig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guide in the first zone and the guide in the second zone described above to the user terminal ( 400).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300, a method of determining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 method of generating a guidance guide of the first zone and a guidance guide of the second zone, and various embodiments thereof are described in detail. As mentioned above, the explanation for this will be omitted.

도 17에서 설명한 서버는 통상적인 서버(server)를 의미하는 바, 서버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로서,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 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 팩스, 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server described in FIG. 17 refers to a typical server. A server is computer hardware on which a program is running, and monitors and controls the entire network, such as printer control or file management, or other networks through a mainframe or public network. Connection to, or sharing of, software resources such as data, programs, files, modems, fax machines, printers. It can support sharing hardware resources such as other equipment.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1)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가이드 방법은 주행 경로의 상황에 맞게 회전 구역을 회전준비구역과 회전근접구역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상황에 알맞은 정확한 안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1 and the guidance method of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accurate guidance suitable for various situations by dividing the turning area into a turning preparation area and a turning proximity area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driving rout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1)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가이드 방법은 회전준비구역에서 제공하는 안내 가이드와 회전근접구역에서 제공하는 안내 가이드를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회전 구역을 이탈하여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의 정체 억제, 사고 위험 감소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1 and the guidance method of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 different guidance guides provided in the turn preparation area and guidance provided in the turn proximity area,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driving outside the turn area. This has the advantage of suppressing road congestion,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navigation devices.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onents, units, module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s "~ part" may be implemented together or individually as separate but interoperable logic devices. The description of different features for modules, units, etc. is intended to highlight different functional embodiments and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y must be realized by individual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Rather, functionalit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modules or units may be performed by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or may be integrated within common or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특정한 순서로 작동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작동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작동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operations are shown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se operations are to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order shown, or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depicted operations need to be perform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 In some environment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distinction of various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a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components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must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done.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a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n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럭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Additionally, the logic flow and structural block diagram described in this patent document describe corresponding actions and/or specific methods supported by corresponding functions and steps supported by the disclosed structural means, and correspond to It can also be used to build software structures and algorith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작동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The processes and logic flows described herein can be performed by one or more programmable processors, each of which executes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functions by operating on input data and generating output.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prepared in this way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or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should not deviate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 내비게이션 장치
30: 통신부
40: 디스플레이부
50: 출력부
60: 저장부
70: 안내 가이드부
100: 차로 판단부
120: 차로 예측 인공신경망 모듈
200: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
300: 차량
400: 사용자 단말기
1: Navigation device
3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40: Display unit
50: output unit
60: storage unit
70: Information guide section
100: Lane judgment unit
120: Lane predi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ule
200: Navigation guide server
300: vehicle
400: User terminal

Claims (8)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차로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고,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는 안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운전자의 경로 이탈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 숙련도가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길이를 상기 운전 숙련도가 상기 임계값을 만족한 경우의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길이 보다 길게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적 속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시작지점을 정적 설정값에 따른 시작지점보다 길게 결정하며,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정체 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시작지점을 정적 설정값에 따른 시작시점보다 짧게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안내 가이드를 상기 제1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에 대한 안내 및 현재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안내 가이드를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
a lan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ividing the turning zone included in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s in the first zone, information about the lane that the vehicle must change into is generated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 in the second zone, a guide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which direction and how many lanes to move based on the vehicle's driving lane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do
The information guide section,
The driver's driving skill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er's route deviation frequency, and if the driving skill does not satisfy the threshold,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is calculated so that the driving skill is equal to the threshold. Determine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when satisfied,
If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static speed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the starting points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determined to be longer than the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static set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s a congested section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is determined to be shorter than the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static setting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for the vehicle is necessary in the first zone, a guide indicating that a change in the vehicle's driving lane is necessary is output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s lane change is necessary in the second zone, a guide is provided regarding the current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nd in which direction and which lane to use based on the current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 navigation guide server that outputs information as a guide for the second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구역의 추천 차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와 상기 추천 차로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을 결정하는 내비게이션 가이드 서버.
According to clause 1,
The information guide section,
A navigation guide server that determines a recommended lane of the turning zone,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vehicle's driving lane and the recommended lane, and determines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based on the differe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고,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경로 이탈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 숙련도가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길이를 상기 운전 숙련도가 상기 임계값을 만족한 경우의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길이 보다 길게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적 속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시작지점을 정적 설정값에 따른 시작지점보다 길게 결정하며,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정체 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시작지점을 정적 설정값에 따른 시작시점보다 짧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의 안내 가이드는,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안내 가이드로 생성되며,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에 대한 안내 및 현재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안내 가이드로 생성되는, 내비게이션 가이드 방법.
determining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dividing a turning area included in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If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is required in the first zone, information about the lane to which the vehicle must change is generated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and if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is required in the second zone, the vehicle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how many lanes to move in which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lane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The step of dividing the rotation zone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The driver's driving skill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er's route deviation frequency, and if the driving skill does not satisfy the threshold,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is calculated so that the driving skill is equal to the threshold. Determine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when satisfied,
If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static speed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the starting points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determined to be longer than the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static set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s a congested section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determin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to be shorter than the starting point according to a static set value,
The guide for the first area is,
If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for the vehicle is necessary in the first zone, a guide is generated indicating that a change in the vehicle's driving lane is necess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s lane change is necessary in the second zone, a guide is created as guidance on the current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nd in which direction and which lane to use based on the current driving lane of the vehicle. This is a navigation guide method.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판단하는 차로 판단부;
상기 주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에 포함된 회전 구역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이 변경해야 하는 차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안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운전자의 경로 이탈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 숙련도가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길이를 상기 운전 숙련도가 상기 임계값을 만족한 경우의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길이 보다 길게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적 속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시작지점을 정적 설정값에 따른 시작지점보다 길게 결정하며,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정체 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시작지점을 정적 설정값에 따른 시작시점보다 짧게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안내 가이드를 상기 제1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에 대한 안내 및 현재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몇 차선을 이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안내 가이드를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 lan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Dividing the turning area included in the driving path of the vehicl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s in the first zone, information about the lane to which the vehicle needs to change is generated and output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and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s in the second zone. A guide unit that generates and outputs information about how many lanes to move in which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The information guide section,
The driver's driving skill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er's route deviation frequency, and if the driving skill does not satisfy the threshold,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is calculated so that the driving skill is equal to the threshold. Determine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when satisfied,
If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static speed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the starting points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determined to be longer than the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static set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s a congested section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is determined to be shorter than the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static setting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for the vehicle is necessary in the first zone, a guide indicating that a change in the vehicle's driving lane is necessary is output as a guide for the first zo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s lane change is necessary in the second zone, a guide is provided regarding the current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nd in which direction and which lane to use based on the current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 navigation device that outputs as a guide for the second are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차량의 차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회전 구역 내에 포함된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로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information guide section,
A navigation device that uses terrain features included in the turning zone and outputs them as a guide for the second zone when the vehicle needs to change lanes in the second zo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구역의 안내 가이드는 스피커로 안내하고 상기 제2 구역의 안내 가이드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동시에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information guide section,
A navigation device in which the first zone guide provides guidance using a speaker, and the second zone guide simultaneously provides guidance using a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KR1020210021641A 2021-02-18 2021-02-18 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Active KR102590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41A KR102590121B1 (en) 2021-02-18 2021-02-18 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41A KR102590121B1 (en) 2021-02-18 2021-02-18 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31A KR20220118031A (en) 2022-08-25
KR102590121B1 true KR102590121B1 (en) 2023-10-18

Family

ID=8311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641A Active KR102590121B1 (en) 2021-02-18 2021-02-18 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12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990A (en) * 2000-03-30 2001-10-10 Mitsubishi Electric Corp Navig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74U (en) * 2014-06-30 2016-01-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navigation guiding first change direction of vehicle
MX2018000971A (en) * 2015-07-27 2018-05-17 Nissan Motor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990A (en) * 2000-03-30 2001-10-10 Mitsubishi Electric Corp Navig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31A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64410B2 (en) Autonomous vehicle testing systems and methods
US11714413B2 (en) Planning autonomous motion
US12116006B2 (en) Dynamic route information interface
JP2019194071A5 (en)
JP2022516383A (en) Autonomous vehicle planning
JP2022516288A (en) Hierarchical machine learning network architecture
JP2016513805A (en) Lane-level vehicle navigation for vehicle routing and traffic management
WO2016096226A1 (en) A traffic data fusion system and the related method for providing a traffic state for a network of roads
KR20220136006A (en) Selecting testing scenario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utonomous vehicles
US12296850B2 (en) Ride comfort improvement in different traffic scenarios for autonomous vehicle
US20230182754A1 (en) Determining an anomalous event from a scenario and an action of interest
JP2023540825A (en) Roadway judgment method and device for a traveling vehicle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a navig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9191318A (en) Road map creation device, program, and method allocating traffic signal light to road lane
Masri et al. Leveraging large language models (LLMs) for traffic management at urban intersections: the case of mixed traffic scenarios
US2023015431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ity system,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bility system
CN113753040A (en) Predicting road disorderly crossing behavior of weak road users
US20240075950A1 (en) Alternative Driving Models for Autonomous Vehicles
JP2016051412A (en) Model creation device, simulation device, model creation method, and model creation program
KR102590121B1 (en) Navigation guide method and server, navigation device
KR102326679B1 (en) Navig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guide method thereof
US12292297B2 (en) Computational model for creating personalized routes based at least in part upon predicted total cost of claim frequency or severity
WO2017145297A1 (en) Model generating device, simulation device, model genera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154323A1 (en) Automatic real time information to vehicular occupants
US20240028035A1 (en) Planning autonomous motion
CN119540897A (en) A method, medium, device and vehicle for generating intersection reference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3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