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981B1 -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passenger car of low-floor trackless train - Google Patents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passenger car of low-floor trackless t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9981B1 KR102589981B1 KR1020210115417A KR20210115417A KR102589981B1 KR 102589981 B1 KR102589981 B1 KR 102589981B1 KR 1020210115417 A KR1020210115417 A KR 1020210115417A KR 20210115417 A KR20210115417 A KR 20210115417A KR 102589981 B1 KR102589981 B1 KR 1025899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l crank
- rotor
- rotating body
- rotatably supported
- interlocking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3/00—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 B62D13/04—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런트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와, 프런트 연동로드, 및 리어 연동로드를 포함한다. 프런트 회전체는 프런트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프런트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한다. 리어 회전체는 리어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리어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한다. 중간 회전체는 프런트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객차 프레임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연동로드는 프런트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전후 동작하도록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어 연동로드는 프런트 연동로드의 전후 동작에 따라 프런트 벨 크랭크와 반대 방향으로 리어 벨 크랭크를 회전시키도록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nd includes a front rotor, a rear rotor, an intermediate rotor, a front interlocking rod, and a rear interlocking rod. The front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front bell crank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ront bell crank. The rear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rear bell crank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ear bell crank. The middle rotating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rotating body and the rear rotating body and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carriage frame about a vertical axis. The front interlocking rod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vertical axis with its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front rotor and the middle rotor, respectively, so that it moves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ont bell crank. The rear interlocking rod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vertical axis with its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middle rotor and the rear rotor, respectively, so that the rear bell crank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bell crank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of the front interlocking rod.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객차의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할 수 있게 하는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nd more specifically, to a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that can simultaneously steer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a passenger car.
일반적으로, 무궤도 열차는 놀이공원 등에서 관람객의 운송을 위해 운행되는 소위 로드 트레인(Road Train)과 같은 것으로, 엔진이 탑재된 동력 견인차와 그 견인차에 복수 량의 무동력 객차를 연결하여 운행된다.In general, trackless trains are like so-called road trains that are operated to transport visitors at amusement parks, etc., and are operated by connecting a power towing vehicle equipped with an engine with a plurality of non-powered carriages to the towing vehicle.
종래의 무궤도 열차는 견인차로서 전륜만 조향되는 2륜 조향 차량을 사용하고, 객차는 4륜 모두 조향되지 않는 차량을 사용해 왔으나, 객차가 견인차의 궤도를 정확히 추종하지 못하고 그 궤도를 벗어나게 되어 주변의 시설물이나 관람객과 접촉 또는 추돌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trackless trains use two-wheel steering vehicles with only the front wheels steered as towing vehicles, and passenger cars use vehicles without steering on all four wheels. However, the passenger cars do not accurately follow the track of the towing vehicle and deviate from the track, causing damage to surrounding facilities. However, there were problems that resulted in safety accidents such as contact or collision with visitors.
그에 따라, 전륜과 후륜이 동시에 4륜 조향되는 객차가 제안되고 있다. 4륜 조향되는 객차의 조향 장치는 견인차에 링크된 견인로드의 선회 동작에 따른 조향 동력이 전륜으로부터 후륜까지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기존 견인로드의 선회 동작에 따른 조향 동력을 전륜으로부터 후륜까지 전달시키는 로드가 "X"자 타입으로 배치되는 구조는 2개의 로드가 객차 프레임 중간부에서 교차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로드의 교차 공간으로 인해 저상형 프레임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a passenger car with four-wheel steering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simultaneously is being proposed. The steering system of a four-wheel steered passenger car is structured so that the steering power due to the turning motion of the tow rod linked to the tow vehicle is transmitted from the front wheels to the rear wheels. Specifically, the steering power according to the turning motion of the existing tow rod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s. The structure in which the rods that transmit from the rear wheels to the rear wheels are arranged in an "X" shape is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wo rods intersect in the middle of the carriage frame,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low-floor frames due to the intersecting space of the rods.
그리고, 한 개의 로드가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는 구조는 설치각도만큼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구조에서는 조향 동력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In addition, a structure in which one rod is connected diagonally causes loss in power transmission equal to the installation angle, so in this structure, a metho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eering power transmission is required.
또한, 긴 전장의 객차, 즉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륜과 후륜 사이의 거리인 휠 베이스(wheel base)의 거리가 길수록 후륜에 조향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에 좌굴(Buckling, 처짐-휨)이 발생하게 되는데, 좌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로드의 외경을 증대시키면 중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부작용 발생되므로, 로드의 외경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조향 동력의 전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더욱 필요하다.In addition, the longer the overall length of the passenger car, that is, the longer the wheel base,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causes buckling (sag-bending) in the rod that transmits steering power to the rear wheels. ,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is increased to increase strength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buckling, a side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weight occurs, so there is a way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steering power without increa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need.
본 발명의 과제는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함에 있어 조향 동력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eering power transmission by simultaneously steer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는 객차 프레임과, 객차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된 전륜축과, 객차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된 후륜축과, 전륜축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 전륜들과, 후륜축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 후륜들과, 전륜축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프런트 벨 크랭크와, 후륜축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리어 벨 크랭크와, 프런트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전륜들을 조향하는 프런트 조향로드들과, 리어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후륜들을 조향하는 리어 조향로드들, 및 견인차에 연결되어 선회 동작에 따라 프런트 벨 크랭크를 회전시키는 견인로드를 포함하는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채용되는 것으로, 프런트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와, 프런트 연동로드, 및 리어 연동로드를 포함한다.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passenger car frame, a front wheel axl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passenger car frame, a rear wheel axle mounted on the rear of the passenger car frame, and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wheel axle. Front wheels steerably supported, rear wheels steerable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wheel axle, a front bell crank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vertical axis to the front wheel axle, and rotatable around a vertical axis to the rear wheel axle. A rear bell crank supported, front steering rods for steering the front wheel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ont bell crank, rear steering rods for steering the rear wheel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ar bell crank, and connected to the tow vehicle according to the turning motion. It is adopted in a passenger car for a trackless train that includes a traction rod that rotates a front bell crank, and includes a front rotor, a rear rotor, an intermediate rotor, a front interlocking rod, and a rear interlocking rod.
프런트 회전체는 프런트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프런트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한다. 리어 회전체는 리어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리어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한다. 중간 회전체는 프런트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객차 프레임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연동로드는 프런트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전후 동작하도록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어 연동로드는 프런트 연동로드의 전후 동작에 따라 프런트 벨 크랭크와 반대 방향으로 리어 벨 크랭크를 회전시키도록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front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front bell crank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ront bell crank. The rear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rear bell crank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ear bell crank. The middle rotating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rotating body and the rear rotating body and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carriage frame about a vertical axis. The front interlocking rod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vertical axis with its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front rotor and the middle rotor, respectively, so that it moves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ont bell crank. The rear interlocking rod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vertical axis with its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middle rotor and the rear rotor, respectively, so that the rear bell crank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bell crank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of the front interlocking rod. do.
일 양상으로,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방향, 다른 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면, 프런트 연동로드는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리어 연동로드는 전단이 중간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리어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one aspect, if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interlocking rod can rotate eccentrically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rotor and the middle rotor, respectively. The rear interlocking rod may be supported rotatably at its front end by being eccentrically supported in a second direction by the middle rotator and at its rear end by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its rear rotor in a first direction.
여기서, 프런트 연동로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프런트 연동로드들은 나란히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Here, the front interlocking rods are provided in pairs, and the front interlocking rods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one are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front rotor and the middle rotor, respectively, and the other interlocking rods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front and rear ends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being eccentric in a second direction on the front rotating body and the middle rotating body, respectively.
다른 양상으로,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방향, 다른 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면, 프런트 연동로드는 전단이 프런트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중간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리어 연동로드는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if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front interlocking rod is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front rotating body and the rear end is in the middle. The rear interlocking rod may be eccentrically supported to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n the rotating body, and front and rear ends of the rear interlocking rod may be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a first direction on the middle rotating body and the rear rotating body, respectively.
여기서, 리어 연동로드는 한 쌍을 이루게 구비되며, 리어 연동로드들은 나란히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Here, the rear interlocking rods are provided as a pair, and the rear interlocking rods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one are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middle rotor and the rear rotor, respectively, and the other interlocking rods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iddle rotor and the rear rotor may be eccentrically rotatably supported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함에 있어 조향 동력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긴 전장의 객차의 경우, 조향 동력 전달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steering power transmission can be increased by simultaneously steer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ong passenger car, the efficiency of steering power transmission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가 채용된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객차 조향 장치의 작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가 채용된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 객차 조향 장치의 작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ssenger car for a trackless train employing a low-floor trackless train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in FIG.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ssenger car for a trackless train employing a low-floor trackless train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in Fig. 5.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s follows. Here,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titive descrip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가 채용된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객차 조향 장치의 작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ssenger car for a trackless train employing a low-floor trackless train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in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가 채용된 무궤도 열차용 객차는 객차 프레임(10)과, 전륜축(21)과, 후륜축(22)과, 전륜(31)들과, 후륜(32)들과, 프런트 벨 크랭크(41)와, 리어 벨 크랭크(42)와, 프런트 조향로드(51)들과, 리어 조향로드(52)들, 및 견인로드(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a passenger car for a trackless train employing a low-floor trackless train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전륜축(21)은 객차 프레임(10)의 전방에 장착된다. 전륜축(21)은 객차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로 좌우 부위가 전륜(31)들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후륜축(22)은 객차 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된다. 후륜축(22)은 객차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로 좌우 부위가 후륜(32)들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전륜(31)들은 전륜축(21)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다. 후륜(32)들은 후륜축(22)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륜(31)과 후륜(32)은 통상적인 휠, 타이어, 서스펜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런트 벨 크랭크(41)는 전륜축(21)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벨 크랭크(41)는 전륜축(21)의 중앙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벨 크랭크(42)는 후륜축(22)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어 벨 크랭크(42)는 후륜축(22)의 중앙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프런트 조향로드(51)들은 프런트 벨 크랭크(41)의 회전에 따라 전륜(31)들을 조향한다. 프런트 조향로드(51)들은 쌍을 이루어 전륜축(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의 프런트 조향로드(51)는 좌단이 좌측 전륜(31)의 후방 부위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우단이 프런트 벨 크랭크(41)의 후방 부위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우측의 프런트 조향로드(51)는 좌단이 프런트 벨 크랭크(41)의 후방 부위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우단이 우측 전륜(31)의 후방 부위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리어 조향로드(52)들은 리어 벨 크랭크(42)의 회전에 따라 후륜(32)들을 조향한다. 리어 조향로드(52)들은 쌍을 이루어 후륜축(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조향로드(52)들은 프런트 조향로드(51)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후륜(32)들과 리어 벨 크랭크(42)에 힌지축들로 결합될 수 있다.The
견인로드(60)는 견인차에 연결되어 선회 동작에 따라 프런트 벨 크랭크(41)를 회전시킨다. 견인로드(60)는 견인차의 조향 동력을 프런트 벨 크랭크(41)에 전달한다. 견인로드(60)는 전단 부위가 견인차의 후방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 부위가 프런트 벨 크랭크(41)의 전단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로드(60)는 견인차의 조향에 따라 선회 동작하여 프런트 벨 크랭크(41)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tow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는 전술한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채용되는 것으로, 프런트 회전체(110)와, 리어 회전체(120)와, 중간 회전체(130)와, 프런트 연동로드(140), 및 리어 연동로드(150)를 포함한다.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in the passenger car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nd includes a
프런트 회전체(110)는 프런트 벨 크랭크(41)에 고정되어 프런트 벨 크랭크(41)와 함께 회전한다. 프런트 회전체(110)는 프런트 벨 크랭크(41)가 견인로드(60)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프런트 벨 크랭크(41)와 함께 동심으로 회전한다.The front
프런트 회전체(110)는 프런트 연동로드(140)의 전단 부위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런트 회전체(110)는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프런트 벨 크랭크(41)에 조립될 수 있으나, 프런트 벨 크랭크(41)와 일체화되게 제조될 수도 있다.The front
리어 회전체(120)는 리어 벨 크랭크(42)에 고정되어 리어 벨 크랭크(42)와 함께 회전한다. 리어 회전체(120)는 리어 연동로드(150)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리어 벨 크랭크(42)를 동심으로 회전시킨다.The rear
리어 회전체(120)는 리어 연동로드(150)의 후단 부위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리어 회전체(120)도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리어 벨 크랭크(42)에 조립될 수 있으나, 리어 벨 크랭크(42)와 일체화되게 제조될 수도 있다.The rear
중간 회전체(130)는 프런트 회전체(110)와 리어 회전체(120) 사이에 배치되어 객차 프레임(10)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중간 회전체(130)는 프런트 연동로드(140)의 후단 부위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리어 연동로드(150)의 전단 부위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intermediate
중간 회전체(130)는 객차 프레임(10)에 장착된 회전 지지부재(131)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중간 회전체(130)는 회전 지지부재(131)에 장착된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 중간 회전체(130)의 회전 중심은 프런트 회전체(110)의 회전 중심과 리어 회전체(120)의 회전 중심을 잇는 가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프런트 벨 크랭크(41)의 회전에 따라 전후 동작하도록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프런트 회전체(110)의 회전에 따라 중간 회전체(130)를 회전시킨다.The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전후단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일정 단면적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로 전후단 부위가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리어 연동로드(150)는 프런트 연동로드(140)의 전후 동작에 따라 프런트 벨 크랭크(41)와 반대 방향으로 리어 벨 크랭크(42)를 회전시키도록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130)와 리어 회전체(120)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어 연동로드(150)는 중간 회전체(130)의 회전에 따라 리어 회전체(120)를 회전시킨다.The
리어 연동로드(150)는 전후단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일정 단면적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 연동로드(150)는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로 전후단 부위가 중간 회전체(130)와 리어 회전체(120)에 수직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방향, 다른 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면,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견인로드(60)가 직진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f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리어 연동로드(150)는 전단이 중간 회전체(130)에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리어 회전체(120)에 제1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연동로드(150)는 견인로드(60)가 직진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130)와 리어 회전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좌측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연동로드(150)는 전단이 중간 회전체(130)에 우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리어 회전체(120)에 좌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이 경우,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trackless train is explained as follows.
견인로드(60)가 견인차의 우측 조향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런트 벨 크랭크(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륜(31)들을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When the
이때, 프런트 회전체(1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런트 연동로드(140)를 전방으로 당겨서 중간 회전체(1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리어 연동로드(15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리어 회전체(120)를 밀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리어 벨 크랭크(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륜(32)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At this time, as the front
이와 반대로, 견인로드(60)가 견인차의 좌측 조향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런트 벨 크랭크(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륜(31)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때, 프런트 회전체(1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런트 연동로드(140)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중간 회전체(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리어 연동로드(15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리어 회전체(120)를 당겨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리어 벨 크랭크(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륜(32)들을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At this time, as the front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우측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연동로드(150)는 전단이 중간 회전체(130)에 좌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리어 회전체(120)에 우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프런트 연동로드(140)와 리어 연동로드(150)는 전술한 예와 반대되는 동작으로 조향 동력을 후륜(32)들에 전달해서 후륜(32)들을 선회 동작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한편, 후륜(32)들은 전륜(31)들의 선회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전륜(31)들의 선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연동로드(140)의 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는 리어 연동로드(150)의 후단이 리어 회전체(1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프런트 연동로드(140)의 후단이 중간 회전체(1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는 리어 연동로드(150)의 전단이 중간 회전체(1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와 반경 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추가 양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프런트 연동로드(14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 연동로드(140)들은 나란히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제2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although not shown, the front interlocking
여기서, 프런트 연동로드(140)들은 좌우 대칭되어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110)와 중간 회전체(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 연동로드(140)들은 안정된 동작으로 조향 동력 전달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Here, the front interlock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는 견인로드(60)의 선회 동작에 따른 조향 동력을 전륜(31)으로부터 후륜(32)까지 전달하기 위한 연동로드를 프런트 연동로드(140)와 리어 연동로드(150)로 2분할해서 중간 회전체(130)를 매개로 프런트 회전체(110)와 리어 회전체(120)에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연동로드를 중간 회전체 없이 프런트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연결한 구성에 비해 조향 동력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는 긴 전장의 객차, 즉 휠 베이스 길이가 긴 객차의 경우, 조향 동력 전달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ront interlocking rod (140) for transmitting the steering power according to the turning motion of the traction rod (60) from the front wheels (31) to the rear wheels (32). Since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a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가 채용된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 객차 조향 장치의 작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ssenger car for a trackless train employing a low-floor trackless train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in Fig. 5.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는 프런트 회전체(210)와, 리어 회전체(220)와, 중간 회전체(230)와, 프런트 연동로드(240), 및 리어 연동로드(250)를 포함한다.5 to 8,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실시예의 프런트 회전체(210)와 리어 회전체(220)와 중간 회전체(230)는 전술한 실시예의 프런트 회전체(110)와 리어 회전체(120)와 중간 회전체(1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중간 회전체(230)는 리어 회전체(220)보다 프런트 회전체(2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프런트 연동로드(240)는 전단이 프런트 회전체(210)에 제1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에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연동로드(240)는 견인로드(60)가 직진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후단이 프런트 회전체(210)와 중간 회전체(2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프런트 연동로드(240)의 전단이 프런트 회전체(21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거리는 프런트 연동로드(240)의 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distance at which the front end of the
리어 연동로드(250)는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와 리어 회전체(220)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어 연동로드(250)는 견인로드(60)가 직진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와 리어 회전체(2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리어 연동로드(250)는 한 쌍을 이루게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연동로드(250)들은 나란히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와 리어 회전체(220)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와 리어 회전체(220)에 제2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여기서, 리어 연동로드(250)들은 좌우 대칭되어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와 리어 회전체(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연동로드(250)들은 안정된 동작으로 조향 동력 전달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Here, the rear interlocking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연동로드(240)는 전단이 프런트 회전체(210)에 우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에 좌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연동로드(250)들은 각각 전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와 리어 회전체(220)에 좌우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이 경우,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is explained as follows.
견인로드(60)가 견인차의 우측 조향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런트 벨 크랭크(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륜(31)들을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When the
이때, 프런트 회전체(2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런트 연동로드(240)를 후방으로 밀어서 중간 회전체(2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좌측의 리어 연동로드(25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우측의 리어 연동로드(25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리어 회전체(2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리어 벨 크랭크(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륜(32)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At this time, as the front
이와 반대로, 견인로드(60)가 견인차의 좌측 조향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런트 벨 크랭크(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륜(31)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때, 프런트 회전체(2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런트 연동로드(240)를 전방으로 당겨서 중간 회전체(2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좌측의 리어 연동로드(25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우측의 리어 연동로드(25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리어 회전체(2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리어 벨 크랭크(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륜(32)들을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견인차의 이동 궤적에 맞게 추종시킨다.At this time, as the front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연동로드(240)는 전단이 프런트 회전체(210)에 좌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중간 회전체(230)에 우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프런트 연동로드(240)는 전술한 예와 반대되는 동작으로 조향 동력을 후륜(32)들에 전달해서 후륜(32)들을 선회 동작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도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와 마찬가지로, 조향 동력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mproves the efficiency of steering power transmission, like the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프런트 연동로드(240)는 로드의 길이가 짧아 얇은 두께에서도 큰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리어 연동로드(250)는 중간 회전체(230)와 리어 회전체(220)에 각각 수평으로 나란히 연결되는 평행한 배치 상태에서 프런트 회전체(210)의 조향력을 리어 회전체(220)에 전달하는 조향력 전달시 인장과 압축의 힘을 동시에 받는 구조로 조향 동력전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 프론트/리어 연동로드(240)(250)의 외경 증가 및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최대 힘을 전달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be able to.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객차 프레임 21..전륜축
22..후륜축 31..전륜
32..후륜 41..프런트 벨 크랭크
42..리어 벨 크랭크 51..프런트 조향로드
52..리어 조향로드 60..견인로드
110, 210..프런트 회전체 120, 220..리어 회전체
130, 230..중간 회전체 140, 240..프런트 연동로드
150, 250..리어 연동로드10..
22..
32..
42..Rear bell crank 51..Front steering rod
52..
110, 210..
130, 230..
150, 250..rear interlocking rod
Claims (5)
상기 객차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된 전륜축과,
상기 객차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된 후륜축과,
상기 전륜축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 전륜들과,
상기 후륜축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 후륜들과,
상기 전륜축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프런트 벨 크랭크와,
상기 후륜축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리어 벨 크랭크와,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륜들을 조향하는 프런트 조향로드들과,
상기 리어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후륜들을 조향하는 리어 조향로드들, 및
견인차에 연결되어 선회 동작에 따라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를 회전시키는 견인로드를 포함하는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채용되는 것으로,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하는 프런트 회전체와,
상기 리어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상기 리어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하는 리어 회전체와,
상기 프런트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객차 프레임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간 회전체와,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전후 동작하도록 전후단이 상기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런트 연동로드, 및
상기 프런트 연동로드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리어 벨 크랭크를 회전시키도록 전후단이 상기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어 연동로드를 포함하며,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방향, 다른 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면,
상기 프런트 연동로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 대칭되게 나란히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전후단이 상기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전후단이 상기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리어 연동로드는 전단이 상기 중간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상기 리어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
carriage frame,
A front wheel axl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carriage frame,
A rear wheel axle mounted at the rear of the passenger car frame,
Front wheels steerable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wheel axle,
Rear wheels steerable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wheel axle,
A front bell crank rotatably supported about a vertical axis on the front wheel axle,
a rear bell crank rotatably supported about a vertical axis on the rear wheel axle;
Front steering rods that steer the front wheel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front bell crank,
Rear steering rods that steer the rear wheel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ear bell crank, and
It is used in a trackless train carriage that includes a towing rod that is connected to a towing vehicle and rotates the front bell crank according to the turning action,
a front rotating body fixed to the front bell crank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ront bell crank;
a rear rotor fixed to the rear bell crank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ear bell crank;
an intermediate rotor disposed between the front rotor and the rear rotor and rotatably supported on the carriage frame about a vertical axis;
A front interlocking rod rotatably supported about a vertical axis with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front rotating body and the middle rotating body to mov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ont bell crank, and
Supported to rotate around a vertical axis with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middle rotor and rear rotor, respectively, so as to rotate the rear bell crank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bell crank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of the front interlocking rod. Includes a rear interlocking rod that
If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The front interlocking rod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ranged side by side symmetrically, one of the front and rear ends is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a first direction on the front rotating body and the middle rotating body, and the other front and rear ends Each of the front rotor and the middle rotor is supported eccentrically and rotatably in a second direction;
The rear interlocking rod has a front end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a second direction by the intermediate rotor and a rear end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a first direction by the rear rotor. Passenger car steering system.
상기 객차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된 전륜축과,
상기 객차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된 후륜축과,
상기 전륜축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 전륜들과,
상기 후륜축의 좌우단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된 후륜들과,
상기 전륜축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프런트 벨 크랭크와,
상기 후륜축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리어 벨 크랭크와,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륜들을 조향하는 프런트 조향로드들과,
상기 리어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후륜들을 조향하는 리어 조향로드들, 및
견인차에 연결되어 선회 동작에 따라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를 회전시키는 견인로드를 포함하는 무궤도 열차용 객차에 채용되는 것으로,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하는 프런트 회전체와,
상기 리어 벨 크랭크에 고정되어 상기 리어 벨 크랭크와 함께 회전하는 리어 회전체와,
상기 프런트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객차 프레임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간 회전체와,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전후 동작하도록 전후단이 상기 프런트 회전체와 중간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런트 연동로드, 및
상기 프런트 연동로드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프런트 벨 크랭크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리어 벨 크랭크를 회전시키도록 전후단이 상기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각각 편심된 상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어 연동로드를 포함하며,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제1 방향, 다른 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면,
상기 프런트 연동로드는 전단이 상기 프런트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이 상기 중간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리어 연동로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 대칭되게 나란히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전후단이 상기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제1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전후단이 상기 중간 회전체와 리어 회전체에 제2 방향으로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무궤도 열차용 객차 조향 장치.carriage frame,
A front wheel axl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carriage frame,
A rear wheel axle mounted at the rear of the passenger car frame,
Front wheels steerable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wheel axle,
Rear wheels steerable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wheel axle,
A front bell crank rotatably supported about a vertical axis on the front wheel axle,
a rear bell crank rotatably supported about a vertical axis on the rear wheel axle;
Front steering rods that steer the front wheel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front bell crank,
Rear steering rods that steer the rear wheel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ear bell crank, and
It is used in a trackless train carriage that includes a towing rod that is connected to a towing vehicle and rotates the front bell crank according to the turning action,
a front rotating body fixed to the front bell crank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ront bell crank;
a rear rotor fixed to the rear bell crank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ear bell crank;
an intermediate rotor disposed between the front rotor and the rear rotor and rotatably supported on the carriage frame about a vertical axis;
A front interlocking rod rotatably supported about a vertical axis with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front rotating body and the middle rotating body to mov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ont bell crank, and
Supported to rotate around a vertical axis with front and rear ends eccentric to the middle rotor and the rear rotor, respectively, so as to rotate the rear bell crank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bell crank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of the front interlocking rod. Includes a rear interlocking rod that
If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The front interlocking rod has a front end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a first direction on the front rotating body and a rear end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a second direction by the middle rotating body;
The rear interlocking rod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ranged symmetrically side by side, one of the front and rear ends is rotatably supported eccentrically in a first direction by the middle rotating body and the rear rotating body, and the other front and rear ends are A passenger car steering device for a low-floor trackless t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rotor and the rear rotor are each eccentrically supported and rotatable in a second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417A KR102589981B1 (en) | 2021-08-31 | 2021-08-31 |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passenger car of low-floor trackless tr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417A KR102589981B1 (en) | 2021-08-31 | 2021-08-31 |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passenger car of low-floor trackless tra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2503A KR20230032503A (en) | 2023-03-07 |
KR102589981B1 true KR102589981B1 (en) | 2023-10-13 |
Family
ID=8551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5417A Active KR102589981B1 (en) | 2021-08-31 | 2021-08-31 |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passenger car of low-floor trackless tr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998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731B1 (en) | 2012-03-28 | 2013-05-06 | 주식회사 신성자동차공업사 | Four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railless train |
KR101318402B1 (en) * | 2013-03-13 | 2013-10-16 | 주식회사 신기엔지니어링 | Steering machanism of passenger car frame using trackless trai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4901A (en) * | 2010-12-10 | 2012-06-20 | 아이씨피 주식회사 | Module trailer |
KR20160034665A (en) * | 2014-09-22 | 2016-03-30 | 주식회사 올레브 | Towed vehicle |
KR102100009B1 (en) * | 2016-05-04 | 2020-04-10 | 이길봉 | Trailer 3-axle steering system |
-
2021
- 2021-08-31 KR KR1020210115417A patent/KR1025899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731B1 (en) | 2012-03-28 | 2013-05-06 | 주식회사 신성자동차공업사 | Four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railless train |
KR101318402B1 (en) * | 2013-03-13 | 2013-10-16 | 주식회사 신기엔지니어링 | Steering machanism of passenger car frame using trackless tra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2503A (en) | 2023-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69914B1 (en) | Traveling trolleys and vehicles for track-based transportation systems | |
CA2725346C (en) | A monorail bogie assembly comprising a linking member | |
KR100865515B1 (en) | Passenger car four-wheel steering of trolleybus | |
TW201031547A (en) | Bogie for track-guided vehicle | |
CN109835364B (en) | Bogie and have its rail transit system | |
CN109720370B (en) | Bogie and track traffic system with same | |
JP3448445B2 (en) | Steering device for bogies for railway vehicles | |
CN111163998A (en) | Hitchable road motor vehicle with compact steering and suspension | |
CN112009515B (en) | Bogie for rail vehicle, rail vehicle and rail transit system | |
US4164188A (en) | Self steering railway car | |
US3312180A (en) | Transportation vehicles | |
KR102589981B1 (en) |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passenger car of low-floor trackless train | |
US6102419A (en) | Suspension system for electric car | |
JP5267857B2 (en) | Three-axle steering carriage for railway vehicles and railway vehicles | |
KR101260731B1 (en) | Four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railless train | |
KR101608432B1 (en) | folding structure of monorail vehicle | |
CN110155170B (en) | All-wheel steering device for vehicle | |
JP7298978B2 (en) | trolley and vehicle | |
CN110316216B (en) | Bogie assembly and rail vehicle | |
CN218463653U (en) | Railway vehicle and bogie thereof | |
KR101318402B1 (en) | Steering machanism of passenger car frame using trackless train | |
CN215752397U (en) | Bogie, rail vehicle and rail transit system | |
JP4397519B2 (en) | Rail vehicle | |
KR102757350B1 (en) | The locomotive with two-axle bogie | |
JP2003237571A (en) | Single-axle bogies for railway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