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8671B1 -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 Google Patents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671B1
KR102588671B1 KR1020210133415A KR20210133415A KR102588671B1 KR 102588671 B1 KR102588671 B1 KR 102588671B1 KR 1020210133415 A KR1020210133415 A KR 1020210133415A KR 20210133415 A KR20210133415 A KR 20210133415A KR 102588671 B1 KR102588671 B1 KR 10258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submarine
end plate
hull duct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112A (ko
Inventor
이훈정
안진수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6Adaptations of ventilation, e.g. schnorkels, cooling, heating, or air-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은 잠수함의 헐 덕트 내 설치 가능한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로서, 제1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설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베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베인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 연결되는 제2 베인, 및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 간의 연결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VANE STRUCTURE OF HULL DUCT FOR SUBMARINE}
본 발명은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 압력 강하(Pressure drop)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압력 강하를 줄이고 벤틸레이션(Ventilation)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Submarine)은 수중과 수상에서 자체의 추진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으로 주로 군용으로 사용된다.
잠수함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적에게 노출되지 않고 수중에서 작전 수행을 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잠수함은 적의 잠수함을 탐색하고 공격하는 대잠전, 기동 전투전대 외곽에 배치하여 적의 수상함을 정찰하고 공격하는 대함전, 전략 핵무기 및 미사일을 탑재하여 전략 임무를 수행하는 대지전, 전쟁시에 상대국의 작전해역에서 전자정보 및 통신정보를 수집하는 정찰 및 감시, 특수전요원을 투입하여 정보수집 및 주요시설 파괴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전, 및 기뢰부설 등 중요한 전력 임무를 수행한다.
잠수함은 비대칭전략무기로 전쟁억지력이 다른 무기체계에 비하여 높으며, 최근 국지전으로 발생하는 전쟁에서 잠수함은 정보전 및 특수요원투입을 적국이 모르게 하는 최적의 함정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 압력 강하(Pressure drop)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경우, 잠수함의 압력 선체에 설치 되는 경우, 공간 협소로 인하여 일체형 베인 구조물을 적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헐(Hull)과 베인 간의 이종 재질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의 압력 강하를 줄이고 벤틸레이션(Ventilation)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해결방안이 요청된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9814호(2018.02.27,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잠수함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98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의 압력 강하(Pressure drop)를 줄일 수 있는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벤틸레이션(Ventilation)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은, 잠수함의 헐 덕트 내 설치 가능한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로서, 제1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설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베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베인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 연결되는 제2 베인; 및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 간의 연결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제1 엔드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는 제1 V형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인은, 원호 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V형 홀에 삽입 고정되는 제1 V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제2 엔드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는 제2 V형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인은, 원호 형상 단면을 갖는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V형 홀에 삽입 고정되는 제2 V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블레이드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블레이드는, 설정 크기의 이격 공간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상기 제1 베인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베인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튜브; 및 상기 제2 베인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베인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튜브의 내부 중공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연결되는 쓰레드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상기 쓰레드 볼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튜브의 내부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 간의 길이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튜브와 상기 쓰레드 볼트 간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인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에 의하면,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구조로서,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의 압력 강하(Pressure drop)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에 의하면,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구조로서, 벤틸레이션(Ventilation)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길이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설치 개념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잠수함은 수중과 수상에서 자체의 추진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으로 주로 군용으로 사용된다. 잠수함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적에게 노출되지 않고 수중에서 작전 수행을 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잠수함은 비대칭전략무기로 전쟁억지력이 다른 무기체계에 비하여 높으며, 최근 국지전으로 발생하는 전쟁에서 잠수함은 정보전 및 특수요원투입을 적국이 모르게 하는 최적의 함정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잠수함의 경우,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 압력 강하(Pressure drop)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의 압력 강하를 억제하고, 벤틸레이션(Ventilation)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길이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의 설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1000)은, 잠수함의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베인 구조물로서, 제1 엔드 플레이트(500), 제2 엔드 플레이트(700), 제1 베인(100), 제2 베인(200), 및 길이 조절 모듈(300)을 포함한다.
제1 엔드 플레이트(500)와 제2 엔드 플레이트(700)는 서로 설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이다.
제1 엔드 플레이트(500)와 제2 엔드 플레이트(700)는 제1, 2 베인(100, 200)의 길이 조절 후 설치 시 위치를 조정 및 고정한다. 제1 엔드 플레이트(500)와 제2 엔드 플레이트(700)는 동일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제1 베인(100)은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500)에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베인(200)은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700)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베인(100)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 연결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0)은 상기 제1 베인(100)과 상기 제2 베인(200) 간의 연결 길이를 조절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1000)에서, 제1 엔드 플레이트(500)는 제1 엔드 플레이트 본체(510)와, 제1 V형 홀(530)을 포함한다.
제1 V형 홀(530)은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 본체(510)의 내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V형 홀(530)은 4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서 제1 V형 홀(5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1000)에서, 제1 블레이드(110)와 제1 V형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110)는 상기 제1 베인(100)은 원호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V형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1 블레이드(1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V형 홀(53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1000)에서,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700)는, 제2 엔드 플레이트 본체(710)와, 제2 V형 홀(730)을 포함한다.
제2 V형 홀(730)은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 본체(710)의 내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 V형 홀(730)은 4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서 제2 V형 홀(7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1000)에서, 상기 제2 베인(200)은, 원호 형상 단면을 갖는 제2 블레이드(210)와, 상기 제2 블레이드(2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V형 홀(730)에 삽입 고정되는 제2 V형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블레이드(21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블레이드(211, 213)는 설정 크기의 이격 공간을 두고 상하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블레이드(110)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 2 베인(100, 2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1000)에서, 길이 조절 모듈(300)은, 튜브(310)와 쓰레드 볼트(32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튜브(310)는 상기 제1 베인(100),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베인(100)에 구성된 제1 V형 플레이트(13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베인(200)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튜브 본체(311)를 포함한다.
튜브 본체(311)의 내부에는 내부 중공(313)이 형성될 수 있다.
쓰레드 볼트(320)는 상기 제2 베인(20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베인(100)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튜브(310)의 내부 중공(313)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연결되는 쓰레드 볼트 몸체(321)를 포함한다.
쓰레드 볼트 몸체(321)의 선단 부위에는 나사산, 즉 쓰레드(3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1000)에서, 길이 조절 모듈(300)은 너트(315)를 더 포함한다.
너트(315)는 상기 쓰레드 볼트(3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튜브(310)의 내부 중공(313)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베인(100)과 상기 제2 베인(200) 간의 길이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쓰레드 볼트(32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부재이다. 너트(315)의 체결에 의해 상기 튜브(310)와 상기 쓰레드 볼트(320) 간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며, 제1, 2 베인(100, 200) 간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2 엔드 플레이트(500, 700)은 잠수함의 헐 덕트(Hull duct)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력 접착용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제1, 2 엔드 플레이트(500, 700)은 잠수함의 헐 덕트(Hull duct)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접착용 수단(예: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제1, 2 엔드 플레이트(500, 700)를 헐 덕트 헐 덕트(Hull duct)에 설치 고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도 4의 (a)에서 제1, 2 엔드 플레이트의 하단에 하나의 베인 구조물이 설치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b)에는 3개의 베인 구조물이 설치되고, 도 4의 (c)에는 4개의 베인 구조물이 설치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구조로서, 잠수함 내 헐 덕트(Hull duct)에서의 압력 강하(Pressure drop)를 줄일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인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에 의하면, 헐 덕트 내에 설치 가능한 구조로서, 벤틸레이션(Ventilation)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제1 베인
110: 제1 블레이드
130: 제1 V형 플레이트
200: 제2 베인
210(211, 213): 제2 블레이드
230: 제2 V형 플레이트
300: 길이 조절 모듈
310: 튜브
311: 튜브 본체
313: 내부 중공
315: 너트
320: 쓰레드 볼트
321: 쓰레드 볼트 몸체
323: 쓰레드
500: 제1 엔드 플레이트
510: 제1 엔드 플레이트 본체
530: 제1 V형 홀
700: 제2 엔드 플레이트
710: 제2 엔드 플레이트 본체
730: 제2 V형 홀
1000: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Claims (8)

  1. 잠수함의 헐 덕트 내 설치 가능한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로서,
    제1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설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베인;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베인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 연결되는 제2 베인; 및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 간의 연결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모듈;
    을 포함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제1 엔드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는 제1 V형 홀;
    을 포함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인은,
    원호 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V형 홀에 삽입 고정되는 제1 V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제2 엔드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는 제2 V형 홀;
    을 포함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인은,
    원호 형상 단면을 갖는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V형 홀에 삽입 고정되는 제2 V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블레이드는,
    설정 크기의 이격 공간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상기 제1 베인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베인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튜브; 및
    상기 제2 베인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베인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튜브의 내부 중공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연결되는 쓰레드 볼트;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상기 쓰레드 볼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튜브의 내부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 간의 길이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튜브와 상기 쓰레드 볼트 간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체결되는 너트;
    를 더 포함하는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KR1020210133415A 2021-10-07 2021-10-07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Active KR10258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15A KR102588671B1 (ko) 2021-10-07 2021-10-07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15A KR102588671B1 (ko) 2021-10-07 2021-10-07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112A KR20230050112A (ko) 2023-04-14
KR102588671B1 true KR102588671B1 (ko) 2023-10-11

Family

ID=8594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415A Active KR102588671B1 (ko) 2021-10-07 2021-10-07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6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495A (ja) * 1997-11-26 1999-06-15 Takashi Uesugi 移動物体の圧力吸収構造
US7004998B2 (en) * 2003-09-17 2006-02-28 Eastman Chemical Company Gas-liquid impingement separator incorporated in a piping elbow
DE102007030509B3 (de) * 2007-06-30 2008-07-31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Einrichtung zum Lagern und Starten zumindest eines Tauchkörpers in einem Unterseeboot
KR101608355B1 (ko) * 2014-04-08 2016-04-01 국방과학연구소 기체의 축방향 변형 및 팽창이 내부에 전달되지 않게 차단하는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05245B1 (ko) 2016-08-17 2023-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112A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233B1 (ko) 연장가능한 원통 부표 해상기지 통신 시스템
US11072441B2 (en) Stackable spacecraft
EP2533006B1 (en) Armor element
EP1336814B1 (en) Operation of a decoy against threats
OA11332A (en) Mobile offshore base.
RU239341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репления ракетных контейнеров устройства вертикального запуска ракет
JP6559131B2 (ja) 複数ミサイルキャリッジ及び発射誘導モジュール
KR102588671B1 (ko) 잠수함의 헐 덕트 베인 구조물
US7278364B2 (en) Reconfigurable attack and reconnaissance vessel I
US20140306851A1 (en) Integrated antenna and antenna component
KR20120031398A (ko) 추진기관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US10155597B2 (en) Artificial satellite
US7390233B2 (en) Station keeping maneuverable articulating autonomous regenerative tactical (SMAART) buoy
Clark et al. Fighting into the Bastions: Getting Noisier to Sustain the US Undersea Advantage
KR102614418B1 (ko) 잠수함의 가변형 납발라스트 장치
US20090050041A1 (en) Watercraft with a protective device against shaped/hollow charges
KR20210048533A (ko) 모듈형 송수신 타워를 갖는 선박
US6851347B1 (en) Multi-lobed buoyant launch capsule
CN102211653A (zh) 集成飞战舰
CN214648952U (zh) 一种潜艇
Friedman Submarines' future-some possible pointers
Kramer Lasers will shine in future warfare
EP3384228B1 (en) Anti-ballistic passthroughs
US20160223296A1 (en) Rotating rapid-firing defense weapon system
Boehe Modern Warships for Combat in Coastal W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