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599B1 - Building type breeding system having interchanging multilayer structure - Google Patents
Building type breeding system having interchanging multilaye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8599B1 KR102588599B1 KR1020230002784A KR20230002784A KR102588599B1 KR 102588599 B1 KR102588599 B1 KR 102588599B1 KR 1020230002784 A KR1020230002784 A KR 1020230002784A KR 20230002784 A KR20230002784 A KR 20230002784A KR 102588599 B1 KR102588599 B1 KR 1025885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quaculture
- tank
- water
- stag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0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033340 Merluccius cap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식수조를 교차 적층하고, 양측면에서 해당 양식수조로 양식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순환되도록 하여서, 배관 상호간의 간섭없이 여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쉽도록 할 수 있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type system that cross-stacks aquaculture tanks, and separately supplies and circulates culture water to the corresponding aquaculture tanks from both sides, allowing easy installation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pipes and making maintenance easy. It is about a multi-story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대상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에서 건물 혹은 빌딩 등의 건축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통제된 시설 내에서, 층별, 수조별 다양한 어패류를 양식하는 개념의 복합빌딩양식이 적용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with the development of aquaculture technology, the technology to culture target organisms in tanks on land rather than in the sea has been established, and this has been further developed to allow cultivation in controlled facilities using buildings or architectural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in urban areas. , a complex building style with the concept of cultivating a variety of fish and shellfish on each floor and tank is being applied.
한편, 복합빌딩양식이란 IT를 양식기술에 접목하여 자동화 및 무인화를 통해 다양한 어패류를 대량으로 양식하는 기술로서, 층별, 수조별 개별 관리가 가능하여, 질병 예방 및 확산 방지가 용이하다.Meanwhile, complex building aquaculture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IT with aquaculture technology to cultivate a variety of fish and shellfish in large quantities through automation and unmanned operation. It allows individual management by floor and tank, making it easy to prevent disease and spread.
또한, 어종 생육에 따른 크기별 분리 입식이 가능하며, 생산성 향상과 출하시기 등의 조절이 가능하여 양식 어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ock fish separately by size according to their growth,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control shipping times, thereby increasing the added value of farmed fish species.
예컨대, 이와 같은 복합빌딩형 양식장은 다수 개의 양식용 수조를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양식장의 시설면적에 대한 부담이 보다 적도록 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수질관리가 가능한 양식장에 대한 기술이 요구된다.For example, such a complex building-type fish farm requires technology for a fish farm that installs multiple fish tanks in a vertical direction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acility area of the fish farm and to manage water quality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식수조를 교차 적층하고, 양측면에서 해당 양식수조로 양식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순환되도록 하여서, 배관 상호간의 간섭없이 여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쉽도록 할 수 있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ck aquaculture tanks cross-stacked, and to individually supply and circulate aquaculture water to the corresponding aquaculture tanks from both sides, so that installation is possible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pipes, thus reducing maintenance. The goal is to provide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layer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opera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측은 라운드져 마감되며 바닥에 제1배수관이 인입되고, 타측은 직선형으로 마감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식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중앙에 형성된 격벽을 통해 양식수를 순환여과시키는 다수의 제1단 양식수조와, 일측은 직선형으로 마감되며고, 타측은 라운드져 마감되며 바닥에 제2배수관이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식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중앙에 형성된 격벽을 통해 양식수를 순환여과시키는 다수의 제2단 양식수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배수관은 상기 제2단 양식수조의 일측 측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배수관은 상기 제1단 양식수조의 타측 측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교차하여 일정 높이로 상호 적층 형성되는, 양식수조부; 상기 양식수조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 양식수조 및 상기 제2단양식수조별로 상단 일측으로부터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각 제1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1저장탱크로 구성되는, 제1저장부; 상기 양식수조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 양식수조 및 상기 제2단양식수조별로 상단 타측으로부터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2급수관과, 상기 각 제2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2저장탱크로 구성되는, 제2저장부; 상기 각 제1배수관과 상기 각 제2배수관이 각각 그룹핑되어 통합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수되는 양식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드럼필터와, 상기 드럼필터를 통과한 양식수의 슬러지와 단백질을 제거하는 스키머와,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스키머를 통과한 양식수를 다수의 침전조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정화조로 구성되는, 정화부; 상기 정화부로부터 펌프를 통해 상기 제1저장탱크 및 상기 제2저장탱크로 정화된 양식수를 각각 순환 공급하는 순환 공급부; 및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를 각각 일정 높이로 적층하여 지지하도록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시스템 비계;를 포함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rounded and a first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bottom, and the other side is finished in a straight lin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ceive and store aquaculture water in the center. Multiple first-stage aquaculture tanks that circulate and filter cultured water through formed partition walls, one side is finished in a straight line, the other side is finished in a rounded shape, and a second drain pipe enters the bottom,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llect cultured water.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cond-stage aquaculture tanks that receive and store supply and circulate and filter the aquaculture water through a partition formed in the center, wherein the first drain pipe extends vertically to one side of the second-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first drainage pipe extends vertically to one side of the second-stage aquaculture tank. The second drain pipe is a water culture tank section that extends vertically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age water tank and is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t a certain height. A first water supply pipe formed at one end of the aquaculture tank and supplying wat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aquaculture water from one upper side for each of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nd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s. A first storage unit consisting of a first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aquaculture water;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aquaculture tank and supplying water to each of the first-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stage aquaculture tank by adjusting the amount of aquaculture water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and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s. A second storage unit consisting of a second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aquaculture water; A discharge pipe in which each of the first drain pipes and each of the second drain pipes are grouped and integrated, a drum filter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 the aquaculture water drained from the discharge pipe, and a drum filter that removes sludge and protein in the aquacultur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um filter. a purification unit, which consists of a skimmer and a purification tank disposed at the bottom and purifying the cultur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kimmer using a plurality of sedimentation tanks and microorganisms; a circulation supply unit that circulates and supplies purified aquaculture water from the purification unit to the firs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storage tank through a pump; And a system scaffold consisting of a lattice structure to support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respectively, at a certain height. Provides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여기서, 상기 제1단 양식수조의 일측에는 일정 깊이로 제1우물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관은 상기 제1우물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단 양식수조의 타측에는 일정 깊이로 제2우물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관은 상기 제2우물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Here, a first well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one side of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the first drain pipe is formed through the first well, and a second well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 well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drain pipe may be formed penetrating the second well.
또한, 상기 정화조는 고정상 필터 또는 유동상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ptic tank may include a fixed bed filter or a fluidized bed filter.
또한,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인접하여 다수 배열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may each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시스템 비계는, 다수의 수직파이프와, 적층 높이별로 상기 수직파이프에 결합된 연결 커플러와, 상기 연결 커플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scaffold is horizontally coupled between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connection couplers coupled to the vertical pipes at each stacking height, and the connection coupler to form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It may be composed of a horizontal member that seats and supports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의 용존산소량을 계측하는 산소센서와, pH를 계측하는 pH센서와, 수위를 계측하는 수위센서와,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센서와, 슬러지 농도를 계측하는 단백질 센서와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사료를 일정주기마다 공급하는 사료공급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각 계측값에 따라, 폭기부와, 상기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관의 각 조절밸브와, 상기 드럼필터와, 상기 스키머와, 수온조절부와, 상기 사료공급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xygen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 pH sensor for measuring pH,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a water leak sensor for detecting water leakage, and a sludge A sensor unit consisting of a protein sensor that measures concentration and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emperature; A feed supply unit that supplies feed at regular intervals; And according to each measured value by the sensor unit, the aeration unit, each control valve of the first drain pipe and the second drain pipe, the drum filter, the skimmer, the water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feed supply unit, resp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또한, 상기 정화조의 양식수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ing unit that sterilizes the cultured water of the septic tank.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수조를 교차 적층하고, 양측면에서 해당 양식수조로 양식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순환되도록 하여서, 배관 상호간의 간섭없이 여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쉽도록 하며, 별도의 펌프없이 자체 수압에 의해 양식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교차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양식수조를 통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양식수를 순환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quaculture tanks are cross-stacked, and aquaculture water is individually supplied and circulated to the corresponding aquaculture tanks from both sides, allowing for easy installation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pipes, making maintenance easy, and separate It is possible to supply aquaculture water through its own water pressure without a pump, and has the effect of circulating aquaculture water by efficiently utilizing space through aquaculture tanks with a cross-laminate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의 구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의 양식수조를 분리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의 시스템 비계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 비계의 변형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implementation diagram of the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of the cross-type multi-layer structure of FIG. 1.
Figure 3 is an example of an isolated aquaculture tank of the multi-layered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of Figure 2.
Figure 4 illustrates the system scaffolding of the cross-type multi-layer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of Figure 1.
Figure 5 illustrates a variation of the system scaffold of Figure 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은, 다수의 제1단 양식수조(110)와, 다수의 제2단 양식수조(120)로 이루어지고, 교차하여 일정 높이로 상호 적층 형성되어 각각 양식수를 순환여과시키는, 양식수조부, 제1단 양식수조(110) 및 제2단 양식수조(120)별로 상단 일측으로부터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1급수관(132)과, 각 제1급수관(132)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1저장탱크(133)로 구성되는, 제1저장부(130), 제1단 양식수조(110) 및 제2단 양식수조(120)별로 상단 타측으로부터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2급수관(142)과, 각 제2급수관(142)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2저장탱크(143)로 구성되는, 제2저장부(140), 각 제1배수관(111)과 각 제2배수관(121)이 각각 그룹핑되어 통합된 배출관(151)과, 배출관(151)으로부터 배수되는 양식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드럼필터(152)와, 드럼필터(152)를 통과한 양식수의 슬러지와 단백질을 제거하는 스키머(153)와, 최하단에 배치되고, 스키머(153)를 통과한 양식수를 다수의 침전조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정화조(154)로 구성되는, 정화부(150), 정화부(150)로부터 펌프를 통해 제1저장탱크(133)와 제2저장탱크(143)로 정화된 양식수를 각각 순환 공급하는 순환 공급부(160), 및 제1단 양식수조(110)와 제2단 양식수조(120)와 제1저장부(130)와 제2저장부(140)를 각각 일정 높이로 적층하여 지지하도록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시스템 비계(170)를 포함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양식수를 순환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rst-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of the cross-typ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양식수조부에는 다수의 제1단 양식수조(110)와 다수의 제2단 양식수조(120)가 교차하여 적층되는데, 구체적으로, 양식수조부는, 일측은 라운드져 마감되며 바닥에 제1배수관(111)이 인입되고, 타측은 직선형으로 마감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식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격벽(113)을 통해 양식수를 순환여과시키는 다수의 제1단 양식수조(110)와, 일측은 직선형으로 마감되며고, 타측은 라운드져 마감되며 바닥에 제2배수관(121)이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식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격벽(123)을 통해 양식수를 순환여과시키는 다수의 제2단 양식수조(120)로 이루어진다.First, in the aquaculture tank part, a plurality of first-
여기서, 제1배수관(111)은 제2단 양식수조(120)의 일측 측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출관(151)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제2단 양식수조(120)와 간섭없이 설치되고, 제2배수관(121)은 제1단 양식수조(110)의 타측 측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출관(151)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제1단 양식수조(110)와 간섭없이 설치되도록 교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호 간섭없이, 제1단 양식수조(110)와 제2단 양식수조(120)가 상호 교대로 일정 높이로 적층 형성되어서, 생육에 따른 크기별 분리 입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격벽(113,123)을 통해 양식수를 레이스웨이(raceway) 방식으로 순환시켜 이물질을 청소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cultured water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한편, 제1단 양식수조(110)의 일측에는 일정 깊이로 제1우물(112)이 형성되고, 제1배수관(111)은 제1우물(1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서, 양식수의 이물질이 제1우물(112)에 쉽게 모이도록 하고, 제1배수관(111)을 통해 쉽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고, 제2단 양식수조(120)의 타측에는 일정 깊이로 제2우물(122)이 형성되고, 제2배수관(121)은 제2우물(12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서, 양식수의 이물질이 제2우물(122)에 쉽게 모이도록 하고, 제2배수관(121)을 통해 쉽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
다음, 제1저장부(130)는 양식수조부의 일단 측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제1단 양식수조(110) 및 다수의 제2단 양식수조(120)로 양식수를 각각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단 양식수조(110) 및 제2단 양식수조(120)별로 상단 일측으로부터 개별 조절밸브(131)를 통해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1급수관(132)과, 순환 공급부(160)와 연결되어 각 제1급수관(132)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1저장탱크(133)로 구성된다.Next, the first storage unit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quaculture tank and supplies aquaculture water to the plurality of first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저장탱크(133)의 양식수를, 별도의 펌프 가동없이, 자체 수압에 의해 각 층별 제1단 양식수조(110) 및 제2단 양식수조(120)로 각각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aquaculture water in the
다음, 제2저장부(140)는 양식수조부의 타단 측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제1단 양식수조(110) 및 다수의 제2단 양식수조(120)로 양식수를 각각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단 양식수조(110) 및 제2단 양식수조(120)별로 상단 타측으로부터 개별 조절밸브(141)를 통해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2급수관(142)과, 순환 공급부(160)와 연결되어 각 제2급수관(142)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2저장탱크(143)로 구성된다.Next, the second storage unit 140 is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aquaculture tank and supplies aquaculture water to the plurality of first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2저장탱크(143)의 양식수를, 별도의 펌프 가동없이, 자체 수압에 의해 각 층별 제1단 양식수조(110) 및 제2단 양식수조(120)로 각각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aquaculture water in the
다음, 정화부(150)는, 도 1을 참고하면, 각 제1배수관(111)과 각 제2배수관(121)이 각각 그룹핑되어 통합된 배출관(151)과, 배출관(151)으로부터 배수되는 양식수의 고형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드럼필터(152)와, 드럼필터(152)를 통과한 양식수의 슬러지와 단백질을 제거하여 단백질 농도를 조절하는 스키머(skimmer)(153)와, 최하단에 배치되고, 스키머(153)를 통과한 양식수를 다수의 침전조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정화조(154)로 구성된다.Next, referring to FIG. 1, the
여기서, 스키머(153)는 대량의 거품을 발생시켜 거품과 함께 물속에 녹아있던 단백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에어스톤을 통해 미세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수면 위에 거품이 쌓이도록 하여 단백질 등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Here, the skimmer 153 generates a large amount of foam to remove proteins dissolved in the water along with the foam. It generates fine air bubbles through an air stone and causes foam to accumulate on the water surface to remove dirt such as protein. You can.
또한, 정화조(154)는 고정상 필터 또는 유동상 필터를 포함하여서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 특히 새우에게 적합한 수질환경을 재조성하여 양식수를 재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출관(151)에는 낙하하는 양식수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와 연동하는 회전자와, 회전자 중앙에 형성된 고정자로 구성된 수차발전기가 형성되어서, 수차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AC전력을 DC전력으로 변환하여 리튬이온배터리에 임시저장하고, 외부전력의 정전시 또는 필요에 따라 양식수조부를 조사하는 저전력 LED로 구성된 조명을 가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water turbine generator is formed in the
다음, 순환 공급부(160)는 정화부(150)의 정화조(154)로부터 해당 펌프(161)를 통해 제1저장탱크(133)와 제2저장탱크(143)로 정화된 양식수를 각각 순환 공급한다.Next, the
다음, 시스템 비계(170)는, 수직재와, 수평재와, 수직재 사이에 커플링되어 수평재와 체결되어 수평재를 지지하는 연결 커플러로 구성되어서, 제1단 양식수조(110)와 제2단 양식수조(120)와 제1저장부(130)와 제2저장부(140)를 각각 일정 높이로 적층하여 지지하도록 격자구조로 이루어진다.Next, the
즉,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비계(170)는, 수직재인 다수의 수직파이프(171)와, 적층 높이별로 수직파이프(171)에 결합된 연결 커플러(172)와, 연결 커플러(17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단 양식수조(110)와 제2단 양식수조(120)와 제1저장부(130)와 제2저장부(140)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수평재(173)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4, the
예컨대, 제1단 양식수조(110)와 제2단 양식수조(120)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인접하여 수직파이프(171) 사이에 다수 배열될 수 있는데, 연결 커플러(172)와 수평재(173)의 조합에 의해 제1단 양식수조(110)와 제2단 양식수조(120)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병렬배열된 제1단 양식수조(110) 사이와 병렬배열된 제2단 양식수조(120) 사이에 발판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커플러(172)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는 수직파이프(171)와 용접되고 고정되어 연결 커플러(172)를 지지하는 지지편(174)이 형성되어서, 수평재(173)를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여 보강하고 연결 커플러(17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a) of FIG. 5, a
또한, 도 5의 (b)를 참고하면, 연결 커플러(172)의 수평날개(172-1) 사이에는 수직파이프(17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양한 배관(10)을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중앙이 절개된 탄성재질의 제1배관클립(175)이 형성되고, 수직파이프(171)의 특정 위치에 제1배관클립(175)과 동일한 구조의 제2배관클립(176)이 형성되어서, 각 단별로 수직 배치된 연결 커플러(172) 또는 수직파이프(171)를 통해 배관(10)을 정렬시켜서, 배관의 배치를 간소화하여 작업자의 이동 공간과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5,
다음, 센서부는 제1단 양식수조(110)와 제2단 양식수조(120)의 용존산소량을 계측하는 산소센서와, pH를 계측하는 pH센서와, 수위를 계측하는 수위센서와,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센서와, 슬러지 농도를 계측하는 단백질 센서와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로 이루어지고, 사료공급부는 사료를 일정주기마다 공급하도록 한다.Next, the sensor unit includes an oxygen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rst-
다음, 제어부는 센서부에 의한 각 계측값에 따라,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부와, 제1배수관(111) 및 제2배수관(121)의 각 조절밸브(131,141)와, 드럼필터(152)와, 스키머(153)와, 수온조절부와, 사료공급부를 각각 제어하여 양식에 적합한 수생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aeration unit that supplies oxygen, each control valve (131, 141) of the first drain pipe (111) and the second drain pipe (121), a drum filter (152), and , the skimmer 153, the water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feed supply unit can be controlled to create an aquatic environment suitable for aquaculture.
다음, 살균부는 정화조(154)의 양식수에 서식하는 미세 세균을을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sterilization unit may sterilize microscopic bacteria living in the cultured water of the
한편, 제1단 양식수조(110)의 내측에는 제1우물(112) 방향으로 어류를 실린더와 연동하여 푸시하는 그물망이 형성되고 제1단 양식수조(110)의 타측에는 비상배수관이 형성되어서, 성체가 어류의 수확시에 그물망을 통해 제1우물(112)에 모아서 쉽게 낚도록 할 수 있고, 급격한 수질 악화시에 그물망을 통해 어류를 제1우물(112)로 유도하고 비상배수관을 통해 급속 배수하여 정화처리후 폐기처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단 양식수조(120)에도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 net is formed inside the first
또한, 제1우물(112)과 제2우물(122)에는 이물질 퇴적 감지 센서와 흡입모듈이 각각 형성되어 일정 높이 이상의 사료, 배설물 등의 퇴적물이 쌓여 침착되면 제어부는 흡입모듈을 가동하여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foreign matter de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a suction module are formed in th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양식수조를 교차 적층하고, 양측면에서 해당 양식수조로 양식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순환되도록 하여서, 배관 상호간의 간섭없이 여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쉽도록 하며, 별도의 펌프없이 자체 수압에 의해 양식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교차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양식수조를 통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양식수를 순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by constructing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quaculture tanks are cross-stacked, and aquaculture water is individually supplied and circulated from both sides to the corresponding aquaculture tanks,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the pipes. It allows for easy installation and easy maintenance. It can supply aquaculture water through its own water pressure without a separate pump, and it utilizes space efficiently through aquaculture tanks with a cross-laminated structure to circulate aquaculture water. You can do i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variations may exist.
110 : 제1단 양식수조 111 : 제1배수관
112 : 제1우물 113 : 격벽
120 : 제2단 양식수조 121 : 제2배수관
122 : 제2우물 123 : 격벽
130 : 제1저장부 131 : 조절밸브
132 : 제1급수관 133 : 제1저장탱크
140 : 제2저장부 141 : 조절밸브
142 : 제2급수관 143 : 제2저장탱크
150 : 정화부 151 : 배출관
152 : 드럼필터 153 : 스키머
154 : 정화조 160 : 순환 공급부
161 : 펌프 170 : 시스템 비계
171 : 수직파이프 172 : 연결 커플러
173 : 수평재 174 : 지지편
175 : 제1배관클립 176 : 제2배관클립110: 1st stage aquaculture tank 111: 1st drain pipe
112: first well 113: partition wall
120: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121: Second drain pipe
122: Second well 123: Bulkhead
130: first storage unit 131: control valve
132: first water supply pipe 133: first storage tank
140: second storage unit 141: control valve
142: Second water supply pipe 143: Second storage tank
150: purification unit 151: discharge pipe
152: drum filter 153: skimmer
154: septic tank 160: circulation supply unit
161: pump 170: system scaffolding
171: vertical pipe 172: connection coupler
173: horizontal member 174: support piece
175: 1st piping clip 176: 2nd piping clip
Claims (7)
상기 양식수조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 양식수조 및 상기 제2단양식수조별로 상단 일측으로부터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각 제1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1저장탱크로 구성되는, 제1저장부;
상기 양식수조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 양식수조 및 상기 제2단양식수조별로 상단 타측으로부터 양식수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급수하는 제2급수관과, 상기 각 제2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양식수를 임시저장하는 제2저장탱크로 구성되는, 제2저장부;
상기 각 제1배수관과 상기 각 제2배수관이 각각 그룹핑되어 통합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수되는 양식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드럼필터와, 상기 드럼필터를 통과한 양식수의 슬러지와 단백질을 제거하는 스키머와,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스키머를 통과한 양식수를 다수의 침전조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정화조로 구성되는, 정화부;
상기 정화부로부터 펌프를 통해 상기 제1저장탱크 및 상기 제2저장탱크로 정화된 양식수를 각각 순환 공급하는 순환 공급부; 및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를 각각 일정 높이로 적층하여 지지하도록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시스템 비계;를 포함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
One side is rounded and a first drain pipe enters the bottom, and the other side is finished in a straight lin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ceive and store aquaculture water and circulate and filter the aquaculture water through a partition formed in the center. However, the aquaculture tank has a straight finish on one side and a rounded finish on the other side, and a second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bottom. I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ceive and store the aquaculture water and circulate the aquaculture water through a partition formed in the center.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cond-stage aquaculture tanks for filtration, wherein the first drain pipe extends vertically to one side of the second-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drain pipe extends vertically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stage aquaculture tank. Aquaculture tanks are formed by stacking each other at a certain height by crossing each other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A first water supply pipe formed at one end of the aquaculture tank and supplying wat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aquaculture water from one upper side for each of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nd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s. A first storage unit consisting of a first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aquaculture water;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aquaculture tank and supplying water to each of the first-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stage aquaculture tank by adjusting the amount of aquaculture water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and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s. A second storage unit consisting of a second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aquaculture water;
A discharge pipe in which each of the first drain pipes and each of the second drain pipes are grouped and integrated, a drum filter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 the aquaculture water drained from the discharge pipe, and a drum filter that removes sludge and protein in the aquacultur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um filter. a purification unit, which consists of a skimmer and a purification tank disposed at the bottom and purifying the cultur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kimmer using a plurality of sedimentation tanks and microorganisms;
a circulation supply unit that circulates and supplies purified aquaculture water from the purification unit to the firs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storage tank through a pump; and
A system scaffold consisting of a lattice structure to support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respectively, at a certain height.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story structure.
상기 제1단 양식수조의 일측에는 일정 깊이로 제1우물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관은 상기 제1우물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단 양식수조의 타측에는 일정 깊이로 제2우물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관은 상기 제2우물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well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one side of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first drain pipe is formed through the first well,
A second well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drain pipe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well.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story structure.
상기 정화조는 고정상 필터 또는 유동상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ptic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ed bed filter or a fluidized bed filter.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story structure.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인접하여 다수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re each arranged in a plurality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story structure.
상기 시스템 비계는, 다수의 수직파이프와, 적층 높이별로 상기 수직파이프에 결합된 연결 커플러와, 상기 연결 커플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ystem scaffold is horizontally coupled to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connection couplers coupled to the vertical pipes at each stacking height, and the connection couplers to form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orizontal member that seats and supports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story structure.
상기 제1단 양식수조와 상기 제2단 양식수조의 용존산소량을 계측하는 산소센서와, pH를 계측하는 pH센서와, 수위를 계측하는 수위센서와,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센서와, 슬러지 농도를 계측하는 단백질 센서와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사료를 일정주기마다 공급하는 사료공급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각 계측값에 따라, 폭기부와, 상기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관의 각 조절밸브와, 상기 드럼필터와, 상기 스키머와, 수온조절부와, 상기 사료공급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n oxygen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rst stage aquaculture tank and the second stage aquaculture tank, a pH sensor that measures pH, a water level sensor that measures the water level, a water leak sensor that detects water leakage, and a sludge concentration A sensor unit consisting of a protein sensor for measuring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 feed supply unit that supplies feed at regular intervals; and
According to each measured value by the sensor unit, the aeration unit, each control valve of the first drain pipe and the second drain pipe, the drum filter, the skimmer, the water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feed supply unit are controlled,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story structure.
상기 정화조의 양식수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형 다층구조의 빌딩형 양식 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cultured water of the septic tank.
A building-type aquaculture system with a cross-type multi-story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2784A KR102588599B1 (en) | 2023-01-09 | 2023-01-09 | Building type breeding system having interchanging multilaye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2784A KR102588599B1 (en) | 2023-01-09 | 2023-01-09 | Building type breeding system having interchanging multilayer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8599B1 true KR102588599B1 (en) | 2023-10-11 |
Family
ID=8829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2784A Active KR102588599B1 (en) | 2023-01-09 | 2023-01-09 | Building type breeding system having interchanging multilaye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8599B1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2788A (en) * | 1994-05-31 | 1995-12-12 | O D I:Kk | Method for rearing saltwater fish and device therefor |
KR20100087684A (en) * | 2009-01-28 | 2010-08-05 | 김용우 | Building type breeding ground |
KR101270631B1 (en) | 2012-10-23 | 2013-06-04 | 대한민국 | Multi complex tank for an aquaculture using the bio-flac |
KR20160053139A (en) * | 2014-10-31 | 2016-05-13 | 한국기계연구원 | Compound aquafarm |
KR101660867B1 (en) * | 2015-12-28 | 2016-09-28 |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 Building type fish forming systerm |
KR20170029280A (en) * | 2015-09-07 | 2017-03-15 | 주식회사하남엔지니어링 | the rearing system using the food chain structure |
KR20190106237A (en) * | 2018-03-08 | 2019-09-18 | 주식회사 아리시스 | Multi level grow out tank system module |
KR20220049843A (en) * | 2020-10-15 | 2022-04-22 | 유한회사 한인스틸 | Aquaponics system |
KR102452588B1 (en) | 2021-10-01 | 2022-10-12 | 최정기 | Multi-stage aquaculture apparatus for Macrobrachium rosenbergii |
-
2023
- 2023-01-09 KR KR1020230002784A patent/KR1025885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2788A (en) * | 1994-05-31 | 1995-12-12 | O D I:Kk | Method for rearing saltwater fish and device therefor |
KR20100087684A (en) * | 2009-01-28 | 2010-08-05 | 김용우 | Building type breeding ground |
KR101270631B1 (en) | 2012-10-23 | 2013-06-04 | 대한민국 | Multi complex tank for an aquaculture using the bio-flac |
KR20160053139A (en) * | 2014-10-31 | 2016-05-13 | 한국기계연구원 | Compound aquafarm |
KR20170029280A (en) * | 2015-09-07 | 2017-03-15 | 주식회사하남엔지니어링 | the rearing system using the food chain structure |
KR101660867B1 (en) * | 2015-12-28 | 2016-09-28 |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 Building type fish forming systerm |
KR20190106237A (en) * | 2018-03-08 | 2019-09-18 | 주식회사 아리시스 | Multi level grow out tank system module |
KR20220049843A (en) * | 2020-10-15 | 2022-04-22 | 유한회사 한인스틸 | Aquaponics system |
KR102452588B1 (en) | 2021-10-01 | 2022-10-12 | 최정기 | Multi-stage aquaculture apparatus for Macrobrachium rosenbergii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22025B2 (en) | Indoor fishfarm with raised tank | |
KR100969829B1 (en) | Fish form a high-density systems | |
KR101185863B1 (en) | Multi-floor type round water tank using a building for breeding live-fish | |
CN109963463B (en) | Float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or marine animal breeding | |
KR102150284B1 (en) | Farm equipment of duplex type shrimp | |
KR20160123375A (en) | Super-large scale photon capture bioreactor for water purif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CN101785399A (en) | Double-layer fish and vegetable symbiotic industrial circulating water cultivating system | |
CN106857363A (en) | A kind of light-transmission type bio-decontamination cycle water fish farming system | |
KR101799761B1 (en) | Shellfish conditioning and depuration system with closed recirculation type | |
CN105613389A (en) | Prawn culture system | |
KR101330705B1 (en) | Apartment type and plant type farming-building using air lift apparatus | |
KR20080111356A (en) | Air circulation system of fermenter | |
KR102588599B1 (en) | Building type breeding system having interchanging multilayer structure | |
CN107410160A (en) | Intelligent control circulating water treatment utilizes integrated system | |
CN208317942U (en) | Block form 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 |
JP4620761B2 (en) | Marine aquaculture system | |
KR20150021184A (en) | Drainage for aquaculture tank | |
JP2014042492A (en) | Aquatic life culture system comprising hydroponics | |
CN202680258U (en) | Water conditioning system for sea urchin industrialized seedling production in south | |
CN202285900U (en) | Ecological oxygen increasing system for intensification polyculture of sea urchins and sea cucumbers | |
CN202664004U (en) | Abalone and grouper factory polyculture system | |
JP2000069879A (en) | Marine animal culture aquarium system | |
KR100764483B1 (en) | Fish hatching system using filtered sterilizer | |
CN106069985A (en) | A kind of parallel circulation flowing water Cultivation container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 |
CN110178784A (en) | A kind of C. guichenoti 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