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7729B1 -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729B1
KR102587729B1 KR1020230025972A KR20230025972A KR102587729B1 KR 102587729 B1 KR102587729 B1 KR 102587729B1 KR 1020230025972 A KR1020230025972 A KR 1020230025972A KR 20230025972 A KR20230025972 A KR 20230025972A KR 102587729 B1 KR102587729 B1 KR 10258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retinopathy
diabetic retinopathy
present
blood vesse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729B9 (ko
Inventor
양재욱
조윤석
안별님
이유진
이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2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29B1/ko
Priority to PCT/KR2024/095091 priority patent/WO2024181833A1/ko
Publication of KR10258772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29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타이드는 망막 내 신생 혈관의 생성, 혈관주위세포의 손실, 및 혈관의 확장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짐으로써, 혈관의 투과성 증가, 염증 및 신생 혈관의 발생을 억제하여 망막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IC RETINOPATHY COMPRISING PEPTIDES}
본 발명은 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로, 망막 내 신생 혈관의 생성, 혈관주위세포의 손실, 및 혈관의 확장을 억제하여 우수한 망막병증의 치료 효과를 갖는다.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당뇨병의 3대 미세혈관 합병증(microvascular complication) 중 하나로, 지속적인 고혈당과 이에 따른 대사 이상으로 모세혈관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망막 전반에 손상, 염증 및 신생 혈관이 발생하여 시력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당뇨병 유병 기간이 15년 전후인 환자의 약 60~70%에서 발생하는 당뇨망막병증은 증상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NPDR)과 증식성 당뇨망막병증(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DR)로 나누어진다.
망막 혈관은 주로 선택적 투과성을 지닌 혈액-망막 장벽(blood-retinal barrier, BRB) 구조를 가지며 망막 신경세포를 외부 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있는데, 당뇨망막병증 초기 단계는 고혈당에 의하여 밀착연접(tight junction) 및 혈관 주변의 성상세포(glia)가 손상되어 혈액-망막 장벽이 손상되고 혈액 내의 성분이 망막으로 유출되어, 경성 삼출물, 망막부종 및 혈관이상 등 망막 내 미세혈관 이상을 나타낸다. 또한, 미세혈관의 장애와 폐쇄로 인하여 혈관에서 나온 혈장이 황반부에 망막부종을 발생시켜 시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의 후기 단계인 증식성 당뇨망막병증(PDR)은 망막에서 신생 혈관이 생성되어 심각한 시력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상태로 망막신생혈관, 섬유조직증식 등의 소견이 관찰된다. 신생 혈관은 망막 내 혈관으로부터 발생하여 유리체 후면으로 증식하고, 이러한 신생 혈관으로부터 출혈이 발생할 경우 심각한 시력 저하를 일으키고 실명에 이를 수 있어,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유리체강 내 투여 등의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당뇨망막병증의 치료는 위험인자의 조절, 레이저 치료, 안내 주사치료, 수술적 치료(유리체절제술) 등이 있고, 최근에는 아플리버셉트(아일리아), 라니비주맙(루센티스), 베바시주맙(아바스틴) 등과 같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를 주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작용의 발생, 고가의 비용, 반복적인 투여, 주사 중단 시 급격한 악화가 초래될 위험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우수한 생체이용률 등의 장점을 갖는 펩타이드를 대상으로 안구질환 치료에 대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펩타이드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34175호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과 9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NPDR) 및 증식성 당뇨망막병증(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D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과 80%, 90%, 95%,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신생 혈관의 생성, 혈관주위세포(pericyte)의 손실 또는 혈관 확장을 억제할 수 있고,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 Akt(Protein kinase B)의 인산화, COX-2의 발현 또는 JNK(c-Jun N-terminal kinase)의 인산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며, 밀착연접(tight junction) 단백질인 ZO-1을 회복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망막병증은 당뇨망막병증, 미숙아망막병증, 당뇨 망막 부종 또는 망막정맥폐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뇨망막병증일 수 있다.
상기 당뇨망막병증은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또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과 80%, 90%, 95%,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과 80%, 90%, 95%,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과 80%, 90%, 95%,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망막병증을 갖는 대상체에 투여하여 망막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망막 내 신생 혈관의 생성, 혈관주위세포의 손실, 및 혈관의 확장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짐으로써, 혈관의 투과성 증가, 염증 및 신생 혈관의 발생을 억제하여 망막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산소 유도 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의 망막 혈관의 형광 촬영 이미지, 및 신생 혈관의 개수 및 영역의 산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의 망막전위도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db/db 마우스 모델의 망막전위도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db/db 마우스 모델의 망막 혈관의 PAS staining 이미지, 및 혈관 내피 세포 및 혈관주위세포의 개수의 정량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의 망막 조직 내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db/db 마우스 모델의 망막 조직 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db/db 마우스 모델의 망막 조직 내 Akt의 인산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db/db 마우스 모델의 망막 조직 내 COX-2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db/db 마우스 모델의 망막 조직 내 JNK의 인산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제브라피쉬 당뇨망막병증 모델의 망막 혈관의 형광 촬영 이미지(*: optic nerve), 및 혈관 직경의 산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제브라피쉬 당뇨망막병증 모델의 망막 조직 내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제브라피쉬 당뇨망막병증 모델의 망막 조직의 형광 촬영 이미지, 및 세포 및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당뇨망막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Hyp-Gly-Gln-Glu-Aib-Leu-Ala"로 이루어진 서열이나,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93%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Hyp는 트랜스-4-하이드록시-L-프롤린(Trans-4-hydroxy-L-proline)이고,
Gly는 글리신(Glycine)이고,
Gln은 글루타민(Glutamine)이고,
Glu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 또는 글루탐산(Glutamic acid)이고,
Aib는 2-아미노이소부티르산(2-aminoisobutyric acid)이고,
Leu는 류신(Leucine)이고,
Ala는 알라닌(Alanine)이다.
본 발명에서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당뇨병에 의해 말초 순환 장애가 발생하고 망막의 미세 순환에 장애가 생겨 시력 감소가 발생하는 눈의 합병증으로, 초기에는 아무 증상을 일으키지 않거나 단지 경미한 시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나, 종국에는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은 제1형 당뇨병 또는 제2형 당뇨병을 갖는 누구나에게 발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뇨망막병증은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NPDR) 또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D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혈관 신생"은 혈관이 새로 형성되는 과정, 즉, 새로운 혈관이 세포, 조직 또는 기관 내로 발생되는 것을 의미하며, "신생 혈관"은 혈관 신생 과정을 통해 새로 생성된 혈관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혈관 신생"과 "신생 혈관"은 서로 바꾸어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위장질환 등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위장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7개의 아미노산(7 mer)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제조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기존에 공지된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을 기반으로 합성하였고, 제조공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였다.
단계 1: 레진 불림 및 로딩
단계 2: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
단계 3: 탈 보호화된 펩타이드 합성(Global cleavage)
단계 4: 1차 정제 및 농축/ 2차 정제 및 농축
단계 5: 동결건조
상기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PPS)은 첫번째 아미노산을 레진에 로딩하여 아미노산 N- 말단의 Fmoc 탈 보호 후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아미노산 커플링을 하고, 상기 보호화 된 펩타이드는 고상반응기에서 합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 커플링은 첫번째 아미노산을 레진에 로딩 후 아미노산 N-말단의 Fmoc을 제거하는 단계; 반응 완료 후 용매를 제거하고 레진을 세척하는 단계; 서열에 따라 다음 아미노산의 커플링을 진행하는 단계; 반응 완료 후 용매를 제거하고 레진을 세척하는 단계; 이후 최종 아미노산 서열이 생성될 때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각 아미노산의 알파 아민 그룹은 염기에 약한 Fmoc 그룹으로 보호화 되어있고, 곁사슬의 작용기는 산에 약한 그룹으로 보호화 되어있다. Gly, Aib를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은 L-configuration이며, 그 중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아미노산 Hyp(tBu), Glu(tBu), Gln(Trt)는 특유의 보호그룹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Ala, Leu, Aib, Gly과 같은 아미노산들은 곁사슬의 보호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시퀀스에 따라 아미노산 커플링 완료 후 Crude 펩타이드를 얻기 위해 펩타이드에서 레진과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그 후 정제 및 농축과 동결건조를 통하여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산소 유도 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에서의 신생 혈관 억제 효능 평가
산소 유도 망막병증(Oxygen induced retinopathy, OIR)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신생 혈관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소 유도 망막병증(OIR) 마우스 모델은 증식성 당뇨망막병증(PDR), 미숙아망막병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망막정맥폐쇄(retinal vein occlusion, RVO)와 같은 허혈성 망막병증의 모델로서, 망막 내 활발한 신생 혈관 생성을 나타내는 모델이다.
모체와 함께 출생한 마우스(new born mouse)를 약 3~4일간 안정화한 후 생후 7일부터 11일까지, 5일간 75% 과산소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이후 정상산소 조건에서 생후 17일까지 사육하였다. 정상산소 조건에서 사육하는 동안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펩타이드(002-175)는 생후 12일부터 16일까지 5일간 점안 투여(eye drops, ED)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를 생후 12일차에 1회 안구 내 투여(intravitreal injection, IVT)하였다. 그 후 마우스 안구를 적출하여 10% 포르말린(formalin)에 1시간동안 고정한 후, flat mount를 진행하였다. 시신경(Optic nerve)을 중심으로 망막을 4등분 칼집을 내고 Isolectin B4(1mM CaCl2, 1:200) 오버나이트(O/N) 처리하였다. 이후 슬라이드글라스(slide glass) 위에 펼쳐 mounting solution을 뿌리고 커버글라스(cover glass)로 덮은 다음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망막 내 혈관을 형광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imageJ program을 통해 신생 혈관 개수 및 영역, 혈관 영역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소 유도 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은 신생 혈관 영역이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은 애플리버셉트를 투여한 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신생 혈관 영역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신생 혈관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고혈당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에서의 신생 혈관 억제 효능 평가
고혈당 유도 당뇨망막병증(High glucose induced diabetic retinopathy)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신생 혈관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망막병증(STZ induced diabetic retinopathy) 마우스 모델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마우스 모델은 항생물질인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TZ)을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하여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를 손상시켜 당뇨를 유발하는 제1형 당뇨 모델이며, 당뇨망막병증 연구에 사용되는 모델 중 하나로, 당뇨가 발생한 시점부터 당뇨망막병증 초기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이다.
8주령의 C57BL/6를 투여 전 3-4시간 절식시킨 후 Na-citrate buffer 및 buffer에 50 mg/kg 용량으로 녹인 스트렙토조토신(STZ)을 5일간 복강 내 투여하였다. 이 때 사용하는 약물은 투여 직전에 만들어 신속하게 사용하였다. 마지막 STZ 복강 투여 후 1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이 250 mg/dL이 초과하는 마우스만 당뇨마우스로 판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약물은 모델 제작한 다음 날부터 약 17주간 일 2회 점안 투여(ED)하였고, 안구 내 약물 투여(IVT)는 1달에 1회 10 μg씩 투여하였다. 망막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망막전위도(ERG) 측정 전 12시간 이상 암순응하였고, 이후 마우스를 산동하고 마취하여 전극을 각각 피부, 꼬리 및 각막에 접촉시켜 ERG를 측정하였다. 단일백색광으로 망막을 자극하여 반응값을 얻고 a파(a wave)의 골에서부터 b파(b wave)의 정점까지로 한 진폭을 측정하여 이를 망막 기능 지표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Z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군은 a파 및 b파의 진폭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은 애플리버셉트를 투여한 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a파 및 b파의 진폭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신생 혈관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있다.
2-2. db/db 마우스 모델
db/db 마우스 모델은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수용체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마우스로, 심한 비만, 과식증,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 등의 표현형을 나타내어 제2형 당뇨 모델로 널리 사용되는 마우스이며,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하는 초기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이다.
12주령의 db/db 마우스에게 약 12주간 일 2회(BID) 혹은 일 3회(TID) 간격으로 약물을 점안 투여(ED)하였다. 망막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망막전위도(ERG) 측정 전 12시간 이상 암순응하였고, 이후 마우스를 산동하고 마취하여 전극을 각각 피부, 꼬리 및 각막에 접촉시켜 ERG를 측정하였다. 단일백색광으로 망막을 자극하여 반응값을 얻고 a파(a wave)의 골에서부터 b파(b wave)의 정점까지로 한 진폭을 측정하여 이를 망막 기능 지표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마우스 군은 a파 및 b파의 진폭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은 a파 및 b파의 진폭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 3회(TID) 투여한 군이 일 2회(BID)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신생 혈관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있다.
[실시예 3]
고혈당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에서의 혈관주위세포 손실 억제 효능 평가
비증식성 당뇨망막증 초기단계는 모세혈관을 감싸는 혈관주위세포(pericyte)의 손실때문에 혈액이 조직으로 흘러나와 황반이 부풀어 오른다. 황반망막부종은 사물의 초점을 흐리고 시야가 어두워지면서 시력이 일시적으로 낮아지는 대표적 비증식성 당뇨망막증의 증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혈관주위세포 손실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12주령의 db/db 마우스에게 약 12주간 일 2회(BID) 혹은 일 3회(TID) 간격으로 약물을 점안 투여(ED)하였다. 망막 내 혈관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적출한 마우스의 안구를 10% 포르말린(formalin)에 일주일간 고정시켰다. 이후 고정한 안구조직에 엘라스타아제(Elastase)를 처리해 망막 혈관을 분리하여 PAS staining을 진행하였다. 혈관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와 혈관 벽에 존재하는 혈관주위세포(pericyte)의 비율과 무세포 혈관의 개수를 정량하여 망막 내 혈관의 투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마우스 군은 혈관주위세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은 혈관주위세포의 감소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 3회(TID) 투여한 군이 일 2회(BID)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관주위세포의 소실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고혈당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모델에서의 망막 내 단백질 발현 수준 평가
고혈당 유도 당뇨망막병증(High glucose induced diabetic retinopathy)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망막 조직 내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4-1.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망막병증(STZ induced diabetic retinopathy) 마우스 모델
8주령의 C57BL/6를 투여 전 3-4시간 절식시킨 후 Na-citrate buffer 및 buffer에 50 mg/kg 용량으로 녹인 스트렙토조토신(STZ)을 5일간 복강 내 투여하였다. 이 때 사용하는 약물은 투여 직전에 만들어 신속하게 사용하였다. 마지막 STZ 복강 투여 후 1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이 250 mg/dL이 초과하는 마우스만 당뇨마우스로 판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약물은 모델 제작한 다음 날부터 약 17주간 일 2회 점안 투여(ED)하였고, 안구 내 약물 투여(IVT)는 1달에 1회 10 μg씩 투여하였다. 망막 내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적출한 마우스 안구에서 망막 조직을 분리하여 RIPA solution을 처리해 망막 내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진행하여 망막 내 혈관 신생 및 혈관 투과성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Z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군은 신생 혈관의 생성과 관련된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은 혈관내피성장인자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TZ 유도 당뇨망막병증 마우스 군은 혈관내피성장인자와 관련된 신호 전달 인자인 Akt의 인산화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은 Akt의 인산화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망막 내 신생 혈관 및 혈관 세포의 투과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4-2. db/db 마우스 모델
12주령의 db/db 마우스에게 약 12주간 일 2회(BID) 혹은 일 3회(TID) 간격으로 약물을 점안 투여(ED)하였다. 망막 내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적출한 마우스 안구에서 망막 조직을 분리하여 RIPA solution을 처리해 망막 내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진행하여 망막 내 혈관 신생 및 혈관 투과성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마우스 군은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일 3회(TID) 간격으로 투여한 군은 혈관내피성장인자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마우스 군에서 Akt의 인산화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일 3회(TID) 간격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Akt의 인산화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마우스 군은 염증 관련 인자인 COX-2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일 3회(TID) 간격으로 투여한 군은 COX-2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마우스 군에서 세포 사멸과 관련된 인자인 JNK의 인산화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에서는 JNK의 인산화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망막 내 신생 혈관 및 혈관 세포의 투과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염증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제브라피쉬 당뇨망막병증 모델에서의 망막 혈관 확장 억제 효능 평가
성체 제브라피쉬 Tg[flk:EGFP]를 교배하여 얻어진 배아 중 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배아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수정 후 6일째, 배아에 글루코스(glucose) 및 본 발명의 펩타이드(002-175)를 4일동안 처리한 후 4 mg/ml의 Tricane을 넣고 안락사하였다.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3일동안 고정한 후 3% 트립신(trypsine)을 이용하여 안구를 분리하고, 분리한 안구 내 혈관의 변화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혈당(130 mM glucose)을 처리한 군에서 제브라피쉬 망막 혈관의 직경이 정상군 대비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군에서는 망막 혈관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00 및 200 μg/ml 처리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망막 혈관의 직경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망막 혈관의 확장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제브라피쉬 당뇨망막병증 모델에서의 유전자 발현 분석
성체 제브라피쉬 Tg[flk:EGFP]를 교배하여 얻어진 배아 중 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배아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수정 후 6일째, 배아에 글루코스(glucose) 및 본 발명의 펩타이드(002-175)를 4일동안 처리한 후 4 mg/ml의 Tricane을 넣고 안락사하였다. 안구를 적출하여 RNA 추출 및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분석을 하였다. 또한, 적출한 안구에 Trizol를 넣고 조직을 균질화(homogenize)하여 m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mRNA는 NanoDrop spectrophotometer을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순도가 1.8 이상인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대상으로 SYBR Green Master Mix, primer 및 유전자의 중합반응을 시행하였고, 각 유전자의 농도는 GAPDH로 나누어 보정한 유전자의 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한 분석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군은 IL-1β, MMP9 및 NF-kB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간 PCR(Real-time PCR)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군은 ikkα, ikkβ, ikkγ, NF-kB, IL-1β 및 MMP9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IL-1β는 신생 혈관 생성과 관련된 염증 인자로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고혈당 환경에서 NF-kB를 활성화시켜 망막 모세혈관세포의 자연사를 촉진시킨다. 또한 망막 및 미세혈관에 존재하는 NF-kB는 세포 내 신호전달계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으며, 유리체액 및 혈청에서 IL-1β, IL-6 및 IL-8과 같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켜 염증 매개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 또한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는 당뇨망막병증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MMP9는 망막 모세혈관 세포의 신생 혈관에 관여하고, NF-kB, TNF-α 및 인터루킨(interleukin)의 활성화는 MMP9을 증가시켜 당뇨망막병증 발달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망막 내 염증 인자 및 당뇨망막병증 발생 기전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제브라피쉬 당뇨망막병증 모델에서의 조직학적 변화 분석
수정 후 6일(6dpf, 6 days post-fertilization)의 제브라피쉬 치어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3-4시간 고정한 후, 30% 수크로스(sucrose)를 처리하여 4℃에서 오버나이트(overnight) 처리하였다. O.C.T block를 제작하여 섹션(section) 후 TUNEL staining 및 Immunofluorescence(IF) staining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 조직 내 TUNEL assay 결과, 고혈당을 처리한 군은 망막의 속핵층(inner nuclear layer, INL)에서 TUNEL 양성 세포(positive cell)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002-175)를 처리한 군은 TUNEL 양성 세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mmunofluorescence(IF) staining을 통해 제브라피쉬 안구 내 VEGF, GFAP 및 ZO-1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고혈당을 처리한 군은 망막의 바깥핵층(outer nuclear layer, ONL)에서 염증인자인 VEGF 및 GFAP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002-175)를 처리한 군은 VEGF 및 GFAP의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밀착연접(tight junction) 단백질인 ZO-1의 경우, 고혈당을 처리한 군에서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의 펩타이드(002-175)를 처리한 군에서 증가하여 회복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망막 내 염증 인자 및 당뇨망막병증 발생 기전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고혈당으로 유도된 제브라피쉬 당뇨망막병증 모델에서 밀착연접(tight junction) 마커인 ZO-1이 감소하여 혈액-망막 장벽(BRB)의 손상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한 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혈관 부종이 관찰되었다. 이는 임상학적으로 당뇨 망막 부종과 동일한 기전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망막 내 신생혈관 및 염증인자 억제를 통해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당뇨망막병증 및 당뇨 망막 부종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망막병증은 당뇨망막병증, 미숙아망막병증, 당뇨 망막 부종 및 망막정맥폐쇄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병증은 당뇨망막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망막병증은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또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신생 혈관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혈관주위세포(pericyte)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혈관 확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 Akt(Protein kinase B)의 인산화, COX-2의 발현 및 JNK(c-Jun N-terminal kinase)의 인산화 중 하나 이상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밀착연접(tight junction) 단백질인 ZO-1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30025972A 2023-02-27 2023-02-2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Active KR10258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972A KR102587729B1 (ko) 2023-02-27 2023-02-2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PCT/KR2024/095091 WO2024181833A1 (ko) 2023-02-27 2024-02-0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972A KR102587729B1 (ko) 2023-02-27 2023-02-2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729B1 true KR102587729B1 (ko) 2023-10-12
KR102587729B9 KR102587729B9 (ko) 2024-09-09

Family

ID=8829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972A Active KR102587729B1 (ko) 2023-02-27 2023-02-2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7729B1 (ko)
WO (1) WO20241818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21973A (zh) * 2024-01-18 2024-05-14 四川大学 α激酶1作为糖尿病所致眼病的治疗靶点的应用
WO2024181833A1 (ko) * 2023-02-27 2024-09-06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5731A (ko) * 2016-04-08 2017-10-18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80126406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 유유제약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34175A (ko)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신규한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4658B1 (ko) * 2013-11-22 2024-08-14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혈관 신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6896641B2 (ja) * 2015-03-02 2021-06-30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イリノイ 血管新生阻害ペプチド
KR102587729B1 (ko) * 2023-02-27 2023-10-12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5731A (ko) * 2016-04-08 2017-10-18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80126406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 유유제약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97670A (ko) * 2017-05-17 2021-08-09 주식회사 유유제약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34175A (ko)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신규한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1833A1 (ko) * 2023-02-27 2024-09-06 주식회사 아이바이오코리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CN118021973A (zh) * 2024-01-18 2024-05-14 四川大学 α激酶1作为糖尿病所致眼病的治疗靶点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81833A1 (ko) 2024-09-06
KR102587729B9 (ko) 202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729B1 (ko)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용 조성물
CN102827253B (zh) 一种抑制炎症反应的小分子多肽及其应用
CN104341486A (zh) 一类新的抑制新生血管的多肽及其应用
EP2599788B1 (en) Angiogenesis-inhibiting peptide and application thereof
WO2013005603A1 (ja) 結膜におけるアレルギー性炎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
US9611314B2 (en) Functional peptide analogs of PEDF
US11324799B2 (en) Gap junction intercellular communication modulator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eye disease
EP2853537B1 (en) Small molecule polypeptide for preventing and restraining inflammation and application of same
CN102336812B (zh) 一种具有抑制血管生成活性的多肽
WO2016115732A1 (zh) 一种抑制血管新生或生长的多肽及其应用
WO2020094002A1 (zh) 抗癫痫的毒素Martentoxin及其应用
US20140038887A1 (en) Glial cell line derived neurotrophic factor,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eases and conditions
EP3040343B1 (en) Low molecular polypeptid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ion and use thereof
CN101503458B (zh) 预防和治疗血管新生的小分子多肽及其应用
CN104341489B (zh) 一类新的抑制新生血管的多肽及其应用
US9266933B2 (en) Polypeptides inhibiting neovascularization and uses thereof
CN104004066B (zh) 预防或抑制炎症反应和血管新生的小分子多肽及其应用
US10052362B2 (en) Glial cell line derived neurotrophic factor,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eases and conditions
WO2013060020A1 (zh) 一类新的抑制新生血管的小肽及其应用
CN120081904A (zh) 一种人工合成的Sema4D/PlexinB1抑制剂及在制备治疗及预防眼底血管疾病药物中的应用
US8933031B2 (en) Polypeptide inhibiting angiogenesis and application thereof
CN102838660B (zh) 一种抑制炎症免疫反应的小肽及其应用
CN103992377B (zh) 一种抑制新生血管的小肽及其应用
CN103992376A (zh) 一类新的抑制新生血管的小肽及其应用
CN118984715A (zh) 包含新型肽的用于治疗黄斑变性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