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7152B1 - 유중수형 에멀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에멀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152B1
KR102587152B1 KR1020160052674A KR20160052674A KR102587152B1 KR 102587152 B1 KR102587152 B1 KR 102587152B1 KR 1020160052674 A KR1020160052674 A KR 1020160052674A KR 20160052674 A KR20160052674 A KR 20160052674A KR 102587152 B1 KR102587152 B1 KR 10258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emulsion
compound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765A (ko
Inventor
신지식
박성심
박승한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5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152B1/ko
Priority to HK19100247.0A priority patent/HK1257886A1/zh
Priority to CN201780026441.0A priority patent/CN109069358A/zh
Priority to TW106114022A priority patent/TWI802538B/zh
Priority to PCT/KR2017/004472 priority patent/WO2017188742A2/ko
Publication of KR2017012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1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입자 손상 시 코아세르베이션 원리를 통해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여 내상의 합일을 방지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멀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상; 및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중수형 에멀젼 {Water-in-oil type emulsion}
본 발명은 유화입자가 손상됐을 시, 코아세르베이션 원리를 통해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함으로써 향상된 제형 안정도를 가지는 유중수형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에멀젼(Emulsion)은 오일방울들이 물 속에 분산(수중유형)되거나, 물방울들이 오일 속에 분산(유중수형)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에멀젼은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하여, 종국에는 응집(Flocculation), 침강(Sedimentation), 크리밍(Creaming), 입자성장(Ostwald ripening) 및 유착(Coalescence)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로 상 분리(Phase separation) 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중유형 에멀젼의 경우, 계면활성제, 지방알코올(fatty alcohol) 및 산으로 유화막을 견고하게 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하며, 외상인 수상의 점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크리밍 및 응집을 방지한다.
그러나, 유중수형 에멀젼의 경우, 유상의 과도한 점도 향상은 사용시에 끈적거림의 원인이 되고, 사용감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증점제의 배합에 한계가 있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유상의 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유화입자들 간의 응집, 유착, 크리밍 등의 방지가 어려워 경시적으로 제형의 점도 및 경도가 하락하고, 제형이 상분리 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점도가 낮은 제형에서 상기 현상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아세르베이션 원리를 통해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함으로써 유중수형 에멀젼의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유중수형 에멀젼의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02727호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02727호 (2015.09.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화입자가 손상됐을 시, 코아세르베이션 원리를 통해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함으로써 향상된 제형 안정도를 가지는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상; 및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은 내상인 수상에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내상의 점도를 높임과 동시에 음전하로 하전시킴으로써 외상에 첨가된 아민기 함유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화막 손상 시 코아세르베이션에 의해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함으로써 유중수형 에멀젼의 제형 안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유중수형 에멀젼을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제형 안정도를 비교한 사진으로, A-비교예 1, B-비교예 2, C-비교예 3, 및 D-실시예 1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수중유형 에멀젼의 경우, 계면활성제, 지방알코올(fatty alcohol) 및 산으로 유화막을 견고하게 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하며, 외상인 수상의 점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크리밍 및 응집을 방지한다.
그러나, 유중수형 에멀젼의 경우, 유상의 과도한 점도 향상은 사용시에 끈적거림의 원인이 되고, 사용감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증점제의 배합에 한계가 있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유상의 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유화입자들 간의 응집, 유착, 크리밍 등의 방지가 어려워 경시적으로 제형의 점도 및 경도가 하락하고, 제형이 상분리 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점도가 낮은 제형에서 상기 현상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아세르베이션 원리를 통해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함으로써 유중수형 에멀젼의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은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상; 및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상인 수상에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내상의 점도를 높임과 동시에 음전하로 하전시킴으로써 외상에 첨가된 아민기 함유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화막 손상 시 코아세르베이션에 의해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여 유화입자의 합일을 방지함으로써 유중수형 에멀젼의 제형 안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음전하를 띌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며, 내상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내상에 잘 용해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카르복실산기, 술폰산기, 황산에스테르기, 인산에스테르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고분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이온성 관능기를 함유함으로써 내상인 수상에 잘 용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아크릴산계 고분자 화합물, 다당류 고분자 화합물 및 술폰산계 고분자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수상에 잘 용해될 뿐만 아니라 내상의 점도가 향상되어 유화입자의 안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크릴산계 고분자 화합물은 아크릴산계 유도체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며, 아크릴산계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비한정적인 일 예로, 아크릴산계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코폴리머, 비닐피롤리돈-아크릴산 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다당류 고분자 화합물은 알긴산, 펙틴, 폴리갈락투론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술폰산계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스티렌술폰산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이온성 관능기를 가지며, 수상에 용해가 가능한 고분자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내상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상의 점도가 향상됨에 따라 유화입자의 안정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음전하를 띌 수 있는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상에 첨가된 아민기 함유 화합물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유화막 손상 시 추가적으로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화입자의 안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반복단위 몰수 중 소수성기를 1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처럼 음이온성 관능기와 함께 소수성기를 가짐으로써 계면활성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중수형 에멀젼의 안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소수성기의 몰%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100몰% 이하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수성기는 탄소수 8 내지 3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할로겐화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3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유화막 손상 시 내상 내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화입자 손상 시 추가적인 막을 형성함으로써 유중수형 에멀젼이 향상된 제형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유상에 잘 용해되며, 양전하를 띌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아민기는 1차 아민,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N=, -NH- 및 -NH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지방족 아민 화합물, 방향족 아민 화합물 및 아민기 함유 실리콘계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상에 첨가된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유화막 손상 시 추가적으로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화입자의 안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방족 아민 화합물은 탄소수 6 내지 3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함유하는 알킬아민, 탄소수 6 내지 3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칸올기를 함유하는 알칸올아민 및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방향족 아민 화합물은 아닐린, o-톨루이딘, 2,4,6-트리메틸아닐린, 아니시딘, N-메틸아닐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아민기 함유 디메치콘계 화합물은 아모디메치콘, 비스아모디메치콘 및 아미노프로필 디메치콘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민기를 함유하며 유상에 잘 용해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132646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내지 3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은 유화막 손상 시 코아세르베이션에 의해 추가적인 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내상인 수상에 첨가되는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과 외상인 유상에 첨가되는 아민기 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에멀젼 총 중량 중 0.01 내지 1 중량%로 첨가되며; 상기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에멀젼 총 중량 중 0. 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너무 적게 첨가될 시, 코아세르베이션 할 수 있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어 계면막에 막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없어 유화막의 손상 시 추가적인 막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첨가량이 충분하더라도 아민기 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이 적을 경우,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떨어져 추가적인 막이 생성되지 않거나,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상은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화장용 용도로 사용할 경우,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에스테르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케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또는 페닐트리메치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화수소계 오일은 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 올레핀계 탄화수소 오일,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오일 등이 있으며, 비 한정적인 일 예로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이소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스쿠알렌, 폴리부텐, 폴리데센 또는 폴리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스테르계 오일은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오일은 천연오일, 합성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천연오일은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비 한정적인 일 구체예로,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아몬드유, 야자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옥수수유, 대두유, 유채꽃유, 동백유, 면실유, 월견초유, 호호바오일, 팜오일, 코코넛오일, 로즈힙오일 또는 마카다이마오일 등일 수 있으며, 동물성 오일은 난황오일, 상어간유, 에뮤오일 또는 밍크오일 등일 수 있으며, 광물성 오일은 파라핀, 바셀린 또는 세레신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에스테르계 오일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구체적인 성분은 앞서 설명한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에스테르계 오일에서 천연오일을 제외한 것과 동일한 바,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의 수상은 중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화제를 수상에 더 첨가함으로써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음전하를 띌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아세르베이션이 효과적으로 발생해 유화입자의 안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화제는 염기성 화합물일 수 있으며, 비 한정적인 일 예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트로메타민 등일 수 있으나, 화장품으로 사용될 경우 자극이 없으며 안전성이 높은 트로메타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에멀젼 총 중량 중 0.001 내지 2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좋게는 0.005 내지 1 중량%, 보다 좋게는 0.01 내지 0.1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음전하를 띌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에멀젼의 물성을 헤치지 않을 수 있어 좋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은 에멀젼의 물성을 헤치지 않으며 상 반전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중수형 에멀젼의 목적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폴리올, 에몰리언트,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방부제, 살균제, 색소, 향료 또는 펄제 등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계면활성제는 안정적으로 유중수형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유중수형 에멀젼 제조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면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비 한정적인 일 구체예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올리베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0 디메치콘, 라우릴 폴리에틸렌글리콜-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라우일 폴리에틸렌글리콜-10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에틸디메치콘, 스테아릭애씨드,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및 세틸 폴리에틸렌글리콜/피피지-10/1디메치콘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진 않으나, 에멀젼 총 중량중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폴리올은 화장료로 사용시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및 이소프렌글리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폴리올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하진 않으나, 에멀젼 총 중량 중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이와 같은 유중수형 에멀젼은 목적에 따라 화장수류, 크림류, 세안용 화장품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각 성분은 에멀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로 첨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상과 유상을 각각 섞어준 후, 수상을 유상으로 첨가하며 믹싱하였다.
이때, 화합물 A 및 B는 아민기 함유 화합물로, 화합물 A는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 B는 아모디메치콘이며,
화합물 C, D, E 및 F는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로, 화합물 C는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화합물 D는 폴리아크릴산, 화합물 E는 알긴산, 화합물 F는 폴리스티렌술폰산이었다. 계면활성제는 라우일 폴리에틸렌글리콜-10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 실릴에틸디메치콘을 사용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양 대비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안정도 하락을 가속화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스쿠알란 17 17 17 17 17
화합물 A 4 0 4 4 4
화합물 B 0 4 0 0 0
계면활성제 1 1 1 1 1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화합물 C 0.1 0.1 0 0 0
화합물 D 0 0 0.1 0 0
화합물 E 0 0 0 0.1 0
화합물 F 0 0 0 0 0.1
트로메타민 0.05 0.05 0.05 0.05 0.05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되,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각 성분은 에멀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로 첨가하였다. 또한, 제조된 유중수형 에멀젼의 안정도 평가 결과는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스쿠알란 21 17 17
화합물 A 0 4 0
화합물 B 0 0 0
계면활성제 1 1 1
To 100 To 100 To 100
화합물 C 0 0 0.1
화합물 D 0 0 0
화합물 E 0 0 0
화합물 F 0 0 0
트로메타민 0.05 0.05 0.05
제형 안정도 전기전도도
24시간 48시간
실시예 1 O
(양호)
O
(양호)
0
실시예 2 O
(양호)
O
(양호)
0
실시예 3 O
(양호)

(일부 합일)
0
실시예 4 O
(양호)

(일부 합일)
0
실시예 5 O
(양호)

(일부 합일)
0
비교예 1 X
(전상)
- >0
비교예 2 X
(전상)
- >0
비교예 3 X
(전상)
- >0
상기 표 3 및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상에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인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첨가하고, 외상에 아민기 함유 화합물인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24시간 후에도 상이 분리되지 않고 유중수형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이 음이온성 관능기와 함께 소수성기를 가지고 있어 계면활성제로도 작용함으로써, 소수성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한 실시예 3 내지 5의 경우보다 유화입자의 안정도가 더욱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상기 두 화합물을 모두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수상과 유상이 완전히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화합물 중 하나의 화합물만을 첨가한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층이 분리되고 상이 반전되어 수중유형 제형이 됨에 따라 그 안정도가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각기 사용하는 것 대비 두 화합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제형의 안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는 유화입자 손상 시 코아세르베이션 원리에 의해 추가적인 막이 형성되어 내상의 합일이 방지됨으로써, 유화입자의 상 안정도가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상; 및 아민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이고,
    상기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탄소수 6 내지 3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함유하는 알킬아민 또는 아민기 함유 디메치콘계 화합물인 유중수형 에멀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반복단위 몰수 중 소수성기를 10몰% 이상 함유하는 유중수형 에멀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기는 탄소수 8 내지 3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할로겐화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유중수형 에멀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에멀젼 총 중량 중 0.01 내지 1 중량%로 첨가되며; 상기 아민기 함유 화합물은 에멀젼 총 중량 중 0. 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되는 유중수형 에멀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중화제를 더 포함하는 유중수형 에멀젼.
KR1020160052674A 2016-04-29 2016-04-29 유중수형 에멀젼 Active KR10258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74A KR102587152B1 (ko) 2016-04-29 2016-04-29 유중수형 에멀젼
HK19100247.0A HK1257886A1 (zh) 2016-04-29 2017-04-27 油包水型乳液
CN201780026441.0A CN109069358A (zh) 2016-04-29 2017-04-27 油包水型乳液
TW106114022A TWI802538B (zh) 2016-04-29 2017-04-27 油包水型乳劑
PCT/KR2017/004472 WO2017188742A2 (ko) 2016-04-29 2017-04-27 유중수형 에멀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74A KR102587152B1 (ko) 2016-04-29 2016-04-29 유중수형 에멀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65A KR20170123765A (ko) 2017-11-09
KR102587152B1 true KR102587152B1 (ko) 2023-10-11

Family

ID=6015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674A Active KR102587152B1 (ko) 2016-04-29 2016-04-29 유중수형 에멀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587152B1 (ko)
CN (1) CN109069358A (ko)
HK (1) HK1257886A1 (ko)
TW (1) TWI802538B (ko)
WO (1) WO20171887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441B1 (ko) * 2017-11-30 2024-03-11 (주)아모레퍼시픽 양친매성 이방성 분체를 포함하며 안정도가 향상된 유화 조성물
WO2019108008A1 (ko) * 2017-11-30 2019-06-06 (주)아모레퍼시픽 양친매성 이방성 분체를 포함하며 안정도가 향상된 유화 조성물
CN111568847A (zh) * 2020-05-30 2020-08-25 杭州心悦化妆品有限公司 一种易被皮肤吸收的乳液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742A (ja) * 1985-11-11 1987-05-21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組成物
TW504387B (en) * 1995-09-06 2002-10-01 Kao Corp Emulsified, water-in-oil type composition and skin cosmetic preparation
KR0176329B1 (ko) * 1996-04-01 1999-03-20 박원훈 고분자-고분자 복합체에 의한 에멀젼의 안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물 함유 미세구립자의 제조방법
JP4029922B2 (ja) * 1998-02-10 2008-01-09 伯東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油中水型(w/o)エマルションポリマー
CN1709561B (zh) * 2004-06-17 2010-09-08 海茂株式会社 油包水型乳液及其稀释液的制造方法
JP5382904B2 (ja) * 2008-02-19 2014-01-08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CN101550202B (zh) * 2008-03-31 2011-09-21 上海恒谊化工有限公司 一种新型反相乳液聚合物的制备方法
KR20150102727A (ko) * 2014-02-28 2015-09-07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EP2939654A1 (en) * 2014-04-30 2015-11-04 L'Oréal Composition comprising microcapsules containing silicone elastom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lene Monteillet 외, Soft Matter, 2013, 제9권, 11270-11275쪽
Nurlan Sh. Stamkulov 외,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2009, 제335권, 103-106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69358A (zh) 2018-12-21
WO2017188742A2 (ko) 2017-11-02
TWI802538B (zh) 2023-05-21
HK1257886A1 (zh) 2019-11-01
TW201811297A (zh) 2018-04-01
WO2017188742A3 (ko) 2018-08-02
KR20170123765A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6178B2 (en) Stable water-in-oil emulsion system
US6548074B1 (en) Silicone elastomer emulsions stabilized with pentylene glycol
JP399350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623442B1 (ko)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813303B1 (ko) 실리콘유중수형 매크로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US20080311058A1 (en) Stable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JP5731138B2 (ja) 油中水型乳化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油中水型乳化組成物並びに化粧料
KR20180123685A (ko) 이중상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KR10258715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US20150132246A1 (en)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q silicone resin and propyl silsesquioxane resin
WO2011157640A2 (en) A high humectant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JP5543069B2 (ja)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アルキル官能性シロキサン樹脂およびその水性組成物
KR20140012692A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KR101440425B1 (ko)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중유중수형 다중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8004247A1 (ko)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11801091B (zh) 水包油滴型的微细乳液型化妆料
JP3892156B2 (ja) 化粧料
KR102557085B1 (ko)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TW201336519A (zh) 高內水相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7689822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06999408A (zh) 雪花膏组合物及其应用
KR101077723B1 (ko)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안정한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KR20250067743A (ko) 유중수형 나노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5576A (ko)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