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02B1 -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ps information using metaverse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ps information using metaverse 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5102B1 KR102585102B1 KR1020220004224A KR20220004224A KR102585102B1 KR 102585102 B1 KR102585102 B1 KR 102585102B1 KR 1020220004224 A KR1020220004224 A KR 1020220004224A KR 20220004224 A KR20220004224 A KR 20220004224A KR 102585102 B1 KR102585102 B1 KR 102585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verse
- service
- location
- user terminal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시스템은, 위도와 경도의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위치 추적부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 및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과, 상기 이용자 단말이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메타버스 서비스로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와 영상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대응되는 위치를 설정하고, 해당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 상기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와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구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확인부와,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오브젝트를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오브젝트 구현부와, 상기 오브젝트 구현부에 의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가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지정하여 놓은 오브젝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용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를 포함한다.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he metavers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including a location tracking unit capable of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of latitude and longitude, a camera unit for taking image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s a metaverse service that allows the user terminal to access the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re used to set a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object included in the video is located at the location with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service. It includes a metaverse service server that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includes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ts a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An object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the object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object confirmed by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is identifi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service. An object implementation unit that enables display, and if the object implementation unit determines that display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s difficult, it uses objects stored in advance or designated by the user to correspond to objects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n object creation unit that creates objects for the metaverse ser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용자 위치기반으로 오프라인 상의 오브젝트를 메타버스 서비스 내 표시하거나,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오브젝트를 이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 단말의 위치 기반의 오프라인과 메타버스 서비스간에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metaverse service to display offline objects in the metaverse servic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or displays objects in the metaverse service on the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offline and metaverse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is about a system that enables various applications.
메타버스(Metaverse)란,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과 연동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meaning virtuality and transcendence, and 'universe', meaning world and universe, and means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linked to reality.
최근, 전 세계적으로 COVID-19의 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사람들 간의 접촉과 이동이 제한되고,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5G 통신망이 확충되면서, 생활형 또는 게임형 가상 세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메타버스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Recently, as the global COVID-19 pandemic has prolonged, contact and movement between people has been restricted, and 5G communication networks that can transmit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at high speed have been expanded, various forms of virtual worlds supporting lifestyle or game-type virtual worlds have been created. Metaverse services are emerging.
이러한 메타버스 서비스는 메타버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물리적인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메타버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시키거나 장식 효과를 적용시킴으로써, 재미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These metaverse services support functions that allow changing the interface design that configures the metaverse environment. Users can utilize these functions to vary the interface design that configures the metaverse environment as the user wants without physical restrictions. By changing it or applying decorative effects, you can get fun and satisfaction.
이러한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보다 오프라인/현실에 가까운 환경과 객체들을 온라인 상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며, 단순한 재미를 넘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When using this metaverse service, environments and objects that are closer to offline/reality can be used online, and ways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beyond simple fun are being studied.
본 발명은 이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확인되는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현실 세계에서의 객체(오브젝트)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되는 객체를 연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pose a system that enables various services by linking objects in the real world and objects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confirmed based on the user terminal.
특히,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면서, 이용자가 촬영하는 객체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콘텐츠 제공이 이용자의 요구사항이나 취향에 기반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의 제공 및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since object images taken by users can be us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tent provis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can be based on the user's requirements or tastes, making provision and use of services more efficient. I would like to propose a system that makes this possible.
본 발명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시스템은, 위도와 경도의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위치 추적부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 및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과, 상기 이용자 단말이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메타버스 서비스로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와 영상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대응되는 위치를 설정하고, 해당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 상기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와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구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확인부와,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오브젝트를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오브젝트 구현부와, 상기 오브젝트 구현부에 의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가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지정하여 놓은 오브젝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용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를 포함한다.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he metavers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including a location tracking unit capable of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of latitude and longitude, a camera unit for taking image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s a metaverse service that allows the user terminal to access the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re used to set a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object included in the video is located at the location with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service. It includes a metaverse service server that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includes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ts a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An object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the object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object confirmed by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is identifi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service. An object implementation unit that enables display, and if the object implementation unit determines that display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s difficult, it uses objects stored in advance or designated by the user to correspond to objects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n object creation unit that creates objects for the metaverse service.
그리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와 촬영한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취향을 분석하는 맞춤형 분석부와, 상기 맞춤형 분석부에 의하여 분석되는 이용자별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해당 이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제안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 또는 제공가능한 오브젝트나 서비스가 가능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DB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includes a customize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tastes of each user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objects in the captured video, and the taste information of each user analyzed by the customized analysis unit. Based on this, it further includes a customized suggestion unit that provides a customized service to the user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a content DB that stores objects that can be displayed or provided or content that can be servic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그리고, 상기 맞춤형 제안부는 상기 이용자별 취향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오프라인 위치를 제안하거나,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위치 또는 물품을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ustomized sugges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ggests an offline loc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taste information for each user, or suggests a location or product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이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확인되는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현실 세계에서의 객체(오브젝트)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되는 객체를 연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장점이 있다. The propose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various services by linking objects in the real world and objects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confirmed based on the user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 단말의 위치기반으로 오브젝트를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도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내 오브젝트를 호출하여 이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he metavers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object is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bject in the metaverse service being called and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locks in the attached block diagram or the steps in the flow chart a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mounted on the processor or memory of equipment capable of data processing, such as general-purpose computers, special-purpose computers, portable laptop computers, and network computers, and perform designated functions. It can be interpreted to mean. Becaus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stored in a memory provided in a computer device or in a computer-readable memory,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blocks of a block diagram or the steps of a flow diagram can be produced as a manufactured product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o perform them. It could be. In addition,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functions mentioned in blocks or steps to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reverse order, and in some cases, some blocks or steps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he metavers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터(PC)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메타버스 이용자가 인터넷/네트워크를 통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운영 서버(10)에 접속하여 메타버스 내의 회사에 출근하거나, 메타버스 내에서의 행사/이벤트에 참석하여 다양한 이벤트참여, 제품 구입 등의 행위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되는 객체인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오프라인 상의 이용자, 즉, 이용자 단말(1)의 위치를 기반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1)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 오브젝트를 메타버스 서비스와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여 본다. A Metaverse user who uses the Metaverse service using a computer (PC) or smart device accesses the Metaverse service operation server (10) via the Internet/network to go to work at a company within the Metaverse or to attend an event/event within the Metaverse. By attending the event, you can optionally participate in various events, purchase products, etc. Objects, which are objects displayed within this metaverse service, and various services utilizing the objects are provided to offline users, that i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 and within the video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1). Let's explain how to link objects with the metaverse service.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10)에 인터넷,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이용자 단말(1)은, 이용자가 오프라인 상의 실제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부(11)와, 상기 이용자, 즉, 이용자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위치 정보(GPS)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12)와, 오프라인 상의 오브젝트가 표시되거나 네트워크 연결된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부, 위치 추적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단말의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와 태블릿PC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 which can connect to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1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etc., includes a camera unit 11 that allows the user to photograph real objects offline, and a camera unit 11 that allows the user, that is,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location tracking unit 12 that tracks location information (GPS), which i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13 that displays offline objects or objects provided from a network-connected metaverse service. In the case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unit, a location tracking unit, and a display unit, it can b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한편, 상기 이용자 단말(1)이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이용자 단말(1)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되는 위치를 확인 또는 설정하는 위치 확인부(110)와, 상기 이용자 단말(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구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확인부(120)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해당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오브젝트 구현부(130)와, 상기 오브젝트 구현부(130)에 의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가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지정하여 놓은 오브젝트들을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용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140)와, 이용자 단말(1)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와 이용자가 촬영한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패턴 또는 취향을 분석하는 맞춤형 분석부(160)와, 상기 맞춤형 분석부(160)에 의하여 분석되는 이용자별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해당 이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제안부(170)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 또는 제공가능한 오브젝트나 서비스가 가능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DB(15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10, to which the user terminal 1 can connect to the network, has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 and confirms or sets the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110), an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that checks the object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and detects the object based on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service. An object implementation unit 130 that causes the object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object implement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t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objects stored in advance or designated by the user. An object creation unit 140 that creates an object for the metaverse service corresponding to an object in the image, and an object creation unit 140 that generates an object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 to create patterns or tastes for each user. A customized analysis unit 160 that analyzes, a customized suggestion unit 170 that provides a customized service to the user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ased on the taste information for each user analyzed by the customized analysis unit 160, and a metaverse service. It includes a content DB 150 in which objects that can be displayed or provided or content that can be serviced within the bus service are stored.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의 각 구성을 이용자 단말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configuration of the metaverse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gether with the user terminal.
상세히, 상기 위치 확인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1)에서 촬영한 영상 내지는 상기 카메라부(11)가 동작하여 오프라인 상의 오브젝트를 촬영하는 때에 생성되는 GPS 정보, 즉,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의 위치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위치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detail,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10 receives th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1 or GPS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camera unit 11 operates to photograph an offline object,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It verifi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matches the confirmed offline location with the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즉, 본 실시예의 메타버스 서비스는 오프라인 상의 위치 정보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오프라인 위치의 오브젝트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의 오브젝트 역시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서울역에서 촬영한 영상의 경우, 해당 영상 내에 서울역에 대응되는 오프라인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데, 위치 정보가 저장된 영상(오브젝트)이 메타버스 서비스로 전달되면 상기 위치 확인부(110)는 오프라인 위치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를 설정하여 매칭시킨다. That is, the metaverse service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linked to offlin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objects in offline locations and objects in locations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linked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taken by a user at Seoul Station, offlin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oul Station is stored in the video. When the video (object) with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metaverse service,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10 sets and matches the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at corresponds to the offline location.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120)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오프라인 위치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 표시 가능한 오브젝트, 즉, 메타버스 오브젝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메타버스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상기 오브젝트 구현부(130)를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해당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120)에 의하여 해당 위치, 즉, 위치 확인부(110)에 의해 오프라인 위치에 매칭된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 표시 가능한 오브젝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에 의하여 오브젝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displayable object, that is, a metaverse object, at a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loc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checks the above for the confirmed metaverse object. It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the object implementation unit 130. If a displayable object is not set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by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that is, a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matched to an offline location by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10, the object creation unit ( 140) controls the creation of the object.
예를 들어,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1)을 이용하여 특정 오프라인 위치에서 미술품을 촬영한 경우에,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120)는 상기 위치 확인부(110)를 통해 확인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서 표시가능한 미술품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뒤 이를 오브젝트 구현부(130)를 통해 해당 오프라인 위치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서 해당 메타버스 오브젝트인 미술품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만약, 해당 메타버스 오브젝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에 의한 오브젝트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내에서 오브젝트(미술품)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사이트나 DB에서 해당 미술품에 대응되는 영상을 불러들여 이를 저장하고, 해당 위치(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서 표시가능한 신규 메타버스 오브젝트로 생성한다. For example, when a user photographs a work of art at a specific offline loc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1,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detects the object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confirmed through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10. After checking whether a displayable artwork is stored, the object implementation unit 130 displays the artwork image, which is the corresponding metaverse object, at a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location. If the corresponding metaverse object is not stored, object creation is performed by the object creation unit 140. At this time, the object creation unit 140 creates an object ( A work of art) is extracted,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work of art is loaded from another network-connected site or DB, stored, and created as a new metaverse object that can be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영상, 즉, 관심 있는 영상들을 촬영하고, 이를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등록하여 둠으로써, 언제든 자신이 이동한 위치와,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오브젝트를 즐길 수 있다. 오프라인 위치와, 오프라인 객체인 오브젝트 각각에 대응되는 메티버스 서비스 내 위치와, 메타버스 오브젝트를 연동함으로써,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역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rough this process, users capture the videos they have shot, that is, videos of interest, and register them in the Metaverse service, so that they can track the location they have moved to at any time and the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video shot at that location. You can enjoy bus objects. By linking the offline location, the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which is an offline object, and the metaverse object, operators providing metaverse services can als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예를 들어, 상기 오브젝트 구현부(130) 또는 맞춤형 제안부(170)는 이용자의 위치와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위치에서 메타버스 오브젝트를 제공하면서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를 더 제공하거나, 이용자의 관심사를 반영하여 관련 상품(표시 가능한 오브젝트)를 더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bject implementation unit 130 or the customized suggestion unit 170 uses the user's location and the captured image to provide a metaverse object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while providing various related information 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user's interests. By reflecting this, more related products (displayable objects) can be provided.
도 3의 경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가구를 촬영한 경우에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120)는 해당 촬영 위치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서 표시 가능한 오브젝트(예를 들면, 가구)를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가구의 크기를 이용자가 가늠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하여 둔 이용자 아바타를 함께 표시하거나, 해당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서 표시되는 배경 내에서 해당 메타버스 오브젝트(가구)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분위기나 색감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case of Figure 3, it is a diagram showing an object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when a user photographs furniture using a user terminal, and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is a diagram showing an object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location. Objects that can be displayed at a location (for example, furniture) are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t this time, a pre-set user avatar is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estimate the size of the furniture, or the corresponding metaverse object (furniture) is displayed together within the background displayed at the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mood or mood. Make it easy to check the color.
실제 오프라인 위치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가 상호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상품을 판매하거나 광고하기 위한 사업자들의 경우 특정 오프라인 위치에서 제품을 전시하게 되면, 이용자들은 자신의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원하는 제품(오브젝트)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실제 제품의 광고/판매 뿐만 아니라, 메타버스 오브젝트에 대한 거래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By ensuring that the actual offline location and the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re interconnected, when businesses selling or advertising products display their products at a specific offline location, users can select the desired product (object) using their user terminal. Filmed and filmed videos can be us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not only advertising/sales of actual products but also transactions for Metaverse objects.
한편, 상기 맞춤형 분석부(160)는 상기 위치 확인부(110)를 통해 확인되는 이용자의 오프라인 위치 및 메티버스 서비스 내 위치 정보들과, 이용자가 촬영한 영상 내에서 확인되는 오브젝트들에 기초하여, 이용자별 취향 정보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eanwhile, the customized analysis unit 160 is based on the user's offline location confirmed through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10 and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Metiverse service, and objects identified in the video captured by the user, It performs the role of analyzing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user.
특히, 상기 맞춤형 분석부(160)는 이용자별 취향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맞춤형 분석부(160)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맞춤형 제안부(170)는 이용자가 관심있어 할 만한 오프라인 위치(장소)를 제안하거나, 반대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관심있어 할 만한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장소)를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프라인 물품(실제 물품)을 제안하거나,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잦은 가구 촬영을 통해 이용자가 인테리어에 관심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오프라인 주거지를 기준으로 실제 가보면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가구 판매점의 위치를 제안하거나,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 가능한 가구 업체들 및 가구들을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customized analysis unit 160 analyzes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by the customized analysis unit 160, the customized suggestion unit 170 determines an offline location that the user may be interested in ( It is possible to suggest a location (place) or, conversely, a location (place)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at may be of interest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suggest offline goods (actual goods), or products or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t is also possible to suggest . For example, if we determine that a user is interested in interior design through frequent furniture photography, we suggest the location of a furniture store that would be useful to visit based on the user's offline residence, or furniture companies that can be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t is possible to show fields and furniture.
이러한 맞춤형 분석부(160)는 이용자의 촬영 위치, 이동 위치 등의 위치 정보에 기초해 다른 이용자가 해당 위치에서 관심있어 하는 분야들을 분류하여 추출하거나, 이용자가 촬영한 영상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들에 기초하여 다른 이용자가 동일한 오브젝트들을 촬영한 경우에 관심있어야 하는 물품, 객체들을 분류하여 추출할 수 있다. This customized analysis unit 160 classifies and extracts areas that other users are interested in at that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shooting location and moving location, or based on objects present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hus, when another user photographs the same objects, items and objects of interest can be classified and extracted.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기 맞춤형 제안부(170)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에서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도 이용자가 확인/체험할 수 있는 장소나 제품을 추천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가 단순한 가상 공간이 아닌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의 생활 패턴에 더욱 가까운 공간으로 인식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단순한 재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Based on this analysis, the customized suggestion unit 170 not only suggests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ut also recommends places or products that users can check/experience offline, and this process Through this, the Metaverse service is recognized as a space closer to actual offline living patterns rather than a simple virtual space, and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not only simple fun but also a variety of services.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 단말의 위치기반으로 오브젝트를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도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object is dis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특정 위치에서 이용자 단말(1)이 촬영한 영상에 대해 메티버스 서비스 서버(1)의 위치 확인부(110)와 오브젝트 확인부(120)는 오프라인 위치 정보와, 영상 내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대응위치에 표시할 오브젝트를 확인 및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For the video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1 at a specific location,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10 and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of the Metiverse service server 1 check offline location information and objects in the video, and Check the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service, and confirm and create the object to be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so that it is displayed.
특히, 크로마키 배경이 포함된 영상이 촬영된 경우에,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120)는 오브젝트를 추출하기가 보다 용이해지며, 메타버스 서비스 내 해당 대응위치에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속에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서비스 이용시 더욱 생동감 있는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an image containing a chroma key background is captured,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makes it easier to extract the object and ensures that the object is displayed in the background image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vivid sense of reality when using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현실 세계, 즉, 오프라인에서의 오브젝트를 메타버스 서비스 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메타버스 서비스는 해당 오프라인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오브젝트들을 추출해서 빠른 속도로 오브젝트 확인 및 표시가 가능할 수 있으며, 해당 오프라인 위치가 특정 목적을 갖는 전시물, 기념관, 콘서트장과 같은 장소일 경우에는 해당 이용자의 관심사를 장소 뿐만 아니라 객체(오브젝트)까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In order to display objects in the real world, that is, offline,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where offline objects are located, the metaverse service extracts objects that may be in that offline location and quickly verifies and verifies the objects. Displaying may be possible, and if the offline location is a place such as an exhibition, memorial hall, or concert hall with a specific purpose, customized services are possible because the user's interests can be identified not only by location but also by object.
반대로, 이용자 단말(1)로부터 메타버스 서비스 내 오브젝트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오브젝트 데이터가 이용자 단말(1)로 전송되고,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1)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오프라인 배경에서 전달받은 오브젝트, 즉, 가상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an object in the metaverse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1, the objec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10 to the user terminal 1, and the user An object received from an offline background, that is, a virtual image,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3.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내 오브젝트를 호출하여 이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bject in the metaverse service being called and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즉, 이용자 단말(1)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10)로 오브젝트 전송의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10)의 위치 확인부(110)는 상기 이용자 단말(1)의 오프라인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120)는 해당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 표시될 수 있는 오브젝트를 확인 및 판단한 뒤, 이를 상기 이용자 단말(1)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부(13)에는 카메라부(11)에 의해 촬영되는 오프라인 배경 속에 해당 전달받은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when a request for object transmiss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 to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10,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110 of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10 determines the offlin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 and check the location with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service. Then,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120 confirms and determines an object that can be displayed at a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 and displays the display unit 13 of the user terminal 1. ), the received object may be displayed in the offline background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1.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별도의 QR코드 등과 같은 식별 코드를 촬영할 필요없이,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만으로 메타버스 서비스가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가상현실 경험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사업 서비스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Through this process, objects provided by the Metaverse service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with just a camera and display without the need to take a separate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QR code, so it not only provides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to users, but also provides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a variety of business services.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will say they do it.
Claims (5)
상기 이용자 단말이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메타버스 서비스로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와 영상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대응되는 위치를 설정하고, 해당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위치에 상기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와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구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확인부와,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오브젝트를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오브젝트 구현부와, 상기 오브젝트 구현부에 의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가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지정하여 놓은 오브젝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서비스용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와,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와 촬영한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취향을 분석하는 맞춤형 분석부와, 상기 맞춤형 분석부에 의하여 분석되는 이용자별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해당 이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제안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 또는 제공가능한 오브젝트나 서비스가 가능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DB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제안부는 상기 이용자별 취향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오프라인 위치를 제안하거나,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위치 또는 물품을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시스템. A user terminal including a location tracking unit capable of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of latitude and longitude, a camera unit for taking image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s a metaverse service that allows the user terminal to access the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re used to set a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object included in the video is located at the location with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service. Includes a metaverse service server that displays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ts a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an object that checks the object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A confirmation unit, an object implementation unit that displays the object confirmed by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based on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object implementation unit determines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object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n the case of doing so, an object creation unit that creates an object for the metaverse service corresponding to an object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objects pre-stored or designated by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ustomize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tastes of each user using objects in the captured video, and a customized suggestion unit that provides customized services to the user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based on the taste information of each user analyzed by the customized analysis unit. and a content DB in which objects that can be displayed or provided or content that can be servic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re stored,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he metaverse service, wherein the customized suggestion unit suggests an offline loc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taste information for each user, or suggests a location or product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내에 포함된 오프라인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설정되는 대응 위치를 매칭시키고,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는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표시가능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용자가 미리 설정하였거나 상기 컨텐츠 DB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생성되도록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reads offlin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tches the corresponding location set in the metaverse service,
If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displayable object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for the object included in the video, the object is created using content preset by the user or stored in the content DB.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he metaverse servic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generation unit.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는 오브젝트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이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 대응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오브젝트 확인부는 상기 대응 위치에 표시가능한 오브젝트를 추출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증강 현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etaverse service server receives a transmission request for an objec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read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confirms the corresponding location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object confirmation unit extracts an object that can be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bus ser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4224A KR102585102B1 (en) | 2022-01-11 | 2022-01-11 |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ps information using metaverse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4224A KR102585102B1 (en) | 2022-01-11 | 2022-01-11 |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ps information using metaverse ser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8607A KR20230108607A (en) | 2023-07-18 |
KR102585102B1 true KR102585102B1 (en) | 2023-10-05 |
Family
ID=8742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4224A Active KR102585102B1 (en) | 2022-01-11 | 2022-01-11 |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ps information using metaverse ser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5102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723B1 (en) * | 2012-09-17 | 2018-11-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averse client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metaverse space for user interaction |
KR102396337B1 (en) * | 2020-02-26 | 2022-05-10 |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location-based ar linking of object-based augmentation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10063284A (en) * | 2021-05-12 | 2021-06-01 | 김권태 | Blockchain-based exhibition experience solution on Metaverse platform |
-
2022
- 2022-01-11 KR KR1020220004224A patent/KR102585102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8607A (en) | 2023-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42778B1 (en) |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an interactive representative reality | |
JP5951759B2 (en) | Extended live view | |
US20190333478A1 (en) | Adaptive fiducials for image match recognition and tracking | |
TWI617930B (en) |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a search result with space objects,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 |
EP4246963A1 (en) | Providing shared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within video calls | |
KR2016011289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service based augmented reality | |
TWI617931B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location-based space object | |
US20160253843A1 (en) | Method and system of management for switching virtual-reality mode and augmented-reality mode | |
US20140178029A1 (en) | Novel Augmented Reality Kiosks | |
US10657718B1 (en) | Facial expression tracking dur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sessions | |
JP2014524062A5 (en) | ||
US9600720B1 (en) | Using available data to assist in object recognition | |
JP7415390B2 (en) | Purchased product management system, user terminal, server, purchased produc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US1146197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geo-located augmented reality communities | |
US20160035016A1 (en) | Method for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 |
TWI642002B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ewability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 |
US2023010103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vatar space based on street-view via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 |
US11847297B2 (en) | Method of providing real-time VR service through avatar | |
KR102585102B1 (en) |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ps information using metaverse service | |
CN108364354A (en) | Display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 |
US20210374199A1 (en) |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 |
JP6510116B2 (en) | Customer grasping system using virtual object display system, customer grasping system program and customer grasping method | |
GB2513865A (en) | A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augmented reality scene | |
CN111538920A (en) | Content presentation method, device,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40039508A (en) |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coordination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