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4607B1 -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607B1
KR102584607B1 KR1020230007871A KR20230007871A KR102584607B1 KR 102584607 B1 KR102584607 B1 KR 102584607B1 KR 1020230007871 A KR1020230007871 A KR 1020230007871A KR 20230007871 A KR20230007871 A KR 20230007871A KR 102584607 B1 KR102584607 B1 KR 10258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matitis
preventing
psoriasis
pyrazol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607B9 (ko
Inventor
김욱
김은하
한지혜
최홍서
김은수
김수하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0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607B1/ko
Priority to PCT/KR2023/012410 priority patent/WO20241548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07B1/ko
Publication of KR10258460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07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건선 또는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의 피부에서 TNF-α, IL-1β, IL-17A 및 Ki67이 감소함을 확인하여 건선 또는 접촉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이러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s Comprising 1H-Pyrazole-3-Amide Compound Derivatives}
본 발명은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선(psoriasis)은 피부 표피(epidermis)층의 과증식과 다양한 크기의 홍반 및 궤양 등이 동반되는 난치성 자가면역 피부질환이다. 건선의 기전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과증식 및 과활성화가 주요한데, 이는 Th17 세포반응에 의해 유도된다. 그 과정을 보면, 최초 피부 수지상세포의 과활성에 의한 TNF-α와 lL-23 생성이 Th17 세포의 염증 효력을 극대화시켜 IL-17의 생성이 증가하고 이에 의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가 과증식 한다. 또한, TNF-α 등의 자극에 의해 각질형성세포가 추가 염증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생성하여 염증 백혈구의 조직 침윤을 촉진하고 지속화 시킨다. 최근 IL-23-IL-17 경로를 차단하는 항체치료제가 비교적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효과가 일시적이고 중증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효과가 미약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반복적으로 알러젠(allergen)이 피부에 침투함으로써 접촉된 부위에 습진성 피부 질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촉피부염의 발병은 T 림프구와 대식세포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세포 매개형 과민반응으로, 항원과 접촉 시 수 시간 사이에 비교적 늦게 염증 반응이 시작되기 때문에 지연형 과민반응(delayed type hypersensitivity)이라고 부른다. 근래에는 물질문명의 발달로 환경오염 및 새로운 물질들이 대량 생산되고 그 종류도 다양해져서 전에 비해 접촉성 피부염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일생을 통해서 누구나 최소한 몇 차례의 접촉성 피부염을 경험하게 되며, 그 원인 또한 매우 다양해서 자연물질, 공업산물, 심지어는 치료 약제에 의해서도 접촉성 피부염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건선 또는 접촉성 피부염과 관련하여 새로운 기전의 효과적인 신약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3693호 (2014.12.0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염증성 피부질환을 예방 내지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염증성 피부질환을 예방 내지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 또는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홍반성 루프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 또는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홍반성 루프스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건선 또는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의 피부에서 TNF-α, IL-1β, IL-17A 및 Ki67이 감소함을 확인하여 건선 또는 접촉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이러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 또는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건선 마우스 모델에서 PASI 점수와 비장의 무게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건선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 두께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건선 마우스 모델에서 TNF-α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건선 마우스 모델에서 IL-1β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7은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 두께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IL-1β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IL-17A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 또는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홍반성 루프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투여량이 0.01 mg/kg 내지 200 mg/kg,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 또는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홍반성 루프스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 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 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첨가되는 유효성분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품 100 중량부에 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합성 예 1>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의 합성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70176호를 참조하여,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합성 및 제조하였다. 상기 화합물 중,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화합물 1로 명명) 및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화합물 2로 명명)를 이용하여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화합물 1 및 화합물 2의 구조식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실시 예 1> 건선 치료 효과 확인
(1) 건선 동물 모델 구축과 PSAI 점수 및 비장의 무게 측정
7주령 쥐의 등을 제모한 다음 4일 동안 알다라크림 62.5mg을 매일 발라주었다. 비이클(Vehicle) 1% DMSO, 5% 콜리포어(kolliphor) in PBS에 섞어 복강에 매일 주사하였다. 화합물 1는 20mg/kg, 화합물 2은 10mg/kg, MTx는 10mg/kg로 체중 x 10μl로 만들어 매일 복강에 주사하였다. 주사 후 충분히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Cannabinoid receptor 1)을 억제할 수 있도록 30분간 둔 다음 알다라크림을 발라주고, 알다라크림을 바르기 시작한 날을 1일차로 하여 5일차에 쥐를 희생시켜 피부 조직을 파라핀 블록으로 만들었다. 이를 4μm 두께로 일정하게 잘라 면역화학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따르면,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주사한 모델이 비이클군에 비해 PASI 점수가 낮고, 비장의 무게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 건선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 두께 확인
60℃ 오븐에 1시간 동안 슬라이드를 넣어 놓고, 자일렌 용액 5분, 100% EtOH 5분, 70% EtOH 5분, 증류수와 PBS로 헹궈준 다음 헤마톡실린에 10초, 에오신에 3초 동안 담궈주었다. 이후 70% EtOH, 100% EtOH로 헹궈준 다음 자일렌에 20초 담근 다음 마운팅 용액을 뿌리고 커버 글라스를 덮어주었다. 라이카 현미경으로 피부 조직의 각 부분을 촬영한 다음, 조직당 3곳씩을 평균으로 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따르면, 건선이 유도됨에 따라 표피와 진피가 두꺼워진 비이클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복강 주사로 넣어 CB1R을 억제함으로써 유의미하게 표피의 두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3) 건선 마우스 모델에서 TNF-α 및 IL-1β 감소 효과 확인
면역화학염색을 하기 위해 60℃ 오븐에 1시간 동안 슬라이드를 넣어 놓고, 자일렌 용액 5분, 100% EtOH 5분, 70% EtOH 5분, 증류수와 PBS로 헹궈준 다음 시트레이트 버퍼에 담가 100℃ 오븐에서 30분 동안 두고 상온에서 45분 동안 천천히 식혀주었다. 증류수로 슬라이드를 헹궈준 다음 PBS에 5분간 담구었고 0.25% tritonX-100을 슬라이드에 뿌리고 10분간 두어 세포막을 깨트려 항체가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0.1% tween 20 in PBS(이하 PBST라 함.)로 헹궈준 다음 hydrogen peroxide block buffer(abcam59717)를 뿌려 10분간 기다렸다. 이후, PBST로 헹궈준 다음 노말 블로킹 세럼(VectastatinABC kit, PK-4001) 150μl를 PBS 10ml에 섞어 슬라이드에 뿌려주었다. 1차 항체를 R.T.U animal free block and diluent(SP-5035)에 1:500으로 섞어 슬라이드에 뿌리고 14시간동안 4℃ 냉장고에서 반응시켰다. PBST로 헹궈준 다음 2차 항체를 1시간동안 붙여주고 HRP(VectastatinABC reagent)를 30분간 붙여주었다. DAB substrate를 PBS에 섞어 슬라이드에 뿌려주고 동일 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이후 헤마톡실린으로 대조염색 해준 다음 70% EtOH, 100% EtOH로 헹궈주고, 자일렌에 20초 담근 다음 마운팅 용액을 뿌리고 커버 글라스를 덮어주었다.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갈색으로 염색된 TNF-α 및 IL-1β의 신호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따르면, 건선이 유도됨에 따라 표피에서 증가하는 염증 인자인 TNF-α의 발현양이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복강 주사를 통해 넣어줌으로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을 억제하였을 때 비이클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도 5에 따르면, 건선이 유도됨에 따라 표피에서 증가하는 염증 인자인 IL-1β의 발현양이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복강 주사를 통해 넣어줌으로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을 억제하였을 때 비이클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화합물 1의 억제 효과가 화합물 2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2> 접촉성 피부염 치료 효과 확인
(1) 접촉성 피부염 동물 모델 구축과 피부염 치료 효과 확인
7주령 쥐의 귀를 제모한 다음 제모 다음날(1일차) 옥사졸론(4-ethoxymethylene-2-phenyl-2-oxazolin-5-one, cat#E0753-1G, sigma-Aldrich)을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에 2%가 되도록 섞어 귀의 안쪽과 바깥쪽에 5μl씩 발라주었다. 비이클 1% DMSO, 5% kolliphor in PBS에 섞어 복강에 매일 주사하였다. 화합물 2는 20mg/kg, 화합물 1은 10mg/kg로 매일 복강 주사하였고, 주사 후 충분히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을 억제할 수 있도록 30분간 둔 다음 귀의 크기를 측정하고 옥사졸론(1일차 및 6일차)을 발라주었다. 6일차에 1% 옥사졸론을 만들어 귀의 안쪽과 바깥쪽에 5μl씩 발라주고, 7일차에 쥐를 잡아 귀를 파라핀 블록으로 만들어 4μm 두께로 잘라 슬라이드에 올려주었다.
1일차에 사용하는 2% 옥사졸론은 20마리 기준으로 최종적으로 800μl를 만들어야 하며 옥사졸론 16mg을 올리브 오일 160μl로 먼저 녹인 다음 아세톤 640μl을 추가로 섞어 귀의 앞면에 5μl, 뒷면에 5μl씩 귀 한 개당 10μl씩 양쪽 귀에 발라주었다. 6일차에 사용하는 1% 옥사졸론은 20마리 기준으로 최종적으로 800μl를 만들어야 하며 옥사졸론 8mg을 올리브 오일 160μl로 먼저 녹인 다음 아세톤 640μl를 추가로 섞어 귀의 앞면에 5μl, 뒷면에 5μl씩 귀 한 개당 10μl씩 양쪽 귀에 발라주었다.
그 결과, 도 6에 따르면,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발라준 모델이 비이클군에 비해 접촉성 피부염의 증상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염 치료 효과
60℃ 오븐에 1시간 동안 슬라이드를 넣어 놓고, 자일렌 용액 5분, 100% EtOH 5분, 70% EtOH 5분, 증류수와 PBS로 헹궈준 다음 헤마톡실린에 10초, 에오신에 3초 동안 담궈주었다. 이후 70% EtOH, 100% EtOH로 헹궈준 다음 자일렌에 20초 담근 다음 마운팅 용액을 뿌리고 커버글라스를 덮어주었다. 라이카 현미경으로 피부 조직의 각 부분을 촬영한 다음, 조직당 3곳씩을 평균으로 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따르면, 접촉성 피부염이 유도됨에 따라 표피가 두꺼워진 비이클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복강 주사로 넣어 CB1R을 억제함으로써 유의미하게 귀의 피부 두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3)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IL-1β, IL-17A 및 ki67 감소 효과 확인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갈색으로 염색된 IL-1β, IL-17A 및 ki67의 신호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따르면, 접촉성 피부염이 유도됨에 따라 표피에서 증가하는 염증 인자인 IL-1β의 발현양이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복강 주사를 통해 넣어줌으로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를 억제하였을 때 비이클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9에 따르면, 접촉성 피부염이 유도됨에 따라 증가하는 염증 인자인 IL-17A의 발현양이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복강 주사를 통해 넣어줌으로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를 억제하였을 때 비이클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 또는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홍반성 루프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2-(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N-(2-하이드록시에틸)-2-옥소아세트아마이드 또는 (E)-N-(3-클로로벤질)-3-(5-(4-클로로페닐)-1-(2,4-다이클로로페닐)-4-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홍반성 루프스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07871A 2023-01-19 2023-01-19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ctive KR10258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871A KR102584607B1 (ko) 2023-01-19 2023-01-19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3/012410 WO2024154884A1 (ko) 2023-01-19 2023-08-22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871A KR102584607B1 (ko) 2023-01-19 2023-01-19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607B1 true KR102584607B1 (ko) 2023-10-04
KR102584607B9 KR102584607B9 (ko) 2024-03-13

Family

ID=8829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871A Active KR102584607B1 (ko) 2023-01-19 2023-01-19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4607B1 (ko)
WO (1) WO2024154884A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980A (ko) * 2004-10-26 2007-06-07 아이알엠 엘엘씨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 활성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및조성물
KR20080032157A (ko) * 2005-07-15 2008-04-14 라보라토리오스 델 드라. 에스테브.에스.에이. 4,5-디하이드로-1h-피라졸 유도체, 이의 제조 및약제로서의 용도
KR20090069318A (ko) * 2006-09-25 2009-06-30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Cb2 수용체를 조절하는 화합물
KR20100083333A (ko) * 2009-01-13 2010-07-22 (주)에스에이치제약 Cb1에 길항 활성을 갖는 1h-파이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또는 1h-파이라졸-3-옥소아세트아마이드계 화학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10063438A (ko) * 2008-09-25 2011-06-10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Cb2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설포닐 화합물
KR20150026640A (ko) * 2013-09-03 2015-03-11 (주)네오팜 카나비노이드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가지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또는 화장품 조성물
KR101867779B1 (ko) * 2017-12-08 2018-06-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피라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검출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
KR20190029210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2896B1 (ko) * 2011-08-05 2019-05-27 로레알 케라틴 물질용 미백제 및/또는 갈변방지제로서의 cb1 수용체 길항제의 용도
KR102083693B1 (ko) 2012-02-29 2020-03-02 케모센트릭스, 인크. Ccr9 길항제로써 피라졸-1-일 벤젠 술폰아미드
KR102227522B1 (ko) * 2018-07-16 2021-03-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HKWKYMVm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1518A (en) * 1987-05-29 1991-09-24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Pharmacologically active 2- and 3-substituted (1',5'-diaryl-3-pyrazolyl)-N-hydroxypropanamides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980A (ko) * 2004-10-26 2007-06-07 아이알엠 엘엘씨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 활성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및조성물
KR100919524B1 (ko) * 2004-10-26 2009-10-01 아이알엠 엘엘씨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 활성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및조성물
KR20080032157A (ko) * 2005-07-15 2008-04-14 라보라토리오스 델 드라. 에스테브.에스.에이. 4,5-디하이드로-1h-피라졸 유도체, 이의 제조 및약제로서의 용도
KR20090069318A (ko) * 2006-09-25 2009-06-30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Cb2 수용체를 조절하는 화합물
KR20110063438A (ko) * 2008-09-25 2011-06-10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Cb2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설포닐 화합물
KR20100083333A (ko) * 2009-01-13 2010-07-22 (주)에스에이치제약 Cb1에 길항 활성을 갖는 1h-파이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또는 1h-파이라졸-3-옥소아세트아마이드계 화학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82896B1 (ko) * 2011-08-05 2019-05-27 로레알 케라틴 물질용 미백제 및/또는 갈변방지제로서의 cb1 수용체 길항제의 용도
KR102083693B1 (ko) 2012-02-29 2020-03-02 케모센트릭스, 인크. Ccr9 길항제로써 피라졸-1-일 벤젠 술폰아미드
KR20150026640A (ko) * 2013-09-03 2015-03-11 (주)네오팜 카나비노이드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가지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또는 화장품 조성물
KR20190029210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7779B1 (ko) * 2017-12-08 2018-06-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피라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검출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
KR102227522B1 (ko) * 2018-07-16 2021-03-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HKWKYMVm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54884A1 (ko) 2024-07-25
KR102584607B9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39801A1 (en) Nk1 receptor antagonist composition
KR102584607B1 (ko) 1h-피라졸-3-아마이드계 화합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0084A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13923B1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671950B1 (en) Cinnamoyl derivatives and use thereof
WO2011077701A1 (ja) 抗アンドロゲン剤、皮脂分泌抑制剤、養毛剤及び飲食品
US2001000375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transient ischemic attack
KR20190046697A (ko) 아이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A3176643A1 (en) Use of dopamine d3 partial agonists for treat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JP2004131407A (ja) ローヤルゼリー又はその水溶性画分を有効成分とする抗うつ性組成物
AU202020586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dementia and cerebrovascular disorders
KR102770474B1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3370A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2133858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containing 2′-fucosyllactose as an active ingredient
KR100559490B1 (ko) 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증세 호전용 건강식품
CN105878225B (zh) 氨基乙酰丙酸在脂肪肝治疗中的应用
KR20200022795A (ko) 디하이드록시벤조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피부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75065B1 (ko) 베르가모틴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240068191A (ko) 리모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46696A (ko)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7240714B2 (ja) γヒドロキシ酪酸受容体結合剤
KR102073337B1 (ko) 후피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50050756A (ko) 당단풍나무 추출물 또는 당단풍나무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5344B1 (ko)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JP2022028622A (ja) チモールトリメトキシシンナメートを含む皮膚のかゆみまたは刺激緩和用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40308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