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247B1 - Cosmetic container - Google Patents
Cosmetic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8247B1 KR102578247B1 KR1020220176948A KR20220176948A KR102578247B1 KR 102578247 B1 KR102578247 B1 KR 102578247B1 KR 1020220176948 A KR1020220176948 A KR 1020220176948A KR 20220176948 A KR20220176948 A KR 20220176948A KR 102578247 B1 KR102578247 B1 KR 1025782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container
- refill container
- fixing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smetic containers.
화장품 용기는 액상이나 크림 또는 분말 등과 같은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와 내용물을 합하여 화장품이라고 칭한다. 화장품 회사는 화장품의 상업적 성공을 위해 내용물의 품질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의 기능 및 미감에 대한 개발을 중요시한다. A cosmetic container is a container that holds cosmetics such as liquid, cream, or powder, and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cosmetic container and its contents together. Cosmetics companies place importance on the development of not only the quality of the contents but also the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of cosmetic containers for the commercial success of cosmetics.
화장품 용기 자체의 가격은 화장품의 전체 가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경우 버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생산 비용적 측면, 소비자의 이익 측면 및 환경오염적 측면에서 내용물이 수용된 리필 용기와 리필 용기가 수용되는 메인 용기를 포함하는 리필(refill) 가능한 화장품 용기가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The price of the cosmetic container itself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total price of the cosmetic product, and the cosmetic container is discarded when the cosmetics are all used up. Accordingly, in terms of production cost, consumer benefi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s including a refillable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and a main container containing the refillable container are being steadily develop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되, 작은 힘으로 리필 용기를 메인 용기에 결합 및 분리하는 데에 유리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low manufacturing cost, but is advantageous in combining and separating the refill container from the main container with a small for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리필 용기 및 상기 리필 용기를 수용하는 메인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로서, 상기 메인 용기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외형을 이루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배치되며 뚜껑과 결합되기 위한 뚜껑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뚜껑 체결부, 상기 뚜껑 체결부 상에 형성되되, 상기 뚜껑 체결부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유입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체결부 및 상기 메인 용기의 개구 영역으로서, 상기 리필 용기가 수용되는 리필 용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는, 상기 리필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화장품 수용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상부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체결부에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필 용기 고정부의 측면 폭의 크기는 상기 리필 용기 체결부의 유입 폭의 크기 이하이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a refill container and a main container accommodating the refill container, wherein the main container includes a body part that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osmetic container, is disposed on the body part, and has a lid. A lid fastening part including a lid fasten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lid fastening part,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lid fastening part and having a shape that flows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and an opening area of the main container As, it includes a refill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refill container is accommodated, and the refill container includes a cosmetic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fill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an upper support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cosmetic accommodating portion protrudes in the side direction, and the It protrudes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for being coupled to the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wherein the size of the side width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is the inflow width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상기 메인 용기는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는 상기 뚜껑 체결부 상에서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ers, and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er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interval on the lid fastener.
상기 리필 용기는 복수의 리필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필 용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fill contai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ixing units, and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ixing unit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first interval on the upper support part.
상기 뚜껑 결합 부재는 상기 뚜껑 체결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상기 뚜껑 체결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d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and the first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other than a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are formed.
상기 리필 용기 고정부의 측면 폭의 크기는 상기 리필 용기 체결부의 유입 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e size of the side width of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inflow width of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상기 리필 용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 및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사선 영역, 상기 제1 사선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로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면 상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1 고정 영역, 상기 제1 고정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로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정면 상 반원 형상의 유입된 구조를 갖는 탄성 영역, 상기 탄성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로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면 상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제2 고정 영역, 및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1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diagonal area extending downward and diagonally from the upper support, a first diagonal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agonal area,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to have a square shape on the front. A fixing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area,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upport part, and having an inflow structure of a semicircular shape on the front, an elastic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area,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support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area extending downward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on the front, and a first protruding area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area and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리필 용기 체결부는, 상기 뚜껑 체결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및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사선 영역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사선 영역, 상기 제2 사선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 체결부의 상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lid fastening part in the lower and diagonal direction, has a second slanted are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lanted area,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lanted area, and fastens the lid. A main are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unit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second protrus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area and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rotrusion area and having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area in the other direction. Can include areas.
상기 제1 사선 영역 및 상기 제2 사선 영역은 각각 상기 하부 및 사선 방향으로 제1 연장각 및 제2 연장각을 가지되, 상기 제1 연장각 및 상기 제2 연장각은 동일한 각도일 수 있다.The first diagonal area and the second diagonal area have a first extension angle and a second extension angle in the lower and diagonal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e first extension angle and the second extension angle may be the same angle.
상기 제1 연장각 및 상기 제2 연장각은 3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angle and the second extension angle may be 30 degrees to 60 degrees.
상기 제1 고정 영역과 상기 제1 사선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길이인 제2 길이는 상기 제1 고정 영역이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인 제1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 고정 영역과 상기 탄성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길이인 제3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second length, which is the connection length where the first fixing area and the first diagonal area are connected, is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which is the length where the first fixing area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and the first fixing area and the The third length, which is the connecting length where the elastic regions are connected,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length.
상기 제2 고정 영역과 상기 탄성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길이는 상기 제3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A connection length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area and the elastic area may be the same as the third length.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가로 폭은 상기 제1 고정 영역의 가로 폭보다 작고, 상기 탄성 영역의 가로 폭보다 클 수 있다.The horizontal width of the second fixing area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ixing area and larg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lastic area.
상기 메인 영역의 가로 폭은 상기 제1 고정 영역의 가로 폭, 상기 탄성 영역의 가로 폭 및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가로 폭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The horizontal width of the main area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fixed area,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lastic area,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econd fixed area.
상기 제2 고정 영역은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제4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고, 제1 돌출 영역은 정면 상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4 길이의 1/2보다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 영역은,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메인 용기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area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by a fourth length, and the first protruding area has a triangular shape on the front, and is located below 1/2 of the fourth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fixing area.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area when the refill contain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타측 변의 하부 영역은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이어지는 사선 형상을 가지며, 끝 부분은 둥근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A lower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area may have a diagonal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ding area, and an end may have a rounded corner.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기존 용기의 구조를 일부 변형하고 별도의 추가적인 재료가 불필요한 리필 용기 체결부 및 리필 용기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되, 작은 힘으로 리필 용기를 메인 용기에 결합 및 분리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ontainer is partially modifi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y including a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and a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that do not require separate additional materials. It can be advantageous to combine and separate the refill container from the main container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 분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용기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rea A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exploded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exploded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front views of a refil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front views of the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all cases where the other element or layer is directly on top of or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10에서는 좌표계를 설정하고, 상기 좌표계를 기준으로 화장품 용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좌표계는 제1 방향(X), 제1 방향(X)과 동일한 평면에서 수직인 제2 방향(Y) 및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의 평면에 수직인 제3 방향(Z)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제1 방향(X)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가로 방향(우측 방향), 제2 방향(Y)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세로 방향(또는, 정면 방향)을 의미하고, 제3 방향(Z)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높이(또는, 두께) 방향(상부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rdinate system is set in Figures 5 to 10, and the structure of the cosmetic container is explained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The coordinate system includes a first direction (X), a second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irection (X), and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Includes (Z),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X) refers to the horizontal direction (right direc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and the second direction (Y)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or front direc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And, the third direction (Z) may refer to the height (or thickness) direction (upper direc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 분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rea A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exploded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exploded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메인 용기(100), 리필 용기(200) 및 뚜껑(3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container 100, a refill container 200, and a lid 300.
메인 용기(100)는 리필 용기(200)를 수용하며 화장품 용기(10)의 외형 일부를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메인 용기(10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상부 방향(제3 방향(Z))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뚜껑 체결부(120), 상기 뚜껑 체결부(12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 및 바디부(110)와 뚜껑 체결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리필 용기가 수용되는 리필 용기 수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ontainer 100 accommodates the refill container 200 and may form part of the exterior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The main container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lid fastening portion 120 having a shape that protrudes in an upward direction (third direction (Z)) on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lid fastening portion.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formed on (120), and a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10 and the lid fastening part 120, and includes a refill container receiving part 140 in which the refill container is accommodated. can do.
바디부(110), 뚜껑 체결부(120), 리필 용기 체결부(130) 및 리필 용기 수용부(1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하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디부(110)가 원통형 형상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10)는 평면 상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The body portion 110, the lid fastening portion 120,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ortion 130, and the refill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as one body, but are limited thereto.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body portion 110 has a cylindrical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dy portion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on a plane.
뚜껑 체결부(120)는 뚜껑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결합 부재는 제1 나사산(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산(121)은 뚜껑 체결부(12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되,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가 형성된 부분 이외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121)은 뚜겅 체결부(120)의 측면 상에 코일 형상으로 만들어진 돌기일 수 있다. 제1 나사산(121)은 뚜껑(30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제2 나사산(320)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짝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산(121)은 수나사이고, 제2 나사산(320)은 제1 나사산(121)과 맞물리는 암나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lid fastening part 120 may include a lid coupling member. The lid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screw thread 121. The first screw thread 12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and may be formed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 are formed. The first screw thread 121 may be a coil-shaped protrusion on the side of the lid fastening portion 120. The first screw thread 121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crew thread 32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300. For example, the first screw thread 121 may be a male screw, and the second screw thread 320 may be a female screw engag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1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나사산(121)은 뚜껑(300)과 메인 용기(10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screw thread 121 is a component for fixedly coupling the lid 300 and the main container 100. In this specification, it is exemplified to be fixed by screw coupl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chnical means tha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not causing harm.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는 뚜껑 체결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리필 용기 체결부(130)는 뚜껑 체결부(120)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유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필 용기 체결부(130)가 뚜껑 체결부(12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유입된 폭(W1)은 리필 용기 고정부(230)의 측면 폭(W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flows inward. The width W1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flowing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de width W2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230.
바람직하게는, 리필 용기 체결부(130)가 뚜껑 체결부(12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유입된 폭(W1)은 리필 용기 고정부(230)의 측면 폭(W2)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나사산(121)을 통해 뚜껑(300)이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데에 간섭되지 않고, 리필 용기 고정부(230)가 리필 용기 체결부(13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idth W1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flowing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de width W2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230, so that the first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to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oupling or disengagement of the lid 300 through the screw thread 121.
리필 용기 체결부(130)를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그 형상은 리필 용기(200)의 리필 용기 고정부(230)의 가장자리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필 용기 체결부(13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When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is viewed from the front, its shap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dge shape of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of the refill container 200. The specific shape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메인 용기가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를 포함하는 경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용기(100)가 두 개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_1, 130_2)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_1, 130_2)는 평면 상 180도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main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 they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when the main container 100 includes two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_1 and 130_2, the two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_1 and 130_2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be spaced apart at 180 degrees in a plane. .
다른 예로, 메인 용기(100)는 세 개 이상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용기(100)가 세 개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를 포함하는 경우 인접한 리필 용기 체결부(130)는 120도로 이격 배치되고, 메인 용기(100)가 네 개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를 포함하는 경우 인접한 리필 용기 체결부(130)는 90로도 이격 배치되는 등,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130)의 형성 위치는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ain container 100 may include three or mor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 and when the main container 100 includes thre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 adjacent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 1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120 degrees, and when the main container 100 includes four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 adjacent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 are spaced apart by 90 degrees, etc., a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The formation position of (130)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리필 용기 체결부(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리필 용기 수용부(140)는 메인 용기(100)의 개구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리필 용기(200)의 화장품 수용부(2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리필 용기 수용부(140) 및 화장품 수용부(210)의 형상이 원통형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른 다각형 형상, 반구형(hemispherical)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The refill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defined as an opening area of the main container 100, and its shap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osmetics receiving portion 210 of the refill container 200. That is, in this specification, the shape of the refill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40 and the cosmetic accommodating portion 210 is illustrated as being cylindric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ther polygonal shapes such as squares, rectangles, and hemispherical shapes. ) may have a shape, etc.
리필 용기(200)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되, 사용자에 의해 메인 용기(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200)는 화장품 수용부(210), 상부 지지부(220) 및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ill container 200 contains cosmetics therein, but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ain container 100 by the user. The refill containe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cosmetics receiving portion 210, an upper support portion 220, and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ixing portion 230.
화장품 수용부(210)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며, 리필 용기 수용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화장품 수용부(210)의 외형은 리필 용기 수용부(140)와 같이 원통형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른 다각형 형상, 반구형(hemispherical)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The cosmetics container 210 includes an opening area where cosmetics are accommodated, and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refill container container 140. That is, in this specification, the outer shape of the cosmetics container 210 is illustrated as having a cylindrical shape like the refill container container 140, but it may have other polygonal shapes such as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 hemispherical shape, etc.
상부 지지부(220)는 리필 용기(200)가 메인 용기(100)에 결합되는 경우 메인 용기(100)의 뚜껑 체결부(120)의 상부면과 접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 지지부(220)는 화장품 수용부(210)의 상부가 원주를 따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지지부(220)가 화장품 수용부(210)로부터 돌출된 폭(W4)은 뚜껑 체결부(120)의 원주 방향 외측 폭(W3)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ortion 120 of the main container 100 when the refill container 200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cosmetics receiving portion 210 protrudes in the sid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The width W4 of the upper support part 220 protruding from the cosmetics receiving part 210 may be smaller than or substantially equal to the circumferential outer width W3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리필 용기(200)가 리필 용기 수용부(140)에 삽입된 경우, 리필 용기(200)가 메인 용기(10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리필 용기(200)가 리필 용기 수용부(140)에 삽입된 후 리필 용기(200)의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에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분리 이외에 리필 용기(200)가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may allow the refill container 200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 when the refill cont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refill container receiving part 140.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is configured to hold the refill container 200 in the first direction (X), second direction (Y), and third direction (Z) of the refill container 200 after it is inserted into the refill container receiving part 140. ) movement can be restricted.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can prevent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container 100 other than sepa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상부 지지부(220)에 형성되며, 상부 지지부(220)로부터 하부 방향(제3 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필 용기 고정부(230)의 상세한 구조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is formed on the upper support part 220 and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upport part 220 in a downward directio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Z)).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리필 용기(200)가 복수의 리필 용기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필 용기(200)가 두 개의 리필 용기 고정부(230_1, 230_2)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리필 용기 고정부(230_1, 230_2)는 평면 상 180도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필 용기(200)에 포함된 리필 용기 고정부(230)의 수는 리필 용기 체결부(130)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리필 용기 고정부(230)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리필 용기 체결부(130)와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When the refill contain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ixing parts 230,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ixing parts 23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when the refill container 200 includes two refill container fixing parts 230_1 and 230_2, the two refill container fixing parts 230_1 and 230_2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be spaced apart at 180 degrees in a plane. . The number of refill container fixing parts 230 included in the refill container 20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130. That is, the number and formation position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ortions 230 may be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ortions 130.
리필 용기 고정부(230)의 측면 폭(W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리필 용기 체결부(130)의 유입된 폭(W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작게 형성됨으로써, 뚜껑(300)이 메인 용기(100)에 원활하게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width W2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23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introduced width W1 of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and is preferably formed small, so that the lid ( 300) can be smooth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main container 100.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용기의 정면도이다.Figures 7 and 8 are front views of a refil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front views of the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제1 사선 영역(231), 제1 고정 영역(232), 탄성 영역(233), 제2 고정 영역(234) 및 제1 돌출 영역(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선 영역(231), 제1 고정 영역(232), 탄성 영역(233), 제2 고정 영역(234) 및 제1 돌출 영역(235)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부(220)로부터 하부 방향(제3 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7 to 8,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diagonal area 231, a first fixing area 232, an elastic area 233, and a second fixing area 234. ) and a first protruding area 235. The first diagonal area 231, the first fixing area 232, the elastic area 233, the second fixing area 234, and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is formed integrally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support part 220 in a downward directio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Z)).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탄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인 용기(100)에 결합된 리필 용기(200)에 대하여 제1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제1 고정 영역(232) 및 제2 고정 영역(234)이 탄성 영역(233)을 향해 구부러지되, 리필 용기(200)가 메인 용기(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 원래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리필 용기 고정부(23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may be designed to be elastic by the user's physic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user applies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to the refill container 200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4 ) is bent toward the elastic region 233, but can be designed to have its original shape when the refill container 20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in container 100. As a specific example,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may be made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propylene (PP), but is limited thereto. That is not the case.
제1 사선 영역(231)은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선 영역(231)은 상부 지지부(220)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사선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선 영역(231)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3 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제1 연장각(AG1)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선 영역(231)은 사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리필 용기(200)와 메인 용기(100)의 결합 및 분리 방향을 안내하며, 사용자가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1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제1 고정 영역(232)이 제1 방향(X)으로 원활하게 굽혀지도록 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The first diagonal area 231 may have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diagonal area 231 extend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and may extend to have a diagonal shape. For example, the first diagonal area 231 may have a first extension angle AG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Z)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first diagonal area 231 has a diagonal shape to guide the direction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refill container 200 and the main container 100 and helps the user separate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the main container 100. For this reason, when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it may be advantageous to ensure that the first fixing area 232 is smoothly bent in the first direction (X).
제1 연장각(AG1)은 3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제1 연장각(AG1)이 30도보다 작은 경우,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 시 제1 고정 영역(232)이 제1 방향(X)으로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각(AG1)이 60도보다 큰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제1 고정 영역(232)이 탄성 영역(233)을 향해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에 고정하는 데에 불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연장각(AG1)은 40도 내지 50도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연장각(AG1)은 45도일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may be 30 degrees to 60 degrees. When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is less than 30 degrees, it is difficult for the first fixing area 232 to bend smoothly in the first direction (X) when separating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the main container 100. This can be. In addition, when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is greater than 60 degrees, the first fixing area 232 is likely to be bent toward the elastic area 233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so the refill container 200 is changed to the main container ( 100) may be disadvantageous in fixing it. Preferably,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may be 40 degrees to 50 degrees. More preferably,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may be 45 degrees.
제1 고정 영역(232)은 상부 지지부(220)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영역(232)은,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제3 방향(Z)의 길이가 제1 방향(X)의 폭(또는, 가로 폭)(T22)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fixing area 232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part 220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fixing area 232 has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third direction (Z) is longer than the width (or horizontal width) (T22) in the first direction (X). You can.
제1 고정 영역(232)의 일측은 적어도 일부가 제1 사선 영역(231)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1 고정 영역(232)의 타측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 영역(233)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 영역(232)의 상기 일측의 하부 모서리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고정 영역(232)이 제1 방향(X)으로 원활하게 구부러지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area 232 may be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agonal area 231,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area 232 may be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area 233. . The lower edge of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area 232 may have a round shape, which may be advantageous for the first fixing area 232 to be smoothly bent in the first direction (X).
제1 고정 영역(232)이 탄성 영역(233)과 연결되는 연결 길이(L3)는 제1 고정 영역(232)과 제1 사선 영역(231)이 연결되는 연결 길이(L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고정 영역(232)과 탄성 영역(233)이 제3 방향(Y)에서 이어진 제3 길이(L3)는 제1 고정 영역(232)과 제1 사선 영역(231)이 제3 방향(Y)에서 이어진 제2 길이(L2)보다 작을 수 있다.The connection length L3 by which the first fixing area 232 is connected to the elastic area 233 may be smaller than the connection length L2 by which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first diagonal area 231 are connected. That is, the third length L3 in which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elastic area 233 are connected in the third direction (Y) is the third length L3 in which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first diagonal area 231 are connected in the third direction (Y). It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length (L2) connected from (Y).
또한, 제3 길이(L3)는 제1 고정 영역(232)의 제3 방향(Z) 길이인 제1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길이(L3)는 제1 길이(L1)의 1/6 내지 1/3 일 수 있다. 제3 길이(L3)가 제1 길이(L1)의 1/3보다 큰 경우 제1 고정 영역(232) 및 제2 고정 영역(234)이 탄성 영역(233)으로 구부러지는 데에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길이(L3)가 제1 길이(L1)의 1/6보다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힘(예컨대, 사용자의 의도적인 힘 이외의 외력)으로도 제1 고정 영역(232) 및 제2 고정 영역(234)이 탄성 영역(233)으로 구부러지기 쉬울 수 있어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에 고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길이(L3)는 제1 길이(L1)의 1/5보다 크고 1/4보다 작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length L3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L1, which is the length of the first fixing area 232 in the third direction (Z). For example, the third length L3 may be 1/6 to 1/3 of the first length L1. When the third length L3 is greater than 1/3 of the first length L1, a lot of force is required to bend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4 into the elastic area 233.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to separate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the main container 100. In addition, when the third length (L3) is smaller than 1/6 of the first length (L1),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2 can be fixed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e.g., an external force other than the user's intentional force). Since the fixing area 234 may be easily bent into the elastic area 233, it may be difficult to fix the refill container 200 to the main container 100. Preferably, the third length (L3) may be greater than 1/5 and less than 1/4 of the first length (L1).
탄성 영역(233)은 상부 지지부(22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반원 형상으로 유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영역(233)의 일측은 제1 고정 영역(232)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 고정 영역(234)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영역(233)은 하부가 반원 형상의 유입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메인 용기(100)에 결합된 리필 용기(200)에 제1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고정 영역(232) 및 제2 고정 영역(234)이 구부러지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The elastic region 233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and may have a structure where the lower part is introduced into a semicircular shape. One side of the elastic area 23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The elastic region 233 has a semicircular structure at the bottom,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fill container 200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the first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fixing area 232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4 to be bent.
제2 고정 영역(234)은 상부 지지부(220)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제2 고정 영역(234)의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영역(232)은,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제3 방향(Z)의 길이가 제1 방향(X)의 폭(T24)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 영역(234)의 일측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 영역(233)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1 돌출 영역(235)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area 234 may extend from the upper support part 220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overall shape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fixing area 23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third direction (Z) is longer than the width (T24) in the first direction (X).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region 234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region 233, and a first protruding region 235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제2 고정 영역(234)의 타측 변은, 제3 방향(Z)의 반대 방향에서, 제1 돌출 영역(235)이 배치되기 전까지 제3 방향(Z)과 나란한 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영역(234)의 타측 변의 하부 영역, 즉 제1 돌출 영역(235)이 배치된 부분의 하부 영역은 제1 방향(X)의 반대 방향에서 하부 방향(제3 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사선 형상을 가지며, 끝부분은 둥근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돌출 영역(235)은 제2 고정 영역(234)의 타측 변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되, 정면에서 본 경우,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고정 영역(234)의 타측 변의 하부 영역은 제1 돌출 영역(235)과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ed area 234 may have a side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Z)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Z) until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is disposed. In addition, the lower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ed area 234, that is, the lower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is disposed, is direct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third direction (Z) It has a diagonal shape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end may have a rounded corn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may have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lower area of the other side of 234 may have a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
제2 고정 영역(234)의 제3 방향(Z)의 길이인 제4 길이(L4)는 제1 길이(L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고정 영역(234)과 탄성 영역(233)이 연결되는 연결길이(미도시)는 제3 길이(L3)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힘을 가하는 경우, 탄성 영역(233)에서 제1 고정 영역(232)과 제2 고정 영역(234)이 동일한 힘을 받게 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제2 고정 영역(234)의 제1 방향(X)의 폭(T24)은 제1 고정 영역(232)의 제1 방향(X)의 폭(T22)보다 작고 탄성 영역(233)의 제1 방향(X)의 폭(T23)보다 클 수 있다. The fourth length L4, which is the length of the second fixed area 234 in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length L1. The connection length (not shown) where the second fixing area 234 and the elastic area 233 are connecte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rd length L3, so as to separate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the main container 100. When force is applied,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4 receive the same force in the elastic area 233, which may be advantageous in preventing damage. The width T24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is smaller than the width T22 of the first fixing area 232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is smaller than the width T22 of the first fixing area 232 in the first direction (X). It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T23) of (X).
제2 고정 영역(234)의 제1 방향(X)의 폭(T24)이 제1 고정 영역(232)의 제1 방향(X)의 폭(T22)과 동일하거나 큰 경우, 제2 고정 영역(234)이 탄성 영역(233)으로 구부러지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영역(234)의 제1 방향(X)의 폭(T24)이 탄성 영역(233)의 폭보다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힘(예컨대, 사용자의 의도적인 힘 이외의 외력)에 의해 제2 고정 영역(234)이 탄성 영역(233)으로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돌출 영역(235)이 메인 용기(100)에 결합된 리필 용기(200)를 수직 방향에서 고정하는 데에 불리할 수 있다. When the width T24 of the second fixed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T22 of the first fixed area 232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second fixed area ( There may be difficulty in bending 234) into the elastic region 233. In addition, when the width T24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lastic area 233, a relatively small force (eg, an external force other than the user's intentional force) is applied. Since the second fixing area 234 is easy to bend into the elastic area 233, the protruding area 235 may be disadvantageous in fixing the refill container 200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바꾸어 말하면, 제2 고정 영역(234)의 제1 방향(X)의 폭(T24)은 제1 고정 영역(232)의 제1 방향(X)의 폭(T22)보다 작고 탄성 영역(233)의 제1 방향(X)의 폭(T23)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에 고정 결합하는 데에 유리하고, 사용자가 리필 용기(200)에 제1 방향(X) 및 제3 방향(Z)의 힘을 가하는 경우 리필 용기(200)가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width T24 of the second fixed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is smaller than the width T22 of the first fixed area 232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width of the elastic area 233 is smaller than the width T22 of the first fixed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By being larger than the width T23 in the first direction (X), it is advantageous to fixedly couple the refill container 200 to the main container 100 when no inten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When forces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third direction (Z) are applied to 200 ,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refill container 200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container 100 .
제1 돌출 영역(235)은 제2 고정 영역(234)의 타측 변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 영역(235)은,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 영역(235)은 제2 고정 영역(234)의 하단으로부터 제4 길이(L4)의 1/2보다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may have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may be formed lower than 1/2 of the fourth length L4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메인 용기(100)에 결합된 리필 용기(200)에 제1 방향(X)의 반대 방향 및 제3 방향(Z)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 고정 영역(232)이 제1 방향(X)으로 구부러짐과 동시에 제1 돌출 영역(235)이 메인 용기(100)의 제2 돌출 영역(133)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refill container 200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first fixing area 232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X )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may be released from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of the main container 100.
따라서, 제1 돌출 영역(235)이 제2 고정 영역(234)의 하단으로부터 제4 길이(L4)의 1/2보다 상부에 형성된 경우, 제1 돌출 영역(235)이 제2 돌출 영역(133)으로부터 해제되기 위해서는 제1 고정 영역(235)의 구부러짐 정도가 커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힘이 필요로 하며, 또한 분리 시 제1 고정 영역(235)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돌출 영역(235)은 제2 고정 영역(234)의 하단으로부터 제4 길이(L4)의 1/2보다 하부, 바람직하게는 제2 고정 영역(234)의 하단으로부터 제4 길이(L4)의 1/3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is formed above 1/2 of the fourth length L4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is formed above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 a relatively large force is required becaus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first fixing area 235 must be large, and the first fixing area 235 may be damaged when separated. Therefore,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is lower than 1/2 of the fourth length L4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preferably the fourth length L4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fixing area 234. ) can be formed at 1/3 of the point.
또한, 제1 돌출 영역(235)의 제1 방향(X)의 폭(T25)은 탄성 영역(233)의 제1 방향(X)의 폭(T23)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리필 용기(200)를 수직 방향에서 메인 용기(100) 상에 고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리필 용기(20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dth T25 of the first protruding region 235 in the first direction (X)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T23 of the elastic region 233 in the first direction (X), thereby making the refill container 200 While being fixed on the main container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fill container 200 can be easi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 체결부(130)는 제2 사선 영역(131), 메인 영역(132) 및 제2 돌출 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선 영역(131), 메인 영역(132) 및 제2 돌출 영역(133)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10 ,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diagonal area 131, a main area 132, and a second protruding area 133. The second diagonal area 131, the main area 132,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X).
리필 용기 체결부(130)는,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리필 용기 고정부(2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사선 영역(131)은 제1 사선 영역(231)에 대응되고, 메인 영역(132)은 제1 고정 영역(232), 탄성 영역(233) 및 제2 고정 영역(234)에 대응되며, 제2 돌출 영역(133)은 제1 돌출 영역(23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230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the second slanted area 131 corresponds to the first slanted area 231, and the main area 132 corresponds to the first fixed area 232, the elastic area 233, and the second fixed area 234.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제2 사선 영역(131)은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선 영역(131)은 뚜껑 체결부(120)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사선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선 영역(231)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3 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제2 연장각(AG2)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diagonal area 131 may have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diagonal area 131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and may extend to have a diagonal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diagonal area 231 may have a second extension angle AG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Z)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제2 연장각(AG2)은 제1 사선 영역(231)의 제1 연장각(AG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일 수 있다. 즉, 제2 연장각(AG2)은 제1 연장각(AG1)과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제2 연장각(AG2)은 30도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40도 내지 50도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연장각(AG2)은 45도일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angle AG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of the first diagonal area 231. That is, the second extension angle AG2 may be designed to have the same angle as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and the second extension angle AG2 may be 30 degrees to 60 degrees, preferably 40 degrees to 50 degrees. And, more preferably, the second extension angle AG2 may be 45 degrees.
이에 따라, 제2 연장각(AG2)의 제1 방향(X)의 폭(T11)은 제1 연장각(AG1)의 제1 방향(X)의 폭(T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 연장각(AG2)의 제3 방향(X)의 길이는 제1 연장각(AG1)의 제3 방향(X)의 길이(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dth T11 of the second extension angle AG2 in the first direction (X)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T21 of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extension angle AG2 The length of the extension angle AG2 in the third direction (X)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L2 of the first extension angle AG1 in the third direction (X).
즉, 제2 사선 영역(131)은 제1 사선 영역(231)이 수용되는 영역으로서, 리필 용기(200)와 메인 용기(100)의 결합 및 분리 방향을 안내하며, 사용자가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1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메인 영역(132)의 일측 변과 함께, 제1 사선 영역(1231) 및 제1 고정 영역(23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lanted area 131 is an area where the first slanted area 231 is accommodated, and guides the direction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refill container 200 and the main container 100, and allows the user to use the refill container 200 When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to separate from the main container 100, along with one side of the main area 132, the first diagonal area 1231 and the first fixing area 232 ) can play a role in conveying.
메인 영역(132)은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영역(132)은 뚜껑 체결부(12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연장되며, 메인 영역(132)의 제3 방향(Z)의 길이는 제1 고정 영역(232)과 제2 고정 영역(234) 각각의 제3 방향(Z)의 길이인 제1 길이(L1) 및 제4 길이(L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main area 132 may have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main area 132 extend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fastening part 120, and the length of the main area 132 in the third direction (Z) is divided into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4. The first length L1 and the fourth length L4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Z.
메인 영역(132)의 일측 변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사선 영역(131)과 연결되고, 그 연결 길이는 제2 길이(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메인 영역(132)의 타측 변의 하부 영역에는 제2 돌출 영역(13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영역(132)의 타측 변의 하부 영역, 즉 제2 돌출 영역(133)이 배치된 부분의 하부 영역은 제1 방향(X)의 반대 방향에서 하부 방향(제3 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사선 형상을 가지며, 끝부분은 둥근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main area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agonal area 131, and the connection length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second length L2. A second protruding area 133 may be disposed in a lower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area 132. In addition, the lower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area 132, that is, the lower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is disposed,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Z))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direction) and has a diagonal shape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end may have a rounded corner.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돌출 영역(133)은 메인 영역(132)의 타측 변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되, 정면에서 본 경우,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영역(132)의 타측 변의 하부 영역은 제2 돌출 영역(133)과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인 영역(132)의 일측 변의 하부 모서리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area 132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may have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lower area of the other side may have a shape connected to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lower edge of one side of the main area 132 may have a round shape.
메인 영역(132)의 제1 방향(X)의 폭(T12)은 제1 고정 영역(232), 탄성 영역(233) 및 제2 고정 영역(234) 각각의 제1 방향(X)의 폭(T22, T23, T24)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메인 영역(132)은 제1 고정 영역(232), 탄성 영역(233) 및 제2 고정 영역(234)이 수용되며, 사용자가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1 고정 영역(232) 및 제2 고정 영역(234)이 구부러지는 영역일 수 있다. The width T12 of the main area 132 i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fixed area 232, the elastic area 233, and the second fixed area 234 in the first direction (X) ( It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sum of T22, T23, and T24). The main area 132 accommodates the first fixing area 232, the elastic area 233,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4, and when the user separates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the main container 100, The first fixing area 232 and the second fixing area 234 may be bendable areas.
제2 돌출 영역(133)은 메인 영역(132)의 타측 변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돌출 영역(133)은 제1 돌출 영역(235)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리필 용기(200)를 제1 방향(X) 및 제3 방향(Z)에서 고정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area 132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is a space in which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is accommodated, and may be a space for fixing the refill container 200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third direction (Z).
따라서, 제2 돌출 영역(133)의 형상은 제1 돌출 영역(235)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돌출 영역(133)은 제1 돌출 영역(2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인 영역(132)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영역(132)의 제3 방향(Z) 길이의 1/2보다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돌출 영역(133)은 메인 영역(132)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영역(132)의 제3 방향(Z) 길이의 1/3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 영역(133)의 제1 방향(X)의 폭(T13)은 제1 돌출 영역(235)의 제1 방향(X)의 폭(T25)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and may have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may be 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main area 132 in the third direction (Z) from the bottom of the main area 132. It can be formed lower than 1/2 of. Preferably,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may be formed at a point that is 1/3 of the length of the main area 132 in the third direction (Z) from the bottom of the main area 132 . Additionally, the width T13 of the second protruding area 133 in the first direction (X)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T25 of the first protruding area 235 in the first direction (X).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기존 용기의 구조를 일부 변형하고 별도의 추가적인 재료가 불필요한 상술한 리필 용기 체결부(130)를 포함하는 메인 용기(100) 및 리필 용기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200)를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되, 작은 힘으로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에 결합 및 분리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As such, the cosmetic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modifies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ontainer and includes the main container 100 and the refill contain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30 tha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materials. By including the refill container 200 including the container fixing part 230,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ut it is advantageous to couple and separate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the main container 100 with a small force. You can.
특히, 리필 용기(200)에 화장품이 수용된 경우 화장품의 무게에 따른 중력에 의해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며, 반대로 리필 용기(200)에 수용된 화장품을 대부분 사용한 경우 리필 용기(200)의 무게가 감소함으로써 리필 용기(200)를 메인 용기(100)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용이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cosmetics are accommodated in the refill container 200, the refill container 20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 by gravit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smetics, and conversely, most of th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refill container 200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refill container 200 is reduced, making it easier to separate the refill container 200 from the main container 100.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various technolog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possib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rather than a limiting perspective.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화장품 용기 100: 메인 용기
200: 리필 용기 300: 뚜껑
110: 바디부 120: 뚜껑 체결부
130: 리필 용기 체결부 140: 리필 용기 수용부
210: 화장품 수용부 220: 상부 지지부
230: 리필 용기 고정부10: Cosmetic container 100: Main container
200: refill container 300: lid
110: body part 120: lid fastening part
130: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140: Refill container receiving part
210: cosmetics receiving portion 220: upper support portion
230: Refill container fixture
Claims (15)
상기 메인 용기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외형을 이루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배치되며 뚜껑과 결합되기 위한 뚜껑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뚜껑 체결부;
상기 뚜껑 체결부 상에 형성되되, 상기 뚜껑 체결부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유입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체결부; 및
상기 메인 용기의 개구 영역으로서, 상기 리필 용기가 수용되는 리필 용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는,
상기 리필 용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화장품 수용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상부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체결부에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필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 고정부는 상기 리필 용기의 상부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 배열된 제1 사선 영역, 제1 고정 영역, 탄성 영역, 제2 고정 영역 및 제1 돌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선 영역은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 및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 영역은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정면 상 반원 형상의 유입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돌출 영역은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리필 용기 체결부는 상기 뚜껑 체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순차 배열된 제2 사선 영역, 메인 영역 및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사선 영역은 상기 뚜껑 체결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및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사선 영역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돌출 영역은 상기 메인 영역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refill container and a main container accommodating the refill container,
The main container is,
A body portion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cosmetic container;
a lid fastening part disposed on the body and including a lid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with the lid;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lid fastening part and having a shape that flows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and
As an opening area of the main container, it includes a refill container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refill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 refill container is,
A cosmetics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refill container container;
An upper support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protruding in a lateral direction; and
It protrudes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upport part and includes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to be coupled to the at least on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diagonal area, a first fixing area, an elastic area, a second fixing area, and a first protruding area sequentially arrang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art of the refill container,
The first diagonal region extends from the upper support in a downward and diagonal direction, the elastic region extends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upport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on the front, and the first protruding region extends in a downward and diagon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pport. 2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area has a structure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The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 includes a second diagonal area, a main area, and a second protruding area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art,
The second diagonal area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lid fastening part in the lower and diagonal direction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diagonal area, the second protruding area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area,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area.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protruding area and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area toward the other side.
상기 메인 용기는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는 상기 뚜껑 체결부 상에서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parts,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units are cosmetic containe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interval on the lid fastening unit.
상기 리필 용기는 복수의 리필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필 용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use 2,
The refill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ixing units,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ixing part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first interval on the upper support part.
상기 뚜껑 결합 부재는 상기 뚜껑 체결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복수의 리필 용기 체결부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상기 뚜껑 체결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use 2,
The lid coupling member includes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ortion,
The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fastening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refill container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상기 리필 용기 고정부의 측면 폭의 크기는 상기 리필 용기 체결부의 유입 폭의 크기 이하인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use 4,
A cosmetic container wherein the size of the side width of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inflow width of the refill container fixing part.
상기 제1 고정 영역은 상기 제1 사선 영역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면 상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고정 영역은 상기 탄성 영역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면 상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area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agonal area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portion to have a rectangular shape in front,
The second fixing area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area,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part, and has a rectangular shape in front.
상기 메인 영역은 상기 제2 사선 영역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 체결부의 상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area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agonal area,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id fastening part to have a rectangular shape.
상기 제1 사선 영역 및 상기 제2 사선 영역은 각각 상기 하부 및 사선 방향으로 제1 연장각 및 제2 연장각을 가지되,
상기 제1 연장각 및 상기 제2 연장각은 동일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agonal area and the second diagonal area have a first extension angle and a second extension angle in the lower and diagonal directions, respectively,
The first extension angle and the second extension angle are cosmetic contain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ngle.
상기 제1 연장각 및 상기 제2 연장각은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use 8,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xtension angle and the second extension angle are 30 degrees to 60 degrees.
상기 제1 고정 영역과 상기 제1 사선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길이인 제2 길이는 상기 제1 고정 영역이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인 제1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 고정 영역과 상기 탄성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길이인 제3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use 6,
The second length, which is the connection length where the first fixing area and the first diagonal area are connected, is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which is the length where the first fixing area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length, which is the connection length where the first fixing area and the elastic area are connected, is smaller than the second length.
상기 제2 고정 영역과 상기 탄성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길이는 상기 제3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0,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length where the second fixing area and the elastic area are connected is the same as the third length.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가로 폭은 상기 제1 고정 영역의 가로 폭보다 작고, 상기 탄성 영역의 가로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use 6,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econd fixing area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fixing area and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lastic area.
상기 메인 영역의 가로 폭은 상기 제1 고정 영역의 가로 폭, 상기 탄성 영역의 가로 폭 및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가로 폭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use 7,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width of the main area is equal to the sum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fixing area,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lastic area,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econd fixing area.
상기 제2 고정 영역은 상기 상부 지지부로부터 제4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고,
제1 돌출 영역은 정면 상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4 길이의 1/2보다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 영역은, 상기 리필 용기가 상기 메인 용기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xing area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portion by a fourth length,
The first protruding area has a triangular shape on the front side and is formed below 1/2 of the fourth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fixing area,
The second protruding area is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area when the refill contain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상기 제2 고정 영역의 타측 변의 하부 영역은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이어지는 사선 형상을 가지며, 끝 부분은 둥근 모서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4,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area has a diagonal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ding area, and the end portion has a rounded corner.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6948A KR102578247B1 (en) | 2022-12-16 | 2022-12-16 | Cosmetic container |
KR1020230119921A KR20240094985A (en) | 2022-12-16 | 2023-09-08 | Cosmetic container |
PCT/KR2023/016697 WO2024128528A1 (en) | 2022-12-16 | 2023-10-26 | Cosmetic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6948A KR102578247B1 (en) | 2022-12-16 | 2022-12-16 | Cosmetic contain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9921A Division KR20240094985A (en) | 2022-12-16 | 2023-09-08 | Cosmetic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8247B1 true KR102578247B1 (en) | 2023-09-12 |
Family
ID=880196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6948A Active KR102578247B1 (en) | 2022-12-16 | 2022-12-16 | Cosmetic container |
KR1020230119921A Pending KR20240094985A (en) | 2022-12-16 | 2023-09-08 | Cosmetic contain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9921A Pending KR20240094985A (en) | 2022-12-16 | 2023-09-08 | Cosmetic contain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578247B1 (en) |
WO (1) | WO2024128528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28528A1 (en) * | 2022-12-16 | 2024-06-20 | 김동수 | Cosmetic container |
KR102718851B1 (en) * | 2024-02-23 | 2024-10-17 | 유브이엠텍(주) | cream refill contai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8828A (en) * | 1995-08-01 | 1997-04-15 | Shiseido Co Ltd | Cosmetic container |
KR20170130712A (en) * | 2016-05-19 | 2017-11-29 | 정규천 | Cosmetics rifill case |
KR102164827B1 (en) * | 2020-02-10 | 2020-10-13 | (주)아모레퍼시픽 | Refill container, container body and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
KR20210030051A (en) * | 2019-09-09 | 2021-03-17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6753780U (en) * | 2022-02-21 | 2022-06-17 | 宁波金雨科技实业有限公司 | Flip type replaceable cream bottle |
KR102578247B1 (en) * | 2022-12-16 | 2023-09-12 | 김동수 | Cosmetic container |
-
2022
- 2022-12-16 KR KR1020220176948A patent/KR102578247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9-08 KR KR1020230119921A patent/KR20240094985A/en active Pending
- 2023-10-26 WO PCT/KR2023/016697 patent/WO2024128528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8828A (en) * | 1995-08-01 | 1997-04-15 | Shiseido Co Ltd | Cosmetic container |
KR20170130712A (en) * | 2016-05-19 | 2017-11-29 | 정규천 | Cosmetics rifill case |
KR20210030051A (en) * | 2019-09-09 | 2021-03-17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 container |
KR102164827B1 (en) * | 2020-02-10 | 2020-10-13 | (주)아모레퍼시픽 | Refill container, container body and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28528A1 (en) * | 2022-12-16 | 2024-06-20 | 김동수 | Cosmetic container |
KR102718851B1 (en) * | 2024-02-23 | 2024-10-17 | 유브이엠텍(주) | cream refill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28528A1 (en) | 2024-06-20 |
KR20240094985A (en) | 2024-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8247B1 (en) | Cosmetic container | |
US9661954B2 (en) | Spill proof container | |
EP3445666B1 (en) | A display package having two modes | |
US10683130B2 (en) | Packing case | |
KR102153903B1 (en) | Cosmetic container | |
US20220111996A1 (en) | Double-handle box | |
KR101289408B1 (en) | Folding packaging box | |
US9981771B2 (en) | Integrated platform and folding carton tray | |
EP2394929A1 (en) | Artifical nail display package | |
JP2009298468A (en) | Case | |
US20170166365A1 (en) | Child Resistant Storage Container | |
KR20230007719A (en) | Detachable Variable type Support Tray with Inserting Slot of Blister Package | |
RU2537279C2 (en) | Module for coin or medal storage and inspection | |
KR200481849Y1 (en) | Goods Holder | |
JPS606267Y2 (en) | Outer frame of costume case | |
JPH0630098Y2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170097476A (en) | Packaging Containers Capable of Transformation into Picnic Table | |
US12330847B1 (en) | Storage container with storable lid | |
US2022032461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tainer assembly | |
JP6215166B2 (en) | Interdental brush case | |
JP3185873U (en) | Assembly partition, packaging material set and packaging container | |
JPH09142509A (en) | Lid and container with the lid | |
CN209403845U (en) | Lunch box cover structure and lunch box structure | |
KR200491011Y1 (en) | Cap for ice-cream container | |
CN204548861U (en) | Combined bott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