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7319B1 -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 Google Patents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319B1
KR102577319B1 KR1020190094779A KR20190094779A KR102577319B1 KR 102577319 B1 KR102577319 B1 KR 102577319B1 KR 1020190094779 A KR1020190094779 A KR 1020190094779A KR 20190094779 A KR20190094779 A KR 20190094779A KR 102577319 B1 KR102577319 B1 KR 10257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cover dust
dust laminate
polarizer
lamin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6700A (en
Inventor
이병선
윤정운
나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9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319B1/en
Publication of KR2021001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31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매우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매우 고온 조건)에서 구동되거나 유지되는 경우에도 소위 적화 현상이 유발되지 않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화상 생성 장치 등 내부 부품의 적화 등을 방지하는 한편,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고, 두 개의 독립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경우 각 화면의 휘도 비율이 적절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cover dust laminate that does not cause so-called oxidation phenomenon even when driven or maintained under very harsh conditions (e.g., ver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addition, the cover dust laminate is applied to the head-up display to prevent internal components such as the image generating device from burning, while realizing clear image quality, and when displaying two independent screens, the luminance ratio of each screen is appropriate. A head-up display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커버 더스트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same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본 출원은, 커버 더스트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cover dust laminate and a head-up display including the same.

헤드 업 디스플레이 (Head Up Display ; HUD)는 운전자 시야 전방에 차량 등의 주행 정보 등을 가상 이미지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A Head Up Display (HUD) is a device that visualizes driving information, such as vehicles, as a virtual image in front of the driver's field of view.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화상에 대응하는 광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 생성 장치(20), 외부광에 의한 내부 부품의 열화 등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 상기 화상 생성 장치(20)로부터의 상기 광 신호가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를 통과한 후 화상이 표시되는 윈드 쉴드(50)로 향하게 하는 광 제어 수단(반사체(40) 및/또는 빔 스플리터 등)을 포함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head-up display 10 includes an image generating device 20 that generate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and a cover dust laminat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internal components due to external light, etc. 100), light control means (reflector 40 and/ or beam splitter, etc.).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는 외부광에 의한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화상 생성 장치(20)의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는 반사형 편광자가 적용된 광학 적층체를 포함함으로서, 외부광이 다시 외부로 반사되어 운전자의 시야로 입사되어 선명한 화면을 인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ver dust laminate 100 has played a role in preventing deterioration of internal components, for example, the image generating device 20, due to external light. However, the conventional cover dust laminate 100 includes an optical laminate to which a reflective polarizer is applied, so external light is reflected back to the outside and enters the driver's field of view, causing problems such as not being able to perceive a clear screen. there was.

또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특히 차량에 적용되어 고온 환경 및/또는 여름,겨울의 온도 변화가 큰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내구성이 문제되어 왔다. In addition, head-up displays, especially when applied to vehicles, are often exposed to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and/or environments with large temperature changes in summer and winter, so the durability of the cover dust laminate has been a problem.

이에 따라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기존에 비해 훨씬 가혹한 조건, 예를 들어 매우 고온에서 유지 및/또는 구동되는 경우에도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노이즈 없이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maintain durability even when the head-up display is maintained and/or driven under much harsher conditions than existing ones, for example, at very high temperatures, while maintaining clear image quality without noise caused by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

본 출원은, 고온 내구성이 우수하고,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cover dust laminate that has excellent high-temperature durability and enables clear image quality, and a head-up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 및/또는 측정 압력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물성은,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상온 및/또는 상압에서 측정한 결과이다.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where measurement temperature and/or measurement pressure affect the results are the results of measurements at room temperature and/or pressure,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용어 상온은 가온되거나,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고,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약 23℃ 또는 약 25℃ 정도의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온도의 단위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이다.The term room temperature refers to a natural temperature that is not heated or reduced, for example, any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0°C to 30°C, about 23°C, or about 25°C.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he unit of temperature is °C unless otherwise specified.

용어 상압은 가압 또는 감압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압력이고, 통상 대기압 수준의 약 1기압 정도를 의미한다.The term normal pressure is the natural pressure that is not pressurized or decompressed, and usually means about 1 atmosphere of atmospheric pressure.

본 명세서에서 측정 습도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물성의 경우, 해당 물성은 상기 상온 및/또는 상압 상태에서 특별히 조절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습도에서 측정한 물성이다.In the case of a physical property in which the measured humidity affects the results in this specification, the physical property is a physical property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or normal pressure with natural humidity that is not specifically adjusted.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하부 방향은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보호 기판에서 흡수형 편광자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용어 상부 방향은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흡수형 편광자에서 보호 기판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lower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protective substrate of the cover dust laminate toward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and the term upper direction refers to the opposite direction and refers to the direction from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to the protection substrate.

본 출원은 흡수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에 대한 것이다. 용어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서 화상 생성 장치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경로상 및 상기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되는 광 신호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광의 적어도 일부가 화상 생성 장치로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된 광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도록 존재하는 광학 적층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용어 편광자는, 예를 들면,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소자 또는 필름 등을 지칭할 수 있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cover dust laminate including an absorptive polarizer. The term cover dust laminate is located on the path of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head-up display to the image generating device and on the path of the optical signal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rnal light is introduced into the image generating device. It refers to an optical laminate that exists to block and transmit the optical signal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Additionally,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polarizer may refer to, for example, an element or film that exhibits a polarization function.

본 출원에서 적용되는 편광자는 흡수형 편광자라면 그 구체적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흡수형 편광자는, 예를 들어, 흡수형 선형 편광자일 수 있다. 상기 용어 흡수형 선형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광으로부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형 편광은 투과시키고,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 예를 들면, 상기 투과된 선형 편광과 수직한 방향의 편광은 흡수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As long as the polarizer applied in this application is an absorption type polarizer, the specific type is not limited. In the above,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may be, for example, an absorption-type linear polarizer. The term absorptive linear polarizer transmits linearly polarized light vibrating in one direction from incident light vibrating in various directions, and absorbs light vibrating in the other direction, for example, polarized ligh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mitted linearly polarized light. It may refer to a device that has a function.

공지된 가장 일반적인 흡수형 선형 편광자는 소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 이하 PVA로 칭함) 편광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PVA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PVA 편광자로는, 예를 들면, 요오드나 이색성 색소와 같은 이방 흡수성 물질이 흡착 및 배향되어 있는 연신 PVA 필름이나, 소위 코팅형 PVA 편광자로서, PVA를 코팅 방식에 적용하여 얇게 형성한 편광자 등이 알려져 있는데, 본 출원에서는 위와 같은 종류의 편광자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The most common absorption type linear polarizer known is the so-called poly(vinylalcoh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VA) polarizer.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PVA refers to polyvinyl alcohol and/or its derivativ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PVA polarizers include, for example, stretched PVA films in which anisotropic absorbent substances such as iodine or dichroic dyes are adsorbed and oriented, or so-called coated PVA polarizers, which are formed thinly by applying PVA through a coating method. It is known that, in this application, all of the above types of polarizers can be applied.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적용된 편광자는, PVA 편광자이며, 이러한 편광자는 통상 PVA 원반 필름에 염색 및 연신 공정에 적용하여 제조한다. PVA 편광자의 상기 제조 공정에서는 필요한 경우에 팽윤, 가교, 세정 및/또는 보색 공정 등의 추가 공정이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PVA 편광자를 제조하는 과정은 공지이다.The polarizer applied in the examples of this application is a PVA polarizer, and this polarizer is usually manufactured by applying a dyeing and stretching process to a PVA raw film. In the abov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VA polarizer,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swelling, cross-linking, cleaning, and/or complementary color processes may be performed if necessary,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VA polarizer through these processes is known.

상기 흡수형 편광자의 두께는, 일 예시에서, 5μm 내지 50 μ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6 μm 이상, 7 μm 이상, 8 μm 이상, 9 μm 이상, 10 μm 이상, 11 μm 이상, 12 μm 이상, 13 μm 이상, 14 μm 이상, 15 μm 이상, 16 μm 이상, 17 μm 이상, 18 μm 이상, 19 μm 이상, 20 μm 이상, 21 μm 이상, 22 μm 이상, 23 μm 이상 또는 24 μm 이상이거나 45 μm 이하, 40 μm 이하, 35 μm 이하, 30 μm 이하, 29 μm 이하, 28 μm 이하, 27 μm 이하, 26 μm 이하, 25 μm 이하, 24 μm 이하, 23 μm 이하, 22 μm 이하, 21 μm 이하, 20 μm 이하, 19 μm 이하, 18 μm 이하, 17 μm 이하, 16 μm 이하, 15 μm 이하, 14 μm 이하, 13 μm 이하 또는 12 μ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may be in the range of 5 μm to 50 μm. In other examples, at least 6 μm, at least 7 μm, at least 8 μm, at least 9 μm, at least 10 μm, at least 11 μm, at least 12 μm, at least 13 μm, at least 14 μm, at least 15 μm, at least 16 μm, and at least 17 μm. or more, 18 μm or more, 19 μm or more, 20 μm or more, 21 μm or more, 22 μm or more, 23 μm or more, or 24 μm or more, or 45 μm or less, 40 μm or less, 35 μm or less, 30 μm or less, 29 μm or less, 28 μm or less, 27 μm or less, 26 μm or less, 25 μm or less, 24 μm or less, 23 μm or less, 22 μm or less, 21 μm or less, 20 μm or less, 19 μm or less, 18 μm or less, 17 μm or less, 16 μm Hereinafter, it may be 15 μm or less, 14 μm or less, 13 μm or less, or 12 μm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시에서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내구성, 특히 고온 신뢰성의 확보를 위해서 상기 편광자로는, 아연 성분을 포함하는 PVA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연 성분으로는 아연 및/또는 아연 이온 등이 예시된다. 상기 PVA 편광자는 또한 추가 성분으로서 칼륨 또는 칼륨 이온과 같은 칼륨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이 포함된 편광자를 사용하면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내구성이 유지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xample, in order to ensure durability of the cover dust laminate, especially high-temperature reliability, a PVA polarizer containing a zinc component may be used as the polarizer. In the above, examples of the zinc component include zinc and/or zinc ions. The PVA polarizer may also contain potassium components such as potassium or potassium ions as additional components. By using a polarizer containing these ingredi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ver dust laminate that maintains stable durability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상기 아연 성분의 함량은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PVA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Zn) 성분의 함량은, 일 예시에서 500mg/kg 내지 1000mg/kg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은 다른 예시에서 550 mg/kg 이상, 600 mg/kg 이상, 650 mg/kg 이상, 700 mg/kg 이상, 710 mg/kg 이상, 720 mg/kg 이상, 730 mg/kg 이상, 740 mg/kg 이상, 750 mg/kg 이상, 760 mg/kg 이상 , 770 mg/kg 이상 , 780 mg/kg 이상 , 790 mg/kg 이상 또는 800 mg/kg 이상이거나, 990 mg/kg 이하, 980 mg/kg 이하, 970 mg/kg 이하, 960 mg/kg 이하, 950 mg/kg 이하, 940 mg/kg 이하, 930 mg/kg 이하, 920 mg/kg 이하 또는 910 mg/k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연(Zn) 성분 함량은 PVA 편광자 중량 1kg를 기준으로 이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Zn) 성분의 중량(mg)을 측정한 것이다. The content of the zinc component can be further adjusted. In one example, the content of zinc (Zn) contained in the PVA polarizer may be in the range of 500 mg/kg to 1000 mg/kg. In other examples, the content is 550 mg/kg or more, 600 mg/kg or more, 650 mg/kg or more, 700 mg/kg or more, 710 mg/kg or more, 720 mg/kg or more, 730 mg/kg or more, and 740 mg. /kg or more, 750 mg/kg or more, 760 mg/kg or more, 770 mg/kg or more, 780 mg/kg or more, 790 mg/kg or more, or 800 mg/kg or more, or 990 mg/kg or less, 980 mg/ kg or less, 970 mg/kg or less, 960 mg/kg or less, 950 mg/kg or less, 940 mg/kg or less, 930 mg/kg or less, 920 mg/kg or less, or 910 mg/kg or less. The zinc (Zn) conten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weight (mg) of zinc (Zn) contained in the PVA polarizer based on 1 kg of weight.

PVA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 성분의 함량은 0.35중량% 내지 0.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칼륨(K) 성분의 함량은 다른 예시에서0.36 중량% 이상, 0.37 중량% 이상, 0.38 중량% 이상, 0.39 중량% 이상, 0.40 중량% 이상, 0.41 중량% 이상, 0.42 중량% 이상, 0.43 중량% 이상, 0.44 중량% 이상, 0.45 중량% 이상, 0.46 중량% 이상, 0.47 중량% 이상, 0.48 중량% 이상 또는 0.49 중량% 이상이거나, 0.69 중량% 이하, 0.68 중량% 이하, 0.67 중량% 이하, 0.66 중량% 이하, 0.65 중량% 이하, 0.64 중량% 이하, 0.63 중량% 이하, 0.62 중량% 이하, 0.61 중량% 이하, 0.60 중량% 이하, 0.59 중량% 이하, 0.58 중량% 이하, 0.57 중량% 이하, 0.56 중량% 이하, 0.55 중량% 이하, 0.54 중량% 이하, 0.53 중량% 이하, 0.52 중량% 이하, 0.5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또는 0.49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칼륨(K) 성분의 함량은 PVA 편광자 100 중량부 대비 이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K) 성분의 중량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The content of potassium component contained in the PVA polarizer may be 0.35% by weight to 0.7% by weight. In other examples, the content of the potassium (K) component is 0.36% by weight or more, 0.37% by weight or more, 0.38% by weight or more, 0.39% by weight or more, 0.40% by weight or more, 0.41% by weight or more, 0.42% by weight or more, 0.43% by weight. or more than 0.44% by weight, more than 0.45% by weight, more than 0.46% by weight, more than 0.47% by weight, more than 0.48% by weight or more than 0.49% by weight, or less than 0.69% by weight, less than 0.68% by weight, less than 0.67% by weight, 0.66% by weight. % or less, 0.65 weight% or less, 0.64 weight% or less, 0.63 weight% or less, 0.62 weight% or less, 0.61 weight% or less, 0.60 weight% or less, 0.59 weight% or less, 0.58 weight% or less, 0.57 weight% or less, 0.56 weight % or less, 0.55 weight% or less, 0.54 weight% or less, 0.53 weight% or less, 0.52 weight% or less, 0.51 weight% or less, 0.5 weight% or less, or 0.49 weight% or less. The content of the potassium (K) component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by weight of the potassium (K) component contained therein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VA polarizer.

이상 기술한 내용에서 아연 및/또는 칼륨 성분의 함량은 다음의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상온에서 약 65 중량 % 농도의 질산 수용액 2mL에 편광자 0.1g 정도를 녹인 후 물(Deionized water)로 40mL까지 희석한 후에 ICP-OES(Optima 5300)를 사용하여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Zn)과 칼륨(K)의 중량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ent of zinc and/or potassium components can b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issolve about 0.1 g of the polarizer in 2 mL of nitric acid aqueous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about 65% by weight at room temperature, then dilute it with water (Deionized water) to 40 mL, and then use ICP-OES (Optima 5300) to determine the zinc (Zn) contained in the polarizer. The weight of and potassium (K) can be measured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범위의 아연 및/또는 칼륨이 포함된 편광자를 포함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적화에 대한 내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투과율의 변화 역시 없거나 최소화된다. Since the cover dust laminate including the polarizer containing zinc and/or potassium in the above range has excellent resistance to redness, there is no or minimal change in transmittance.

예를 들면, 편광자 내에 상기와 같은 중량 범위의 아연(Zn) 및 칼륨(K)이 포함된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내열 테스트 후에 하기 수식1에 따른 단체 투과율(single transmittance)의 변화량(ΔTs)의 절대값이 1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체 투과율은 흡수축의 투과율 및 투과축의 투과율의 평균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단체 투과율은, JASCO V-7100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가시광 영역의 광, 예를 들면, 대략 380nm 내지 780nm의 범위 내의 광에 대해서 측정한 결과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ver dust laminate containing zinc (Zn) and potassium (K) in the above weight range in the polarizer has a change in single transmittance (ΔT s )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after a heat resistance test. The absolute value of may be 10% or less.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single transmittance refers to the average of the transmittance of the absorption axis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mission axis. In the above, the single transmittance may be the result of measuring light in the visible light range, for example, light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380 nm to 780 nm using a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수식 1][Formula 1]

△Ts = Ta - Ti △T s = T a - T i

수식 1에서 △Ts는 단체 투과율의 변화량이고, Ta는 내열 테스트 후의 단체 투과율이며, Ti는 내열 테스트 전의 초기 단체 투과율일 수 있다.In Equation 1, △T s is the change in single transmittance, T a is the single transmittance after the heat resistance test, and T i may be the initial single transmittance before the heat resistance test.

상기에서 내열 테스트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약 110°C에서 약 1000 시간 정도 유지하는 테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heat resistance test may mean a test in which the cover dust laminate is maintained at about 110°C for about 1000 hours.

상기 단체 투과율 변화량(△Ts)의 절대값은 다른 예시에서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9% 이하, 4.8% 이하, 4.7% 이하, 4.6% 이하, 4.5% 이하, 4.4% 이하, 4.3% 이하, 4.2% 이하, 4.1% 이하, 4% 이하, 3.9% 이하, 3.8% 이하, 3.7% 이하, 3.6% 이하, 3.5% 이하,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3% 이하, 2.9% 이하, 2.8% 이하, 2.7% 이하, 2.6%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0.5% 이하, 0.4% 이하, 0.3% 이하, 0.2% 이하, 0.1% 이하 또는 0% 이거나, 1%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또는 3.0% 이상일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투과율의 변화가 없을수록 적화가 없다는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화량(△Ts)의 절대값은 0%일 수 있고, 다른 예시에서 대략 0% 초과일 수도 있다.In other examples,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 in single transmittance (△T s ) is 9% or less, 8% or less, 7% or less, 6% or less, 5% or less, 4.9% or less, 4.8% or less, 4.7% or less, 4.6% or less. or less, 4.5% or less, 4.4% or less, 4.3% or less, 4.2% or less, 4.1% or less, 4% or less, 3.9% or less, 3.8% or less, 3.7% or less, 3.6% or less, 3.5% or less, 3.4% or less, 3.3% or less, 3.2% or less, 3.1% or less, 3% or less, 2.9% or less, 2.8% or less, 2.7% or less, 2.6% or less, 2.5% or less, 2.4% or less, 2.3% or less, 2.2% or less, 2.1% or less, 1.9% or less, 1.8% or less, 1.7% or less, 1.6% or less, 1.5% or less, 1.4%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1.1% or less, 1.0% or less, 0.9% or less, 0.8% or less, 0.7% or less, 0.6% or less, 0.5% or less, 0.4% or less, 0.3% or less, 0.2% or less, 0.1% or less or 0%, or 1% or more, 1.5% or more, 2.0% or more, 2.5% or more, or 3.0% It could be more than that. Ideally, as there is no change in the transmittance, there is no redundancy. Therefore, the absolute value of the amount of change (ΔT s ) may preferably be 0%, and in other examples, may be approximately 0% or more.

또한, 상기와 같은 범위의 아연 및/또는 칼륨이 포함된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조절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하기 수식 2 및/또는 3을 만족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cover dust laminate containing zinc and/or potassium in the above range may have optically controlled properties. For example, the cover dust laminate may satisfy Equations 2 and/or 3 below.

[수식 2] [Formula 2]

-b/a = 2.3 내지 3.5:-b/a = 2.3 to 3.5:

[수식 3][Formula 3]

0 < 1000 × (y - x) ≤ 30 < 1000 × (y - x) ≤ 3

수식 2 및/또는 3에서 b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b값이고, a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a값이며, x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X값이고, y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Y값일 수 있다.In Equation 2 and/or 3, b is the b value of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a is the a value of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and x is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is the X value, and y may be the Y value of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색좌표 a, b는 CIE(INTERNATIONAL COMMISSION OF ILLUMINATION) Lab 색공간에서의 a,b 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색이 초록에 치우칠수록 a값이 음수를 나타내고, 빨강 또는 보라에 치우칠수록 a값이 양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파랑에 치우칠수록 b값이 음수, 노랑에 치우칠수록 b값이 양수를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lor coordinates a and b may refer to a and b coordinates in the CIE (INTERNATIONAL COMMISSION OF ILLUMINATION) Lab color space. The more the color leans towards green, the more negative the a value becomes, and the more the color leans towards red or purple, the more positive the a value becomes. Additionally, the more biased toward blue, the more negative the b value can be, and the more biased toward yellow, the more positive the b value can be.

본 명세서에서 용어 X, Y, Z는 삼색 자극값(Tristimulus Value)으로, 각각 빨강, 초록, 파랑과 비슷한 색깔일 수 있다. 상기 x 및 y의 값은 X,Y,Z로부터 계산된 값으로 하기 수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색도를 표현하는 지표일 수 있다. 하기 수식 4 에 의해 도출된 x 및 y의 차이가 작을수록 뉴트럴 화이트에 가까운 색도임을 나타내며, x 및 y의 차이가 클수록 특정 색상으로 치우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The values of x and y are values calculated from A smaller difference between x and y derived by Equation 4 below indicates a chromaticity closer to neutral white, and a larger difference between x and y indicates that the color may be biased toward a specific color.

[수식 4][Formula 4]

x = X/(X+Y+Z)x = X/(X+Y+Z)

y = Y/(X+Y+Z)y = Y/(X+Y+Z)

본 출원에서 상기 편광자는 상기 수식 2의 -a값과 상기 b값의 비율(-b/a)이 약 2.3 이상 3.5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81 이상, 2.82 이상, 2.83 이상, 2.84 이상, 2.85 이상, 2.86 이상, 2.87 이상, 2.88 이상, 2.89 이상, 2.90 이상, 2.91 이상 또는 2.92 이상이거나, 3.49 이하, 3.48 이하, 3.47 이하, 3.46 이하, 3.45 이하, 3.44 이하, 3.43 이하, 3.42 이하, 3.41 이하, 3.40 이하, 3.39 이하, 3.38 이하, 3.37 이하, 3.36 이하, 3.35 이하, 3.34 이하, 3.33 이하, 3.32 이하, 3.31 이하, 3.30 이하, 3.29 이하, 3.28 이하, 3.27 이하, 3.26 이하, 3.25 이하, 3.24 이하, 3.23 이하, 3.22 이하, 3.21 이하, 3.20 이하, 3.19 이하, 3.18 이하, 3.17 이하, 3.16 이하, 3.15 이하, 3.14 이하, 3.13 이하, 3.12 이하, 3.11 이하, 3.10 이하, 3.09 이하, 3.08 이하, 3.07 이하, 3.06 이하, 3.05 이하, 3.04 이하, 3.03 이하, 3.02 이하, 3.01 이하, 3.00 이하, 2.99 이하, 2.98 이하, 2.97 이하, 2.96 이하, 2.95 이하, 2.94 이하, 2.93 이하, 2.92 이하, 2.91 이하 또는 2.9 이하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arizer may have a ratio (-b/a) of the -a value and the b value in Equation 2 of about 2.3 or more and 3.5 or less. Other examples include 2.4 or greater, 2.5 or greater, 2.6 or greater, 2.7 or greater, 2.8 or greater, 2.81 or greater, 2.82 or greater, 2.83 or greater, 2.84 or greater, 2.85 or greater, 2.86 or greater, 2.87 or greater, 2.88 or greater, 2.89 or greater, 2.90 or greater, or 2.91 or greater. or 2.92 or less, 3.49 or less, 3.48 or less, 3.47 or less, 3.46 or less, 3.45 or less, 3.44 or less, 3.43 or less, 3.42 or less, 3.41 or less, 3.40 or less, 3.39 or less, 3.38 or less, 3.37 or less, 3.36 or less, 3.35 or less, 3.34 or less, 3.33 or less, 3.32 or less, 3.31 or less, 3.30 or less, 3.29 or less, 3.28 or less, 3.27 or less, 3.26 or less, 3.25 or less, 3.24 or less, 3.23 or less, 3.22 or less, 3.21 or less, 3.20 or less, 3.19 or less, 3.18 or less , 3.17 or less, 3.16 or less, 3.15 or less, 3.14 or less, 3.13 or less, 3.12 or less, 3.11 or less, 3.10 or less, 3.09 or less, 3.08 or less, 3.07 or less, 3.06 or less, 3.05 or less, 3.04 or less, 3.03 or less, 3.02 or less, 3.01 or less. It may be 3.00 or less, 2.99 or less, 2.98 or less, 2.97 or less, 2.96 or less, 2.95 or less, 2.94 or less, 2.93 or less, 2.92 or less, 2.91 or less, or 2.9 or less.

수식 2의 -b/a값의 범위를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서 황색(yellowish)을 띄거나, 블루시(bluish)하지 않으면서 매우 가혹한 조건에서 구동 및/또는 유지되는 경우에도 소위 적화 현상이 유발되지 않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선명한 화질 구현 등을 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By controlling the range of -b/a values in Equation 2 as above, the so-called redness phenomenon is not caused even when driven and/or maintained in very harsh conditions without appearing yellowish or blueis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ver dust laminate that does not emit light, and the cover dust laminate can be applied to a head-up display to provide a head-up display capable of realizing clear image quality.

본 출원에서 상기 편광자는 상기 수식 3의 1000 × (y - x)의 값이 약 0 초과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값은 다른 예시에서 0.1 초과, 0.2 초과, 0.3 초과, 0.4 초과, 0.5 초과, 0.6 초과, 0.7 초과, 0.8 초과 또는 0.9 초과이거나 2.9 이하, 2.8이하, 2.7 이하, 2.6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식 3의 1000 × (y - x)의 값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서 특정 색상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선명한 화질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arizer may have a value of 1000 × (y - x) in Equation 3 that exceeds about 0 and is 3 or less. In other examples, the value is greater than 0.1, greater than 0.2, greater than 0.3, greater than 0.4, greater than 0.5, greater than 0.6, greater than 0.7, greater than 0.8 or greater than 0.9, or less than or equal to 2.9, less than or equal to 2.8, less than or equal to 2.7, less than or equal to 2.6, less than or equal to 2.5, or less than or equal to 2.4. , 2.3 or less, 2.2 or less, 2.1 or less, 2 or less, 1.9 or less, 1.8 or less, 1.7 or less, 1.6 or less, 1.5 or less, 1.4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1.1 or less, or 1.0 or less. By controlling the value of 1000

화상 생성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수식 2 및/또는 3을 만족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통과하여 화면을 구성할 경우, 뉴트럴 화이트 혹은 블랙한 시감의 구현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더욱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목적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passes through the cover dust laminate that satisfies Equation 2 and/or 3 above to form a screen, a neutral white or black visual sensation can be achieved, thereby providing clearer image quality. It can provide the desired effect, such as being able to do it.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위와 같은 특성을 가질 경우, 적화의 방지, 경감, 완화, 억제 및/또는 지연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매우 고온 조건)에서 구동되거나 유지되는 경우에도 소위 적화 현상이 유발되지 않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화상 생성 장치 등 내부 부품의 적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abov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prevent, alleviate, alleviate, suppress and/or delay oxidation even when driven or maintained under very harsh conditions (e.g., ver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ver dust laminate that does not cause the so-called redness phenomenon, and when the cover dust laminate is applied to a head-up display, it is possible to prevent redness of internal components such as an image generating device.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반사형 편광자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용어 반사형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광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편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편광은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유방성 액정층(LLC층:Lyotropic Liquid Crystal) 또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wire grid polarizer)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not include a reflective polarizer. The term reflective polarizer may refer to an element that ha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one polarization and reflecting the other polarization from incident light that vibrates in various directions. The reflective polarizer may include, for example, a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a Lyotropic Liquid Crystal (LLC) layer, or a wire grid polarizer.

상기 반사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외부로 반사시키기 때문에, 외부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특히 후술할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경우, 반사된 광이 운전자의 시야로 입사되어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Since the cover dust laminate including the reflective polarizer reflects light vibrating in a specific direction to the outside, it can play a role in blocking external light, but especially when applied to a vehicle head-up displa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flec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clear image quality because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driver's field of view.

따라서,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흡수형 편광자는 포함하되 반사형 편광자는 포함하지 않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cover dust laminate that includes an absorptive polarizer but does not include a reflective polarizer, through which clear image quality can be realized.

하지만, 흡수형 편광자는 특히 고온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므로,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와 같이 반사형 편광자가 아닌 흡수형 편광자를 적용하는 경우 고온 내구성이 문제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s, high-temperature durability may be a problem when an absorption-type polarizer rather than a reflection-type polarizer is applied, such as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따라서,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상기와 같이 아연 및/또는 칼륨을 일정 범위 내로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흡수형 편광자를 포함함으로써 고온 내구성이 우수한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상부 보호층 및/또는 보호 기판과 하부 보호층 간의 투습도를 비대칭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면서도 고온 내구성이 더욱 우수한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cover dust laminate with excellent high temperature durability by including a polyvinyl alcohol absorption type polarizer containing zinc and/or potassium within a certain rang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by asymmetrically designing the moisture permeability between the upper protective layer and/or the protective substrate and the lower protective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ver dust laminate with superior high-temperature durability while realizing clear image quality.

본 출원은 상기 흡수형 편광자의 상부 방향에 보호 기판이 부착되어 있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보호 기판은 표면 연필 경도가 0.5H 이상인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연필 경도는 일반적인 연필 경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약 25℃의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500 g의 하중 및 45도의 각도로 연필심을 보호 기판 표면에 긋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보호 기판 표면에서 압흔, 긁힘 또는 파열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이 확인될 때까지 연필심의 경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연필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호 기판의 연필 경도는 다른 예시에서 약 0.6H 이상, 0.7H 이상, 0.8H 이상, 0.9H 이상, 1H 이상, 2H 이상, 3H 이상 또는 4H 이상이거나 10H 이하, 9H 이하, 8H 이하, 7H 이하, 6H 이하, 5H 이하, 4H 이하, 3H 이하 또는 2H 이하일 수 있다.This application may be a cover dust laminate in which a protective substrate is attached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As used herein, the term protective substrate may refer to a layer having a surface pencil hardness of 0.5H or more. The pencil hardness can be measured by drawing a pencil lea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substrate at an angle of 45 degrees and a load of 500 g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using a general pencil hardness measuring equipment. Pencil hardness can be measur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hardness of the pencil lead until defects such as indentations, scratches, or ruptures are identifi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substrate. In other examples, the pencil hardness of the protective substrate is about 0.6H or higher, 0.7H or higher, 0.8H or higher, 0.9H or higher, 1H or higher, 2H or higher, 3H or higher, or 4H or higher, or 10H or lower, 9H or lower, 8H or lower, 7H or lower, It may be 6H or less, 5H or less, 4H or less, 3H or less, or 2H or less.

상기 보호 기판은 상기와 같은 범위의 표면 연필 경도를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상부 방향에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고분자 필름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하드 코팅층은 공지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substrat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urface pencil hardness in the above range. For example, it may be a glass substrate, a polymer film with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a known material. there is.

상기 고분자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필름, 폴리술폰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메트)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스티렌 수지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 등일 수 있다. The polymer film is, for example, a polyolefin resin film such as a polycarbonate resin film, a cyclic polyolefin resin film having a cyclo or norbornene structure, a cellulose resin film such as triacetylcellulo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etc. It may be a polyester resin film, polyethersulfone resin film, polysulfone resin film, polyamide resin film, polyimide resin film, (meth)acrylic resin film, polystyrene resin film, or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상기 보호 기판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μm 내지 1200μ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100 μm 이상, 150 μm 이상, 200 μm 이상, 250 μm 이상, 300 μm 이상, 350 μm 이상, 400 μm 이상, 450 μm 이상, 500 μm 이상, 550 μm 이상, 600 μm 이상, 650 μm 이상, 700 μm 이상, 750 μm 이상, 800 μm 이상, 850 μm 이상, 900 μm 이상 또는 950 μm 이상이거나 1150 μm 이하, 1100 μm 이하, 1050 μm 이하, 1000 μm 이하, 950 μm 이하, 900 μm 이하, 850 μm 이하, 800 μm 이하, 750 μm 이하, 700 μm 이하, 650 μm 이하, 600 μm 이하, 550 μm 이하, 500 μm 이하,450 μm 이하, 400 μm 이하, 350 μm 이하, 300 μm 이하, 250 μm 이하, 200 μm 이하, 150 μm 이하 또는 100 μ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substrate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0 μm to 1200 μm. In other examples, at least 100 μm, at least 150 μm, at least 200 μm, at least 250 μm, at least 300 μm, at least 350 μm, at least 400 μm, at least 450 μm, at least 500 μm, at least 550 μm, at least 600 μm, at least 650 μm or more than 700 μm, more than 750 μm, more than 800 μm, more than 850 μm, more than 900 μm, or more than 950 μm, or less than or equal to 1150 μm, less than or equal to 1100 μm, less than or equal to 1050 μm, less than or equal to 1000 μm, less than or equal to 950 μm, or less than or equal to 900 μm, 850 μm or less, 800 μm or less, 750 μm or less, 700 μm or less, 650 μm or less, 600 μm or less, 550 μm or less, 500 μm or less, 450 μm or less, 400 μm or less, 350 μm or less, 300 μm or less, 250 μm Hereinafter, it may be 200 μm or less, 150 μm or less, or 100 μm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편광자의 상부 방향에 상기와 같은 보호 기판을 부착함으로서,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By attaching the above protective substrate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polarizer, the cover dust laminate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예를 들면, 상기 편광자의 하부 방향에 보호층(이하, 하부 보호층이라 칭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층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및 열 안정성 등이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protective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protective layer)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polarizer. A film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may be used as the lower protective layer.

이러한 필름의 예로는,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필름, 폴리술폰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메트)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스티렌 수지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such films include polyolefin resin films such as cyclic polyolefin resins having a cyclo or norbornene structure, cellulose resin films such as triacetylcellulose, polyester resin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ether resin films. Examples include sulfone resin films, polysulfone resin films, polycarbonate resin films, polyamide resin films, polyimide resin films, (meth)acrylic resin films, polystyrene resin films, an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s.

상기 하부 보호층의 두께는, 일 예시에서, 10 μm 내지 90 μ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15 μm 이상, 20 μm 이상, 25 μm 이상, 30 μm 이상, 35 μm 이상, 40 μm 이상, 45 μm 이상, 50 μm 이상, 55 μm 이상 또는 60 μm 이상이거나 80 μm 이하, 75 μm 이하, 70 μm 이하, 65 μm 이하, 60 μm 이하 또는 55 μ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lower protective layer may range from 10 μm to 90 μm. In other examples, it is at least 15 μm, at least 20 μm, at least 25 μm, at least 30 μm, at least 35 μm, at least 40 μm, at least 45 μm, at least 50 μm, at least 55 μm, or at least 60 μm, or at least 80 μm, at least 75 μm. Hereinafter, it may be 70 μm or less, 65 μm or less, 60 μm or less, or 55 μm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하부 보호층의 투습도가 낮을 경우, 편광자 내의 수분이 외부로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편광자가 적화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하부 보호층은 높은 투습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f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lower protective layer is low, the moisture in the polarizer cannot be proper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ch may cause the polarizer to become saturated. Therefore, the lower protective layer constituting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high moisture permeability. It may be desirable to have .

본 출원에서 상기 하부 보호층의 투습도는 일 예시에서, 1g/(100in2×day) 이상일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투습도는, 규정된 온도 및 습도 하에서 1일(24시간) 동안 면적이 100in2인 상기 보호층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무게를 의미할 수 있으며, 투습도 시험기(Labthink社,W3/0120)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보호층의 투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lower protective layer may be 1 g/(100 in 2 × day) or more in one example. In the above, the term moisture permeability may mean the weight of water vapor passing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with an area of 100 in 2 for 1 day (24 hours) under specified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can be measured using a moisture permeability tester (Labthink, W3/0120).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otective layer can be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later.

상기 하부 보호층의 투습도가 1g/(100in2×day) 미만인 경우, 편광자 내의 수분이 외부로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편광자가 적화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하부 보호층은 투습도가 1g/(100in2×day)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f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lower protective layer is less than 1g/(100in 2 It may be desirable for the lower protective layer to have a moisture permeability of 1 g/(100 in 2 × day) or mor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VA 편광자는 통상적으로 친수성(Hydrophilic) 이 강하여 보호 기판 및/또는 보호층을 적층하는 공정 등에서 수분이 완전히 제어되기가 매우 힘들다. 한편, PVA 편광자는 예를 들어, 고온/고습한 환경에서 수분에 의해 PVA 편광자 내에 함유된 KI5가 I2와 KI3로 분해되거나 및/또는 KI3가 I2와 I로 분해되는 등의 반응이 일어남으로서 편광이 깨지고 적화가 유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VA polarizer is generally highly hydrophilic, so it is very difficult to completely control moisture during the process of laminating the protective substrate and/or protective layer. On the other hand, the PVA polarizer undergoes a reaction such that KI 5 contained in the PVA polarizer is decomposed into I 2 and KI 3 and/or KI 3 is decomposed into I 2 and I by moisture in a high temperature/high humidity environment, for example. As this occurs, polarization may be broken and reddening may occur.

따라서, 상기 예시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투습도를 가지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 (메트)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등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Therefore, among the above examples, cellulose resin films such as triacetylcellulose film, polycarbonate resin films, (meth)acrylic resin films, polyester resin films, etc., which have relatively high moisture permeability, may be more preferable.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PVA 편광자의 하부 방향에 1g/(100in2×day) 이상인 하부 보호층을 적용함으로서 고온 하에서 PVA 편광자 내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적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pplies a lower protective layer of 1g/(100in 2 can be prevented.

상기 하부 보호층의 투습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외부로부터 편광자 내부로 수분이 들어올 가능성을 고려할 때 일 예시에서, 100g/(100in2×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upper limit of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lower protect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moisture entering the polarizer from the outside, in one example, it may be preferable to be 100 g/(100 in 2 × day) or less.

상기 하부 보호층의 투습도는 다른 예시에서, 2 g/(100in2×day) 이상, 3 g/(100in2×day) 이상, 4 g/(100in2×day) 이상, 5 g/(100in2×day) 이상, 5.1 g/(100in2×day) 이상, 5.2 g/(100in2×day) 이상, 5.3 g/(100in2×day) 이상, 5.4 g/(100in2×day) 이상, 5.5 g/(100in2×day) 이상, 5.6 g/(100in2×day) 이상, 5.7 g/(100in2×day) 이상, 5.8 g/(100in2×day) 이상, 5.9 g/(100in2×day) 이상 또는 6.0 g/(100in2×day) 이상이거나 90 g/(100in2×day) 이하, 80 g/(100in2×day) 이하, 70 g/(100in2×day) 이하, 60 g/(100in2×day) 이하, 50 g/(100in2×day) 이하, 40 g/(100in2×day) 이하, 30 g/(100in2×day) 이하, 20 g/(100in2×day) 이하, 10 g/(100in2×day) 이하, 9.0 g/(100in2×day) 이하 또는 8.0 g/(100in2×day) 이하일 수 있다. In other examples,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lower protective layer is 2 g/(100in 2 ×day) or more, 3 g/(100in 2 ×day) or more, 4 g/(100in 2 ×day) or more, 5 g/(100in 2 ×day) or more, 5.1 g/(100in 2 ×day) or more, 5.2 g/(100in 2 ×day) or more, 5.3 g/(100in 2 ×day) or more, 5.4 g/(100in 2 ×day) or more, 5.5 g/(100in 2 ×day) or more, 5.6 g/(100in 2 ×day) or more, 5.7 g/(100in 2 ×day) or more, 5.8 g/(100in 2 ×day) or more, 5.9 g/(100in 2 × day ) or more than 6.0 g/(100in 2 /(100in 2 ×day) or less, 50 g/(100in 2 ×day) or less, 40 g/(100in 2 ×day) or less, 30 g/(100in 2 ×day) or less, 20 g/(100in 2 ×day) or less ) or less, 10 g/(100in 2 ×day) or less, 9.0 g/(100in 2 ×day) or less, or 8.0 g/(100in 2 ×day) or less.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상기와 같이 투습도가 높은 하부 보호층을 적용함으로써,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었을 때 고온에서 유지 및/또는 구동되는 경우에도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고온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excellent high-temperature durability, such as being able to provide clear image quality even when maintained and/or driven at high temperatures when applied to a head-up display by applying a lower protective layer with high moisture permeability as described above. You can have

본 출원은 다른 예시에서, 도 3과 같이 상기 보호 기판(130) 및 흡수형 편광자(110)의 사이에 상부 보호층(121)을 추가로 포함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층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및 열 안정성 등이 우수한 수지 필름 또는 액정층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cover dust laminate 100 that additionally includes an upper protective layer 121 between the protective substrate 130 and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110, as shown in FIG. 3 . As the upper protective layer, a resin film or a liquid crystal layer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may be used.

상기 필름의 예로는,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필름, 폴리술폰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메트)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스티렌 수지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bove films include polyolefin resin films such as cyclic polyolefin resins having a cyclo or norbornene structure, cellulose resin films such as triacetylcellulose, polyester resin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ether resin films. Examples include sulfone resin films, polysulfone resin films, polycarbonate resin films, polyamide resin films, polyimide resin films, (meth)acrylic resin films, polystyrene resin films, an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s.

상기 상부 보호층의 두께는 일 예시에서, 10 μm 내지 90 μ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15 μm 이상, 20 μm 이상, 25 μm 이상, 30 μm 이상, 35 μm 이상, 40 μm 이상, 45 μm 이상, 50 μm 이상, 55 μm 이상 또는 60 μm 이상이거나 80 μm 이하, 75 μm 이하, 70 μm 이하, 65 μm 이하, 60 μm 이하 또는 55 μ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upper protective layer may range from 10 μm to 90 μm. In other examples, it is at least 15 μm, at least 20 μm, at least 25 μm, at least 30 μm, at least 35 μm, at least 40 μm, at least 45 μm, at least 50 μm, at least 55 μm, or at least 60 μm, or at least 80 μm, at least 75 μm. Hereinafter, it may be 70 μm or less, 65 μm or less, 60 μm or less, or 55 μm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의 상기 상부 보호층은 일 예시에서,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위상차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층은 광학 이방성 층으로서, 복굴절을 제어하여 입사 편광을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 또는 1/2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n배 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1/4배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1/2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1/2배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upper protective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retardation layer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phase contrast layer is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and may refer to an element capable of converting incident polarization by controlling birefringence. The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1/4 wavelength phas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or 1/2 wavelength phas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In this specification, the n-wavelength phase retardation characteristic may mean a characteristic that can retard the phase of incident light by n times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within at least some wavelength range. Therefore, the 1/4 wavelength phase retardation characteristic may mean a characteristic that can retard the phase of incident light by 1/4 times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within at least some wavelength range, and the 1/2 wavelength phase retardation The characteristic may refer to a characteristic that can retard the phase of incident light by 1/2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within at least some wavelength range.

상기 위상차층으로서의 상부 보호층으로는 고분자층 또는 액정층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층으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적절한 조건에서 연신 또는 수축 처리하여 복굴절성을 부여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액정 분자를 배향 및 중합시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분자는 중합성 액정 분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성 액정 분자는, 액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위, 예를 들면 메조겐(mesogen) 골격 등을 포함하고, 중합성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액정 분자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액정 분자가 중합되어 액정 필름 내에서 액정 고분자의 주쇄 또는 측쇄와 같은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A polymer layer or a liquid crystal layer may be applied as the upper protective layer as the retardation layer. Examples of the polymer layer include, for example, cyclic polyolefin resins having the above-described cyclo or norbornene structures, cellulose resins such as triacetylcellulos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ether sulfone. A film that imparts birefringence by stretching or shrinking resin, polysulfone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amide resin, polyimide resin, polyolefin resin, (meth)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or polyvinyl alcohol resin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can be used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include a film in which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aligned and polymerize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may b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molecules. As used herei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molecule may refer to a molecule that includes a portion capable of exhibiting liquid crystallinity, for example, a mesogen skeleton, and one or mor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In addition, including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a polymerized form may mean that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polymerized to form a skeleton such as the main chain or side chain of the liquid crystal polymer within the liquid crystal film.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내 위상차(Rin)는 하기 수식 5로 계산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in-plane phase difference (R in )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5 below.

[수식 5][Formula 5]

Rin= d × (nx-ny)R in = d × (n x -n y )

상기 수식 5에서 Rin은 면내 위상차이고, d는 상기 상부 보호층의 두께이며, nx 및 ny는 각각 x축 및 y축 방향의 굴절률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 x축 및 y축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x축은 상부 보호층의 면내 지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y축은 상부 보호층의 면내 진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x축과 y축은 면내에서 서로 직교를 이룰 수 있다. In Equation 5, R in is the in-plane retardation, d is the thickness of the upper protective layer, and n x and n y are the refractive indices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respectively.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x-axis and y-axis refer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plane slow axis of the upper protective layer, and the y-axis refers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plane fast axis of the upper protective lay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 the x-axis and y-axis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plane.

본 출원에서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상기 상부 보호층의 면내 위상차(Rin)는 예를 들면, 100nm이상 400nm이하일 수 있고, 다른 예시에서 110nm이상, 120nm 이상, 130nm이상, 140nm 이상, 150nm 이상, 160nm 이상, 170nm 이상, 180nm 이상, 190nm 이상, 200nm 이상, 210nm 이상, 220nm 이상, 230nm 이상, 240nm 이상, 250nm 이상, 260nm 이상, 270nm 이상, 280nm 이상, 290nm 이상, 300nm 이상, 310nm 이상, 320nm 이상, 330nm 이상, 340nm 이상, 350nm 이상, 360nm 이상, 370nm 이상, 380nm 이상 또는 390nm 이상이거나 390nm 이하, 380nm 이하, 370nm 이하, 360nm 이하, 350nm 이하, 340nm 이하, 330nm 이하, 320nm 이하, 310nm 이하, 300nm 이하, 290nm 이하, 280nm 이하, 270nm 이하, 260nm 이하, 250nm 이하, 240nm 이하, 230nm 이하, 220nm 이하, 210nm 이하, 200nm 이하, 190nm 이하, 180nm 이하, 170nm 이하, 160nm 이하, 150nm 이하, 140nm 이하, 130nm 이하, 120nm 이하, 110nm 이하, 100nm 이하, 90nm 이하, 80nm 이하, 70nm 이하, 60nm 이하, 50nm 이하, 40nm 이하, 30nm 이하, 20nm 이하, 10nm 이하 또는 0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plane retardation (R in ) of the upper protective layer for light of 550 nm wavelength may be, for example, 100 nm or more and 400 nm or less, and in other examples, 110 nm or more, 120 nm or more, 130 nm or more, 140 nm or more, 150 nm or more, Above 160nm, above 170nm, above 180nm, above 190nm, above 200nm, above 210nm, above 220nm, above 230nm, above 240nm, above 250nm, above 260nm, above 270nm, above 280nm, above 290nm, above 300nm, above 310nm, above 320nm , 330nm or more, 340nm or more, 350nm or more, 360nm or more, 370nm or more, 380nm or more or 390nm or less, or 390nm or less, 380nm or less, 370nm or less, 360nm or less, 350nm or less, 340nm or less, 330nm or less, 320nm or less, 310nm or less, 300nm Below, 290nm or below, below 280nm, below 270nm, below 260nm, below 250nm, below 240nm, below 230nm, below 220nm, below 210nm, below 200nm, below 190nm, below 180nm, below 170nm, below 160nm, below 150nm, below 140nm, It may be 130 nm or less, 120 nm or less, 110 nm or less, 100 nm or less, 90 nm or less, 80 nm or less, 70 nm or less, 60 nm or less, 50 nm or less, 40 nm or less, 30 nm or less, 20 nm or less, 10 nm or less, or 0 nm or less.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상기 흡수형 편광자의 하부 방향의 최외층에 점착제층, 접착제층 및/또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not include an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and/or a release film in the outermost layer toward the bottom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종래에도 흡수형 편광자의 일면에 투습도가 낮은 층을 배치하고, 다른 면에는 투습도가 높은 층을 배치한 편광판은 존재하였다. 하지만, 투습도가 높은 층을 배치한 면의 최외층에 점착제층, 접착제층 및/또는 이형 필름 등이 존재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국적으로는 예를 들어, 편광판이 화상 생성 장치 등의 다른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편광자의 양면을 통한 수분의 유출입을 막는 폐쇄적인 구조였다.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layer with low moisture permeability is disposed on one side of an absorption-type polarizer and a layer with high moisture permeability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However,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and/or a release film exist on the outermost layer of the surface on which the high moisture permeability layer is disposed, ultimately,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other members such as an image generating device. It was a closed structure that was attached to prevent the inflow and outflow of moisture through both sides of the polarizer.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편광판과는 달리, 흡수형 편광자의 하부 방향에 투습도가 높은, 예를 들어, 투습도 1g/(100in2×day) 이상인 하부 보호층을 배치하면서도, 흡수형 편광자의 하부 방향의 최외층에 점착제층, 접착제층 및/또는 이형 필름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흡수형 편광자의 하부 방향에는 투습도가 1g/(100in2×day) 미만인 층을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s described above, disposes a lower protective layer with a high moisture permeability, for example, a moisture permeability of 1 g/(100 in 2 × day) or mor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no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and/or release film exist in the outermost layer toward the bottom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That is,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not include a layer with a moisture permeability of less than 1 g/(100 in 2 × day)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특히 고온 환경에서 상기 흡수형 편광자의 하부 방향으로의 수분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었을 때에 고온에서 구동 및/또는 유지 등이 되는 경우에도 적화 현상 등이 없이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고, 고온 내구성이 우수한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moisture can be easily discharged toward the bottom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especially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ccordingly, when applied to a head-up display to be described later, clear image quality can be realized without redness even when driven and/or maintained at high temperatures, and a cover dust laminate with excellent high temperature durability can be provided.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는 가장 기본적인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의 구조에서 상기 흡수형 편광자(110)의 상부 방향에 보호 기판(130)이 형성되고, 편광자의 하부 방향에 하부 보호층(122)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다. 다만, 보호층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기 보호 기판(130) 및 흡수형 편광자(110) 사이에 상부 보호층(121)이 도입된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various types of structures. For example, Figure 2 shows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most basic cover dust laminate 100, a protective substrate 130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110, and a lower protective layer 122 is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polarizer. This shows the formed structure. However, th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upper protective layer 121 is introduced between the protective substrate 130 and the absorbing polarizer 110. It can be expressed.

도 2 및 도 3의 구조는 본 출원의 일 예시이며,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이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FIGS. 2 and 3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various other structures.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에 대한 것이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화상 생성 장치; 및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된 화상이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투과하도록 상기 화상 생성 장치; 및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배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This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The head-up display includes an image generating device; and a cover dust laminate, wherein an image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passes through the cover dust laminate; And it may be a head-up display on which a cover dust laminate is disposed.

본 출원에서 상기 화상 생성 장치는 직선 편광 상태의 화상을 출사하는 화상 생성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화상 생성 장치로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생성 장치에 편광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출사되는 광 신호를 일정한 편광 방향을 가지는 선편광 형태로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각종 부품에 전달되는 광 신호의 신호 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mage generating device may be an image generating device that emits an image in a linearly polarized state. For example, when using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s the image generating device, a polarizing film is attached to the image generating device so that the emitted optical signal is in the form of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certain polarization direction. , and through this, the signal loss of optical signals transmitted to various components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본 출원은 또한, 상기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되어 커버 더스트 적층체에 입사되는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가 예를 들면, 50도 내지 80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화상 생성 장치(20) 및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가 배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10)일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provides that the smaller angle between the vibration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and incident on the cover dust laminate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cover dust laminate is, for example, 50 degrees to 80 degrees. It may be a head-up display 10 in which the image generating device 20 and the cover dust laminate 100 are arranged within the range of degrees.

상기 각도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10) 내에서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를 회전시켜가면서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를 투과한 광의 휘도를 측정하였을 때에 최소 휘도가 측정되는 위치를 기준(0°)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각도일 수 있다. The angle is based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minimum luminance is measured when the luminanc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cover dust laminated body 100 is measured while rotating the cover dust laminated body 100 within the head-up display 10 (0 °), which may be an angle measur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상기 각도는 다른 예시에서, 51도 이상, 52도 이상, 53도 이상, 54도 이상, 55도 이상, 56도 이상, 57도 이상, 58도 이상, 59도 이상 또는 60도 이상이거나, 79도 이하, 78도 이하, 77도 이하, 76도 이하, 75도 이하, 74도 이하, 73도 이하, 72도 이하, 71도 이하 또는 70도 이하일 수 있다.In other examples, the angle is 51 degrees or more, 52 degrees or more, 53 degrees or more, 54 degrees or more, 55 degrees or more, 56 degrees or more, 57 degrees or more, 58 degrees or more, 59 degrees or more, or 60 degrees or more, or 79 degrees. Below, it may be 78 degrees or less, 77 degrees or less, 76 degrees or less, 75 degrees or less, 74 degrees or less, 73 degrees or less, 72 degrees or less, 71 degrees or less, or 70 degrees or less.

본 출원에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광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 제어 수단은 화상 생성 장치로부터 출사된 광 신호가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통과한 후 화상이 표시되는 윈드 쉴드로 향하게 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반사체 및/또는 빔 스플리터 등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ead-up display may additionally include light control means.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light control means is a device that directs the light signal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to the windshield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after passing through the cover dust laminate, for example, a reflector and/or a beam splitter, etc. You can.

일 예시에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도 4와 같이 화상 생성 장치(20) 및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를 포함하고, 화상 생성 장치에서의 출사광(200)이 빔 스플리터(30)를 통과하면서 출사광 중 일부의 출사광은 반사체(40) 방향으로 반사된 반사광(202)이 되고, 나머지 일부는 투과된 투과광(201)이 되어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를 투과함으로서 윈드 쉴드(50)에 독립적인 두 개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빔 스플리터는 하나의 광원을 두 개의 광원으로 나뉘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따라서, 하나의 광원이 빔 스플리터를 통할 경우,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되어 두 개의 상이한 광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head-up display 10 includes an image generating device 20 and the cover dust laminate 100 as shown in FIG. 4, and light 200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is transmitted through a beam splitter 30. ), some of the emitted light becomes reflected light 202 ref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reflector 40, and the remaining part becomes transmitted light 201 and passes through the cover dust laminate 100, thereby creating a wind It may be a head-up display that can implement two screens independent of the shield 50. As used herein, the term beam splitter refers to a device that divides one light source into two light sources. Therefore, when on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beam splitter, part of it is transmitted and the other part is reflected and follows two different light paths. You can move.

본 출원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대로, 일 예시에서, 독립적인 두 개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적인 2개의 화면은 서로 접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2개의 화면의 휘도 차이가 거의 없을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되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과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독립적인 2개의 화면의 휘도 차이가 거의 없는 선명한 화질을 가지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d-up display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implement two independent screens in one example. The two independent screens may be implemen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refore, it may be required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luminance between the two screens. The present application arranges the angle between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cover dust laminate as described above, thereby providing a device with clear image quality with almost no difference in luminance between two independent screens. A head-up display can be implemented.

본 명세서에서 용어 휘도(Luminance)는, 특정 방향에 대한 광밀도, 즉 일정 면적을 통과하여 일정 입체각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의미하며, '휘도 차이가 거의 없을 것'은 독립적인 2개의 화면의 휘도가 동일한 경우 뿐만 아니라, 그 휘도의 비율이 0.5 내지 1.5 이하인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비율은 0.52 이상, 0.54 이상, 0.56 이상, 0.58 이상, 0.60 이상, 0.62 이상, 0.64 이상, 0.66 이상 또는 0.67 이상이거나 1.45 이하, 1.4 이하, 1.35 이하 또는 1.3 이하일 수 있다. 독립적인 2개의 화면의 휘도 비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예를 들어, 운전자는 상기 독립적인 2개의 화면을 1개의 화면처럼 인식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luminance refers to the light density in a specific direction, that is,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a certain area and entering at a certain solid angle, and 'little difference in luminance' refers to the luminance of two independent screens. This means not only the case where is the same, but also the case where the luminance ratio is 0.5 to 1.5 or less. In other examples, the ratio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0.52, greater than or equal to 0.54, greater than or equal to 0.56, greater than or equal to 0.58, greater than or equal to 0.60, greater than or equal to 0.62, greater than or equal to 0.64, greater than or equal to 0.66, or greater than or equal to 0.67, or greater than or equal to 1.45, greater than or equal to 1.4, greater than or equal to 1.35, or greater than or equal to 1.3. If the luminance ratio of the two independent screens satisfies the above range, for example, the driver may perceive the two independent screens as one screen.

본 출원은 전술한 특성을 가지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포함하고,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되는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제어함으로서 고온 등의 가혹 조건에서도 적화 현상이 유발되지 않고,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독립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경우 각 화면의 휘도 비율이 적절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over dust laminate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control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vibration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an image generating device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cover dust laminate to the above range, such as high temperature, etc. Even under harsh conditions, red-lighting does not occur, clear picture quality can be realized, and when displaying two independent screens, a head-up display with an appropriate luminance ratio of each screen can be provided.

본 출원에서는 매우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매우 고온 조건)에서 구동되거나 유지되는 경우에도 소위 적화 현상이 유발되지 않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화상 생성 장치 등 내부 부품의 적화 등을 방지하는 한편,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고, 두 개의 독립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경우 각 화면의 휘도 비율이 적절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ver dust laminate that does not cause the so-called redness phenomenon even when driven or maintained under very harsh conditions (for example, ver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addition, the cover dust laminate is applied to the head-up display to prevent internal components such as the image generating device from burning, while realizing clear image quality, and when displaying two independent screens, the luminance ratio of each screen is appropriate. A head-up display can be provided.

도 1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통상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출원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예시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두 개의 독립적인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예시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ypical structure of a head-up display.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the cover dust lamin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head-up display capable of implementing two independent screens.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 등을 통하여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이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ver dust laminate, etc.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이하에서 커버 더스트 적층체 등의 각 물성을 하기의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Below, each physical property of the cover dust laminate wa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1.편광자의 아연(Zn) 및 칼륨(K)의 중량 측정1. Weight measurement of zinc (Zn) and potassium (K) of polarizer

편광자에 존재하는 아연(Zn)과 칼륨(K)의 중량은 다음의 방식으로 측정하The weight of zinc (Zn) and potassium (K) present in the polarizer i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였다. 우선 상온(약 25℃)에서 약 65중량% 농도의 질산 수용액(2mL)에 편광자 0.1 g 정도를 녹인 후에 물(Deionized water)로 40 mL까지 희석한 후에 ICP-OES(Optima 5300) 장비를 사용하여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K)과 아연(Zn)의 중량을 각각 측정하였다.It was. First, dissolve about 0.1 g of the polarizer in an aqueous solution of nitric acid (2 mL) with a concentration of about 65% by weight at room temperature (about 25°C), then dilute it with water (Deionized water) to 40 mL, and then use ICP-OES (Optima 5300) equipment. The weight of potassium (K) and zinc (Zn) contained in the polarizer were measured, respectively.

2.CIE 색좌표 측정 2. CIE color coordinate measurement

색좌표는 JASCO V-7100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JASCO V-7100 스펙트로포토미터는 해당 기기에 내장된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서 측정 대상 편광판의 흡수축을 0도에서 360도까지 회전시키다가 투과율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색좌표(TD 색좌표)를 측정하고, 상기 투과율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다시 측정 대상 편광판의 흡수축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서 색좌표(MD 색좌표)를 측정한 후에 각 측정값을 기준으로 색좌표의 대표값을 도출하여 주는 기기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색좌표는 상기 JASCO V-7100 스펙트로포토미터에서 확인하여 주는 색좌표이다.Color coordinates were measured using a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The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rotates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to be measured from 0 degrees to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built into the device, and measures the color coordinates (TD color coordinates) at the point where the transmittance is minimum. , This is a device that measures the color coordinates (MD color coordinates) by rotating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to be measured 90 degrees clockwise at the point where the transmittance is minimum, and then derives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color coordinates based on each measured value. The color coordinates described in the examples of this specification are the color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3.단체 투과율 측정3. Group transmittance measurement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단체 투과율은 JASCO V-7100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JASCO V-7100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단체 투과율 등을 380 내지 780 nm 범위 내에서 측정하여 상기 파장 범위에 대한 대표값을 도출하여 주는 기기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JASCO V-7100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에서 확인되는 단체 투과율을 기재하였다.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was measured using a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The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is an instrument that measures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within the range of 380 to 780 nm and derives a representative value for the wavelength range, and in this embodiment, The group transmittance confirmed in the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was described.

4.휘도 측정4. Luminance measurement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 화상 생성 장치(LGE 社, LA080WV5)(20), 빔스플리터(Edmund社, B-plate Beamsplitter)(30), 반사체(Edmund社,S-mirror)(40), 윈드 쉴드(50)를 도 4와 같이 배치하고,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각도를 변화시키며 윈드 쉴드(50)에 나타나는 화면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시 상기 윈드 쉴드(50)로부터 50cm 떨어진 위치에서 2차원 휘도 측정기(Risa社, Color one) 장비를 이용하여 반사광(202)에 의해 형성된 화면 및 투과광(201)에 의해 형성된 화면의 휘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Cover dust laminate (100), image generating device (LGE, LA080WV5) (20), beam splitter (Edmund, B-plate Beamsplitter) (30), reflector (Edmund, S-mirror) (40), wind The shield 50 was arranged as shown in FIG. 4, and the luminance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windshield 50 wa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angle of the cover dust laminate. When measuring, measure the luminance of the screen formed by reflected light 202 and the screen formed by transmitted light 201 using a two-dimensional luminance measuring device (Risa, Color one) at a location 50 cm away from the windshield 50. did.

제조예 1. 편광자(A)의 제조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polarizer (A)

두께가 약 30㎛인 PVA(poly(vinyl alcohol)) 필름(일본합성社, M3000 grade)을 요오드(I2) 0.3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3.0 중량%를 포함하는 28℃의 염색액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염색 처리하였다. 이어서 염색된 PVA 필름을 붕소 1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3 중량%를 포함하는 35℃의 수용액(가교액)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가교 처리하였다. 이후, 가교된 PVA 필름을 롤간 연신 방법을 이용하여 5.4배의 연신 배율로 연신시켰다. 연신된 PVA 필름을 25℃의 이온교환수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세정하고, 질산 아연 2.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3 중량% 포함하는 25℃의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켰다. 이후, PVA 필름을 80℃의 온도에서 60초 동안 건조시켜 PVA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자의 최종 두께는 약 12㎛ 정도였으며, 칼륨 함량은 약 0.49 중량%이고, 아연 함량은 약 910mg/kg이였다. A PVA (poly(vinyl alcohol)) film (M3000 grade, Japan Synthetic Co., Ltd.) with a thickness of about 30㎛ was dyed in a dyeing solution at 28°C containing 0.3% by weight of iodine (I 2 ) and 3.0%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KI). It was dyed by dipping for 60 seconds. The dyed PVA film was then cross-linked by immersing it in an aqueous solution (cross-linking solution) at 35°C containing 1% by weight of boron and 3%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KI) for 60 seconds. Afterwards, the crosslinked PVA film was stretched at a stretching ratio of 5.4 times using the roll-to-roll stretching method. The stretched PVA film was washed by immersing it in ion-exchanged water at 25°C for 60 seconds,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25°C containing 2.5% by weight of zinc nitrate and 3%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KI) for 30 seconds. Afterwards, the PVA film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80°C for 60 seconds to prepare a PVA polarizer. The final thickness of the manufactured polarizer was about 12㎛, the potassium content was about 0.49% by weight, and the zinc content was about 910mg/kg.

제조예 2. 편광자(B)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polarizer (B)

연신된 PVA 필름을 25℃의 이온교환수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세정하고, 질산 아연 2.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5 중량% 포함하는 25℃의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자의 최종 두께는 약 12㎛ 정도였으며, 칼륨 함량은 약 0.55 중량%이고, 아연 함량은 약 740mg/kg이였다.Except that the stretched PVA film was washed by immersing it in ion-exchanged water at 25°C for 60 seconds,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25°C containing 2.5% by weight of zinc nitrate and 5%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KI) for 30 seconds.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The final thickness of the manufactured polarizer was about 12㎛, the potassium content was about 0.55% by weight, and the zinc content was about 740mg/kg.

제조예 3. 편광자(C)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polarizer (C)

연신된 PVA 필름을 25℃의 이온교환수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세정하고, 질산 아연 2.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1 중량% 포함하는 25℃의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자의 최종 두께는 약 12㎛ 정도였으며, 칼륨 함량은 약 0.29 중량%이고, 아연 함량은 약 900mg/kg이였다. Except that the stretched PVA film was washed by immersing it in ion-exchanged water at 25°C for 60 seconds,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25°C containing 2.5% by weight of zinc nitrate and 1%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KI) for 30 seconds.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The final thickness of the manufactured polarizer was about 12㎛, the potassium content was about 0.29% by weight, and the zinc content was about 900mg/kg.

제조예 4. 편광자(D)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polarizer (D)

연신된 PVA 필름을 25℃의 이온교환수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세정하고, 질산 아연 3.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5 중량% 포함하는 25℃의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자의 최종 두께는 약 12㎛ 정도였으며, 칼륨 함량은 약 0.59 중량%이고, 아연 함량은 약 1030mg/kg이였다. Prepared except that the stretched PVA film was washed by immersing it in ion-exchanged water at 25°C for 60 seconds,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25°C containing 3.5% by weight of zinc nitrate and 5%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KI) for 30 seconds.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The final thickness of the manufactured polarizer was about 12㎛, the potassium content was about 0.59% by weight, and the zinc content was about 1030mg/kg.

제조예 5. 편광자(E)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polarizer (E)

연신된 PVA 필름을 25℃의 이온교환수에 60초 동안 침지시켜 세정하고, 질산 아연 4.5 중량% 및 요오드화 칼륨(KI) 5 중량% 포함하는 25℃의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자의 최종 두께는 약 12㎛ 정도였으며, 칼륨 함량은 약 0.53 중량%이고, 아연 함량은 약 1160mg/kg이였다. Prepared except that the stretched PVA film was washed by immersing it in ion-exchanged water at 25°C for 60 seconds,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25°C containing 4.5% by weight of zinc nitrate and 5%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KI) for 30 seconds.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The final thickness of the manufactured polarizer was about 12㎛, the potassium content was about 0.53% by weight, and the zinc content was about 1160mg/kg.

제조예 6. 내적화층(A') 재료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6. Preparation of internalized layer (A') material

바인더로서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를 적용하고, 중공 실리카 입자(Hollow Silica Particle)를 적용하여 내적화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로는 D10, D50 및 D90 입경은 각각 32.1 nm, 62.6nm 및 123.4 nm인 입자를 사용하였다. 이 경우, 내적화층을 형성한 후에 TEM으로 측정한 기공 크기의 평균은 대략 38.3 nm 정도이며, 입자 직경은 대략 53 nm 정도였다. 상기 바인더,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 함불소 화합물(RS-90, DIC社) 및 개시제(Irgacure 127, Ciba社)를 고형분 기준으로 31:65:0.1:3.9의 중량 비율(바인더:중공 실리카 입자: 함불소 화합물:개시제)로 용매인 MIBK(methyl isobutyl ketone)에 희석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was applied as a binder, and hollow silica particles were applied to manufacture an internalization layer. As the hollow silica particles, particles with D10, D50, and D90 particle diameters of 32.1 nm, 62.6 nm, and 123.4 nm were used,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verage pore size measured by TEM after forming the internalization layer was approximately 38.3 nm, and the particle diameter was approximately 53 nm. The binder, the hollow silica particles, 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RS-90, DIC) and the initiator (Irgacure 127, Ciba)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31:65:0.1:3.9 based on solid content (binder: hollow silica particles: A coating solu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a fluorine compound: initiator) in MIBK (methyl isobutyl ketone), a solvent.

실시예 1. Example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편광자(A)에 일반적인 광학용 수계 접착제층(두께: 100nm)을 적용하여 두께가 대략 30μm 정도인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Zeon社) 을 부착하였다. 별도로 두께가 대략 60μm 정도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효성社) 상에 내적화층을 형성하였다. 내적화층은, 제조예 6의 내적화층(A') 재료를 Mayer bar로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상에 코팅하고, 60℃정도에서 1분 정도 건조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252mJ/cm2)하여 최종 두께가 약 450 nm 정도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한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과 편광자(A)의 적층체에 상기 내적화층이 형성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적층체를 상기와 동일한 수계 접착제(두께: 100nm)로 부착하였다. 그 결과, 상부 보호층(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 내적화층 / 접착제층 / 편광자(A) / 접착제층 / 하부 보호층(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이 순차 적층된 구조의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제조되었다. A general optical water-based adhesive layer (thickness: 100 nm) was applied to the polarizer (A)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a cycloolefin polymer film (Zeon) with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0 μm was attached. Separately, an internalized layer was formed on a triacetylcellulose film (Hyosung) with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60 μm. For the internalization layer, the internalization layer (A') material of Preparation Example 6 was coated on the triacetylcellulose film with a Mayer bar, dried at about 60°C for about 1 minute, and t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252mJ/cm 2 ) to obtain the final thickness. It was formed to be about 450 nm. Subsequently, the laminate of the triacetylcellulose film with the internal layer formed was attached to the laminate of the cycloolefin polymer film and the polarizer (A) prepared above using the same water-based adhesive (thickness: 100 nm). As a result, a cover dust lamin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rotective layer (triacetylcellulose film) / internal layer / adhesive layer / polarizer (A) / adhesive layer / lower protective layer (cycloolefin polymer film) was sequentially laminated was manufactured.

실시예 2.Example 2.

제조예 2의 편광자(B)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Proceed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er (B)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제조예 3의 편광자(C)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Proceed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er (C) of Preparation Example 3 was us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제조예 4의 편광자(D)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Proceed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er (D) of Preparation Example 4 was us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제조예 5의 편광자(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Proceed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er (E) of Preparation Example 5 was used.

상기 각각의 실시예 등에서 형성된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r dust laminate formed in each of the above examples are listed in Table 1 below.

하기 표 1에서 △Ts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초기 단체 투과율 Ti와 상기 적층체를 110℃ 오븐에서 1000시간 유지한 후의 단체 투과율 Ta의 차이의 절대값이다.In Table 1 below, △T s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single transmittance Ti of the cover dust laminate and the single transmittance T a after maintaining the laminate in an oven at 110°C for 1000 hours.

실시예 3. Example 3.

상기 실시예 1에서 형성된 커버 더스트 적층체(100), 화상 생성 장치(LGE社,LA080WV5)(20), 빔스플리터(Edmund社,B-plate Beamsplitter)(30) 및 반사체(Edmund社,S-mirror)(40)를 도 4와 같이 배치하고,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돌려가며, 커버 더스트 적층체에 입사되는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이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흡수형 편광자(110)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가 70도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The cover dust laminate 100 formed in Example 1, an image generating device (LGE, LA080WV5) 20, a beam splitter (Edmund, B-plate Beamsplitter) 30, and a reflector (Edmund, S-mirror) ) (40) is arranged as shown in FIG. 4, the cover dust laminate is rotated, and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cover dust laminate is aligned with the absorption axis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110 of the cover dust laminate. It was arranged so that the smallest angle among the angles formed was 70 degrees.

그 후, 전술한 휘도 측정 방식에 따라 반사광(202)에 의해 형성된 화면 및 투과광(201)에 의해 형성된 화면의 휘도를 각각 측정한 후, 반사광(202)에 의해 형성된 화면의 휘도를 투과광(201)에 의해 형성된 화면의 휘도로 나누어준 휘도 비율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After that, the luminance of the screen formed by the reflected light 202 and the screen formed by the transmitted light 201 are measur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luminance measurement method, and then the luminance of the screen formed by the reflected light 202 is measured by the transmitted light 201. The luminance ratio divided by the luminance of the screen formed by is summarized and listed in [Table 2] below.

실시예 4 내지 8.Examples 4 to 8.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종류, 커버 더스트 적층체에 입사되는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를 하기 [표 2]와 같이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Except that the smaller angle between the type of cover dust laminate, the direction of vibra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cover dust laminate,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cover dust laminate is applied as shown in [Table 2] below. Proceeded in the same way as Example 3.

10 : 헤드 업 디스플레이
100 : 커버 더스트 적층체
110 : 흡수형 편광자
121 : 상부 보호층 122 : 하부 보호층
130 : 보호 기판
20 : 화상 생성 장치 200 : 출사광 201 : 투과광 202 : 반사광
30 : 빔 스플리터
40 : 반사체
50 : 윈드 쉴드
10: Head-up display
100: Cover dust laminate
110: absorption polarizer
121: upper protective layer 122: lower protective layer
130: protection substrate
20: Image generating device 200: Emitted light 201: Transmitted light 202: Reflected light
30: Beam splitter
40: reflector
50: Windshield

Claims (15)

아연 성분 및 칼륨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흡수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흡수형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 성분의 함량은 500mg/kg 내지 1000mg/kg 범위 내이고, 상기 아연 성분의 함량은 폴리비닐알코올 흡수형 편광자의 중량 1kg를 기준으로 이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 성분의 중량(mg)을 측정한 것이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흡수형 편광자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 성분의 함량은 0.35 중량% 내지 7 중량% 범위 내이고, 상기 칼륨 성분의 함량은 폴리비닐알코올 흡수형 편광자 100 중량부 대비 이에 포함되어 있는 칼륨 성분의 중량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는 하기 수식 2 및 3을 만족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
[수식 2]
-b/a = 2.3 내지 3.5 :
[수식 3]
0 < 1000 ×(y - x) ≤ 3 :
수식 2 및 3에서 b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b값이고, a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a값이며, x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X값이고, y는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CIE 색공간의 Y값이다.
A cover dust laminate including a polyvinyl alcohol absorption type polarizer containing a zinc component and a potassium component,
The content of the zinc component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absorption type polarizer is within the range of 500 mg/kg to 1000 mg/kg, and the content of the zinc component is based on the zinc contained therein based on 1 kg of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absorption type polarizer. The weight (mg) of the ingredient is measured,
The content of the potassium component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absorption type polarizer is within the range of 0.35% by weight to 7%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potassium component is based on the amount of potassium component contained therein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absorption type polarizer. The weight ratio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The cover dust laminate is a cover dust laminate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s 2 and 3:
[Formula 2]
-b/a = 2.3 to 3.5:
[Formula 3]
0 < 1000 ×(y - x) ≤ 3 :
In Equations 2 and 3, b is the b value of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a is the a value of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and x is X of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value, and y is the Y value of the CIE color space of the cover dust laminate.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수식 1에 따른 단체 투과율의 변화량(ΔTs)의 절대값이 10% 이내인 커버 더스트 적층체.
[수식 1]
△Ts = Ta - Ti
수식 1에서 △Ts는 단체 투과율의 변화량이고, Ta는 내열 테스트 후의 단체 투과율이며, Ti는 내열 테스트 전의 초기 단체 투과율이다.
The cover dust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 in single transmittance (ΔT s )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is within 10%.
[Formula 1]
△T s = T a - T i
In Equation 1, △T s is the change in single transmittance, T a is the single transmittance after the heat resistance test, and T i is the initial single transmittance before the heat resistance tes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형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The cover dust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ich does not include a reflective polarizer.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형 편광자의 상부 방향에 보호 기판이 부착되어 있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The cover dust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tective substrat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제 5 항에 있어서, 흡수형 편광자의 하부 방향에 하부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 The cover dust laminate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lower protective layer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제 6 항에 있어서, 보호 기판 및 흡수형 편광자의 사이에 상부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The cover dust laminate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upper protective layer between the protective substrate and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제 7 항에 있어서, 상부 보호층은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The cover dust laminate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protective layer has an in-plane retard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부 보호층의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내 위상차가 100 내지 400 nm의 범위 내인 커버 더스트 적층체.The cover dust laminat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upper protective layer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550 nm is in the range of 100 to 400 nm.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형 편광자의 하부 방향의 최외층에는 점착제층, 접착제층 또는 이형 필름이 존재하지 않는 커버 더스트 적층체.The cover dust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no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or release film is present in the outermost layer toward the bottom of the absorption-type polarizer. 화상 생성 장치; 및 제 1 항에 따른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된 화상이 상기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투과하도록 상기 화상 생성 장치; 및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배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image generating device; and a cover dust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image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to transmit the cover dust laminate. and a head-up display on which the cover dust laminate is disposed. 제 11 항에 있어서, 화상 생성 장치는 직선 편광 상태의 화상을 출사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The head-up displa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image generating device emits an image in a linearly polarized state. 제 12 항에 있어서,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되는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 커버 더스트 적층체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각도가 50도 내지 80도의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화상 생성 장치 및 커버 더스트 적층체가 배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The image generating device and the cover dust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maller angle between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cover dust laminate is in the range of 50 degrees to 80 degrees. Head-up display with sieve placed. 제 11 항에 있어서, 빔 스플리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된 화상이 상기 빔 스플리터를 통하여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투과하도록 상기 빔 스플리터가 배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beam splitter, wherein the beam splitter is arranged so that an image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passes through the cover dust laminate through the beam splitter. 제 11 항에 있어서, 반사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화상 생성 장치에서 출사된 화상이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되어 커버 더스트 적층체를 투과하도록 상기 반사체가 배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The head-up display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reflector, wherein the reflector is disposed so that an image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device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and passes through the cover dust laminate.
KR1020190094779A 2019-08-05 2019-08-05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Active KR102577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79A KR102577319B1 (en) 2019-08-05 2019-08-05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79A KR102577319B1 (en) 2019-08-05 2019-08-05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00A KR20210016700A (en) 2021-02-17
KR102577319B1 true KR102577319B1 (en) 2023-09-11

Family

ID=7473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79A Active KR102577319B1 (en) 2019-08-05 2019-08-05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31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978A (en) * 2004-06-29 2006-02-16 Nitto Denko Corp Polarizer, its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4102353A (en) *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ose
JP2017015778A (en) * 2015-06-26 2017-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Head-up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5281B2 (en) * 2016-05-16 2020-03-10 Polatechno Co., Ltd. Polarizing member and head-up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TWI714906B (en) * 2017-11-10 2021-01-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KR102316017B1 (en) * 2019-08-05 2021-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978A (en) * 2004-06-29 2006-02-16 Nitto Denko Corp Polarizer, its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4102353A (en) *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ose
JP2017015778A (en) * 2015-06-26 2017-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Head-u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00A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618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943509B2 (en) Optical film, optics and video equipment
KR101900530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07407760B (en) Polarizing element
JP7116594B2 (en) Polarizing member and head-up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2005266696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966831B1 (en) Optical filter for anti-reflec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549725B1 (en) Polarizing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60096545A (en)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2148592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80042132A (en) Optical filter for anti-reflec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200903147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dhesive layer and set of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ed therefor
KR20190096816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KR102564216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587681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7195168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polarizing plate
JP2005283839A (en)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1180211A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577319B1 (en)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KR102645757B1 (en)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KR102316017B1 (en)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KR102712208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95576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645755B1 (en) Cover Dust Laminate and Head Up Display including the Cover Dust Laminate
JP3779723B2 (en) Polariz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