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7090B1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090B1
KR102577090B1 KR1020180010191A KR20180010191A KR102577090B1 KR 102577090 B1 KR102577090 B1 KR 102577090B1 KR 1020180010191 A KR1020180010191 A KR 1020180010191A KR 20180010191 A KR20180010191 A KR 20180010191A KR 102577090 B1 KR102577090 B1 KR 10257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miconductor light
light emitting
lamp
b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123A (ko
Inventor
이경호
이성환
송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090B1/ko
Priority to US16/964,883 priority patent/US11114598B2/en
Priority to PCT/KR2018/004348 priority patent/WO2019146842A1/ko
Priority to DE112018006948.6T priority patent/DE112018006948B4/de
Publication of KR2019009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0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45/52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in a parallel array of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21S41/153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arranged in a matr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H01L33/38
    • H01L33/42
    • H01L33/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10H20/833Transpar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3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ed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램프 관한 것으로 특히, 광 균일도가 높은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배선기판,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는 버스 전극,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 끝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라인들, 상기 전극라인들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인접한 전극라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 및 상기 전극라인들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투명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라인들과 반도체 발광소자들 간의 간격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램프 관한 것으로 특히, 광 균일도가 높은 램프에 관한 것이다.
빛을 발광하는 램프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차량(1)에는 주행 중 주위의 조도가 낮을 경우에 운전자의 시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거나 차량(1)의 주행 상태를 다른 차량에게 알리기 위한 램프 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램프를 포함한다. 헤드램프는 전방을 조명하여 야간 운행 중에 전방을 비추는 램프이다. 리어 램프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조작할 때에 점등되는 브레이크 등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알리는 방향지시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나 가스 방전식 램프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 패키지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패키지가 아닌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자체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개발 중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반도체 발광소자 램프는 패키지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이기에 양산 수율이 좋지 않고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플렉서블의 정도가 약하다는 약점이 존재한다.
한편,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램프는 다양한 면적을 가질 수 있는데, 램프가 대면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개별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불균일하게 되어, 램프의 광균일도가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램프에 배치된 반도체 발광소자에 균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배선기판,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는 버스 전극,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 끝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라인들, 상기 전극라인들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인접한 전극라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 및 상기 전극라인들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투명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라인들과 반도체 발광소자들 간의 간격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라인들과 반도체 발광소자들 간의 간격은 상기 버스 전극과 가까워질수록 또는 상기 일 끝단과 가까워질수록 멀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라인들 각각의 폭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라인들 각각은, 전극라인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각각의 길이는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의 길이는, 상기 전극라인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전극은 제1 및 제2버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버스 전극은 서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라인은 상기 제1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전극라인 및 상기 제2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전극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라인은 상기 제1버스 전극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2전극라인은 상기 제2버스전극이 형성되는 방향과 비스듬하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에 구비된 반도체 발광소자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램프에 구비된 반도체 발광소자들 각각이 동일한 밝기로 발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차량에 포함된 램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플립 칩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의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라인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설명한 램프에서 버스 전극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거리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12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전극라인을 포함하는 램프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서 버스 전극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거리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전극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램프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이라도, 램프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램프는 차량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차량용 램프에는 전조등(헤드 램프), 미등, 차폭등, 안개등, 방향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후진등(테일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에 포함된 램프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체에 고정되는 프레임(11)과, 프레임(11)에 설치되는 광원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1)에는 광원부(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1)은 차체에 직접 체결 고정되거나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광원부(12)가 발광하는 빛을 보다 확산하고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렌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플렉서블 광원부가 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광원부(12)는 평면이 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광원부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굽어진 곡면이 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의 화소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 종류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12)는 단위 광원, 베이스 기판, 연결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원부(12)는 상기 단위 광원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단위 광원만으로 이루어진 광원부(12)를 통해, 상기 단위 광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평면도이고, 도 4는 플립 칩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3의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라인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광원부(12)는 배선기판(100),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 투명전극(130),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선기판에는 복수의 전극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극라인들(110 및 120) 각각은 버스 전극(110' 및 120')으로부터 돌출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전극라인들(110 및 120) 각각은 버스 전극과 반대편에 형성되는 일 단부를 구비한다.
전극라인들(110 및 120) 각각을 양 단부를 구비하는 바 형태로 설명하였을 때, 전극라인의 일단부는 버스 전극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는 버스 전극과 반대편에 형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양 단부 사이 중간 지점을 전극라인의 중앙부라 호칭한다.
한편, 배선기판에는 두 종류의 버스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 전극은 제1 및 제2버스 전극(110' 및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버스 전극(110' 및 120') 사이에 인가된 전압이 반도체 발광소자들(150) 각각에 인가된다. 이를 통해, 반도체 발광소자들(150) 각각이 발광된다. 제1 및 제2버스 전극(110' 및 120') 사이에 인가된 전압이 반도체 발광소자들(150) 각각에 인가되도록, 제1 및 제2버스 전극(110' 및 120') 각각에서 연장된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은 반도체 발광소자들(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개별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제1 및 제2전극라인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반도체 발광소자(150)가 전극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반도체 발광소자(150)의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156), p형 전극(156)이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155), p형 반도체층(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54), 활성층(154) 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153) 및 n형 반도체층(153) 상에서 p형 전극(15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n형 전극(1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p형 전극(156)은 제1전극라인(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n형 전극(152)은 제2전극라인(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서, 상기 p형 전극 및 n 형 전극은 발광면 방향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p형 전극 및 n 형 전극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램프의 광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도체 발광소자와 오버랩되는 구조물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한편, 램프의 광량을 최대화 하기 위해 반도체 발광소자의 발광면 반대편에는 반사층(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발광되어 램프 하측으로 향하는 빛을 반사시켜 램프의 광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반사층(160)은 베이스 기판(170)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전극라인을 반도체 발광소자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제1 및 제2전극라인이 반도체 발광소자의 발광면을 가리기 때문에 램프의 광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 각각은 투명전극(130)을 통해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투명전극(130)은 광투과성이 높으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전극(130)은 ITO일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130)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라인보다 광투과성이 매우 높으나, 전기전도도는 떨어진다. 도 6과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150)이 투명전극과 오버랩되도록 할 경우, 램프의 광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투명전극(130)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보다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전압강하가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서 설명한 램프에서 버스 전극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거리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가 제1버스 전극과 멀어질수록 점점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한다. 즉, 전극라인 중앙부와 인접한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극라인의 양끝단과 인접한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다. 이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광량이 반도체 발광소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램프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광량의 차이는 확연하게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압강하로 인하여 반도체 발광소자의 위치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의 광량이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도 3 내지 6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상술한 전극라인과 버스 전극과는 다른 구조의 전극 구조를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에는 앞서 설명한 투명전극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은 투명전극(130)을 통해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50)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150)은 전극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반도체 발광소자들(150)은 전극라인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극라인과 반도체 발광소자들(150) 간의 간격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한편, 상기 간격은 반도체 발광소자가 버스 전극과 가깝게 배치되거나, 버스 전극의 반대편에 배치된 전극라인의 일끝단과 가깝게 배치될수록 증가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전극라인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간격이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전극라인들 각각의 폭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라인은 반도체 발광소자들이 배치된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 모두 상술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은 서로 수평하게 배치하고,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 각각의 중앙부가 서로 같은 선상에 오도록 배치하는 경우, 제1 및 제2버스 전극 중간으로 갈수록 전극라인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극라인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전압강하량이 감소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전극라인의 양단부보다 전극라인의 중앙부에서의 전압강하량이 작기 때문에, 램프에 배치된 모든 반도체 발광소자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라인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선기판에 배치된 전극라인들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9 내지 12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전극라인을 포함하는 램프의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라인들 각각은 전극라인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돌출부(111 및 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 각각은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와 오버랩되지 않는다.
상기 돌출부는 전극라인과 동일한,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극라인간의 간격을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도 10과 같이, 투명전극(130)은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돌출부(111 및 112)와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돌출부(111)와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실질적으로 전극라인(110)과 반도체 발광소자(150)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도 9와 같이, 상기 돌출부들(111a 내지 111e, 121a 내지 121e)의 길이는 돌출부가 배치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들의 길이는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전극에 인접한 돌출부(121a)의 길이보다 전극라인 중앙부에 배치된 돌출부(121e)의 길이가 길 수 있다. 한편, 전극라인의 일단부에 인접한 돌출부(111a)의 길이보다 전극라인 중앙부에 배치된 돌출부(111e)의 길이가 길 수 있다.
한편, 도 11과 같이, 상기 제1전극라인(110)에 형성되는 돌출부(111)와 상기 제2전극라인(120)에 형성되는 돌출부(112)는 동일선상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경우, 제1전극라인(110)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투명전극(130)과 제2전극라인(110)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투명전극(130)은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극라인에 구비된 돌출부의 길이를 돌출부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면서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극라인(110 및 120)에 형성되는 돌출부(111 및 121)은 전극라인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가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로 돌출되는 경우, 돌출부가 반도체 발광소자와 오버랩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는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 않은 위치로 돌출된다.
이러한 경우, 투명전극(130)은 돌출부(111 및 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극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2와 같은 구조에서, 돌출부(111 및 121)의 폭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돌출부의 폭이 두꺼워질 경우,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전극라인 중앙부에서의 전압강하량을 줄일 수 있다.
도 8 내지 12에서 설명한 구조에 따르면,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에 상관없이 전압을 동일하게 인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활용하면 Vanode와 Vcathode 간의 전압차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램프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버스 전극의 배치를 통해 반도체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전극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과 같이, 제1버스 전극(110')과 제2버스 전극(120')은 서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버스 전극(120')은 제1버스 전극(110')이 형성되는 방향과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램프 위치에 따른 전압강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1전극라인(110)은 제1버스 전극(110')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반면, 제2전극라인(120)은 제2버스 전극(120')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돌출된다.
도 13의 전극구조에서, 제1 및 제2전극라인(110 및 120) 사이에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치하는 경우, 반도체 발광소자에 균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램프의 광 균일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에 구비된 반도체 발광소자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램프에 구비된 반도체 발광소자들 각각이 동일한 밝기로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배선기판;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는 버스 전극;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 끝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라인들;
    상기 전극라인들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인접한 전극라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 및
    상기 전극라인들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투명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라인들과 반도체 발광소자들 간의 간격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버스 전극과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2. 배선기판;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는 버스 전극;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 끝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라인들;
    상기 전극라인들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인접한 전극라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 및
    상기 전극라인들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투명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라인들과 반도체 발광소자들 간의 간격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일 끝단과 가까워질수록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라인들 각각의 폭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4. 배선기판;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는 버스 전극;
    상기 배선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 끝단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라인들;
    상기 전극라인들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인접한 전극라인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 및
    상기 전극라인들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투명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라인들과 반도체 발광소자들 간의 간격은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전극라인들 각각은,
    전극라인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각각의 길이는 전극라인의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의 길이는,
    상기 전극라인과 반도체 발광소자 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라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전극은 제1 및 제2버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버스 전극은 서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라인은 상기 제1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전극라인 및 상기 제2버스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전극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라인은 상기 제1버스 전극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2전극라인은 상기 제2버스전극이 형성되는 방향과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KR1020180010191A 2018-01-26 2018-01-2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Active KR10257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91A KR102577090B1 (ko) 2018-01-26 2018-01-2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US16/964,883 US11114598B2 (en) 2018-01-26 2018-04-13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s
PCT/KR2018/004348 WO2019146842A1 (ko) 2018-01-26 2018-04-13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DE112018006948.6T DE112018006948B4 (de) 2018-01-26 2018-04-13 Lichtemittierende Halbleiterelemente verwendende Lam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91A KR102577090B1 (ko) 2018-01-26 2018-01-2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23A KR20190091123A (ko) 2019-08-05
KR102577090B1 true KR102577090B1 (ko) 2023-09-12

Family

ID=6739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91A Active KR102577090B1 (ko) 2018-01-26 2018-01-2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14598B2 (ko)
KR (1) KR102577090B1 (ko)
DE (1) DE112018006948B4 (ko)
WO (1) WO2019146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969B1 (ko) * 2018-01-03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5106A (ja) * 2010-03-05 2011-10-13 Sharp Corp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
JP2013062279A (ja) * 2011-09-12 2013-04-04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アレイ及び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56580A1 (fr) 2006-12-18 2008-08-13 AGC Flat Glass Europe SA Panneau d'affichage
JP4996660B2 (ja) 2009-10-15 2012-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37295B2 (ja) 2010-07-05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素子実装用配線パターン、発光素子実装用配線パターンを有する発光素子実装用配線基板および発光素子実装用配線基板を用いた発光モジュールならびに発光モジュールを装備した照明器具
KR20120021901A (ko) 2010-08-20 2012-03-09 김동수 금속 판넬을 가지는 조명장치
KR20130025831A (ko) 2011-09-02 2013-03-12 스탄레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소자 어레이 및 차량용 등구
KR101188747B1 (ko) 2012-07-18 2012-10-10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5106A (ja) * 2010-03-05 2011-10-13 Sharp Corp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
JP2013062279A (ja) * 2011-09-12 2013-04-04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アレイ及び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3819A1 (en) 2021-02-11
DE112018006948T5 (de) 2020-11-19
KR20190091123A (ko) 2019-08-05
DE112018006948B4 (de) 2023-10-12
US11114598B2 (en) 2021-09-07
WO2019146842A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370B2 (en) Lighting device
CN101510581B (zh) 发光二极管及其相关背光模块
US8783899B2 (en) Light bar assembly
US10015883B2 (en) LED package for lamp of vehicle
CN107062113A (zh) 发光装置
TWI499843B (zh) 光源模組
KR10257709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US10890308B2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04011884A (zh) 发光模块及车辆用灯具
JP6205745B2 (ja) 車両用灯具
KR10255628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KR102557153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US11124110B2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659254B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램프
US9546769B2 (en) Vehicular lamp
US9534742B2 (en) Light bar structure
US10295731B2 (en) Display device
US11859786B2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20190094016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20180128192A (ko) 전장용 조명등
KR20120003809U (ko) 빛을 굴절시키는 반사경이 구비된 발광다이오드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