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4806B1 - 마이크로 드레이프 및 그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드레이프 및 그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806B1
KR102574806B1 KR1020237009472A KR20237009472A KR102574806B1 KR 102574806 B1 KR102574806 B1 KR 102574806B1 KR 1020237009472 A KR1020237009472 A KR 1020237009472A KR 20237009472 A KR20237009472 A KR 20237009472A KR 102574806 B1 KR102574806 B1 KR 10257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rape
protective
lens cap
micr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라시 야마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유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유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8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12Surgical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1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instruments, e.g.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20Surgical microscopes characterised by non-optic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2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6Means for illuminating specim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Packag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수술 현미경에의 부착 작업을 더욱 용이화한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제공한다. 마이크로 드레이프는 수술 현미경의 대물렌즈 하우징에 착탈되는 렌즈 캡과, 대물렌즈를 보호하는 보호렌즈와, 수술 현미경을 덮는 드레이프 본체를 구비한다. 렌즈 캡은 원통의 원주 방향의 일부가 개방되어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 형상이다. 마이크로 드레이프는 자연 상태의 렌즈 캡의 내경 치수보다 외경 치수가 큰 원통으로, 보호렌즈를 지지하는 보호렌즈 홀더와, 렌즈 캡에 대해서 보호렌즈 홀더를, 광축에 직교하는 회동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를 구비한다. 보호렌즈 홀더는 렌즈 캡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렌즈 캡을 탄성 확경시키는 착탈 위치와, 렌즈 캡의 내측에서 대물렌즈와 반대 측으로 빠져 나와 렌즈 캡을 축경시킴과 함께 광축에 대하여 보호렌즈를 경사지게 하는 사용위치로 회동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드레이프 및 그 부착 방법
본 발명은 수술 현미경을 덮는 마이크로 드레이프에 관한 것이다.
뇌신경외과,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안과에서는, 수술 현미경을 이용해 수술 부위를 확대하면서, 수술이 이뤄질 수 있다. 수술은 청결 조작으로 실시해야만 하지만, 수술 현미경 자체를 멸균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수술 때마다 일회용 마이크로 드레이프로 수술 현미경을 덮고, 청결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4 참조).
일반적인 마이크로 드레이프는, 수술 현미경의 대물렌즈에 착탈되는 렌즈 캡과, 렌즈 캡을 지지하면서, 아울러 수술 현미경을 덮는 봉지 형상의 드레이프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직경이 다른 대물렌즈에 장착 가능한 렌즈 캡의 다양한 변형과 수술 현미경의 입사광의 반사나 섬광을 방지하기 위해, 광축에 대해서 보호렌즈의 각도를 변경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공개특허 2012-183449호 특허문헌2 : 일본 공개특허 2014-161504호 특허문헌3 : 일본 공표특허 2010-512851호 특허문헌4 : 일본 공개특허 2017-107210호 특허문헌5 : 국제공개특허 제2022/003806호
그러나, 특허문헌 5의 마이크로 드레이프에서는, 대물렌즈에 렌즈 캡을 부착하는 작업과, 보호렌즈의 각도를 조정하는 작업을 각각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술 현미경에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부착하는 작업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술 현미경에의 부착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한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술 현미경의 대물렌즈의 하우징에 착탈되는 렌즈 캡과, 상기 대물렌즈를 보호하는 보호렌즈와, 상기 수술 현미경을 덮는 드레이프 본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에 있어서, 상기 렌즈 캡은 원통의 원주 방향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 형상이며, 자연 상태의 상기 렌즈 캡의 내경 치수보다 외경 치수가 큰 원통으로, 상기 보호렌즈를 지지하는 보호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캡에 대해서, 상기 보호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회동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캡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상기 렌즈 캡을 탄성 확경시키는 착탈 위치와, 상기 렌즈 캡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대물렌즈와 반대 측으로 빠져 나와, 상기 렌즈 캡을 축경시킴과 함께, 상기 광축에 대하여 상기 보호렌즈를 경사지게 하는 사용 위치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현미경에의 부착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수술 현미경의 요부 및 마이크로 드레이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마이크로 드레이프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마이크로 드레이프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세 번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세 번 접은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권취부재에 권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수술 현미경에 부착하기 직전의 마이크로 드레이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렌즈 캡 유닛을 하우징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권취부재로부터 드레이프 본체를 풀어 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수술 현미경에 부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보호렌즈 홀더를 착탈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보호렌즈 홀더를 착탈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보호렌즈 홀더를 사용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보호렌즈 홀더를 사용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렌즈 캡 유닛을 하우징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렌즈 캡을 하우징에 외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렌즈 캡을 하우징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단부 영역을 겹치지 않고,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세 번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더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 기재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할 때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실시형태의 기재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수술 현미경(1)의 요부 및 마이크로 드레이프(1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현미경(1)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암(2, 3, 4, 5)과, 암(5)의 선단에 부착된 대물렌즈(6) 및 접안렌즈(7)를 주로 구비한다. 그리고, 아암(2~5)의 접합 부분이 상대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수술 부위에 대면하는 위치에 대물렌즈(6)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수술자)가 접안렌즈(7)를 들여다봄으로써, 확대된 수술 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대물렌즈(6)는, 볼록렌즈이다. 그리고 대물렌즈(6)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8)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즉,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대물렌즈(6)의 광축(L0)은 하우징(8)의 축 방향에 일치한다.
또한, 수술 현미경(1)은, 조명장치(예를 들어 LED, 크세논 램프)를 구비한다. 조명장치에서 조사된 빛은, 암(2~5) 내에 수용된 광학계(렌즈, 미러 등)를 통해 대물렌즈(6)를 통과하여, 수술 부위를 향해 조사된다. 이 빛이 수술 부위에서 반사되어 다시 대물렌즈(6)에 입사함으로써 의사가 수술 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조명장치에 의한 빛의 조사 방향은, 예를 들어 광축(L0)에 대해 3~6°정도 기울어져 있다.
수술 중 수술 부위에 접촉되거나 접촉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기구는, 멸균해야 한다. 그러나 수술 현미경(1) 자체를 멸균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수술 때마다 일회용 마이크로 드레이프(10)로 수술 현미경(1)을 덮는다.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멸균된 상태로 포장되어 있으며, 수술실에서 포장을 뜯고 수술 현미경(1)에 씌워진다.
도 2는, 마이크로 드레이프(10)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마이크로 드레이프(10)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드레이프 본체(20)와, 렌즈 캡 유닛(30)을 주로 구비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렌즈 캡 유닛(3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드레이프 본체(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예를 들어 폴리에틸렌)로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이프 본체(20)는, 봉지 형상부(21)와, 띠 형상부(22)로 구성된다. 드레이프 본체(20)는, 긴 방향('연장 방향'에 일치한다.)과 짧은 방향('폭 방향'에 일치한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연장 방향 및 폭 방향은, 드레이프 본체(2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봉지 형상부(21)는, 시트가 이중으로 포개진 봉지 형상의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봉지 형상부(21)는, 상면시트(23)와 하면시트(24)를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상면시트(23) 및 하면시트(24)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또한, 상면시트(23) 및 하면시트(24)의 대응하는 세 변은, 서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상면시트(23) 및 하면시트(24)의 다른 한 변은, 서로 이격되어 개구(25)를 획정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다.
또한, 봉지 형상부(21)에는, 개구(25)의 외연을 나타내는 표식(26)이 부가되어 있다. 표식(26)은, 개구(25)의 외연에 첨부된 색이 있는 시일, 개구(25)의 외연에 도포된 유색 잉크 등, 투명 또는 반투명의 드레이프 본체(20) 중에서 개구(25)의 외연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봉지 형상부(21)의 하면시트(24)에는,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7)은, 하면시트(24)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관통공(27)은, 하면시트(24)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27)에는, 렌즈 캡 유닛(30)이 부착된다. 예를 들면, 하면시트(24)의 관통공(27)의 둘레를 획정하는 부분이, 렌즈 캡 유닛(30)의 외주면에 용착된다.
띠 형상부(22)는, 상면시트(23)의 개구(25)를 획정하는 변으로부터, 드레이프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술 현미경(1)의 전체를 덮을 필요가 있는 경우(예를 들어 외과용), 띠 형상부(22)의 연장 방향의 길이는, 폭 방향보다 긴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띠 형상부(22)의 연장 방향의 길이를 단축하여 도시하고 있다. 한편 수술 현미경(1)의 대물렌즈(6) 주변만을 덮으면 되는 경우(예를 들어 안과용), 띠 형상부(22)의 연장방향 길이는, 폭 방향보다 짧아도 된다.
띠 형상부(22)의 폭 방향 양변에는, 복수의 결합부(28a, 28b, 28c, 29a, 29b, 29c)가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28a~28b)는, 띠 형상부(22)의 폭 방향의 일측 변에 있어서, 연장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29a~29b)는, 띠 형상부(22)의 폭 방향의 타측 변에 있어서, 연장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부(22)를 수술 현미경(1)의 상면을 따라, 대응하는 결합부(28a&29a, 28b&29b, 28c&29c)를 결합함으로써, 띠 형상부(22)로 수술 현미경(1)을 덮을 수 있다. 결합부(28a~28c, 29a~29c)는, 끈, 스냅 버튼, 선 파스너, 면 파스너, 고무줄 등,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드레이프 본체(20)를 상면시트(23) 및 하면시트(24)로 구성되는 봉지 형상부(21)와, 띠 형상부(22)로 구분하고 있다. 그렇지만 독립된 상면시트(23), 하면시트(24) 및 띠 형상부(22)를 접합하여, 드레이프 본체(20)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띠 형상 시트의 연장 방향의 일부를 접어, 중첩된 부분의 폭 방향 양단부를 용착함으로써, 드레이프 본체(20)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상면시트(23) 및 하면시트(24)의 접합된 세 변 중 한 변이 띠 형상 시트의 접힌 부분에 상당하고, 나머지 두 변이 용착된 부분에 상당한다.
즉, 봉지 형상부(21)는, 일단에 개구(25)가 형성된 봉지 형상이면 된다. 또한, 띠 형상부(22)는, 봉지 형상부(21)의 개구(25)의 둘레 방향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봉지 형상부(21) 중, 띠 형상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 상면시트(23)이고, 기타 영역이 하면시트(24)가 된다.
도 4는,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세 번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이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L1, L2)을 따라 접음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번 접힌다. 아래 드레이프 본체(20) 중, 가상선(L1, L2) 사이의 중앙부 영역을 「영역 C」로 표기하고, 가상선(L1, L2)을 사이에 두고 영역 C에 인접하는 양단부 영역을 「영역 R」, 「영역 L」로 표기한다.
영역 C, R, L의 폭방향 치수는, 대체로 일치한다. 또한, 렌즈 캡 유닛(30)의 부착 위치(즉, 관통공(27)의 위치)는, 영역 C이다. 그리고, 영역 R을 가상선(L1)에서 상면시트(23) 측으로 접고, 그 후에 영역 L을 가상선(L2)에서 상면시트(23) 측으로 접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C, R, L이 서로 겹치도록 세 번 접는다. 다만, 영역 R, L을 접는 순서는 역순이어도 된다.
도 5는, 세 번 접은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권취부재(40)로 권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권취부재(40)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또는 원통 형상)의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띠 형상부(22)의 연장단 측(봉지 형상부(21)와 반대측의 단부)으로부터 봉지 형상부(21) 측을 향해 권취부재(40)로 권취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상이 된다.
또한, 렌즈 캡 유닛(30)이 롤의 외주면 측에 위치하도록, 권취부재(40)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3단으로 접은 마이크로 드레이프(10) 중, 렌즈 캡 유닛(30)이 부착된 측과 반대측 면에 권취부재(40)를 당접시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권취 방향은 역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된 상태로 포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수술 현미경(1)에 부착되기 전에 작업자에 의해 권취부재(40)로 권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 도 9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수술 현미경(1)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수술 현미경(1)에 부착하기 직전의 마이크로 드레이프(1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렌즈 캡 유닛(30)을 하우징(8)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권취부재(40)로부터 드레이프 본체(20)를 풀어 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수술 현미경(1)에 부착하는 순서(즉, 부착 방법)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작업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부재(40)에 권취된 드레이프 본체(20)를 개구(25)의 위치까지 풀어 준다(S1). 환언하면, 작업자는 봉지 형상부(21) 및 띠 형상부(22) 중, 봉지 형상부(21)만을 권취부재(40)로부터 풀어 낸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표식(26)이 노출될 때까지 드레이프 본체(20)를 권취부재(40)에서 풀어 내면 된다. 이것에 의해, 봉지 형상부(21)의 접힌 영역(R, L)을 폭 방향으로 전개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봉지 형상부(21)의 내측으로부터 렌즈 캡 유닛(30)을 노출시켜, 대물렌즈(6)의 하우징(8)에 장착한다(S2). 렌즈 캡 유닛(30)의 형상 및 하우징(8)에의 부착 방법은, 도 10 ~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현미경(1)의 상면을 따라 권취부재(40)로부터 띠 형상부(22)를 풀어 낸다(S3). 다음으로, 작업자는 띠 형상부(22)의 접힌 영역(R, L)을 폭 방향으로 전개한다(S4). 또한,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부(22)로 수술 현미경(1)을 덮은 상태에서, 대응하는 결합부(28a&29a, 28b&29b, 28c&29c)를 결합한다(S5). 이것에 의해, 수술 현미경(1)에 대한 마이크로 드레이프(10)의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도 10은, 보호렌즈 홀더(32)를 착탈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30)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보호렌즈 홀더(32)를 착탈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30)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보호렌즈 홀더(32)를 사용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30)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보호렌즈 홀더(32)를 사용 위치로 한 렌즈 캡 유닛(30)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캡 유닛(30)은, 렌즈 캡(31)과, 보호렌즈 홀더(32)와, 조인트(33)와, 보호렌즈(34)를 주로 구비한다. 렌즈 캡 유닛(30)은, 드레이프 본체(20)의 관통공(27)에 부착된다. 일례로서, 보호렌즈 홀더(32) 또는 보호렌즈(34)의 외주면에 관통공(27)의 주연부가 용착된다. 다른 예로서, 축 방향으로 분할된 보호렌즈 홀더(32)에, 드레이프 본체(20)의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관통공(27)의 주연부를 끼워 넣어도 된다. 즉, 렌즈 캡(31)은, 보호렌즈 홀더(32) 또는 보호렌즈(34)를 통해, 간접적으로 드레이프 본체(20)에 부착된다.
렌즈 캡(31)은, 대물렌즈(6)의 하우징(8)에 착탈되는 부분이다. 렌즈 캡(31)은, 원통의 원주 방향 일부를 개방한 형상이다. 즉, 렌즈 캡(31)은, 대물렌즈(6)의 광축(L0,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 형상(C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렌즈 캡(31)은,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등)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캡(31)은, 개방된 부분이 접촉 및 분리되도록 탄성적으로 확대 및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호렌즈 홀더(32)는,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보호렌즈 홀더(32)의 외형 치수는 자연 상태(확경되지 않은 상태)의 렌즈 캡(31)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보호렌즈 홀더(32)의 축 방향의 일단(도 14의 하단)은, 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한편, 보호렌즈 홀더(32)의 축 방향의 타단(도 14의 상단)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즉, 보호렌즈 홀더(32)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보호렌즈 홀더(32)의 축 방향의 길이는 다르다. 그리고, 보호렌즈 홀더(32)는, 축 방향의 일단 측에서, 보호렌즈(34)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보호렌즈 홀더(32)는, 조인트(33)를 통해 렌즈 캡(3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조인트(33)는, 광축(L0)에 직교하는 회동축선(L3) 주위에, 렌즈 캡(31)에 대해 보호렌즈 홀더(3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인트(33)는, 렌즈 캡(31)의 내주면과 보호렌즈 홀더(32)의 외주면 중 축 방향 길이가 가장 짧은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즉, 보호렌즈 홀더(32)의 축방향 길이는, 원통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조인트(33)의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길어진다. 그리고, 보호렌즈 홀더(3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착탈 위치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사용 위치 사이를, 렌즈 캡(31)에 대하여 회동한다.
착탈 위치는, 렌즈 캡 유닛(30)을 하우징(8)에 착탈할 때의 보호렌즈 홀더(32)의 위치이다. 착탈 위치의 보호렌즈 홀더(32)는, 렌즈 캡(31)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렌즈 캡(31)을 탄성 확경시킨다. 이것에 의해, 렌즈 캡(31)의 내경 치수는, 상정되는 하우징(8)의 외형 치수보다 커진다. 또한, 착탈 위치의 보호렌즈 홀더(32)는, 광축(L0)과 직교한 상태에서 보호렌즈(34)를 지지한다.
사용 위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10)로 덮은 수술 현미경(1)을 사용할 때 보호렌즈 홀더(32)의 위치이다. 사용 위치의 보호렌즈 홀더(32)는, 렌즈 캡(31)의 내측에서 대물렌즈(6)와 반대쪽으로 빠져 나와 렌즈 캡(31)을 축경시킨다. 이것에 의해, 렌즈 캡(31)의 내주면이 하우징(8)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렌즈 캡 유닛(30)이 하우징(8)에 고정된다. 또한, 사용 위치의 보호렌즈 홀더(32)는, 광축(L0)에 대하여 보호렌즈(34)를 경사지게 한다.
보호렌즈(34)는, 빛을 투과하는 재료(예를 들어 유리, 수지 등)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렌즈이다. 다만, 보호렌즈(34)의 형상은, 평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 형상으로 융기된 곡면 렌즈이어도 된다. 보호렌즈(34)는, 보호렌즈 홀더(32)의 축방향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즉, 보호렌즈(34)는, 보호렌즈 홀더(32) 및 조인트(33)을 통해서 렌즈 캡(31)에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보호렌즈(34)는, 수술 현미경(1)의 대물렌즈(6)를 보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캡 유닛(30)을 하우징(8)에 장착했을 때, 보호렌즈(34)는 대물렌즈(6)에 대면한다. 그리고 보호렌즈(34)를 통과한 외광이 대물렌즈(6)에 입사한다. 또한, 보호렌즈(34)는, 광축(L0)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수술 현미경(1)의 입사광 반사나 섬광(glare)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14 ~ 도 17을 참조하여, 수술 현미경(1)의 하우징(8)에 렌즈 캡 유닛(30)을 부착하는 방법(즉, 도 9의 스텝 S21~S22)을 설명한다. 도 14는, 렌즈 캡 유닛(30)을 하우징(8)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렌즈 캡(31)을 하우징(8)에 외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렌즈 캡(31)을 하우징(8)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작업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형상부(21, 도 14에서는 도시 생략)의 내측으로부터 노출시킨 렌즈 캡(31)을, 하우징(8)의 하방에 세팅한다. 이때의 보호렌즈 홀더(32)는, 착탈 위치이다. 이에 따라, 탄성 확경한 렌즈 캡(31)의 내경 치수는 하우징(8)의 외형 치수보다 큰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렌즈 홀더(32)를 착탈 위치로 한 상태에서 렌즈 캡(31)을 축 방향으로부터 하우징(8)으로 외삽한다(S21). 이 상태에서는 아직 렌즈 캡(31)이 하우징(8)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렌즈 캡(31)의 위치를 지지해 둘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렌즈 홀더(32)를 착탈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회동시킨다(S22). 이것에 의해, 렌즈 캡(31)이 축경되어, 하우징(8)에 고정된다. 또한, 대물렌즈(6)의 광축(L0)에 대하여 보호렌즈(34)가 경사진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면 아래의 작용효과를 가진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호렌즈 홀더(32)를 착탈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렌즈 캡(31)이 하우징(8)에 고정됨과 아울러, 대물렌즈(6)의 광축(L0)에 대해 보호렌즈(34)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캡(31)을 탄성 확경시킨 상태에서, 하우징(8)에 축 방향에서 외삽시킬 수 있으므로, 렌즈 캡(31)을 하우징(8)에 저항 없이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술 현미경(1)에의 렌즈 캡 유닛(30)의 부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호렌즈 홀더(32)의 축 방향 길이가 가장 짧은 위치에 조인트(33)를 부착함으로써, 보호렌즈 홀더(32)가 렌즈 캡(31)으로부터 벗어날 때까지의 각도(즉, 착탈 위치와 사용 위치와의 각도차)가 작아진다. 그 결과, 사용 위치에서 보호렌즈(34)의 경사 각도 선택지가 넓어진다.
또한, 보호렌즈 홀더(32)의 사용 위치는, 한 곳이 아니어도 된다. 환언하면, 선택 가능한 보호렌즈(34)의 경사 각도는, 한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보호렌즈 홀더(32)는, 광축(L0)에 대해, 보호렌즈(34)를 제1 각도(예를 들면 60°)로 경사지게 하는 제1 사용위치와. 광축(L0)에 대해 보호렌즈(34)를 제2 각도(예를 들면 45°)로 경사지게 하는 제2 사용위치로, 렌즈 캡(31)에 대해 회동해도 된다. 또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는 서로 다른 각도라면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렌즈 홀더(32)의 축방향 타단부에 보호렌즈(34)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보호렌즈 홀더(32)에 보호렌즈(34)를 지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보호렌즈 홀더(32)에는 원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보호렌즈(34)는, 슬릿에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해도 된다. 즉, 보호렌즈 홀더(32)는, 슬릿에 삽입된 보호렌즈(34)를 지지해도 된다. 이에 따라, 보호렌즈(34)를 용도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봉지 형상부(21) 및 띠 형상부(22)로 드레이프 본체(20)를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수술 현미경(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드레이프 본체(20)가 처져서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그 결과,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 채,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수술 현미경(1)에 쉽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구(25)의 외연에 표식(26)을 부가함으로써, 드레이프 본체(20)를 개구(25)의 위치까지 권취부재(40)로부터 풀어 내는 작업(도 9의 스텝 S1)이 용이해진다. 즉, 작업자는 도 9의 스텝 S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식(26)이 노출될 때까지 드레이프 본체(20)를 풀어 내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띠 형상부(22)의 폭 방향 양변에 결합부(28a~28c, 29a~29c)를 설치하였으므로, 수술 현미경(1)의 상면을 따라 배치한 띠 형상부(22)로 암(2~5) 등을 덮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부(22)의 연장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 결합부(28a~28c, 29a~29c)를 설치함으로써, 띠 형상부(22)로 수술 현미경(1)을 덮었을 때의 간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권취부재(40)에 권취된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수술 현미경(1)의 상면을 따라 풀어줌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 채 드레이프 본체(20)를 수술 현미경(1)에 씌우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이크로 드레이프(10, 드레이프 본체 20)를 세 번 접힌 상태에서 권취부재(40)에 권취함으로써, 사용하기 전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 드레이프(10)의 수송이나 보관이 용이해진다.
또한, 마이크로 드레이프(10, 드레이프 본체 20)를 접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3 및 도 4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은, 영역(R, L)을 겹치지 않고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세 번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더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의 공통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L4, L5)을 따라 상면시트(23) 측으로 접을 수 있다. 가상선(L4, L5)은, 도 3에 나타내는 가상선(L1, L2)과 비교하여,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영역(C)의 폭 방향 치수는, 영역(R, L)보다 크다(2배). 이에 따라 도 17의 하단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영역(R, L) 각각의 폭 방향의 단부가 드레이프 본체(20)의 중앙에서 접하도록 세 번 접는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7의 하단과 같이 세 번 접힌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이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L6, L7)을 따라, 상면시트(23) 측으로 더 접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 드레이프(10)를 폭 방향으로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드레이프 본체(20)와,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 렌즈 캡 유닛(30)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 드레이프(10)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드레이프 본체(20)와, 일반적인 원통 형상의 렌즈 캡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 드레이프는 일반적인 봉지 형상(통 형상)의 드레이프 본체와, 도 10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렌즈 캡 유닛(30)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수술 현미경, 2 ~ 5…암, 6…대물렌즈, 7…접안렌즈, 8…하우징, 10…마이크로 드레이프, 20…드레이프 본체, 21…봉지 형상부, 22…띠 형상부, 23…상면시트, 24…하면시트, 25…개구, 26…표식, 27…관통공, 28a ~ 28c, 29a ~ 29c…결합부, 30…렌즈 캡 유닛, 31…렌즈 캡, 32…보호렌즈 홀더, 33…조인트, 34…보호렌즈, 40…권취부재

Claims (5)

  1. 수술 현미경의 대물렌즈 하우징에 탈착되는 렌즈 캡과,
    상기 대물렌즈를 보호하는 보호렌즈와,
    상기 수술 현미경을 덮는 드레이프 본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에 있어서,
    상기 렌즈 캡은, 원통의 원주 방향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 형상이며,
    자연 상태의 상기 렌즈 캡의 내경 치수보다 외경 치수가 큰 원통으로, 상기 보호렌즈를 지지하는 보호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캡에 대해서, 상기 보호렌즈 홀더를,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회동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 캡은, 상기 드레이프 본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에 부착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렌즈 캡의 내주면과 보호렌즈 홀더의 외주면 중 축 방향 길이가 가장 짧은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보호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캡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렌즈 캡을 탄성 확경시키는 착탈 위치와,
    상기 렌즈 캡의 내측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반대 측으로 빠져 나와, 상기 렌즈 캡을 축경시킴과 함께, 상기 광축에 대하여 상기 보호렌즈를 경사지게 하는 사용 위치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위치의 상기 보호렌즈 홀더는, 상기 광축과 직교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렌즈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렌즈 홀더의 축 방향 길이는, 원통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위치로부터 멀수록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이프 본체는,
    직사각형의 상면시트 및 하면시트의 세 변이 서로 접합되고, 나머지 한 변이 개구를 획정하는 봉지 형상부와,
    상기 상면시트의 상기 개구를 획정하는 변으로부터 연장된 띠 형상의 띠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캡은, 상기 하면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드레이프.
  5. 제1항의 마이크로 드레이프를 상기 수술 현미경에 부착하는 부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렌즈 홀더를 상기 착탈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캡을 축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외삽하고,
    상기 보호렌즈 홀더를 상기 착탈 위치에서 상기 사용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축경된 상기 렌즈 캡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방법.






KR1020237009472A 2022-05-23 2022-05-23 마이크로 드레이프 및 그 부착 방법 Active KR102574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2/021089 WO2023228242A1 (ja) 2022-05-23 2022-05-23 マイクロドレープ及びその取付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806B1 true KR102574806B1 (ko) 2023-09-04

Family

ID=8292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472A Active KR102574806B1 (ko) 2022-05-23 2022-05-23 마이크로 드레이프 및 그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83125B2 (ko)
JP (1) JP7122054B1 (ko)
KR (1) KR102574806B1 (ko)
CN (1) CN116456929B (ko)
IL (1) IL301779A (ko)
TW (1) TWI822589B (ko)
WO (1) WO2023228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10099A1 (de) 2023-04-20 2024-10-24 avateramedical GmBH Sterilabdeckung einer Robotereinheit zur robotergestützten Chirurgie
US20250152288A1 (en) 2023-11-10 2025-05-15 Meilleur Co., Ltd. Microscope drap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4454A (en) * 1998-12-04 2000-02-15 Ph Medical, Inc. Microscope drape system
US7232230B2 (en) * 2003-03-24 2007-06-19 Bala Andrew J Surgical microscope drape with removable lens assembly
US7234824B2 (en) * 2003-09-22 2007-06-26 Langley Nicholas M Glare-elimination device for surgical microscopes
US20100238551A1 (en) * 2009-03-19 2010-09-23 Hubbs Charles M Surgical microscope drape lens for reducing glare
US8155755B2 (en) * 2005-08-29 2012-04-10 Dignity Health Disposable sheath for telementry leads of a monitoring device
KR20170107210A (ko) 2016-03-15 2017-09-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컨트롤러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156718B2 (en) * 2015-12-11 2018-12-18 Carl Zeiss Meditec Ag Protection glass adapter for a surgical microscope
KR20220003806A (ko) 2020-07-02 2022-01-11 우 진 박 레이저치료기가 구성된 베개타입의 목 견인기
KR102441193B1 (ko) * 2014-03-17 2022-09-07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수술용 드레이프와 수술용 드레이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부착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663A (en) 1979-11-13 1981-05-12 Carl Zeiss, Inc. Surgical drape for an operating microscope
US6876503B1 (en) * 2003-10-28 2005-04-05 Contour Fabricators, Inc. Microscope drape lens protective cover assembly
US20080144178A1 (en) * 2006-12-13 2008-06-19 Microtek Medical, Inc. Microscope drape lens cov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AR081564A1 (es) * 2011-06-02 2012-10-03 Desarrollos Tecnologicos Device S R L Un dispositivo de extraccion de elementos contenidos en cavidades, que usa una bolsa para su extraccion y un aplicador
JP5632496B2 (ja) 2013-02-25 2014-11-26 三鷹光器株式会社 マイクロドレープ
CN204709007U (zh) * 2015-06-15 2015-10-21 杨峂 一次性医用无菌隔离防护套组件
CN110292483B (zh) * 2019-07-05 2021-09-17 山东省眼科医院 一种用于眼科激光手术的滤光防护结构
US11493755B2 (en) * 2020-06-30 2022-11-08 Meilleur Co., Ltd. Microscope drap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4454A (en) * 1998-12-04 2000-02-15 Ph Medical, Inc. Microscope drape system
US7232230B2 (en) * 2003-03-24 2007-06-19 Bala Andrew J Surgical microscope drape with removable lens assembly
US7234824B2 (en) * 2003-09-22 2007-06-26 Langley Nicholas M Glare-elimination device for surgical microscopes
US8155755B2 (en) * 2005-08-29 2012-04-10 Dignity Health Disposable sheath for telementry leads of a monitoring device
US20100238551A1 (en) * 2009-03-19 2010-09-23 Hubbs Charles M Surgical microscope drape lens for reducing glare
KR102441193B1 (ko) * 2014-03-17 2022-09-07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수술용 드레이프와 수술용 드레이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부착 센서
US10156718B2 (en) * 2015-12-11 2018-12-18 Carl Zeiss Meditec Ag Protection glass adapter for a surgical microscope
KR20170107210A (ko) 2016-03-15 2017-09-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컨트롤러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03806A (ko) 2020-07-02 2022-01-11 우 진 박 레이저치료기가 구성된 베개타입의 목 견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5756A (zh) 2023-12-01
CN116456929A (zh) 2023-07-18
JPWO2023228242A1 (ko) 2023-11-30
JP7122054B1 (ja) 2022-08-19
EP4306073A1 (en) 2024-01-17
TWI822589B (zh) 2023-11-11
WO2023228242A1 (ja) 2023-11-30
IL301779A (en) 2023-05-01
US20230414308A1 (en) 2023-12-28
CN116456929B (zh) 2023-10-31
US11883125B2 (en)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4806B1 (ko) 마이크로 드레이프 및 그 부착 방법
US5433221A (en) Windowed self-centering drape for surgical camera
US4799779A (en) Microscope drape
ES2658989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quirúrgica para un elemento de estanqueización quirúrgico y sistema de estanqueización quirúrgico
US4561540A (en) Microscope drape
JP6749532B1 (ja) マイクロドレープ
GB2029980A (en) Microscope drap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573581B1 (ko) 마이크로 드레이프 및 그 부착 방법
ES2832850T3 (es) Funda para cámara endoscópica y recipiente
JP5632496B2 (ja) マイクロドレープ
US5501652A (en) Self-examination otoscope
JP2988981B2 (ja) 手術用顕微鏡用ドレープ
JP7405483B1 (ja) マイクロドレープ
CN211985381U (zh) 一种耐高温高压消毒输尿管肾镜
TWI884091B (zh) 微防護袋
TW202519180A (zh) 微防護袋
CN205402360U (zh) 一种手术灯
JPH0520102B2 (ko)
JPH02193635A (ja) 内視鏡のライトガイド体彎曲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