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76B1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4476B1 KR102574476B1 KR1020180164308A KR20180164308A KR102574476B1 KR 102574476 B1 KR102574476 B1 KR 102574476B1 KR 1020180164308 A KR1020180164308 A KR 1020180164308A KR 20180164308 A KR20180164308 A KR 20180164308A KR 102574476 B1 KR102574476 B1 KR 102574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ume
- audio content
- audio signal
- hash address
- audi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90—Pitch determination of speech signal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2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power inform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06F16/2255—Hash tabl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93—Discriminating between voiced and unvoiced parts of speech signal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89—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종래기술에 따라 산출되는 보상 이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산출되는 보상 이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보상 이득이 적용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0: 통신망
120: 오디오 컨텐츠 제공 서버
130: 단말 장치
140: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200: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210: 통신부
220: 메모리
230: 제어부
Claims (20)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상기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하는 단계;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량은,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제1 구간에 포함되는 음량이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구간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계수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큰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량을 포함하는 음량 정보 및 상기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계산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삭제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상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상기 보상 이득만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며,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상기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하고,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대표 음량을 제1 음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구간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큰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음량을 포함하는 대표 음량 정보 및 상기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계산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상 이득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상기 보상 이득만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308A KR102574476B1 (ko) | 2018-12-18 | 2018-12-18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US16/713,231 US10991383B2 (en) | 2018-12-18 | 2019-12-13 | Method of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nd device therefor |
PCT/KR2019/017790 WO2020130526A1 (en) | 2018-12-18 | 2019-12-16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308A KR102574476B1 (ko) | 2018-12-18 | 2018-12-18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5528A KR20200075528A (ko) | 2020-06-26 |
KR102574476B1 true KR102574476B1 (ko) | 2023-09-05 |
Family
ID=7107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4308A Active KR102574476B1 (ko) | 2018-12-18 | 2018-12-18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991383B2 (ko) |
KR (1) | KR102574476B1 (ko) |
WO (1) | WO20201305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1181A (ko) * | 2022-12-23 | 2024-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4515A (ko) | 1997-05-23 | 1998-12-05 | 배순훈 | 브이시알의 재생음량 자동 조절방법 |
KR100713401B1 (ko) * | 2000-08-22 | 2007-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 |
US7242784B2 (en) | 2001-09-04 | 2007-07-10 | Motorola Inc. | Dynamic gain control of audio in a communication device |
JP4583781B2 (ja) | 2003-06-12 | 2010-11-17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音声補正装置 |
KR100812028B1 (ko) | 2006-06-15 | 2008-03-10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
KR101520938B1 (ko) | 2013-04-26 | 2015-05-18 | 미디어젠(주) | 음량 크기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음량측정방법 |
KR101679712B1 (ko) | 2014-12-10 | 2016-11-28 | 전자부품연구원 | 오디오 음량 측정 방법 및 장치 |
US10997236B2 (en) * | 2015-04-27 | 2021-05-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dio content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
US10795637B2 (en) | 2017-06-08 | 2020-10-06 | Dts, Inc. | Adjusting volume levels of speakers |
-
2018
- 2018-12-18 KR KR1020180164308A patent/KR102574476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12-13 US US16/713,231 patent/US10991383B2/en active Active
- 2019-12-16 WO PCT/KR2019/017790 patent/WO202013052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이상운 et.al, 디지털 TV 방송음량에 대한 연구, 통신위성우주산업연구회논문지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Dec. 2013, Vol.8, no.4, pp.105-1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94030A1 (en) | 2020-06-18 |
KR20200075528A (ko) | 2020-06-26 |
US10991383B2 (en) | 2021-04-27 |
WO2020130526A1 (en) | 2020-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01588B2 (ja) | 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オーディオ信号バランシング法 | |
US1197277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playback | |
US10088978B2 (en) | Country-specific content recommendations in view of sparse country data | |
US10686420B2 (en) |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udness level | |
US11489748B2 (en) | Generating playback configurations based on aggregated crowd-sourced statistics | |
US9258583B2 (en) | Content rating | |
US20200193480A1 (en) | Multiple Playback Local Ad Rotation | |
US11869517B2 (en) | Downmixed signal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20070233693A1 (en) | Configuring a communication protocol of an interactive media system | |
KR20140056616A (ko) | 콘텐츠 재생 속도 테이블 생성 서버, 디바이스 및 방법 | |
CN104168431A (zh) | 一种音量调节方法、装置和一种机顶盒 | |
KR102708892B1 (ko) | 자동 볼륨 조정 방법, 장치, 매체 및 기기 | |
CN110769355A (zh) | 一种音频设备的音效调整方法、系统和存储介质 | |
KR102574476B1 (ko)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
KR20230104553A (ko) |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라우드니스 레벨을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
WO2020062743A1 (zh) | 视频码率调整方法以及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KR20210027707A (ko) | 라우드니스 정규화 방법 및 시스템 | |
US10019987B2 (en) | Audible proximity messaging | |
US20230140805A1 (en) | Network path selection in a single service set id | |
JP5020838B2 (ja) | 視聴反応共有システム、視聴反応管理サーバ及び視聴反応共有方法 | |
CN111343497A (zh) | 播放设备的音效调整方法、播放设备以及存储介质 | |
US20070239718A1 (en) | Configuring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performance metrics | |
US11678010B1 (en) | Method of improving audio for a published video | |
TW201931862A (zh) | 動態調整串流播放的系統及方法 | |
CN110856028B (zh) | 一种媒体数据的播放方法、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