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3784B1 -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784B1
KR102573784B1 KR1020160018962A KR20160018962A KR102573784B1 KR 102573784 B1 KR102573784 B1 KR 102573784B1 KR 1020160018962 A KR1020160018962 A KR 1020160018962A KR 20160018962 A KR20160018962 A KR 20160018962A KR 102573784 B1 KR102573784 B1 KR 10257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zine
dithiol
aluminum alloy
monosodiu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337A (ko
Inventor
손상익
김아성
김욱태
조규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7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4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알루미늄합금 및 수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는 알루미늄합금, 보헤마이트 피막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에 접착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ALUMINIUM ALLOY-RESIN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알루미늄합금 및 수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에는 끊임없는 디자인 및 기능의 혁신이 요구된다. 전자제품의 일 예로써 모바일 제품의 경우, 세련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금속소재가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금속소재는 전파차단이라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금속소재-수지 복합체의 사용이 고려되었다. 금속소재-수지 복합체를 사용할 경우,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함과 동시에 전파차단이라는 제품의 기능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금속소재-수지 복합체에 있어서, 금속소재 및 수지 사이의 결합력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금속소재 및 수지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알루미늄합금 및 수지 사이의 단단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단순한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는 알루미늄합금, 보헤마이트 피막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에 접착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보헤마이트 피막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보헤마이트 피막 및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여기서, R은 SM3, OR1, SR1, NHR1 또는 N(R1)2를 나타내고, R1은 알킬기, 알케닐기, 페닐기, 페닐 알킬기, 알킬 페닐기 또는 시클로 알킬기를 나타내고, M1, M2, M3는 서로 독립적으로 H, Na, Li, K, 1/2BA, 1/2CA, 지방족 제1급 내지 제3급 아민염 또는 지방족 제4급 암모늄염을 나타낸다.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는 1,3,5-triazine-2,4,6-trithiol(TT,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1,3,5-triazine-2,4,6-trithiol monosodium(TTM,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모노나트륨), 1,3,5-triazine-2,4,6-trithiol triethanolamine(F-TE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트리에탄올아민), 6-anilino-1,3,5-triazine-2,4-dithiol(AF, 6-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anyl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AFN, -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DB,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BN,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DA,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AN,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1,3,5-triazine-2,4,6-trithiol di(tetrabutylammonium salt)(F2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디(테트라부틸암모늄 염)),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tetrabutylammonium salt(DBA,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테트라부틸암모늄염),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DO,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ON,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LN,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ST,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STK,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및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OLK,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무전해 공정 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60℃이상 100℃이하의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을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30초이상 1200초이하 침지시키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합금을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에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보헤마이트 피막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보헤마이트 피막 및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여기서, R은 SM3, OR1, SR1, NHR1 또는 N(R1)2를 나타내고, R1은 알킬기, 알케닐기, 페닐기, 페닐 알킬기, 알킬 페닐기 또는 시클로 알킬기를 나타내고, M1, M2, M3는 서로 독립적으로 H, Na, Li, K, 1/2BA, 1/2CA, 지방족 제1급 내지 제3급 아민염 또는 지방족 제4급 암모늄염을 나타낸다.
상기 접착층은 무전해 공정 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60℃이상 100℃이하의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을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30초이상 1200초이하 침지시키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 피막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을 통해 알루미늄합금 및 수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헤마이트 피막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을 통해 알루미늄합금 및 수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방수성능을 가지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구현이 가능하다.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강산과 같은 유해물질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공정이 비교적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다.
접착층은 무전해 공정 하에서 형성 가능하므로 전기설비 등이 불필요한 바, 단순한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가 적용된 전자제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가 적용된 전자제품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인장강도를 보여주는 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접착층을 나타내는 SEM사진
도 7은 도 5의 제 1비교예의 접착층을 나타내는 SEM사진
도 8은 도 5의 제 3비교예의 접착층을 나타내는 SEM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접착층 생성 온도 내지 시간에 따른 인장강도를 보여주는 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방수성능을 보여주는 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용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알루미늄합금(10)은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SEM사진에 표시된 단위 um은 μm를 의미한다. 이하, 도 11에 기재된 도면번호 "2"는 테스트용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가 적용된 전자제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가 적용된 전자제품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는 세련된 디자인 구축을 위해 휴대전화(100)의 외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는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외관에 적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제품은 휴대전화(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뿐만 아니라, 냉장고, 에어컨 등과 같이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디자인적 차별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모든 전자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는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합금(10)은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합금은 일본공업규격(JIS)에 규정되어 있는 전신용 알루미늄 합금의 A1000번대 내지 7000번대(내식 알루미늄합금, 고력 알루미늄합금, 내열 알루미늄합금 등) 등의 모든 합금 및 ADC 1 내지 12종(다이캐스트(die-cast)용 알루미늄합금) 등의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형상물로서는, 주조용 합금 등이면 다이캐스트법으로 형상화된 부품, 또 그것을 더 기계 가공하여 형상을 가지런히 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전신용 합금으로는 중간재인 판재 기타, 또 그들을 열프레스(heat press) 가공 등의 기계 가공을 가하여 형성한 부품도 사용할 수 있다.
수지(20)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지(20)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일 성분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는 접착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30)은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30)은 보헤마이트 피막(AlO(OH))(31)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결합에 의해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30)은 수산화알루미늄 피막(Al(OH)3)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결합에 의해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층(30)은 보헤마이트 피막(31)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화학적 결합 내지 수산화알루미늄 피막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층(30)은 보헤마이트 피막(31) 내지 수산화알루미늄 피막에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말단 티올 관능기가 화학적 결합을 함으로써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착층(30)이 보헤마이트 피막(31)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트리아진 티올(triazine thiol)계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여기서, R은 SM3, OR1, SR1, NHR1 또는 N(R1)2를 나타낸다. R1은 알킬기, 알케닐기, 페닐기, 페닐 알킬기, 알킬 페닐기 또는 시클로 알킬기를 나타낸다. M1, M2, M3는 서로 독립적으로 H, Na, Li, K, 1/2BA, 1/2CA, 지방족 제1급 내지 제3급 아민염 또는 지방족 제4급 암모늄염을 나타낸다.
트리아진 티올(triazine thiol)계 유도체(32)는 1,3,5-triazine-2,4,6-trithiol(TT,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1,3,5-triazine-2,4,6-trithiol monosodium(TTM,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모노나트륨), 1,3,5-triazine-2,4,6-trithiol triethanolamine(F-TE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트리에탄올아민), 6-anilino-1,3,5-triazine-2,4-dithiol(AF, 6-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anyl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AFN, -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DB,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BN,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DA,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AN,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1,3,5-triazine-2,4,6-trithiol di(tetrabutylammonium salt)(F2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디(테트라부틸암모늄 염)),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tetrabutylammonium salt(DBA,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테트라부틸암모늄염),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DO,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ON,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LN,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ST,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STK,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및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OLK,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접착층(30)은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보헤마이트 피막(31)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헤마이트 피막(31)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지(20)는 접착층(30)에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20)는 접착층(30)의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와 결합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 피막(31) 내지 수산화알루미늄 피막은 수지(20)와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3을 참조한다.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합금 표면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의 제조방법은 성형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합금(10)의 형상을 기계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알루미늄합금(10)의 가공공정(P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합금(10)의 전처리 공정(P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공정(P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의 제조방법은 건조공정(P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의 제조방법은 접착층(30)에 수지(20)를 사출 성형하는 성형공정(P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합금(10)의 가공공정(P1)은 알루미늄합금(10)의 형상을 기계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공정이다. 일 예로써, 알루미늄합금(10)의 가공공정(P1)은 프레스 공정, CNC 공정, 다이캐스트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의 가공공정(P1)이 완료되면 알루미늄합금(10)의 전처리공정(P2)이 수행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의 전처리공정(P2)은 알루미늄합금(10)의 탈지공정(S1)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에는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에는 유지류나 먼지가 존재할 수 있다. 기계 가공된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에는 기계 가공 시에 사용되는 냉각액, 부스러기 등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알루미늄합금(10)의 탈지공정(S1)이 필요하다. 알루미늄합금(10)의 탈지공정(S1)은 40℃이상 60℃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합금(10)의 탈지공정(S1)은 2분이상 5분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지액을 구성하는 물질은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인 알루미늄합금 세척용 상용품을 이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의 탈지공정(S1)은 산성물질과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산성 탈지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공정(P2)은 알칼리 에칭공정(S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알칼리 에칭공정(S2)은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알루미늄 산화막을 제거함으로써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에 접착층(30)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알칼리 에칭공정(S2)은 30℃이상 50℃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에칭공정(S2)은 1분이상 2분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지액을 구성하는 물질은 알루미늄합금(10)을 에칭시킬 수 있는 염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지액을 구성하는 물질은 수산화 나트륨(NaOH)이나 수산화 칼륨(KOH)등과 같은 수산화 알칼리금속류의 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공정(P2)은 디스머트공정(desmut)(S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머트공정(S3)을 통해 알루미늄합금(10)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칼리 에칭공정(S2) 이후 수산화나트륨 및 마그네슘, 동, 규소 등과 같은 알루미늄합금(10)내에 고용되어 있던 금속이 알칼리 에칭(S2)공정에서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알루미늄합금(10) 표면에 수산화물 내지 그 외의 조성물이 되어 존재할 수 있다. 디스머트(S3)는 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디스머트(S3)는 20℃이상 40℃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머트(S3)는 1분이상 3분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머트(S3)공정 시 산수용액이 탈지액을 구성하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산수용액은 질산, 황산, 희초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의 전처리공정(P2)이 완료되면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공정(P3)이 수행될 수 있다. 접착층 형성공정(P3)은 60℃이상 100℃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 형성공정(P3)은 30초이상 1200초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접착층(30)은 알루미늄합금(10)의 전처리공정(P2)을 거친 알루미늄합금(10)을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30초이상 1200초이하의 시간 동안 침지시켜 얻을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을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시키면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보헤마이트 피막(31)이 형성될 수 있다.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는 보헤마이트 피막(31)과 화학적 결합을 이루어 접착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층(30)은 보헤마이트 피막(31)에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말단 티올 관능기가 화학적 결합을 함으로써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보헤마이트 피막(31)이 형성되는 것과 보헤마이트 피막(31)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32)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층(30)이 형성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알루미늄합금(10)을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것만으로 알루미늄합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층(3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접착층(30) 형성공정이 단순하고, 접착층(30)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접착층(30)은 무전해 공정 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접착층(30)을 형성하기 위해 알루미늄합금(10)을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시키면 충분하고, 전기중합이라는 별도의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중합을 위한 전기설비가 불필요하므로 시설투자비 내지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전기중합공정에서는 황산과 같은 강산이 사용되는데, 황산은 접착층 형성공정(P3)이 수행되는 60℃이상의 온도에서 가스로 비산될 수 있어 안전문제를 초래할 여지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접착층(30)은 무전해 공정 하에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 제조공정,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접착층 형성공정(P3)이 완료되면 접착층(30)이 형성된 알루미늄합금(10)을 건조시키는 건조공정(P4)이 수행될 수 있다.
건조공정(P4)은 접착층(30)이 형성된 알루미늄합금(10)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다시 말하면, 건조공정(P4)은 접착층(30)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건조공정(P4)은 60℃이상 70℃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공정(P4)은 300초이상 900초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공정(P4)이 완료되면 접착층(30)에 수지(20)를 사출 성형하는 성형공정(P5)이 수행될 수 있다.
성형공정(P5) 시, 금형온도 내지 사출온도는 높을수록 좋으나, 무리하게 온도를 높일 필요는 없다. 성형공정(P5)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통상의 사출성형공정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성형공정(P5) 시, 수지(20)가 접착층(30)에 접착됨으로써 단단한 결합력을 가지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를 형성할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본 발명과 같이 접착층(30)을 이용하여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를 결합시키는 방안 대신 앵커 효과(anchor effect)를 통해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를 결합시키는 방안이 있다. 이는,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을 거칠게 만든 후 거칠어진 알루미늄합금(10)의 표면에 수지(20)를 침투시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 사이의 물리적 결합을 이용하여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 사이의 물리적 결합을 이용하여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1)를 형성하는 방안은, 다량의 강산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화상 가능성 및 인체 유해성 측면에서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합금(10)의 거친 표면에 수지(20)가 조밀하게 채워지기 어려워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접착층(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강산과 같은 유해물질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접착층(30)을 통해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 사이의 화학적 결합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합금(10) 및 수지(20)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전자 현미경 관찰
HR-SEM(High 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형의 전자 현미경 S-4800(히타치제작)을 사용하여 10kV이상 15kV이하에서 관찰하였다.
(b) 알루미늄합금과 수지간 접합강도 측정
만능재료시험기 TO-102(테스트원)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Al 6013 알루미늄합금과 접착)
시판되는 Al 6013 압출재를 입수하고 절단하여 40mm x 12mm x 3mm의 장방형 편을 다수 만들었다. 실험조에 물을 준비하고, 이것에 시판되는 알루미늄합금용 탈지제 「Al Clean paste(부림양행)」와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50℃, 각각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에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3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40℃로 NaOH(98%)을 투입하여 온도 40℃,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90초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다음에 다른 실험조에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25℃, 농도 7%의 수용액으로 하고, 조금 전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2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80℃로 1,3,5-트리아진-2,4-디티올-6-나트륨 티올레이트가 0.36g/L로 함유된 수용액을 준비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3분간 침지한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서 물로 온수세(60℃)하고 꺼내어 Air blower로 건조하였다. 이 후, 그 편 중 하나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무질서한 그물망 형태의 피막이 형성되고 그 형태가 수산화알루미늄 피막보다 말단부가 둥그런 모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수산화알루미늄 피막에 덮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을 도 6의 SEM사진에 나타냈다. 전술한 표면 처리가 된 5개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꺼내어, 140톤 수평사출기(Sodick)에 PBT/GF40% 수지로 도 11에 도시된 테스트용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와 같은 형상으로 사출한 후 인장 파단 시험을 한 결과, 평균 인장강도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2Mpa로 매우 강하였다.
<비교예 1> (Al 6013 알루미늄합금과 접착_수산화알루미늄 표면)
시판되는 Al 6013 압출재를 입수하고 절단하여 40mm x 12mm x 3mm의 장방형 편을 다수 만들었다. 실험조에 물을 준비하고, 이것에 시판되는 알루미늄합금용 탈지제 「Al Clean paste(부림양행)」와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50℃, 각각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에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3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40℃로 NaOH(98%)을 투입하여 온도 40℃,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90초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다음에 다른 실험조에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25℃, 농도 7%의 수용액으로 하고, 조금 전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2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온도 80℃의 수용액을 준비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3분간 침지하고 Air blower로 건조하였다. 이 후, 그 편 중 하나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무질서한 그물망 형태의 피막이 형성되었고, 이것이 수산화알루미늄 피막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을 도 7의 SEM사진에 나타냈다. 전술한 표면 처리가 된 5개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꺼내어,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사출한 이후에 인장 파단 시험을 한 바 수지와 접합을 이루지 못했다.
<비교예 2> (Al 6013 알루미늄합금과 접착_앵커 효과이용)
시판되는 Al 6013 압출재를 입수하고 절단하여 40mm x 12mm x 3mm의 장방형 편을 다수 만들었다. 실험조에 물을 준비하고, 이것에 시판되는 알루미늄합금용 탈지제 「Al Clean paste(부림양행)」와 질산을 투입하여, 50℃, 각각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에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5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25℃로 표면처리액을 준비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1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여기서, 표면처리액은 알칼리원과 양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험조에 30℃로 한 7%농도의 염산과 45%농도의 염화알루미늄 육수화물 수용액을 준비하고, 조금 전의 알루미늄 합금편을 2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25℃로 한 15%농도의 질산 수용액을 준비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2분간 침지한 후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상온의 초음파 수세조를 준비하고, 3분간 초음파 세정을 하였으며 70℃로 한 온풍 건조기에 15분 넣어 건조시켰다. 전술한 표면 처리가 된 5개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꺼내어,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사출한 이후에 인장 파단 시험을 한 결과, 평균 인장강도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8MPa로 나타났다.
<비교예 3> (Al 6013 알루미늄합금과 접착_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를 함유한 전기중합 표면처리)
시판되는 Al 6013 압출재를 입수하고 절단하여 40mm x 12mm x 3mm 의 장방형 편을 다수 만들었다. 실험조에 물을 준비하고, 이것에 시판되는 알루미늄합금용 탈지제 「Al Clean paste(부림양행)」와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50℃, 각각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에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3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40℃로 NaOH(98%)을 투입하여 온도 40℃,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60초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다음에 다른 실험조에 황산(98%)을 투입하여 온도 30℃, 농도 2%의 수용액으로 하고, 조금 전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2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온도 60℃의 황산(98%) 농도 5%와 DBN(98%) 농도 0.18g/L의 수용액을 준비하고, 음극에는 탄소봉, 양극에는 알루미늄합금 편을 연결하고 직류 전류 1A/dm2로 인가하여 준비된 용액에 15분간 침지한 후 잘 수세하였다. 처리된 알루미늄합금 편을 Air blower로 건조시킨 후, 그 편 중 하나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알루미늄합금 표면에 전기중합이 이루어지면서 알루미늄합금 표면에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을 도 8의 SEM사진에 나타냈다. 전술한 알루미늄합금 편을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사출한 이후에 인장 파단 시험을 한 결과, 평균 인장강도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2MPa로 나타났다.
<비교예 4> (Al 6013 알루미늄합금과 접착_알콕시실란을 함유한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를 이용한 표면처리)
시판되는 Al 6013 압출재를 입수하고 절단하여 40mm x 12mm x 3mm 의 장방형 편을 다수 만들었다.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온도가 40℃이고, 알칼리 성분이 30g/L(그 중 축합 인산염이 차지하는 비율은 50∼60%)인 약 pH9.5의 수용액에 5분간 침지하여 세척 처리하였다. 세척 처리 후,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순수한 물로 1분간 수세하였다. 이어서 농도 3g/L, pH8.0의 트리에탄올아민 수용액을 보헤마이트 처리액으로 이용하였다. 트리에탄올아민 수용액의 온도를 95℃로 하고,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트리에탄올아민 수용액에 15분간 침지했다. 그 결과, 알루미늄의 수화 산화물인 보헤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화합물 피막을 얻었다. 이 후,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알콕시실란 함유 트리아진 티올 유도체 용액 중에 침지하였다. 이용한 알콕시실란 함유 트리아진 티올 유도체는 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아미노트리아진티올모노소디움(Triethoxysilyl Propyl Amino Triazine dithiol monosodium)이고, 농도 0.7g/L가 되도록 에탄올 95:물 5(체적비)의 용매에 용해하여 알콕시실란 함유 트리아진 티올 유도체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실온에서 30분간 침지했다. 이어서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오븐 내에서 160℃로 10분간 열처리하고, 반응이 완료됨과 동시에 건조했다. 그리고, 농도 1.0g/L의 N,N'-m- 페닐렌디말레이미드(N,N'-1,3-페닐렌디말레이미드)과 농도 2g/L의 디큐밀 퍼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아세톤 용액에 실온에서 10분간 침지하고, 오븐 내에서 150℃로 10분간 열처리했다. 그 후,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의 표면 전체에 농도 2g/L의 디큐밀퍼옥사이드의 에탄올 용액을 실온으로 분무하고, Air blower로 건조시켰다. 전술한 알루미늄합금 편을 <실험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사출한 이후에 인장 파단 시험을 한 결과, 평균 인장강도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7.9MPa로 나타났다.
<실험예 2> (Al 6013 알루미늄합금과 접착_온도 별 실험)
시판되는 Al 6013 압출재를 입수하고 절단하여 40mm x 12mm x 3mm 의 장방형 편을 다수 만들었다. 실험조에 물을 준비하고, 이것에 시판되는 알루미늄합금용 탈지제 「Al Clean paste(부림양행)」와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50℃, 각각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에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3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40℃로 NaOH(98%)을 투입하여 온도 40℃,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90초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다음에 다른 실험조에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25℃, 농도 7%의 수용액으로 하고, 조금 전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2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1,3,5-트리아진-2,4-디티올-6-나트륨 티올레이트가 0.36g/L로 함유된 수용액을 준비하고, 온도는 60℃에서부터 10℃ 단위로 올려가며 100℃까지 알루미늄합금 편 5개씩 3분간 침지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서 물로 온수세(60℃)하고 꺼내어 Air blower로 건조시켰다. 전술한 표면처리가 된 총 25개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꺼내어, 140톤 수평사출기(Sodick)에 PBT/GF40% 수지로 도 11에 도시된 테스트용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와 같은 형상으로 사출한 후 인장 파단 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는 도 9에 나타냈다.
<실험예 3> (Al 6013 알루미늄합금과 접착_시간 별 실험)
시판되는 Al 6013 압출재를 입수하고 절단하여 40mm x 12mm x 3mm의 장방형 편을 다수 만들었다. 실험조에 물을 준비하고, 이것에 시판되는 알루미늄합금용 탈지제 「Al Clean paste(부림양행)」와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50℃, 각각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였다. 이것에 상기 장방형 편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3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40℃로 NaOH(98%)을 투입하여 온도 40℃, 농도 5%의 수용액으로 하고, 이것에 알루미늄합금 편을 90초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다음에 다른 실험조에 질산(70%)을 투입하여 온도 25℃, 농도 7%의 수용액으로 하고, 조금 전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2분간 침지하여 잘 수세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 80℃로 1,3,5-트리아진-2,4-디티올-6-나트륨 티올레이트가 0.36g/L로 함유된 수용액을 준비하고, 침지 시간을 30, 60, 120, 180, 300, 600, 1200초로 알루미늄합금 편 5개씩 각각 침지하였다. 이어서 다른 실험조에서 물로 온수세(60℃)하고 꺼내어 Air blower로 건조하였다. 전술한 표면처리가 된 총 35개의 알루미늄합금 편을 꺼내어, 140톤 수평사출기(Sodick)에 PBT/GF40% 수지로 도 11에 도시된 테스트용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와 같은 형상으로 사출한 후 인장 파단 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는 도 9에 나타냈다.
<실험예 4> (방수성능 테스트)
제조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방수 성능은 더 가혹한 조건인 Air leak 테스트로 대신했다. Air leak 테스트 조건은 약 100mm x 80mm x 7mm의 판 형태의 알루미늄합금의 내측 및 외측 일부분을 가공하고 <실험예 1>, <비교예 2>, <비교예 3>과 같은 방법으로 표면처리 하였다. 이후 PBT/GF40%함유 수지로 사출하여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제작했다. 제작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밀폐시킬 수 있는 지그를 제작한 후 프레스기계에 지그를 안착시킨다. 지그 위에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안착시키고 프레스기계를 작동시켜 위 아래로 지그를 밀착시켜 밀폐된 공간을 만들고 밀폐된 공간에 10kPa의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가 새는지 확인했다. 측정시간 10초 동안 주입된 공기압이 1% 이상 떨어지면 방수성능 실패로 판단하였고, 각 조건당 10개의 편을 측정하였다. 방수성능 테스트 결과는 도 10에 나타냈다. 도 10을 통해, <실험예 1>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에 비해 우수한 방수성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2: 테스트용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10: 알루미늄합금 20: 수지
30: 접착층 31: 보헤마이트 피막
32: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 100: 휴대전화
200: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5)

  1. 알루미늄합금;
    보헤마이트 피막 및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에 접착되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보헤마이트 피막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보헤마이트 피막 및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는 1,3,5-triazine-2,4,6-trithiol(TT,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1,3,5-triazine-2,4,6-trithiol triethanolamine(F-TE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트리에탄올아민), 6-anilino-1,3,5-triazine-2,4-dithiol(AF, 6-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anyl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AFN, -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DB,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BN,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DA,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AN,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1,3,5-triazine-2,4,6-trithiol di(tetrabutylammonium salt)(F2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디(테트라부틸암모늄 염)),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tetrabutylammonium salt(DBA,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테트라부틸암모늄염),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DO,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ON,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LN,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ST,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STK,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및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OLK,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무전해 공정 하에서 형성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60℃이상 100℃이하의 온도에서 형성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을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30초이상 1200초이하 침지시키면 형성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10. 알루미늄합금을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에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보헤마이트 피막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보헤마이트 피막 및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는 1,3,5-triazine-2,4,6-trithiol(TT,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1,3,5-triazine-2,4,6-trithiol triethanolamine(F-TE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트리에탄올아민), 6-anilino-1,3,5-triazine-2,4-dithiol(AF, 6-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anyl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AFN, -아닐리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DB,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BN,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DA,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all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AN, 6-디알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1,3,5-triazine-2,4,6-trithiol di(tetrabutylammonium salt)(F2A, 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디(테트라부틸암모늄 염)), 6-dibutylamino-1,3,5-triazine-2,4-dithiol tetrabutylammonium salt(DBA, 6-디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테트라부틸암모늄염),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DO,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thioct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ON, 6-디티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dilau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sodium(DLN, 6-디라우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나트륨),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ST,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6-steary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STK, 6-스테아릴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DL,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및 6-oleilamino-1,3,5-triazine-2,4-dithiol monopotassium(OLK, 6-올레일아미노-1,3,5-트리아진-2,4-디티올 모노칼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무전해 공정 하에서 형성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60℃이상 100℃이하의 온도에서 형성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알루미늄합금을 상기 트리아진 티올계 유도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30초이상 1200초이하 침지시키면 형성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60018962A 2016-02-18 2016-02-18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57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62A KR102573784B1 (ko) 2016-02-18 2016-02-18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62A KR102573784B1 (ko) 2016-02-18 2016-02-18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337A KR20170097337A (ko) 2017-08-28
KR102573784B1 true KR102573784B1 (ko) 2023-09-04

Family

ID=5975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962A Active KR102573784B1 (ko) 2016-02-18 2016-02-18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7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23B1 (ko) * 2011-08-10 2012-04-1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분자 수지-알루미늄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331B2 (ja) * 1993-09-07 2000-03-0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の製造方法
JP3432603B2 (ja) * 1994-07-18 2003-08-04 富士通株式会社 筐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23B1 (ko) * 2011-08-10 2012-04-1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분자 수지-알루미늄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337A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224B1 (ko) 쉘,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제품에서의 응용 방법
KR20140129211A (ko) 알루미늄 합금, 알루미늄 합금 수지 복합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2318814B (zh) 金属塑胶复合体、制备方法及装置
CN103895160B (zh) 一种不锈钢树脂复合体的制备方法
JP5969053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樹脂複合材及びその調製方法
JP5960847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樹脂複合材及びそれを調製する方法
JP5869153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樹脂複合材を調製する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アルミニウム合金樹脂複合材
KR101969920B1 (ko) 금속-수지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전자 제품의 쉘
JP6293062B2 (ja) 金属−樹脂複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268183A (zh) 铝或铝合金与塑料的复合体及其制作方法
CN103158227B (zh) 复合体及其制作方法
US2012004329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of metal and resin
CN103448202A (zh) 一种金属树脂复合体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金属树脂复合体
CN105522781A (zh) 经表面处理的金属基材和金属-树脂复合体及制备方法和应用以及电子产品外壳及制备方法
CN108115881B (zh) 一种金属表面处理工艺
CN105522782A (zh) 经表面处理的金属基材和金属-树脂复合体及制备方法和应用以及电子产品外壳及制备方法
CN106363869B (zh) 一种在金属基材表面形成纳米孔洞的方法
JP5673814B2 (ja) アルミ・樹脂射出一体成形品製造用のアルミ形状体及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樹脂射出一体成形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573784B1 (ko)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9457502B2 (en) Method of preparing aluminum-resin complex
JP2018030349A (ja) 複合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KR102627720B1 (ko) 알루미늄합금-수지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TW201200350A (en) Composite of metal and plast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475459B1 (ko) 다이캐스팅 금속 부품-고분자 수지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44795A (ja) アルミニウム合金と樹脂の複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