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591B1 -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3591B1 KR102573591B1 KR1020210134002A KR20210134002A KR102573591B1 KR 102573591 B1 KR102573591 B1 KR 102573591B1 KR 1020210134002 A KR1020210134002 A KR 1020210134002A KR 20210134002 A KR20210134002 A KR 20210134002A KR 102573591 B1 KR102573591 B1 KR 102573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user
- iot
- context
- iot devi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2—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topology management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우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메시 네트워크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메시 네트워크가 재구성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 생성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메시 네트워크 생성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메시 네트워크 재구성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인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10: 서비스 관리부
120: 상황 관리부
130: 토폴로지 제어부
140: 장치 관리부
150: 통신부
160: 네트워크 레이어
170: IoT 장치
180: 센서
Claims (16)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IoT 장치와 연관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로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과 연관된 하이 레벨(high level)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IoT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 메시 네트워크(dynamic mesh network)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IoT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비스 실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IoT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로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과 연관된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data format)을 변환하여 로우 레벨(low level)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우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대상(who), 시기(when), 장소(where) 및 목적(what)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상황과 연관된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새로운 제1 IoT 장치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1 IoT 장치와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각각에 대한 제1 최단 이동 거리(shortest movement distance)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1 최단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IoT 장치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한 연결을 재구성하여 상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IoT 장치에 포함된 제2 IoT 장치가 제거된 경우, 상기 제2 IoT 장치에 대한 연결(connection)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IoT 장치가 제거된 복수의 IoT 장치의 각각에 대한 제2 최단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최단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IoT 장치가 제거된 복수의 IoT 장치의 각각에 대한 연결을 재구성하여 상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IoT 장치와 연관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로우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 DB에 저장하는 장치 관리부;
상기 로우 데이터 DB에 저장된 로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과 연관된 하이 레벨(high level)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상황 DB에 저장하는 상황 관리부;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부; 및
상기 서비스 실행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IoT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장치 관리부로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정보를 전송하는 토폴로지(topology)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관리부는, 상기 로우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data format)을 변환하여 로우 레벨(low level)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로우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대상(who), 시기(when), 장소(where) 및 목적(what)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상황과 연관된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관리부는, 상기 생성된 하이 레벨의 상황 인식 정보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목록을 전송하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IoT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제어부는,
새로운 제1 IoT 장치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1 IoT 장치와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각각에 대한 제1 최단 이동 거리(shortest movement distance)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최단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IoT 장치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한 연결을 재구성하여 상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제어부는,
복수의 IoT 장치에 포함된 제2 IoT 장치가 제거된 경우, 상기 제2 IoT 장치에 대한 연결(connection)을 제거하고, 상기 제2 IoT 장치가 제거된 복수의 IoT 장치의 각각에 대한 제2 최단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최단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IoT 장치가 제거된 복수의 IoT 장치의 각각에 대한 연결을 재구성하여 상기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4002A KR102573591B1 (ko) | 2021-10-08 | 2021-10-08 |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4002A KR102573591B1 (ko) | 2021-10-08 | 2021-10-08 |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0784A KR20230050784A (ko) | 2023-04-17 |
KR102573591B1 true KR102573591B1 (ko) | 2023-08-31 |
Family
ID=8612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4002A Active KR102573591B1 (ko) | 2021-10-08 | 2021-10-08 |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359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021669A1 (en) * | 2018-07-13 | 2020-01-16 | EMC IP Holding Company LLC | Internet of things gateways of moving networks |
WO2021172719A1 (ko) * | 2020-02-24 | 2021-09-02 | 윤필선 | Iot 기반 라이다 센서 기술을 이용한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3367B1 (ko) * | 2018-12-28 | 2021-07-05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복합적인 IoT로 구성된 Super Things에서의 각 IoT의 기능을 새롭게 융합하고 복합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기법 |
-
2021
- 2021-10-08 KR KR1020210134002A patent/KR10257359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021669A1 (en) * | 2018-07-13 | 2020-01-16 | EMC IP Holding Company LLC | Internet of things gateways of moving networks |
WO2021172719A1 (ko) * | 2020-02-24 | 2021-09-02 | 윤필선 | Iot 기반 라이다 센서 기술을 이용한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0784A (ko) | 2023-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827818B (zh) | 一种智能语音设备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US11638117B2 (en) | Beacon addressing | |
AU2015307379B2 (en) | Method for managing beacon, terminal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 |
JP5989249B2 (ja) |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無線再接続時間削減 | |
US20210021673A1 (en) | Group-based data transfer in machine-to-machine systems | |
Furfari et al. | Discovering location based services: A unified approach for heterogeneous indoor localization systems | |
Al-Turjman | Impact of user's habits on smartphones' sensors: An overview | |
Doukas et al. | COMPOSE: Building smart & context-aware mobile applications utilizing IoT technologies | |
WO2014071055A1 (en) | Distributed association engine | |
WO201205983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user behavior model | |
Ji et al. | CrowdSensing: A crowd-sourcing based indoor navigation using RFID-based delay tolerant network | |
KR102514593B1 (ko) | Rf 핑거프린트 구축 방법 및 장치 | |
Namiot et al. | On open source mobile sensing | |
KR102573591B1 (ko) | IoT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KR101938734B1 (ko) |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들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 |
CN112673367A (zh) | 用于预测用户意图的电子设备和方法 | |
JP7458377B2 (ja) | フォグベースのデータ処理を有効にするためのデータサンプルテンプレート(Data Sample Template:DST)管理 | |
Wierenga et al. | Simple: developing a lbs positioning solution | |
CN115061740A (zh) | 应用程序处理方法及装置 | |
CN116033344B (zh) | 地理围栏的确定方法、设备及存储介质 | |
Chakati | Reliable Distributed Management in Uncertain Environments | |
Privat et al. | Edge-of-Cloud Fast-Data Consolid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 |
Wu | Android wi-fi location awareness and data inference heuristic. | |
CN116029368A (zh) | 超参数优化方法、相关装置及存储介质 | |
CN116989839A (zh) | 状态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