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122B1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3122B1 KR102573122B1 KR1020170002514A KR20170002514A KR102573122B1 KR 102573122 B1 KR102573122 B1 KR 102573122B1 KR 1020170002514 A KR1020170002514 A KR 1020170002514A KR 20170002514 A KR20170002514 A KR 20170002514A KR 102573122 B1 KR102573122 B1 KR 102573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ing element
- capacitor
- coil
- compressor
- bea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7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101100300924 Caenorhabditis elegans rb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01000589482 Homo sapiens Nuclear cap-binding protein subunit 2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32342 Nuclear cap-binding protein subunit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1100293693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STO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1150050497 cbc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6—Mobile combin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는, 압축기 모터와 자기 베어링을 구비하는 압축기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자기 베어링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를, 자기 베어링으로부터 부상(levitation)시키거나, 랜딩(landing)시키는 코일 구동부와, 코일 구동부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 랜딩시, 베어링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단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자기 부상 방식에서 코일 구동부 내의 부트스트랩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ler. A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having a compressor motor and a magnetic bearing, and a switching element, and applies current to a bearing coil of the magnetic bearing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to rotate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A coil driving unit for levitation or landing from a magnetic bear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witching element of the coil dri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urrent flowing in the bearing coil when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lands. is controlled to descend step by step.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harge the bootstrap capacitor in the coil driving unit in the magnetic levitation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칠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 부상 방식에서 코일 구동부 내의 부트스트랩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칠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or driving device and a chill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iller capable of efficiently charging a bootstrap capacitor in a coil driving unit in a magnetic levitation method.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이다. 이 공기조화기는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discharges hot and cold air into a room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is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humans by regulating and purifying the indoor temperatur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configured as a heat exchanger and install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configured as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to supply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한편, 공기조화기 중, 가정보다 큰 사업장 또는 빌딩 등에 사용되는 칠러(chiller)는, 일반적으로 옥외 옥상에 설치되는 냉각탑과,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탑에서 보내어진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유닛을 포함한다. 나아가 열교환 유닛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mong air conditioners, a chiller used in a business or building larger than a home generally includes a cooling tower installed on an outdoor rooftop and a heat exchange unit that circulates a refrigerant and exchanges heat with the cooling water sent from the cooling tower. Further, the heat exchange unit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한편, 칠러는, 압축기 모터 구동시, 베어링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기력을 형성하여,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를 자기 부상(magnetic levitation)시킨 후, 기계적인 마찰 없이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을 자기 베어링(magnetic bearing) 방식 또는 자기 부상 방식이라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0336호(이하 '선행 문헌'이라 함)에는, 자기 베어링 장치 및 이 자기 베어링 장치를 탑재한 펌프장치가 개시된다. 선행 문헌에는, 자기 베어링에 의해 회전체가 공중에 부상되는 것이 개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ressor motor is driven, the chiller forms a magnetic force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bearing coil, magnetic levitation of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and then rotates the rotor without mechanical friction. do. This method is called a magnetic bearing method or a magnetic levitation metho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033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discloses a magnetic bearing device and a pump device equipped with the magnetic bearing device. Prior literature discloses that a rotating body is levitated in the air by means of a magnetic bearing.
한편, 칠러 내의 압축기 모터의 구동을 위해, 복수의 자기 베어링이 사용되는데, 자기 베어링 구동을 위해, 스위칭 소자의 구동 전압 확보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부트스트랩 커패시터가 사용된다.Meanwhile, a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are used to drive the compressor motor in the chiller. To drive the magnetic bearings, it is necessary to secure a driving voltage of a switching element, and accordingly, a bootstrap capacitor is used.
이때, 부트스트랩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At this time, a method of efficiently charging the bootstrap capacitor is being discussed.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부상 방식에서 코일 구동부 내의 부트스트랩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칠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ssor driving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harging a bootstrap capacitor in a coil driving unit in a magnetic levitation method and a chill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 부상 방식에서 코일 구동부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칠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ssor driv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a coil driving unit in a magnetic levitation method and a chiller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는, 압축기 모터와 자기 베어링을 구비하는 압축기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자기 베어링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를, 자기 베어링으로부터 부상(levitation)시키거나, 랜딩(landing)시키는 코일 구동부와, 코일 구동부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코일 구동부는, 제1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와,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와,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에 병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와,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베어링 코일은,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와,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며, 제어부는, 제2 커패시터에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도록, 제1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는 제1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A compress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mpressor having a compressor motor and a magnetic bearing, a switching element, and applying current to a bearing coil of the magnetic bearing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 a coil driving unit for levitating or landing a rotor of a compressor motor from a magnetic bear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witching element of the coil driving unit, wherein the coil driving unit stores a first DC power supply. A first capacitor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a first switching element, a first diode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A second diode element,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to store the second DC power, and the bearing coil include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iode element and between the second diode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o that the second DC power is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2 controls so that the first mode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is perform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칠러는, 압축기 모터와 자기 베어링을 구비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하고, 압축기 구동부는, 압축기 모터와 자기 베어링을 구비하는 압축기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자기 베어링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를, 자기 베어링으로부터 부상(levitation)시키거나, 랜딩(landing)시키는 코일 구동부와, 코일 구동부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코일 구동부는, 제1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와,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와,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에 병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와,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베어링 코일은,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와,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며, 제어부는, 제2 커패시터에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도록, 제1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는 제1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A ch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mpressor having a compressor motor and a magnetic bearing, and a compress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ompressor, wherein the compressor driving unit includes a compressor having a compressor motor and a magnetic bearing. And, a coil drive unit having a switching element and applying a current to the bearing coil of the magnetic bearing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to levitation or land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from the magnetic bear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witching element of the coil driving unit, wherein the coil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storing a first DC power supply, a first switching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a first diode element, A second diode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 Includes a second capacitor in which the second DC power is stored, and the bearing coi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and between the second diode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he control unit , The first mode in whic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is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DC power is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칠러는, 압축기 모터와 자기 베어링을 구비하는 압축기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자기 베어링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를, 자기 베어링으로부터 부상(levitation)시키거나, 랜딩(landing)시키는 코일 구동부와, 코일 구동부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코일 구동부는, 제1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와,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와,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에 병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와,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베어링 코일은,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와,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며, 제어부는, 제2 커패시터에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도록, 제1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는 제1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코일 구동부 내의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인 제2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A compressor driving device and a chill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ressor having a compressor motor and a magnetic bearing, and a switching element, and apply current to a bearing coil of the magnetic bearing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A coil driving unit for levitating or landing a rotor of a compressor motor from a magnetic bear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witching element of the coil driving unit, wherein the coil driving unit stores first DC power. A first capacitor, a first switching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a first diode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It includes two diode elements,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to store a second DC power, and the bearing coil include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capacitor. I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iode element and between the second diode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o that the second DC power is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second By controlling the first mode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harge the second capacitor that is the bootstrap capacitor in the coil driving unit.
또한,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의 전압 충전을 위해, 별도의 스위칭 소자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하면서,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인 제2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switching element is not disposed to charge the voltage of the bootstrap capacitor, the second capacitor serving as the bootstrap capacitor can be efficiently charged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조 유닛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칠러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3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5는 도 4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도 5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a는 도 4의 압축기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압축기의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베어링 내의 회전자의 부상 및 랜딩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4의 베어링 구동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9b는 도 9a의 베어링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코일 구동부의 회로도의 일예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동부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12a 내지 도 13c는 도 11의 코일 구동부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unit of FIG. 1 in more detail.
FIG. 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hiller of FIG. 1 .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motor driving device of FIG. 3 .
5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motor driving device of FIG. 4 .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nverter control unit of FIG. 5 .
7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compressor of FIG. 4;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A.
Fig. 7c is a side view of the compressor of Fig. 7a;
8A to 8C are views referenced to describe the lifting and landing of a rotor in a bearing.
Figure 9a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bearing driving unit of Figure 4;
Figure 9b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bearing control unit of Figure 9a.
10A to 10E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coil driving unit and its operation.
11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coil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3C are diagrams referenced for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coil driving unit of FIG. 11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give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Accordingly,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칠러(chiller)(100)는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는 공조 유닛(10)과, 상기 공조 유닛(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탑(20) 및 상기 공조 유닛(10)과 열교환 되는 냉수가 순환하는 냉수 수요처(30)가 포함된다. 이 냉수 수요처(30)는 냉수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장치 또는 공간에 해당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상기 공조 유닛(10)과 냉각탑(20)의 사이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순환유로(40)가 설치되 있어, 공조 유닛(10)과 냉각탑(20) 사이로 냉각수가 순환된다.Between the
이 냉각수 순환유로(40)는 냉각수가 상기 응축기(12)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냉각수 입수유로(42)와 상기 공조 유닛(10)에서 가열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탑(20)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냉각수 출수유로(44)가 포함한다.The cooling
상기 냉각수 입수유로(42) 및 냉각수 출수유로(44) 중 적어도 하나는 냉각수의 흐름을 위해 냉각수 펌프(4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로써, 도 2에는, 냉각수 입수유로(42)에 냉각수 펌프(46)가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다.A
그리고, 냉각수 출수유로(44)에는 냉각탑(20)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출수 온도센서(47)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냉각수 입수유로(42)에도 냉각탑(20)에서 나오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입수 온도센서(48)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상기 공조 유닛(10)과 냉수 수요처(30)의 사이에는 냉수 순환유로(50)가 설치되 이 둘 사이로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이 냉수 순환유로(50)는 냉수가 상기 냉수 수요처(30)와 공조 유닛(10)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냉수 입수유로(52)와 공조 유닛(10)에서 냉각된 냉수가 상기 냉수 수요처(3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냉수 출수유로(54)가 포함된다.A cold
그리고, 상기 냉수 입수유로(52) 및 냉수 출수유로(54)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에는, 냉수를 순환시키는 냉수 펌프(56)가 제공된다. 도 2에서는 냉수 입수유로(52)에 상기 냉수 펌프(56)가 설치된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In addition,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수 수요처(30)는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키는 수냉식 공조기로 설명한다. 일례로, 냉수 수요처(30)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혼합한 후 혼합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유입시키는 에어 핸들링 유닛(AHU, Air Handling Unit),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 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팬 코일 유닛(FCU, Fan Coil Unit), 실내의 바닥에 매설된 바닥 배관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이 포함될 수 있고, 도 2는 이 중 냉수 수요처(30)가 에어 핸들링 유닛으로 구성된 경우를 보여준다.In this embodiment, the
냉수 수요처(30)는, 케이싱(61), 상기 케이싱(61)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수가 통과하는 냉수코일(62), 상기 냉수 코일(62)의 양측에 제공되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기(63,64)를 포함해 구성된다. 그리고, 송풍기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기 케이싱(61)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1 송풍기(63)와, 공조공기가 상기 케이싱(6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송풍기(64)가 포함된다.The cold
상기 케이싱(61)은, 실내공기 흡입부(65), 실내공기 배출부(66), 외기 흡입부(67) 및 공조공기 배출부를 포함해 구성된다.The
송풍기(63,64)가 구동되면, 실내공기 흡입부(65)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실내공기 배출부(66)로 배출되며, 나머지는 상기 외기 흡입부(67)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혼합된 후 냉수 코일(62)을 지나며 열교환이 이뤄진다. 이후 열교환된 혼합 공기는 상기 공조공기 배출부(68)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When the
도 2는 도 1의 공조 유닛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unit of FIG. 1 in more detail.
도면을 참조하면, 공조 유닛(1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12), 응축기(12)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기(13), 그리고 팽창기(13)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4), 그리고 상기 압축기(11)를 동작시키는 구동부(220)를 포함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 공조 유닛(10)은 압축기(11)의 입구 측에 설치되 증발기(14)에서 나온 냉매를 압축기(11)로 가이드하는 흡입배관(101)과, 압축기(11)의 출구 측에 설치되 압축기(11)에서 나온 냉매를 상기 응축기(12)로 가이드하는 토출 배관(102)을 포함한다.The
응축기(12)와 증발기(14)는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쉘 튜브형 열교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응축기(12)는 외관을 형성하는 쉘(121), 쉘(121)의 한 편에 설치되는 복수의 압축기(11a,11b,11c)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122), 쉘(121)의 다른 한편에 설치되 응축기(12)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구(123)를 포함해 구성된다. The
그리고, 이 응축기(12)는 쉘(121)의 내부에서 냉각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냉각수 배관(125), 쉘(121)의 단부에 설치되 냉각탑(2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입수유로(42)를 통해 셀 내부로 안내하는 유입부(127)와 출수유로(44)를 통해 응축기(12)에서 냉각탑(20)으로 냉각수를 내보내는 유출부(128)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응축기(12)에서, 냉각수는 냉각수 배관(125)을 흐르며, 냉매 유입구(122)를 통해 응축기(12)로 유입된 쉘(121)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이 이뤄진다.In the
증발기(14)는, 외관을 형성하는 쉘(141), 쉘(141)의 한 편에 설치되며 팽창기(13)에서 팽창된 냉매가 공급되는 유입구(142) 및 상기 쉘(141)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14)에서 증발된 냉매가 압축기(11)로 유출되는 유출구(143)가 포함된다. 이 유출구(143)로는 흡입배관(101)에 연결되, 증발된 냉매가 증발기(14)로부터 압축기(11)로 전달된다.The
또한. 증발기(14)는 쉘(141)의 내부에 설치되 냉수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냉수 배관(145), 쉘(141)의 한 편에 설치되 냉수 배관(145)으로 냉수를 유입시키는 유입부(141)와 증발기 내부를 순환한 냉수를 내보내는 유출부(148)를 포함한다.also. The
유입부(141)와 유출부(148) 각각에는 입수유로(52)와 출수 유로(54)가 각각 연결되, 냉수가 수요처(30)의 냉수 코일(62) 사이를 순환할 수 있다.An
한편,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는, 각각 복수의 압축기(11a,11b,11c)를 구동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driving
한편,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는, 각각 내부에, 컨버터, 인버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도 3은 도 1의 칠러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 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hiller of FIG. 1 .
칠러(100)는, 입력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구동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조작 버튼, 키 등을 구비하며, 칠러(100)의 전원 온/오프, 동작 설정 등을 위한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특히,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에 대응하여 아이디가 할당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의 복수의 스위치는, 하드웨어 스위치로서, 딥 스위치(dip switch),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witches at this time may include a dip switch and a tact switch as hardware switches.
예를 들어, 복수의 스위치는,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에 대응하여 아이디가 할당되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122P1,122P2,122P3)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witches may be first to third switches 122P1, 122P2, and 122P3 to which IDs are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ing
통신부(130)는, 주변 기기,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IR) 통신,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WiFi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한편, 칠러(100)의 메모리(140)는, 칠러(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0)의 동작시의 동작 시간, 동작 모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칠러(100)의 메모리(140)는, 칠러의 소비 전력 정보, 추천 운전 정보, 현재 운전 정보, 제품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칠러(100)의 메모리(140)는, 칠러의 동작 정보, 운전 정보,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Also, the
제어부(170)는, 칠러(100) 내의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입력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구동부(220)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이때, 구동부(22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driving
한편,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 각각은, 복수의 압축기(11a,11b,11c)를 구동하기 위해, 내부에, 도 4에 도시되는,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모터(230)를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plurality of
제어부(170)는, 디맨드 부하(demand load)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디맨드 부하(demand load)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동부(220a,220b,220c) 내의 인버터(420a,420b,420c)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한편, 제어부(170)는, 복수의 스위치의 턴 온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특히, 제어부(170)는, 복수의 스위치의 턴 온 상태, 및 디맨드 부하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동부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압축기 모터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와 같은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에 의해,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or motor driving uni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motor by a sensorless method,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such as a hall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motor. It may be a motor drive device that can be estima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구동부(220)는, 압축기 압축기 모터 구동부(220)로 명명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mpressor
도 4는 도 3의 압축기 구동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mpressor driving unit of FIG. 3 .
도면을 참조하면, 압축기(11)는, 내부에, 모터(230)와, 베어링 코일(RB)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이에 따라, 압축기 구동부(220)는,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모터 구동부(220a)와, 베어링 코일(RB)을 구동하기 위한 베어링 구동부(221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압축기 구동부(220)를 압축기 구동장치로도 명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베어링 구동부(221a)는, 압축기(11) 내의 임펠러 구동을 위한 모터의 회전자(미도시)이, 부상하거나, 랜딩(landing)되도록 제어할 있다.The
이를 위해, 베어링 구동부(221a)는, 베어링 제어부(435), 코일 구동부(437), 베어링 코일(RB)을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베어링 제어부(435)는, 베어링 코일 주변에 배치되는 갭 센서(도 9a의 CB)로부터 갭(gap) 정보와, 베어링 코일 전류 검출부(도 9a의 M)로부터 베어링 코일(RB)에 인가되는 전류 정보(IB)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갭 정보(gap)와 전류 정보(IB)에 기초하여, 코일 구동부(437) 제어를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Sci)를 출력할 수 있다. The bearing
그리고, 코일 구동부(437)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의 턴 온/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일 구동부(437) 내의 스위칭 소자의 턴 온 또는 턴 오프에 의해, 베어링 코일(RB)에 자기장 등이 발생 또는 소멸하여, 모터의 회전자(미도시)이, 부상하거나, 랜딩(landing)될 수 있다.Also, the
한편, 도 4의 압축기 구동부(220) 내의 압축기 모터 구동부(220a)는, 메모리(270), 인버터 제어부(430), 인버터(420) 등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ressor
압축기 모터 구동부(220a)의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A detail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도 5는 도 4의 압축기 모터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5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compressor motor driving unit of FIG. 4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구동부(220a)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mpress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 구동부(220a)는, 컨버터(41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출력전류 검출부(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2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부(430)는, 운전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 시점 정보, 에러 발생시의 운전 정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데이터를 메모리(140) 또는 메모리(2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n error occurs during operation, the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주기적으로 운전 정보, 상태 정보가 메모리(140) 또는 메모리(270)에 임시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에러 발생시, 주기적으로 임시 저장되는 운전 정보, 상태 정보 중 최종 운전 정보, 최종 상태 정보를 메모리(140) 또는 메모리(270)에 최종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운전 정보를, 메모리(140) 또는 메모리(2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에러 발생시로부터의 소정 시간 이후의 운전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메모리(140) 또는 메모리(2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error occurs, the
한편, 메모리(140) 또는 메모리(270)에 저장되는 최종 운전 정보, 최종 상태 정보의 데이터 양은, 에러 발생시의 운전 정보의 데이터 양 또는 에러 발생시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의 운전 정보 또는 상태 정보의 데이터 양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amount of the final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final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reactor L is disposed between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vs) and the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current detector A may detect the input current is input from the commercial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The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single-phase AC power, four diodes may be used in a bridge form, and in the case of three-phase AC power, six diodes may be used in a bridge form.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The smoothing capacitor (C) smooths the input power and stores it. In the figure, one element is exemplified as the smoothing capacitor C, but a plurality of elements may be provided to secure element stability.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gure, it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DC power is stored at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it may be referred to as a dc end or a dc link end.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dc short voltage detector (B) may detect the dc short voltage (Vdc) at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To this end, the dc short voltage detector B may include a resistance element, an amplifier, and the like. The detected dc terminal voltage (Vdc) may be input to the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할 수 있다. The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In the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되게 된다. The switching elements in the
인버터 제어부(43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인버터 제어부(430) 내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의 출력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모터(2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The output current detector E detects the output current io flowing between the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동기 모터(23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a shunt resistor is used, three shunt resistors are located between the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 병행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The detected output current io may be applied to the
한편, 삼상 모터(2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e-
이러한 모터(230)는, 예를 들어,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Such a
도 6은 도 5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nverter control unit of FIG. 5 .
도 6을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310), 속도 연산부(320), 전류 지령 생성부(330), 전압 지령 생성부(340), 축변환부(3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축변환부(3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The
한편, 축변환부(3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속도 연산부(320)는, 축변환부(310)에서 축변화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에 기초하여, 연산된 위치()와 연산된 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The speed calculation unit 320 calculates the position ( ) and the computed speed ( ) can be output.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urrent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3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Next, the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350)에 입력된다.Meanwhile, the generated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 * d , v * q ) are input to the
축변환부(350)는,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The
먼저, 축변환부(3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그리고, 축변환부(3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Then, the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3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The switching control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The output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may be converted into a gate driving signal by a gate driver (not shown) and input to the gate of each switching element in the
도 7a는 도 4의 압축기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compressor of FIG. 4;
도면을 참조하면, 압축기(11) 내부에 임펠러(impeller)(701), 회전자(702)가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1)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임펠러(701)에,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702)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한편, 회전자(70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자(702)의 단부 부근에는, T 자 형상의 트러스트 플레이트(trust plate)(706)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압축기(11)의 케이스(CS) 내에, 프레임(704)이 배치되며, 프레임(704) 내에,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이 배치될 수 있다.A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은, 보빈(미도시)과, 보빈에 감기는, 베어링 코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 RBb1 to RBb4 , and RBC1 to RBC2 may include bobbins (not shown) and bearing coils (not shown) wound around the bobbins.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일부의 자기 베어링의 표면과, 회전자(702)가 접촉하며, 베어링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일부의 자기 베어링의 표면으로부터 자기 부상(magnetic levitation)하게 된다.When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bearing coil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the surfaces of some of the magnetic bearings and the
자기 부상 이후, 압축기 모터(230)의 회전자(702)가 회전하게 되며, 특히, 도 4 내지 도 6의 인버터 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 회전자(702)의 회전 속도가 가변할 수 있게 된다.After magnetic levitation, the
한편,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 중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은,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adial magnetic bearing)으로서, 반경 방향의 회전자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x,y 축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the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and RBb1 to RBb4 are radial magnetic bearings, which are radial magnetic bearings. Rotation can be controlled. That is, you can control the x and y axes.
한편,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 중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자(702)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the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and RBb1 to RBb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한편,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 중 자기 베어링(RBC1~RBC2)은, 축 자기 베어링(axial magnetic bearing)으로서, 축 방향의 회전자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z 축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the magnetic bearings RBC1 to RBC2 are axial magnetic bearings and can control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That is, the z-axis can be controlled.
한편,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 중 자기 베어링(RBC1~RBC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러스트 플레이트(trust plate)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the magnetic bearings RBC1 to RBC2 may be spaced apart from a trust plate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한편,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 주변에는, 자기 베어링과, 회전자(702) 사이의 갭을 센싱하기 위한, 복수의 갭 센서(CBa1~CBa4,CBb1~CBb4,CBC1~CBC2)가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round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RBC1 to RBC2, a plurality of gap sensors CBa1 to CBa4, CBb1 to sense the gap between the magnetic bearing and the
복수의 갭 센서(CBa1~CBa4,CBb1~CBb4,CBC1~CBC2) 중 일부 갭 센서(CBC1~CBC2)는, 레이디얼 갭 센서(radial gap sensor)으로서, x,y 축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Among the plurality of gap sensors (CBa1 to CBa4, CBb1 to CBb4, and CBC1 to CBC2), some of the gap sensors (CBC1 to CBC2) are radial gap sensors and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x- and y-axis rotors. can
복수의 갭 센서(CBa1~CBa4,CBb1~CBb4,CBC1~CBC2) 중 일부 갭 센서(CBC1~CBC2)는, 축 갭 센서(axial gap sensor)으로서, z 축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Among the plurality of gap sensors CBa1 to CBa4, CBb1 to CBb4, and CBC1 to CBC2, some of the gap sensors CBC1 to CBC2 are axial gap sensors and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z-axis rotor.
한편, 복수의 갭 센서(CBa1~CBa4,CBb1~CBb4,CBC1~CBC2)는 홀 센서(hall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gap sensors CBa1 to CBa4, CBb1 to CBb4, and CBC1 to CBC2 may be implemented as hall sensors.
베어링 제어부(435)는, 복수의 갭 센서(CBa1~CBa4,CBb1~CBb4,CBC1~CBC2)로부터의 갭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에, 특히,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의 베어링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The bearing
도 7b는 도 7a의 I-I'의 단면도이다.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A.
도면을 참조하면, 도 7a의 I-I'의 단면에 따라,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adial magnetic bearing)인, RBb1~RBb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cross section II' of FIG. 7A, RBb1 to RBb, which are radial magnetic bearing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Bb1~RBb4)의 내부면(BR)과 이격되어 회전자(702)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b의 회전자(702)는, 부상된 것을 도시한다.And, it is exemplified that the
도 7c는 도 7a의 압축기의 측면도이다.Fig. 7c is a side view of the compressor of Fig. 7a;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자(702)의 단부 부근의, 트러스트 플레이트(trust plate)(706)를 중심으로 양 측에, 축 자기 베어링(RBC1~RBC2)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xial magnetic bearings RBC1 to RBC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a
한편, 러스트 플레이트(trust plate)(706) 하단에는, 회전자(702)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도 8a 내지 도 8c는 베어링 내의 회전자의 부상 및 랜딩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8A to 8C are views referenced to describe the lifting and landing of a rotor in a bearing.
먼저, 도 8a는,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Bb1~RBb4)의 내부면(BR)에 회전자(702)가 맞닿은 경우를 예시한다.First, in FIG. 8A ,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bearing coil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and the inner surface BR of the radial magnetic bearings RBb1 to RBb4 A case in which the
다음, 도 8b는,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Bb1~RBb4)의 내부면(BR)으로부터 회전자(702)가 부상하는 것을 예시한다. Next, FIG. 8B shows that current is applied to the bearing coil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and rotates from the inner surface BR of the radial magnetic bearings RBb1 to RBb4. It illustrates that
한편, 베어링 제어부(435)는,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Bb1~RBb4)의 내부면(BR)과, 회전자(702) 사이에 갭(gap)이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bearing
다음, 도 8c는, 복수의 자기 베어링(RBa1~RBa4,RBb1~RBb4,RBC1~RBC2)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Bb1~RBb4)의 내부면(BR)으로, 회전자(702)가 랜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Next, in FIG. 8C ,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bearing coil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earings RBa1 to RBa4, RBb1 to RBb4, and RBC1 to RBC2, and the inner surface BR of the radial magnetic bearings RBb1 to RBb4 ,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한편, 도 8a 내지 도 8c의 레이디얼 자기 베어링(RBb1~RBb4)의 내부면(BR)은, 도 7a의 프레임(704)의 내부면일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surfaces BR of the radial magnetic bearings RBb1 to RBb4 of FIGS. 8A to 8C may be the inner surfaces of the
도 9a는 도 4의 베어링 구동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ure 9a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bearing driving unit of Figure 4;
도면을 참조하면, 베어링 구동부(221a)는, 베어링 코일(RB), 베어링 코일(RB)에 전류를 인가하는 코일 구동부(439), 베어링 코일(RB)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베어링 코일 전류 검출부(M), 베어링 코일(RB)과 회전자(702) 사이의 갭(gap)을 센싱하는 갭 센서(CB), 갭 센서(CB)로부터의 갭 정보(Gp)와, 베어링 코일 전류 검출부(M)로부터의 전류(IB)에 기초하여, 코일 구동부(439)에 스위칭 제어 신호(Sci)를 출력하는 베어링 제어부(435)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도 9b는 도 9a의 베어링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ure 9b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bearing control unit of Figure 9a.
도면을 참조하면, 베어링 제어부(435)는, 전류 지령 생성부(910)와, 듀티 생성부(92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aring
전류 지령 생성부(910)는, 갭 센서(CB)로부터의 갭 정보(Gp)와 갭 지령치(Gp*)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B)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갭 정보(Gp)와 갭 지령치(Gp*)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91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B)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urrent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910)는, 전류 지령치(I*B)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urrent
듀티 생성부(920)는, 베어링 코일 전류 검출부(M)부터의 전류 정보(IB)와 전류 지령치(I*B)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B)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듀티 생성부(920)는, 전류 정보(IB)와 전류 지령치(I*B)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92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듀티 지령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uty generation unit 920 generates a current command value (I * B) based on the current information (IB) from the bearing coil current detection unit M and the current command value (I * B ). For example, the
한편, 듀티 생성부(920)는, 듀티 지령치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예를 들어, 베어링 제어부(435)는, 자기 베어링과 회전자(702) 사이의 갭이, 갭 지령치(Gp*) 보다 작은 경우, 갭이 증가하도록, 듀티가 증가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를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gap between the magnetic bearing and the
이때, 듀티가 증가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는, 스위칭 주기가 증가하고, 증가된 스위칭 주기 내에서 듀티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ci whose duty increases may mean that the switching period increases and the duty increases within the increased switching period.
또는, 듀티가 증가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는, 일정한 스위칭 주기 내에서, 듀티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ci whose duty increases may mean that the duty increases within a certain switching period.
다른 예로, 베어링 제어부(435)는, 자기 베어링과 회전자(702) 사이의 갭이, 갭 지령치(Gp*) 보다 큰 경우, 갭이 감소하도록, 듀티가 감소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를 출력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gap between the magnetic bearing and the
이러한 베어링 제어부(435)의 동작에 따라, 회전자의 회전시, 갭이 일정하도록 유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earing
한편, 베어링 제어부(435)는, 회전자 부상시, 자기 베어링과 회전자(702) 사이의 갭이, 갭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듀티가 증가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를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earing
한편, 베어링 제어부(435)는, 회전자 랜딩시, 자기 베어링과 회전자(702) 사이의 갭이, 갭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듀티가 감소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ci)를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rotor lands, the bearing
한편, 베어링 제어부(435)는, 소프트 랜딩을 위해, 압축기 모터(230)의 회전자(702) 랜딩시, 베어링 코일(RB)에 저장된 전류가 방전되는 제1 모드와, 제1 커패시터(Cbs)에 저장된 전원에 의해, 베어링 코일(RB)에 전류가 흐르는 제2 모드가,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aring
특히, 회전자 랜딩 기간 동안, 제1 모드가 수행되는 기간이, 제2 모드가 수행되는 기간 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베어링 코일(RB)에 흐르는 전류가 단계적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during the rotor landing period,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iod during which the first mode is performed is longer than the period during which the second mode is performed. Accordingl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earing coil RB can be controlled to drop step by step.
이에 따라, 자기 부상 방식에서 압축기 모터 정지시,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가 소프트 랜딩(soft lanfing)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자기 베어링, 갭 센서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압축기 구동장치(220) 및 이를 구비한 칠러(100)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mpressor motor is stopped in the magnetic levitation method,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can softly land (soft lanfing),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magnetic bearings, gap sensors, and the like. Furthermor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도 10a 내지 도 10e는 코일 구동부의 회로도의 일예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0A to 10E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coil driving unit and its operation.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도 10a의 코일 구동부(1000)는, dc단 양단(a-b단)에 배치되는 제1 커패시터(Cbs), 제1 커패시터(Cbs) 양단(a-b단)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1 다이오드 소자(Db1), 제1 커패시터(Cbs) 양단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1 다이오드 소자(Db1)에 병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Db2)와, 제2 스위칭 소자(Sb2)를 구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0A, the
그리고, 베어링 코일(RB)은,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1 다이오드 소자(Db1)의 사이와, 제2 다이오드 소자(Db2)와 제2 스위칭 소자(Sb2)의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Also, the bearing coil RB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first diode element Db1 and between the second diode element Db2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there is.
한편,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 확보를 위해, 베어링 코일(RB)의 일단에,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인 제2 커패시터(Cbk)가 접속될 수 있으며, 제2 커패시터(Cbk)의 충전을 위해, 제3 스위칭 소자(Sx)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ecure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 second capacitor Cbk, which is a bootstrap capacitor,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earing coil RB, and the second capacitor Cbk is charged. For this purpose, a third switching element Sx may be disposed.
제3 스위칭 소자(Sx)는, 제1 스위칭 소자(Sb1)과 상보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한다.It is assumed that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is driven complementary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제3 스위칭 소자(Sx)가 턴 온되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Sx)에 의해, 제2 커패시터(Cbk)가 접지단에 접속하므로, 제2 직류 전원(Vbk)이, 저항 소자(Rbk), 다이오드 소자(Dbk)를 거쳐, 제2 커패시터(Cbk)에 저장되게 된다.When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is turned on, the second capacitor Cbk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by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so that the second DC power source Vbk is connected to the resistance element Rbk. , is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Cbk via the diode element Dbk.
이러한 부트스트랩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커패시터(Cbk)에 저장된 제2 직류 전원(Vbk)에 의한,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Based on this bootstrap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by the second DC power supply Vbk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Cbk.
한편, 도 10b는,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온되는 경우의 전류 패쓰(Ipatha)를 나타내며, 도 10c는,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오프되는 경우의 전류 패쓰(Ipathb)를 나타내며, 도 10d는, 제3 스위칭 소자(Sx)만 턴 온되는 경우의 전류 패쓰(Ipathc)를 나타낸다.Meanwhile, FIG. 10B shows a current path Ipatha when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re turned on, and FIG. 10C show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The current path Ipathb when all the switching elements Sb2 are turned off is shown, and FIG. 10D shows the current path Ipathc when only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is turned on.
도 10d의 동작에 의해, 제2 직류 전원(Vbk)이, 저항 소자(Rbk), 다이오드 소자(Dbk)를 거쳐, 제2 커패시터(Cbk)에 저장되게 된다.By the operation of FIG. 10D , the second DC power source Vbk is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Cbk via the resistor element Rbk and the diode element Dbk.
한편, 도 10e의 (a)는, 제1 스위칭 소자(Sb1)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파형을 나타내며, 도 10e의 (b)는, 제2 스위칭 소자(Sb2)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파형을 나타내며, 도 10e의 (c)는, 제3 스위칭 소자(Sx)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파형을 나타내며, 도 10e의 (d)는, 베어링 코일(RB)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Vrb)을 나타내며, 도 10e의 (e)는, 베어링 코일(RB)에 인가되는 전류 파형(Irb)을 나타내며, Meanwhile, (a) of FIG. 10E shows a control signal waveform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b) of FIG. 10E shows a control signal waveform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Figure 10e (c) shows the control signal waveform applied to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Figure 10e (d) shows the voltage waveform (Vrb) applied to the bearing coil (RB), Figure 10e (e) of (e) represents the current waveform (Irb) applied to the bearing coil (RB),
Tm 기간 동안, 도 10b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온되며, Tl 기간 동안, 도 10c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오프되며, Tn 기간 동안, 도 10d와 같이, 제3 스위칭 소자(Sx)만 턴 온된다.During the Tm period, as shown in FIG. 10B,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re turned on, and during the Tl period, as shown in FIG. 10C,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re turned on. All elements Sb2 are turned off, and only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is turned on during the Tn period, as shown in FIG. 10D.
도 10a의 코일 구동부의 회로도의 구성과, 도 10b 내지 도 10e의 동작에 따르면, Tn 기간 동안, 도 10d와 같이, 제3 스위칭 소자(Sx)만 별도로 턴 온 시켜야 하므로, 제2 커패시터(Cbk)에, 제2 직류 전원(Vbk)을 저장하는 것이, 별도 프로세스로서 구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비효율적이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diagram of the coil driving unit of FIG. 10A and the operation of FIGS. 10B to 10E, only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needs to be separately turned on during the Tn period, as shown in FIG. 10D, so that the second capacitor Cbk In this case, storing the second DC power source Vbk must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process. Accordingly, it becomes inefficient.
한편,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1) 내에, 베어링 코일(RB)의 개수가 10개이므로, 10개의 코일 구동부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제3 스위칭 소자(Sx)를 별도로 구성하여, 구현하는 경우, 제어 복잡성은 물론,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A, since the number of bearing coils RB is 10 i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코일 구동부 내의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인 제2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efficiently charging the second capacitor, which is the bootstrap capacitor in the coil driving unit.
또한,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의 전압 충전을 위해, 별도의 스위칭 소자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하면서,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인 제2 커패시터를 효율적으로 충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efficiently charging the second capacitor, which is the bootstrap capacitor,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 by not disposing a separate switching device for voltage charging of the bootstrap capacitor is propos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below.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동부의 회로도의 일예이고, 도 12a 내지 도 13c는 도 11의 코일 구동부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11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coil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to 13C are diagrams referenced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coil driving unit of FIG. 11 .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코일 구동부(1200)는, dc단 양단(a-b단)에 배치되며, 제1 직류 전원(Vbs)가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Cbs), 제1 커패시터(Cbs) 양단(a-b단)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1 다이오드 소자(Db1), 제1 커패시터(Cbs) 양단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1 다이오드 소자(Db1)에 병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Db2)와, 제2 스위칭 소자(Sb2)를 구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1 , the
그리고, 베어링 코일(RB)은,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1 다이오드 소자(Db1)의 사이와, 제2 다이오드 소자(Db2)와 제2 스위칭 소자(Sb2)의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Also, the bearing coil RB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first diode element Db1 and between the second diode element Db2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there is.
즉, 직류 전원 공급부(805)로부터의 직류 전원(Vbs)이 제1 커패시터(Cbs)에 저장되며, 제1 커패시터(Cbs)의 일단과, 베어링 코일(RB)의 일단 사이에, 제1 스위칭 소자(Sb1)가 접속될 수 있다.That is, DC power Vbs from the
제1 다이오드 소자(Db1)는, 제1 커패시터(Cbs)의 타단과, 베어링 코일(RB)의 일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The first diode element Db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Cbs and one end of the bearing coil RB.
제2 다이오드 소자(Db2)는, 제1 커패시터(Cbs)의 일단과, 베어링 코일(RB)의 타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diode element Db2 may be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Cbs and the other end of the bearing coil RB.
제2 스위칭 소자(Sb2)는, 제1 커패시터(Cbs)의 타단과, 베어링 코일(RB)의 타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Cbs and the other end of the bearing coil RB.
한편, 도 11의 코일 구동부(1200)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Cbk)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도 11의 코일 구동부(1200)는, 제2 직류 전원(Vbk)과 제2 커패시터(Cbk)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 소자(Rbk) 및 제3 다이오드(Dbk)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베어링 제어부(435)는,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 확보를 위해, 제2 커패시터(Cbk)에 제2 직류 전원(Vbk)이 저장되도록, 제1 스위칭 소자(Sb1)가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Sb2)가 턴 온되는 제1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bearing
이러한 제1 모드는, 도 10b 내지 도 10d에 개시되지 않는 모드로서,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를 별개로 구동시킴으로써, 간당하고 효율적으로, 제2 커패시터(Cbk)에 저장된 제2 직류 전원(Vbk)에 의한,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This first mode, which is not disclosed in FIGS. 10B to 10D , operate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separately, simply and efficiently, the second capacitor Cbk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by the second DC power supply Vbk stored in .
즉, 러한 부트스트랩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커패시터(Cbk)에 저장된 제2 직류 전원(Vbk)에 의한,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based on such a bootstrap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by the second DC power supply Vbk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Cbk.
한편, 베어링 제어부(435)는, 제1 모드의 수행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이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bearing
제2 커패시터(Cbk)에 전압 저장 시간은, RC 시정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제1 기준 시간은, 제2 커패시터(Cbk)의 커패시턴스와 저항 소자(Rbk)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Since the voltage storage time in the second capacitor Cb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C time constant,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apacitance of the second capacitor Cbk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element Rbk. .
이에 따라, 베어링 제어부(435)는, 제2 커패시터(Cbk)의 커패시턴스와 저항 소자(Rbk)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제1 모드의 수행 시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분한 제1 모드 수행 시간이 확보되어,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earing
한편, 도 12b는, 제1 모드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다.Meanwhile, FIG. 12B show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mode.
도 12b에 의하면, 제1 스위칭 소자(Sb1)은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Sb2)의 턴 온되므로, 제1 다이오드 소자(Db1), 베어링 코일(RB), 제2 스위칭 소자(Sb2)를 따라 순차적으로 흐르는, 제2 전류 패쓰(Ipath2)가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모드를 프리휠링 모드라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 코일(RB)에 축적된 에너지가 방전될 수 있다.12B, sinc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is turned on, the first diode element Db1, the bearing coil RB,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 second current path Ipath2 sequentially flowing along may be exemplified. This first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freewheeling mode. Accordingly, energy accumulated in the bearing coil RB may be discharged.
한편, 도 12b의 제2 전류 패쓰(Ipath2)에 의해, 제1 모드가 수행되어, 베어링 코일(RB)에 흐르는 전류가 하강하며, 도 12a의 제1 전류 패쓰(Ipath1)에 의해, 제2 모드가 수행되어, 베어링 코일(RB)에 흐르는 전류가 상승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mode is performed by the second current path Ipath2 of FIG. 12B,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earing coil RB decreases, and the second mode by the first current path Ipath1 of FIG. 12A. is performe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earing coil RB may increase.
한편, 베어링 제어부(435)는,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702) 부상 등을 위해,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온되는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aring
한편, 도 12a는, 제2 모드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다.Meanwhile, FIG. 12A show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mode.
도 12a에 의하면,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온되므로, 제1 커패시터(Cbs), 제1 스위칭 소자(Sb1), 베어링 코일(RB), 제2 스위칭 소자(Sb2)를 따라 순차적으로 흐르는, 제1 전류 패쓰(Ipath1)가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드를 자화 모드라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 코일(RB)에 에너지가 축적될 수 있다.12A, since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re turned on, the first capacitor Cb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the bearing coil RB,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 first current path Ipath1 sequentially flowing along the element Sb2 may be exemplified. This second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magnetization mode. Accordingly, energy may be accumulated in the bearing coil RB.
한편,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 확보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어링 제어부(435)는,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오프되는 제3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more easily secure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the bearing
한편, 도 12c는, 제3 모드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다.Meanwhile, FIG. 12C show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mode.
도 12c에 의하면,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오프되므로, 제1 다이오드 소자(Db1), 베어링 코일(RB), 제2 다이오드 소자(Db2)를 따라 순차적으로 흐르는, 제3 전류 패쓰(Ipath3)가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모드를 방전 모드라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 코일(RB)에 축적된 에너지가 방전될 수 있다.12c, since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re turned off, sequentially along the first diode element Db1, the bearing coil RB, and the second diode element Db2 A third current path Ipath3 flowing to may be exemplified. This third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discharge mode. As a result, energy accumulated in the bearing coil RB may be discharged.
한편, 도 12b의 제1 모드와, 도 12c의 제3 모드에 의해, 베어링 코일(RB)의 일단에, 소정 전압이 확보가 되며, 따라서, 상암 스위칭 소자인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the first mode of FIG. 12b and the third mode of FIG. 12c, a predetermined voltage is secured at one end of the bearing coil RB, and thu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which is the upper arm switching element, is driven. The voltage can be secured efficiently.
특히, 도 10a 내지 도 10e에 비해, 제3 스위칭 소자(Sx)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 및 제어 난이도가 저감되게 된다.In particular, compared to FIGS. 10A to 10E , since the third switching element Sx is not used, manufacturing cost and control difficulty are reduced.
한편, 도 12d의 (a)는, 제1 스위칭 소자(Sb1)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파형을 나타내며, 도 12d의 (b)는, 제2 스위칭 소자(Sb2)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파형을 나타내며, 도 12d의 (c)는, 베어링 코일(RB)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Vrb)을 나타내며, 도 12의 (d)는, 베어링 코일(RB)에 인가되는 전류 파형(Irb)을 나타내며, On the other hand, (a) of FIG. 12D shows a control signal waveform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b) of FIG. 12D shows a control signal waveform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Figure 12d (c) shows the voltage waveform (Vrb) applied to the bearing coil (RB), Figure 12 (d) shows the current waveform (Irb) applied to the bearing coil (RB),
Tp 기간 동안, 도 12a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온되며, Tg 기간 동안, 도 12b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Sb1)는 턴 오프, 제2 스위칭 소자(Sb2)는 턴 온된다.During the Tp period, as shown in FIG. 12A,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re turned on, and during the Tg period, as shown in FIG. 12B,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is turned of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is turned on.
즉, 제2 스위칭 소자(Sb2)는, Tp 기간 동안, 턴 온되며, Tr 기간 동안, 제1 스위칭 소자(Sb1)와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턴 오프된다.That is,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is turned on during the Tp period, and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re turned off during the Tr period.
이 중, Tg 기간과, Tp 기간 동안, 부트스트랩이 수행되어,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Among them, bootstrapping is performed during the Tg period and the Tp period, so that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can be secured efficientl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Tg 기간은, 제1 모드 수행 기간으로서, 제1 기준 시간 이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g period is the first mode execution period, and is preferably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도 12e는 도 9b의 듀티 지령 생성부(920)에서 생성되는 듀티 지령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12E is a diagram referenced to describe duty command values generated by the duty
도 12e의 (a)는, 듀티 지령치 생성을 위한 주기(T)에 대응하는 삼각파형(CV1)을 나타내며, 도 12e의 (b)는, 제1 스위칭 소자(Sb1)에 대한 듀티 지령치(CV2)를 나타내는 파형이며, 도 12e의 (c)는, 제2 스위칭 소자(Sb2)에 대한 듀티 지령치(CV3)를 나타내는 파형이며, 도 12e의 (d)는, 제2 스위칭 소자(Sb2)에 대한 듀티 지령치(CV3)를 나타내는 파형이다. 12E (a) shows a triangular waveform CV1 corresponding to a cycle T for generating a duty command value, and FIG. 12E (b) shows a duty command value CV2 for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12E (c) is a waveform showing the duty command value CV3 for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and FIG. 12E (d) shows the duty cycle for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It is a waveform representing the command value (CV3).
제1 스위칭 소자(Sb1)에 대한 듀티 지령치(CV2)와, 제2 스위칭 소자(Sb2)에 대한 듀티 지령치(CV3)의 하이 레벨의 차이가 클수록, 상암 스위칭 소자인 제1 스위칭 소자(Sb1)의 구동 전압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level of the duty command value CV2 for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nd the duty command value CV3 for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increases, The drive voltage can be secured efficiently.
한편,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1) 내에, 베어링 코일(RB)의 개수가 10개이므로, 10개의 코일 구동부가 사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A, since the number of bearing coils RB is 10 in the
이에 따라, 10개의 코일 구동부 내의, 상암 스위칭 소자인 제1 스위칭 소자(Sb1)와, 하암 스위칭 소자인 제2 스위칭 소자(Sb2)가 모두 동시에 턴 온되는 것 보다는, 도 12f와 같이 순차적으로 턴 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위칭시의 피크 전류가, 저감되게 되어, 회로 소자의 소손 가능성 등이 저하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which is an upper arm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2, which is a lower arm switching element, in the 10 coil driving units are all turned on sequentially as shown in FIG. 12F, rather than being turned on simultaneously. it is desirable to be As a result, the peak current at the time of switching is reduced, and the possibility of burnout of the circuit element or the like is reduced.
도 13a의 (a)는 도 10a의 방식에 따른 제1 스위칭 소자(Sb1) 동작시의 스위칭 노이즈 파형(Iswa)을 예시하며, 도 13a의 (b)는 도 12의 방식에 따른 제1 스위칭 소자(Sb1) 동작시의 스위칭 노이즈 파형(Isw)을 예시한다. 도 12의 방식에 따른 제1 스위칭 소자(Sb1) 동작시, 스위칭 노이즈가 상당히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a) of FIG. 13A illustrates a switching noise waveform Iswa dur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0A, and (b) of FIG. 13A illustrate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2 (Sb1) The switching noise waveform Isw during operation is exemplified. Wh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b1 operat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2, it can be seen that switching noise is significantly reduced.
즉, 코일 구동부(439) 내의 스위칭 소자의 개수가 저감되에 따라, 스위칭 노이즈가 상당히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as the number of switching elements in the
다음, 도 13b의 (a)는 도 10a의 방식에 따른 베어링 코일 전류 검출부(M)에서 검출되는 전류 파형(IBa)을 예시하며, 도 13b의 (b)는 도 12의 방식에 따른 베어링 코일 전류 검출부(M)에서 검출되는 전류 파형(IB)을 예시한다. 도 12의 방식에 따르면, 검출되는 전류의 노이즈가 상당히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Next, (a) of FIG. 13b illustrates the current waveform IBa detected by the bearing coil current detector M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0a, and (b) of FIG. 13b illustrates the bearing coil curre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2 The current waveform IB detected by the detector M is exempl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2, it can be seen that the noise of the detected current is significantly reduced.
다음, 도 13c의 (a)는 도 10a의 방식에 따른 베어링 코일(RB)에 흐르는 전류 파형(Irba)을 예시하며, 도 13c의 (b)는 도 12의 방식에 따른 베어링 코일에 흐르는 전류 파형(Irb)을 예시한다. 도 12의 방식에 따르면, 베어링 코일(RB)에 흐르는 전류 파형의 리플도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Next, (a) of FIG. 13c illustrates a current waveform Irba flowing through the bearing coil RB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0a, and (b) of FIG. 13c illustrates a current waveform flowing through the bearing coil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2 (Irb) is exempl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2, it can be seen that the ripple of the current waveform flowing through the bearing coil RB is also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칠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Compressor dr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iller hav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above embodiments are implemented in each implementation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ll or part of the example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m.
한편, 본 발명의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칠러의 동작방법은,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칠러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compressor driving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chill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processor-readable codes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d in the compressor driving device and the chiller including the sam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the processor is stor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자기 베어링의 베어링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를, 상기 자기 베어링으로부터 부상(levitation)시키거나, 랜딩(landing)시키는 코일 구동부;
상기 코일 구동부의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구동부는,
제1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
상기 제1 커패시터 양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1 다이오드 소자에 병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코일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1 다이오드 소자의 사이와, 상기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는 제1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 compressor having a compressor motor and magnetic bearings;
a coil drive unit having a switching element and applying a current to a bearing coil of the magnetic bearing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to levitation or land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from the magnetic bear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coil driving unit,
The coil drive unit,
a first capacitor in which a first DC power is stored;
a first switching element and a first diode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a second diode element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to store a second DC power supply;
The bearing coil,
I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first diode element and between the second diode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he control unit,
The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first mode in whic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is performed so that the second DC power is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 부상을 위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온되는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mpressor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to be controlled to perform a second mode in which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re turned 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상기 제2 직류 전원이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오프되는 제3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a third mode in which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re turned off is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DC power is stored in the second capaci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의 수행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이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The compressor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mode is controll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a first reference time.
상기 제2 직류 전원과 상기 제2 커패시터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 소자 및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2,
and a resistance element and a third diod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C power source and the second capaci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와 상기 저항 소자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의 수행 시간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And based on the capacitance of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element,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mode is controlled to be variab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 랜딩시, 상기 베어링 코일에 저장된 전류가 방전되는 상기 제1 모드와,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에 의해, 상기 베어링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상기 제2 모드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lands, the first mode in which the current stored in the bearing coil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mode in which the current flows in the bearing coil by the power stored in the capacitor are controlled to be repeated. Compressor driving device to b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 랜딩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중 어느 하나가 턴 온되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 온되는 상기 제2 모드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rotor of the compressor motor lands, the first mode in which on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and the power stored in the capacitor,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Compressor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second mode, in which all switching elements are turned on, is repeated.
상기 베어링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베어링 코일 전류 검출부; 및
상기 베어링 코일과의 갭(gap)을 센싱하는 갭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갭 센서로부터 센싱된 갭 정보와, 상기 검출된 베어링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어를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1,
a bearing coil current detector detecting a current applied to the bearing coil; and
A gap sensor for sensing a gap with the bearing coil;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gap information sensed by the gap sensor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etected bearing coil,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compressor driv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갭 센서로부터 센싱된 갭 정보와, 갭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를 출력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
상기 전류 지령치와, 상기 검출된 베어링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듀티 지령치를 출력하는 듀티 지령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9,
The control unit,
a current command generator configured to output a current command value based on the gap information sensed by the gap sensor and the gap command value;
and a duty command generator configured to output a duty command value based on the current command value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etected bearing coi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2514A KR102573122B1 (en) | 2017-01-06 | 2017-01-06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2514A KR102573122B1 (en) | 2017-01-06 | 2017-01-06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1369A KR20180081369A (en) | 2018-07-16 |
KR102573122B1 true KR102573122B1 (en) | 2023-08-30 |
Family
ID=6304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2514A Active KR102573122B1 (en) | 2017-01-06 | 2017-01-06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312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6009B1 (en) * | 2018-01-05 | 2019-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agnetic bear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ol the same |
CN119196973B (en) * | 2024-11-29 | 2025-02-14 | 秦皇岛美城低碳产业发展有限公司 | Magnetic suspension type centrifugal heat pump uni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28091A (en) | 2013-05-24 | 2014-12-0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Magnetic bearing device and compress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02952885A0 (en) * | 2002-11-25 | 2002-12-12 | Turbocor Inc | High speed electric motor power supply |
JP6144527B2 (en) * | 2013-04-16 | 2017-06-07 | エドワーズ株式会社 | Magnetic bearing device and vacuum pump equipped with the magnetic bearing device |
KR101680943B1 (en) * | 2014-12-05 | 2016-1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hill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80079821A (en) * | 2017-01-02 | 2018-07-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hiller |
-
2017
- 2017-01-06 KR KR1020170002514A patent/KR1025731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28091A (en) | 2013-05-24 | 2014-12-0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Magnetic bearing device and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1369A (en) | 2018-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3123B1 (en)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
EP3093584B1 (en) | Outdoor fan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CN107196580B (en) | Compress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US11940194B2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101905478B1 (en)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
KR102366592B1 (en) | Chiller | |
KR102573122B1 (en)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
US11923797B2 (en) |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20190051331A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102074777B1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79821A (en) | Chiller | |
US12163688B2 (en) | Motor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81370A (en)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
KR102102756B1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95146B1 (en)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
KR102130591B1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
KR101889777B1 (en) | Motor driving device and chiller including the same | |
KR102010387B1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20210108251A (en) | Motor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10226061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110536B1 (en) | Compress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102017150B1 (en) | Compressor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102080519B1 (en) |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20190108000A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101989107B1 (en) | Motor driv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