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989B1 - Bearing for bridge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earing for bridge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2989B1 KR102572989B1 KR1020220185180A KR20220185180A KR102572989B1 KR 102572989 B1 KR102572989 B1 KR 102572989B1 KR 1020220185180 A KR1020220185180 A KR 1020220185180A KR 20220185180 A KR20220185180 A KR 20220185180A KR 102572989 B1 KR102572989 B1 KR 1025729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height
- height adjusting
- lower plate
- extension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1)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S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하부구조물(93) 및 하부 플레이트(10) 사이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93)에 대한 하부 플레이트(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이격 거리를 가지는 교량 상하부구조물(91, 93) 상에 상기 교량받침장치(1)가 용이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용이한 시야 확보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작업 시간 단축을 도모하도록 하는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upporting device (1)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and a height adjusting method (S1)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 lower structure (93) and a lower plate (10) between the lower plate (10). )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1) on the upper and lower bridge structures (91, 93) having various separation distances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10) with respect to the bridge lower structure (93). ) is easily installed, and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bridge support device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to improve workability and reduce working time according to easy securing of the operator's field of view.
교량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강 양안 또는 중간 측에 설치되는 교각 또는 교대와 같은 하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구조물 사이를 이어주며 그 상측에 위치하는 거더 및 슬래브와 같은 상부구조물로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basic structure of a bridge, it consists of a substructure such as a pier or abutment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river or on the middle side, and an upper structure such as a girder and a slab located on the upper side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substructures.
교량 받침이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자중에 저항하고, 상시 및 지진과 같은 비상시 수평하중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을 지칭하며, 상기 교량 받침은 현재까지 다양한 타입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황이다.Bridge bearing refers to a configuration installed between the superstructure and substructure of a bridge to resist the weight of the upper part and to accommodate horizontal loads at all times and in emergencies such as earthquakes. Various types of bridge bearings have been developed so far. It is being sold on the market.
구체적으로, 교량 받침은 일반적으로 강재 받침, 고무 받침 및 특수 받침으로 분류되며, 강재 받침으로는 포트 받침(Pot Bearing) 및 스페리컬 받침(Spherical Bearing) 외 다양한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Specifically, bridge bearing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steel bearings, rubber bearings, and special bearings, and steel bearings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pot bearings and spherical bearings.
도 1은 일반적인 교량받침의 설치 시 높이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height adjustment method when installing a general bridge bearing.
이하에서는 교량받침의 높이 조절의 필요성 및 일반적인 교량받침에 대한 높이조절방식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necessity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ridge bearing,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for the general bridge bearing, and the resulting problems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고하면, 교량 상부구조물(91)과 하부구조물(93) 사이의 이격 거리는 교량받침(or 하판; 910)이 설치되는 환경마다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정해진 규격의 교량받침(910)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교량받침(910)의 저부에 대한 높이 조절이 필수적이다. 또한, 동일 교량 측에 설치할 때에도 교량받침(910)이 설치되는 위치마다 상이한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역시 존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ridge
이와 같은 교량받침(910)의 높이 조절 시, 먼저 하판과 앵커볼트가 설치될 측 교량 하부구조물(93)의 콘크리트(97)를 제거한다. 그 후, 기 매립된 격자형 철근(95)의 이격 공간 내측으로 앵커볼트가 삽입되도록 하여 하판(91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교량 상부구조물(91)과 하부구조물(93) 간 이격 높이 차와 교량받침(910)의 전체 상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교량받침(91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서의 교량받침(910)을 설치하기 위해 하판(910)의 저부에 높이조절장치(930)를 삽입한다. 상세하게는, 하판(910)의 저부 및 교량 하부구조물(93) 사이 협소한 공간 내 측으로 작업자가 직접 손을 집어 넣어 높이조절장치(930)를 삽입하여야 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상기 높이조절장치(930)는 커플러(931)와 상기 커플러(931) 내측 관통공에 삽입되는 앙카 등의 결합수단(933)을 포함한다. 결합수단(933)은 대략 원통형으로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height adjusting
이 때 높이조절장치(930)가 교량받침(910)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시, 작업자가 교량받침(910)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교량 하부구조물(93)의 콘크리트(97)와 교량받침(910)의 이격 공간인 협소한 측에 직접 손을 집어 넣어 높이조절장치(930)의 위치를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플러(931)를 회전시켜 높이조절장치(930)의 전체 높이를 설정할 때에도, 상기 커플러(931)가 하판(910)의 저면과 면접촉한 상태이므로, 작업자의 용이한 시야확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성이 저하되며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숙련도에 따라 정교한 높이설정이 결정될 수밖에 없다.At this time, when the height adjusting
또한, 교량받침(910) 위치 설정, 높이조절장치(930) 삽입 및 상기 높이조절장치(930)를 통한 높이 설정, 상기 높이 설정 시 비용이한 시야 확보에 따른 작업 시간 증가와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교각 위의 고소 작업이 길어짐에 따라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In addition, due to factors such as setting the position of the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 a bridge support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height adjusting device installed and a height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It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교량 상하부구조물 간 이격 거리 및 설치될 교량받침장치의 전체 두께를 고려하여, 해당 교량받침장치의 용이한 높이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ridge structures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to be installed, a bridge supporting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that enables easy height setting of the corresponding bridge supporting device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의 높이 설정 시 활용되는 높이조절장치가 해당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해당 하부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하부 플레이트와 교량 하부구조물 간 협소한 이격 공간 내측으로 해당 높이조절장치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in a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used when setting the height of the lower pl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by welding, etc., so that the operator can directly adjust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that prevents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rresponding height adjusting device into the narrow space between structures and a height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가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작업 시간 단축 및 그에 따라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안전 사고 발생을 최소화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that reduces work time and thereby minimizes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t high positions of workers by forming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the height us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의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가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높이 조절에 대한 용이한 시간 확보 및 그에 따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that the height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thereby securing an easy time for the operator to adjust the height and improving workability accordingl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ridge support device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installed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재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결합부재에 의하여도 높이조절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not only by a height adjusting member but also by a coupling member if necessary, and a height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재의 제1 가이드공 및 제2 가이드공 내주면의 나사산 진행 방향을 서로 반대로 구성함으로써 높이조절장치의 용이한 길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idge supporting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that enables easy length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by configuring the thread progression direction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guide ball and the second guide ball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재의 외면에 측방향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함입되는 공구삽입홈을 구비함으로써, 해당 높이조절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용이한 회전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ight adjusting device that enables an operator to easily rotat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by providing a tool insertion groove that is recessed at a certain depth along the lateral or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stalled bridge support device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제2 연장부재의 하단부를 송곡 형상의 팁으로 구성함으로써 해당 제2 연장부재가 콘크리트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firmly fixing the second extension member to concrete by configur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with a conch-shaped tip,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제2 연장부재의 하단부에 삼발이 형식의 트라이포드를 형성함으로써 해당 제2 연장부재가 콘크리트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stably seating the second extension member on concrete by forming a tripod type tripo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But it ha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제2 연장부재의 하단부에 해당 제2 연장부재의 직경 크기보다 큰 좌우 폭 크기 또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부반력 저항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교량받침장치의 설치 완료 후 부반력에 대한 용이한 저항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de reaction force resisting member having a left and right width o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size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so that it is easy to respond to the side reaction forc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is complet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enables resistance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는 교량 하부구조물의 상 측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결합하며 하측부가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의 일 측에 삽입되는 앵커볼트; 및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결합수단의 삽입을 위하여 일 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결합수단의 삽입을 위하여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입되는 함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dge support device hav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fixed to an upper side of a bridge lower structure; An anchor bol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wer bridge structure;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having an upper e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up and down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wherein the lower plate has one side for inserting the coupling means. The anchor bolt includes a recessed hole form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for insertion of the coupling mean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방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재; 상측에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하측에 제2 연장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제2 가이드공에 삽입되며, 하방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공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공의 내주면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산 및 제2 나사산의 진행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device provided in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wit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extends downward,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irst extension member to be; a height adjusting member having a first guide hole allowing insertion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guide hole allowing inse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extension member having an upper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extending downward, and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A second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and the traveling directions of the first screw thread and the second screw thread are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함입되어 회전 공구의 삽입을 허용하는 공구삽입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device provided in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wit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at a constant dep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llow insertion of a rotary too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연장부재는 하단부가 인접한 철근과 용접 처리되어 고정되거나, 콘크리트의 천공된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xtension member provided in the bridge support device wit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adjacent reinforcing bar or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space of the concre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연장부재는 하단부에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직경 크기보다 큰 좌우 폭 크기를 가지는 부반력 저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xtension member provided in the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reaction force having a left and right width greater than the diameter size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t the lower en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resistance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연장부재는 하단부에 삼발이 형상의 트라이포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xtension member provided in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wit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ipod-shaped tripod is formed at the lower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은 교량 하부구조물의 상 측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결합하며 하측부가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의 일 측에 삽입되는 앵커볼트; 및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교량 하부구조물 상의 콘크리트가 일부 제거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와 함께, 교량 상부구조물과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 간 이격 높이 및 교량받침장치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교량받침장치의 설치 높이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기 결합되어 있는 상기 높이조절장치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fixed to an upper side of a bridge lower structure; An anchor bol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wer bridge structure;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having an upper e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wer plate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wherein the concrete on the bridge substructure is partially removed; and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plate, the separation height between the upper bridge structure and the lower bridge structure, and the thickness of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and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pre-coupled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은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방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재; 상측에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하측에 제2 연장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제2 가이드공에 삽입되며, 하방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공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공의 내주면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산 및 제2 나사산의 진행방향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설치 높이 결정 단계는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hav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has an upper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extends downwar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irst extension member on which a screw thread is formed; a height adjusting member having a first guide hole allowing insertion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guide hole allowing inse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extension member having an upper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extending downward, and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A second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the traveling directions of the first screw thread and the second screw thread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is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being rotated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adjus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은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하단부 측이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의 일 측 상에 안착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cludes the step of seating the lower end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n one side of the bridge sub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의 상기 안착단계는 상기 제2 연장부재의 하단부를 인접한 철근과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step of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by welding with an adjacent reinforcing bar. to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의 상기 안착단계는 상기 콘크리트가 천공된 이후 상기 제2 연장부재의 팁을 삽입하여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step of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inserting the tip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fter the concrete is dril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교량 상하부구조물 간 이격 거리 및 설치될 교량받침장치의 전체 두께를 고려하여, 해당 교량받침장치의 용이한 높이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easy height setting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ridge structures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to be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의 높이 설정 시 활용되는 높이조절장치가 해당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해당 하부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하부 플레이트와 교량 하부구조물 간 협소한 이격 공간 내측으로 해당 높이조절장치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in a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used when setting the height of the lower pl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by welding, etc., so that the operator can directly adjust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rresponding height adjusting device into the narrow separation space between structures.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가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작업 시간 단축 및 그에 따라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안전 사고 발생을 최소화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orking time and thus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t the height position of the operator by forming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의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가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높이 조절에 대한 용이한 시간 확보 및 그에 따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that the height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thereby securing an easy time for the operator to adjust the height and improving workability accordingly. Indicates the effect of promoting.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재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결합부재에 의하여도 높이조절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not only by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but also by the coupling member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재의 제1 가이드공 및 제2 가이드공 내주면의 나사산 진행 방향을 서로 반대로 구성함으로써 높이조절장치의 용이한 길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easy length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by configuring the screw thread traveling direction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ball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재의 외면에 측방향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함입되는 공구삽입홈을 구비함으로써, 해당 높이조절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용이한 회전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effect of enabling the operator to easily rotat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by providing a tool insertion groove that is recessed at a constant depth along the lateral or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제2 연장부재의 하단부를 송곡 형상의 팁으로 구성함으로써 해당 제2 연장부재가 콘크리트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irmly fixing the second extension member to the concrete by configur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with a conch-shaped tip.
또한, 본 발명은 제2 연장부재의 하단부에 삼발이 형식의 트라이포드를 형성함으로써 해당 제2 연장부재가 콘크리트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tably seating the second extension member on concrete by forming a tripod type tripo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제2 연장부재의 하단부에 해당 제2 연장부재의 직경 크기보다 큰 좌우 폭 크기 또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부반력 저항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교량받침장치의 설치 완료 후 부반력에 대한 용이한 저항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de reaction force resisting member having a left and right width o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size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so that it is easy to respond to the side reaction forc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is completed. It shows the effect of enabling resistance.
도 1은 일반적인 교량받침의 설치 시 높이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교량받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교량받침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제2 연장부재에 대한 4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높이조절방법의 참고도이다.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height adjustment method when installing a general bridge bearin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support device install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four embodiments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6 is a flow chart for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install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FIG. 6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only provided as a reference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when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specifies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별 구성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dividual components may be formed integrally or independently as needed, and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교량받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교량받침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제2 연장부재에 대한 4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support device install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2; 5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four embodiments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ccording to FIG. 2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bridge supporting device 1 hav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하부구조물(93) 및 하부 플레이트(10) 사이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93)에 대한 하부 플레이트(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이격 거리를 가지는 교량 상하부구조물(91, 93) 상에 상기 교량받침장치(1)가 용이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용이한 시야 확보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작업 시간 단축을 도모하도록 하는 교량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2 to 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upport device (1)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installed, and more particularly, the lower plate (10) between the bridge lower structure (93) and the lower plate (10). )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1) on the upper and lower bridge structures (91, 93) having various separation distances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10) with respect to the bridge lower structure (93). ) is easily installed, and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bridge support device to improve workability and reduce working time according to easy visibility of the operator.
이를 위하여,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1)는 하부 플레이트(10), 앵커볼트(30) 및 높이조절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1 with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stalled may include a
하부 플레이트(10)는 교량 하부구조물(93)의 상 측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상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후술할 앵커볼트(30) 등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교량 하부구조물(93)에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 플레이트(10)는 그 형상, 재질 및 결합방식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The
또한, 하부 플레이트(10)와 교량 상부구조물(91) 사이에는 교량받침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받침장치가 설치될 경우, 교량 상부구조물(91)의 하 측에 상부 플레이트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10)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1)는 그 적용 범위가 특정 유형의 교량받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addition,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하부 플레이트(10)는 결합수단의 삽입을 위하여, 일 측에 한 개 이상의 삽입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0)에 결합수단의 몸체부가 관통한 이후 후술할 앵커볼트(30)에 삽입되어 하부 플레이트(10)와 앵커볼트(3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삽입공(110)은 예를 들어 하부 플레이트(10)의 4 모서리와 인접한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은 예를 들어 볼트 구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In order to insert the coupling means, the
앵커볼트(30)는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결합하여 그 하측부가 교량 하부구조물(93)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앵커볼트(30)는 예를 들어 원통형 부재로, 그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임되는 함입공(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함입공(310)을 하부 플레이트(10)의 삽입공(110)과 매칭시킨 이후, 결합수단을 삽입하여 앵커볼트(30)가 하부 플레이트(10)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앵커볼트(30)의 개수는 삽입공(110)의 형성 개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높이조절장치(50)는 그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철근(95)과 용접되거나 교량 하부구조물(93) 상의 콘크리트(97)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치로, 하부 플레이트(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높이조절장치(50)는 한 쌍의 앵커볼트(30) 이격 공간 내측에 형성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50)를 설명하기에 앞서, 교량받침의 높이 조절의 필요성 및 일반적인 교량받침에 대한 높이조절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Prior to describing the
교량 상부구조물(91)과 하부구조물(93) 사이의 이격 거리는 교량받침(or 하판; 910)이 설치되는 환경마다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정해진 규격의 교량받침(910)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교량받침(910)의 저부에 대한 높이 조절이 필수적이다. 또한, 동일 교량 측에 설치할 때에도 교량받침(910)이 설치되는 위치마다 상이한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역시 존재할 수 있다.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이와 같은 교량받침(910)의 높이 조절 시, 먼저 하판과 앵커볼트가 설치될 측 교량 하부구조물(93)의 콘크리트(97)를 제거한다. 그 후, 기 매립된 격자형 철근(95)의 이격 공간 내측으로 앵커볼트가 삽입되도록 하여 하판(91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교량 상부구조물(91)과 하부구조물(93) 간 이격 높이 차와 교량받침(910)의 전체 상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교량받침(91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서의 교량받침(910)을 설치하기 위해 하판(910)의 저부에 높이조절장치(930)를 삽입한다. 상세하게는, 하판(910)의 저부 및 교량 하부구조물(93) 사이 협소한 공간 내 측으로 작업자가 직접 손을 집어 넣어 높이조절장치(930)를 삽입하여야 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상기 높이조절장치(930)는 커플러(931)와 상기 커플러(931) 내측 관통공에 삽입되는 앙카 등의 결합수단(933)을 포함한다. 결합수단(933)은 대략 원통형으로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이 때 높이조절장치(930)가 교량받침(910)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시, 작업자가 교량받침(910)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교량 하부구조물(93)의 콘크리트(97)와 교량받침(910)의 이격 공간인 협소한 측에 직접 손을 집어 넣어 높이조절장치(930)의 위치를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플러(931)를 회전시켜 높이조절장치(930)의 전체 높이를 설정할 때에도, 상기 커플러(931)가 하판(910)의 저면과 면접촉한 상태이므로, 작업자의 용이한 시야확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성이 저하되며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숙련도에 따라 정교한 높이설정이 결정될 수밖에 없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교량받침(910) 위치 설정, 높이조절장치(930) 삽입 및 상기 높이조절장치(930)를 통한 높이 설정, 상기 높이 설정 시 비용이한 시야 확보에 따른 작업 시간 증가와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교각 위의 고소 작업이 길어짐에 따라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In addition, due to factors such as setting the position of th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50)를 제시하며, 상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높이조절장치(50)는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결합부재(510), 제1 연장부재(520), 높이조절부재(530) 및 제2 연장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결합부재(510)는 높이조절장치(50)의 최상단 측에 형성되며, 그 상측부가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510)는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교량 하부구조물(93)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510)는 예를 들어 커플러일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510)의 저부 일측으로부터 상방 연장될수록 결합부재함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함입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다만, 결합부재(510)는 본 발명에 있어 필수적 구성은 아니며, 상기 결합부재(510) 부재시, 제1 연장부재(520)의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교량 하부구조물(93) 측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However, the
제1 연장부재(520)는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결합되거나 결합부재(510)의 결합부재함입공과 체결되며, 그 하측부가 높이조절부재(530)의 제1 가이드공(531)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제1 연장부재(520)는 예를 들어 대략 원통형으로,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연장부재(520)의 나사산은 후술할 제2 연장부재(540)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부재(530)를 회전시키는 경우 용이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The
높이조절부재(530)는 그 상측에 제1 연장부재(520)의 삽입과, 그 하측에 제2 연장부재(540)의 삽입을 허용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연장부재(520) 및 제2 연장부재(540)의 삽입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높이조절장치(50)의 전체 상하 높이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높이조절부재(530)의 외면은 원통형일 수도, 다각형일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The
이를 위하여, 높이조절부재(530)는 제1 가이드공(531), 제2 가이드공(533) 및 공구삽입홈(535)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제1 가이드공(531)은 높이조절부재(53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방 연장되는 함입홈 구성으로, 그 내주면에 제1 방향으로 진행되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공(531)의 내측에는 제1 연장부재(520)의 하측부가 체결될 수 있다.The
제2 가이드공(533)은 높이조절부재(530)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함입홈 구성으로, 그 내주면에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진행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공(533)의 내측에는 제2 연장부재(540)의 상측부가 체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공(533)은 제1 가이드공(531)과 연통될 수도, 연통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The
공구삽입홈(535)은 높이조절부재(530)의 외면에 측방향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깊이로 함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530)의 회전을 위한 공구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높이조절부재(5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공구삽입홈(535)은 높이조절부재(530)의 외면에 측방향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입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홈일 수도 있으나, 한 쌍의 홈이 서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공구삽입홈(535)을 통해 공구 일측을 삽입하여 높이조절부재(530) 회전 시, 상기 공구삽입홈(535)이 고리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공구가 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공구삽입홈(535)의 연장방향을 따라 미끄러짐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높이조절부재(530)는 높이조절장치(50)의 상측부가 아닌 중앙 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용이한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하부 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97)와 하부 플레이트(10)의 협소한 이격 공간 내로 상기 높이조절부재(530)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시간의 현저한 단축 그리고 용이한 작업성이 확보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Since the
제2 연장부재(540)는 상측부가 제2 가이드공(533)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제2 연장부재(520)는 예를 들어 대략 원통형으로,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연장부재(540)의 나사산은 제1 연장부재(520)의 나사산과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제2 연장부재(540)의 하단부는 인접한 철근(95)과 용접 처리되어 고정되거나, 콘크리트(97)를 천공 후 해당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제2 연장부재(540)의 하단부는 송곳 형상의 팁(5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팁(541)은 제2 연장부재(540)가 콘크리트(97)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 연장부재(540)의 하단부에 삼발이 형식의 트라이포드(543)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장부재(540)가 콘크리트(97)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라이포드(543)는 제2 연장부재(540)의 하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2 연장부재(540)의 하단부 측에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직경 크기보다 큰 좌우 폭 크기 또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부반력 저항부재(5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항부재(545)는 부반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5 , an awl-shap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높이조절방법의 참고도이다.Figure 6 is a flow chart for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install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FIG. 6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S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방법(S1)은 전술한 교량받침장치(1)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height adjusting method (S1)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having a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is height adjustment method (S1)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bridge support device 1,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s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의 각 단계들은 기재된 것과 시간적 선후를 달리할 수도 또는 특정 단계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each of the following steps may be different in time from those described, or specific steps may be per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nd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thereto.
도 6 및 도 7(a)을 참고하여 높이조절방법(S1)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장치(1)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부구조물(93) 상의 콘크리트(97)를 일부 제거한다(S10). 그 후, 도 6 및 도 7(b)를 참고하면, 하부 플레이트(10)의 설치 위치와 함께, 교량 상부구조물(91) 및 하부구조물(93)의 이격 높이와, 교량받침장치(1)의 전체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교량받침장치(1)의 설치 높이가 결정된다(S20). Referring to FIGS. 6 and 7 (a),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S1) will be described. First, in order to install the bridge suppor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on the lower structure 93 ( 97) is partially removed (S10). After that, referring to FIGS. 6 and 7 (b),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그리고 나서, 도 6 및 도 7(c)를 참고하면, 하부 플레이트(10)의 저부와 기 결합되어 있는 높이조절장치(50)를 활용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한다(S30). 단계 S3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높이조절부재(530)를 회전시켜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S310). 예를 들어, 공구삽입홈(535)에 공구를 삽입시켜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10과 함께 결합부재(510)를 회전시켜 높이조절장치(50)의 전체 높이를 추가로 조절할 수도 있다(S330). 단계 S310에 의하여, 작업자는 용이한 시야확보를 통해 손쉬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높이조절장치(50)는 하부 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플레이트(10)와 콘크리트(97) 사이 협소한 공간 내측에 별도로 상기 높이조절장치(50)를 삽입하는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 기간 단축 및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S. 6 and 7(c),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그 후, 도 6 및 도 7(d)를 참고하면, 높이조절장치(50)의 하단부 측을 교량 하부구조물(93)의 일 측 상에 안착시킨다(S50). 단계 S50은 예를 들어 제2 연장부재(54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단부를 인접한 철근(95)과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콘크리트(97)를 드릴 등의 공구를 통해 천공한 이후 상기 제2 연장부재(540)의 팁(541)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트라이포드(543)를 콘크리트 상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 때 높이조절장치(50)의 용이한 안착과 함께,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트라이포드(543) 형상에 의하여 추후 몰탈(M) 투입 후에도 부반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마지막 실시예로, 부반력 저항부재(545)가 제2 연장부재(54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매립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S. 6 and 7(d), the lower end side of the
그리고 나서, 도 6 및 도 7(e)를 참고하면, 콘크리트(97) 제거 부위에 몰탈(M)을 투입하여 교량받침장치(1)가 고정되도록 한다(S70).Then, referring to FIGS. 6 and 7 (e), mortar (M) is injected into the area where the concrete (97) is removed so that the bridge supporting device (1) is fixed (S7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devices and methods,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ppendice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m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 :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10 : 하부 플레이트
110 : 삽입공
30 : 앵커볼트
310 : 함입공
50 : 높이조절장치
510 : 결합부재 511 : 결합부재함입공
520 : 제1 연장부재
530 : 높이조절부재
531 : 제1 가이드공
533 : 제2 가이드공
535 : 공구삽입홈
540 : 제2 연장부재
541 : 팁 543 : 트라이포드
545 : 부반력 저항부재
S1 :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
91 : 교량 상부구조물 93 : 교량 하부구조물
95 : 철근 97 : 콘크리트
910 : 종래의 교량받침 930 : 종래의 높이조절장치
931 : 커플러 933 : 결합수단
M : 몰탈1: Bridge support device with height adjustment device installed
10: lower plate
110: insertion hole
30: anchor bolt
310: pit hole
50: height adjustment device
510: coupling member 511: coupling member hole
520: first extension member
530: height adjustment member
531: first guide hole
533: second guide hole
535: tool insertion groove
540: second extension member
541: Tip 543: Tripod
545: negative reaction resistance member
S1: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bridge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91: bridge superstructure 93: bridge substructure
95: rebar 97: concrete
910: Conventional bridge support 930: Conventional height adjustment device
931: coupler 933: coupling means
M: mortar
Claims (11)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결합하며 하측부가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의 일 측에 삽입되는 앵커볼트; 및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앵커볼트 이격 공간 내측의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결합수단의 삽입을 위하여 일 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결합수단의 삽입을 위하여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입되는 함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최상단 측에 형성되며, 상측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저부 일측으로부터 상방 연장될수록 제1 연장부재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함입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재; 상단부가 상기 결합부재함입공에 체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재; 상측에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하측에 제2 연장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재; 상단부가 상기 제2 가이드공에 삽입되며, 하방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연장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한 깊이로 함입되는 함 쌍의 홈이 서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회전 공구의 삽입을 허용하는 공구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재는
하단부가 인접한 철근과 용접 처리되어 고정되거나, 콘크리트의 천공된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가이드공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반대의 진행방향을 가지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a lower plat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substructure;
An anchor bol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wer bridge structure; and
The upper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lat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up and down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plate,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inside the pair of anchor bolt separation spaces;
the lower plate
Includ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long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insertion of the coupling means;
The anchor bolt
Including; a recessed hol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for the insertion of the coupling means,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 coupling member formed at an uppermost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n upper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a bottom portion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coupling member recess formed therein so that a first extension member is fastened as it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A first extension member having an upper end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recess and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height adjusting member having a first guide hole allowing insertion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guide hole allowing inse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on the lower side; a second extension member having an upper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extending downward, and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air of grooves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and recessed at a certain depth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llow insertion of a rotary tool; a tool insertion groove;
The second extension member
The lower part is welded and fixed with adjacent reinforcing bars, or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space of concrete and fixed,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hole,
A bridge supporting device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crew thread having a travel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ball.
하단부에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직경 크기보다 큰 좌우 폭 크기를 가지는 부반력 저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 bridge supporting device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comprising a; a negative reaction force resisting member having a left and right wid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t the lower end.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트라이포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 bridge support device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ripod of a shape extending radially is formed at the lower e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5180A KR102572989B1 (en) | 2022-12-27 | 2022-12-27 | Bearing for bridge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ing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5180A KR102572989B1 (en) | 2022-12-27 | 2022-12-27 | Bearing for bridge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ing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2989B1 true KR102572989B1 (en) | 2023-08-31 |
Family
ID=8784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5180A Active KR102572989B1 (en) | 2022-12-27 | 2022-12-27 | Bearing for bridge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ing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298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362A (en) * | 2002-01-08 | 2003-07-16 | 이춘구 | Bridge bearing and building method of bridge bearing |
KR20120037086A (en) * | 2010-10-11 | 2012-04-19 | 주식회사 베스탑 | Height adjustable and excellent fixing of the bridge bearing |
JP2016008463A (en) * | 2014-06-26 | 2016-01-18 | 横河工事株式会社 | Bearing installation method and bearing structure |
KR101931207B1 (en) | 2018-06-12 | 2018-12-20 |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 Rotation identifiable pot bearing |
-
2022
- 2022-12-27 KR KR1020220185180A patent/KR1025729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362A (en) * | 2002-01-08 | 2003-07-16 | 이춘구 | Bridge bearing and building method of bridge bearing |
KR20120037086A (en) * | 2010-10-11 | 2012-04-19 | 주식회사 베스탑 | Height adjustable and excellent fixing of the bridge bearing |
JP2016008463A (en) * | 2014-06-26 | 2016-01-18 | 横河工事株式会社 | Bearing installation method and bearing structure |
KR101931207B1 (en) | 2018-06-12 | 2018-12-20 |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 Rotation identifiable pot bear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421222A (en) | Socket and spigot joint type connection structure for bridge prefabricated pier stand column and bearing platform and splicing method of socket and spigot joint type connection structure | |
KR101146627B1 (en) | Anchor socket structure for a bridge bearing system | |
CN103104195B (en) | Deviation rectify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full casing drilling machine | |
KR100680180B1 (en) | Device | |
JP7557081B2 (en) | Wale-raised support modules for weldless backfilling and reuse. | |
JP2006104747A (en) |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pedestal | |
KR102572989B1 (en) | Bearing for bridge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ing using the same | |
CN210482321U (en) | Foundation pit support | |
KR100914546B1 (en) | Multi-axis punching drill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34745B1 (en) | Bridge support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CN111980439A (en) | Wall bearing replacement device and wall bearing replacement construction method | |
KR100976543B1 (en) | Structure for supporting construction | |
KR102452249B1 (en) | Elevation Control Anchor and Bridge Bearing System using it | |
CN105625424B (en) | For control rectangle bracket pile verticality and azimuthal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60051964A (en) | Machine fixing support leveler | |
JP2006233498A (en) | Bridge-fall prevention equipment | |
KR200406660Y1 (en) | Support | |
KR100701025B1 (en) | Support | |
KR102168466B1 (en) | Combining structure of bridge support | |
KR100714920B1 (en) | Joint cap of concrete pile | |
KR10097752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structure | |
CN212742534U (en) | Positioning and guiding device for pile sinking of chain concrete precast pile | |
KR20030086202A (en) | Traver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vertical supporting pillars | |
CN219117937U (en) | Reinforced steel bent cap suitable for single-column pier pile foundation | |
KR19990084208A (en) | Method for establishing and repairing a bridge bearing device using anchorbolt which is composed of a lower anchorbolt and a upper anchorbo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