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2592B1 -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592B1
KR102572592B1 KR1020220062113A KR20220062113A KR102572592B1 KR 102572592 B1 KR102572592 B1 KR 102572592B1 KR 1020220062113 A KR1020220062113 A KR 1020220062113A KR 20220062113 A KR20220062113 A KR 20220062113A KR 102572592 B1 KR102572592 B1 KR 102572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portion
extension
downwardly
head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914A (ko
Inventor
김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Priority to KR102022006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5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가 수납되는 헤드레일과 체결구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은,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헤드레일의 제1 걸림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1 결합부, 상기 제1-1 결합부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2 결합부 및 상기 제1-2 결합부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3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헤드레일의 제2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가압됐을 때, 상기 제1 결합부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1 결합부, 상기 제2-1 결합부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2 결합부 및 상기 제2-2 결합부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3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결합부와, 상기 제1 내측 결합부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2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외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내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외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다.

Description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BRACKET FOR HEADRAIL OF THE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에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를 권취하여 롤과 같은 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을 벽이나 천장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헤드레일에 직접적으로 체결구가 통과하거나 체결될 수 있는 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체결구가 통과하거나 체결될 수 있는 부위를 구비하되 헤드레일에 손상 없이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하여,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헤드레일을 벽 또는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은 헤드레일을 손상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헤드레일에 대해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에 대해 탈착 가능한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수납되는 헤드레일과 체결구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은,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헤드레일의 제1 걸림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1 결합부, 상기 제1-1 결합부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2 결합부 및 상기 제1-2 결합부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3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헤드레일의 제2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가압됐을 때, 상기 제1 결합부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1 결합부, 상기 제2-1 결합부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2 결합부 및 상기 제2-2 결합부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3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결합부와, 상기 제1 내측 결합부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2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외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내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외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고,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1-3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외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수납되고,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헤드레일과 체결구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은, 상기 체결구가 체결되도록 마련된 연장부; 상기 헤드레일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으로 꺾여 'L'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1 걸림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에 대해 상기 제1 걸림부가 꺾여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레일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걸림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꺾여 'L'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가압됐을 때, 상기 제1 결합부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포함하는, 상기 헤드레일의 제1 걸림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제1-1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결합부와, 상기 제1 내측 결합부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내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외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고,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1-3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1 외측 결합부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다.
이에 따라,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을, 천장 또는 벽에 배치된 브라켓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2 걸림부에 제2 결합부를 건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에 결합시킨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수납되는 헤드레일(R)과 체결구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1)은, 연장부(30), 제1 결합부(10) 및 제2 결합부(2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1)은, 제1 결합부(10)와 연결된 연장부(30)의 일단과 제2 결합부(20)와 연결된 연장부(30)의 타단이 존재할 때, 연장부(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D2)은 후술할 제3 방향(D3) 및 제1 방향(D1)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제3 방향(D3)은 연장부(30)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연장부(30)
연장부(30)는 체결구(미도시)가 브라켓(1)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연장부(30)는 제1 결합부(10)와 제2 결합부(20)를 연결하는 연장부 본체(31)를 포함한다. 연장부 본체(31)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32)이 연장부 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32)에 나사, 볼트 등의 체결구가 연결되고, 체결구가 천장, 벽 등에 체결되어, 브라켓(1)을 천장, 벽 등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장부(30)의 경계에서, 연장부(30)의 내측으로 파인 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연장부(3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부(30)의 내측으로 파인 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홈(34)이 총 4개 형성되고,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연장부(30)의 양단에 각각 2개씩, 제1 방향(D1)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와 배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체결공(32)은, 복수로 구성되되, 제1 체결공(321)과 제2 체결공(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공(321)은, 연장부(30)의 중심에 형성되되,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공(32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체결공(32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2개로 구성되어 제1 체결공(321)의 양단과 인접하게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0)는, 연장부 본체(31)로부터 제3 방향(D3)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엠보(33)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33)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지되, 2개로 구성되어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체결공(32)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33)가 배치됨에 따라, 연장부(30)의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와 제2 결합부(20)
제1 결합부(10)와 제2 결합부(20)는, 헤드레일(도 8의 R)에 브라켓(1)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부에 지지되는 구성요소이다. 제1 결합부(10)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부(30)의 말단에 연결되고, 제2 결합부(20)는 제1 방향(D1)의 반대방향을 따라 연장부(30)의 말단에 연결된다. 제1 결합부(10)가 연결되는 단부를 연장부(30)의 일단이라 하고, 제2 결합부(20)가 연결되는 단부를 연장부(30)의 타단이라 하자.
제1 결합부(10)는 헤드레일(R)의 제1 걸림부(도 8의 C1)에 스냅핏 방식으로 걸리도록, 제1-1 결합부(11), 제1-2 결합부(12) 및 제1-3 결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결합부(11)는 연장부(3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외측이란, 연장부(30)로부터 바깥방향을 의미하므로, 제1 방향(D1)을 의미하고, 하측이란, 제3 방향(D3) 중 일방향을 의미한다. 제1-2 결합부(12)는 제1-1 결합부(11)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1-3 결합부(13)는 제1-2 결합부(12)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1 결합부(10)는 이와 같이 연장부(30)의 일단으로부터 제1-1 결합부(11), 제1-2 결합부(12) 및 제1-3 결합부(13) 순서로 배치되는, 연장부(30)의 외측과 하측을 향해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져, 마치 용수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3 결합부(13)가 제1 걸림부(C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됨에 따라, 제1 결합부(10)가 제3 방향(D3)을 기준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걸림부(C1)의 하측으로 제1-3 결합부(13) 및 제1-2 결합부(12)가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제1 결합부(10)가 원상태로 복귀되고, 스냅핏과 같이 제1 결합부(10)가 제1 걸림부(C1)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에 제1-3 결합부(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제1-2 결합부(12)가 제1 걸림부(C1)에 접촉하여, 가압이 일어날 때 제1 걸림부(C1)의 내측으로 미끄러짐이 일어날 것이어서,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에는 제1-3 결합부가 존재하므로, 제1 걸림부(C1)의 외측으로 미끄러져 결합이 일어나도록,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0) 역시 제1 결합부(10)와 유사하게 제2-1 결합부(21), 제2-2 결합부(22) 및 제2-3 결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결합부(20)의 경우, 헤드레일(R)의 제2 걸림부(도 8의 C2)에 걸린 상태에서 제1 결합부(10)가 상술한 방법으로 탄성변형되며 제1 걸림부(C1)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2-1 결합부(21)는 연장부(30)의 타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외측이란, 연장부(30)로부터 바깥방향을 의미하므로, 제1 방향(D1)의 반대방향을 의미하고, 하측이란, 제3 방향(D3) 중 일방향을 의미한다. 제2-2 결합부(22)는 제2-1 결합부(21)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3 결합부(23)는 제2-2 결합부(22)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 결합부(20)는 이와 같이 연장부(30)의 타단으로부터 제2-1 결합부(21), 제2-2 결합부(22) 및 제2-3 결합부(23) 순서로 배치되는, 연장부(30)의 외측과 하측을 향해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1 결합부(10)가 탄성변형되며 제1 걸림부(C1)에 결합될 때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제2 결합부(20)가 제2 걸림부(C2)에 결려있는 상태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2 결합부(22)가 제2 걸림부(C2)에 걸린 상태에서, 제1-3 결합부(13)가 제1 걸림부(C1)에 안착되었을 때, 제1-3 결합부(13)와 제1 걸림부(C1)의 상면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형성이 가능하도록, 연장부(30)에 대해 제1-3 결합부(13)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연장부(30)에 대해 제2-3 결합부(23)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각 결합부가 연장부(30)에 대해 형성하는 기울기란, 제2 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브라켓(1)을 자른 단면에서, 연장부(30)를 수평축으로 가정했을 때, 각 결합부의 프로파일이 형성하는 기울기를 의미한다. 기울기 관계가 상술한 것과 같으므로, 해당 단면에서 연장부(30)와 제1-3 결합부(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A1)는, 연장부(30)와 제2-3 결합부(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A2)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제1 결합부(10)가 제1 걸림부(C1)에 접촉하여, 가압이 이루어졌을 때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제1-3 결합부(13)의 표면을 따라서 제1 결합부(10)가 제1 걸림부(C1)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미끄러져, 제1 걸림부(C1)에 걸릴 수 있다.
제2 결합부(20)가 제2 걸림부(C2)에 걸린 상태에서 제1 결합부(10)를 제1 걸림부(C1)에 결합시키는 상황과 달리, 제1 결합부(10)가 제1 걸림부(C1)에 걸린 상황에서 제2 결합부(20)를 제2 걸림부(C2)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2 걸림부(C2)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3 결합부(23)가, 제2 걸림부(C2)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온전히 제2 걸림부(C2)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10)를 먼저 걸고 제2 결합부(2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려 하는 경우, 제2 결합부(20)가 탄성변형 되기 힘들고, 제2-3 결합부(23)가 제2 걸림부(C2)의 상면과 형성하는 각도가 없어, 제2 결합부(20)가 하방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미끄러지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는, 브라켓(1)을 헤드레일(R)에 결합시키기 어렵다.
제1-3 결합부(13)가 제1-2 결합부(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2-3 결합부(23)가 제2-2 결합부(2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3 결합부(23)가 제1-3 결합부(13)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헤드레일(R)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제1 결합부(10)가 결합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연장부(30)에 대해 제1-3 결합부(13)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연장부(30)에 대해 제1-1 결합부(11)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장부(30)에 대해 제2-3 결합부(23)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연장부(30)에 대해 제2-1 결합부(21)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을 수 있다. 후술한 것과 같이 제1-1 결합부(11) 또는 제2-1 결합부(21)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부분으로 구분되는 경우, 각 결합부의 기울기는, 제2 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브라켓(1)을 자른 단면에서, 각 결합부의 양단을 이은 직선의 기울기로 정의될 수 있다.
제1-1 결합부(11)는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1 결합부(11)는, 연장부(3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결합부(111)와, 제1 내측 결합부(111)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1-2 결합부(12)와 연결되는 제1 외측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1 결합부(11)가 포함하는 두 부분이 연장부(30)에 대해 형성하는 기울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0)에 대해 제1 내측 결합부(111)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연장부(30)에 대해 제1 외측 결합부(112)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을 수 있다.
유사하게, 제2-1 결합부(21)는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1 결합부(21)는, 연장부(30)의 타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결합부(211)와, 제2 내측 결합부(211)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2-2 결합부(22)와 연결되는 제2 외측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1 결합부(21)가 포함하는 두 부분이 연장부(30)에 대해 형성하는 기울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0)에 대해 제2 내측 결합부(211)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연장부(30)에 대해 제2 외측 결합부(212)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결합부(10)는 제1-2 결합부(12)와 제1-3 결합부(13)에 의해 내측으로 예각의 각도를 갖는 내측 절곡부가 형성되며, 제2 결합부(20)는 제2-2 결합부(22)와 제2-3 결합부(23)에 의해 내측으로 예각의 각도를 갖는 또 다른 내측 절곡부가 형성되고, 제1-2 결합부(12)와 제1-3 결합부(13)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결합부(10)의 내측 절곡부는 제2-2 결합부(22)와 제2-3 결합부(23)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결합부(20)의 내측 절곡부보다 큰 각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3 결합부(23)가 관통됨에 따라 보조 개구(231)가 더 형성되어, 다른 체결구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 개구(23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조 개구(231)가 형성됨에 따라, 브라켓(1)을 블라인드의 헤드레일(R)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려 하나 작업자의 손으로 작업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때, 뾰족한 공구를 보조 개구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블라인드의 헤드레일(R)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2 걸림부(C2)에 제2 결합부(20)를 건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블라인드의 헤드레일(R)에 결합시킨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헤드레일(R)에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헤드레일(R)의 상면에는 제1 걸림부(C1)와 제2 걸림부(C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부(C1)는, 헤드레일(R)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으로 꺾여 'L'자 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걸림부(C2)는, 제1 걸림부(C1)에 대해 제1 걸림부(C1)가 꺾여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측에 위치하고, 헤드레일(R)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걸림부(C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꺾여 'L'자 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림부(C1)와 제2 걸림부(C2)는 각각 헤드레일(R)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꺾이되, 꺾여서 바라보는 방향이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이 아니며, 외측을 향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상태와 같이, 브라켓(1)의 제2 결합부(20)를 제2 걸림부(C2)에 걸 수 있다. 제2-2 결합부(22)와 제2-3 결합부(23)가 제2 걸림부(C2)의 꺾여 돌출된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제2 걸림부(C2)의 꺾여 돌출된 부분이 제2-1 결합부(21)와 제2-2 결합부(22)가 형성하는 홈(34)으로 삽입되며, 제2-2 결합부(22)가 제2 걸림부(C2)의 꺾여 돌출된 부분에 접촉하여, 제2 걸림부(C2)에 제2 결합부(20)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0)가 제1 걸림부(C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제1-3 결합부(13)이므로, 제1-3 결합부(13)의 말단이 제1 걸림부(C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제1 걸림부(C1)와의 관계에서 소정의 각도(A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가 제1 걸림부(C1)에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 결합부(10)를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헤드레일(R)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결합부(10)가 상술한 것과 같이 탄성변형되며, 제1-3 결합부(13)가 가지는 기울기에 따라 제1-3 결합부(13)가 점차 외측으로 미끄러진다.
제1-3 결합부(13)의 내측단이 미끄러져 제1 걸림부(C1)의 외측단을 넘어서면서, 제1-3 결합부(13)와 제1-2 결합부(12)가 제1 걸림부(C1)의 돌출된 부분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탄성변형 되었던 제1 결합부(10)가 원상태로 복귀되며 제1 걸림부(C1)에 제1 결합부(10)가 걸리게 된다. 제1 결합부(10)가 걸린 상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1 결합부(11)와 제1-2 결합부(12)가 형성하는 홈(34)에 제1 걸림부(C1)의 꺾여 돌출된 부분이 삽입된 상태이다. 제1 결합부(10)와 제2 결합부(20)가 외측으로부터 제1 걸림부(C1) 및 제2 걸림부(C2)의 이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단하여, 브라켓(1)과 헤드레일(R)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브라켓(1)을 헤드레일(R)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은, 제2-3 결합부(23)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거나, 헤드레일(R)을 하방으로 잡아당겨서 수행이 가능하다. 브라켓(1)과 헤드레일(R)이 서로 멀어지도록 외력이 작용하면, 제1-2 결합부(12) 또는 제2-2 결합부(22)가 제1 걸림부(C1) 또는 제2 걸림부(C2)의 꺾여 돌출된 부분에 의해 가압되어, 그 기울기에 의해 제1 걸림부(C1) 또는 제2 걸림부(C2)의 꺾여 돌출된 부분이, 제1-2 결합부(12) 또는 제2-2 결합부(22)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고, 제1-2 결합부(12) 또는 제2-2 결합부(22)가 탄성변형된다. 미끄러짐이 이어져, 제1-2 결합부(12)와 제1-3 결합부(13)가 만나는 지점 또는 제2-2 결합부(22)와 제2-3 결합부(23)가 만나는 지점이, 제1 걸림부(C1) 또는 제2 걸림부(C2)의 꺾여 돌출된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면, 각 결합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브라켓(1)이 걸림부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져, 브라켓(1)을 헤드레일(R)에 형성된 걸림부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브라켓
10 : 제1 결합부
11 : 제1-1 결합부
12 : 제1-2 결합부
13 : 제1-3 결합부
20 : 제2 결합부
21 : 제2-1 결합부
22 : 제2-2 결합부
23 : 제2-3 결합부
30 : 연장부
31 : 연장부 본체
32 : 체결공
321 : 제1 체결공
322 : 제2 체결공
33 : 엠보
34 : 홈
111 : 제1 내측 결합부
112 : 제1 외측 결합부
211 : 제2 내측 결합부
212 : 제2 외측 결합부
231 : 보조 개구
C1 : 제1 걸림부
C2 : 제2 걸림부
D1 : 제1 방향
D2 : 제2 방향
D3 : 제3 방향
R : 헤드레일

Claims (8)

  1. 블라인드가 수납되는 헤드레일(R)과 체결구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1)으로서,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되는 연장부(30);
    상기 헤드레일(R)의 제1 걸림부(C1)에 스냅핏 방식으로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3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1 결합부(11), 상기 제1-1 결합부(11)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2 결합부(12) 및 상기 제1-2 결합부(12)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3 결합부(13)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10); 및
    상기 헤드레일(R)의 제2 걸림부(C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10)가 상기 제1 걸림부(C1)의 상면에 안착되고 가압 됐을 때, 상기 제1 결합부(10)가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제1 걸림부(C1)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장부(30)의 타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1 결합부(21), 상기 제2-1 결합부(21)로부터 내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2 결합부(22) 및 상기 제2-2 결합부(22)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3 결합부(23)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결합부(11)는, 상기 연장부(3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결합부(111)와, 상기 제1 내측 결합부(111)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2 결합부(12)와 연결되는 제1 외측 결합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1 내측 결합부(111)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1 외측 결합부(112)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고,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1-3 결합부(13)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1 외측 결합부(112)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으며,
    상기 제2 결합부(20)가 상기 제2 걸림부(C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10)가 상기 제1 걸림부(C1)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1 걸림부(C1)와 상기 제1 걸림부(C1)의 상면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1-3 결합부(13)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2-3 결합부(23)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크고,
    상기 제1-3 결합부(13)가 상기 제1-2 결합부(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2-3 결합부(23)가 상기 제2-2 결합부(2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연장부(30)가 상기 제1 결합부(10)와 상기 제2 결합부(20)를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3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연장부(30)의 내측으로 파인 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결합부(21)는, 상기 연장부(30)의 타단으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결합부(211)와, 상기 제2 내측 결합부(211)로부터 외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2 결합부(22)와 연결되는 제2 외측 결합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2 내측 결합부(211)가 형성하는 기울기는, 상기 연장부(30)에 대해 상기 제2 외측 결합부(212)가 형성하는 기울기보다 작고,
    상기 제1 결합부(10)는 상기 제1-2 결합부(12)와 제1-3 결합부(13)에 의해 내측으로 예각의 각도를 갖는 내측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20)는 상기 제2-2 결합부(22)와 제2-3 결합부(23)에 의해 내측으로 예각의 각도를 갖는 또 다른 내측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결합부(12)와 제1-3 결합부(1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결합부(10)의 내측 절곡부는 상기 제2-2 결합부(22)와 제2-3 결합부(2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2 결합부(20)의 내측 절곡부보다 큰 각도를 이루며,
    상기 제2-3 결합부(23)가 관통됨에 따라 보조 개구(231)가 더 형성되어, 다른 체결구와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62113A 2019-08-20 2022-05-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Active KR10257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13A KR102572592B1 (ko) 2019-08-20 2022-05-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923A KR20210022430A (ko) 2019-08-20 2019-08-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KR1020220062113A KR102572592B1 (ko) 2019-08-20 2022-05-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923A Division KR20210022430A (ko) 2019-08-20 2019-08-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914A KR20220069914A (ko) 2022-05-27
KR102572592B1 true KR102572592B1 (ko) 2023-08-30

Family

ID=751512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923A Ceased KR20210022430A (ko) 2019-08-20 2019-08-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KR1020220062113A Active KR102572592B1 (ko) 2019-08-20 2022-05-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923A Ceased KR20210022430A (ko) 2019-08-20 2019-08-20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22430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07333U1 (de) * 2008-06-02 2008-09-04 Vkr Holding A/S Befestigungsklipp für ein Tragprofil
KR101180485B1 (ko) * 2010-11-18 2012-09-06 현대엠코 주식회사 탈부착이 용이한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430A (ko) 2021-03-03
KR20220069914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65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deckings
US9701443B2 (en) Set of stackable tool boxes
US10914333B2 (en) Suspension assembly
US6386363B1 (en) Compact tool holder and display system
JPH0451684B2 (ko)
JP2008530466A (ja) 固定リベット
US8864097B2 (en) Anti-theft structure for a socket display hanger
US5949025A (en) Multifunctional conduit
KR102572592B1 (ko) 블라인드의 헤드레일용 브라켓
KR20090111758A (ko) 행거
JP7258042B2 (ja) フック係合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パックケース
US4115898A (en) Support device for vertical slats of a slatted blind
KR200481217Y1 (ko)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패널
EP3193674B1 (en) Mounting assembly
JP6704746B2 (ja) 留め具および部品取付構造
EP2333197B1 (en) Gasket for the head of support columns of raised floors
GB2087027A (en) Connector for framework components
JPS583987Y2 (ja) 吊杆部材へのケ−ブル等の支持具
KR200490290Y1 (ko) 지붕판 설치구조
KR101928298B1 (ko) 케이블 트레이에서 렁의 구조를 이용한 4단 체결구조
JP4149327B2 (ja) 連結部材構造及び間仕切り構造
CN111371048A (zh) 电缆桥架
KR101364976B1 (ko) 모듈바 또는 티바 연결용 연결클립
KR101634993B1 (ko) 러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 리프팅 방법
JP7334944B2 (ja) 敷板同士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3-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gran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3-oth-X000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