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1866B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866B1
KR102571866B1 KR1020220029267A KR20220029267A KR102571866B1 KR 102571866 B1 KR102571866 B1 KR 102571866B1 KR 1020220029267 A KR1020220029267 A KR 1020220029267A KR 20220029267 A KR20220029267 A KR 20220029267A KR 102571866 B1 KR102571866 B1 KR 10257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cking
hinge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22002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866B1/ko
Priority to CN202380020976.2A priority patent/CN118804702A/zh
Priority to EP23767102.9A priority patent/EP4449943B1/en
Priority to PCT/KR2023/003018 priority patent/WO2023172001A1/ko
Priority to US18/833,249 priority patent/US20250098838A1/en
Priority to JP2024546344A priority patent/JP202550643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8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 1 용기부;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제 1 용기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부가 상측에 구비되는 제 2 용기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며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중 아이섀도우, 쉐이딩, 블러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품들은 화장료를 수납하는 내용기 및 내용기를 고정하는 외용기를 포함하는 컴팩트 용기로 제공된다. 이러한 컴팩트 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가 일체로 구성되어 분리가 불가능하거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내용기와 외용기가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있어 외용기로부터 내용기를 분리하는 것이 어려우며, 화장품을 소진한 이후 내용기만을 리필하여 외용기를 재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컴팩트 용기는 외용기와 내용기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컴팩트 용기를 버리는 과정에서 외용기와 내용기를 서로 분리하여 배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는 외용기로부터 내용기를 분리를 할 수 없거나, 분리 가능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남은 화장료가 손에 뭍는다거나, 손톱 등이 손상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컴팩트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용기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컴팩트 용기는 덮개가 용기부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덮개의 회동을 위하여 금속 재질의 힌지핀을 다수 활용하고 있는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컴팩트 용기로부터 힌지핀만을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컴팩트 용기의 재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금부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내용물이 수용된 제 1 용기부를 제 2 용기부에 고정시키거나 제 2 용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 1 용기부;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제 1 용기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부가 상측에 구비되는 제 2 용기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며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의 위치가 복원되어 상기 제 1 용기부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제 1 용기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면에 밀착하여 상기 잠금부와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 상단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면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감싸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일 측 상단에 상기 가압부가 각각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상기 잠금부의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가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잠금부가 일정한 높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 일 지점까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는 제 1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경사면의 하측에 제 2 걸림 턱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2 걸림 턱이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서 이동하다가 상기 제 1 걸림 턱의 단부에 접하면, 상기 잠금부의 추가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잠금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 턱의 외측면에는 상기 잠금 돌기에 대응하는 잠금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잠금부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용기부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제 2 용기부에 대해 회동하며 상기 제 2 용기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용기부는 일 측에 함몰 형성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 측에 상기 제 1 힌지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힌지부가 상기 제 1 힌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 2 용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제 2 용기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덮개부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힌지 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힌지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힌지부가 상기 제 1 힌지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힌지 돌기가 상기 힌지 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힌지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 2 용기부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내용물이 투시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부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내용물이 수용된 제 1 용기부를 제 2 용기부에 고정시키거나 제 2 용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제 1 용기부만을 리필하여 내용물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용기부와 제 2 용기부의 재질이 서로 상이한 경우 제 2 용기부로부터 제 1 용기부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용기부와 덮개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함으로써, 힌지핀 없이 제 2 용기부와 덮개부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내용물 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는 내용물의 종류, 색상, 잔량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용기부와 덮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용기부와 덮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내용물 용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내용물 용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제 1 용기부(100), 제 2 용기부(200), 잠금부(300) 및/또는 덮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용기부(100)에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고형, 반고형, 파우더, 분말,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베이스,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형이나 다른 종류의 화장료, 의료용 내용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용기부(10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밑면을 갖고 측면부가 밑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개방됨으로써 내측으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 1 용기부(100)는, 상단이 개방된 원기둥, 원뿔, 원뿔대, 반구형, 다각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각기둥, 다각뿔, 다각뿔대는 각각의 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 뿐만 아니라 소정의 곡률로 이루어진 곡면으로 형성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용기부(100)는 적어도 일부가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마그네슘, 철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 1 용기부(100)의 재질은 금속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 1 용기부(100)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라이콜(PETG)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천, 종이, 섬유, 텐셀, 실크 등의 천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용기부(200)는, 상측에 결합부(210)가 구비되어 제 1 용기부(100)를 고정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제 1 용기부(100)의 외측을 감싸며 제 1 용기부(10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210)는, 가압부(211), 수직 홈(212), 가이드 홈(213), 제 1 걸림 턱(214) 및/또는 잠금 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1)는, 잠금부(30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 1 용기부(100)를 제 2 용기부(200)에 고정시키거나 제 2 용기부(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300)가 결합부(210)에 대하여 제 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211)는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제 1 용기부(100)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제 1 용기부(100)를 제 2 용기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 1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설명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압부(211)가 제 1 용기부(100)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부(300)가 결합부(210)에 대하여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던 가압부(211)의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부(211)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 1 용기부(100)는 결합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용기부(100)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을 모두 소진할 경우, 잠금부(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 1 용기부(100)를 결합부(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새로운 내용물이 수용된 제 1 용기부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용기부(100)와 제 2 용기부(200)의 재질이 서로 상이할 경우(예를 들어, 제 1 용기부(100)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 2 용기부(2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제 1 용기부(100)를 제 2 용기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압부(211)는 잠금부(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되거나 위치 복원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가압부(211)는, 결합부(210)의 상단(구체적으로, 결합부(210)의 일 측면의 상단)에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3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 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가압부(211)는 잠금부(300)(특히, 경사면(311))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밀착하면서 가압력을 인가 받아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다.
수직 홈(21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잠금부(300)가 회전할 때 가압부(211)의 탄성 변형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홈(212)은 가압부(211)의 내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홈(212)을 통하여 가압부(211)의 탄성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부(211)가 제 1 용기부(100)의 외면에 보다 밀착하여 제 1 용기부(1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용기부(100)의 크기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경되더라도, 수직 홈(212)을 통하여 가압부(211)는 제 1 용기부(100)의 크기에 맞도록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1 용기부(100)의 크기와 무관하게 가압부(211)는 제 1 용기부(100)의 외면에 밀착하며 제 1 용기부(10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홈(213)은, 결합부(21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13)에는 잠금부(300)의 가이드 돌기(320)가 삽입되어, 잠금부(300)가 제 2 용기부(200)에 대하여 회전할 때 가이드 돌기(320)가 가이드 홈(2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잠금부(300)의 회전 시, 가이드 홈(213)과 가이드 돌기(320)를 통하여 잠금부(300)의 회전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홈(213)은 결합부(210)의 외측면 일 지점으로부터 가압부(211)의 일 지점까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압부(211)의 외측면까지 가이드 홈(213)이 연장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잠금부(300)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용기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걸림 턱(214)은, 결합부(2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잠금부(300)의 제 2 걸림 턱(312)과 접함으로써 잠금부(300)의 제 1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211)는 결합부(210)의 일측면의 상단에 제 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1 걸림 턱(214)은 가압부(211)가 형성된 결합부(210)의 일측면의 하단에(즉, 가압부(211)의 하측에)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홈(215)은, 결합부(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잠금 홈(215)의 내측에 잠금부(300)의 잠금 돌기(330)가 삽입됨에 따라 잠금부(30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걸림 턱(214)의 외측면에 잠금 홈(215)이 형성되어, 제 1 걸림 턱(214)에 의하여 잠금부(300)의 제 1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이 방지되되, 잠금 홈(215)에 의하여 잠금부(300)의 제 1 방향으로의 회전 및 제 2 방향으로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210)는, 제 1 용기부(100)의 외측면의 상이한 영역을 감싸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10)는 제 1 결합부(210-1)와 제 2 결합부(2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210-1)와 제 2 결합부(210-2)가 제 1 용기부(100)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감싸기 위하여,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결합부(210-1)와 제 2 결합부(210-2)의 일 측 상단에 가압부(211)가 각각 제 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각각의 가압부(211)가 제 1 용기부(100)의 외측면의 상이한 영역을 가압하며 제 1 용기부(1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용기부(100)는 복수의 영역(특히,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외측면)이 가압 고정됨에 따라, 결합부(210)에 보다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결합부(210)가 2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210)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 2 용기부(200)는 일 측에 함몰 형성되는 제 1 힌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힌지부(220)에는 덮개부(400)(특히, 제 2 힌지부(410))가 삽입되어 제 2 용기부(200)와 덮개부(4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힌지부(220)는, 절개부(221) 및 적어도 하나의 힌지 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21)는 제 2 용기부(20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절개부(221)의 내측으로 덮개부(400)의 돌출부(41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힌지 돌기(222)는 절개부(22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덮개부(400)의 힌지 홈(41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돌기(222)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힌지 돌기(222)는 절개부(221)의 대면하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용기부(200)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용기부(200)는 후가공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재사용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환경에 친화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용기부(200)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라이콜(PETG)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잠금부(300)는, 결합부(21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 1 용기부(100)가 결합부(210)에 고정되거나 결합부(2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부(300)는 결합부(21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부(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잠금부(300)는, 가이드부(310), 가이드 돌기(320) 및/또는 잠금 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10)는, 잠금부(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잠금부(300)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211)가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310)의 일 영역에는 수평 방향으로 경사면(3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311)은 제 2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부(3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211)가 경사면(311)에 밀착하여 잠금부(300)와 상대 이동함으로써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210)가 제 1 결합부(210-1)와 제 2 결합부(210-2)를 포함할 경우, 제 1 결합부(210-1)와 제 2 결합부(210-2)의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잠금부(300)의 가이드부(310)가 정렬되어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잠금부(300)의 결합을 위하여, 먼저, 잠금부(300)의 가이드부(310)가 제 1 결합부(210-1)와 제 2 결합부(210-2)의 이격 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정렬한 다음, 잠금부(300)를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부(310)가 상기 이격 공간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311)은 가압부(211)에 대응하는 위치, 높이에 정렬되고, 가이드 돌기(320)는 가이드 홈(2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됨에 따라, 잠금부(300)의 회전 시 제 2 용기부(200)와 잠금부(300)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부(310)에는 경사면(311)의 하측에 제 2 걸림 턱(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 턱(312)은, 결합부(210)의 제 1 걸림 턱(214)의 단부에 접함으로써,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잠금부(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부(3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 시, 제 2 걸림 턱(312)이 가압부(211)의 하측에서 이동하다가 제 1 걸림 턱(214)의 단부에 접하면, 잠금부(300)의 제 1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결합부(210)의 일 측면의 상단에는 가압부(211)가 제 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 1 걸림 턱(214)이 돌출 형성되며, 제 2 걸림 턱(31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0)는, 잠금부(30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잠금부(300)의 회전 시, 결합부(210)의 가이드 홈(213)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2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320)는 수평 방향(또는, 잠금부(300)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3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가압부(211)가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되면서 외력(즉, 가압부(211)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잠금부(300)는 이러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결합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높이로 회전할 수 있다.
잠금 돌기(330)는, 결합부(210)의 잠금 홈(215)에 삽입됨으로써 잠금부(30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돌기(330)가 잠금 홈(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부(300)에 제 2 방향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잠금 돌기(330)는 잠금 홈(215)으로부터 이탈되며 잠금부(300)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돌기(330)는 가이드부(3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잠금부(30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잠금 홈(215)은 잠금 돌기(330)에 대응하여 제 1 걸림 턱(214)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부(3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제 2 걸림 턱(312)이 제 1 걸림 턱(214)의 단부에 접하면, 잠금 돌기(330)는 잠금 홈(215)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덮개부(400)는, 제 2 용기부(200)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제 2 용기부(200)에 대해 회동하며 제 2 용기부(2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부(400)의 일 측에는 제 2 용기부(200)의 제 1 힌지부(220)와 대응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힌지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힌지부(410)는 제 1 힌지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덮개부(400)가 제 2 용기부(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용기와 뚜껑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하여 이용하던 힌지핀을 제외하고도 간단하게 제 2 용기부(200)와 덮개부(40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힌지부(410)는, 덮개부(400)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11) 및 돌출부(411)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홈(4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힌지 돌기(222)가 각각 절개부(221)의 대면하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힌지 홈(412)은 돌출부(411)의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부(220)의 내측으로 제 2 힌지부(410)가 삽입됨에 따라 힌지 돌기(222)는 힌지 홈(412)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힌지 돌기(222)를 중심으로 덮개부(400)가 제 2 용기부(20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힌지 홈(412)의 하측에는 개방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413)는, 힌지 홈(412)의 개방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 1 힌지부(220)에 제 2 힌지부(410)가 결합될 때 힌지 돌기(222)가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힌지부(220)의 내측으로 제 2 힌지부(410)가 삽입되도록 제 2 용기부(200)와 덮개부(400)를 결합시킬 때, 힌지 돌기(222)는 개방부(413)를 통하여 힌지 홈(41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개방부(413)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의 너비가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돌기(222)가 힌지 홈(412)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되, 삽입된 후에는 힌지 홈(4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덮개부(40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용기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물 용기(1000)의 외측으로 투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내용물의 종류, 색상,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400)는 적어도 일부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라이콜(PETG)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제 2 용기부(2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용기부(200)와 덮개부(400)는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는 제 1 용기부(100)가 생략된 상태의 내용물 용기(1000)의 사시도 및 평면도로서, 도 4의 (a) 및 도 5의 (a)는 제 1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부(211)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의 (b) 및 도 5의 (b)는 제 1 용기부(100)를 가압부(211)가 가압 고정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도 6의 (a)는 가압부(211)가 제 1 용기부(100)를 가압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제 1 용기부(100)가 제 2 용기부(200)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잠금부(300)를 결합부(210)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211)는 잠금부(300)와 상대 이동하면서 가이드부(310)의 경사면(311)에 밀착함으로써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211)는 제 1 용기부(100)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제 1 용기부(100)를 제 2 용기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잠금부(300)의 제 2 걸림 턱(312)은 가압부(211)의 하측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 1 걸림 턱(214)의 단부에 접함에 따라 잠금부(300)의 제 1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300)의 잠금 돌기(330)는 결합부(210)의 잠금 홈(215)에 삽입되어 있어 잠금부(300)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부(211)가 제 1 용기부(100)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부(300)를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결합부(210)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던 가압부(211)의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부(211)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 1 용기부(100)는 결합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의 내용물 용기(100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 1 용기부 200: 제 2 용기부
210: 결합부 210-1: 제 1 결합부
210-2: 제 2 결합부 211: 가압부
212: 수직 홈 213: 가이드 홈
214: 제 1 걸림 턱 215: 잠금 홈
220: 제 1 힌지부 221: 절개부
222: 힌지 돌기 300: 잠금부
310: 가이드부 311: 경사면
312: 제 2 걸림 턱 320: 가이드 돌기
330: 잠금 돌기 400: 덮개부
410: 제 2 힌지부 411: 돌출부
412: 힌지 홈 413: 개방부
1000: 내용물 용기

Claims (14)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 1 용기부;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제 1 용기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부가 상측에 구비되는 제 2 용기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며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의 위치가 복원되어 상기 제 1 용기부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제 1 용기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내용물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면에 밀착하여 상기 잠금부와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굴곡되는, 내용물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 상단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용기부의 외측면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감싸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일 측 상단에 상기 가압부가 각각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상기 잠금부의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가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되는, 내용물 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잠금부가 일정한 높이로 회전하는, 내용물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 일 지점까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용물 용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는 제 1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경사면의 하측에 제 2 걸림 턱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2 걸림 턱이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서 이동하다가 상기 제 1 걸림 턱의 단부에 접하면, 상기 잠금부의 추가 회전이 제한되는, 내용물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잠금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 턱의 외측면에는 상기 잠금 돌기에 대응하는 잠금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잠금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잠금부의 임의 회전이 방지되는, 내용물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제 2 용기부에 대해 회동하며 상기 제 2 용기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는 일 측에 함몰 형성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 측에 상기 제 1 힌지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힌지부가 상기 제 1 힌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 2 용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내용물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제 2 용기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덮개부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힌지 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힌지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힌지부가 상기 제 1 힌지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힌지 돌기가 상기 힌지 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힌지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 2 용기부에 대해 회동하는, 내용물 용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내용물이 투시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KR1020220029267A 2022-03-08 2022-03-08 내용물 용기 Active KR10257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67A KR102571866B1 (ko) 2022-03-08 2022-03-08 내용물 용기
CN202380020976.2A CN118804702A (zh) 2022-03-08 2023-03-06 内容物容器
EP23767102.9A EP4449943B1 (en) 2022-03-08 2023-03-06 Substance container
PCT/KR2023/003018 WO2023172001A1 (ko) 2022-03-08 2023-03-06 내용물 용기
US18/833,249 US20250098838A1 (en) 2022-03-08 2023-03-06 Substance container
JP2024546344A JP2025506430A (ja) 2022-03-08 2023-03-06 内容物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67A KR102571866B1 (ko) 2022-03-08 2022-03-08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866B1 true KR102571866B1 (ko) 2023-08-30

Family

ID=8784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267A Active KR102571866B1 (ko) 2022-03-08 2022-03-08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50098838A1 (ko)
EP (1) EP4449943B1 (ko)
JP (1) JP2025506430A (ko)
KR (1) KR102571866B1 (ko)
CN (1) CN118804702A (ko)
WO (1) WO202317200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7761A1 (en) * 2002-03-28 2003-11-27 Luc Maelstaf Case for packaging a product
KR20160003369U (ko) *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케이알 힌지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
KR20210050865A (ko) * 2019-10-29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210157223A (ko) * 2020-06-19 2021-12-28 펌텍코리아 (주) 버튼의 분리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109Y1 (ko) * 2002-10-28 2003-04-08 유강식 화장품 케이스
KR102045527B1 (ko) * 2018-05-03 2019-11-15 (주)이니스프리 외부 용기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FR3105185B1 (fr) * 2019-12-20 2022-08-05 Pochet Du Courval Récipient à contenant interne suspendu dans un contenant externe et méthode d’assemblage du récipient en utilisant une interface à deux flasqu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7761A1 (en) * 2002-03-28 2003-11-27 Luc Maelstaf Case for packaging a product
KR20160003369U (ko) *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케이알 힌지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
KR20210050865A (ko) * 2019-10-29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210157223A (ko) * 2020-06-19 2021-12-28 펌텍코리아 (주) 버튼의 분리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449943A1 (en) 2024-10-23
EP4449943A4 (en) 2025-03-19
WO2023172001A1 (ko) 2023-09-14
EP4449943B1 (en) 2025-06-25
CN118804702A (zh) 2024-10-18
JP2025506430A (ja) 2025-03-11
US20250098838A1 (en) 202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70009B (zh) 化妆品容器
KR102634142B1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200000033U (ko) 화장품 용기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19681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571866B1 (ko) 내용물 용기
KR102737800B1 (ko) 내용물 용기
KR101806109B1 (ko) 사선 브러시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용기
KR200341801Y1 (ko)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
KR20160081290A (ko) 컴팩트타입 화장품 용기
KR20220050262A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200496167Y1 (ko) 내용물 용기
KR200474398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160135875A (ko) 벌집구조를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2383572B1 (ko) 콤팩트 용기
KR20240102252A (ko) 내용물 용기
KR20250068339A (ko) 접착제 없이 내용기를 외용기에 고정할 수 있는 용기
KR200437803Y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079083B1 (ko) 듀얼 콤팩트 용기
KR200490874Y1 (ko) 눈썹화장용구
KR102765223B1 (ko) 내용물 용기
KR200405176Y1 (ko) 아이새도우 화장용 용기
KR20200137629A (ko) 립스틱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