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695B1 - Busbar - Google Patents
Bus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1695B1 KR102571695B1 KR1020180056886A KR20180056886A KR102571695B1 KR 102571695 B1 KR102571695 B1 KR 102571695B1 KR 1020180056886 A KR1020180056886 A KR 1020180056886A KR 20180056886 A KR20180056886 A KR 20180056886A KR 102571695 B1 KR102571695 B1 KR 102571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bus bar
- bent
- hole
- j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564 Boehmeria niv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치 모듈의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접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된 기판과 연결을 위한 접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합부는 가장자리 일부가 벤딩되고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합부의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접합부의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having a structure that is securely fixed to a housing of an electric device module, can stably supply power, and is not easily separated by external force while being bonded to the housing.
Looking at its configuration, it includes a plate-shaped body and a junction for connection with a substrate provided on the body. At this time, a part of the edge of the joint is bent and the part of the bent edge is drawn into the housing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bent edge of the joint,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portion of the bent edge of the joi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용 블록 등에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되는 전기적 연결용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bar for electrical connection that is insert-injected and fixed to a vehicle block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전기장치들이 모듈화된 형태로 내장된다. 모듈화된 전기장치는 내구 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충분한 통전 능력을 갖되 부피가 작은 케이블이 요구된다. 특히, 고전압을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등의 경우 협소한 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various electric devices are built into a vehicle in a modular form. Modularized electric devices require a cable with sufficient current carrying capacity and a small volume because the durability space is very narrow.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using a high voltage, a cable capable of stably supplying power within a narrow space is required.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생산되는 차량에는 버스바(busbar)가 제공되고 있다. 버스바는 박판의 도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형태로서, 두께가 얇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통전 능력이 우수하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emand, a bus bar is provided in recently produced vehicles. The bus bar is a form in which a thin plate conductor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is thin, so it does not take up much space, and power can be stably supplied because of its excellent current carrying capacity.
한편, 버스바는 전기장치 모듈의 바닥 또는 벽면에 용착되거나 접착되어 고정된다. 일례로, 전기장치 모듈의 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내부에 버스바를 삽입한 후 하우징을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bus bar is welded or adhered to the bottom or wall surface of the electric device module to be fixed. For example, after inserting a bus bar into a mold for molding a housing of an electric device module, the housing was injected and integrally molded.
상술한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하우징과 일체화된 버스바는 기판 등과의 접촉을 위하여 적어도 일면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버스바와 하우징 사이의 고정력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금형에서 하우징(버스바가 인서트된 하우징)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버스바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us bar integrated with the hous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sert injection molding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 order to contact the board. Therefore,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bus bar and the housing is reduced,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us bar is separated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housing (a housing in which the bus bar is inserted) from the mol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장치 모듈의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접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 버스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bus bar has a structure that is securely fixed to the housing of the electric device module and can stably supply power, and is not easily separated by external force while being bonded to the housing.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는, 전기장치 모듈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electric device module to transmit power and signals.
그 구성을 살펴보면, 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된 기판과 연결을 위한 접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합부는 가장자리 일부가 벤딩되고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Looking at its configuration, it includes a plate-shaped body and a junction for connection with a substrate provided on the body. At this time, a part of the edge of the joint is bent and the part of the bent edge is drawn into the housing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한편, 상기 접합부의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접합부의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bent edge of the joint.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vertically pass through a portion of the bent edge of the junction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접합부의 가장자리 일부가 벤딩되고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과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치 모듈의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edge of the joint is bent, and a part of the bent edge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housing. Therefore, it is securely fixed to the housing of the electric device module, and power can be stably supplied.
또한, 본 발명은 접합부의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사출물이 관통공에 충전되어 경화됨으로써 하우징과의 접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버스바가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art of the bent edge of the joint, and an injection material for molding the housing is filled in the through hole and hardened so that the bonding force with the housing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bus ba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중 접합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중 접합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junction of bus b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junction among bus b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use state diagram of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in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numerals have been add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본 발명의 버스바는 전기장치 모듈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배터리 모듈에 설치되어 전극들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전압의 배터리를 구성하거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해서 배터리 모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bus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of an electric device module to transmit power and signals. For example, battery modul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configure a battery having a desired voltage or to sense a state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by connecting electrodes in series installed in the battery module.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된다. 버스바(100)의 중앙에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110)가 위치되고, 몸체(110)의 양 단부에는 외부 단자(미도시) 및 기판(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볼트(120) 및 접합부(130)가 각각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몸체(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길이에 비해 폭이 좁으며 두께가 얇은 판재이다. 몸체(110)는 전기장치 모듈의 전원 및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전성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The
체결볼트(120)는 외부 단자(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외부 단자에는 체결볼트(120)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볼트(120)에 장착된 외부 단자는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Fastening
접합부(130)는 기판(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외부 단자를 통해 인가된 전원 및 신호를 기판으로 전달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30)는 일측이 몸체(110)에 연결된 사각형의 판재이다. 접합부(130)의 중앙은 평판(平板)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기판과의 접합을 위한 돌기(132)가 돌출된다.As shown in FIG. 2 , the
접합부(130)의 각 모서리(134, 몸체(110)와 연결되는 모서리를 제외)는 평판인 접합부(130)의 중앙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벤딩된다.Each corner (134, excluding the corner connected to the body 110) of the
접합부(130)의 각 모서리(134)를 벤딩한 이유는, 벤딩된 모서리(134)가 하우징(도 4의 2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궁극적으로는 버스바(100)와 하우징(200) 사이의 접합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each
한편, 접합부(130)의 벤딩된 각 모서리(134)에는 관통공(136)이 형성된다. 관통공(136)은 벤딩된 각 모서리(134)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관통공(136)은 접합부(130)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Meanwhile, a
관통공(136)을 기울어지게 형성한 이유는, 하우징(200)의 성형을 위한 사출물이 관통공(136)에 충전되게 하여 충전된 사출물에 의해 버스바(100)와 하우징(200) 사이의 접합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through-
한편, 관통공(136)을 기울어지게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접합부(130)의 각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136)을 타공한다. 그리고 관통공(136)이 타공된 각 모서리(134)를 소정의 각도로 벤딩하여 관통공(136)을 기울어지게 형성한다.Meanwhile, in order to form the through
물론, 접합부(130)의 각 모시리(134)를 먼저 벤딩하고 관통공(136)을 타공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방법에 비하여 작업이 복잡해지고 공수가 많이 소용되는 문제가 있다.Of course, each
본 실시예에서는 접합부(130)의 형상을 사각형의 판재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30)를 원형(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삼각형(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접합부(130)의 가장자리는 하우징(도 4의 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벤딩되어야만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버스바(100)가 하우징(200)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다.4 shows a state of use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바(100)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하우징(200)과 일체로 성형된다. 즉, 하우징(200)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미도시)의 내부에 금속 재질의 버스바(100)를 삽입하고, 하우징(200)의 성형을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물을 금형에 주입하여 일체로 성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32)가 형성된 접합부(130)의 중앙은 기판과의 접합을 위하여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반면, 소정의 각도로 벤딩된 접합부(130)의 각 모서리(134)는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된다.As shown in FIG. 4 , the center of the
이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된 모서리(134, 벤딩된 모서리)는 하우징(200)과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버스바(10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벤딩된 모서리(134)의 상부에도 사출물이 충전되어 경화되므로 하우징(200)과의 접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금형에서 제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버스바(10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dge 134 (bent edge) drawn into the
한편, 접합부(130)의 벤딩된 각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공(136)에도 사출물이 충전된다. 관통공(136)에 충전 및 경화된 사출물은 버스바(100)와 하우징(200) 사이의 접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관통공(136)이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버스바(10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rough-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the specific example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버스바 110: 몸체
120: 체결볼트 130: 접합부
132: 돌기 134: 모서리
136: 관통공 200: 하우징100: bus bar 110: body
120: fastening bolt 130: junction
132: protrusion 134: corner
136: through hole 200: housing
Claims (5)
판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고 기판과의 접촉 시 전기적인 연결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의 일면에 돌출된 기판과의 접합을 위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가장자리 일부가 벤딩되고 벤딩된 가장자리 일부가 하우징의 사출 시 하우징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과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In the bus bar inserted into the housing of the electric device module to transmit power and signals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board,
plate-shaped body;
a join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when in contact with a substrate; and
Includes a protrusion for bonding with a protruding substrate on one side of the joint,
The junction part is a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edge is bent and a part of the bent edg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when the housing is ejected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housing.
상기 접합부는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판재이고, 상기 접합부의 각 모서리가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1,
The joint portion is a polygonal plate material including a triangle, and each corner of the joint portion is bent.
상기 접합부의 벤딩된 각 모서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사출물이 충전되어 경화됨으로써 하우징과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버스바가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2,
A through hole is formed in each bent corner of the joint,
The through-hole is filled with an injection molding material for molding the housing and hardened, thereby improving bonding strength with the housing and preventing the bus b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접합부의 벤딩된 각 모서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3,
The through-hole is a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vertically penetrates each bent corner of the jun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886A KR102571695B1 (en) | 2018-05-18 | 2018-05-18 | Bus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886A KR102571695B1 (en) | 2018-05-18 | 2018-05-18 | Busb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905A KR20190131905A (en) | 2019-11-27 |
KR102571695B1 true KR102571695B1 (en) | 2023-08-29 |
Family
ID=6873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886A Active KR102571695B1 (en) | 2018-05-18 | 2018-05-18 | Bus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169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88475B2 (en) * | 1989-04-14 | 1998-08-20 | 和泉電気株式会社 | Electr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329252B1 (en) | 2012-07-11 | 2013-11-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
JP2014075220A (en) | 2012-10-03 | 2014-04-24 | Yazaki Corp | Bus bar arrangement structure |
JP2016097531A (en) | 2014-11-19 | 2016-05-30 | 豊田鉄工株式会社 | Plate-shaped composite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shaped composite memb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0913B1 (en) * | 2016-05-23 | 2023-04-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Busbar assembly |
KR101779004B1 (en) | 2016-06-15 | 2017-09-1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Block for vehicle having busbar assembly |
-
2018
- 2018-05-18 KR KR1020180056886A patent/KR1025716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88475B2 (en) * | 1989-04-14 | 1998-08-20 | 和泉電気株式会社 | Electr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329252B1 (en) | 2012-07-11 | 2013-11-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
JP2014075220A (en) | 2012-10-03 | 2014-04-24 | Yazaki Corp | Bus bar arrangement structure |
JP2016097531A (en) | 2014-11-19 | 2016-05-30 | 豊田鉄工株式会社 | Plate-shaped composite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shaped composite memb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905A (en) | 2019-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79515B2 (en) | Bus bar module | |
CN109792140B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EP2567426B1 (en) | Electrical assembly connection of a motor vehicle | |
EP2460212B1 (en) | Arrangement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terminal connections of interconnected cells | |
CN109792028B (en) | Connection module | |
US20160035497A1 (en) | Electrical Storage Module | |
US9472938B2 (en) | Busbar coupling device assembly | |
CN109075308B (en) | connection module | |
CN109273650B (en) | Battery module | |
US20140212732A1 (en) |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unit | |
CN103875317A (en) | Power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inverter, inverter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said unit | |
KR100897091B1 (en) | Battery module terminal and bus bar for high voltage battery with anti-rotation structure | |
CN109075300B (en) | External connection bus bar holding structure | |
CN107871544A (en) | Busbar unit and busbar unit manufacturing method | |
US20120077359A1 (en) | Wiring structure and joint box including the same | |
US8816538B2 (en) | Electric junction box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 |
GB2434700A (en) | Multi-function power connection device | |
CN109156085A (en) | base unit | |
DE102017216589A1 (en) | ENERGY STORAGE DEVICE | |
CN116075911A (en) | capacitor | |
CN108292729A (en) | Connection device for battery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cover | |
JP2012109098A (en) | Battery terminal with current sensor | |
KR102571695B1 (en) | Busbar | |
CN110654325B (en) | circuit structure | |
KR102186879B1 (en) | Fixing method and insulation structure for moter terminal of hybrid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