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309B1 - Cosmetic container - Google Patents
Cosmetic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0309B1 KR102570309B1 KR1020210032573A KR20210032573A KR102570309B1 KR 102570309 B1 KR102570309 B1 KR 102570309B1 KR 1020210032573 A KR1020210032573 A KR 1020210032573A KR 20210032573 A KR20210032573 A KR 20210032573A KR 102570309 B1 KR102570309 B1 KR 1025703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ed
- body portion
- cosmetic container
- main body
- cosme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팩 재질의 본체와 교체가능한 펌프헤드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main body made of a milk carton and a replaceable pump head are combined.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a cosmetic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a cosmetic container body portion made of a paper pack shape,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cosmetics It includes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solution to the outside, and a coupl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팩 재질의 본체와 교체가능한 펌프헤드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main body made of a milk carton and a replaceable pump head are combined.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in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it is prior art.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다양한 화장품 용기에 담겨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샴푸나 스킨로션 등 많은 화장품용기의 헤드부는 펌프형으로 이루어져 펌핑만으로 간단하게 화장품 용액을 덜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을 담을 용기 본체부는 보통 소정의 강도를 가진 플라스틱이나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운반이나 사용 과정에서 떨어뜨리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체소재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펌프형 헤드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사용 종료 후 분리 배출하는 과정에서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유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각각 분리하여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대부분은 합성수지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들이 버려지면서 많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중에서 천연소재와 플라스틱을 결합시킨 바이오플라스틱이 환경을 지키는 신소재로써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기존 플라스틱 소재의 대체재로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In general, cosmetics are sold in various cosmetic containers, and in particular, the head of many cosmetic containers such as shampoo or skin lotion is made of a pump type, so that a cosmetic solution can be simply pumped and used.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to contain these cosmetics is usually made of plastic or glass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so that it is not easily damaged even if it is dropped during transportation or use. Here, in cosmetics that use a pump-type head made of plastic by combining the body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after use,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and discharge component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plastic, and glass. There is a waste, and most of the cosmetic containers made of synthetic resin or plastic are thrown away, causing a lot of environmental pollution. Among these plastic materials, bioplastics combining natural materials and plastics are widely used as new material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their use as substitutes for existing plastic materials is also increasing.
그에 따라, 화장품 용기에 대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다거나 사용된 화장품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대한 일 실시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6315호에서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리필케이스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Accordingly, efforts are being made to use eco-friendly materials for cosmetic containers or to recycle used cosmetic containers. As an example there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96315 discloses a "recyclable eco-friendly cosmetic case", and more specifically, "regarding a cosmetic container for refilling, a refill case in which cosmetic materials are embedded. Disclosed is a cosmetic container for refilling that can be easily replac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그러나 이러한 재활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경우에 있어서, 여러번에 걸쳐 재활용하는 용기를 사용하더라도 소재 자체가 친환경소재가 아닌 만큼 폐기시에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강도를 가진 용기본체의 크기가 상당하여 이러한 화장품용기가 쌓이게 되면 상당히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폐기 자체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recyclable cosmetic container, even if the container is recycled several times, not only can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 during disposal as the material itself is not an eco-friendly material, but also the size of the containe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easy to dispose of it because it occupied a fairly large volume when these cosmetic containers were piled up.
우유팩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용기 본체에 교체 가능한 펌프형 헤드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 및 고형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for the purpose of easily discharging solid contents and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replaceable pump-type head is combined with a cosmetic container body using a milk pack material.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a cosmetic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a cosmetic container body portion made of a paper pack shape,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cosmetics It includes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solution to the outside, and a coupl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상기 본체부는,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comprises a substrate layer made of a biodegradable film coated with polyethylene, a pape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a polyethylene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layer. characterized by being ma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과 종이층 및 인쇄층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layer for mutually bonding the substrate layer, the paper layer and the printing lay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필름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하이드록시 알카토에이트(Polyhdyroxy alkanoate, 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 buryrate, PHB),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Polyhydroxy valerate, PHV),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 카프로 락톤(Poly capro lactone, PCL), 폴리에스터 우레탄(Polyester urethane, PEU),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알리파틱 폴리에스터(Aliphatic polyester, AP),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셀룰로오스 디 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 CDA), 풀루란(Pullulan), 전분계 플라스틱(Starch blends)(Thermoplasticstarch, TPS) 중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degradable film is polylactic acid (Polylactic acid, PLA), polyhydroxy alkanoate (Polyhdyroxy alkanoate, PHA), polyhydroxy buryrate (PHB), polyhydroxy baler Polyhydroxy valerate (PHV),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 capro lactone (PCL), Polyester urethane ( Polyester urethane (PEU), Polyglycolic acid (PGA), Aliphatic polyester (AP), Cellulose acetate (CA), Cellulose diacetate (CDA), Pullulan ), starch blends (Thermoplasticstarch, TP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one or more biodegradable resi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를 수직방향으로 축소시키기 위하여, 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hrink the body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lding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는,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formed between a first folded portion having a folding line intersecting on an out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first folded port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folded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며,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토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를 압축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cosmetic solution can be embedded, a cosmetic container body portion made of a paper pack shape, an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uilt-in cosmetic solution is discharged In order to compress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it includes a folded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는,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formed between a first folded portion having a folding line intersecting on an out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first folded portions, It includes a second folded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에 생분해필름이 코팅됨으로써 쉽게 분해가 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환경적인 소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iodegradable film is coated on the body part made of a paper pack,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ily decomposable and the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를 쉽게 압축시키도록 접힘부가 형성되어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ody can be discharged in a state in which the volume is minimized by forming a folded portion to easily compress the bod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우유팩 소재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있어서, 화장품 용기 본체가 접히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있어서, 화장품 용기 본체가 접히는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a milk pack material in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in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smetic container body is folded state diagram.
5 is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ntainer body is folded in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 at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lik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20)가 결합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한다.In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a cosmetic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and a cosmetic
상기 화장품 용기 본체부(10)는 내부에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형이나 뿔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압력으로부터 쉽게 파손되거나 찢기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펌프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가압하면 본체부(10) 내에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펌프압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상기 토출부(20)는 펌프형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10) 내부의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면 그 어떤 구성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 상부에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토출부(20)가 본체부(10)에 결합되는 결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는 토출부(20)와 본체부(10)가 연결되는 부분에 따라 단순 끼움결합되거나 나사결합 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smetic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는, 폴리에틸렌(11, 13)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2)과, 상기 기재층(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종이층(14) 및 상기 종이층(14)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우선, 본체부(1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소재는 종이층(14)이 기초가 된다. 상기 종이층(14)의 상부면에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15)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인쇄층(15)의 외측면에 화장품 용액의 기초정보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으 내측면은 폴리에틸렌(11, 13)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2)의 양측은 폴리에틸렌으로 코팅되며, 상기 기재층(12)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본체부(10)에 의하여 종이라는 친환경소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2)에 의하여 쉽게 분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12)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layer for mutually bonding the
상기 기재층(12)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기재층(12)을 중심으로 양측에 코팅된 폴리에틸렌(11, 13)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이 접착층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외형을 이루게 된다.An adhesive layer for mutually bonding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필름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하이드록시 알카토에이트(Polyhdyroxy alkanoate, 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 buryrate, PHB),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Polyhydroxy valerate, PHV),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 카프로 락톤(Poly capro lactone, PCL), 폴리에스터 우레탄(Polyester urethane, PEU),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알리파틱 폴리에스터(Aliphatic polyester, AP),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셀룰로오스 디 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 CDA), 풀루란(Pullulan), 전분계 플라스틱(Starch blends)(Thermoplasticstarch, TPS) 중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degradable film is polylactic acid (Polylactic acid, PLA), polyhydroxy alkanoate (Polyhdyroxy alkanoate, PHA), polyhydroxy buryrate (PHB), polyhydroxy baler Polyhydroxy valerate (PHV),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 capro lactone (PCL), Polyester urethane ( Polyester urethane (PEU), Polyglycolic acid (PGA), Aliphatic polyester (AP), Cellulose acetate (CA), Cellulose diacetate (CDA), Pullulan ), starch blends (Thermoplasticstarch, TP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one or more biodegradable resins.
생분해필름은 분해 과정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특히 생분해필름에 적용되는 생분해수지는 전술한 PLA, PHA 등과 같은 소재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친환경적 요소를 더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iodegradable film is made of a component that can be easily degraded dur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and in particular, the biodegradable resin applied to the biodegradable film is made of one or more biodegradable resins selected from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such as PLA and PHA to add an eco-friendly element. ca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를 수직방향으로 축소시키기 위하여,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hrink the
화장품 용기를 반복 사용한 후에 폐기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져 쉽게 접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10)를 보다 쉽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힘부(4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을 가진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형태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본체부(10)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그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In the case where the cosmetic container needs to be discarded after repeated use,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40)는, 본체부(10)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41)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41)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10)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d portion 40 is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전술한 본체부(10)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접힘부(4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팩 모양의 본체부(10)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부터 본체부(10)의 축방향을 향해 인입되어 본체부(10)가 압축될 수 있도록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복수개의 제1접힘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힘부(41)는 본체부(10)의 모서리를 가압하게 되면 제1접힘부(41) 라인을 따라 접히면서 본체부(10)의 수직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힘부(43)를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제1접힘부(41)에 의해서 접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어 본체부(10)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2접힘부(43)를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압축시켜 본체부(10)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One or more folded parts 40 formed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aforementio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상부에 형성되며,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토출되는 토출부(20) 및 상기 본체부(10)를 압축하기 위하여,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4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so that a cosmetic solution can be embedded, and a cosmetic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40)는, 본체부(10)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41)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41)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43)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d portion 40 is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전술한 화장품용기 본체부(10)에 결합 설치되는 토출부(20)는 펌프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가압하면 본체부(10) 내에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펌프압에 의해 토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화장품이 액상이 아닌 크림과 같이 고형 내용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펌프압에 의해 토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형 내용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액이 담긴 본체부(10)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체부(10)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본체부(10)가 압축되면서 내용물이 토출부(20)로 토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힘부(41)와 제2접힘부(43)를 갖는 본체부(10)의 외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가압하게 되면 접힘선을 따라 용기가 접히면서 부피가 압축되고, 부피가 압축되는 만큼 토출압이 더해져 내장된 고형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후 폐기할 경우에도 접힘선(40)을 따라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폐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부
11, 13 : 폴리에틸렌
12 : 기재층
14 : 종이층
15 : 인쇄층
20 : 토출부
30 : 결합부
40 : 접힘부
41 : 제1접힘부
43 : 제2접힘부10: body part
11, 13: polyethylene
12: base layer
14: paper layer
15: printing layer
20: discharge unit
30: coupling part
40: folding part
41: first folded portion
43: second folded portion
Claims (8)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사전 형성된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의 수직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접힘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힘부는,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포함하되
제1 접힘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팩 모양의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부터 본체부의 축방향을 향해 인입되어 본체부가 압축될 수 있도록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복수개의 제1접힘부를 포함하여, 본체부를 가압하게 되면 제1접힘부 라인을 따라 용기 내부로 접히면서 본체부가 수직방향으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면서 접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접힘부는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수평 연장된 일자형 접힘선으로 형성되어 그 제2접힘부를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제1접힘부에 의해서 접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본체부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body part formed in the shape of a pack made of paper material having a shape of a rectangular pillar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so that a cosmetic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one or more folds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cluding a pre-formed folding lin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lded inward;
a discharge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discharging a cosmetic solution to the outside;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o which the discharge portion is coupled;
including,
The body part is made of a substrate layer made of a polyethylene-coated biodegradable film, a pape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a polyethylene printing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per layer,
A plurality of folds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first fold portion having a folding line intersecting on an outer surface, and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old portions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Including the second folded portion
One or more first folds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ck-shaped main bod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lding line intersects in an X shape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compressed from the outer surface toward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olds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olds, when the body portion is pressed, the body portion is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folded into the container along the first fold line, and is configured to be folded while reducing the volume,
The second folded portion is formed as a straight-line folding line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when the second folded portion is folded by the first folded portion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portion, the volume of the body portion is minimized while being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de up of
Characterized by a cosmetic container.
상기 기재층과 종이층 및 인쇄층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
Cosmetic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for mutually bonding the substrate layer, the paper layer and the printing layer.
생분해필름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하이드록시 알카토에이트(Polyhdyroxy alkanoate, 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 buryrate, PHB),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Polyhydroxy valerate, PHV),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 카프로 락톤(Poly capro lactone, PCL), 폴리에스터 우레탄(Polyester urethane, PEU),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알리파틱 폴리에스터(Aliphatic polyester, AP),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셀룰로오스 디 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 CDA), 풀루란(Pullulan), 전분계 플라스틱(Starch blends)(Thermoplasticstarch, TPS) 중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ccording to claim 1,
biodegradable film,
Polylactic acid (PLA), Polyhdyroxy alkanoate (PHA), Polyhydroxy buryrate (PHB), Polyhydroxy valerate (PHV), Polybutylene adipate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 capro lactone (PCL), Polyester urethane (PEU), Polyglycolic acid, PGA), Aliphatic polyester (AP), Cellulose acetate (CA), Cellulose diacetate (CDA), Pullulan, Starch blends (Thermoplasticstarch, TPS) )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one or more biodegradable resi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573A KR102570309B1 (en) | 2021-03-12 | 2021-03-12 | Cosmetic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573A KR102570309B1 (en) | 2021-03-12 | 2021-03-12 | Cosmetic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8030A KR20220128030A (en) | 2022-09-20 |
KR102570309B1 true KR102570309B1 (en) | 2023-08-24 |
Family
ID=8344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2573A Active KR102570309B1 (en) | 2021-03-12 | 2021-03-12 | Cosmetic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030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214411A (en) * | 2018-06-13 | 2019-12-19 | 株式会社 資生堂 | Container of enabling perpendicular crush and multiple container |
KR102083124B1 (en) | 2019-07-17 | 2020-02-28 |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 Laminated film to be applied to eco-friendly high barrier packaging |
KR102141711B1 (en) | 2019-09-30 | 2020-08-05 | 제이에셀 주식회사 |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 for mask pack pouch, and mask pack pouch using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8986A (en) * | 2002-03-06 | 2002-04-17 | 이정민 | Structure of outlet used for liquid discharge dispenser |
KR20160096315A (en) | 2015-02-05 | 2016-08-16 | 주식회사 오아시스바이오 | Recyclable eco-friendly cosmetics case |
-
2021
- 2021-03-12 KR KR1020210032573A patent/KR1025703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214411A (en) * | 2018-06-13 | 2019-12-19 | 株式会社 資生堂 | Container of enabling perpendicular crush and multiple container |
KR102083124B1 (en) | 2019-07-17 | 2020-02-28 |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 Laminated film to be applied to eco-friendly high barrier packaging |
KR102141711B1 (en) | 2019-09-30 | 2020-08-05 | 제이에셀 주식회사 |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 for mask pack pouch, and mask pack pouch using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8030A (en) | 2022-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84951A (en) | Container with inner bag | |
KR102570309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2402080B1 (en)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ing paper case for easy formation of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nd a paper case manufactured thereby | |
JP7410566B2 (en) | container | |
JP2000128255A (en) | Complex cup container | |
CN219651801U (en) | Containers, display units and kits for dispensing viscous fluids | |
CN111465561A (en) | Container with integrated protection features | |
JP2008189315A (en) | Double container for cosmetic | |
CN101331066A (en) | Folded carton with reinforced tongue region | |
CN102596748B (en) | Composite containers | |
JP4148082B2 (en) | Composite container | |
JP2001199427A (en) | Ultrathin container | |
JP3848803B2 (en) | Hollow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folded | |
US2023182A (en) | Paper container | |
AU2018390463B2 (en) | Expandable secondary package for a container | |
JP2023519042A (en) | contents container | |
JPH10139068A (en) | Composite container | |
US1394590A (en) | Open-end container | |
JP2021031095A (en) | Container sheet | |
JP2015217942A (en) | Box container | |
JP7139750B2 (en) | Composite container | |
JPS6119067Y2 (en) | ||
WO2024142780A1 (en) | Method for preventing side-surface recesses in plastic container, expansion-preventing member, plastic container equipped with expansion-preventing member, and storage box | |
JP3326478B2 (en) | Plastic container | |
JP3942782B2 (en) | Transport system for ultra-thin plastic liquid contai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7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