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097B1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degreasing solu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degreasing sol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9097B1 KR102569097B1 KR1020210031002A KR20210031002A KR102569097B1 KR 102569097 B1 KR102569097 B1 KR 102569097B1 KR 1020210031002 A KR1020210031002 A KR 1020210031002A KR 20210031002 A KR20210031002 A KR 20210031002A KR 102569097 B1 KR102569097 B1 KR 102569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oil
- degreasing
- storage tank
- supply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238 degrea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6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30 cut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68 poly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iltering bands, e.g. movable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B01D29/09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ubricant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과 탈지액에 혼합된 액체에서 오일과 탈지액을 쉽고 빠르게 분리하여 오일이 제거된 탈지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는, 오일과 탈지액이 혼합된 오염된 액체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로 오염된 액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오염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를 가열하여 탈지액과 오일을 분리시키는 히터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오일과 분리된 탈지액을 탈지탱크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탈지액과 분리된 오일이 흘러 넘어가는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해 오염된 액체가 탈지액과 오일로 분리되면, 상기 펌프는 오일이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탈지탱크로 이송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에 오염된 액체를 추가 공급하여 탈지액과 분리되어 최상단에 적층된 상기 오일이 상기 오버플로우부로 흘어 넘어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water separator for a degreasing liqui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il-water separator for a degreasing liquid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separating oil and a degreasing liquid from a liquid mixed with oil and a degreasing liquid and reusing the degreasing liquid from which the oil is removed. it's about
The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a contaminated liquid in which oil and degreasing liquid are mixed; a supply valve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contaminated liquid to the filtering unit; a storage tank accommodating the contaminated liquid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a heater for heating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to separate the degreasing liquid from the oil; A pump for transferring the degreasing liquid separated from the oil in the storage tank to the degreasing tank; An overf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oil separated from the degreasing liquid flows in the storage tank; when the liquid contaminated by the heating of the heater is separated into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il, the pump pumps the degreasing liquid separated from the o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is transferred to the degreasing tank, and the contaminated liquid is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oil separated from the degreasing liquid and stacked on the top flows to the overflow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과 탈지액에 혼합된 액체에서 오일과 탈지액을 쉽고 빠르게 분리하여 오일이 제거된 탈지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water separator for a degreasing liqui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il-water separator for a degreasing liquid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separating oil and a degreasing liquid from a liquid mixed with oil and a degreasing liquid and reusing the degreasing liquid from which the oil is removed. it's about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에서 한 액체가 다른 액체에 작은 입자 형태로 분산된 것을 에멀전(emulsion)이라 한다. An emulsion is a mixture of two immiscible liquids in which one liquid is dispersed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in another liquid.
예를 들어, 금속 가공시 사용되는 절삭유, 윤활유, 탈지액 등에 의해 기름과 물이 에멀전 상태로 섞인 폐수가 발생한다. For example, wastewater in which oil and water are mixed in an emulsion state is generated due to cutting oil, lubricating oil, and degreasing liquid used during metal processing.
이러한 폐수가 유출될 경우 수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공기를 차단하므로 수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When such wastewater leaks, an oil film is formed on the water surface to block air, thereby adversely affecting the aquatic ecosystem.
에멀전 상태의 폐수로부터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방법에는 크게 화학적 방식과 가열 방식이 있다. Methods for separating oil and water from wastewater in an emulsion state include chemical methods and heating methods.
화학적 방식은 알루미나와 폴리아민 등의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한가지 액체만을 흡착 또는 침전시켜 분리하는 방법이고, 가열 방식은 열에 의해 에멀전의 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분산입자들 사이의 합체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입자의 직경 확대로 분리를 유도하는 방법이다.The chemical method is a method of separating by adsorbing or precipitating only one liquid by adding chemicals such as alumina and polyamine. It is a method of inducing separation by enlargement.
그런데 전술한 화학적 방식은 화학약품 사용으로 처리비용이 높고, 화학약품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hemical method has high processing cost due to the use of chemicals, and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chemicals may occur.
또한, 가열 방식은 에너지 소모가 크고, 분리 시간이 길며, 기름 회수율이 낮은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thod has limitations in that energy consumption is high, separation time is long, and oil recovery rate is low.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과 탈지액이 혼합된 액체에서 오일과 탈지액을 쉽게 분리한 후 오일을 탈지액으로부터 제거하여, 오일이 제거된 탈지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fter easily separating the oil and the degreasing liquid from the liquid in which the oil and the degreasing liquid are mixed, the oil is removed from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degreasing liquid from which the oil is removed can be reus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liqui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는, 오일과 탈지액이 혼합된 오염된 액체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로 오염된 액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오염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를 가열하여 탈지액과 오일을 분리시키는 히터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오일과 분리된 탈지액을 탈지탱크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탈지액과 분리된 오일이 흘러 넘어가는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해 오염된 액체가 탈지액과 오일로 분리되면, 상기 펌프는 오일이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탈지탱크로 이송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에 오염된 액체를 추가 공급하여 탈지액과 분리되어 최상단에 적층된 상기 오일이 상기 오버플로우부로 흘어 넘어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a contaminated liquid in which oil and degreasing liquid are mixed; a supply valve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contaminated liquid to the filtering unit; a storage tank accommodating the contaminated liquid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a heater for heating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to separate the degreasing liquid from the oil; A pump for transferring the degreasing liquid separated from the oil in the storage tank to the degreasing tank; An overf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oil separated from the degreasing liquid flows in the storage tank; when the liquid contaminated by the heating of the heater is separated into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il, the pump pumps the degreasing liquid separated from the o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is transferred to the degreasing tank, and the contaminated liquid is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oil separated from the degreasing liquid and stacked on the top flows to the overflow part.
상기 여과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밴드필터와; 상기 밴드필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밴드필터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오염된 액체를 공급하고, 상기 밴드필터를 투과한 오염된 액체는 상기 저장탱크로 수용된다.The filtering unit includes a housing; a band filter movably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and filter, wherein the supply valve supplies the contaminated liquid from the top of the band filter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contaminated liquid passing through the band filter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tank. Accepted.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수위센서에서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다고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밴드필터를 이동시켜 새로 공급된 면에 의해 오염된 액체의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lte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housing is set in advance by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value is exceeded, the drive unit moves the band filter so that the contaminated liquid is filtered by the newly supplied surface.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와; 상기 공급밸브, 히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위센서에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중간점(M)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밸브를 닫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를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여 오일과 탈지액을 분리시킨 후,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오일과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탈지탱크로 이송시키며, 상기 탈지액을 상기 탈지탱크로 이송시켜 상기 제2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저점(L)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한다.a second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valve, the heater, and the pump; wherein,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set intermediate point (M), the control unit closes the supply valve, and The heater is operated to heat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to a preset temperature to separate the oil and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n the pump is operated to transfer the degreasing liquid separated from the oil to the degreasing tank, and the degreasing liquid is transferred to the degreasing tank and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set lowest point (L), the control unit stops the pump and opens the supply valve.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탈지액의 이송 및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적어도 3회 이상 반복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오염된 액체를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하고, 상기 제2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고점(H)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닫도록 하되, 상기 최고점(H)은 상기 오버플로우부의 상단보다 높아 최상단에 적층된 오일이 상기 오버플로우부로 흘러 넘치도록 한다.After repeating the transfer of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by the control unit at least three times, the control unit opens the supply valve to supply the contaminated liquid to the storage tank, and at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When the measured water level reaches the preset highest point (H), the supply valve is closed, but the highest point (H) is higher than the top of the overflow part, so that the oil stacked on the top overflows into the overflow part.
상기 히터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관으로 이루어진다.The heater is made of a steam pipe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tan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은 오염된 액체에서 상기 여과부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한 후, 탈지액과 오일을 분리하고, 분리된 오일을 탈지액으로부터 제거함으로서, 오일이 제거된 탈지액을 재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ntaminated liquid using the filtration unit, separates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il, and removes the separated oil from the degreasing liquid, so that the degreasing liquid from which the oil is removed can be re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의 여과부의 작동과정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의 유수분리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분리된 오일을 제거하는 과정의 작동과정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3 i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5 is a view brief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oil-water separation of the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eparated oil in Figure 5;
본 발명의 탈지액(L1)의 유수분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10)와, 공급밸브(20)와, 저장탱크(30)와, 히터(40)와, 펌프(50)와, 오버플로우부(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oil-water separation device of the degreasing liquid (L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여과부(10)는 오일(유분) 탈지액이 혼합된 오염된 액체에서 이물질을 여과한다.The filtering
탈지액이 자동차 등의 표면에 부착된 오일을 제거하게 되면, 탈지액에는 오일이 혼합되면서 오염된 액체가 되고, 이때 오염된 액체에는 자동차 표면 등에 부착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이 혼합되게 된다.When the degreasing liquid removes oil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car, the oil is mixed with the degreasing liquid to become a contaminated liquid, and at this tim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ar are mixed with the contaminated liquid.
이렇게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액체가 상기 여과부(1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되게 된다.As the contaminated liquid mixed with the foreign substances passes through the
따라서, 상기 여과부(10)를 통과한 오염된 액체는 이물질이 제거된 오일과 탈지액이 혼합된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contaminated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상기 공급밸브(20)는 상기 여과부(10)로 오염된 액체의 공급을 제어한다.The
즉, 상기 공급밸브(20)가 개방되면 오염된 액체가 상기 여과부(10)에 공급되고, 상기 공급밸브(20)가 폐쇄되면 오염된 액체가 상기 여과부(10)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That is, when the
상기 여과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과, 밴드필터(12)와, 구동부(13)와, 제1수위센서(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저장탱크(3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상기 밴드필터(12)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오염된 액체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한다.The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밴드필터(12)를 이동시킨다.The
상기 밴드필터(12)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부(13)에 의해 권출된 후 이동하게 된다.The
상기 공급밸브(20)는 상기 밴드필터(12)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오염된 액체를 공급하고, 상기 밴드필터(12)를 투과한 오염된 액체는 상기 저장탱크(30)로 수용된다.The
상기 제1수위센서(14)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의 수위를 측정한다.The firs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위센서(14)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에 내부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다고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밴드필터(12)를 이동시켜 새로 공급된 면에 의해 오염된 액체의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when it is detected by the first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필터(12)는 상부로 공급된 오염된 액체를 여과하게 되는데, 장시간 여과를 하다보면 상기 밴드필터(12)에는 이물질이 축적되면서 상기 밴드필터(12)의 투과력이 저하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a), the
위와 같이 상기 밴드필터(12)의 투과력이 저하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액체가 상기 밴드필터(12)를 잘 투과하지 못하게 되면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염된 액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When the penetrating power of the
이때 상기 제1수위센서(14)에서 상기 하우징(11)에 내부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다고 감지하게 되면, 상기 공급밸브(20)를 폐쇄하고 상기 구동부(13)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부(13)가 상기 밴드필터(12)를 이동시키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그러면 상기 밴드필터(12)는 새로운 면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물질에 의해 막힌 면은 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밴드필터(12)의 투과력이 다시 좋아지게 된다.Then, the new side of the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여과부(10)는 오염된 액체를 자동으로 필터링 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상기 저장탱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10)에서 여과된 오염된 액체를 수용한다.As shown in FIG. 2 , the
이러한 상기 저장탱크(30)는 상기 여과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10)를 투과한 오염된 액체가 낙하되면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히터(40)는 상기 저장탱크(30)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상기 히터(40)에 의한 가열에 의해 오염된 액체는 탈지액과 오일을 분리되게 된다.The
탈지액과 오일이 혼합된 오염된 액체를 약 90℃의 온도에서 10~20분간 가열하게 되면, 탈지액과 오일이 분리되게 된다.When the contaminated liquid in which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il are mixed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about 90° C. for 10 to 20 minutes,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il are separated.
위와 같이 가열에 의해 탈지액과 오일이 분리되는 것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서,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eparation of degreasing liquid and oil by heating as described above is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히터(40)의 가열에 의해 탈지액과 오일이 분리되게 되면, 오일은 탈지액의 상부에 적층된다.When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il are separated by the heating of the
상기 히터(40)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40)는 상기 저장탱크(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전기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상기 펌프(50)는 상기 저장탱크(30)에서 오일과 분리된 탈지액을 탈지탱크로 이송시킨다.The
상기 탈지탱크는 오일이 제거된 탈지액이 수용되는 곳이다.The degreasing tank is a place where the degreasing liquid from which oil is removed is accommodated.
상기 오버플로우부(60)는 상기 저장탱크(30)에서 탈지액과 분리된 오일이 흘러 넘어가는 부분이다.The
이러한 상기 오버플로우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0)의 상부의 측방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 ,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은 탈지액과 분리되어 상단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탈지액이 증가하게 되면 상부에 적층된 오일은 점점 상승하면서 최상단에 적층된 오일이 상기 저장탱크(30)의 측방에 배치된 상기 오버플로우부(60)를 흘러 넘어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il is separated from the degreasing liquid and stacked on the top, when the degreasing liquid increases, the oil stacked on the top gradually rises, and the oil stacked on the top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상기 오버플로우부(60)를 흘러 넘어가게 된 오일(L2)은 별도의 밸브 등을 통해 폐기물통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oil L2 flowing over the
본 발명은 제2수위센서(70) 및 제어부(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상기 제2수위센서(70)는 상기 저장탱크(30)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측정한다.The second
상기 제2수위센서(70)는 상기 저장탱크(30) 내에 수용된 액체의 3가지 수위 즉 최저점(L), 중간점(M), 최고점(H)을 측정 및 감지한다.The second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공급밸브(20), 히터(40), 펌프(50) 등을 제어한다.Th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위센서(70)에 측정된 상기 저장탱크(3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중간점(M)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공급밸브(20)를 닫는다.As shown in FIG. 5 (a), when the water level in the
그 후 상기 제어부(8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40)를 작동시켜 상기 저장탱크(30)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를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여 오일(L2)과 탈지액(L1)을 분리시킨다.After that, as shown in FIG. 5(b), the
이와 같이 오일(L2)과 탈지액(L1)이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펌프(50)를 작동시켜 오일(L2)과 분리된 탈지액(L1)을 상기 탈지탱크로 이송시킨다.When the oil L2 and the degreasing liquid L1 are separated in this way, the
상기 탈지액(L1)을 상기 탈지탱크로 이송시키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0)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는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수위센서(70)에서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저점(L)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펌프(50)를 정지시키고 상기 공급밸브(20)를 개방한다.When the degreasing liquid (L1) is transferred to the degreasing tank, the water level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그러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액체는 상기 여과부(10)를 통해 여과된 후 다시 상기 저장탱크(30)로 수용되고,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40)의 작동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L2)과 탈지액(L1)이 분리되며,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L2)과 분리된 탈지액(L1)을 탈지탱크로 이송시켜 상기 저장탱크(30) 내부의 액체의 수위는 다시 낮아지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5(d), the contaminated liquid is filtered through the
위와 같은 과정 즉 상기 탈지액(L1)의 이송, 상기 공급밸브(20)의 개폐 등을 적어도 3회 이상 반복하게 되면, 상기 탈지액(L1)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오일(L2)의 두께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점 두꺼워지게 된다.When the above process, that is, the transfer of the degreasing liquid (L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상술한 반복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공급밸브(20)를 개방하여 오염된 액체를 상기 저장탱크(30)에 공급하고, 상기 제2수위센서(70)에서 측정된 수위가 높아져 미리 설정된 최고점(H)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20)를 닫도록 한다.After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상기 최고점(H)은 상기 오버플로우부(60)의 상단보다 높기 때문에, 최상단에 적층된 두꺼운 두께의 오일(L2)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우부(60)로 흘러 넘치게 된다.Since the highest point H is higher than the top of the
위와 같이 상기 탈지액(L1)의 상부에 적층되는 오일(L2)의 두께를 두껍게 한 후 상기 오버플로우부(60)를 흘러 넘치도록 함으로서, 탈지액(L1)이 상기 오버플로우부(60)를 넘치는 양을 최소화하면서 오일(L2)이 상기 오버플로우부(60)를 보다 잘 흘러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oil L2 stacked on top of the degreasing liquid L1 and then overflowing the
본 발명은 오염된 액체에서 상기 여과부(10)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한 후, 탈지액(L1)과 오일(L2)을 분리하고, 분리된 오일(L2)을 탈지액(L1)으로부터 제거함으로서, 오일(L2)이 제거된 탈지액(L1)을 재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ntaminated liquid using the
본 발명인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여과부, 11 : 하우징, 12 : 밴드필터, 13 : 구동부, 14 : 제1수위센서,
20 : 공급밸브,
30 : 저장탱크,
40 : 히터, 50 : 펌프, 60 : 오버플로우부, 70 : 제2수위센서, 80 : 제어부,
L1 : 탈지액, L2 : 오일,10: filtering unit, 11: housing, 12: band filter, 13: driving unit, 14: first water level sensor,
20: supply valve,
30: storage tank,
40: heater, 50: pump, 60: overflow unit, 70: second water level sensor, 80: control unit,
L1: degreasing liquid, L2: oil,
Claims (6)
상기 여과부로 오염된 액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오염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를 가열하여 탈지액과 오일을 분리시키는 히터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오일과 분리된 탈지액을 탈지탱크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탈지액과 분리된 오일이 흘러 넘어가는 오버플로우부;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와; 및
상기 공급밸브, 히터 및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2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중간점(M)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닫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를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여 오일과 탈지액을 분리시킨 후,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오일과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탈지탱크로 이송시키며, 탈지액이 탈지탱크로 이송되어 상기 제2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저점(L)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상기 탈지액의 이송 또는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 경우,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오염된 액체를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하고, 상기 제2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고점(H)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닫아 탈지액과 분리되어 최상단에 적층된 오일이 상기 오버플로우부로 흘러 넘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ntaminated liquid in which oil and degreasing liquid are mixed;
a supply valve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contaminated liquid to the filtering unit;
a storage tank accommodating the contaminated liquid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a heater for heating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to separate the degreasing liquid from the oil;
A pump for transferring the degreasing liquid separated from the oil in the storage tank to the degreasing tank;
an overflow part through which oil separated from the degreasing liquid in the storage tank flows;
a second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valve, the heater and the pump;
The control unit,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and the water level measured through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set midpoint (M), the supply valve is closed and the heater is operated to remove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After heating to the temperature to separate the oil and the degreasing liquid, the pump is operated to transfer the degreasing liquid separated from the oil to the degreasing tank, and the degreasing liquid is transferred to the degreasing tank so that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is When the preset lowest point (L) is reached, the process of stopping the pump and opening the supply valve is repeated,
When the transfer of the degreasing liquid 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is repeated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supply valve is opened to supply the contaminated liquid to the storage tank, and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set highest point. When reaching (H), the supply valve is closed to separate the degreasing liquid and the oil stacked on the top overflows to the overflow part.
상기 여과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밴드필터와;
상기 밴드필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밴드필터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오염된 액체를 공급하고,
상기 밴드필터를 투과한 오염된 액체는 상기 저장탱크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In claim 1,
The filter unit,
housing department;
a band filter movably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and filter; including,
The supply valve supplies the contaminated liqui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from the top of the band filter,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minated liquid passing through the band filte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tank.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수위센서에서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수용된 오염된 액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다고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밴드필터를 이동시켜 새로 공급된 면에 의해 오염된 액체의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In claim 2,
The filter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liqui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When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at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n the housing exceeds a preset value, the driving unit moves the band filter so that the contaminated liquid is filtered by the newly supplied surface. An oil-water separator for degreasing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지액의 이송 또는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가 적어도 3회 이상 반복된 경우,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오염된 액체를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하고, 상기 제2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고점(H)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In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transfer of the degreasing solution 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is repeated at least three times,
Opening the supply valve to supply the contaminated liquid to the storage tank, and closing the supply valve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set highest point (H) Device.
상기 최고점(H)은 상기 오버플로우부의 상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In claim 1,
The highest point (H) is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art.
상기 히터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액의 유수분리장치.
In claim 1,
The heater is an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degreasing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am pipe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002A KR102569097B1 (en) | 2021-03-09 | 2021-03-09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degreasing solu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002A KR102569097B1 (en) | 2021-03-09 | 2021-03-09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degreasing solu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6569A KR20220126569A (en) | 2022-09-16 |
KR102569097B1 true KR102569097B1 (en) | 2023-08-23 |
Family
ID=8344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002A Active KR102569097B1 (en) | 2021-03-09 | 2021-03-09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degreasing solu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90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7208A (en) | 2022-10-04 | 2024-04-1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pack with gas venting path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0742A (en) * | 2004-01-19 | 2005-07-28 |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 Oil separation device in degreasing and washing tank and oil separa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5731B1 (en) | 2015-09-07 | 2017-11-08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Oil and water separation device using wettability |
KR101822868B1 (en) * | 2016-05-20 | 2018-01-29 | 주식회사 대일기공 | Paper Filter |
-
2021
- 2021-03-09 KR KR1020210031002A patent/KR1025690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0742A (en) * | 2004-01-19 | 2005-07-28 |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 Oil separation device in degreasing and washing tank and oil separ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6569A (en) | 2022-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2707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ily wastewater | |
US6638437B2 (en) | Multi-directional flow gravity separator | |
EP2976147B1 (en) | Method for treating impurities contained in exhaust gases of ships and ship with a scrubber purification unit | |
US9707494B2 (en) | Oil water separator | |
JP6820262B2 (en) | Fluid filtration system | |
US5372722A (en) | Oil separator with integrated microfiltration device | |
US10526227B2 (en) | Wastewater treatment and solids reclamation system | |
US20170217795A1 (en) | Skimmer and oil water separator | |
KR101446272B1 (en) | Oil-water separator | |
KR101662039B1 (en) | Bilge water purification method by centrifugal separation system | |
KR102569097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degreasing solution | |
JP2015073983A (en) | System for processing bilge in engine room of ship | |
KR101386427B1 (en) | Automatic cleaning type water treatment filter structure | |
US5388542A (en) | Water-borne ship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US20180155216A1 (en) | Skimmer and oil water separator process | |
KR100988316B1 (en) | Filt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charge of backwash water | |
US10457572B2 (en) | Oil water separator | |
EP0398968A1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 |
CN201240882Y (en) | Coalescence-separation type apparatus for removing oil in water | |
CN113117383A (en) | Demulsification oil-water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 |
CN102657953A (en) | Filtration type oil-water separation technology and equipment | |
KR20200026700A (en) | Method for treating a liquid, and apparatus | |
KR20230104487A (en) | Centrifugal roll filter press | |
US5779917A (en) | Process for separating fluids having different densities | |
CN110668587A (en) | Separation device for immiscible liqu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