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8635B1 -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635B1
KR102568635B1 KR1020210039564A KR20210039564A KR102568635B1 KR 102568635 B1 KR102568635 B1 KR 102568635B1 KR 1020210039564 A KR1020210039564 A KR 1020210039564A KR 20210039564 A KR20210039564 A KR 20210039564A KR 102568635 B1 KR102568635 B1 KR 10256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optical member
resin
light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900A (ko
Inventor
최성학
한재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914,719 priority Critical patent/US12077669B2/en
Priority to JP2022556165A priority patent/JP2023518756A/ja
Priority to PCT/KR2021/003782 priority patent/WO2021194305A1/ko
Publication of KR2021012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하부면에 적층된 광 투과 조절 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최대흡수파장이 540nm 내지 630nm인 제1염료, 최대흡수파장이 390nm 내지 470nm인 제2염료,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30nm인 제3염료,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60nm인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 및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는 것인,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OPTICAL MEMBER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나온 광이 액정 패널을 통해 출사됨으로써 작동된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특성상 리얼 블랙(real black)을 구현하기 쉽지 않으므로 명암비의 한계가 발생하게 되어 천연색을 재현하기 위한 새로운 디스플레이에 대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에 대한 개선으로 양자점(QD, quantum dot) 입자를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하여 휘도 및 색재현성을 향상시키거나, 자발광 OLED 등을 적용하여 리얼 블랙을 구현하는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또한 개선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 중 최근 새로운 개발 방향으로서 백라이트 유닛 대신에 블루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블루 광원을 사용하고 액정 패널의 액정 대신에 양자점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리얼 블랙 및 색재현성을 개선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외광에 의한 명실에서의 명암비가 저하되므로 반사율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블루 광원과 양자점 입자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블루 광원의 블루 파장이 양자점 입자를 여기시킴으로써 레드와 그린 파장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양자점 입자를 포함하는 양자점 함유 층에는 TiO2 등과 같은 광 산란 입자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에서 나온 블루 파장은 광 산란 입자에 의해 광 산란이 발생하여 발광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며 보다 선명한 레드와 그린 파장의 광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패널이 블랙 상태 즉 전원이 off 상태에서는 외부 광이 디스플레이에 입사하게 되면 TiO2 등의 광 산란 입자가 외부광을 오히려 산란시킴으로써 반사광을 발생하게 되어 블랙 시감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산란에 의한 블랙 시감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적 파장 흡수 염료 적용이나 카본 블랙 등을 사용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율을 개선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의 경우 내광 신뢰성이 우수하고 가시광 전체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하여 반사율은 개선할 수 있으나 전체 투과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15-010192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광 신뢰성 평가 후 반사율 변화를 낮출 수 있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 변화를 낮출 수 있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피착체에 적층시 광학표시장치 화면의 블랙 시감을 개선하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사율을 현저히 낮춤으로써 반사 색감을 개선하며 전체 광 투과율이 높은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광학 부재이다.
1.광학 부재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하부면에 적층된 광 투과 조절 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최대흡수파장이 540nm 내지 630nm인 제1염료, 최대흡수파장이 390nm 내지 470nm인 제2염료,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30nm인 제3염료,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60nm인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 및 수산기 값(OH value)이 5mgKOH/g 이하인 수지를 함유한다.
2.1에서, 상기 기재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적층체는 반사율이 5% 이하일 수 있다.
3.1-2에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상부면에 적층된,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하드코팅층 중 1종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4.1-3에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열 및/또는 광에 대한 반응성 작용기를 갖지 않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5.4에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에폭시기, 수산기, 카르복시산기 중 1종 이상을 갖지 않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6.1-5에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시아노기(-C≡N)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비치환된 탄소 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비치환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7.1-6에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아릴렌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8.1-7에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9.1-8에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상기 제1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10.9에서, 상기 제1염료는 포르피린계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11.9-10에서, 상기 제1염료는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0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12.9-12에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상기 제2염료, 상기 제3염료, 상기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3.12에서, 상기 제2염료는 메로시아닌계 염료이고, 상기 제3염료는 보론디피로메틴계 염료이고, 상기 제4염료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일 수 있다.
14.12-13에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에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2염료는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상기 제3염료는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상기 제4염료는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15.1-14에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광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6.1-14에서, 상기 광학 부재는 하기 식 1의 광 투과율 변화량이 5% 이하이고, 하기 식 2의 반사율 변화량이 1% 이하일 수 있다:
[식 1]
광 투과율의 변화량 =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광 투과 조절 층 중 함유 염료의 개수)
(상기 식 1에서,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은 광 투과 조절 층에 함유되는 각각의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하기 식 1-1로 표시되는 값의 총 합이다.
[식 1-1]
|T1 - T0|
(상기 식 1-1에서, T0은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학 부재의 초기 광 투과율(단위:%)
T1은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학 부재에 대해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단위:%)),
[식 2]
반사율의 변화량 = |R1 - R0|
(상기 식 2에서, R0은 광학 부재의 초기 반사율(단위:%)
R1은 광학 부재에 대해 내광 신뢰성 평가 후 반사율(단위:%)).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광학표시장치이다.
17.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18.17에서, 상기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광학 부재의 하부면에 양자점 층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층 또는 양자점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광 신뢰성 평가 후 반사율 변화를 낮출 수 있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 변화를 낮출 수 있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피착체에 적층시 광학표시장치 화면의 블랙 시감을 개선하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반사율을 현저히 낮춤으로써 반사 색감을 개선하고 전체 광 투과율이 높은 광학 부재를 제공하였다.
첨부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 기재시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X ≤ 그리고 ≤ Y)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지의 "수산기 값(OH value)"은 수지에 대해 JISK 8004-1961에 따른 무수 초산-피리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값이다.
측정 기구: 삼각 플라스크(200mL), 공기 냉각관(30cm), 피펫(5mL, 10mL), 뷰렛(50mL), 및 유욕조(oil bath)
측정 방법: 삼각 플라스크에 수지(약 1g)와 5mL의 무수초산-피리딘 혼합액(무수초산 20mL에 피리딘을 첨가하여 400mL로 한 것) 20mL를 넣고 5회 이상 진탕한 후 냉각기를 부착하여 유욕조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 1mL를 첨가하고 5회 이상 진탕한 다음 10분 동안 가수분해 촉진을 위해 유욕조에 그대로 방치하였다. 유욕조에서 꺼내고 상온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후 아세톤 10mL로 냉각기 내벽을 세척한 다음 5회 이상 진탕한 후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약 3 내지 4방울을 첨가하여 0.5N(mol/L) KOH 표준 용액(수산화칼륨 에탄올 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수지의 수산기 값은 아래 계산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식]
수산기 값(mgKOH/g) = {[(B-C) x f x 28.05]/S} + D
(상기 계산식에서, B는 공 시험에 사용한 0.5mol/L 수산화칼륨 에탄올 용액의 양(mL),
C는 적정에 사용한 0.5mol/L 수산화칼륨 에탄올 용액의 양(mL),
f는 0.5mol/L 수산화칼륨 에탄올 용액의 농도 계수(factor)
S는 수지 시료의 질량(g)
D: 산가
본 명세서에서 염료의 "최대흡수파장(λmax)"은 메틸에틸케톤 중 10ppm 농도의 염료 용액에 대해 흡광도를 측정하였을 때 최대 흡광도가 나타나는 파장을 의미한다. 상기 최대 흡광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반사율"은 상기 적층체 중 기재 필름 쪽에 굴절률 1.46 내지 1.50을 갖는 점착제가 형성된 Nitto 수지의 CL-885 블랙 아크릴 시트를 70℃에서 라미네이트하여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반사율 측정기를 사용해서 반사 모드로, 파장 380nm 내지 780nm의 영역에서 측정한 반사율의 평균 반사율을 의미한다. 반사율 측정기는 Perkin Elmer社의 UV/VIS spectrometer Lambda 1050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 부재의 "반사율"은 산란 반사율(SCE, Specular Component Exclude)로서, SCE Mode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 부재의 "내광 신뢰성" 평가는 광학 부재에 대해 Xenon Test Chamber(Q-SUN)에서 [광원 램프: Xenon 램프, 조사 파장: 340nm, 조사 세기: 0.35W/cm2, 조사 온도: 63℃, 조사 시간: 500시간, 조사 방향: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쪽에서 조사]의 조건으로 조사하기 전과 조사한 후의 광학 부재의 광 투과율 변화량 또는 반사율 변화량을 평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 부재의 "식 1의 광 투과율의 변화량"은 상기 내광 신뢰성 평가로 조사하기 전과 조사한 후에 있어서, 광학 부재의 광 투과 조절 층 중 함유 염료 각각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을 측정하고,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광 투과 조절 층 중 함유 염료의 개수)로부터 계산된 광 투과율 변화량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 부재의 "식 2의 반사율 변화량"은 상기 내광 신뢰성 평가로 조사하기 전과 조사한 후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된 광학 부재의 반사율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양자점 및 광 산란 입자(예:TiO2)를 포함하는 피착체에 피착되는 광학 부재로서, 전원 off 상태에서는 외부 광 중 상기 광 산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흡수하여 화면의 블랙 시감을 개선하고, 전원 on 상태에서는 광 투과율을 높여 광학표시장치의 내부 광의 광 효율과 휘도를 높이고 반사율을 현저하게 낮추고 반사 색감을 개선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 투과율과 반사율 모두에서 내광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 부재를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설명한다.
광학 부재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하부면에 적층된 광 투과 조절 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최대흡수파장이 540nm 내지 630nm인 제1염료, 최대흡수파장이 390nm 내지 470nm인 제2염료,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30nm인 제3염료,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60nm인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 및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를 함유한다.
광학 부재는 반사율이 낮다. 광학 부재는 반사율이 0.5% 이하, 예를 들면 0% 초과 0.1%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산란 입자(예:TiO2)를 포함하는 피착체에 적층시 반사 색감을 개선하고 우수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광학 부재는 반사율이 0% 초과 0.12% 이하가 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보다 반사율이 낮다. 이것은 하기 상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투과 조절 층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착체에 상기 적층체를 적층시킴으로써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염료 함유 광 투과 조절 층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대비 광학 부재의 반사율을 더 낮출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은 광학 부재의 반사율을 더 낮출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술된다.
일 구체예에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광학 부재 간의 반사율의 차이는 2.0% 이하, 구체적으로 0% 초과 2.0% 이하, 더 구체적으로 0% 초과 1.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방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은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를 함유한다.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반사율 변화 및 광 투과율 변화 모두에서 광학 부재의 내광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사율과 광 투과율은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용도에서와 같이 양자점 및 광 산란 입자(예:TiO2)를 포함하는 피착체에 피착되는 광학 부재에 있어서 광학표시장치의 화면 품질 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광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상기 수산기 값 5mgKOH/g 이하는 하기 상술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광 투과 조절층에서 내광 신뢰성을 평가하였을 때 반사율과 광 투과율 변화량을 낮출 수 있도록 선택된 값이다.
일 구체예에서, 내광 신뢰성 관련하여, 광학 부재는 하기 식 1의 광 투과율 변화량이 5% 이하, 구체적으로 0% 내지 5%, 더 구체적으로 0% 내지 3%, 0% 내지 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부재는 내광 신뢰성이 우수하여 광학표시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식 1]
광 투과율의 변화량 =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광 투과 조절 층 중 함유 염료의 개수)
(상기 식 1에서,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은 광 투과 조절 층에 함유되는 각각의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하기 식 1-1로 표시되는 값의 총 합이다,
[식 1-1]
|T1 - T0|
(상기 식 1-1에서, T0은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학 부재의 초기 광 투과율(단위:%)
T1은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학 부재에 대해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단위:%)).
일 구체예에서, 내광 신뢰성 관련하여, 광학 부재는 하기 식 2의 반사율 변화량이 1% 이하, 구체적으로 0% 내지 1%, 더 구체적으로 0% 내지 0.0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부재는 내광 신뢰성이 우수하여 광학표시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식 2]
반사율의 변화량 = |R1 - R0|
(상기 식 2에서, R0은 광학 부재의 초기 반사율(단위:%)
R1은 광학 부재에 대해 내광 신뢰성 평가 후 반사율(단위:%)).
광학 부재는 최대흡수파장이 540nm 내지 630nm인 제1염료, 최대흡수파장이 390nm 내지 470nm인 제2염료,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30nm인 제3염료,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60nm인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부재는 제1염료를 필수적으로 함유한다. 상기 최대흡수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함으로써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피착체에 광학 부재를 적층시켰을 때 외부 광으로 인한 광 산란을 모두 흡수함으로써 외부 광의 반사율을 더 낮추어 블랙 시감을 개선하고 색재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를 포함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반사율을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단독 대비 더 낮출 수 있다.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이하,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일 구체예를 설명한다.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반사율이 5% 이하, 예를 들면 0% 초과 3% 이하, 구체적으로 0% 초과 0.5% 이하, 더 구체적으로 0% 초과 0.3%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광 투과 조절 층과 적층시 반사 색감 개선 효과 및 광 투과율 범위에 도달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상술한 반사율을 가질 수 있는 반사 방지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기재 필름 및 기재 필름의 상부면에 적층된 반사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은 파장 380nm 내지 780nm 에서 광 투과율이 95% 이상, 구체적으로 95%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기재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폴리머계 수지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500㎛, 예를 들면 50㎛ 내지 300㎛, 구체적으로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투과 조절 층, 반사 방지층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기재 필름은 무연신 필름일 수도 있으나 소정의 1축 또는 2축 연신을 통해 연신시켜 소정 범위의 위상차를 갖는 필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 Re가 0nm 내지 15,000nm, 바람직하게는 무 위상차 필름으로서 Re가 0nm 내지 10nm가 될 수 있다. 상기 Re는 (nx - ny) x d(nx, ny는 파장 550nm에서의 기재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기재 필름의 두께)에 의해 계산되는 값이다.
반사방지층은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하드코팅층 중 1종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저굴절률층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저굴절률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저굴절률층은 기재 필름 및/또는 하기 상술되는 고굴절률층과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상기 적층체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저굴절률층은 경화형 바인더 수지, 불소 원자 함유 모노머 및 평균 입자 지름 5nm 내지 300nm의 미립자(예를 들면 중공 실리카)를 함유하고 있으며,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0.01㎛ 내지 0.15㎛가 될 수 있다.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20 내지 1.40이 될 수 있다.
저굴절률층의 일면 즉 저굴절률층의 상부면에는 기능성 코팅층이 더 형성됨으로써 광학 부재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내지문성층, 대전방지층, 하드코팅층, 안티 글레어층, 배리어층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사방지층은 고굴절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은 기재 필름과 저굴절률층 사이에 형성되어 기재 필름과 저굴절률층 사이의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고굴절률층은 기재 필름 및 저굴절률층과 각각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굴절률층은 두께가 0.05㎛ 내지 20㎛, 굴절률이 1.45 내지 2이고 JIS-K7361에 규정되는 헤이즈 값이 기재 필름의 헤이즈 값과 다르지 않거나 또는 기재 필름의 헤이즈 값과의 차이가 10% 이하인 것이 투명성이 우수하고, 반사 방지성이 우수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드코팅층은 상기 적층체의 경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적층체를 광학표시장치의 최외곽에 사용하더라도 스크래치 등의 발생이 없도록 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고굴절률층 또는 저굴절률층에서 목표로 하는 경도를 확보할 수 있다면 하드코팅층은 생략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은 기재 필름과 고굴절률층 사이 또는 기재 필름과 저굴절률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은 평균 입자 지름이 1nm 내지 30nm에서 입도 분포 범위가 평균 입자 지름 ±5nm 이하의 범위에 있는 금속 산화물 초미립자가 경화한 바인더 중에 균일하게 혼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경화층이다. 하드코팅층은 두께가 1㎛ 내지 15㎛이며, 하드코팅층은 굴절률은 1.54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두께가 50㎛ 내지 500㎛, 예를 들면 50㎛ 내지 300㎛, 구체적으로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체는 기재 필름 및 기재 필름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드코팅층,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기에서 상술되는 바와 같이 광학 부재가 상부 편광판이 없는 광학표시장치에 적용되더라도 외부 충격에 의한 광학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
이하, 광 투과 조절 층의 일 구체예를 설명한다.
일 구체예에서, 광 투과 조절 층은 기재 필름의 하부면에 "직접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적층"은 광 투과 조절 층과 기재 필름 사이에 임의의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광학 부재는 광 투과 조절층에 기재 필름이 직접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광학 부재의 박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광학 부재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기재 필름과 광 투과 조절층 사이에 임의의 다른 광학 소자 또는 광학 층 또는 기능층이 더 적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과 광 투과 조절 층 사이에 수분 및/또는 산소를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층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은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및 하기 상술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하기 상술되는 염료, 염료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용도에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하기 상술되는 염료, 염료의 혼합물은 상술되는 내광 신뢰성 평가시 광학 부재의 광 투과율 변화량 및 반사율 변화량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학 부재의 반사율 변화량 및 광 투과율 변화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수산기 값이 0mgKOH/g 내지 5mgKOH/g, 구체적으로 0mgKOH/g 내지 4.5mgKOH/g, 0.1mgKOH/g 내지 1mgKOH/g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학 부재의 반사율 변화량 및 광 투과율 변화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비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 값 5mgKOH/g 이하는 하기에서 상술되는 단량체를 사용하여 수지를 제조할 때 단량체의 종류, 중합시 단량체의 몰 비율, 중합 온도 및/또는 중합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열 및/또는 광에 대한 반응성 작용기 예를 들면 에폭시기, 수산기, 카르복시산기 중 1종 이상을 갖지 않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경화제, 개시제(예: 광개시제, 열개시제 중 1종 이상) 없이 용매 캐스팅 방법에 의해 광 투과 조절 층의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열 및/또는 광에 대한 반응성 작용기 예를 들면 에폭시기, 수산기, 카르복시산기 중 1종 이상을 갖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에폭시기, 수산기, 카르복시산기는 수지의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가 되는 한도 내에서 수지에 포함되어야 한다.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2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광 투과 조절 층의 유리전이온도에 도달할 수 있고 광 투과 조절 층의 브리틀(brittle)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00℃ 내지 200℃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열 및/또는 광에 대한 반응성 작용기를 갖지 않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호모 폴리머 또는 헤테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모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단량체가 동일한 폴리머이고, "헤테로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단량체가 2종 이상인 폴리머이다.
상기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은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시아노기(-C≡N)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비치환된 탄소 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비치환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부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디페닐에틸렌, 이소프로페닐 톨루엔, 이소프로페닐 메틸 벤젠, 이소프로페닐 에틸 벤젠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에스테르 부위에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종류를 채용할 수 있다. 단, 상기 단량체 중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함량은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가 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포함되어야 한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폴리알킬(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PS)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계 수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m-SAN)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아릴렌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PC)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 개질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 수지, 개질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modified-PVDF)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상술 나열된 수지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중합된(형성된) 수지일 수 있다. 이때,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함량은 수지의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가 되는 한도 내에서 포함되어야 한다.
광 투과 조절 층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투과를 조절하여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광 투과 조절 층은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단독 대비 반사율을 더 낮춤으로써 광학 부재를 사용할 경우 반사 색감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 투과 조절 층은 최대흡수파장이 540nm 내지 630nm인 제1염료, 최대흡수파장이 390nm 내지 470nm인 제2염료,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30nm인 제3염료,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60nm인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광 투과 조절 층은 제1염료를 필수적으로 함유한다. 이때, 광 투과 조절 층은 제2염료, 제3염료,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 투과 조절 층은 제2염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광 투과 조절 층은 제2염료와 제3염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광 투과 조절 층은 제2염료, 제3염료 및 제4염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540nm 내지 630nm으로서 네온(neon) 파장에서의 광을 차단함으로써 반사 색감을 개선하고 색재현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반사율을 더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580nm 내지 610nm가 될 수 있다.
제1염료를 함유함으로써, 광학 부재는 파장 540nm 내지 63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의 최소값이 2% 내지 70%, 더 구체적으로 2% 내지 40%, 5%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0001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시감 개선과 반사율 감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부재의 내광 신뢰성 개선 효과가 더 나올 수 있다.
제1염료는 포르피린계, 로다민계, 스쿠아린계, 시아닌계, 안트라퀴논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딘계, 아조계, 스티릴계, 쿠마린계, 로다민계, 크산텐계, 피로 메틴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염료는 포르피린계, 로다민계, 스쿠아린계, 시아닌계 중 1종 이상, 구체적으로 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염료는 포르피린계 염료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파장 영역의 광 투과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색재현율을 높이며, 명암비를 높이면서 반사 색감을 개선하여 블랙 시감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포르피린계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3583593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Zn, V, Ag, Cu, Co, Pd, In 또는 Ti이고,
L1, L2, L3, L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이고,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키닐기, 수산기, 머캅토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티오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키닐기, 시아노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실릴기이다).
일 구체예에서, 제1염료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염료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파장 영역의 광 투과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색재현율을 높이며, 명암비를 높이면서 반사 색감을 개선하여 블랙 시감을 높일 수 있다. 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염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35835933-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Zn, V, Ag, Cu, Co, Pd, In 또는 Ti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키닐기, 수산기, 머캅토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티오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키닐기, 시아노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실릴기이다).
제1염료는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에서 각각 치환기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 중, 제1염료는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색감 개선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염료는 0.0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0.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제2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390nm 내지 470nm으로서 블루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파장 중 바이오렛(violet) 영역을 차단함으로써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색감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400nm 내지 450nm, 더 바람직하게는 400nm 내지 445nm가 될 수 있다.
제2염료를 함유함으로써, 광학 부재는 파장 390nm 내지 47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의 최소값이 2% 내지 80%, 더 구체적으로 2% 내지 60%, 20% 내지 6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2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시감 개선과 반사율 감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광 신뢰성 개선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제2염료는 메로시아닌계, 시아닌계, 아조계, 포르피린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염료는 메로시아닌계 염료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파장 영역의 광 투과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색재현율을 높이며, 명암비를 높이면서 반사 색감을 개선하여 블랙 시감을 높일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 중, 제2염료는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0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색감 개선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염료는 0.0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0.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제3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30nm으로서 시안(cyan) 파장의 광을 차단함으로써 반사 색감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20nm, 예를 들면 490nm 내지 51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색감을 개선하고 색재현율을 높일 수 있다.
제3염료를 함유함으로써, 광학 부재는 파장 480nm 내지 53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의 최소값이 2% 내지 80%, 더 구체적으로 2% 내지 60%, 20% 내지 6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3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시감 개선과 반사율 감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3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광 신뢰성 개선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제3염료는 피로메틴(pyrromethene)계, 시안계, 로다민계, 보론디피로메틴(boron dipyrromethene, BODIPY)계,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계,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염료는 보론디피로메틴계를 포함하는 피로메틴계, 시안계, 로다민계 중 1종 이상, 구체적으로 보론디피로메틴계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3염료는 피로메틴계 염료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파장 영역의 광 투과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색재현율을 높이며, 명암비를 높이면서 반사 색감을 개선하여 블랙 시감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피로메틴계 염료는 하기 화학식 3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35835933-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키닐기, 수산기, 머캅토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티오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키닐기, 시아노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실릴기이고,
M은 m가 원소를 나타내고, m은 2 내지 6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7은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F)이 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의 알킬기, 수산기, 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 할로겐, 니트로기, 티올기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M은 2가 내지 6가 원소로서, 붕소(B), 베릴륨(Be), 마그네슘(Mg), 크롬(Cr), 철(Fe), 니켈(Ni), 구리(Cu), 아연(Zn), 백금(Pt) 중 1종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3염료는 하기 화학식 3-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1]
Figure 112021035835933-pat00004
(상기 화학식 3-1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은 상기 화학식 3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제3염료는 상기 화학식 3, 화학식 3-1에서 각각 치환기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 중, 제3염료는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0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색감 개선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3염료는 0.0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0.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제4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60nm으로서 마젠타(magenta) 파장의 광을 흡수함으로써 반사 색감을 개선하고 색재현율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4염료는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색감을 개선하고 색재현율을 높일 수 있다.
제4염료를 포함함으로써, 광학 부재는 파장 640nm 내지 76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의 최소값이 2% 내지 80%, 더 구체적으로 50% 내지 7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4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중량%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0001중량% 내지 3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시감 개선과 반사율 감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4염료는 광 투과 조절 층 중 0.001중량% 내지 0.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0.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광 신뢰성 개선 효과가 더 나올 수 있다.
제4염료는 프탈로시아닌계, 스쿠아린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4염료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파장 영역의 광 투과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색재현율을 높이며, 명암비를 높이면서 반사 색감을 개선하여 블랙 시감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프탈로시아닌계 염료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21035835933-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R1, R2, R3,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키닐기, 수산기, 머캅토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티오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할로알키닐기, 시아노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실릴기이고,
M은 Pd, Cu, Ru, Pt, Ni, Co, Rh, Zn, VO, TiO, Si(Y)2, Sn(Y)2 또는 Ge(Y)2 (상기 Y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옥시기, 수산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10의 아크릴옥시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티오기이고,
a,b,c,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제4염료는 상기 화학식 4에서 각각 치환기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 중, 제4염료는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0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색감 개선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4염료는 0.0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 중 염료 또는 염료 혼합물은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구체적으로 0.0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 0.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율을 낮추고 반사 색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은 열 및/또는 광에 대한 반응성 작용기(예: 에폭시기, 수산기 또는 카르복시산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중 1종 이상은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함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로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범위에서,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 변화량 및 반사율 변화량이 늘어나지 않을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은 광 안정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리워크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광 신뢰성의 추가적인 개선을 위하여, 광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안정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페놀계, 옥사닐리드계 등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광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중량부 내지 20중량부, 구체적으로 0.0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투과 조절 층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첨가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은 무용제형일 수 있다. 또는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이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광 투과 조절 층을 박형의 두께로 만들 수 있고 도포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용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 투과 조절 층은 점착성이 없는 비 점착성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기재 필름에 소정의 두께로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용매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용매 건조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광 투과 조절 층은 두께가 0.5㎛ 내지 10㎛, 예를 들면 1㎛ 내지 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부재에 사용될 수 있다.
광학 부재의 하부면 즉 광 투과 조절 층의 하부면에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은 광학 부재를 패널 등에 점착시킬 수 있다. 점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점착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부재의 하부면에는 양자점 층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층 또는 양자점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패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광학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광학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표시 장치는 양자점 층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층의 일면에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광학 표시 장치는 양자점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의 일면에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표시 장치는 상기 양자점 층으로서 비패턴화된 양자점 층 또는 패턴화된 양자점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양자점은 나노 크기의 반도체 입자가 중심을 이루는 입자이다. 양자점의 형광은 전도대(conduction band)에서 가 전자대(valence band)로 들뜬 상태의 전자가 내려오면서 발생하는 빛이다. 양자점은 II-VI족, III-V족, IV-VI족, IV족 반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등 임의의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는 Si, Ge, Sn, Se, Te, B, C, P, BN, BP, BAs, AlN, AlP, AlAs, AlSb, GaN, GaP, GaAs, GaSb, InN, InP, InAs, InSb, AlN, AlP, AlAs, AlSb, GaN, GaP, GaAs, GaSb, ZnO, ZnS, ZnSe, ZnTe, CdS, CdSe, CdxSeySz, CdTe, HgS, HgSe, HgTe, BeS, BeSe, BeTe, MgS, MgSe, GeS, GeSe, GeTe, SnS, SnSe, SnTe, PbO, PbS, PbSe, PbTe, CuF, CuCl, CuInS2, Cu2SnS3, CuBr, CuI, Si3N4, Ge3N4, Al2O3, (Al, Ga, In)2 (S, Se, Te)3, CIGS, CGS, (ZnS)y(CuxSn1-xS2)1-y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반도체를 적어도 2개 이상 혼합한 혼합 반도체를 포함한다. 양자점은 코어-쉘 구조 또는 얼로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코어-쉘 구조 또는 얼로이 구조를 갖는 양자점의 비제한적인 예로 CdSe/ZnS, CdSe/ZnSe/ZnS, CdSe/CdSx(Zn1-yCdy)S/ZnS, CdSe/CdS/ZnCdS/ZnS, InP/ZnS, InP/Ga/ZnS, InP/ZnSe/ZnS, PbSe/PbS, CdSe/CdS, CdSe/CdS/ZnS, CdTe/CdS, CdTe/ZnS, CuInS2/ZnS, Cu2SnS3/ZnS 등이 있을 수 있다.
비패턴화된 양자점 층은 양자점이 소정의 수지에 함침된 층 또는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폴리스티렌, 발포성 폴리스티렌(expandable polystyr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미드,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 에폭시, 실리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패턴화된 양자점 층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양자점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화된 양자점 층은 소정의 기재 위에 양자점 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자점 층 위에 감광성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마스킹, UV 광 조사, 현상, 에칭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 또는 패널은 내부 광 특히 blue 광을 산란시켜 red, green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층은 광 산란 입자로서 TiO2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표시 장치는 양자점 층 또는 산란 입자를 함유하는 층 또는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광 출사면에 본 발명의 광학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의 광 출사면에 본 발명의 점착층, 광 투과 조절 층 및 기재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양자점 층 또는 산란 입자를 함유하는 층 또는 패널은 액정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표시 장치는 상기 층 또는 상기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광학 표시 장치는 양자점 층, 기판 이외에, 편광자, 보호필름, 기능성 코팅층 중 1종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 기능성 코팅층 각각은 1개 이상 적층될 수 있다.
편광자는 입사되는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켜 출사시킨다. 편광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염료로 염색시킨 편광자, 폴리비닐알코올을 탈수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엔계 편광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하기 상술되는 보호필름이 더 적층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은 양자점 층, 편광자 등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필름은 상기 상술한 기재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롯데케미컬) 수지(수산기 값: 0.4mgKOH/g) 20중량부, 염료 KIS001(테트라아자포르피린계, 최대흡수파장이 594nm, 경인 양행) 0.012중량부(SAN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0.06중량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7중량부와 톨루엔 54중량부를 혼합하여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을 반사 방지 필름(기재 필름인 PET 필름 상부면에 하드코팅층,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반사 방지 필름, 반사율: 0.2%, DNP社)의 기재 필름인 PET 필름의 하부면에 바 코터로 직접 도포하고 120℃에서 2분 동안 용제 건조시켜, 기재 필름인 PET 필름의 하부면에 광 투과 조절층(두께: 5㎛)을 형성함으로써,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SAN 수지 20중량부 대신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수지(수산기 값: 0.8mgKOH/g) 20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SAN 수지 20중량부에 대하여 광 안정제로서 Tinuvin 292(BASF社) 3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SAN 수지 20중량부 대신에 m-SAN(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수지(수산기 값: 0.6mgKOH/g) 2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염료 KIS001 0.012중량부 대신에, KIS001 0.012중량부와 염료 FDB-003(메로시아닌계, 최대흡수파장 438nm, Yamada Chemical Co.) 0.014중량부의 혼합물(SAN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혼합물 0.13중량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염료 KIS001 0.012중량부 대신에, KIS001 0.012중량부, 염료 FDB-003 0.014중량부, 염료 VD500(보론디피로메틴계, 최대흡수파장 509nm, 욱성 화학) 0.012중량부의 혼합물(SAN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혼합물 0.19중량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염료 KIS001 0.012중량부 대신에, KIS001 0.012중량부, 염료 FDB-003 0.014중량부, 염료 VD500 0.012중량부, 염료 IN88(프탈로시아닌계, 최대흡수파장 675nm, 욱성 화학) 0.06중량부의 혼합물(SAN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혼합물 0.49중량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SAN 수지 20중량부 대신에 SAN 수지 20중량부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0.6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중합된 수지(수산기 값: 4.5mgKOH/g))을 사용하여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반사 방지 필름 중 기재 필름인 PET 필름의 하부면에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SAN 수지 20중량부 대신에 SAN 수지 20중량부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중합된 수지(수산기 값: 8mgKOH/g))을 사용하여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반사 방지 필름 중 기재 필름인 PET 필름의 하부면에 도포한 후 광 경화 방법으로 경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실시예, 비교예의 광 투과 조절 층용 조성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는 해당 성분이 포함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 부재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식 1의 광 투과율 변화량(단위: %):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학 부재에 대해 Xenon Test Chamber(Q-SUN)에서 [광원 램프: Xenon 램프, 조사 파장: 340nm, 조사 세기: 0.35W/cm2, 조사 온도: 63℃, 조사 시간: 500시간, 조사 방향: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쪽에서 조사]의 조건으로 조사하기 전과 500시간 조사한 후의, 광학 부재의 광 투과 조절 층 중 각 사용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을 측정하였다. 식 1의 광 투과율 변화량은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광 투과 조절 층 중 함유 염료의 개수)로부터 계산되었다.
(2)식 2의 반사율 변화량(단위: %):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학 부재를 블랙시트지(현대시트社) 위에 놓고 50℃의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합지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편에 대해 UV/VIS spectrometer Lambda 1050(Perkin Elmer社)를 이용해서 반사 모드, SCE 모드로 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산란 반사율을 측정하였으며 평균한 값을 반사율로 기록하였다.
광학 부재에 대하여 (1)과 동일한 조건으로 500시간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식 2의 반사율 변화량은 조사하기 전과 500시간 조사한 후의 반사율 변화량의 절대값으로 계산되었다.
(3)광 투과율(단위: %):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학 부재에 대해 광투과율 측정 장치(V-650, UV-Spectrophotometer, JASCO社)를 사용해서 파장 380nm 내지 800nm에서 scan하여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1
SAN 20 - 20 - 20 20 20 20 20
PMMA - 20 - - - - - - -
m-SAN - - - 20 - - - - -
4-HBA - - - - - - - 0.6 1
KIS001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FDB-003 - - - - 0.014 0.014 0.014 - -
VD500 - - - - - 0.012 0.012 - -
IN88 - - - - - - 0.06 - -
Tinuvin 292 - - 3 - - - - - -
광 투과율
변화량(%, @최대흡수파장)
0.2 1.0 0.1 0.2 1.0 1.2 1.4 4.5 17.2
반사율 변화량(%, @380nm 내지 780nm)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3 0.1
광 투과율 88.4 91.4 88.1 90.6 87.8 87.2 86.4 90.4 90.7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 변화량과 반사율 변화량 모두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반면에, 수산기 값이 5mgKOH/g을 초과하는 수지를 함유하는 광 투과 조절 층을 구비하는 비교예 1은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 변화량과 반사율 변화량 모두 높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8)

  1.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하부면에 적층된 광 투과 조절 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최대흡수파장이 540nm 내지 630nm인 제1염료, 최대흡수파장이 390nm 내지 470nm인 제2염료, 최대흡수파장이 480nm 내지 530nm인 제3염료, 최대흡수파장이 640nm 내지 760nm인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염료 또는 염료의 혼합물; 및 수산기 값(OH value)이 5 mgKOH/g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는 것인, 광학 부재로서,
    상기 광학 부재는 하기 식 1의 광 투과율 변화량이 5% 이하이고, 하기 식 2의 반사율 변화량이 1% 이하인 것인, 광학 부재:
    [식 1]
    광 투과율의 변화량 =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광 투과 조절 층 중 함유 염료의 개수)
    (상기 식 1에서, 광 투과율 변화량의 절대값의 총 합은 광 투과 조절 층에 함유되는 각각의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하기 식 1-1로 표시되는 값의 총 합이다,
    [식 1-1]
    |T1 - T0|
    (상기 식 1-1에서, T0은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학 부재의 초기 광 투과율(단위:%)
    T1은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광학 부재에 대해 내광 신뢰성 평가 후 광 투과율(단위:%)),
    [식 2]
    반사율의 변화량 = |R1 - R0|
    (상기 식 2에서, R0은 광학 부재의 초기 반사율(단위:%)
    R1은 광학 부재에 대해 내광 신뢰성 평가 후 반사율(단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적층체는 반사율이 5% 이하인 것인, 광학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상부면에 적층된,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하드코팅층 중 1종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열 및/또는 광에 대한 반응성 작용기를 갖지 않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에폭시기, 수산기, 카르복시산기 중 1종 이상을 갖지 않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시아노기(-C≡N)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비치환된 탄소 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비치환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아릴렌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상기 제1염료를 함유하는 것인, 광학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염료는 포르피린계 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염료는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0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광학 부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상기 제2염료, 상기 제3염료, 상기 제4염료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염료는 메로시아닌계 염료이고, 상기 제3염료는 보론디피로메틴계 염료이고, 상기 제4염료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인 것인, 광학 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에서 상기 수산기 값이 5mgKOH/g 이하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2염료는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상기 제3염료는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상기 제4염료는 0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인 것인, 광학 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 조절 층은 광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광학 부재.
  16. 삭제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광학 부재의 하부면에 양자점 층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층 또는 양자점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광학표시장치.

KR1020210039564A 2020-03-26 2021-03-26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ctive KR10256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14,719 US12077669B2 (en) 2020-03-26 2021-03-26 Optical member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22556165A JP2023518756A (ja) 2020-03-26 2021-03-26 光学部材およびそれを含む光学表示装置
PCT/KR2021/003782 WO2021194305A1 (ko) 2020-03-26 2021-03-26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7164 2020-03-26
KR1020200037164 202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900A KR20210120900A (ko) 2021-10-07
KR102568635B1 true KR102568635B1 (ko) 2023-08-21

Family

ID=7811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564A Active KR102568635B1 (ko) 2020-03-26 2021-03-26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8635B1 (ko)
CN (1) CN1153357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1571B (zh) * 2022-02-28 2024-05-17 武汉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复合偏光片和显示装置
KR20240015884A (ko) * 2022-07-28 2024-02-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하드코팅 필름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1336B2 (ja) * 2003-04-09 2010-03-10 株式会社日本触媒 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
KR101362882B1 (ko) * 2010-12-31 201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JP6422867B2 (ja) * 2013-07-10 2018-11-1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塗料組成物
JP6550456B2 (ja) * 2015-03-31 2019-07-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重合体粒子、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2378083B1 (ko) * 2017-05-24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35731A (zh) 2022-11-11
KR20210120900A (ko) 2021-10-07
CN115335731B (zh) 202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307B1 (ko) 표시장치용 저반사율의 휘도 향상 다층 광학필름 및 이를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90109988A (ko) 광학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광학 부재
JP5620366B2 (ja) 多層光学フィルム用の接着層
KR102568635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373629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06023822B (zh) Oled显示装置以及其制造方法
JP2005309401A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55702B2 (ja) 光反射フィルム、光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957830B2 (ja) 色変換フィルム、こ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KR102480553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2077669B2 (en) Optical member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80007870A (ko) 편광판 일체형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2235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1256132B2 (en) Color conversion film comprising a color conversion functional layer including a solid phase change material, and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68102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19873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64759B1 (ko)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20209728A (zh) Oled显示装置用粘合膜
CN120209730A (zh) Oled显示装置用粘合膜
CN120209731A (zh) Oled显示装置用粘合膜
CN120209729A (zh) Oled显示装置用粘合膜
JP2002365402A (ja) 反射防止機能を有する光透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13258A (ja) 近赤外線遮蔽性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