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361B1 -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8361B1 KR102568361B1 KR1020220104026A KR20220104026A KR102568361B1 KR 102568361 B1 KR102568361 B1 KR 102568361B1 KR 1020220104026 A KR1020220104026 A KR 1020220104026A KR 20220104026 A KR20220104026 A KR 20220104026A KR 102568361 B1 KR102568361 B1 KR 102568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interlocking
- outer casing
- anchor
- po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는, 지반에 원통형상의 아웃케이싱(200)을 삽입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1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고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1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한 후에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고, 1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의 밀착 원홈부(121)와 밀접시켜 아웃케이싱(200)을 삽입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2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고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2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한 후에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는 과정을 일정 구간까지 반복을 통해 n열의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연속 설치하면서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기 전 또는 후에 인터로킹 케이싱(100) 내부에 선결합 전단연결재(410)가 부착된 응력재(300)을 설치하고 인터로킹 케이싱(100)의 내부에 콘크리트(20)를 타설하면서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인발하여 생성되는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와; 응력재(300)에 설치되면서 응력재(300)의 내부로 연장되어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에 매립되는 선결합 전단연결재(410)와 응력재(300)에서 설치되면서 외부로 연장되어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에 매립되는 후합성 전단연결재(420)를 포함하는 전단연결재(400)와;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에서 외부로 노출된 후합성 전단연결재(420)에 수직철근(501)과 수평철근(502)이 중첩되도록 배근하고 콘크리트(504)를 타설하여 생성되는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의 시공 과정에 대한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로킹 케이싱(100)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케이싱(200)이 매설될 시 인터로킹 케이싱(100)에 반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재(300)에 대한 예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400)에 대한 단면도.
20 : 콘크리트 100 : 인터로킹 케이싱
110 : 본체부 111 : 개구부
120 : 원호부 121 : 밀착 원홈부
122 : 용접부 200 : 아웃케이싱
300 : 응력재 310 : 철근응력재
311 : 수직주철근 312 :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
313 : 결합보강판 314 : 앵커설치홀
315 : 결속수직철근 320 : 조립강재 응력재
321 : 수직주강판 322 : 띠철근
323 : 결합보강판 324 : 앵커설치홀
325 : 수직주철근 326 : 결속수직철근
400 : 전단연결재 410 : 선결합 전단연결재
411 : 롱너트앵커 412 : 요홈
413 : 단볼트앵커 414,422 : 볼트머리
420 : 후합성 전단연결재 421 : 장볼트앵커
423 : 조임너트 424 : 돌출부
500 :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 502 : 수평철근
503 : 거푸집 504 : 콘크리트
Claims (8)
- 지반에 원통형상의 아웃케이싱(200)을 삽입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1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고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1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한 후에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고, 1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의 밀착 원홈부(121)와 밀접시켜 아웃케이싱(200)을 삽입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2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고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2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한 후에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는 과정을 일정 구간까지 반복을 통해 n열의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연속 설치하면서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기 전 또는 후에 인터로킹 케이싱(100) 내부에 선결합 전단연결재(410)가 부착된 응력재(300)을 설치하고 인터로킹 케이싱(100)의 내부에 콘크리트(20)를 타설하면서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인발하여 생성되는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와;
응력재(300)에 설치되면서 응력재(300)의 내부로 연장되어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에 매립되는 선결합 전단연결재(410)와 응력재(300)에서 설치되면서 외부로 연장되어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에 매립되는 후합성 전단연결재(420)를 포함하는 전단연결재(400)와;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에서 외부로 노출된 후합성 전단연결재(420)에 수직철근(501)과 수평철근(502)이 중첩되도록 배근하고 콘크리트(504)를 타설하여 생성되는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터로킹 케이싱(100)은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에 이웃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아웃케이싱(20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밀착 원홈부(121)가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개구부(111) 외측으로 양측 끝단부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본체부(110)에 마련된 개구부(111)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내측면 양측이 개구부(111)를 형성하는 본체부(110)의 양측 끝단부 단면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이웃하는 아웃 케이싱과 밀착되는 원호부(120)의 외측면에는 용접부(122)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원호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단연결재(400)는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의 시공시에 응력재(300) 내부로 연장되도록 결합보강판(313)에 용접 설치되는 롱너트앵커(411)와, 롱너트앵커(411)의 내측 단부에 나사결합하는 단볼트앵커(413)로 이루어진 선결합 전단연결재(410)와,
결합면 노출 후에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에 매립되도록 롱너트앵커(411)의 전면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결합보강판(313,323)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돌출되는 장볼트앵커(421)와, 장볼트앵커(421)에서 체결된 상태에서 롱너트앵커(411)의 전단을 가압하여 장볼트앵커(421) 자체의 전단내력과 합성 일체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임너트(423)로 이루어진 후합성 전단연결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롱너트앵커(411)의 전단은 내부를 향해 일정깊이 및 두께내에서 요홈(412)이 형성되고, 조임너트(423)의 전단은 상기 요홈(412)의 깊이에 일치하는 돌출부(4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응력재(300)는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방향의 상하연에 집중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311)과, 수직주철근(311)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근되는 다수개의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312)과,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312)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다수개의 앵커설치홀(314)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상의 결합보강판(313)을 포함하는 철근응력재(310)이거나,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방향의 상하연단에 배치되는 수직주강판(321), 다수개의 앵커설치홀(324)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상의 결합보강판(323)과, 이들을 감싸면서 결합하도록 배근 및 용접되는 다수개의 띠철근(322)과, 상기 수직주강판(321)과 결합보강판(323) 사이 중간에 위치하는 수직주철근(325)을 포함하는 조립강재 응력재(320)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 - 청구항 5에 있어서, 결합보강판(313)에는 상하연으로 롱너트앵커(411)에 함께 결합되는 결속수직철근(3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
-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를 생성하는 단계와,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를 생성하는 단계는
지반에 원통형상의 아웃케이싱(200)을 삽입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1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하는 제2 단계와,
결합보강판(313,323)에 선결합 전단연결재(410)가 장착된 응력재(300)를 인터로킹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하는 제3 단계와,
1열 파일 설치공에 삽입된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제4 단계와,
매설된 1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의 밀착 원홈부(121)에 아웃케이싱(200)의 일부분이 밀착 삽입되도록 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2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는 제5 단계와,
2열 파일 설치공에 삽입된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하는 제6 단계와,
결합보강판(313,323)에 선결합 전단연결재(410)가 장착된 응력재(300)를 인터로킹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하는 제7 단계와,
2열 파일 설치공에 삽입된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제8 단계와,
일정 구간까지 제5단계 내지 제8단계를 반복하여 n열의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연속일체식으로 형성하는 제9 단계와,
인터로킹 케이싱(100) 내부에 응력재(30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20)를 타설하면서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제10 단계;를 포함하고,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를 생성하는 단계는,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가 형성되면 결합보강판(313)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치핑하는 제1 단계와;
치핑과정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의 결합보강판(313)에 형성된 롱너트앵커(411)에 후합성 전단연결재(420)의 장볼트앵커(421)를 나사 체결하면서 일정길이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조임너트(423)를 롱너트앵커(411)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2 단계;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의 결합보강판(313)에서 외부로 노출된 장볼트앵커(421)의 일부 및 볼트머리(422)에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을 위한 수직철근(501)과 수평철근(502)을 중첩되도록 배근하고 거푸집(503)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수직철근(501)과 수평철근(502)의 배근과 거푸집(503)이 설치되면 거푸집(503) 내부에 콘크리트(504)를 타설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의 시공방법. -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를 생성하는 단계와,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를 생성하는 단계는
지반에 원통형상의 아웃케이싱(200)을 삽입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1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하는 제2 단계와,
1열 파일 설치공에 삽입된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제3 단계와,
매설된 1열 인터로킹 케이싱(100)의 밀착 원홈부(121)에 아웃케이싱(200)의 일부분이 밀착 삽입되도록 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2열 파일 설치공을 형성하는 제4 단계와,
2열 파일 설치공에 삽입된 아웃케이싱(200) 내부에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삽입하는 제5 단계와,
2열 파일 설치공에 삽입된 아웃케이싱(20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제6 단계와,
일정 구간까지 제4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하여 n열의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연속일체식으로 형성하는 제7 단계와,
결합보강판(313,323)에 선결합 전단연결재(410)가 장착된 응력재(300)를 인터로킹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하는 제8 단계와,
인터로킹 케이싱(100) 내부에 응력재(30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20)를 타설하면서 인터로킹 케이싱(100)을 인발하여 제거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고,
후타 철근 콘크리트 벽체부(500)를 생성하는 단계는,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가 형성되면 결합보강판(313)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치핑하는 제1 단계와;
치핑과정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의 결합보강판(313)에 형성된 롱너트앵커(411)에 후합성 전단연결재(420)의 장볼트앵커(421)를 나사 체결하면서 일정길이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조임너트(423)를 롱너트앵커(411)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2 단계;
연속주열식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벽체부(1)의 결합보강판(313)에서 외부로 노출된 장볼트앵커(421)의 일부 및 볼트머리(422)에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을 위한 수직철근(501)과 수평철근(502)을 중첩되도록 배근하고 거푸집(503)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수직철근(501)과 수평철근(502)의 배근과 거푸집(503)이 설치되면 거푸집(503) 내부에 콘크리트(504)를 타설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4026A KR102568361B1 (ko) | 2022-08-19 | 2022-08-19 |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4026A KR102568361B1 (ko) | 2022-08-19 | 2022-08-19 |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8361B1 true KR102568361B1 (ko) | 2023-09-04 |
Family
ID=8801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4026A Active KR102568361B1 (ko) | 2022-08-19 | 2022-08-19 |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836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495B1 (ko) * | 2019-03-18 | 2020-01-15 | (주)태극기초 | 방수겸용 지하합성구조체 |
KR102299540B1 (ko) * | 2021-06-30 | 2021-09-07 | 한미기초기술 주식회사 | 단면 확장형 주열식 차수벽 시공방법 |
KR102391702B1 (ko) * | 2021-08-19 | 2022-04-28 | 뉴콘텍이앤씨(주) |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
-
2022
- 2022-08-19 KR KR1020220104026A patent/KR10256836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495B1 (ko) * | 2019-03-18 | 2020-01-15 | (주)태극기초 | 방수겸용 지하합성구조체 |
KR102299540B1 (ko) * | 2021-06-30 | 2021-09-07 | 한미기초기술 주식회사 | 단면 확장형 주열식 차수벽 시공방법 |
KR102391702B1 (ko) * | 2021-08-19 | 2022-04-28 | 뉴콘텍이앤씨(주) |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044B1 (ko) |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 |
KR101973565B1 (ko) |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 |
KR100720946B1 (ko) | 콘크리트 말뚝과 강관 말뚝의 접합구조를 갖는 복합 말뚝 | |
JP4599384B2 (ja) |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KR102081574B1 (ko) | 흙막이 지보공의 띠장 조립체 | |
KR101780370B1 (ko) | 소켓슈와 앵커부재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합성구조체 | |
JP4599423B2 (ja) |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5688508B2 (ja) | 盛土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 |
JP2008231799A (ja) | 免震構造 | |
JP5031463B2 (ja) |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 |
JP3125288B2 (ja) | トンネルインバートの施工方法とトンネルインバート用プレキャスト板 | |
JP2018009388A (ja) |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 |
KR100657655B1 (ko) | 지반안정공법용 조립식 파일 | |
KR102568361B1 (ko) |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 |
JP4958044B2 (ja) | シールドトンネルアプローチ部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 |
JP4430496B2 (ja) | 杭頭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6866980B2 (ja) |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 |
KR20150105613A (ko) | Phc 파일 길이 조정용 스마트 선단캡 및 이를 이용한 파일길이 조정방법 | |
JP3826348B2 (ja) | 山留め芯材と地下外壁との合成壁の施工方法 | |
JP4954226B2 (ja) |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 | |
KR100400853B1 (ko) | 제거식 소일네일링 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네일 조립체 | |
KR20230065592A (ko) | 자원 회수가 용이한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90042395A (ko) | 옹벽과 이의 시공방법 | |
JP2007051485A (ja) | 構造物基礎と矢板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 |
JP4452066B2 (ja) | 杭頭部の接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