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4377B1 -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377B1
KR102564377B1 KR1020210022853A KR20210022853A KR102564377B1 KR 102564377 B1 KR102564377 B1 KR 102564377B1 KR 1020210022853 A KR1020210022853 A KR 1020210022853A KR 20210022853 A KR20210022853 A KR 20210022853A KR 102564377 B1 KR102564377 B1 KR 10256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applicator
patch
pressing
microneedle pa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6388A (en
Inventor
김자연
이성경
한궁현
윤찬식
Original Assignee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0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88A/en
Priority to KR102023009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29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7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69Devices for implanting pellets, e.g. markers or solid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3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having a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 A61M2205/10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rot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의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는 제1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에 위치하는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A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t least one opening; It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includes a microneedle body in which at least one microneedle is formed, wherein the microneedle body is configured to administer a drug located in the microneedle to the user's skin when an external force in a first direction is applied. move in one direction

Description

약물 주입을 위한 어플리케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실시 예는 약물 주입을 위한 어플리케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종래의 주사기를 이용한 약물 주입은 전문가의 주사가 필요하고, 통증을 수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 니들 타입의 약물 주입 시스템이 개발되었다.Drug injection using a conventional syringe has problems such as requiring expert injection and accompanying pain. To solve this problem, a microneedle type drug injec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마이크로 니들은 피부 장벽층인 각질층을 통과하여 피부내로 유효 성분을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주사기의 효능과 패치의 편의성을 결합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최근에 많은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다.
종래의 마이크로 니들에 대한 종래 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6048호 (2017.06.12.) 및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5-525149호 (2005.08.25.)에 개시되어 있다.
The microneedle is a system that delivers active ingredients into the skin through the stratum corneum, which is the skin barrier layer. Many technological advances have been made in recent years with new systems that combine the efficacy of conventional syringes with the convenience of patches.
Examples of the prior art for conventional microneedles are disclosed in,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6048 (2017.06.12.) and Japanese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05-525149 (2005.08.25.) .

다만, 패치타입의 마이크로 니들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붙여서 약물을 주입해야 되므로, 여전히 사용자의 적극적인 부착행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atch-type microneedles, since the user has to directly attach the microneedles to the skin and inject the drug,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the user's active attachment action is required.

실시 예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통해 자동적으로 약물 주입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의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applicator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injecting drugs through a microneedle patch.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다수 회 사용하고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microneedle patch that can be us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and used multiple times in combination with a wearable device.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는 제1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에 위치하는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A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t least one opening; It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includes a microneedle body in which at least one microneedle is formed, wherein the microneedle body is configured to administer a drug located in the microneedle to the user's skin when an external force in a first direction is applied. move in one direction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하여 약물을 투여하고, 다시 원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다수회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형태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ove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dministers the drug, moves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can be used multiple times by rotation, and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wearable device, which is convenient for users. It has the effect of injecting the drug in the form.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상측 입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하측 입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메커니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메커니즘을 일측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메커니즘을 타측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초기 자세(posture)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준비 자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가압 자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에 이용되는 Ÿ‡지(wedge) 형상의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가 수행하는 어플리케이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첫번째 약물 주입 동작을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두번째 약물 주입 동작을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어플리케이터의 장착상태에 따라 터치센서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shows an overall appearance of a dru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half exploded view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a dru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upper stereoscopic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bottom stereoscopic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bottom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tch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8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9 shows a cartrid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0 is a half exploded view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first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shows a second drive mechanism from one s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4 shows a second drive mechanism from the othe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 illustrates an initial posture of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6 shows a ready posture of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 illustrates a pressing posture of a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18 shows a half exploded view of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9 illustrates a coupled state of a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0 shows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1 illustrates a Ÿ‡ wedge-shaped microneedle patch used in a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2 shows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cator performed by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4 illustrates a first drug injection operation of the applicator as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5 illustrates a second drug injection operation of the applicator as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6 illustrates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7 is a graph showing electrical signals measured by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of the applicato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제1 구동 메커니즘;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과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의 자세(posture)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제2 구동 메커니즘; 및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메커니즘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은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은 제2 구동 모터 및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 상기 가압부가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제1 위치 상에서 제2 위치 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부가 제2 위치 상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되,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제1 변위만큼 병진운동 할 수 있다.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echanism that operates to press a microneedle patch; a second drive mechanism operably connected with the first drive mechanism and operative to change a posture of the first drive mechanism; and a controller that transmits drive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mechanisms. wherein the first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and a pressing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driving motor to pressurize at least one area of the microneedle patch, and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second driving mechanism. A motor and a main gear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chanism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driving motor to rotate, wherein the controller: moves the pressing unit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is operated to operate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and the first driving mechanism is operated so that the pressing unit presses the microneedle patch in a second position, and the pressing unit moves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t may translate downwar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by a first displacement.

또한, 상기 가압부가 제2 위치 상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may be operated to return the pressing por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한 상기 가압부가 제3 위치 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3 위치 상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to move the pressing part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to a third position, and to press the microneedle patch on the third position. drive mechanism can be operated.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second drive mechanism to return the pressing portio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third position.

또한, 상기 가압부가 제1 위치 상에서 제2 위치 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가 제1 방향을 따라 제2 변위만큼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operates to move the pressing par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main gear may rotate by the second displacement along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there is.

또한, 상기 가압부가 제2 위치 상에서 제1 위치 상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변위만큼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operates such that the pressing portion return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main gear moves along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t can rotate by 2 displacements.

또한, 상기 가압부의 운동 방향과 상기 메인 기어의 회전 평면의 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Also, a direction of motion of the pressing unit and a direction of a rotational plane of the main gear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물체와의 접촉 상태를 반영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센서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 메커니즘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 touch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reflecting a contact state with an object;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when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 driv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mechanism.

또한,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어 및 상기 가압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lower plate for protecting the microneedle patch, the lower plate is located under the microneedle patch when the microneedle patch is mounted on the applicator, and the main gear and It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pressing part.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가압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개구부와 상기 가압부의 위치는 대응되며,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면, 상기 가압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압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includes a pressurizing opening, and positions of the pressurizing opening and the pressing por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when the first driving mechanism oper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ed microneedle patch protrudes through the pressing opening. can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위치하는 패치 전달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정의되는 카트리지 수용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및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와 접촉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을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인가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이 인가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직접 피부에 전달될 수 있다.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atch delivery unit for positioning a microneedle patch in a pre-specified area; A housing including a cartridge accommodating portion defined as a space accommodating the cartridge and at least one opening; and a pressing portion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microneedle patch,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has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moving between positions, and when the pressing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pressing part contacts the microneedle patch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to apply the predetermined pressure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microneedle patch, The microneedle patch to which the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may be directly delivered to the skin through the opening.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유저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스트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rip for fixing the applicator to the user's body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패치 전달부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주사 가능할 수 있다.The patch delivery unit may include a cartridge, and the cartrid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needles, and 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may be inj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또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치 전달부 또는 상기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patch delivery unit and the pressing uni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motor.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용량의 약물이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용량이 저장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유저의 피부에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 상기 패치전달부 또는 상기 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needle patch stores a drug of a preset dose in at least a partial region, and the applicato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microneedle patch in which the preset dose is stored to the user. At least one of the driving unit, the patch delivery unit, and the press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injected into the skin.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ressing unit to mov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o apply the preset pressure to the microneedle patch at the second position.

또한,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변위만큼 가압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second positi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microneedle patch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또한, 제1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가압하지 않고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Also, in the first position, the pressing unit may not press the microneedle patch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may not be exposed.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웨어러블 워치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or may be provided as a wearable watch.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는 제1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에 위치하는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A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It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includes a microneedle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needles are formed, and the microneedle body has a first body for administering a drug located in the microneedle to the user's ski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first direction. move in the direction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제1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연결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한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icroneedle body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microneedle body and the main body, and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is applied to the microneedle body located at a first position, the microneedle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nnection portion. After moving to the second position, the microneedle body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may mov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한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는 다시 상기 제1 위치까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icroneedle body that ha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to the first position again.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dru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1 shows an overall appearance of a dru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half exploded view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dru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에게 약물 공급이 가능한 약물제공장치(1)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1)는 유저의 사용에 따라 약물을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ug providing device 1 capable of supplying drugs to a user may be provided. That is, the drug provi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liver the drug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use.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는 유저의 신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약물제공장치(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제공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1)는 밴드, 스트립 등 유저의 신체에 부착하는 용도의 모든 수단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는 유저의 손목, 발목, 팔, 다리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유저에게 약물을 공급하기 적합한 신체 부위라면 어디든 장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To this end, the dru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user's body. That is, the drug providing device 1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In order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the drug provid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ll means for attaching to the user's body, such as bands and strips. He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dru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user's wrist, ankle, arm, leg, etc., and may also be mounted anywhere on the body suitable for supplying drugs to the use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제공장치(1)는 어플리케이터(200) 및 카트리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어플리케이터(200)와 카트리지(1000)를 포함하여 약물제공장치(1)라고 표현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고, 어플리케이터(200)와 약물제공장치(1)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drug provi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applicator 200 and a cartridge 100.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rug providing device 1 including the applicator 200 and the cartridge 1000 is expressed,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applicator 200 and the drug providing device 1 are used interchangeabl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used.

어플리케이터(200)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어플리케이터(200)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applicator 200 may accommodate the microneedle patch 100 . That is,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mounted in the applicator 200 .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가 어플리케이터(200)내에 장착되면, 어플리케이터(200)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에 저장된 약물을 유저의 신체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microneedle patch 100 is mounted in the applicator 200, the applicator 200 may deliver the drug stored in the microneedle patch 100 to the user's body.

이하에서는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대해 우선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fir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상측 입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하측 입체도이며,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저면도이다.3 is an upper stereoscopic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lower stereoscopic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bottom view of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본체(110), 개구부(120), 축 연결부(130), 보조영역(140) 및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3 to 6, the microneedle patch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n opening 120, a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an auxiliary region 140, and a microneedle structure 150. can include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현되어 있는 구동 구조와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가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구동 구조에 의해 가압되어 일부분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The microneedle patch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inserted into a watch-shaped wearable device. When the microneedle patch 100 is inserted into a wearable device,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operated by combining with a driving structure implemented in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rotated by a wearable device, and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moved in a first direction by being pressed by a driving structure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

또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패치(100)의 구동 구조가 회전하며, 가압하여 상기 마이크로 패치(100)의 일부분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fixed to a wearable device, and a driving structure of the micropatch 100 may be rotated and pressed to move a portion of the micropatch 100 in a first direction.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교체 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가 교체 가능한 구조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다른 하드웨어 구조와 결합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탑재되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에 부착된 약물의 주입이 완료되거나, 다른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교체될 수 있다.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have a replaceable structure. When the microneedle patch 100 has a replaceable structure,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combined with other hardware structures to form a cartridge assembly. In this case,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mounted on the cartridge assembly and inserted into the wearable device. The cartridge assembly may be replaced according to completion of injection of the drug attached to the microneedle patch 100 or other needs.

상기 본체(110)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0)는 얇은 디스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serve as a framework for the microneedle patch 100 . The body 110 may have a plate shape.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That is,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thin disk shape.

상기 본체(110)에는 다수의 개구부(120) 및 축 연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개구부(120)는 상기 본체(110)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개구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개구부(120)는 인접하는 개구부(120)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개구부(1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openings 120 and shaft connection parts 130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 The plurality of openings 120 may be formed penetrating the main body 110 . The plurality of openings 120 may be arranged in a fan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 The plurality of openings 120 may b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from adjacent openings 120 .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plurality of openings 120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120) 중 상기 본체(110)의 중심과 인접한 영역의 면적은 상기 본체의 중심(110)과 이격된 영역의 면적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과의 거리가 길어 질수록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120 may have a different area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 For example, an area of an area of the opening 120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may be smaller than an area of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110 of the main body. The opening 120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increases.

상기 축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10)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 연결부(130)의 중심은 본체(110)의 중심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축 연결부(130)의 외경은 상기 본체(11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축 연결부(130)의 외경과 상기 본체(110)의 외경 사이에 상기 다수의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penetrating the body 110 .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 That is, the center of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 An outer diameter of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10 . The plurality of openings 120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10 .

상기 축 연결부(130)에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고정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외부구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구조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부구조일 수도 있고,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일부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외부구조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 구조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정될 수도 있다.An external structure for fixing or rotating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 The external structure may be a partial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or a partial structure of the cartridge assembly. The external structure may rotate the microneedle patch 100 by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Alternatively,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fixed to a wearable device by a structur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

상기 본체(110)에는 보조 영역(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영역(140)은 상기 개구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영역(140)은 상기 본체(110) 중 개구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개구부(120)는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는데, 하나의 개구부(12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에 개구부(120)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개구부(120)를 형성하지 않는 영역을 보조 영역(14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영역(140)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약물 주입 상태가 아닌 대기 상태일 때, 외부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차단하는 도어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영역(140)은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구조를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영역(140)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구조가 외부의 수분 또는 이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An auxiliary area 140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 The auxiliary area 140 may be an area in which the opening 120 is not formed. The auxiliary area 140 may be a non-opened area of the main body 110 . The plurality of openings 120 ar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The opening 120 may not be formed in an area where one opening 120 can be located, and the area where the opening 120 is not formed may be assisted. Area 140 can be defined. The auxiliary area 140 may function as a door to block the cartridge assembly from the outside when the wearable device is in a standby state rather than a drug injection state. The auxiliary area 140 may serve to block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from the outside in the standby st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rtridge assembly and the wearable device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by the auxiliary area 140 .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개구부(12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후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may be located in the opening 120 .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may mov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rnal force,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may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후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제1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의 초기 위치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first direction while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n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It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first position may be an initial position of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탄성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ince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has an elastic structure, it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move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상기 외력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동구조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로 가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력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작동구조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로 가해질 수도 있다. 상기 외력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동력원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로 전달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by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Alternatively, the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by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cartridge assembly. The external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by a power source located inside the wearable device.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및 연결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may include a microneedle body 151 and a connection part 155 .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는 양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icroneedle body 15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both sides.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는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153)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153)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0)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microneedle body 1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needles 153 . 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15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icroneedle body 151 . 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153 may protrude from the microneedle body 150 in a first direction.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153)은 사용자의 피부에 약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153)은 코팅타입, 중공타입, 용해타입 및 팽윤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153 may serve to deliver drugs to the user's skin. 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153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type of a coating type, a hollow type, a dissolving type, and a swelling type.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이 코팅 타입인 경우 약물이 마이크로 니들(153)의 외부에 도포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이 주사되는 경우 마이크로 니들(153)에 도포된 약물이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microneedle 153 is a coating type, the drug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needle 153, and when the microneedle is injected into the user's skin, the drug applied to the microneedle 153 can be delivered to the user's skin. there is.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이 중공타입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이 주사되는 경우 중공에 주입되어 있던 약물이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microneedle 153 is hollow, a hollow is formed in the microneedle 153, and when the microneedle is injected into the user's skin, the drug injected into the hollow can be delivered to the user's skin.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이 용해타입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 자체가 약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이 주사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 자체가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이후 사용자의 피부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용해되어 약물이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microneedle 153 is a dissolving type, the microneedle 153 itself is formed of a drug, and when the microneedle is injected into the user's skin, the microneedle 153 itself is delivered to the user, and then the user's skin The microneedles are dissolved in the drug can be delivered to the user's skin.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이 팽윤타입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153)의 외부에 약물을 포함하는 팽윤성 물질이 코팅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이 주사되는 경우 코팅된 물질이 팽윤되어 약물이 사용자의 피부에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microneedle 153 is a swelling type, a swelling material containing a drug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microneedle 153, and when the microneedle is injected into the user's skin, the coated material is swollen so that the drug is applied to the user's skin. It can be structurally coupled to and delivered to the user.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타면에는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타면에 제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 바디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153)이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icroneedle body 151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icroneedle body 151 in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15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icroneedle body 151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skin to apply the drug to the user's skin. can deliver.

상기 연결부(155)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와 상기 본체(1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5)는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5)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의 탄성 변형은 일시적 변형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55 may connect the microneedle body 151 and the main body 110 . The connecting portion 155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elasticity. The connecting portion 155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Elastic deformation at this time may be temporary deformation.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에 제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연결부(155)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가 상기 본체(110)와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는 상기 연결부(155)의 탄성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icroneedle body 151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155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microneedle body 151 maintains a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110. (151)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microneedle body 151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on part 155 .

상기 연결부(155)의 탄성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에 포함된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가 회전하며 1회씩 피부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다수회의 약물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on part 155, the plurality of microneedle bodies 151 included in the microneedle patch 100 rotate and deliver the drug to the skin one at a time. As a result, the microneedle patch 100 has an effect of performing drug delivery multiple times.

상기 연결부(155)는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55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59 .

상기 제1 연결부(157)는 상기 축 연결부(130)와 인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59)는 상기 축 연결부(130)외 이격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57)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159)는 상기 본체(110)의 외경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may be loc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shaft connection part 130 .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located in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shaft connection part 130 .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may be loc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loc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10 .

상기 제1 연결부(157)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일측과 상기 본체(110)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159)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타측과 상기 본체(110)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may connect one side of the microneedle body 151 and the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connect the other side of the microneedle body 151 and the body 110. ) can be connected.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곡선형상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곡선형상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57)와 제2 연결부(159)는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에 제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제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110)의 상면과 평행하는 상태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9 may have elasticity by being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designed to have structures having different elasticity.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elasticity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icroneedle body 151 in the first direction. there is.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have elasticity to move to the second position in a stat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designed as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formed in a spring structure.

상기 제1 연결부(157)와 제2 연결부(159)는 각각 폭과 피치를 가지는 곡선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57)는 상기 제2 연결부(159)와 서로 다른 폭과 피치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each have a curved structure having a width and a pitch.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width and pitch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

상기 제1 연결부(157)는 제1 폭(w1)과 제1 피치(p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폭(w1)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중앙과 상기 본체(11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제1 연결부(157) 영역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p1)는 제1 연결부(157) 내에서 인접하는 영역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피치(p1)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중앙과 상기 본체(11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157) 내에서 인접하는 영역 사이의 최소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may have a first width w1 and a first pitch p1. The first width w1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rea that is most farthest from the base of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microneedle body 151 and the center of the body 110. It can be. The first pitch p1 may be defined as an interval between adjacent regions within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 That is, the first pitch p1 is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regions within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based on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microneedle body 151 and the center of the body 110. It can be defined as a minimum distance.

상기 제2 연결부(159)는 제2 폭(w2)과 제2 피치(p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폭(w2)과 제2 피치(p2)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57)의 제1 폭(w1)과 제1 피치(w2)와 대응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9 may have a second width w2 and a second pitch p2. The second width w2 and the second pitch p2 may also be defi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width w1 and the first pitch w2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

상기 제1 폭(w1)은 상기 제2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p1)는 상기 제2 피치(p2)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The first width w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width w2. The first pitch p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itch p2.

또는,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곡선 구간 및 직선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의 폭은 일측 곡선구간의 변곡점들의 연결한 직선과 타측 곡선구간의 변곡점들을 연결한 직선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의 피치는 상기 직선구간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have a curved section and a straight section.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57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9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betwee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s of one curved section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s of the other curved section. In addition, the pitch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sections.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와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의 두께는 상기 제1 연결부(157) 및 제2 연결부(159)의 두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The microneedle body 151,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microneedle body 151,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thickness of the microneedle body 151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5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9 .

상기 본체(110)와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 및 마이크로 니들(15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and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body 110,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and the microneedle 153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본체(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보호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60)은 외부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protective film 16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The protective layer 160 may serve to protect the microneedles 151 from the outside.

상기 보호막(160)은 상부 보호막(161)과 하부 보호막(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막(161)은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보호막(163)은 상기 본체(1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assivation layer 160 may include an upper passivation layer 161 and a lower passivation layer 163 . The upper protective layer 16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lower protective layer 163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상기 보호막(160)은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6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호막(16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1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etal. The protective layer 160 may be formed of aluminum.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layer 160 may be formed of plastic.

상기 보호막(160)은 외부구조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에 의해 손상되어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이 사용자의 피부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160 is damaged by the microneedle 151 when the microneedle structure 150 is pressed by an external structure, so that the microneedle 151 can deliver the drug to the user's skin.

또는, 상기 보호막(160)은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 중 특정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로부터의 약물 주입이 예정된 경우 외부구조에 의한 가압 직전에 특정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와 대응되는 영역의 보호막(160)을 미리 손상 또는 제거시켜,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에 의한 약물주입이 보다 원할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부 구조를 통해 상기 보호막(160)의 일부를 손상, 이동 또는 제거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rotective film 160 may be applied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icroneedle structure 150 immediately before being pressed by an external structure when drug injection from a specific microneedle structure 150 among a plurality of microneedle structures 150 is scheduled. The protective film 160 may be damaged or removed in advance so that the drug injection by the microneedle 151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160 may be damaged, moved, or removed through a structure of the cartridge assembly or a wearable device.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tch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치 어셈블리는 별도의 카트리지 하우징 없이 마이크로 니들 패치가 패치 캐리어에 장착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치 어셈블리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기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microneedle patch is mounted on a patch carrier without a separate cartridge housing.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치 어셈블리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및 패치 캐리어(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p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microneedle patch 100 and a patch carrier 200.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상기 패치 캐리어(2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상기 패치 캐리어(20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mounted on the patch carrier 200 .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patch carrier 200 .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본체(110), 다수의 개구부(120), 축 연결부(130), 보조 영역(140) 및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 , a plurality of openings 120 , shaft connection parts 130 , an auxiliary region 140 and a microneedle structure 150 .

상기 패치 캐리어(200)는 캐리어 본체(210), 결합구조(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tch carrier 200 may include a carrier body 210 and a coupling structure 220 .

상기 캐리어 본체(210)는 상기 패치 캐리어(200)의 틀을 구성한다. 상기 캐리어 본체(210)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The carrier body 210 constitutes a frame of the patch carrier 200 . A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carrier body 210, and the microneedle patch 100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상기 캐리어 본체(210)의 일부 영역에는 결합구조(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220)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220)는 상기 패치 캐리어(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패치 캐리어(200)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coupling structure 220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carrier body 210 . The coupling structure 22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outward. The coupling structure 220 may serve to fix the patch carrier 200 to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patch carrier 20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상기 패치 어셈블리에는 관통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홈(230)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 구조 중 동력전달 구조가 상기 패치 어셈블리 외부에서 상기 축 연결부(130)로 이동하는 경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홈(230)은 상기 패치 어셈블리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삽입되는 경우 장착완료시 상기 축 연결부(130)에 위치해야 되는 상기 동력전달구조가 구조적인 방해 없이 상기 축 연결부(130)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일 수 있다.A through hole 230 may be formed in the patch assembly. The through hole 230 may serve as a path through which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among internal structures of the wearable device moves from the outside of the patch assembly to the shaft connection part 130 . That is, when the patch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wearable device, the through hole 230 allows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to be located at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to move to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when the mounting is completed without structural interference It may be a moving route for

상기 관통홈(230)은 패치 관통홈(170) 및 캐리어 관통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치 관통홈(170)은 상기 축 연결부(130)로부터 상기 본체(110)의 외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치 관통홈(170)은 상기 보조 영역(140)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30 may include a patch through hole 170 and a carrier through hole 240 . The patch through hole 17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130 to an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10 . The patch through hole 170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area 140 .

상기 캐리어 관통홈(240)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캐리어 본체(210)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치 관통홈(170과 캐리어 관통홈(240)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carrier through hole 2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ating portion and the carrier body 210 . The patch through hole 170 and the carrier through hole 240 may be formed in corresponding regions.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치 어셈블리는 별도의 카트리지 하우징 없이 패치 캐리어에 마이크로 니들 패치가 장착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간이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패치 어셈블리는 관통홈(230)을 가짐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력 전달 구조가 구조적인 방해없이 축 연결부(130)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이동 메커니즘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microneedle patch is mounted on a patch carrier without a separate cartridge housing,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patch assembly has the through hole 230,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positioned as the shaft connection part 130 without structural interference, so that a separate moving mechanism can be omitted.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8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제3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연결부, 마이크로 니들 바디의 형상 및 이와 대응되는 본체의 형상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different connection part, a microneedle body shape, and a corresponding body shape, bu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Therefore, in describing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common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300)는 본체(310), 축 연결부(330) 및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microneedle patch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310, a shaft connector 330, and a microneedle structure 350.

상기 본체(310)는 제1 본체(311) 및 제2 본체(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311) 및 제2 본체(313)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311)와 제2 본체(313)는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원형의 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311)와 제2 본체(313)는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311)는 상기 제2 본체(313)에 비해 작은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313)는 상기 제1 본체(311)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311) 및 제2 본체(313)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311)와 상기 제2 본체(313)는 서로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310 may include a first body 311 and a second body 313 .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may have a circular band shape.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may have a circular band shape having the same center.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may have different radii. The first body 311 may have a smaller radius than the second body 313 . The second body 313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first body 311 .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n opening.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350)는 상기 제1 본체(311)와 상기 제2 본체(313) 사이의 개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350)가 위치할 수 있다.The microneedle structure 350 may be located in an opening between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 At least one microneedle structure 350 may be positioned in the opening.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350)는 상기 제1 본체(311)와 상기 제2 본체(313)에 연결될 수 있다.The microneedle structure 3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

상기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350)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 연결부(355) 및 환형 연결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needle structure 350 may include a microneedle body 351 , a connecting portion 355 and an annular connecting portion 356 .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에는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될 수 있다.Microneedles may be formed in the microneedle body 351 .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가 부채꼴 형상인 것을 도시하며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icroneedle body 351 may be formed in a fan shape. In the drawing, the microneedle body 35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having a fan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의 일단과 타단의 폭은 다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의 일단은 상기 제1 본체(311)와 인접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의 타단은 상기 제2 본체(313)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의 일단의 폭은 상기 타단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Width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icroneedle body 351 may be different. One end of the microneedle body 351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body 311 , and the other end of the microneedle body 351 may be adjacent to the second body 313 . A width of one end of the microneedle body 351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other end.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는 상기 연결부(355)에 의해 상기 본체(3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55)는 원의 중심방향을 향해 배열될 수 있다.The microneedle body 35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55 . The connection part 355 may be arranged toward the center of the circle.

상기 연결부(355)는 제1 연결부(357) 및 제2 연결부(35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355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357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59 .

상기 제1 연결부(357)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와 상기 제1 본체(3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357)는 상기 제1 본체(311)와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357)는 제1 폭(W1)과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57 may be located between the microneedle body 351 and the first body 311 . The first connection part 357 may connect the first body 311 and the microneedle body 351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57 may have a first width W1 and a first thickness T1.

상기 제2 연결부(359)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와 상기 제2 본체(3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359)는 상기 제2 본체(313)와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359)는 제2 폭(W2)과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359 may be located between the microneedle body 351 and the second body 313 .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9 may connect the second body 313 and the microneedle body 351 .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59 may have a second width W2 and a second thickness T2.

상기 제1 폭(W1)은 제2 폭(W2)과 다를 수 있고, 상기 제1 두께(T1)는 상기 제2 두께(T2)와 다를 수 있다.The first width W1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width W2 , and the first thickness T1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thickness T2 .

상기 환형 연결부(356)는 인접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환형 연결부(356)는 인접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의 측면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환형 연결부(356)는 상기 본체(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환형 연결부(356)는 원형의 띠형상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 연결부(356)는 상기 제1 본체(311)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annular connection part 356 may connect adjacent microneedle bodies 351 to each other. The annular connection part 356 may connect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microneedle body 351 . The annular connection part 356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main body 310 . A plurality of annular connection portions 356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lar band shape. The annular connection part 356 may be disposed along a circle having the same center as the first body 311 .

상기 연결부(355)와 환형 연결부(356)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와 별도로 형성된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연결부(355) 및 환형 연결부(356)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55 and the annular connection part 356 may be physically connected while being formed separately from the microneedle body 351, and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part 355 and the annular connection part 356 may be connected to the microneedle body ( 351) and integrally formed.

상기 연결부(355) 및 환형 연결부(356)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355)는 상기 본체(310)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환형 연결부(356)는 상기 본체(310)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상기 환형 연결부(356)가 위치하는 원의 원주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355 and the annular connecting portion 356 may have elasticity. The connection part 355 may have elasticity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310 . The annular connecting portion 356 has the same center as the main body 310 and may have elasticity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ircle where the annular connecting portion 356 is located.

상기 연결부(355) 및 환형 연결부(356)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310)의 상면과 평행하는 상태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니들 바디(351)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이후 다시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part 355 and the annular connection part 356 have elasticit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icroneedle body 351 in the first direction, the microneedle body 351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in a state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body 310. can make it move. In addition, after the microneedle body 351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it may be moved to the first position again.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9 shows a cartrid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카트리지(10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카트리지(1000)에 장착되거나 수용된 채로, 어플리케이터(200, 도 2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provided through a cartridge 1000. That is,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mounted on the applicator 200 (see FIG. 2) while being mounted or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10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1000)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와 함께 제조되어 일회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1000)는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의 일부 구성으로 형성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rtridge 1000 may be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microneedle patch 100 and used once.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artridge 1000 may be formed as a part of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so that it can be reused.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트리지(1000)가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되는 경우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만을 위한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rtridge 1000 will be described mainly in the case where the cartridge 1000 is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but it will be explained in advance tha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1000)는 바디부(1002), 평판부(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02)는 후술할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의 하우징(201, 도 10 참조)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A cartridg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02 and a plate portion 1004 . Here, the body portion 1002 may b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201 (see FIG. 10) of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평판부(1004)는 후술할 바와 같이 가압부 또는 랙기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평판 개구부(1006)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late portion 1004 may have a plate opening 1006 through which a pressurizing portion or a rack gear may pass.

또한, 평판부(1004)는 바디부(1002)에 장착될 수 있다. 평판부(1004)는 바디부(100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평판부(1004)가 상기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에 삽입되면, 상기 평판부(1002)에 형성된 고정부(1005)는, 후술할 바와 같이 구동 메커니즘(210, 도 10 참조)에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005)가 구동 메커니즘(210, 도 10 참조)에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면, 구동 메커니즘(210, 도 10 참조)의 구동에 따라 평판부(1002)는 회전할 수 있다.Also, the flat plate part 1004 may be mounted on the body part 1002 . The flat plate part 1004 may be inserted into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while being mounted on the body part 1002. When the flat plate part 1004 is inserted into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the fixing part 1005 formed on the flat plate part 1002 can actuate the drive mechanism 210 (see FIG. 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mbined to When the fixing part 1005 is operably coupled to the driving mechanism 210 (see FIG. 10), the flat plate part 1002 may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echanism 210 (see FIG. 10).

또한, 카트리지(1000)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를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니들(153, 도 3 내지 도 7 참조)은 각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에 배치되고, 각각의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포함된 마이크로 니들은 미리 설정된 용량의 약물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유저에게 주사 시 마이크로 니들 패치가 어플리케이터의 내부에 미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서술하자면, 카트리지(1000)는 패치를 적합한 위치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며, 카트리지(1000)를 패치 전달부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artridge 1000 performs a function of disposing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in a pre-specified area. In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microneedles 153 (see FIGS. 3 to 7) are generally disposed on each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and microneedle bodies included in each microneedle body Since the needle stores a drug of a preset dose, it is important that the microneedle patch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applicator when injected into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or. To describe this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cartridge 1000 may be described as performing a function of delivering a patch to an appropriate location, and the cartridge 1000 may be referred to as a patch delivery unit.

카트리지(1000)가 어플리케이터(200) 내부에 미리 지정된 위치에 마이크로니들 패치(100)를 배치하면, 어플리케이터(200)는 구동 메커니즘(210)을 통해 미리 정해진 용량을 유저에게 주사할 수 있다.When the cartridge 1000 places the microneedle patch 100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side the applicator 200, the applicator 200 may inject a predetermined dose to the user through the driving mechanism 210.

카트리지(1000)와 어플리케이터(200)간의 상호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rtridge 1000 and the applicato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또한, 도면에 도시된 상부 보호막(100a) 및 하부 보호막(100b)는 전술한 상부 보호막(161, 도 5 참조) 및 하부 보호막(162, 도 5참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assivation layer 100a and the lower passivation layer 100b shown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upper passivation layer 161 (see FIG. 5) and lower passivation layer 162 (see FIG. 5),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상에서는, 여러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적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above, a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d a cartridge accommodating the microneedle patch have been reviewed, and hereinafter, an applicator for applying the microneedle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reviewed.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10 is a half exploded view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는 하우징(201), 구동 메커니즘(또는 구동부)(210), PCB(203) 및 카트리지(2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n applic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201, a driving mechanism (or driving unit) 210, a PCB 203, and a cartridge 205.

먼저 하우징(201)은 어플리케이터(200)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터(200)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01)의 형상은 설계의 변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First, the housing 201 serves to protect parts inside the applicator 200, and for this purpose,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pplicator 200. The shape of the housing 201 may vary according to design changes.

하우징(2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0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06)는 카트리지(20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06)는 하우징(201)에 개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201) 내부에는 카트리지(205)의 형상에 대응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201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206 for accommodating the cartridge 205 as described above. The accommodating portion 20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artridge 205 . The accommodating portion 206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opening in the housing 201, and an accommod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rtridge 205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201.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1)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201)은 하부 덮개(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덮개(202)는 하우징(201)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 덮개(202)는 카트리지(205)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덮개(202)는 후술할 바와 같이 구동 메커니즘(210)의 작동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가 가압 되는 경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가 유저의 신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201 may have a shape with an open bottom, and in this case, the housing 201 may include a lower cover 202 . The lower cover 202 may be mounted on the open lower part of the housing 201 . The lower cover 202 may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cartridge 205 .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is pr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mechanism 210,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contacts the user's body. An opening may be included to allow this.

구동 메커니즘(210)은 하우징(201)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210)은 어플리케이터(200)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를 가압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메커니즘(21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drive mechanism 210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201 . The driving mechanism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tors and gears. The driving mechanism 210 provides power for the applicator 200 to press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ive mechanism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7 .

PCB(203)는 구동 메커니즘(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우징(201)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PCB(203)는 M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MCU에서 생성된 구동신호가 구동 메커니즘(210)에 전달됨에 따라 구동 메커니즘(210)이 동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CB에 형성된 전기적 회로 설계에 따라 어플리케이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The PCB 20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echanism 210 and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201 . The PCB 203 may include an MCU, and the driving mechanism 210 may operate as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MCU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mechanism 210 . In additio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licator 2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ircuit design formed on the PCB.

또한, 어플리케이터(200)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파워 소스를 포함한다. 파워 소스는 PCB(2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을 공급받은 PCB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 메커니즘(210)에 전달할 수 있고, 구동 신호를 전달받은 구동 메커니즘(210)이 동작하여 어플리케이터(200)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를 가압하여, 유저에게 약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or 200 includes a power source for receiving power. A power sour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203 . The PCB receiving power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driving mechanism 210, and the driving mechanism 210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operates so that the applicator 200 forms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By applying pressure, the drug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4)를 통해 유저에게 다양한 인디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o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204. Various indication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odule 204 .

이하에서는, 구동 메커니즘(210)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rive mechanism 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메커니즘(210)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mechanism 210 may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 메커니즘(210)은 제1 구동 메커니즘(400) 및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 메커니즘(400)과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은 연결부(440)를 통해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메커니즘(400)과 제2 구동 메커니즘(500)는 샤프트(450, 도 12 참조)를 통해서도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driving mechanism 2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echanism 400 and a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 Here,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and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may be operab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440 . Also,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and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may be operably connected through a shaft 450 (see FIG. 12 ).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은,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적합한 위치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자세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an operation of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performs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posture or position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so that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can press the microneedle patch 100 to an appropriate position. can be done

구체적으로,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이 동작하면,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은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운동할 수 있다.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운동함으로써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가압하기 위한 자세를 가지게 되면,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동작하여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operates,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may mov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 When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moves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so that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has a posture for pressing the microneedle patch 100, the first driving mechanism ( 400) is operated to press the microneedle patch 100.

이하에서는,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drive mechanism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메커니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1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first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은 제1 구동 모터(40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어(403) 및 가압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first driving mechanism 4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402 ,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gear 403 and a pressing part 404 .

제1 구동 모터(4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어(403)와 맞물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어(403)는 가압부(404)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어(403)의 기어 구조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사상 내에 통합됨이 자명할 것이다.The first drive motor 402 may mesh with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gear 403 , and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gear 403 may be operably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404 . Here, the gear structure of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gear 403 may be variously designed and chang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se modifications are also incorporated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구동 모터(402)는 전술한 PCB로부터 구동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1 구동 모터(402)가 동작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어(403)가 상기 제1 구동 모터(402)와 맞물려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모터(402)의 동력을 전달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어(403)가 동작하면, 상기 제1 연결기어(403)와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압부(404)가 동작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motor 402 may operate by receiving a driving signal and power from the aforementioned PCB. When the first drive motor 402 operates,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gear 403 may engage with the first drive motor 402 and operate. When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gear 403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driving motor 402 operates, the pressing unit 404 op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gear 403 can operate. .

가압부(404)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따라 병진 운동 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즉, PCB에서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동작함으로써,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압부(404)는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동작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변위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자면, 가압부(404)는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동작에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압부(404)는 미리 정해진 변위를 이동하거나, 미리 정해진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압력을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컨대,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인가할 수도 있다.The pressing unit 404 may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by moving in translation alo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 That is,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oper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CB, so that the pressing unit 404 can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 Here, the pressing part 404 may move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 In other words, the pressing unit 404 may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 In addition, the pressing unit 404 moves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or applies a predetermined pressure to at least a partial area (eg, the microneedle body)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as it moves between predetermined positions. You may.

또한,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은 샤프트(450) 및 연결부(440)를 통해 제2 구동 메커니즘(500)과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회전축인 샤프트(450)와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연결되어,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동작에 따라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샤프트(450)에 대해 전체적으로 회전하여, 가압부(404)가 적합한 위치에서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가압할 수 있다.Also,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through the shaft 450 and the connection part 44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drive mechanism 400 is connected to the shaft 450,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ive mechanism 500, so that the first drive mechanism 400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e mechanism 500. By rotating as a whole with respect to the shaft 450, the pressing unit 404 may press the microneedle patch 100 at an appropriate posi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3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을 나타낸 것이다. 13-14 illustrate a second drive mechanism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메커니즘을 일측에서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메커니즘을 타측에서 나타낸 것이다.13 shows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rom one side, and FIG. 14 shows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rom the other side.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은 제2 구동모터(502), 메인기어(504),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어(505, 506) 및 하부 플레이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13 and 14, the second drive mechanis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drive motor 502, a main gear 504, one or more second connection gears 505 and 506, and a lower plate. (510).

먼저, 제2 구동모터(502)는 전술한 PCB(203, 도 10 참조)로부터 구동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2 구동모터(502)가 동작하면, 제2 구동모터(502)와 연결된 전달기어(508)가 동작함으로써, 제2 구동모터(502)의 동력이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어(505,506)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구동모터(502)의 동력을 전달받은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어(505,506)는, 메인기어(504)와 맞물려 동작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어(505,506)는 상기 제2 구동모터(502)의 동력을 메인기어(504)에 전달함으로써, 메인기어(504)가 샤프트(45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어(505,506)는 설정에 따라 메인기어(50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구동모터(502)의 출력이나 구동신호에 따라 메인기어(504)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어(505,506)은 다양한 기어 구조의 설계 변형이 가능함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며, 해당 설계 변형 역시 본 명세서의 사상에 통합됨이 이해될 것이다.First, the second driving motor 502 may operate by receiving a driving signal and power from the aforementioned PCB 203 (see FIG. 10). When the second drive motor 502 operates, the transmission gear 508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motor 502 operates, so that the power of the second drive motor 502 is transmitted to one or more second connection gears 505 and 506. It can be. One or more second connection gears 505 and 506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driving motor 502 may engage with and operate the main gear 504 . That is, the one or more second connection gears 505 and 506 transmit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motor 502 to the main gear 504 so that the main gear 504 can rotate around the shaft 450 . Here, one or more second connection gears 505 and 506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gear 504 according to settings. In order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gear 504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502 or the driving signal, one or more second connection gears 505 and 506 may have various design modifications of the gear structur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reciated,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design variations are also incorporated into the spirit of this specification.

메인기어(504)는 샤프트(4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450)는 하부 플레이트(51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샤프트(450)의 양 측에 메인기어(504) 및 하부 플레이트(510)가 결합되어, 메인기어(504)와 하부 플레이트(510)는 서로 대응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The main gear 504 may be coupled to the shaft 450 . Also, the shaft 4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510 . That is, since the main gear 504 and the lower plate 51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haft 450, the main gear 504 and the lower plate 510 may rotat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여기서, 하부 플레이트(510)는 가압개구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개구부(512)를 통해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가 어플리케이터(200,도 3 및 도 10 참조)에 삽입되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하부 플레이트(5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를 가압하면, 가압개구부(512)를 통해 마이크로 니들이 유저의 신체에 접촉할 수 있다.Here, the lower plate 510 may include a pressure opening 512 . The pressing portion 404 may press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 through the pressing opening 512 .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is inserted into the applicator 200 (see FIGS. 3 and 10), the microneedle patch 10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plate 510. . 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portion 404 presses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 the microneedle may contact the user's body through the pressing opening 512 .

또한, 제1 구동 메커니즘(400)과 제2 구동메커니즘(500)은 메커니즘 연결부(440)를 통해 서로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and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may be op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mechanism connection part 440 .

구체적으로,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은 메커니즘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커니즘 연결부(440)는 메인기어(504)에 형성된 메커니즘 수용부(5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커니즘 연결부(440)는 샤프트(450)와도 연결될 수 있다. 메커니즘 연결부(440)는 샤프트 수용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샤프트 수용부(미도시)에 샤프트(450)가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may include a mechanism connection part 440 . The mechanism connection part 440 may be coupled to the mechanism accommodating part 540 formed in the main gear 504 . Also, the mechanism connecting par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450 as well. The mechanism connection part 440 may further include a shaft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and the shaft 450 may be coupled to the shaft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메커니즘 연결부(440)가 메커니즘 수용부(540) 및 샤프트(450)에 결합됨으로써, 메인기어(504)가 회전하는 경우,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메인기어(50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When the main gear 504 rotates as the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440 is coupled to the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540 and the shaft 450,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responds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504 as a whole. can rotate

이처럼, 하부 플레이트(510)와 제1 구동메커니즘(400)은 제2 구동모터(502)의 동작에 따라 메인기어(504)와 대응되게 회전할 수 있다. As such, the lower plate 510 and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may rotate correspondingly to the main gear 50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502 .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는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가압부(404)의 초기 위치가 하부 플레이트(510)의 가압개구부(512)와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동작으로 메인기어(504)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가압부(404)와 가압개구부(512)의 위치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동작하면, 가압부(404)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가압개구부(512) 및 하부 덮개(202)의 개구부를 통해 마이크로 니들이 유저의 신체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Here, in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04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opening 512 of the lower plate 510. there is.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main gear 504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the positions of the pressing portion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n, when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operates, the pressing unit 404 pre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so that the microneedles are a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pressing opening 512 and the opening of the lower cover 202.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dy.

도 15 내지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15 to 17 show the operation of the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초기 자세(posture)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준비 자세를 나타낸 것이며,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가압 자세를 나타낸 것이다.15 shows an initial posture of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6 shows a ready posture of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7 shows a pressing posture of the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210)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을 가압하기 위해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은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이 적합한 위치에서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The driving mechanism 2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hange its position to press the microneedle patch 100 . Specifically,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so that the microneedle patch 100 can be pres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시로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specific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200)의 초기 상태(또는 대기 상태)에서, 가압부(404)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의 보조영역(140, 도 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510)의 가압개구부(512) 역시도, 상기 보조영역(140, 도 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in the initial state (or standby state) of the applicator 200, the pressing unit 404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4) of the microneedle patch 100. there is. At this time, the pressing opening 512 of the lower plate 510 may also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4).

이를 달리 표현하자면, 가압부(404)는 보조영역(140, 도 4 참조)의 위에 위치하고, 가압개구부(512)는 보조영역(140, 도 4 참조)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In other words, it can be expressed that the pressing part 404 is located above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can be located below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4). .

즉, 어플리케이터(200)가 대기상태일 때 보조영역(140, 도 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를 제1 위치라고 표현한다면,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 모두 제1 위치에 대응되는 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i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4) is expressed as the first position when the applicator 200 is in a standby state, both the pressing part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correspond to the first position. can be located in the zone.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영역(140, 도 4 참조)은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가 대기상태인 경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 도 7참조) 또는 하우징(201, 도 10 참조)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 역시도 어플리케이터(200)가 대기상태일 때 상기 보조영역(140, 도 4 참조)에 상응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4) is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S. 3 to 7) or the housing (201, see FIG. 10) when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is in a standby stat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and correspondingly, the pressurizing part 404 and the pressurizing opening 512 are also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4) when the applicator 200 is in a standby state. can exist

이후,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가 작동상태로 접어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가 작동상태로 접어들면,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동작에 따라 메인기어(504)가 회전하게 된다. 메인기어(504)가 회전하면, 메인기어(504)와 대응되어 회전하는 가압부(404) 역시도 위치가 변경된다. 가압부(404)는, 메인기어(504)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450, 도 14 참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와 대응되는 위치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메인기어(504)의 회전에 대응하여 하부 플레이트(510) 역시도 회전하여, 가압개구부(512) 역시도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Then, referring to FIGS. 16 and 17 ,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 is in an operating state is shown. When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enters an operating state, the main gear 504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When the main gear 504 rotates,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404 rotat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in gear 504 is also changed. The pressing unit 404 rotates around the shaft 450 (see FIG. 14)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504 and is position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In this case, the lower plate 510 also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504, so that the press opening 512 is also positioned below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즉,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는 회전하지 않고,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를 사이에 둔 채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가 회전하여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가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does not rotate, and the pressing portion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rotate with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404 ) and the pressure opening 512 are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croneedle body 151.

이를 달리 표현하자면,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를 제2 위치라고 표현한다면,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가 작동상태일 때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 역시도 제2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 놓일 수 있게 된다고도 할 수 있을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position, the pressing part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when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is in an operating state. ) can also be said to be placed in the zo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가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 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이 유저의 피부에 접촉할 준비가 완료되었다. As the pressurizing portion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are plac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the microneedle is ready to contact the user's skin.

도 17을 참조하면,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동작에 따라 가압부(404)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도 3 참조) 또는 하부 플레이트(510)에 수직 하방으로 병진운동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404)는 미리 정해진 변위만큼 운동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을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가 가압되며, 가압된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의 하부에 위치한 마이크로 니들이 가압개구부(51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의 하부에 위치한 마이크로 니들이 유저의 피부에 주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 the pressing unit 404 translates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microneedle patch 100 (see FIG. 3 ) or the lower plate 510 . He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unit 404 may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microneedle patch by moving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As a result,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 is pressed, and the microneedle located under the pressed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 may protrude out of the press opening 512 . As a result, the microneedle positioned below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may be injected into the user's skin.

마이크로 니들이 유저의 피부에 주사된 이후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구동에 따라 가압부(404)가 초기의 위치로 돌아오면, 제2 위치에 존재하는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를 제1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제2 구동메커니즘(500)이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 모터(502)의 동작에 따라 메인기어(504)가 회전하고, 메인기어(504)의 회전에 대응하여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가 샤프트(4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위치로 복원된다.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가 제1 위치로 복원됨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 및 어플리케이터(20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fter the microneedles are injected into the user's skin, when the pressing part 404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the pressing part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existing in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drive mechanism 500 operates to restore to the first position. Specifically, the main gear 504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502, and the pressing portion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rotate the shaft 450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504. It is rotated to the center and restored to the first position. As the pressurizing portion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are restored to the first position, foreign matte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microneedle patch 100 and the applicator 200 .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가 제1 위치로 복원되면 어플리케이터(200)는 대기상태로 접어들게 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다시 어플리케이터(200)가 동작상태로 접어들면,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은 가압부(404) 및 가압개구부(512)를 제3 위치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위치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제3 위치는 제2 위치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와 다른 위치를 뜻할 것이다. 또한 여기서, 제2 위치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와 제3 위치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는 서로 인접한 마이크로 니들 바디일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로부터 제3 위치까지의 거리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When the pressing portion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are restored to the first position, the applicator 200 enters a standby stat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applicator 200 enters the operating state agai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operates to position the pressing portion 404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on the microneedle body corresponding to the third position. do. Here, the third position may mea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microneedle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Also, here, the microneedle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microneedle body corresponding to the third position may be microneedle bodies adjacent to each other. Als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third location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도 18 내지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18 to 19 show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의 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18 is a half exploded view of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9 shows a coupled state of the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는 제3 구동 메커니즘(600) 및 제4 구동 메커니즘(7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an applic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hird driving mechanism 600 and a fourth driving mechanism 700 .

제3 구동 메커니즘(600)은 제1 구동 메커니즘(400, 도 13 내지 도 17 참조)과 기능적으로 거의 유사하나, 그 메커니즘 구조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제3 구동 메커니즘과 제1 구동 메커니즘(400, 도 13 내지 도 17 참조)의 차이점 위주로만 설명할 것이나, 이 외의 설명은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의 내용이 참조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The third drive mechanism 600 is almost functionally similar to the first drive mechanism 400 (see FIGS. 13 to 17),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mechanism structure. In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drive mechanism and the first drive mechanism (400, see FIGS. 13 to 17) will be described, but other descriptions may refer to the content of the first drive mechanism 400 this will be understood

또한, 제4 구동 메커니즘(700)은 제2 구동 메커니즘(500, 도 13 내지 도 17 참조)과 기능적으로 유사하며, 그 메커니즘 구조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이 역시도, 제2 구동 메커니즘과 제4 구동 메커니즘(700)간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the fourth driving mechanism 700 is functionally similar to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see FIGS. 13 to 17),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mechanism structure. This will also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and the fourth driving mechanism 700 .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구동 메커니즘(600)은 제3 구동 모터(602) 및 전달 기어(미도시) 및 랙기어(6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rive mechanism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hird drive motor 602 and a transmission gear (not shown) and a rack gear 604 .

제3 구동 모터(602)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구동 모터(402)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602 is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drive motor 40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구동 메커니즘(400) 및 제2 구동 메커니즘(500) 간의 구조적 관계와 달리, 제3 구동 메커니즘(600)은 주로 제4 구동 메커니즘(7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구동 모터(602)는 프레임 기어(70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랙기어(604)는 프레임기어(706)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동작 시 어플리케이터(200)의 하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기어(604)는 프레임기어(706) 상에 형성된 랙기어 수용부(707)에 장착될 수 있다.Unlik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and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 the third driving mechanism 600 may be mainly located above the fourth driving mechanism 700 . Specifically, the third driving motor 602 may be disposed above the frame gear 706 . The rack gear 604 may move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applicator 200 during operatio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rame gear 706 . Specifically, the rack gear 604 may be mounted in the rack gear accommodating portion 707 formed on the frame gear 706 .

제3 구동 모터(602)가 동작하면, 하나 이상의 전달기어(미도시)는 제3 구동 모터(602)의 동력을 랙기어(604)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구동 모터(602)의 동력을 전달받은 랙기어(604)는 랙기어 수용부(707) 내에서 상하 병진운동 하게 되고, 이를 통해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참조)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랙기어(604)에는 별도의 가압영역이 설정되거나, 추가적인 가압부분이 부가될 수도 있다.When the third driving motor 602 operates, one or more transmission gears (not shown) may transmit power of the third driving motor 602 to the rack gear 604 . The rack gear 604 receiving the power of the third driving motor 602 moves up and down in the rack gear accommodating part 707, and through this,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can be pressurized. . Here, a separate pressing area may be set in the rack gear 604, or an additional pressing part may be added.

제3 구동 모터(602) 및 하나 이상의 전달기어는 보호부(606)을 통해 보호될 수 있다. The third drive motor 602 and one or more transmission gears may be protected through the protection unit 606 .

제4 구동 메커니즘(700)은 제4 구동 모터(702), 보조기어(704) 및 프레임기어(706)을 포함한다. The fourth driving mechanism 700 includes a fourth driving motor 702 , an auxiliary gear 704 and a frame gear 706 .

제4 구동 모터(702)에 관한 설명은, 제2 구동 모터(502)에 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A description of the fourth drive motor 702 is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drive motor 502, so it will be omitted.

보조기어(704)는 제4 구동 모터(702)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보조기어(704)는 프레임기어(706)와 맞물린다. 보조기어(704)는 프레임기어(706)에 제4 구동모터(702)의 동력을 전달하고, 프레임기어(70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xiliary gear 704 receives power from the fourth driving motor 702 . The auxiliary gear 704 meshes with the frame gear 706. The auxiliary gear 704 transmits the power of the fourth driving motor 702 to the frame gear 706 and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rame gear 706 .

프레임기어(706)는 하우징(201) 내부의 프레임기어 수용부(209)에 장착된다. 프레임기어 수용부(209)는 프레임기어(70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기어(706)은 프레임기어 수용부(209)에 수용되어, 보조기어(704)를 통해 전달받은 제4 구동 모터(702)의 동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The frame gear 706 is mounted in the frame gear accommodating portion 209 inside the housing 201 . The frame gear accommodating portion 209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ame gear 706 . The frame gear 706 is accommodated in the frame gear accommodating portion 209 and can rotate according to the power of the fourth driving motor 702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gear 704 .

여기서, 랙기어 수용부(707)가 프레임기어(706)의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기어(706)가 전체적으로 회전하면, 랙기어 수용부(707) 및 랙기어 수용부(707)에 수용된 랙기어(604) 역시도 프레임기어(706)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이를 통해, 랙기어(6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Here, as the rack gear accommodating portion 707 is formed above the frame gear 706, when the frame gear 706 rotates as a whole, the rack gear accommodating portion 707 and the rack accommodated in the rack gear accommodating portion 707 The gear 604 also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rame gear 706. Through this, the rack gear 604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또한, 프레임기어(706)의 중앙 부분에는 평판 수용부(708)가 형성될 수 있다. 평판 수용부(708)는 전술한 고정부(1005)를 수용하며, 고정부(1005)가 평판 수용부(708)에 결합됨에 따라 프레임기어(706)의 회전에 대응하여 플레이트(1004)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 flat plate accommodating portion 708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gear 706 .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708 accommodates the above-described fixing part 1005, and as the fixing part 1005 is coupled to the flat plate accommodating part 708, the plate 1004 is held together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rame gear 706. can rotate

전술한 가압부(404, 도 13 내지 도 17 참조) 및 가압개구부(512, 도 13 내지 도 17 참조) 사이의 관계와 유사하게, 랙기어(604) 및 평판 개구부(1006, 도 9 참조)의 초기 위치 역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기어(706)의 회전에 대응하여, 랙기어(604) 및 평판 개구부(1005) 역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기어(706)에 회전에 따라, 랙기어(604) 및 평판 개구부(100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orementioned pressing portion 404 (see FIGS. 13 to 17) and the pressing opening 512 (see FIGS. 13 to 17), the rack gear 604 and the plate opening 1006 (see FIG. 9) The initial position may also correspond.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ame gear 706, the rack gear 604 and the plate opening 1005 may also rotate together. Accordingly, as the frame gear 706 rotates, the rack gear 604 and the plate opening 1006 may be positioned on at least on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정리하자면, 제4 구동 메커니즘(700)의 동작에 따라 랙기어(604) 및 평판 개구부(1006)가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3 구동 메커니즘(600)의 동작에 따라 랙기어(604)가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 3 참조)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 도3 참조)에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은 평판 개구부(1006)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마이크로 니들이 유저의 신체에 주사 될 수 있는 것이다.In summa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mechanism 700, the rack gear 604 and the flat plate opening 1006 are located in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Th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e mechanism 600, the rack gear 604 presses the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The microneedles formed on the pressurized microneedle body 151 (see FIG. 3)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flat plate opening 1006, so that the microneedles can be injected into the user's body.

도 20 내지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20 to 21 show a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고,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Ÿ‡지(wedge) 형상을 가진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나타낸 것이다.20 shows a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21 shows a microneedle patch having a wedge shape used in another embodiment.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 도 10 참조)는 제5 구동 메커니즘(8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the applicator 200 (see FIG. 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fifth driving mechanism 800 .

(a)는 제5 구동 메커니즘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b)는 제5 구동 메커니즘을 하부에서 바라본 것이다.(a) is a view of the fifth drive mechanism from the front, and (b) is a view of the fifth drive mechanism from the bottom.

제5 구동 메커니즘(800)은 제5 구동모터(미도시) 제2 메인기어(804) 및 제2 가압부(806) 및 제2 하부 플레이트(80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구동 메커니즘(800)은 Ÿ‡지(wedge) 형상을 가지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900)와 상호작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fth driving mechanism 800 may include a fifth driving motor (not shown), a second main gear 804 , a second pressing part 806 , and a second lower plate 809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fth driving mechanism 800 operates in interaction with the microneedle patch 900 having a wedge shape.

제5 구동 메커니즘(800)의 동작은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의 동작과 거의 유사하다. 메인기어(504)와 하부 플레이트(510) 사이의 동작 관계는 제2 메인기어(804)와 제2하부 플레이트(808) 사이의 동작 관계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mechanism 800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 Since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gear 504 and the lower plate 510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main gear 804 and the second lower plate 808,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제5 구동 메커니즘(800)은 제2 가압부(8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메커니즘(400,500)과 달리, 제2 가압부(806)는 제2 샤프트(850)에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가압부(806)는 제2 메인기어(80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샤프트(8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Also, the fifth driving mechanism 800 may include a second pressing part 806 . Unlik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echanisms 400 and 500 , the second pressing portion 806 is coupled to the second shaft 850 . Due to this, the second pressing unit 806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shaft 850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in gear 804 .

잠시 도 21을 참조하여, Ÿ‡지 형상을 가지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1 for a moment, a microneedle patch having a paper-like shape will be described.

도 21을 참조하면 Ÿ‡지 형상을 가지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900)는 복수개의 Ÿ‡지 바디(9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Ÿ‡지 바디(901)는 일면에 경사면(902) 및 평면(9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Ÿ‡지 바디(901)의 반대면에는 약물을 저장하고 있는 마이크로 니들(90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니들(906)은 평면(904)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니들 패치(900)는 중앙에 제2 샤프트(850)이 수용될 수 있는 제2 샤프트 수용부(908)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 the microneedle patch 900 having a paper sha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per bodies 901 . Here, the support body 901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902 and a flat surface 904 on one surface. In addition, a microneedle 906 storing a drug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each of the paper bodies 901 . Here, the microneedles 906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ane 904 . In addition, the microneedle patch 900 may have a second shaft accommodating portion 908 in the center of which the second shaft 850 may be accommodated.

이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제5 구동 메커니즘(800)의 구체적인 구동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 a specific driving example of the fifth driving mechanism 800 will be described.

제5 구동 모터(미도시)가 동작하여 제2 메인기어(804)가 회전하면, 제2 샤프트(850)를 통해 제2 메인기어(804)와 연결된 제2 하부 플레이트(808) 및 제2 가압부(806)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fifth drive motor (not shown) operates and the second main gear 804 rotates, the second lower plate 808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gear 804 through the second shaft 850 and the second pressure Section 806 can rotate together.

이때, 마이크로 니들 패치(900)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제2 가압부(806)는 경사면(902)의 표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2 가압부(806)가 경사면(902)를 따라 움직임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 패치(900)는 하부방향으로 가압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하부 플레이트(808)역시 회전하여, 마이크로 니들(906)이 형성된 영역에 제2 가압개구부(809)가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croneedle patch 900 does not rotate,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806 may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902 . As the second pressing unit 806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902, the microneedle patch 900 may be pressed downward. In this case, the second lower plate 808 may also be rotated so that the second pressure opening 809 may be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microneedles 906 are formed.

제2 가압개구부(809)가 마이크로 니들(905)이 형성된 영역에 위치하면, 제2 가압부(806)는 평면(904)상을 움직이게 된다. 제2 가압부(806)가 평면(904) 상에서 움직이며 Ÿ‡지바디(901)를 가압하면, 평면(904)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니들(906)이 제2 가압개구부(809)를 통해 돌출되어, 유저에게 약물을 주사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pressing opening 809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microneedles 905 are formed, the second pressing part 806 moves on the flat surface 904 . When the second pressing part 806 moves on the flat surface 904 and presses the G body 901, the micro needle 906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at surface 904 presses the second pressing opening 809. It protrudes through and injects the drug into the user.

평면(904) 상에서 움직인 이후, 제2 가압부(806)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900)에 형성된 다른 Ÿ‡지 바디(901)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메인기어(804)가 더 회전함에 따라 제2 가압부(806)는, 이미 가압한 Ÿ‡지 바디와 다른 Ÿ‡지 바디(901)의 경사면(90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가압개구부(809)는 마이크로 니들(906)이 형성되지 않은, 즉 경사면(902)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900)의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 니들(906)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fter moving on the plane 904, the second pressing portion 806 may be positioned on another paper body 901 formed on the microneedle patch 900. Specifically, as the second main gear 804 further rotates, the second pressing unit 806 may be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902 of the gear body 901 different from the already pressed gear body. . In this case, the second pressure opening 809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icroneedle patch 900 on which the microneedles 906 are not formed, that is,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902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microneedle 906 .

이상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의 구동 메커니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applicator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has been looked at.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 전기적 제어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licato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mainly in terms of electrical control.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22 shows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는 콘트롤러(3000) 및 메모리(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트롤러(3000) 및 메모리(3002)는 전술한 PCB(203, 도 10 참조)의 회로 설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may include a controller 3000 and a memory 3002. Here, the controller 3000 and the memory 3002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circuit design of the above-described PCB (203, see FIG. 10).

메모리(3002)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2)에는 각종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또는 반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3002)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SSD, 플래쉬 메모리, 롬, 램 등이 있을 수 있다. 메모리(3002)에는 어플리케이터(2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3002 can sto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Various types of data may be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memory 3002 . The memory 3002 may include, for example, a hard disk, SSD, flash memory, ROM, RAM, and the like. The memory 3002 may store an operation program for driving the applicator 200 or various data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applicator.

예를 들어, 메모리(3002)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관한 구조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002)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포함된 각각의 마이크로 니들 바디들 사이의 간격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02)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포함된 각각의 마이크로 니들 바디와 보조영역(151, 도 3 참조) 사이의 위치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memory 3002 can store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a microneedle patch. Specifically, the memory 3002 may store information about intervals between microneedle bodies included in the microneedle patch. In addition, the memory 3002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ch microneedle body included in the microneedle patch and the auxiliary region 151 (see FIG. 3).

다른 예로, 메모리(3002)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관한 구조적 정보에 상응하는, 구동 메커니즘(210, 도 10 참조)의 출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0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404)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의 출력 정보,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의 출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emory 3002 may store output information of the driving mechanism 210 (see FIG. 10 ) corresponding to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microneedle patch.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3002 includes output information of the dri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pressing unit 404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driving mechanism for pressing the microneedle patch by the pressing unit 404. may include output information of

이 외에도, 본 명세서에서 상술하거나 또한 후술될 어플리케이터의 구동을 위한 모든 정보들이 메모리(3002)에 미리 저장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to thi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ll information for driving the applicator, which will be described above or later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3002.

콘트롤러(3000)는 어플리케이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콘트롤러(3000)는 구동 메커니즘(210, 도 10 참조)에 구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구동 메커니즘(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licator 2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30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chanism 210 by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mechanism 210 (see FIG. 10 ).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유저에게 마이크로 니들을 통한 약물을 주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유저에 의해 설정될 수 있거나 특정 약물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The applic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set to inject a drug through a microneedle into a user at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predetermined in response to a specific drug.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콘트롤러가 수행하는 어플리케이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cator performed by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의 제어 방법은 가압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0), 제2 위치에서 가압부로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는 단계(S200), 가압부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원시키는 단계(S300), 가압부를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400) 및 가압부를 제3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원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thod of the applicator includes moving the pressing uni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100), pressing the microneedle patch with the pressing unit at the second position (S200), and pressing the pressing unit to the second position. It includes restoring the pressing part to the first position (S300), moving the pressing par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S400), and restoring the pressing part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S5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트롤러(3000)는 가압부(404)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을 제어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000)가 제2 구동 메커니즘(50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면, 소정의 출력만큼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이 동작하고, 이에 따른 메인기어(504)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404)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3000 may control the second drive mechanism 500 to position the pressing portion 404 at the first position (S100).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3000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operates as much as a predetermined output, and the pressing uni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504. 404 can move from a first location to a second location.

가압부(404)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콘트롤러(3000)는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도록 제1 구동 메커니즘(400)을 제어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000)가 제1 구동 메커니즘(40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면, 소정의 출력에 따라 제1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여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가압할 수 있다. When the pressing unit 404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3000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so that the pressing unit 404 presses the microneedle patch (S200).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3000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driving mechanism 400, the first driving mechanism operat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utput so that the pressing unit 404 can press the microneedle patch 100. there is.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를 가압하고 난 이후, 콘트롤러(3000)는 가압부(404)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원되도록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을 제어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000)가 구동 신호를 전송하면, 소정의 출력만큼 제2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고, 이에 따른 메인기어(504)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404)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After the pressing unit 404 presses the microneedle patch 100, the controller 3000 may control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to restore the pressing unit 404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Yes (S300).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3000 transmits a drive signal, the second drive mechanism operates as much as a predetermined output,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504, the pressing unit 404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can be restored with

가압부(404)가 제1 위치로 복원된 이후, 콘트롤러(3000)는 가압부(404)가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 구동 메커니즘(400)을 제어할 수 있다(S400).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000)가 제2 구동 메커니즘(40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면, 소정의 출력에 따라 제2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여 가압부(404)가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404)가 제3 위치로 이동하면, 콘트롤러(3000)는 제1 구동 메커니즘을 제어하여 가압부(404)가 제3 위치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After the pressing part 404 is restored to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ler 3000 may control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400 to move the pressing part 404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S400). ).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3000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400,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operat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utput so that the pressing unit 404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there is. When the pressing unit 404 moves to the third position, the controller 3000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mechanism so that the pressing unit 404 presses the microneedle body corresponding to the third posi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패치(100)는 재사용이 허락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마이크로 니들 바디(151)는 1회분의 약물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200)는 제2 위치에서 어느 한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저장된 약을 유저에게 주사하고 난 이후, 다음 번에는 제3 위치에서 다른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저장된 약을 유저에게 주사할 수 있다. 이후에는, 제3 위치가 아닌 제4 위치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저장된 약을 유저에게 주사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The microneedle patch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not allowed to be reused. Also, as described above, one microneedle body 151 may store one dose of drug. Accordingly, the applicator 200 may inject the medicine stored in one microneedle body to the user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n inject the medicine stored in the other microneedle body to the user at the third position next time. After that,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medicine stored in the microneedle body located at the fourth position instead of the third position can be injected to the user.

제3 위치에서 가압부(404)가 마이크로 니들 바디를 가압한 이후, 콘트롤러(300)는 가압부(404)가 제3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원되도록, 제2 구동 메커니즘(500)을 제어할 수 있다. After the pressing unit 404 presses the microneedle body at the third position,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500 so that the pressing unit 404 is restor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can

이처럼, 콘트롤러(3000)가 다양한 위치에서 마이크로 니들 바디를 가압한 이후 초기 위치(제1 위치)로 가압부(404)가 복원하도록 구동 메커니즘을 제어함에 따라, 가압부(404)와 대응되어 회전하는 가압개구부(512) 역시도 초기 위치로 복원되며, 어플리케이터가 대기상태 일 때 가압 개구부(512)가 보조영역(140, 도 3 참조)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미세한 오염에도 취약한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as the controller 3000 controls the driving mechanism to restore the pressing unit 404 to the initial position (first position) after pressing the microneedle body at various positions, the rotation corresponds to the pressing unit 404. The pressure opening 512 is also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and when the applicator is in a standby state, the pressure opening 512 can be located in the auxiliary area 140 (see FIG. 3). Due to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ontamina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which is vulnerable to fine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도 24 및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동작 과정을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면에서 바라본 것이다.24 and 25 are views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ppl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pplicator.

도 24는 어플리케이터의 첫번째 약물 주입 동작을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5는 두번째 약물 주입 동작을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24 shows a first drug injection operation of the applicator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pplicator, and FIG. 25 shows a second drug injection operation view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pplicator.

도 2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의 대기상태에서, 가압개구부(512)는 제1 위치에 놓여있다. 이때, 가압개구부(512)는 보조영역(140)에 놓여있어, 상기 보조영역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Referring to FIG. 24, in the standby state of the applicator, the pressure opening 512 is placed in the first position. At this time, the pressure opening 512 is placed in the auxiliary area 140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auxiliary area.

이후, 어플리케이터가 동작하면 가압개구부(512)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개구부(51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바디부(151)가 가압개구부(51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니들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가압부(404)의 가압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이 유저의 신체에 접촉할 수 있다.Then, when the applicator operates, the pressure opening 512 may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pressure opening 512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body 151 of the microneedle patch is positioned at the pressure opening 512 . At this time, the microneedl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microneedle may contact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unit 404 .

약물의 주입 이후, 가압개구부(512)는 다시 제1 위치로 복원되며, 어플리케이터는 대기상태로 접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보조영역(140)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이크로 니들 패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After the drug is injected, the pressure opening 512 is restor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applicator enters a standby state. Due to this, the auxiliary area 140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prevents the microneedle patch from being contaminated.

도 25를 참조하면, 두번째 약물 주입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5, a second drug injection operation is shown.

대기상태로부터 어플리케이터가 동작하면, 가압개구부(512)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가 아닌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위치는, 제2 위치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니들 바디와 다른 마이크로 니들에 대응되는 위치라고 표현할 수 있다. 제3 위치에서의 약물 주입이 완료되면, 가압개구부(512)는 다시 초기 위치(제1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When the applicator operates from the standby state, the pressure opening 512 may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instead of the second position. The third position may be expressed a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microneedle body that is different from the microneedle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drug injection at the third position is completed, the pressure opening 512 may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first position).

이처럼, 하나의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대해 복수의 약물 주입이 수행되는 경우,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한번의 동작 당 하나의 마이크로 니들 바디에 대한 약물 주입만 수행되어 정량의 약물 주입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약물 주입 이후 어플리케이터가 대기상태에 접어들면, 가압개구부(512)가 초기상태로 복원되어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As such, when a plurality of drugs are injected into one microneedle patch, drug injection into only one microneedle body is performed by the drive mechanism, and thus, a fixed amount of drug can be injected.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or enters a standby state after drug injection, the pressure opening 512 is restored to an initial stat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이상에서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어플리케이터의 약물주입 동작에 대해 주로 살펴보았다. In the above, the drug injection opera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and the applicator was mainly examined.

다만,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적절히 장착되어 동작하는 경우에 정확한 약물의 주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에게 정확히 장착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터치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However, accurate drug injec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applicator is properly mounted on the user's body and operated. To this end, the appl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or is correctly mounted on the user.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나타낸 것이다.26 illustrates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200)는 터치센서(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1100)는 하부 덮개(202)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센서(1100)는 하부 덮개(202)의 외부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1100)는 하부덮개(202)의 형상에 대응되어 원형 또는 고리형의 형상을 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터치센서(1100)는 하부 덮개(202)에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20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1100. The touch sensor 110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cover 202 . Specifically, the touch sensor 1100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lower cover 202 . In addition, the touch sensor 1100 may have a circular or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cover 202 . In addition, the touch sensor 1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cover 202 .

일 예로, 터치센서는 정전용량센서(capacitive touch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touch sensor.

터치센서(1100)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4 구역(1101, 1102, 1103, 1104)로 구분된 터치센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구역으로 구분되는 터치센서 역시도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The touch sensor 11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the drawing, touch sensors divided into first to fourth zones 1101, 1102, 1103, and 1104 are illustratively shown.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touch sensor divided into more or less zones can also be used.

터치센서(1100)의 모든 구역 또는 일부 구역(1101,1102,1103,1104)에 물체가 접촉하면, 각 구역 별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 달라지게 되며, 이를 통해 컨트롤러(3000)는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정확히 장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When an object contacts all or some of the areas 1101, 1102, 1103, and 1104 of the touch sensor 1100,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each area changes, and through this, the controller 3000 controls the applicator to the user's body. You can determine if it is installed correctly.

도 27은 어플리케이터의 장착상태에 따라 터치센서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27 is a graph showing electrical signals measured by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of the applicator.

어플리케이터는 구동 메커니즘을 구동하기에 앞서 어플리케이터가 적합하게 장착되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3000)는 터치센서(1100)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값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정확히 장착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applicator may determine if the applicator is properly mounted prior to actuating the drive mechanism. Specifically, the controller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or is correctly mounted on the user's body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value flowing through the touch sensor 1100 .

도 27에 나타난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측정 단위는 sec, ms, us, ns 등이 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시간에 대한 측정 단위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y 축은 센서 아웃풋(sensor output) 또는 커패시턴스 값(capacitance value)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일 수 있으며, 이들을 나타내는 모든 측정 단위가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비록 도 27의 그래프에서 측정 단위에 대해 명확히 개시하지 않았으나, 시간 및 전기적 신호를 나타내는 모든 측정 단위가 이용될 수 있다.In the graph shown in FIG. 27, the x-axis means time. Also, the unit of measurement may be sec, ms, us, ns, etc., and may include all units of measurement for time.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the y-axis may be a sensor output or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a capacitance value, and any unit of measure representing these may be used. Although the measurement unit is not explicitly disclosed in the graph of FIG. 27, any measurement unit representing time and electrical signals may be used.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적합하게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a)를 참조하면, 터치센서(1100)의 각 구역(1101,1102,1103,1104)에서 측정된 전류의 양이 모두 임계값 이상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a) shows a case where the appl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properly mounted on the user's body. Referring to (a), it is shown that the amounts of current measured in each zone 1101 , 1102 , 1103 , and 1104 of the touch sensor 1100 are al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이처럼, 콘트롤러(3000)는 터치센서(1100)의 각 구역에서 측정된 전류의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적합하게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가 적합하게 장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3000)는 구동 메커니즘에 약물 주입을 위한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터치센서(1100)에 포함된 구역의 수가 많을 경우,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구역에서 임계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콘트롤러(3000)는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적합하게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들이 본 발명의 사상에 통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As such, the controller 3000 may determine that the applicator is properly mounted on the user's body when the value of the current measured in each area of the touch sensor 1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licator is properly mounted, the controller 3000 may transmit a driving signal for drug injection to the driving mechanism. However, this is just an example, and when the number of zones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1100 is large, even when a current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flows in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zones, the controller 3000 determines that the applicator is properly mounted on the user's body. can judge In addition to thi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examples that can be modified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적합하게 장착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b)를 참조하면, 터치센서(1100)에 포함된 제1구역(1101)에 흐르는 전류값만이 임계값 이상의 전류값으로 측정되고, 나머지 구역(1102,1103,1104)의 경우에는 임계값 이하의 전류값으로 측정되었다. 이 경우, 콘트롤러(3000)는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적합하게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가 유저의 신체에 적합하게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콘트롤러(3000)는 구동 메커니즘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3000)는 어플리케이터가 적합하게 착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반영하는 인디케이션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를 외부(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b) shows a case where the appl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not properly mounted on the user's body. Referring to (b), only the current value flowing in the first zone 1101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1100 is measured as a current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the current values in the remaining zones 1102, 1103, and 1104 are measured as threshold values. The following current values were measur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000 may determine that the applicator is not properly mounted on the user's bod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licator is not properly mounted on the user's body, the controller 3000 may not transmit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echanism. Also, the controller 3000 may generate an indication signal reflecting that the applicator is not properly worn, and may provide it to the outside (user) through a display.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제1 구동 메커니즘;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과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의 자세(posture)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제2 구동 메커니즘; 및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메커니즘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은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은 제2 구동 모터 및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
상기 가압부가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제1 위치 상에서 제2 위치 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부가 제2 위치 상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되,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면에 수직 하방으로 제1 변위만큼 병진운동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In the microneedle applicator,
a first drive mechanism operative to pressurize the microneedle patch;
a second drive mechanism operably connected with the first drive mechanism and operative to change a posture of the first drive mechanism; and
a controller that transmits drive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mechanisms; including,
The first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and a pressing unit that presses at least one area of the microneedle patch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driving motor,
The second drive mechanism includes a second drive motor and a main gea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drive motor and rotate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mechanism.
Said controller:
Operating the second drive mechanism to move the pressing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The first driving mechanism is operated so that the pressing part presses the microneedle patch in a second position, and the pressing part translates vertically downward to the surface of the microneedle patch by a first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working out
Microneedle applica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제2 위치 상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
Operating the second drive mechanism to return the pressing por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Microneedle applicato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한 상기 가압부가 제3 위치 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3 위치 상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ler,
operating the second drive mechanism to move the pressing portion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onto a third position;
Operating the first drive mechanism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microneedle patch on the third position.
Microneedle applicato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ler,
Operating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to return the pressing portio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third position.
Microneedle applica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제1 위치 상에서 제2 위치 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가 제1 방향을 따라 제2 변위만큼 회전하는 것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econd drive mechanism operates to move the pressing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main gear rotates by a second displacement along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microneedle applic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제2 위치 상에서 제1 위치 상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변위만큼 회전하는 것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second drive mechanism operates to return the pressing por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the main gear rotates by the second displacement along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Microneedle applica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운동 방향과 상기 메인 기어의 회전 평면의 방향은 수직인 것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pressing part and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plane of the main gear are perpendicular,
Microneedle applica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물체와의 접촉 상태를 반영하는 전류의 값을 생성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센서에서 생성된 전류의 값이 임계값 - 여기에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 메커니즘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generating a value of current reflecting a contact state with an objec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transmits a drive signal to the drive mechanism when the value of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touch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wherein the threshold valu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or is mounted.
Microneedle applica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어 및 상기 가압부와 함께 회전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includes a lower plate for protecting the microneedle patch,
The lower plate is located under the microneedle patch when the microneedle patch is mounted on the applicato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gear and the pressing part.
Microneedle applicato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가압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개구부와 상기 가압부의 위치는 대응되며,
상기 제1 구동 메커니즘이 동작하면, 상기 가압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압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것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9,
The lower plate includes a pressure opening,
The positions of the pressing opening and the pressing por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driving mechanism oper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ed microneedle patch protrudes through the pressing opening.
Microneedle applicator.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영역에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위치하는 패치 전달부;
상기 패치 전달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정의되는 수용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및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압부와 대응되어 회전하는 가압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가압 개구부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보조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에 배치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와 접촉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을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인가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이 인가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직접 피부에 전달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In the microneedle applicator,
a patch delivery unit for positioning the microneedle patch in a pre-specified area;
A housing including an accommodating portion defined as a space accommodating the patch delivery unit and at least one opening; And
A pressing unit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microneedle patch,
The housing includes a pressing opening that rot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moves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When the pressing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pressing opening corresponds to an auxiliary area of the microneedle patch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When the pressing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pressing part contacts the microneedle patch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to apply the predetermined pressure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microneedle patch,
The microneedle patch to which the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is directly delivered to the skin through the opening.
Microneedle applicato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유저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trip for fixing the applicator to the user's body
Microneedle applicato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전달부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주사 가능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1
The patch delivery unit includes a cartridge,
The cartridge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needles,
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can be inject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icroneedle applicator.
제11 항에 있어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치 전달부 또는 상기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patch delivery unit and the pressing unit.
Microneedle applicator.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4,
The drive unit includes at least one motor
Microneedle applicator.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용량의 약물이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용량이 저장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유저의 피부에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 상기 패치전달부 또는 상기 가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4,
The microneedle patch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drug in at least a partial area,
The applicator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Th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driving unit, the patch delivery unit, and the pressing uni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having a preset capacity is injected into the user's skin.
Microneedle applica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6,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ressing unit to mov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o apply the preset pressure to the microneedle patch at the second position.
Microneedle applicator.
제11항에 있어서,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변위만큼 가압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econd pos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Microneedle applicator.
제11 항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가압하지 않고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노출되지 않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first position, the pressing unit does not press the microneedle patch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icroneedle patch is not exposed.
Microneedle applica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웨어러블 워치인 것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ccording to claim 11,
The applicator is a wearable watch
Microneedle applicator.
KR1020210022853A 2020-02-20 2021-02-19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Active KR102564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484A KR102722993B1 (en) 2020-02-20 2023-07-25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79224P 2020-02-20 2020-02-20
US62/979,224 2020-0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484A Division KR102722993B1 (en) 2020-02-20 2023-07-25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88A KR20210106388A (en) 2021-08-30
KR102564377B1 true KR102564377B1 (en) 2023-08-07

Family

ID=775022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853A Active KR102564377B1 (en) 2020-02-20 2021-02-19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KR1020230096484A Active KR102722993B1 (en) 2020-02-20 2023-07-25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484A Active KR102722993B1 (en) 2020-02-20 2023-07-25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43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9569B2 (en) * 2021-12-09 2024-04-30 Jubilee Biotech Co., Ltd. Microneedle cartridge
WO2023106693A1 (en) * 2021-12-09 2023-06-15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Microneedle cartri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230181820A1 (en) * 2021-12-13 2023-06-15 Jubilee Biotech Co., Ltd. Microneedle applicator
KR102733733B1 (en) * 2021-12-29 2024-11-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nicot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149A (en) * 2002-02-08 2005-08-25 ローズデイル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utonomous portable sample monitoring device or drug delivery device
JP4707929B2 (en) 2000-06-29 2011-06-2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ly collecting a substance from a patient or administering a substance to a patient
KR101746048B1 (en) * 2016-09-13 2017-06-12 주식회사 라파스 Microneedle patch applicator
CN206715039U (en) 2016-06-29 2017-12-08 莆田学院 A kind of intelligent drug delivery device based on microp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7929B2 (en) 2000-06-29 2011-06-2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ly collecting a substance from a patient or administering a substance to a patient
JP2005525149A (en) * 2002-02-08 2005-08-25 ローズデイル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utonomous portable sample monitoring device or drug delivery device
CN206715039U (en) 2016-06-29 2017-12-08 莆田学院 A kind of intelligent drug delivery device based on micropin
KR101746048B1 (en) * 2016-09-13 2017-06-12 주식회사 라파스 Microneedle patch appl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2993B1 (en) 2024-10-28
KR20210106388A (en) 2021-08-30
KR20230117073A (en)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377B1 (en) An applicator for drug injection and a micro-needle patch used therein
US12011562B2 (en) Cartridge and applicator for drug delivery and microneedle patch used therefor
EP2349412B1 (en) Medical assembly with monitoring device
US20190111276A1 (en) Light therapy bandage
JP6559072B2 (en) Rotation sensor module with axial switch
US20080009800A1 (en)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JP4480330B2 (en) Improvements to and related to infusion devices
EP2438957B1 (en) Dispenser components and methods for patient infusion device
JP6534666B2 (en) Rotational sensor assembly with space efficient design
US20170173318A1 (en) Multi-site injection system
JP7071366B2 (en) Multi-component sensor embedded in the plunger rod to acquire and transmit injection information
KR20160023787A (en) Manually actuated infusion device and dose counter
JP7440610B2 (en) Sensor components for continuous blood sugar measurement
JP3920771B2 (en) Drug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dosage accuracy
WO1997011742A1 (en)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disposable patch
JP2010502365A (en) Disposable injection device with automatic unlocking mechanism
KR102271338B1 (en) Micro needle applicator
CN109890438A (en) Data collection device attached to injection device
EP3784994B1 (en) Dosage tracking apparatus, dosage track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715900B1 (en) The smart cartridge and the smart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ump
KR102416062B1 (en) Microneedle Applicator
KR102532905B1 (en) Micro needle patch
JP2024536405A (en) Auxiliary Device for Drug Delivery Device - Patent application
KR20240156726A (en) 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liquid
KR20220032392A (en) 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