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4229B1 -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 Google Patents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229B1
KR102564229B1 KR1020210022239A KR20210022239A KR102564229B1 KR 102564229 B1 KR102564229 B1 KR 102564229B1 KR 1020210022239 A KR1020210022239 A KR 1020210022239A KR 20210022239 A KR20210022239 A KR 20210022239A KR 102564229 B1 KR102564229 B1 KR 10256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tor
coupled
coupling hol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616A (ko
Inventor
황봉식
Original Assignee
황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봉식 filed Critical 황봉식
Priority to KR102021002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2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2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6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D2260/3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날개부가 구비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을 수용하여 임펠러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모터부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후면부 및 상기 구동축의 전면부에는 각각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의 외측 및 하우징의 외측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제1연결부와 구동축의 제2연결부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하여 모터부를 본체부에 결합하며,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고정판의 제1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결합부를 해제하여 모터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교체가 용이한 직결형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DIRECTLY COUPLED AIR BLOWER WITH AN ASSEMBLY STRUCTURE THAT EASY TO REPLACEMENT OF THE MOTOR}
본 발명은 복수의 날개부가 구비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을 수용하여 임펠러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고정판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모터부;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후면부 및 상기 구동축의 전면부에는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기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닫힌 원통형 공간의 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축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에는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상기 제1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제1연결부와 구동축의 제2연결부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서로 대응되는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모터부를 본체부에 결합하며,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을 통해 결합된 볼트를 해제하여 상기 모터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교체가 용이한 직결형 송풍기를 개시한다.
송풍기란 임펠러를 이용하여 바람을 발생시키는 기계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유체 유동방향과 임펠러 회전방향의 일치 여부에 따라 축류 송풍기와 원심형 송풍기로 나뉜다. 이러한 송풍기는 컴퓨터의 냉각팬처럼 초소형 형태부터 공업용, 산업용 송풍기와 같이 크기와 용량이 큰 대형까지 그 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생산된다.
여기서 공업용, 산업용 송풍기는 그 용량이 커서 넓은 공간에 적용되며 한번 가동하면 전원을 상시로 공급하여 거의 정지하지 않고, 대상 유체가 오염된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송풍기보다 모터의 수명이 적을 수밖에 없다.
공업용, 산업용 송풍기의 모터에 이상이 있을 때, 송풍기 자체를 교체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상이 있는 모터를 탈거하여 수리하거나 새로운 모터로 교환하여 모터와 관계없는 부품들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송풍기는 모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송풍기를 설치 위치로부터 분리한 후에, 송풍기의 틀, 임펠러, 고정장치 등 대부분의 부품을 해체하고 모터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공업용이나 산업용의 대형 송풍기의 경우는 그 대상공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송풍기의 설치위치가 매우 높은 경우가 많아 모터 교체 과정이 복잡하고 위험하다.
이처럼 송풍기의 모터 교체는 자주 이루어져야 하지만 송풍기의 위치 때문에 작업대 위로 올라가거나, 외부에서 고소 차량을 이용해야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2-0097466호(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구조) 및 공개특허 제10-2006-0098272호(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송풍기의 모터를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개조하고, 모터의 지지구조 및 벨트의 장력조절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더라도 송풍기 본체에서 모터를 멀어지게 하더라도 유의미하게 모터의 위치를 사용자가 접근하기 쉬운 곳으로 옮기는 것이 어렵고, 오히려 벨트로 인해 조립, 분해가 복잡해지며, 벨트의 장력 조절에 관한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동력전달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져 효율이 떨어지고 벨트가 마모되어 주기적으로 벨트를 교환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공개특허 제10-2002-0097466호 :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구조 공개특허 제10-2006-0098272호 : 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대형 송풍기의 모터의 수명이 다했을 때, 모터만을 교체하여 송풍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송풍기의 모터를 교체하고자 할 때, 이전의 방식들보다 간단하고 쉽게 모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형 송풍기의 모터를 송풍기의 연결을 별개의 부품 없이 직결형으로 구성하여 모터의 동력손실을 줄여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모터교체가 용이한 직결형 송풍기는 복수의 날개부가 구비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와,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을 수용하여 임펠러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고정판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모터부;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후면부 및 상기 구동축의 전면부에는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기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이 개방되고 하부가 닫힌 원통형 공간의 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수용부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축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에는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상기 제1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제1연결부와 구동축의 제2연결부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서로 대응되는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모터부를 본체부에 결합하며,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을 통해 결합된 볼트를 해제하여 상기 모터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가 특정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3결합편과 상기 제3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3결합공을 포함하는 제3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3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결합편과 상기 제4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4결합공을 포함하는 제4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3결합공과 제4결합공을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대응되는 제3결합공 및 제4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고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결합편과 상기 제4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4결합공을 포함하는 제4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 및 제4결합공을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1결합공, 제2결합공 및 제4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 고정판 및 하우징을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기의 모터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에서 대형 송풍기를 설치하고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에 관련한 송풍기 유지보수 작업이 이전보다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기의 모터를 벨트 등을 이용하여 간접 연결하는 기존 제품에 비해 동력손실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를 이용한 모터 동력전달방식을 사용하는 송풍기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일부 위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부와 모터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회전축, 베어링, 고정판 조립사시도 및 고정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임펠러와 회전축 조립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축, 구동축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판과 하우징의 연결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기(10)는 크게 본체부(100)와 모터부(200)로 나뉘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복수의 날개부가 구비된 임펠러(110)와, 상기 임펠러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130)과,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을 수용하여 임펠러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140)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50)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구동축(2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후면부 및 상기 구동축의 전면부에는 각각 제1연결부(121) 및 제2연결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의 외측 및 하우징의 전면 외측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211)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제1연결부와 구동축의 제2연결부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하여 모터부를 본체부에 결합하며,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고정판의 제1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결합부를 해제하여 모터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부(200)는 모터, 구동축(220) 및 하우징(21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임펠러(110), 회전축(120), 베어링(130), 고정판(140) 및 지지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송풍기(10)에 회전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이며,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210)으로 모터를 보호하고, 상기 모터와 다른 부품들을 쉽게 조립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연결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20)이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판(14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부이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원통형 공간의 베어링수용부(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수용부(142)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1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20)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 홀인 축삽입구(143)가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142)의 하부는 상기 축삽입구(143)를 제외하고는 막혀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수용부(142)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원통형 부품이 상기 베어링수용부(142)의 하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0)은 상기 임펠러(110)의 중앙과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110)가 회전하는 축이 된다.
상기 회전축(120)을 고정판의 상기 축삽입구(143)에 삽입했을 때 상기 회전축(120)이 상기 축삽입구(143)를 통해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단부는 상기 회전축(12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더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20)이 상기 축삽입구(143)에 삽입되면, 상기 머리부(122)의 하부가 상기 축삽입구(143)의 상면에 안착된다.
또한, 내경은 상기 회전축의 머리부(122)의 외경과 일치하고, 외경은 상기 베어링수용부(142)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130)이 상기 회전축의 머리부(122)에 끼워맞춤 되어, 상기 회전축(120)이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130)이 상기 베어링수용부(142)와 끼워맞춤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120)이 상기 고정판(14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30)과 상기 베어링(130)이 조립된 상기 회전축(120)이 상기 베어링수용부(142)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축(120)의 머리부는 상기 베어링수용부에 수납되며, 상기 축삽입구(143)를 통해 회전축의 타단부가 빠져나온다.
또한, 상기 베어링(130)이 상기 회전축의 머리부(122)에 끼워맞춤 될 때, 상기 베어링(130)이 상기 머리부(122)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머리부(122)의 단부에 상기 머리부(122)보다 직경을 증가시킨 일정 두께의 단턱(122a)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을 상기 베어링(130)에 위에서 아래로 끼우면 상기 베어링(130)에 상기 단턱(122a)이 걸려 상기 베어링(130)이 상기 회전축의 머리부에서 위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고정판(140)에 상기 회전축(1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베어링(130)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2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20)의 타단부는 상기 임펠러(110)의 중앙과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110)가 회전하는 축이 된다.
상기 임펠러(110)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는 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력을 공급받으면 유체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임펠러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의 중앙은 상기 회전축(120)과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120)과 임펠러(110)는 상기 회전축(120)의 끝과 상기 임펠러(110)이 중앙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0)은 상기 임펠러(110)의 중앙과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축이 되며, 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121)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축(220)의 제2연결부(22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200)로 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21) 및 제2연결부(22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워진다.
즉, 상기 제1연결부(121)가 특정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221)는 상기 제1연결부(121)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1)와 제2연결부(221)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그 모양이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중앙에 돌출된 장방형과 장방형의 홈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의 원통형 돌기와 복수 개의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121) 및 제2연결부는 다른 조립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끼워맞춤하여 조립하며,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221)를 빼는 것만으로도 쉽게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21)와 제2연결부(221)를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부(200)를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211)를 형성한다.
상기 제1결합부(141)는 상기 고정판(140)의 외측에 복수 개의 제1결합편(141a)을 구비하고, 상기 제2결합부(211)는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 외측에 상기 제1결합편(141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편(211a)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편(141a) 및 제2결합편(211a)의 중앙에는 각각 제1,2결합공(141b,211b)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141b)과 제2결합공(211a)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21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1)에는 삽입되는 볼트의 머리 또는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너트자리홈(141c)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50)은 상기 송풍기(10) 전체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지지프레임(150)은 상기 임펠러(1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과 같이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동심원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원형프레임(152)과, 상기 다수 개의 원형프레임(152)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원형프레임의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뻗는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153)과, 가장 외측의 원형프레임의 원주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150)을 천장, 바닥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5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50)의 원형프레임은 상기 고정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원 형태의 프레임으로, 다수개를 동심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10)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50)과 상기 고정판(14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3결합부(144) 및 제4결합부(151)를 형성한다.
상기 제3결합부(144)는 상기 고정판(140)의 외측에 복수 개의 제3결합편(144a)을 구비하고,상기 제4결합부(151)는 상기 지지프레임(150)의 연결프레임(153) 단부에 상기 제3결합편(144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4결합편(151a)을 포함하고, 상기 제3결합편(144a) 및제4결합편(151a)의 중앙에는 각각 제3,4결합공(144b,151b)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3결합공(144b)과 제4결합공(151b)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3결합공 및 제4결합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3결합부(144)와 제4결합부(151)를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송풍기(10)는 상기 고정판(140)을 통해 상기 본체부(100)과 모터부(200)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기(10)에서 상기 모터부(200)만을 손쉽게 탈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와 모터부(200)를 연결할 때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끼워맞춤 한 후, 상기 제1결합부(141)와 상기 제2결합부(211)를 볼트연결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와 모터부(200)의 연결을 해제할 때는, 상기 제1결합부(141)와 상기 제2결합부(211)의 볼트연결을 해제하고, 끼워맞춤 되어있는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빼내면, 상기 본체부(100)의 고정판(140)에 상기 회전축 및 임펠러는 결합되어있는 상태로 상기 모터부(200)만을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141)와 상기 제2결합부(211) 및 제4결합부(151)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공, 제2결합공 및 제4결합공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1,2,4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 하우징 및 지지프레임을 하나의 볼트에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고정판(140)의 구조를 더욱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41b)과 제4결합공(151b)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1,4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140)과 지지프레임(15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211)의 제2결합공(211b)을 상기 볼트에 끼워 상기 고정판(140)과 하우징(210)을 고정하고, 상기 제2결합부(211)를 상기 볼트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체부(100)와 모터부(200)를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141)와 제4결합부(151)는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결합부(141)와 상기 제2결합부(211)를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부와 본체부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판(140)의 제1결합부(141)에 너트자리홈(141c)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부와 제4결합부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제2결합부의 제2결합공을 볼트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와 하우징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와 제4결합부를 고정하는 너트는 상기 너트자리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제4결합부를 고정한 후에 제2결합부를 고정할 때, 도 9a에서와 같이 결합되는 너트에 의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아 축 연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공(141b)과 제4결합공(151b)의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볼트를 삽입하면서 상기 너트자리홈(141c)에 너트가 수용된 상태로 체결하여 도 9b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면,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제4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본체부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모터부만을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너트자리홈(141c)은 도 9a,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판(140)에 제1결합부(141)가 형성된 경우에 구비되며, 도 4b와 같이 상기 고정판(140)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풍기의 모터에 이상이 있을 때, 상기 송풍기의 임펠러(110)를 분해할 필요 없이, 상기 모터부(200)만을 손쉽게 탈거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모터를 교체하거나 수리한 후 다시 본체부(100)에 상기 모터부(200)를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직결식 연결은 기존에 벨트를 이용한 구동방식보다 동력손실이 적어 효율이 좋고, 벨트와 같은 소모성 부품이 들어가지 않아 송풍기를 오래 이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가 예방되고,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또한, 산업용, 공업용 송풍기의 경우 일반적인 송풍기와 달리 상시로 구동되고, 구동 환경이 좋지 않아 송풍기 모터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직결형으로 이루어져 동력 손실이 적고, 벨트와 같은 소모성 부품이 없으며, 모터의 교체 주기에 맞춰 모터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치한 송풍기를 오래 이용할 수 있다.
10 : 송풍기 100 : 본체부 200 : 모터부
110 : 임펠러
120 : 회전축
121 : 제1연결부 122 : 머리부 121a : 단턱
130 : 베어링
140 : 고정판
141 : 제1결합부 141a : 제1결합편 141b : 제1결합공
141c : 너트자리홈
142 : 베어링수용부 143 : 축삽입구
144 : 제3결합부 144a : 제3결합편 144b : 제3결합공
150 : 지지프레임
151 : 제4결합부 151a : 제4결합편 151b : 제4결합공
152 : 원형프레임 153 : 연결프레임 154 : 수직프레임
210 : 하우징
211 : 제2결합부 211a : 제2결합편 211b : 제2결합공
220 : 구동축 221 : 제2연결부

Claims (6)

  1. 복수의 날개부가 구비된 임펠러(110)와, 상기 임펠러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130)과,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을 수용하여 임펠러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140)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50)을 포함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고정판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구동축(220)을 포함하는 모터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후면부 및 상기 구동축의 전면부에는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121) 및 제2연결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4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기 베어링(130)이 이탈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닫힌 원통형 공간의 베어링수용부(142)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수용부(142)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1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축삽입구(14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에는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편(141a)과 상기 제1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141b)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14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에는 상기 제1결합편(1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결합편(211a)과 상기 제2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211b)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211)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제1연결부와 구동축의 제2연결부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공(141b)과 제2결합공(211b)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서로 대응되는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모터부를 본체부에 결합하며,
    상기 모터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제1결합공(141b)과 제2결합공(211b)을 통해 결합된 볼트를 해제하여 상기 모터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교체가 용이한 직결형 송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121) 및 제2연결부(221)는,
    상기 제1연결부(121)가 특정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221)는 상기 제1연결부(121)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교체가 용이한 직결형 송풍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3결합편(144a)과 상기 제3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3결합공(144b)을 포함하는 제3결합부(144)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50)의 상부에는 상기 제3결합편(14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결합편(151a)과 상기 제4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4결합공(151b)을 포함하는 제4결합부(151)가 구비되어,
    상기 제3결합공(144b)과 제4결합공(151b)을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대응되는 제3결합공 및 제4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50)에 상기 고정판(1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교체가 용이한 직결형 송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50)의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편(1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결합편(151a)과 상기 제4결합편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4결합공(151b)을 포함하는 제4결합부(1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공(141b)과, 제2결합공(211b) 및 제4결합공(151b)을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1결합공, 제2결합공 및 제4결합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 고정판 및 하우징을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교체가 용이한 직결형 송풍기.
KR1020210022239A 2021-02-19 2021-02-19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Active KR10256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39A KR102564229B1 (ko) 2021-02-19 2021-02-19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39A KR102564229B1 (ko) 2021-02-19 2021-02-19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16A KR20220118616A (ko) 2022-08-26
KR102564229B1 true KR102564229B1 (ko) 2023-08-04

Family

ID=8311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239A Active KR102564229B1 (ko) 2021-02-19 2021-02-19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2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54Y1 (ko) * 2005-04-11 2005-06-21 강태선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
US20120237373A1 (en) * 2011-03-17 2012-09-20 Yue Li Blow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466A (ko) 2001-06-21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구조
KR20050064192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모터의 브래킷
KR20060094205A (ko) * 2005-02-23 2006-08-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디셔너의 블로워팬 고정장치
KR20060098272A (ko) 2005-03-11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54Y1 (ko) * 2005-04-11 2005-06-21 강태선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
US20120237373A1 (en) * 2011-03-17 2012-09-20 Yue Li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16A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181B2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18532059A (ja) 渦巻ファン組立構造及び据置型空気調和機
EP3617525B1 (en) Impell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for same
CN104913386A (zh) 室内机
KR102564229B1 (ko) 모터교체가 쉬운 직결형 송풍기
EP3767193B1 (en) Air duct assembly with fan blade support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US20080292455A1 (en) Centrifugal air blower
CN212274105U (zh) 一种风机组件及空调器
CN208012025U (zh) 用于风叶的风叶支撑组件、风道组件及空调器
US3306527A (en) Centrifugal blower and mounting means therefor
US10208766B2 (en) Pre-assembled blade for fans for cooling the coolant in machines/vehicles and fan provided with said blade
CN215861381U (zh) 离心式空气压缩机的主轴轴承装卸结构
CN221423544U (zh) 一种卧式风机用风机叶轮
CN220791573U (zh) 一种环保型风机叶轮
CN219733695U (zh) 风扇
CN114659169B (zh) 空调室内机
CN217462594U (zh) 一种便于维修的引风机
JP201816559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0594304C (zh) 马达的强制散热结构
CN220470299U (zh) 一种便于拆装的散热风机防护罩
US12215711B1 (en) Carwash vacuum motor
KR200492899Y1 (ko) 극대화된 냉각효율의 베어링커버를 갖춘 블로워
KR100787500B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장치
JP2013188707A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CN209856061U (zh) 一种罩极式交流离心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