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3143B1 -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143B1
KR102563143B1 KR1020220087548A KR20220087548A KR102563143B1 KR 102563143 B1 KR102563143 B1 KR 102563143B1 KR 1020220087548 A KR1020220087548 A KR 1020220087548A KR 20220087548 A KR20220087548 A KR 20220087548A KR 102563143 B1 KR102563143 B1 KR 10256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unit
filter
flow path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우
김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환경기기시험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환경기기시험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환경기기시험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1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서로 분리된 제1가스유동경로 및 제2가스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배기가스 발생원으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 공급하는 필터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각을 수행하는 분무유닛, 상기 분무유닛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정전기를 발생시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유닛, 상기 정전유닛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로 유동시키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 유동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with Its Own Heat Exchange Method}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 과정을 거치기 전의 배기가스와 정화 과정을 거친 배기가스 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흰 연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 수증기가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흰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은 겨울철 등과 같이 배기가스가 발생하는 기계장치의 내부와 외부 온도 차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 자주 나타나게 된다.
종래에는 배기가스로부터 흰 연기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배기가스를 직접 가열함에 따라 연기의 상태점을 변화시켜 상대 습도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대량의 증기나 기타 에너지를 소비하여 배기가스를 가열하여아 하므로, 그 비용이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가열된 배기가스는 처리 직후 그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그대로 배출 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며, 또한 이 과정을 통해 낭비되는 에너지는 최근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791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흰 연기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서로 분리된 제1가스유동경로 및 제2가스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배기가스 발생원으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 공급하는 필터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각을 수행하는 분무유닛, 상기 분무유닛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정전기를 발생시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유닛, 상기 정전유닛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로 유동시키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 유동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필터에 충격을 인가하여 상기 제1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이물질 분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천장에 상단이 고정되는 진자 로프 및 상기 진자 로프의 하단에 고정되는 진자 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1수용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하우징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파이프 및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제1필터에서 탈락되어 상기 경사파이프를 따라 미끄러진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부로 유동시키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물을 분무하는 분무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제2필터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주입펌프 및 상기 주입펌프와 상기 분무파이프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무파이프 측으로 물을 유동시키는 주입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분무파이프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속도를 저하시키는 복수 개의 차단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로드는 서로 수평하게 이격되되록 배열되어 하나의 단위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단위그룹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그룹은 상기 차단로드가 서로 수직하게 엇갈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의 내면에는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의 가스 유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열전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정화 과정을 거치기 전 고온의 배기가스와 정화 과정을 거친 저온의 배기가스 간 자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흰 연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에 따라 처리 과정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더불어 처리 과정을 거친 배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지 않으므로 대기에 주는 영향을 극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분무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분무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본체(100), 필터유닛(200), 분무유닛(300), 정전유닛(400), 연결파이프(400) 및 가스배출유닛(500)을 포함한다.
소정의 기계장치 등으로부터 배기가스는 먼저 필터유닛(200)으로 유입되며, 이후 배기가스는 본체(100)를 거쳐 분무유닛(300)로 유동된 후 정전유닛(400) 및 연결파이프(450)를 거쳐 다시 본체(100)로 유입되고, 이는 가스배출유닛(500)을 통해 굴뚝(600) 등의 설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본체(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서로 분리된 제1가스유동경로(110) 및 제2가스유동경로(120)가 형성된다.
이때 제1가스유동경로(110)를 통해서는 필터유닛(200)을 거쳐 정화된 배기가스가 유입되어 분무유닛(300) 측으로 유동되고, 제2가스유동경로(120)를 통해서는 정전유닛(400) 및 연결파이프(400)를 거쳐 정화된 배기가스가 유입되어 가스배출유닛(5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스유동경로(11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 자체로 이루어지며, 제2가스유동경로(12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1가스유동경로(11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와 제2가스유동경로(12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제1가스유동경로(11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의해 제2가스유동경로(12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가열이 이루어져 배기가스에 포함된 흰 연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가스유동경로(120)의 내면에는 제2가스유동경로(120)의 배기가스 유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열전달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열전달부(121)는 열 전도율이 높은 특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가스유동경로(110)와 제2가스유동경로(120) 사이에서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열전달부(121)의 형태는 방열핀,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가 내장된 시트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닛(200)은 본체(100)에 연결되며, 배기가스 발생원으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를 필터링하여 전술한 제1가스유동경로(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유닛(200)은 내부에 제1수용공간(211)이 형성된 제1하우징(210)과, 제1수용공간(211) 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220)와, 이와 같은 제1필터(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제1필터(220)에 충격을 인가하여 제1필터(220)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이물질 분리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배기가스 발생원과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파이프(205)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필터(220)는 제1하우징(210)의 상부를 통해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용이하게 교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1수용공간(211) 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수용공간(211)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물질 분리수단(230)은 제1수용공간(211)에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공간 측에 구비되며, 제1수용공간(211)의 천장에 상단이 고정되는 진자 로프(231) 및 진자 로프(231)의 하단에 고정되는 진자 볼(232)을 포함한다.
즉 이물질 분리수단(230)은 진자 볼(232)의 진자 운동을 통해 진자 볼(232)이 제1필터(220)의 소정 위치를 타격하도록 하여 제1필터(220)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방식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예서 필터유닛(200)은 제1수용공간(2111)과 연통되고, 제1하우징(210)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파이프(240)와, 이물질 분리수단(230)에 의해 제1필터(220)에서 탈락되어 경사파이프(240)를 따라 미끄러진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박스(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물질 분리수단(230)에 의해 제1필터(220)로부터 탈락되어 낙하한 분진 등을 비롯한 이물질은 수집박스(250)로 미끄러져 모이게 되고, 이는 이후 폐기 과정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210)의 바닥부는, 제1수용공간(211)에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공간 측이 경사파이프(240)와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물질을 보다 원활하게 수집박스(25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분무유닛(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유닛(300)은 본체(100)에 연결되어 제1가스유동경로(110)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각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무유닛(300)은 제1가스유동경로(110)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부로 유동시키는 제2수용공간(311)이 형성된 제2하우징(310)과, 제2수용공간(311) 내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필터(320)와, 제2수용공간(31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물을 분무하는 분무파이프(330)를 포함한다.
즉 분무유닛(300)은 제1가스유동경로(110)에서 제2수용공간(311)의 중단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부로부터 냉각수를 분무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잔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동시에, 배기가스의 냉각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배기가스를 냉각 후 재가열할 경우, 배기가스에 포함된 흰 연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무파이프(330)에서 분사된 냉각수 및 배기가스로부터 분리된 잔여 이물질은 제2필터(320)를 통화하여 제2수용공간(311)의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제2필터(320)를 통한 물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예서 분무유닛(300)은, 제2수용공간(311) 내에서 제2필터(320)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주입펌프(340) 및 주입펌프(340)와 분무파이프(33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분무파이프(330) 측으로 물을 유동시키는 주입파이프(350)를 더 포함하여, 물의 지속적인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분무유닛(300)은, 분무파이프(3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속도를 저하시키는 복수 개의 차단로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로드(360)는 배기가스가 상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해하여 제2수용공간(311) 내에 오랜 시간 정체되도록 한다.
그리고 차단로드(360)는 서로 수평하게 이격되되록 배열되어 하나의 단위그룹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단위그룹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그룹은 차단로드(360)가 서로 수직하게 엇갈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상과 같이 분무유닛(300)에 의해 냉각된 배기가스는 이후 정전유닛(400) 측으로 유동된다. 정전유닛(400)은 분무유닛(30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정전기를 발생시켜 배기가스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전유닛(400)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연결파이프(450)에 의해 본체(100)의 제2가스유동경로(120)로 유동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 내에서 제1가스유동경로(110)로 유동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흰 연기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제2가스유동경로(12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가스배출유닛(500)에 의해 굴뚝(600) 등의 시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정화 과정을 거치기 전 고온의 배기가스와 정화 과정을 거친 저온의 배기가스 간 자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흰 연기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처리 과정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더불어 처리 과정을 거친 배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지 않으므로 대기에 주는 영향을 극히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유닛(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필터유닛(200)의 이물질 분리수단(230)이 제1수용공간(211)에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공간 측에 구비되며, 제1수용공간(211)의 천장에 상단이 고정되는 진자 로프(231) 및 진자 로프(231)의 하단에 고정되는 진자 볼(232)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제1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자석(235)을 더 포함하며, 진자 볼(232)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전자석(235)에 대한 자기력에 영향을 받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전자석(235)에 전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도 7과 같이 진자 볼(232)이 전자석(235) 측으로 끌려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진자 볼(232)의 위치에너지는 진자 운동으로 변환되어 제1필터(220)를 타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진자 운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진자 로프(231)의 상단이 고정되는 위치는 제1수용공간(211)에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공간 측을 기준으로 제1필터(220)에 보다 가까운 위치일 수 있다.
즉 진자 로프(231)와 제1하우징(210)의 내벽까지의 거리(d1)를 진자 로프(231)와 제1필터(220)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하여, 진자 볼(232)이 전자석(235)에 의해 끌려간 상태에서 진자 로프(231)가 수직 가상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θ1)가 진자 볼(232)이 제1필터(220)제 접촉되는 순간에 진자 로프(231)가 수직 가상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θ2)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1필터(220)의 타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유닛(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도 8은 필터유닛(200)에 구비되는 제1필터(22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터유닛(200)은 진자 로프(231) 및 진자 볼(232)을 포함하는 이물질 분리수단(230)이 복수 개가 구비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각각의 이물질 분리수단(230)은 진자 로프(231)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필터(220)의 다양한 위치를 타격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제1필터(220)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각각의 진자 볼(232)에 대응되는 전자석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전자석들을 개별 제어하여 진자 볼(232)을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분무유닛(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경우, 분무유닛(300)은 제2수용공간(311)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필터를 생성하는 에어필터생성모듈(370)을 더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에어필터생성모듈(370)은 배기가스에 대한 냉각 처리를 보다 오랜 시간 수행해야 할 경우 작동되어,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기가스가 상부로 진행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분무유닛(300)은 제2수용공간(311)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필터생성모듈(370)은 제2수용공간(311) 내의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으로 떨어지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배기가스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본체
110: 제1가스유동경로
120: 제2가스유동경로
121: 열전달부
200: 필터유닛
205: 유입파이프
210: 제1하우징
211: 제1수용공간
220: 제1필터
230: 이물질 분리수단
231: 진자 로프
232: 진자 볼
235: 전자석
240: 경사파이프
250: 수집박스
300: 분무유닛
310: 제2하우징
311: 제2수용공간
320: 제2필터
330: 분무파이프
340: 주입펌프
350: 주입파이프
360: 차단로드
370: 에어필터생성모듈
400: 정전유닛
450: 연결파이프
500: 가스배출유닛
600: 굴뚝

Claims (10)

  1. 서로 분리된 제1가스유동경로 및 제2가스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배기가스 발생원으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 공급하는 필터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배기가스에 대해 냉각수를 분무하여 냉각을 수행하는 분무유닛;
    상기 분무유닛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정전기를 발생시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유닛;
    상기 정전유닛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로 유동시키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제2가스유동경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 유동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파이프;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 및
    상기 유입파이프와 제1필터 사이에 구비된 이물질 분리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천장에 상단이 고정되는 진자 로프; 및
    상기 진자 로프의 하단에 고정되는 진자 볼;
    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은 상기 유입파이프로부터 유입된 가스에 의해 진자운동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자 볼은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1수용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하우징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파이프; 및
    상기 이물질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제1필터에서 탈락되어 상기 경사파이프를 따라 미끄러진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박스;
    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제1가스유동경로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부로 유동시키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물을 분무하는 분무파이프;
    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제2필터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주입펌프; 및
    상기 주입펌프와 상기 분무파이프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무파이프 측으로 물을 유동시키는 주입파이프;
    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분무파이프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속도를 저하시키는 복수 개의 차단로드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로드는 서로 수평하게 이격되되록 배열되어 하나의 단위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단위그룹은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그룹은 상기 차단로드가 서로 수직하게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제2수용공간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필터를 생성하는 에어필터생성모듈;
    상기 제2수용공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필터생성모듈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2수용공간 내의 온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작동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0220087548A 2022-07-15 2022-07-15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Active KR10256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48A KR102563143B1 (ko) 2022-07-15 2022-07-15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48A KR102563143B1 (ko) 2022-07-15 2022-07-15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143B1 true KR102563143B1 (ko) 2023-08-03

Family

ID=8756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548A Active KR102563143B1 (ko) 2022-07-15 2022-07-15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14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310A (ja) * 1994-11-29 1996-06-11 Takuriyuu Kinzoku:Goushi 簡易集塵機
KR0182256B1 (ko) * 1996-05-06 1999-04-15 박문찬 배기가스 내지 오염공기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1129340A (ja) * 1999-10-29 2001-05-15 Amano Corp 集塵機用フイルター装置及びフイルター用除塵装置
KR200357919Y1 (ko) 2004-05-14 2004-07-30 백병찬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JP2006266179A (ja) * 2005-03-24 2006-10-05 Isuzu Motors Ltd 排気ガス処理装置及び排気ガス処理方法
KR20100096487A (ko) * 2009-02-24 2010-09-02 최쌍석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
KR20130068927A (ko) * 2011-12-16 2013-06-26 강소희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16083B1 (ko) * 2017-08-17 2019-01-30 안강일 내구성이 향상된 화력발전시설의 가스가스열교환기
KR20190027589A (ko) * 2017-09-07 2019-03-15 윤석준 배기가스 정화장치
CN111701431A (zh) * 2020-05-06 2020-09-25 赵春波 船舶废气脱硫组件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310A (ja) * 1994-11-29 1996-06-11 Takuriyuu Kinzoku:Goushi 簡易集塵機
KR0182256B1 (ko) * 1996-05-06 1999-04-15 박문찬 배기가스 내지 오염공기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1129340A (ja) * 1999-10-29 2001-05-15 Amano Corp 集塵機用フイルター装置及びフイルター用除塵装置
KR200357919Y1 (ko) 2004-05-14 2004-07-30 백병찬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JP2006266179A (ja) * 2005-03-24 2006-10-05 Isuzu Motors Ltd 排気ガス処理装置及び排気ガス処理方法
KR20100096487A (ko) * 2009-02-24 2010-09-02 최쌍석 가스-슬러리 접촉 트레이식 에너지 절약형 유황산화물 제거장치
KR20130068927A (ko) * 2011-12-16 2013-06-26 강소희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16083B1 (ko) * 2017-08-17 2019-01-30 안강일 내구성이 향상된 화력발전시설의 가스가스열교환기
KR20190027589A (ko) * 2017-09-07 2019-03-15 윤석준 배기가스 정화장치
CN111701431A (zh) * 2020-05-06 2020-09-25 赵春波 船舶废气脱硫组件
CN111701431B (zh) 2020-05-06 2021-01-26 赵春波 船舶废气脱硫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7030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rening av gaser innehaollandefasta och gasformiga foeroreningar
US4900341A (en) Purification system
KR101127626B1 (ko) 습식정화장치
US61102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particulates and corrosive gases from a gas stream
CN109395882B (zh) 一种除尘换热消白设备及系统
SE425219B (sv) Sett och anordning att rena en forsmutsad gas, exempelvis procrssfranluft, och att dervid styra temperaturen och relativa fuktigheten
KR20170084132A (ko) 액체의 체적을 통해 가스 흐름을 생성 및 처리하는 장치와, 상기 장치를 실행하는 설비 및 방법
KR101126022B1 (ko) 백연제거장치
US95333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ercury from a gas stream
KR102563143B1 (ko)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076249B1 (ko) 용액을 냉각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2531343Y2 (ja) 除塵装置
KR101925745B1 (ko) 집진장치
KR101943914B1 (ko) 습식정화 필터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KR101964795B1 (ko)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JP3183899B2 (ja) 吹上げ型空気清浄装置
WO2011037379A2 (ko) 습식정화장치
SE526864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vskiljning av föroreningar ur ett gasflöde
CN208990410U (zh) 一种具有蒸汽加热功能的除尘器
CN219091539U (zh) 水幕冲激式除雾消白除尘设备
CN208574246U (zh) 水汽捕捉装置
CN205048997U (zh) 一种尾气处理装置
CN222911682U (zh) 火电厂锅炉飞灰回用设备
CN211801638U (zh) 线管式静电净化器
KR102167675B1 (ko) 냉각봉 세척이 가능한 제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