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855B1 - Boundary stone having adhesion layer of boundary stone for reconstruction at ascon repavement - Google Patents
Boundary stone having adhesion layer of boundary stone for reconstruction at ascon repav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2855B1 KR102562855B1 KR1020220018842A KR20220018842A KR102562855B1 KR 102562855 B1 KR102562855 B1 KR 102562855B1 KR 1020220018842 A KR1020220018842 A KR 1020220018842A KR 20220018842 A KR20220018842 A KR 20220018842A KR 102562855 B1 KR102562855 B1 KR 102562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stone
- layer
- bonding layer
- porous
- ro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NJLLQSBAHIKGKF-UHFFFAOYSA-N dipotassium dioxido(oxo)titanium Chemical compound [K+].[K+].[O-][Ti]([O-])=O NJLLQSBAHIKGK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910 alkali metal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384 asphal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21426 por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868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927 oxy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111 Potass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15 Sod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15 aggre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80 amino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4 clay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64 hum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7 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AZHGORSDKKUPI-UHFFFAOYSA-N lithium metasilicate Chemical compound [Li+].[Li+].[O-][Si]([O-])=O PAZHGORSDKKU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2 lith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3 potass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NHHDJVEYQHLHG-UHFFFAOYSA-N potass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K+].[K+].[O-][Si]([O-])=O NNHHDJVEYQHL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3 potass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1 sod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courses of different kind made in situ
- E01C7/325—Joining different layers, e.g. by adhesive layers; Intermediate layers, e.g. for the escape of water vapour, for spreading str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4—Carb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09D195/005—Aqueous compositions, e.g. emul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2—Emulsions, e.g. oil in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콘 재포장과 더불어 도로경계석을 재시공할 때, 보강 및 방수가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계석 접합층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st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d boundary stone including a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for sufficient reinforcement and waterproofing when the road boundary stone is reconstructed together with asphalt concrete resurfacing.
일반적으로, 포장도로는 상부로부터 표층, 기층, 노반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데, 표층과 기층은 아스팔트와 골재 또는 필러 등을 가열 또는 상온에서 혼합하여 포설되고 다짐된 것이다. 상기 아스콘은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의 혼합물로써,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KS F 2349규격) 이외에 상온 아스팔트(asphalt), 재생 아스팔트, HMA(hot mix asphalt) 등이 있다. 포장도로는 차량통행, 기후 및 환경변화 등으로 파손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부분적인 보수를 하는 재포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포장도로는 유지관리에 따라 수명주기가 달라지므로, 재포장을 위하여 적절한 시기와 공법이 선정된다. In general, a paved road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surface layer, a base layer, and a road bed from the top, and the surface layer and the base layer are paved and compacted by heating or mixing asphalt and aggregate or filler at room temperature. The asphalt concrete is a mixture of asphalt and concrete, and includes room temperature asphalt, recycled asphalt, HMA (hot mix asphalt),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heated asphalt mixture (KS F 2349 standard). Since paved roads are damaged due to vehicle traffic,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repavement is being carried out with partial repair at an appropriate time. Since the life cycle of paved roads varies depending on maintenance, the appropriate time and construction method are selected for resurfacing.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경계석 및 보도와 단지 등을 구분하는 경계석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도로경계석은 국내등록특허 제10-0785311호 등에서와 같이 기반으로 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콘크리트 기반은 시공불량, 물리적인 손상, 철근부식 및 충격 등으로 인한 성능저하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구조적인 크랙(structural crack)과, 소성수축 및 침하, 건조수축, 동결융해 등의 비구조적인 크랙(nonstructural crack)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기반의 열화요인은 통기성, 투수성 및 흡수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예컨대, 상기 콘크리트 기반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증발되지 못하며, 도로경계석의 하부에 잔류한다. 상기 잔류하는 수분에 의해 콘크리트 기반의 부식이 진행되면, 콘크리트의 열화가 일어난다. The road boundary stone is divided into a boundary stone that separates the driveway and the sidewalk, and a boundary stone that separates the sidewalk and the complex. The road boundary stone is installed on concrete, which is mainly used as a foundation,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85311. However, the concrete foundation has structural cracks resulting from poor construction, physical damage,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due to corrosion of reinforcing bars and impact, and non-structural cracks such as plastic shrinkage and settlement, drying shrinkage, freeze-thaw, etc. Cracks (nonstructural cracks) occur. On the other hand, the deterioration factors of the concrete base are deeply related to air permeability, water permeability and absorbency. For example, moisture generated from the concrete base does not evaporate and remains at the bottom of the curbstone. When the corrosion of the concrete base proceeds due to the remaining moisture, the deterioration of the concrete occu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경계석과의 부착력을 유지하고, 콘크리트 기반의 중성화가 방지하고 표면이 강화되며, 콘크리트 기반의 부식을 방지하고, 장기간 동안 치밀성을 계속 유지하여 수분 및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여 증기압에 의한 부풀음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아스콘 재포장에서의 재시공을 위한 경계석 접합층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dhesion with the road boundary stone, prevent neutralization of the concrete base, strengthen the surface, prevent corrosion of the concrete base, and maintain the dens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and air. It is to provide a road boundary stone including a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for re-construction in asphalt concrete resurfacing to prevent swelling due to vapor pressure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스콘 재포장에서의 재시공을 위한 경계석 접합층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은 아스콘 재포장에서 기반과 도로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석 접합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아스팔트 미립자, 유화제 및 안정제를 포함하여 용액 중에 분산된 에멀젼층을 포함하고, 옹기다공체를 포함하며, 상기 옹기다공체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층 전체중량에 대하여 1~5중량%를 포함한다.The road boundary stone including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for re-construction in the asphalt resurfacing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located between the base and the road boundary stone in the asphalt resurfacing. At this time,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includes an emulsion layer dispersed in a solution including asphalt fine particles, an emulsifier, and a stabilizer, and includes a pottery porous body, and the pottery porous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ores and contains 1 ~5% by weight.
본 발명의 접합층에 있어서, 상기 옹기다공체는 다공성 탄화규소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탄화규소 분말은 상기 옹기다공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5~5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티탄산칼륨다공체 1~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 접합층에는 표면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강화제는 알칼리규산염을 포함하는 무기질 강화제일 수 있다.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공극(G)을 형성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이루는 판형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형 세라믹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조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bond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pottery body includes porous silicon carbide powder, and the silicon carbide powd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rous pottery body.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1 to 5% by weight of the potassium titanate porous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may include a surface reinforcing agent. The surface reinforcing agent may be an inorganic reinforcing agent including an alkali silicate.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may include a plate-shaped ceramic forming at least one layer while forming a void (G). The plate-shaped ceramic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cl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하부층, 다공층 및 상부층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층 및 상기 상부층에는 표면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층은 완충격자가 제공하는 공간에 충진된 상기 옹기다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하부층, 다공층 및 상부층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층 및 상기 상부층에는 표면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층은 완충격자가 제공하는 공간에 충진된 상기 티탄산칼륨다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하부층, 다공층 및 상부층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층 및 상기 상부층에는 표면강화제 및 판형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is divided into a lower layer, a porous layer, and an upper layer,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contain a surface reinforcing agent, and the porous layer is fill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buffer grid. Porous bodies may be included.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is divided into a lower layer, a porous layer, and an upper layer,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contain a surface reinforcing agent, and the porous layer fills the space provided by the buffer grid. It may include a porous body.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is divided into a lower layer, a porous layer, and an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may include a surface hardening agent and plate-shaped ceramics.
본 발명의 아스콘 재포장에서의 재시공을 위한 경계석 접합층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에 의하면, 경계석 접합층에 옹기다공체와 같은 통기성 다공체를 혼합함으로써, 도로경계석과의 부착력을 유지하고, 콘크리트 기반의 중성화가 방지하고 표면이 강화되며, 콘크리트 기반의 부식을 방지하고, 장기간 동안 치밀성을 계속 유지하여 수분 및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여 증기압에 의한 부풀음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road boundary stone including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for re-construction in the asphalt resurfac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xing a permeable porous body such as a pottery porous body with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the adhesion with the road boundary stone is maintained, and the neutralization of the concrete base It prevents and strengthens the surface, prevents corrosion of the concrete base, and maintains dens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and air to prevent swelling due to vapor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접합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접합층에 적용되는 티탄산칼륨다공체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접합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접합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4 접합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bond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re photographs showing a potassium titanate porous body applied to the first bonding layer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bond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hird bond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bond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it is exaggeratedly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eanwhile,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layers, pattern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Further, when it is said that a film (layer, pattern) is on, above, below, or on one side of another film (layer, pattern),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film (layer, pattern) or other films (layer, pattern) may be formed therebetween. A film (layer, pattern) may be interpos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계석 접합층에 옹기다공체와 같은 통기성 다공체를 혼합함으로써, 도로경계석과의 부착력을 유지하고, 기반의 중성화가 방지하고 표면이 강화되며, 기반의 부식을 방지하고, 장기간 동안 치밀성을 계속 유지하여 수분 및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여 증기압에 의한 부풀음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접합층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통기성 다공체가 적용된 경계석 접합층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통기성 다공체에 의한 접합층의 개선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경계석 접합층은 각종 포장도로의 아스콘 재포장과 더불어 도로경계석을 재시공할 때 적용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xing an air permeable porous body such as a pottery porous body in the bonding layer of the boundary stone, it maintains adhesion with the road boundary stone, prevents neutralization of the foundation, strengthens the surface, prevents corrosion of the foundation, and maintains compactness for a long period of time. Suggests a curbstone bonding layer that prevents the infiltration of moisture and air by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swelling phenomenon caused by vapor pressure. To this end,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to which the air permeable porous material is applied will be studied in detail, and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bonding layer by the air permeable porous materi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re-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together with asphalt concrete repaving of various paved roa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접합층(1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1 접합층(100)은 아스콘 재포장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도 1에 의하면, 제1 접합층(100)은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접합층(100)은 경계석 접합층이라고 한다. 기반(10)은 콘크리트, 석재 등으로 이루어져 도로경계석(20)을 지탱하고,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은 제1 접합층(100)에 의해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기반(10)은 콘크리트 재질이 사용되고 재포장 아스콘(A)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반(10)이 콘크리트가 사용되는 경우를 채택한다. 재포장 아스콘(A)은 기층, 아스콘 접합층 및 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공지된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층은 상기 노반 위에 있으며, 표면을 정정하여 상기 표층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상기 노반에 전달한다. 상기 표층은 하중을 분산하여 하부에 전하는 역할 이외에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적당한 미끄럼 저항성과 평탄성을 가진다. 재포장 아스콘(A)을 포함한 포장도로 및 기반(10)은 노반에 적층된다. According to FIG. 1, the
도로경계석(20)은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경계석 및 보도와 단지 등을 구분하는 경계석이 있으며, 화강암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하고 있다. 최근, 도로경계석(20)은 경계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도,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과 같이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경계석(20)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제1 접합층(100)은 도로포장의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기반(10)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특성을 부여한다. 제1 접합층(100)은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도로포장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접합층(100)의 도포는 도로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제1 접합층(100)은 아스팔트 미립자를 유화제, 안정제 등을 용액 중에 분산시킨 에멀젼층(30)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옹기다공체(31)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티탄산칼륨다공체(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멜젼층(30)은 공지된 것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The
옹기다공체(31)는 제1 접합층(100)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제1 접합층(100)의 통기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다. 옹기다공체(31)는 주로 점토를 소성하여 제조하는 데, 점토는 지름이 0.004mm 이하인 미세한 흙입자를 말하고, 암석이 풍화, 분해되면 주로 규소, 알루미늄과 물이 결합하여 점토광물이 이루어진다. 점토는 모래나 실트에 비해서 단위무게 당 표면적이 훨씬 넓으므로 토양 중에서는 부식과 함께 가장 활동적인 부분이며 수분 및 양분의 보유력이 강하다. 옹기다공체(31)는 인체에 무해하고, 독성이 없으며 오랜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옹기다공체(31)는 자연상태에서 우수한 내환경성을 유지하며, 생산하는 가격이 저렴하다. 나아가, 옹기다공체(3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미세한 기공은 공기는 통과하게 하고 물은 차단하는 천연필터의 기능을 보유한다.The
옹기다공체(31)에서 겉보기 밀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탄화규소(SiC) 분말이 혼합된다. 상기 탄화규소 분말은 옹기다공체(31)에 포함되는 형태로 존재하며, 옹기다공체(3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위기 가스와 열에 의해 화학반응을 일으켜 가스를 발생한다. 예컨대, 상기 탄화규소 분말은 열에 의해 산소와 반응하여 산소화합물을 발생하면서, 다공체로 전환된다. 여기서, 산소화합물은 CO2일 수 있으며, CO2는 옹기의 겉보기 밀도(Apparent Density;AD)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겉보기 밀도는 g/cc의 단위로 표시하며, 단위 체적당 질량을 말한다. 겉보기 밀도는 옹기다공체(31) 내에 포함된 기공의 수와 기공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기공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부피가 클수록 겉보기 밀도는 작아진다. In order to control the apparent density of the pottery
옹기다공체(31)의 함량은 제1 접합층(100) 전체중량에 대하여, 옹기다공체(31)의 분산성, 통기성, 단열성을 고려하여 1~5중량%가 바람직하다. 옹기다공체(31)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통기성, 단열성의 효과가 떨어지고, 5중량% 초과하면 에멀젼층(30) 성분이 감소하여 제1 접합층(100)의 효과가 감소된다. 또한, 옹기다공체(31)에서의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함량은 옹기다공체(31)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의 함량을 갖는다. 옹기다공체(31)에서 다공체인 탄화규소 분말의 함량이 증가하면, 옹기다공체(31)의 겉보기 밀도는 낮아진다. 상기 탄화규소 분말의 함량이 커지면서 기공의 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기공의 크기도 커진다. 이와 같이, 탄화규소 분말은 옹기다공체(31)를 기공의 수와 크기를 조절하여,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선택적으로, 제1 접합층(100)은 티탄산칼륨다공체(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티탄산칼륨다공체(32)는 제1 접합층(100)의 결합력을 높이고, 제1 접합층(100)의 통기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다. 티탄산칼륨다공체(32)는 도 2와 같이 섬유(a), 분말(b) 등을 소결한 것으로 각각에는 기공(Vg)가 존재한다. 티탄산칼륨다공체(32)의 기공율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티탄산칼륨다공체(32)는 기계적인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특히 자체 터널구조로 인하여 독특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적외선반사율, 저열전도율, 단열성, 고내열성, 고내마모성, 고전기절연성 및 저유전율, 화학안정성 등이 있다. Optionally, the
티탄산칼륨다공체(32)의 함량은 제1 접합층(100) 전체중량에 대하여, 티탄산칼륨다공체(32)의 분산성, 통기성, 단열성을 고려하여 1~5중량%가 바람직하다. 티탄산칼륨다공체(32)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통기성, 단열성의 효과가 떨어지고, 5중량% 초과하면 에멀젼층(30) 성분이 감소하여 제1 접합층(100)의 효과가 감소된다. The content of the potassium titanate
옹기다공체(31) 및 티탄산칼륨다공체(32)는 수분을 머금고 있다가 서서히 증발시켜서 수분에 의한 열화를 방지한다. 또한, 옹기다공체(31) 및 티탄산칼륨다공체(32)의 기공은단열성을 부여한다. 3차원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된 상기 기공은 수분 및 공기를 흡입하여, 제1 접합층(100)의 열전도도를 낮춘다. 다공체(31, 32)의 단열성은 제1 접합층(100)에서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감소시켜, 제1 접합층(100)의 수축과 팽창을 억제한다. 즉, 다공체(31, 32)는 수분을 서서히 증발시키고, 급격한 온도변화를 억제하여 제1 접합층(100)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데에 기여한다. The pottery
한편, 제1 접합층(100)의 두께가 크면, 일부 영역, 특히 중심부에서 제1 접합층(100)의 고화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제1 접합층(100)의 고화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제1 접합층(100)의 열화가 일어나고 미세한 틈새가 발생한다. 상기 틈새가 생기면, 그 틈새로 수분 및 공기가 흡수되어서 보수제의 기능이 저하되어 제1 접합층(100)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구체적으로, 시공 후에 제1 접합층(10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 상기 수분이 햇볕에 의해 열을 받아 수증기가 되어 증발하지 못하고 상기 틈새에 머물러 증기압이 커진다. 상기 증기압이 커지면, 상기 틈새에서 증기압으로 밀고 올라오는 부풀음 현상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다공체(31, 32)는 제1 접합층(100)의 내부에 골고루 분포되어, 제1 접합층(100)의 고화가 제1 접합층(100)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일어난다. 왜냐하면, 다공체(31, 32)의 균일한 분포는 액상의 제1 접합층(100)이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다공체(31, 32)는 제1 접합층(100)의 고화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다공체(31, 32)는 앵커 역할을 하므로, 제1 접합층(100)이 치밀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제1 접합층(100)의 고화가 제1 접합층(10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이루어지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제1 접합층(100)의 열화를 차단하여 미세한 틈새의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 틈새가 억제되면, 그 틈새로 수분 및 공기가 흡수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1 접합층(100)의 역할을 충분하게 수행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접합층(100)의 고화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치밀성이 계속 유지되면, 외부로부터의 수분 흡수가 방지되어 수분이 햇볕에 의해 열을 받아 발생하는 증기압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부풀음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The
한편, 제1 접합층(100)에는 접촉하는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의 표면을 강화하는 표면강화제(33)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강화제(33)는 알칼리규산염을 포함하는 무기질 강화제가 바람직하며, 표면강화제(33)는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의 미세기공으로 침투하여, 수화반응으로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불용성의 규산칼슘수화물을 생성시켜 미세기공을 충전하여 강도를 증진한다. 이를 위해, 에멀젼층(30)에는 수용성 수지, 유기바인더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바인더는 특히,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의 미세기공으로 침투하여, 시멘트 수화반응으로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불용성의 규산칼슘수화물을 생성시켜 미세기공을 충전하여 강도를 증진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알칼리규산염은 규산나트륨에 규산칼륨 또는 규산리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SiO2/R2O(여기에서 R은 K, Li, Na) 몰비가 1.5~4.0이고, SiO2의 함량은 10~30중량%가 좋다. 또한, 상기 알칼리규산염은 표면강화제(33)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5~50중량%가 좋다. 알칼리규산염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알칼리규산염의 농도가 너무 낮아서, 염해, 중성화 등 방지와 같은 표면강화 효과가 떨어진다. 5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 내부로 침투하기가 어려워지고,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의 표면강도가 떨어지며, 다른 조성물과의 결합력이 저하된다. 표면강화제(33)에는 상기 알칼리규산염 이외에도 표면강화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무기물질이 추가될 수 있다. The alkali silicate is made by mixing at least one of potassium silicate and lithium silicate with sodium silicate, SiO 2 /R 2 O (where R is K, Li, Na) in a molar ratio of 1.5 to 4.0, and the content of
상기 수용성 수지는 내수성을 부여하며,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 표면에의 침투성이 우수하여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 내의 공극을 충진시키며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의 표면강화에 유용하다. 상기 수용성 수지는 상기 응력에 의한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의 표면강화층의 균열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수지는 수용성의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비닐 수지 등이 있다. 상기 수용성 수지의 함량은 제1 접합층(100)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10~3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염해, 중성화 등 방지와 같은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 표면강화 효과가 떨어지고, 30중량% 초과하면 알칼리규산염에 의한 표면강화 효과가 저하된다. The water-soluble resin imparts water resistance, and has excellent permeability to the surface of the
상기 유기바인더는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며 경시경화가 가능하여, 기반(10)과 도로경계석(20) 내부의 수밀성을 높임과 동시에 내수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내구성 및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유기바인더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미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바인더의 함량은 제1 접합층(100)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1~5중량%가 바람직하다. The organic binder enhances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ompositions and can be cured over time, thereby increasing the watertightness insid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접합층(2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2 접합층(200)은 판상 세라믹(40)을 제외하고, 제1 접합층(10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도 3에 의하면, 제2 접합층(200)은 수분의 경로를 우회하도록 하여, 상기 수분이 다공체(31, 32)에 보다 서서히 흡수되고 증발되도록 하여, 제2 접합층(200)의 균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접합층(200)의 내부에는 판형 세라믹(40), 예컨대 조대 티탄산칼륨,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판형 세라믹(40)이 적어도 2층 이상으로 적층되며, 도면에서는 3층의 판형 세라믹(40)의 사례를 나타내었다. 판형 세라믹(40)으로 이루어진 층은 하나로 이루어지 않고, 판형 세라믹(40)이 공극(G)을 이루면서 층을 이룬다. 다공체(31, 32) 및 표면강화제(33)는 판형 세라믹(40)의 사이에 분산된다. According to FIG. 3, the
판형 세라믹(40)은 조대 티탄산칼륨을 예로 들면, 길이(L)은 평균길이 1~10㎛가 바람직하다. 1㎛보다 작으면, 길이가 짧아서 공극(G)을 형성하면서 층을 이루기 어렵다. 10㎛보다 크면, 길이가 길어서 다공체(31, 32) 및 표면강화제(33)가 판형 세라믹(40)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 제대로 충진되기 어렵다. 다공체(31, 32) 및 표면강화제(33)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2 접합층(200)의 밀도 저하로 수분을 조절하는 정도가 감소된다. 도면에서는 판형 세라믹(40)이 평행하게 적층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실질적으로 각각의 판형 세라믹(40)은 전체 또는 일부가 경사지면서 적층될 수 있다. 다공체(31, 32)가 판형 세라믹(4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면, 제2 접합층(2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의 유입경로를 차단하거나 최대한으로 저지한다. For the plate-shap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접합층(3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3 접합층(300)은 완충격자(51) 및 층구조를 제외하고 제1 접합층(100)과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완충격자(51)를 평면적으로 표현하였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hird bonding lay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third bonding layer 300 is the same as the
도 4에 의하면, 제3 접합층(300)은 매트릭스(matrix) 형태의 완충격자(51)를 포함한다. 완충격자(51)는 포장도로에 하중이 가해질 때, 다공체(31, 32)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완충격자(51)는 다양한 물질이 가능하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완충격자(51)는 상기 하중을 견디고, 완충격자(51)가 다공체이라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앞에서 설명한 다공체(31, 32)의 특성을 발휘한다. 다공체(31, 32)는 완충격자(51)가 제공하는 공간(51a)에 충진된다. 이에 따라, 제3 접합층(300)은 하부층(50a), 다공층(50b) 및 상부층(50c)으로 구분된다. 다공층(50b)은 수분을 흡수하고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제3 접합층(300)은 부풀음을 방지하여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와의 부착력을 유지시킨다. Referring to FIG. 4 , the third bonding layer 300 includes a
제3 접합층(300)은 기반(10)의 표면으로부터 하부층(50a), 다공층(50b) 및 상부층(50c)을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하부층(50a) 및 상부층(50c)에는 표면강화제(33)가 포함되며, 다공층(50b)에는 다공체(31, 32)를 포함한다. 표면강화제(33)는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에 보다 근접하여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의 표면강화 효과를 높인다. 다공층(50b)에는 수분이 집중되어, 상기 수분이 제3 접합층(300) 전체에 걸쳐 확대되지 않도록 한다.The third bonding layer 30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4 접합층(4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4 접합층(400)은 완충격자(51) 및 층구조를 제외하고 제2 접합층(200)과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완충격자(51)를 평면적으로 표현하였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bonding lay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fourth bonding layer 400 is the same as the
도 5에 의하면, 제4 접합층(400)은 매트릭스(matrix) 형태의 완충격자(51)를 포함한다. 완충격자(51)는 포장도로에 하중이 가해질 때, 다공체(31, 32)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완충격자(51)는 다양한 물질이 가능하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완충격자(51)는 상기 하중을 견디고, 완충격자(51)가 다공체이라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앞에서 설명한 다공체(31, 32)의 특성을 발휘한다. 다공체(31, 32)는 완충격자(51)가 제공하는 공간(51a)에 충진된다. 이에 따라, 제4 접합층(400)은 하부층(60a), 다공층(50b) 및 상부층(60b)으로 구분된다. 다공층(50b)은 수분을 흡수하고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제4 접합층(400)은 부풀음을 방지하여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과의 부착력을 유지시킨다. Referring to FIG. 5 , the fourth bonding layer 400 includes a
제4 접합층(400)은 기반(10)의 표면으로부터 하부층(60a), 다공층(50b) 및 상부층(60b)을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하부층(60a) 및 상부층(60b)에는 표면강화제(33) 및 판형 세라믹(40)이 포함되며, 다공층(50b)에는 다공체(31, 32)를 포함한다. 표면강화제(33)는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에 보다 근접하여 기반(10) 및 도로경계석(20)의 표면강화 효과를 높인다. 판형 세라믹(40)은 수분의 경로를 우회하도록 하여, 상기 수분이 다공체(31, 32)에 보다 서서히 흡수되고 증발되도록 하여, 제4 접합층(400)의 균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공층(50b)은 수분이 집중되어, 상기 수분이 제4 접합층(400) 전체에 걸쳐 확대되지 않도록 한다.The fourth bonding layer 40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ible.
10; 기반 20; 도로경계석
30; 에멀젼층 31; 옹기다공체
32; 티탄산칼륨다공체 33; 표면강화제
40; 판형 세라믹
50a, 60a; 하부층 50b; 다공층
50c, 60b; 상부층
51; 완충격자
100, 200, 300, 400; 제1 내지 제4 접합층10;
30;
32; potassium titanate
40; plate ceramic
50a, 60a; lower layer 50b; porous layer
50c, 60b; upper floor
51; buffer grid
100, 200, 300, 400; First to fourth bonding layers
Claims (10)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아스팔트 미립자, 유화제 및 안정제를 포함하여 용액 중에 분산된 에멀젼층을 포함하고, 옹기다공체를 포함하며, 상기 옹기다공체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층 전체중량에 대하여 1~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접합층은 하부층, 다공층 및 상부층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층 및 상기 상부층에는 표면강화제, 판형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층 및 다공체인 완충격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옹기다공체는 상기 완충격자가 제공하는 공간에 충진되고, 상기 완충격자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옹기다공체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판형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층은 완충격자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층은 공극(G)을 형성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이루며, 상기 판형 세라믹은 평균길이가 1㎛ 내지 10㎛이고,
상기 표면강화제는 상기 완충격자에 대하여 상기 판형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층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재포장에서의 재시공을 위한 경계석 접합층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Including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located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road boundary stone in the asphalt resurfacing,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includes an emulsion layer dispersed in a solution including asphalt fine particles, an emulsifier, and a stabilizer, and includes a pottery porous body, and the pottery porous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ores and has a weight of 1 to 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onding layer Including % by weight,
The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is divided into a lower layer, a porous layer, and an upper layer, and a surface hardening agent, a layer made of plate-shaped ceramic, and a porous buffer grid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The porous pottery body is fill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buffer grid, and the buffer grid prevents the porous pottery body from being damaged by a load,
The layers made of plate-shaped ceramic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uffer grid, the layers made of plate-shaped ceramics form at least one layer while forming voids G, and the plate-shaped ceramics have an average length of 1 μm to 10 μm,
The surface reinforcing agent is a road boundary stone including a boundary stone bonding layer for re-construction in asphalt resurfacing,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layer made of the plate-shaped ceramic with respect to the buffer gri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8842A KR102562855B1 (en) | 2022-02-14 | 2022-02-14 | Boundary stone having adhesion layer of boundary stone for reconstruction at ascon repav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8842A KR102562855B1 (en) | 2022-02-14 | 2022-02-14 | Boundary stone having adhesion layer of boundary stone for reconstruction at ascon repav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2855B1 true KR102562855B1 (en) | 2023-08-02 |
Family
ID=8756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8842A Active KR102562855B1 (en) | 2022-02-14 | 2022-02-14 | Boundary stone having adhesion layer of boundary stone for reconstruction at ascon repav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2855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9753A (en) * | 1995-11-27 | 2001-07-24 | Mitsubishi Heavy Ind Ltd | Composition for paving construction |
JP2003040977A (en) * | 2001-07-26 | 2003-02-13 | Nagase Chemtex Corp | Binder for paving material and paving material using the same |
JP2004217495A (en) * | 2003-01-15 | 2004-08-05 | Michiko Fukuda | Porous ceramic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rous adhesive body utilizing the porous bod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KR101020718B1 (en) * | 2010-07-21 | 2011-03-09 | 극동엔지니어링(주) | Ground penetration type paving structure using geocells for ground reinforcement and hollow fiber reinforced permeability block |
KR101194797B1 (en) * | 2012-01-19 | 2012-11-09 | (주)광양건설 | Method for constructing boundary with light apparatus |
KR20200037427A (en) * | 2017-09-13 | 2020-04-08 |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 Stable asphalt emulsion, method of forming it, and composite structure formed therefrom |
JP2021105284A (en) * | 2019-12-26 | 2021-07-26 | 株式会社クボタ | Coating material and plate-like material |
-
2022
- 2022-02-14 KR KR1020220018842A patent/KR1025628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9753A (en) * | 1995-11-27 | 2001-07-24 | Mitsubishi Heavy Ind Ltd | Composition for paving construction |
JP2003040977A (en) * | 2001-07-26 | 2003-02-13 | Nagase Chemtex Corp | Binder for paving material and paving material using the same |
JP2004217495A (en) * | 2003-01-15 | 2004-08-05 | Michiko Fukuda | Porous ceramic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rous adhesive body utilizing the porous bod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KR101020718B1 (en) * | 2010-07-21 | 2011-03-09 | 극동엔지니어링(주) | Ground penetration type paving structure using geocells for ground reinforcement and hollow fiber reinforced permeability block |
KR101194797B1 (en) * | 2012-01-19 | 2012-11-09 | (주)광양건설 | Method for constructing boundary with light apparatus |
KR20200037427A (en) * | 2017-09-13 | 2020-04-08 |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 Stable asphalt emulsion, method of forming it, and composite structure formed therefrom |
JP2021105284A (en) * | 2019-12-26 | 2021-07-26 | 株式会社クボタ | Coating material and plate-like materi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8489B1 (en) | Drainage and Low Noise Synthetic Road Pavement Construction with Conservative Substrate | |
KR101673838B1 (en) | Composite permeable pavement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73441B1 (en) | Permeable paving manufacture method to use eco-friendly recycled aggregate coated | |
CN111074715A (en) | A kind of crack-resistant subgrade pav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11118999B (en) | Road structures at urban intersections, bus stops and bus lanes | |
KR101074371B1 (en) | Cement milk for semi-rigid road pavement using flameproof cement and high durability semi-rigid road pavement method | |
KR100982233B1 (en) | Water permeable polymer road pavement having increased moisture content and durabil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avement | |
KR101209707B1 (en) | Water permeable pavement compositions and working method thereby | |
KR100836704B1 (en) | Soil pavement composition and soil pave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KR102562855B1 (en) | Boundary stone having adhesion layer of boundary stone for reconstruction at ascon repavement | |
KR102516517B1 (en) | Adhesion layer of boundary stone for reconstruction of blocks of the pavements at ascon repavement | |
JP4147154B2 (en) | Water-retaining pav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12533589U (en) | A crack-resistant roadbed pavement structure | |
KR101041549B1 (en) | Polymer cement paste composition with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semi-rigid road pavement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 |
CN212000441U (en) | Novel road surface structure of urban heavy-load traffic | |
KR102562854B1 (en) | Ascon repavement layer having asphalt adhesion layer | |
KR102273558B1 (en) | Road paving structure comprising lightweight porous base-layer block and poymer p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01146703A (en) | Permeabl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 |
RU94248U1 (en) | BUILDING BLOCK | |
CN209703228U (en) | Inserted type asphalt pavement structure | |
JP4005759B2 (en) | Method for forming water retentive pavement and water retentive pavement | |
KR100740262B1 (en) | Children's playground floor construction method | |
CN216688873U (en) | Novel high-density interlocking type asphalt pavement structure | |
NO321084B1 (en) | Foundations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formal and procedures for the construction of such | |
KR101598439B1 (en) | Soil Paving Material With Durability-Reinforce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