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1835B1 -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 Google Patents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835B1
KR102561835B1 KR1020200102755A KR20200102755A KR102561835B1 KR 102561835 B1 KR102561835 B1 KR 102561835B1 KR 1020200102755 A KR1020200102755 A KR 1020200102755A KR 20200102755 A KR20200102755 A KR 20200102755A KR 102561835 B1 KR102561835 B1 KR 10256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sis
agarose
gel
unit
agarose g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778A (ko
Inventor
이강일
박혜란
김홍일
류재경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세상 filed Critical (주)바이오세상
Priority to KR102020010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8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8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47Composition of gel or of carrier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52Preparation of 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2Agar or agar-agar, i.e. mixture of agarose and agaropectin;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5/00Use of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은,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아가로즈 겔의 제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면에 형성되는 겔 제조부와, 아가로즈 겔이 제조된 상기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전기영동이 실시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2 면에 형성되는 전기영동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TRAY FOR MANUFATURING AGAROSE GEL AND CONDUCTING ELECTROPHORESIS}
본원은 핵산 또는 단백질 등의 전기영동용 아가로즈 겔을 제조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는 틀에 관한 것이다.
핵산 단백질 등의 생체 고분자 혼합물을 분자량 순서대로 분리하기 위하여 전기영동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전기영동법에서는 아가로스 겔, 덱스트란 겔, 또는 가교된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등이 분리 매질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아가로즈 겔은 틀에 겔 형성용 조성물을 부은 뒤, 적당한 온도 및 습도에서 적당한 시간 동안 굳힘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굳어진 연질의 아가로즈 겔은 전기영동을 위한 틀로 옮겨진 뒤 전원 및 전극 등의 장치를 연결하여 전기영동이 실시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아가로즈 겔을 제조하는 과정과 전기영동이 실시될 수 있는 상태로 아가로즈 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취급 상의 부주의 등으로 아가로즈 겔이 손상될 수 있고, 겔 제조와 전기영동 각각을 위해 여러 가지 준비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742711 B1 (2017.05.26. 등록)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 면에서 아가로즈를 수용하여 겔을 제조하고 타 면에서 제조된 아가로즈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제조된 아가로즈 겔을 분리하여 전기영동 실험 환경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별도의 콤(comb)을 삽입 및 분리하지 않고 일체형의 틀에 의해 홈이 생성된 아가로즈 겔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제조된 아가로즈 겔과 전기영동을 위한 전극 등의 구성이 함께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아가로즈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은,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아가로즈 겔의 제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면에 형성되는 겔 제조부와, 아가로즈 겔이 제조된 상기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전기영동이 실시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2 면에 형성되는 전기영동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겔 제조부에 지지되고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는 저면부; 및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저면부의 단부에 세워지는 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그립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겔 제조부는, 상기 저면부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세워져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본체 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겔 제조부에 지지되고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는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겔 제조부는, 상기 저면부를 지지하는 본체 저면부; 및 상기 본체 저면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영동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의 모서리 부위에 이웃하도록 돌출되고 중심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보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겔 제조부와 상기 전기영동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상기 전기영동부 측 단부에서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연통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겔 제조부와 상기 전기영동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상기 겔 제조부 측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그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면의 겔 제조부에 플레이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겔을 제조하고, 제조된 겔을 플레이트와 함께 분리하여 제2 면의 전기영동부에 장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할 수 있다. 즉, 겔 제조와 전기영동을 하나의 본체를 이용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고, 아가로즈 겔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영동에 관한 실험 또는 교육 목적으로 본 발명을 제공하여 아가로즈 겔의 제조부터 전기영동 실험까지 편리하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겔 제조부에서 제조된 아가로즈 겔을 분리하여 손쉽게 전기영동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돌출부가 형성된 겔 제조부에 장착했다가 분리하는 과정만으로, 홈이 생성된 아가로즈 겔을 얻을 수 있다. 별도의 콤 구성 및 이를 취급하는 단계가 생략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영동부 측에 보스부와 연통홈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아가로즈 겔을 이용한 전기영동 실시 환경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초보자 등에 교육용으로 제공하는 경우 균일한 조건 및 환경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을 도시한 것으로, 아가로즈 겔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을 도시한 것으로, 아가로즈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은 아가로즈 겔의 제조와 제조된 아가로즈 겔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모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틀로 제조 및 실험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100)을 도시한 것으로, 아가로즈 겔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100)을 도시한 것으로, 아가로즈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100)은 플레이트(110) 및 본체(1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본체(120)의 제1 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또한, 본체(120)의 제2 면에도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100)의 본체(120)는 제1 면에 형성되는 겔 제조부(121)와, 제1 면과 다른 제2 면에 형성되는 전기영동부(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면의 겔 제조부(121)에 플레이트(110)를 삽입한 상태에서 겔을 제조하고, 제조된 겔을 플레이트(110)와 함께 분리하여 제2 면의 전기영동부(122)에 장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할 수 있다.
즉, 겔 제조와 전기영동을 하나의 본체(120)를 이용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고, 아가로즈 겔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영동에 관한 실험 또는 교육 목적으로 본 발명을 제공하여 아가로즈 겔의 제조부터 전기영동 실험까지 편리하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10)는 아가로즈 수용부(111)를 형성한다. 아가로즈 수용부(111)는 겔 형성용 조성물(액체)이 부어져 굳어짐으로써 아가로즈 겔(10)이 제조되는 공간이자, 굳어진 아가로즈 겔(10)을 이용한 전기영동이 실시되는 공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10)는 저면부(112), 측면부(113) 및 그립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저면부(112)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본체(120)의 제1 면에 형성되는 겔 제조부(121)에 지지될 수 있다. 측면부(113)는 저면부(112)의 단부에 세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부(113)는 평판 형상으로 저면부(112)의 양 측 단부에 세워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면부(112)와 측면부(113)가 'ㄷ'자 형상을 가져 안쪽에 아가로즈 수용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114)는 측면부(113)의 단부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립부(114)는 측면부(113) 상단에서 양 측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립부(114)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110)를 이용하여 겔 제조부(121)에서 제조된 아가로즈 겔을 분리하여 손쉽게 전기영동부(12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120)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겔 제조부(121)는 본체 저면부(121a)와 본체 측면부(121b)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 저면부(121a)에는 앞서 설명한 플레이트(110)의 저면부(112)가 겹쳐져 지지될 수 있다. 본체 저면부(121a)는 본체(120)의 제1 면에서 리세스되는 공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저면부(121a)의 크기는 플레이트(110)의 저면부(112)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본체 측면부(121b)는 본체 저면부(121a)에 세워질 수 있다. 본체 측면부(121b)는 플레이트(110)의 저면부(112)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세워짐으로써, 아가로즈 수용부(111)의 측면을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아가로즈 수용부(111)는 플레이트(110)의 저면부(112)에서 연장되는 측면부(113)에 의해 좌우 양측이 폐쇄되었다면, 본체 저면부(121a)에서 연장되는 본체 측면부(121b)에 의해 전우 양측이 폐쇄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10)가 겔 제조부(1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아가로즈 수용부(111)에 겔 제조용 조성물이 부어져 담겨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100)을 이용하여 아가로즈 겔에 샘플 등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10)는 관통홀(115)을 구비하고, 겔 제조부(121)는 돌출부(121c)를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115)은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로 플레이트(110)의 저면부(1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c)는 본체 저면부(121a)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가 겔 제조부(121)에 삽입될 때, 돌출부(121c) 각각은 대응하는 관통홀(115)을 통과하여 아가로즈 수용부(111) 공간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가로즈 수용부(111)에 부어진 겔 형성용 조성물이 굳어진 후 플레이트(110)를 겔 제조부(121)로부터 분리하면, 돌출부(121c)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된 아가로즈 겔(10)이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홀(115) 및 돌출부(121c) 구성에 따르면, 관통홀(115)이 형성된 플레이트(110)를 돌출부(121c)가 형성된 겔 제조부(121)에 장착했다가 분리하는 과정만으로, 홈이 생성된 아가로즈 겔(10)을 얻을 수 있다. 즉, 별도의 콤(comb) 구성 및 이를 취급하는 단계가 생략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100)의 본체(120)의 제2 면에 형성되는 전기영동부(12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120)의 제2 면은 본체(120)에서 제1 면의 반대쪽 면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영동부(122)는 안착홈(122a) 및 보스부(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122a)은 플레이트(110)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착홈(122a)은 플레이트(110)의 저면부(112)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110)의 저면부(112)가 안착홈(122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안착홈(122a)은 본체(120)의 제2 면에서 리세스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스부(122b)는 안착홈(122a)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보스부(122b)는 안착홈(122a)의 네 모서리 부위에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보스부(122b)의 중심부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슬릿이 형성된 보스부(122b)에는 전기영동 실시를 위한 도선이나 전극 등의 구성요소가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체(120)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는 외측벽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20)는 겔 제조부(121)와 전기 영동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벽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20)는 외측벽부(123)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본체(120) 그립부(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본체(120) 그립부(114)는 겔 제조부(121) 측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120)는 외측벽부(123) 중 전기영동부(122) 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통홈(1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통홈(125)은 네 개의 보스부(122b) 인근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보스부(122b)에 결합되는 도선 등의 구성요소가 연통홈(125)에 고정되거나 연통홈(125)을 이용하여 바깥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영동부(122) 측에 보스부(122b)와 연통홈(125)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아가로즈 겔을 이용한 전기영동 실시 환경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초보자 등에 교육용으로 제공하는 경우 균일한 조건 및 환경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아가로즈 겔
100: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110: 플레이트
111: 아가로즈 수용부
112: 저면부
113: 측면부
114: 그립부
115: 관통홀
120: 본체
121: 겔 제조부
121a: 본체 저면부
121b: 본체 측면부
121c: 돌출부
122: 전기영동부
122a: 안착홈
122b: 보스부
122b1: 슬릿
123: 외측벽부
124: 본체 그립부
125: 연통홈

Claims (8)

  1.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로서,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아가로즈 겔의 제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면에 형성되는 겔 제조부와, 아가로즈 겔이 제조된 상기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전기영동이 실시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면의 반대쪽 면인 제2 면에 형성되는 전기영동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겔 제조부와 상기 전기영동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본체를 이루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겔 제조부에 지지되고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저면부의 단부에 세워지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겔 제조부는,
    상기 저면부를 지지하는 본체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세워져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본체 측면부; 및
    상기 본체 저면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아가로즈 수용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영동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의 복수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영동의 실시를 위한 도선 또는 전극이 고정되는 복수의 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겔 제조부와 상기 전기영동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벽부; 및
    상기 복수의 보스부에 고정되는 상기 도선 또는 상기 전극이 고정되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벽부의 상기 전기영동부 측 단부에서 리세스되어 상기 복수의 보스부 인근에 형성되는 연통홈을 더 구비하는,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외측벽부의 상기 겔 제조부 측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그립부를 더 구비하는,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KR1020200102755A 2020-08-14 2020-08-14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Active KR10256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55A KR102561835B1 (ko) 2020-08-14 2020-08-14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55A KR102561835B1 (ko) 2020-08-14 2020-08-14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78A KR20220021778A (ko) 2022-02-22
KR102561835B1 true KR102561835B1 (ko) 2023-08-01

Family

ID=8049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755A Active KR102561835B1 (ko) 2020-08-14 2020-08-14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006B1 (ko) 2023-06-19 2024-03-07 이종영 전기 영동용 아가로스 겔 제조보관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95A1 (en) * 2000-09-05 2003-03-06 Reed Thomas D. Casting apparatus for electrophoretic gel tr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255A (en) * 1993-06-21 1995-03-21 Helena Laboratories Corporation Platform for conducting electrophoresis, and electrophoresis plate for use with the platform
JP3344781B2 (ja) * 1993-08-10 2002-11-18 株式会社エスアールエル 電気泳動用ゲル型および電気泳動用ゲル
GB0109351D0 (en) * 2001-04-17 2001-05-30 Nextgen Sciences Ltd Analyte separation system
KR101742711B1 (ko) 2015-04-02 2017-06-01 (주)라메디텍 레이저 조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95A1 (en) * 2000-09-05 2003-03-06 Reed Thomas D. Casting apparatus for electrophoretic gel tra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nn Engineering, dna gel electrophoresis, [online], 2013년 8월, [2021년 10월 29일 검색], 인터넷:<URL: https://www.seas.upenn.edu/~belab/equipment/Protocols/gel_horizontal.pd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78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28903U (ko)
KR102561835B1 (ko) 아가로즈 겔 제조 및 전기영동 틀
JP6805705B2 (ja) 蓄電装置
JPH06341416A (ja) プラスチック製保持要素
JP7062168B2 (ja) 二次電池セル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組立方法
EP2411405B1 (en) Isoelectric focusing tray and electrode assembly for alternate gel strip orientations
JP2006140007A (ja) 燃料電池
JP2020188156A (ja) コンデンサ装置
JP6986209B2 (ja) 配線部品
CN221815126U (zh) 一种用于盆腔炎电疗仪的外壳
JP6796271B2 (ja) 配線部品
JPH0134436Y2 (ko)
CN214586314U (zh) 胶铁一体框架
US3474396A (en) Base for plug-in electric or electronic assemblies or sub-assemblies
JPS6119208A (ja) 密封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多連ケ−ス部材
JPS6017806Y2 (ja) コンセント
JPH0740287Y2 (ja) 温度スイッチ
KR20230160296A (ko) 멤브레인 전달 카세트
JPS6021876Y2 (ja) 電子楽器用鍵盤スイツチの固定接片基台
JPH0241923B2 (ko)
TWI237277B (en) Transformer combination structure
JPS5926524Y2 (ja) 端子台
JP3731544B2 (ja) 堀ごたつ
JPH0527846Y2 (ko)
JPWO202227023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2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