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1650B1 -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 Google Patents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50B1
KR102561650B1 KR1020230047274A KR20230047274A KR102561650B1 KR 102561650 B1 KR102561650 B1 KR 102561650B1 KR 1020230047274 A KR1020230047274 A KR 1020230047274A KR 20230047274 A KR20230047274 A KR 20230047274A KR 102561650 B1 KR102561650 B1 KR 10256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ray
transfer
component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영일
장경석
최동근
Original Assignee
문영일
장경석
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일, 장경석, 최동근 filed Critical 문영일
Priority to KR102023004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담겨있는 부품트레이와 부품트레이의 최상층 위에 탑커버가 덮인 트레이세트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모듈로 유입된 트레이세트에서 탑커버가 커버제거모듈에 의해 제거된 후, 세퍼레이터가 적층된 부품트레이들을 낱개로 분리하며, 이송모듈이 단일의 부품트레이를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빠르게 이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system for high-speed processing of a component tray contain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a tray set covered with a top cover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component tray, and more particularly, the top cover covers the tray set introduced into the first module. After being removed by the removal module, a separator separates the stacked component trays individually, and a transfer module quickly transfers the single component tray from a second module to a third module.

Description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담겨있는 부품트레이와 부품트레이의 최상층 위에 탑커버가 덮인 트레이세트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모듈로 유입된 트레이세트에서 탑커버가 커버제거모듈에 의해 제거된 후, 세퍼레이터가 적층된 부품트레이들을 낱개로 분리하며, 이송모듈이 단일의 부품트레이를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빠르게 이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system for high-speed processing of a component tray contain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a tray set covered with a top cover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component tray, and more particularly, the top cover covers the tray set introduced into the first module. After being removed by the removal module, a separator separates the stacked component trays individually, and a transfer module quickly transfers the single component tray from a second module to a third modul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전자부품은 여러 가지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거쳐 제조되는데, 해당 작업공정에 투입될 때 운반의 효율성과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로 운반된다.In general,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display panels are manufactured through devices that perform various processes, and when put into the corresponding work process, a plurality of them are loaded on a tray to prevent transport efficiency and component damage. .

상기와 같은 트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 내부에 안치된 부품을 공급하는 트레이 로딩 장치는 부품이 안치된 트레이를 공급받아 상기 부품이 안치된 트레이로부터 부품을 추출하고, 상기 부품이 추출된 공 트레이를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부품의 연속적인 공급은 부품의 공급 능력을 의미하고 그 공급 능력은 예를 들어 하나의 트레이가 다른 트레이로 교체되는 시간 또는 트레이가 이동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부품의 안정적인 공급 및 공급 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부품의 공급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A tray loading device for supplying parts placed inside the tray using the tray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tray on which the parts are placed, extracts the parts from the tray where the parts are placed, and discharges the empty tray from which the parts are extracted. The continuous supply of parts means the supply capacity of parts, and the supply capacity may vary depending on, for example, the time when one tray is replaced with another tray or the time when the tray is moved. It is constantly being developed to improve the supply efficiency of parts such as stable supply and shortening the supply period.

통상 전자부품을 내부에 적재하고 있는 부품트레이는 다층으로 적층되고,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아 전자부품이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상층의 부품트레이 위에 탑커버를 덮는다. 상기 탑커버는 상기 부품트레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아서 부품트레이를 덮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트레이이다. 다층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를 덮는 탑커버가 한 뭉치를 이루어 트레이세트를 이룬다. In general, a component tray containing electronic components is stacked in multiple layers, and a top cover is covered on the component tray on the uppermost lay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omponent tray placed on the uppermost layer from causing defects in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top cover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mponent tray, but is used only for covering the component tray since no electronic component is loaded therein. A multi-layered component tray and a top cover covering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form a bundle to form a tray set.

덮개트레이가 덮인 상태로 트레이세트를 운반하다가 부품트레이 내부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부품트레이에서 빼내는 공정에 앞서서, 트레이세트에서 탑커버를 제거하는 공정이 요구된다.A process of removing the top cover from the tray set is required prior to the process of removing the electronic parts loaded inside the part tray from the part tray while the tray set is being transported with the cover tray covered.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을 첨부한 도 1를 참고하여 트레이이동모듈(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 또는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기 위하여 안착흡착기(27) 및 이동흡착기(22)가 구비되되, 상기 이동흡착기(22)는 이동프레임(21)에 고정되고 이동프레임(21)은 이동승강대(23)를 따라 z축 방향으로 승강하며, 이동승강대(23)는 이동레일대(24)를 따라 지면을 뚫는 방향인 y축으로 왕복이동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y, 시선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을 -y로 지칭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ray moving module 20 with reference to FIG. 1 to which the conventional tray moving module is attached, first, in order to adsorb the top cover 12 or the parts tray 11 of the tray set 10, the seat and suction device 27 ) and a movable absorber 22 are provided, the movable absorber 22 is fixed to the movable frame 21 and the movable frame 21 moves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along the movable lift 23, and the movable lift 23 ) moves along the moving rail 24 in the y-axis, which is the direction of penetrating the grou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ine of sight is referred to as +y, and the direction closer to the line of sight is referred to as -y.

그리고 트레이를 +y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셔틀판(26)이 구비되며, 셔틀판(26)이 y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트레이를 이송하고 원위치로 회귀한다.In addition, a shuttle plate 26 is provided to transfer the tray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huttle plate 26 transfers the tray while reciprocat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20)의 동작을 보면, 트레이세트(10)가 트레이적재판(25)을 통하여 상승하여서 트레이가 이동흡착기(22) 또는 안착흡착기(27)에 의해 흡착되며, 셔틀판(26)에 올려진 후 y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트레이세트(10)로부터 트레이를 흡착하기 위해서는 셔틀판(26)이 +y축 방향에 있어야 하며, 흡착된 트레이가 셔틀판(26)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셔틀판(26)이 다시 -y축 방향으로 돌아와야 하고, 트레이가 안착되면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송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tray moving module 20, the tray set 10 rises through the tray stacking plate 25, and the tray is adsorbed by the moving adsorber 22 or the seat adsorber 27, and the shuttle plate ( 26) and then transferred in the y-axis direction. At this time, in order to adsorb the trays from the tray set 10, the shuttle plate 26 must be in the +y-axis direction, and in order for the adsorbed tray to be seated on the shuttle plate 26, the shuttle plate 26 must be in the -y-axis direction again. direction, and when the tray is seated, it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and feeds.

이처럼 셔틀판(26)이 하부의 트레이를 가리게 되면 흡착기(22,27)에 의해 흡착하는 것이 제한되어 흡착기의 트레이 흡착 시에는 셔틀판(26)이 가리지 않도록 피해주어야 하고, 흡착한 트레이를 받아 내기 위해서는 다시 또 돌아와야 하므로 셔틀판(26)의 잦은 이동이 요구된다. 따라서 트레이를 이송하는 데에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this way, when the shuttle plate 26 covers the lower tray, adsorption by the adsorbers 22 and 27 is limited, so that when adsorbing the tray of the adsorber, the shuttle plate 26 should be avoided so as not to be covered, and take out the adsorbed tray. Since it has to come back again, frequent movement of the shuttle plate 26 is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very long time to transfer the tray and the process is delayed.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모듈이 지닌 문제점을 극복하여 셔틀판의 불필요한 이동이 요구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for stably transporting the tray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requiring unnecessary movement of the shuttle plate by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ray module.

JP 2013-121863 (A) 2013.06.20.JP 2013-121863 (A) 2013.06.20. JP 6663708 (B2) 2020.02.19.JP 6663708 (B2) 2020.02.19.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세트를 유입받아 탑커버와 부품트레이를 차례로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신속하게 이송시켜서 부품트레이 내의 전자부품을 빠르게 인출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er system capable of rapidly withdrawing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component tray by receiving a tray set and rapidly transferring the top cover and the component tray from the second module to the third module in turn.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위치에서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를 낱개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가 구비되어, 흡착기의 왕복이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트레이를 더욱 향상된 속도로 분리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stacked component trays one by one only by a rotating operation in place, so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adsorber is not required, thereby providing a transfer system capable of separating the trays at a higher speed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퍼레이터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부품트레이를 트레이클램프가 측면을 파지하여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하지 않고 후속되는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를 세퍼레이터로 분리하여 더욱 신속한 이송작업이 가능한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fer the part trays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individually from the second module to the third module by gripping the side of the tray clamp, so that there is no spatial restriction and the next part tray is separated by the separator It is to provide a conveying system capable of a more rapid conveying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를 서포터를 통해 배출하기 이전에 경사얼라이너의 패드가 부품트레이의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가압하여 부품트레이의 위치가 쓸리지 않고 정렬되며, 이송모듈을 통한 이송 시에 간섭 및 걸림이 되지 않아 원활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ad of the inclined aligner presses obliquely from the bottom of the parts tray before discharging the part tray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odule to the third module through the support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art tray is aligned without being swept away , To provide a transport system in which work is performed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or jamming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transport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가 서포터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서포터의 제2회전체가 제자리에서 회전만으로 부품트레이를 배출리프터에 안착시키므로, 이송모듈을 통해 제2모듈로부터 이송되는 트레이가 간섭없이 신속하게 이송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arts tray transferred to the third module is seated on the top of the supporter and stably supported,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of the supporter seats the parts tray in the discharge lifter only by rotating in place, so that through the transfer module It is to provide a system in which a tray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odule is quickly transferred without interfer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세트의 탑커버가 제1모듈에서 제2모듈로 이송되기 이전에 제1모듈과 제4모듈을 왕복하도록 구비된 커버제거모듈을 통하여 탑커버가 제거되어 부품트레이를 낱개로 분리하는 공정이 곧바로 수행되므로 전체 공정이 소요되는 시간이 감축되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top cover of the tray set through a cover removal module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first module and the fourth module before the top cover of the tray set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to the second module. Since th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immediately, it is to provide a transfer system in which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process is reduc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공급된 부품트레이(11)를 승강시키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상기 제2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가 회전에 의하여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에 끼워져 트레이세트(10)로부터 낱개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키며 분리하는 복수개의 세퍼레이터(600); 및 상기 세퍼레이터(600)에 의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tray receiving a tray set 10 including a plurality of component trays 11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stored and a top cover 12 covering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module 100; a second module 200 receiving the tray set 10 from the first module 100 and having a supply lifter 230 for lifting the tray set 10; a third module 300 receiving the component trays 11 transported from the second module 200 one by one and having a discharge lifter 330 for lifting the supplied component trays 11; a fourth module 400 receiving the part tray 11 from the third module 30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odule, the cylindrical first rotating body 610 having spiral protrusions 620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ed so that the spiral protrusions 620 are inserted into the parts tray 11 to set the tray A plurality of separators 600 for lifting and separating the individual component trays 11 from (10); and a transfer module 700 that grips the component tray 11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by the separator 600 and transfers it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의 제2회전체(8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에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돌기(83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830)와 이어진 나선형상의 경사돌기(820)가 형성되는 서포터(8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rd module 300, rotates the cylindrical second rotation body 8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s tray 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body 810 Support protrusions 830 supporting the support protrusions 830 are formed, and a supporter 800 having spiral-shaped inclined protrusions 820 connected to the support protrusions 830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퍼레이터(600)와 서포터(800)는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부품트레이(11)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상기 공급리프터(230)의 상승 위치에 의하여 제2모듈(200)의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분리하며; 상기 서포터(800)는 이송모듈(700)에 의하여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하강시켜 상기 배출리프터(330) 위에 올려놓는다.In addition, the separator 600 and the support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fer rails 710 and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parts tray 11; The separator 600 lifts and separates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in the tray set 10 of the second module 200 by the lifting position of the supply lifter 230; The supporter 800 lowers the parts tray 11 transported by the transfer module 700 and places it on the discharge lifter 330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모듈(700)은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이송레일대(710); 상기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프레임(720); 상기 이송프레임(72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실린더(760); 상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에 결합되는 수평실린더(750); 상기 수평실린더(750)의 로드에 결합되며,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하는 트레이클램프(7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module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rail stand 710 cross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module 200 and the third module 300; A transfer frame 720 reciprocating along the transfer rail 710; a vertical cylinder 760 coupled to the transfer frame 720 in a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cylinder 750 coupled to the rod of the vertical cylinder 760; A tray clamp 730 coupled to the rod of the horizontal cylinder 750 and gripping the side of the parts tray 11; includes.

또한 본 발명은 제3모듈(300)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패드(910)가 실린더의 신장 전에 부품트레이(11)의 하단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다가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단을 받치는 경사얼라이너(9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component tray 11 transferred to the third module 300, and the pad 910 in contact with the component tray 11 is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component tray 11 before the extension of the cylinder. An inclined aligner 900, which is located at a lower height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parts tray 11 while the cylinder extends, the pad 910; is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하는 커버제거모듈(500)은 상기 제1모듈(100) 및 제4모듈(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제거레일대(510);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프레임(520); 상기 커버프레임(520)에 결합되며, 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30); 상기 승강실린더(530)의 로드에 결합되며, 탑커버(12)를 흡착하는 흡착기(550)가 다수 배치되는 흡착프레임(540);을 포함하며, 트레이세트(10)가 상기 제1모듈(100)에서 커버제거모듈(500)에 의해 탑커버(12)가 제거되어 제2모듈(200)로 이송된다.In addition,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for removing the top cover 12 of the tray se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removal rail stand 510 disposed above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fourth module 400. ); A cover frame 520 reciprocating along the cover removal rail 510; an elevating cylinder 530 coupled to the cover frame 520 and elevating the rod vertically; It includes an adsorption frame 540 coupled to the rod of the lift cylinder 530 and having a plurality of adsorbers 550 adsorbing the top cover 12 disposed thereon, and the tray set 10 is the first module 100. ), the top cover 12 is removed by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module 200.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트레이세트를 유입받아 탑커버와 부품트레이를 차례로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신속하게 이송시켜서 부품트레이 내의 전자부품을 빠르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veying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tray set and quickly transfers the top cover and the part tray from the second module to the third module in turn, thereby quickly withdrawing the electronic parts in the part tray.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제 위치에서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를 낱개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가 구비되어, 흡착기의 왕복이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트레이를 더욱 향상된 속도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stacked component trays one by one only by rotating in place, so that the adsorber does not require reciprocating movement, so the trays can be separated at a higher speed.

또한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부품트레이를 트레이클램프가 측면을 파지하여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하지 않고 후속되는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를 세퍼레이터로 분리하여 더욱 신속한 이송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part trays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individually from the second module to the third module by gripping the side of the tray clamp, so that there is no spatial restriction, and the next part tray is separated with the separator for more rapid There is an effect that transfer work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를 서포터를 통해 배출하기 이전에 경사얼라이너의 패드가 부품트레이의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가압하여 부품트레이의 위치가 쓸리지 않고 정렬되며, 이송모듈을 통한 이송 시에 간섭 및 걸림이 되지 않아 원활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discharging the parts tray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odule to the third module through the supporter, the pad of the inclined aligner obliquely presses the lower part of the part tra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art tray is aligned without being swept, and the transfer There is no interference or jamming during transportation through the module, 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is perform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가 서포터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서포터의 제2회전체가 제자리에서 회전만으로 부품트레이를 배출리프터에 안착시키므로, 이송모듈을 통해 제2모듈로부터 이송되는 트레이가 간섭없이 신속하게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ts tray transferred to the third module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er and stably supported,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of the supporter is seated on the discharge lifter only by rotating in place, the second rotating body through the transfer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ray transferred from the module is quickly transferred without interference.

또한 본 발명은 레이세트의 탑커버가 제1모듈에서 제2모듈로 이송되기 이전에 제1모듈과 제4모듈을 왕복하도록 구비된 커버제거모듈을 통하여 탑커버가 제거되어 부품트레이를 낱개로 분리하는 공정이 곧바로 수행되므로 전체 공정이 소요되는 시간이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top cover of the ray set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to the second module, the top cover is removed through a cover removal module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first module and the fourth module to separate the parts trays individually Since the process is performed immediately,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process is reduced.

도 1은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제1모듈, 제2모듈, 제3모듈 및 제4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제1모듈, 제4모듈 및 커버제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세퍼레이터, 이송모듈, 서포터 및 경사얼라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부품트레이를 지지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이송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서포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부품트레이를 지지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경사얼라이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실린더가 신장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b)는 실린더가 신장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ay moving modu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ying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ule, a second module, a third module and a fourth module in the conveying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ule, a fourth module and a cover removal module in the transport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a transfer module, a supporter and an inclined aligner in a transfer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eparator in a conveying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tray is supporte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ort module in the transport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supporter in a transport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tray is supported.
Figure 9 shows an inclined aligner in a conveying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ylinder is stretched, (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ylinder is stretch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전자부품을 적재한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로 구성된 트레이세트(10)를 고속으로 이송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s shown in FIGS. 1 to 9, the conveying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tray 11 loaded with electronic parts and a top cover 12 covering the top part tray 11. ) It relates to a system for high-speed transfer processing of the tray set 10 composed of,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A first module 100 receiving a tray set 10 including a plurality of component trays 11 stor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a top cover 12 covering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a second module 200 receiving the tray set 10 from the first module 100 and having a supply lifter 230 for lifting the tray set 10;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트레이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A third module 300 receiving the trays transported from the second module 200 one by one and having a discharge lifter 330 for lifting the trays;

상기 제3모듈(300)에서 트레이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a fourth module 400 receiving the tray from the third module 30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1회전체(610)의 외주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되고, 회전하는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하는 세퍼레이터(600); 및 The cylindrical first rotating body 610 is rotated, and spiral protrusions 620 forming an inclined surfac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610, and the rotating spiral protrusions 620 rotate the parts tray 11. a separator 600 that is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by being raised; and

상기 세퍼레이터(600)에 의해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한다. and a transfer module 700 that grips the part tray 11 separated by the separator 600 and transfers it to the third module 300.

도 1를 참고하여, 전자부품은 운반의 효율성과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부품트레이(11)에 다수개가 적재된 상태로 운반된다. 이러한 부품트레이(11)가 다수 적층되어 이송되는데, 어느 하나의 부품트레이(11)는 그 위에 적층된 부품트레이(11)에 의해 덮이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전자부품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나,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11)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이물질이 전자부품에 침투하여 불량을 야기하였다.Referring to FIG. 1 , electronic components are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loaded on one component tray 11 in order to improve transport efficiency and prevent component damage. A plurality of such component trays 11 are stacked and transported. Since any one component tray 11 is covered by the component tray 11 stacked there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prevent defects in electronic components, The component tray 11 placed on the uppermost layer wa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was, and foreign substances penetrated into the electronic component, causing defects.

따라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 위에 상기 부품트레이(11)와 동일한 형상이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고 비어있는 탑커버(12)를 덮는다. 다수개가 적층된 부품트레이(11)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 위에 탑커버(12)가 배치된 트레이세트(10)로 운반한다. Accordingly, an empty top cover 12, which has the same shape as the component tray 11 but does not load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is covered on the component tray 11 of the uppermost layer. It is transported to a tray set 10 in which a plurality of stacked component trays 11 and a top cover 12 are disposed on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트레이세트(10)로 운반하다가 부품트레이(11) 내부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탑커버(12)를 제거한 후 부품트레이(11)를 하나하나씩 낱개로 내려놓고 그 안의 전자부품을 꺼내게 된다. In order to take out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inside the parts tray 11 while being transported by the tray set 10, the top cover 12 is removed, and then the parts trays 11 are put down one by one and the electronic parts therein are taken out. .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구성만으로도 적층된 상태의 트레이세트(10)에서 탑커버(12)를 제거한 후 전자부품이 적재된 부품트레이(11)를 하나하나 낱개씩 이송시키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rt system that transports the component trays 11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one by one after removing the top cover 12 from the stacked tray set 10 with only a simpl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탑커버(12)와 부품트레이(11)로 구성된 트레이세트(10)를 제1모듈(100)에서 유입받고 커버제거모듈(500)로 트레이세트(10) 중 탑커버(12)를 제1모듈(100)에서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A transfer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tray set 10 composed of a top cover 12 and a part tray 11 from the first module 100 and moves it to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Among the tray sets 10, the top cover 12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fourth module 400.

탑커버(12)가 제거된 트레이세트(10)는 부품트레이(11)로만 이루어지고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되며, 제2모듈(200)에서 트레이세트(10)가 상승된 후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를 통해 분리된다. The tray set 10 from which the top cover 12 is removed consists of only the parts tray 11 and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second module 200, and the tray set 10 in the second module 200 ) is raised, the uppermost part tray 11 is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or 600.

분리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이송모듈(700)의 트레이클램프(730)가 파지하고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트레이클램프(730)는 부품트레이(11)의 측면을 파지함으로써 이송되어 세퍼레이터(600)와의 동작이 중첩되거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퍼레이터(600)가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는 동작과,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하는 동작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parated uppermost part tray 11 is gripped by the tray clamp 730 of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 The tray clamp 730 is transported by gripping the side of the component tray 11, so that operations with the separator 600 do not overlap or interfer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an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omponent tray 11 by the separator 600 and an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component tray 11 by the transfer module 700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or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에 비하여 더욱 진보한 구조로서, 적층된 부품트레이(11)로부터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세퍼레이터(600)를 통해 분리하는 동작과, 분리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하는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어, 트레이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을 취급, 처리하는 공정시간이 대폭 감축된다. Therefore, as a more advanced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tray moving module,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from the stacked component trays 11 through the separator 600, and the separated uppermost component tray 11 The transfer operation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is performed simultaneously, drasticall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transfer the tray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and process time for handling and processing electronic parts is drastically reduced.

도 1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송 대상이 되는 전자부품은 부품트레이(11)에 적재된다. 이처럼 전자부품이 수납된 트레이를 '부품트레이(11)'로 지칭한다. 상기 부품트레이(11)는 다수개가 적층되는데, 그중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트레이를 '탑커버(12)'로 지칭한다. 상기 탑커버(12)는 부품트레이(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1 ,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loaded on a component tray 11 . The tray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accommodated is referred to as a 'parts tray 11'. A plurality of the component trays 11 are stacked, and a tray covering the component tray 11 placed on the uppermost layer is referred to as a 'top cover 12'. The top cover 1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mponent tray 11, but no electronic components are loaded therein.

다수개가 적층된 부품트레이(11)와, 최상층에 놓인 탑커버(12)가 놓인 것을 '트레이세트(10)'로 지칭한다. 또한, 탑커버(12)가 제거되었으나 부품트레이(11)가 다수 적층된 것도 트레이세트(10)로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부품트레이(11)와 탑커버(12)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때는 '트레이'로 지칭한다. A plurality of stacked component trays 11 and a top cover 12 placed on the uppermost layer are referred to as a 'tray set 10'. In addition, even though the top cover 12 is removed, a plurality of component trays 11 may be referred to as a tray set 10. And, when pointing to either one of the parts tray 11 and the top cover 12, it is referred to as a 'tray'.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제1모듈(100)로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고 제2모듈(200)로 이송한다. 그러나 트레이세트(10)를 제2모듈(200)로 이송하기 이전에 트레이세트(10)의 최상층에 배치된 탑커버(12)를 커버제거모듈(500)을 통하여 제4모듈(400)로 옮긴다. 따라서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하는 트레이세트(10)는 탑커버(12)가 제거된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 2 , the transport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tray set 10 from the outside into the first module 100 and transports it to the second module 200 . However, before transferring the tray set 10 to the second module 200, the top cover 12 dispos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tray set 10 is moved to the fourth module 400 through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 Therefore, the tray set 10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second module 2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12 is removed.

상기 제2모듈(200)이 제1모듈(100)로부터 받은 트레이세트(10)를 공급리프터(230)를 통하여 위로 상승시키며, 제2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된 세퍼레이터(600)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더 상승시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한다. The second module 200 lifts the tray set 10 received from the first module 100 upward through the supply lifter 230, and the separator 600 disposed on the top of the second module 200 is the uppermost layer. The parts tray 11 is further raised and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그리고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이송모듈(700)이 파지한 후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옮기며,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서포터(800)가 받는다. 서포터(800)가 다시 제3모듈(300)의 배출리프터(330)에 내려놓고 배출리프터(330)가 하강하며, 부품트레이(11)가 제3모듈(300)에서 제4모듈(400)로 이송된다. After the transfer module 700 grips the uppermost part tray 11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it moves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and the gripped part tray 11 The supporter 800 receives. The supporter 800 is put down again on the discharge lifter 330 of the third module 300, the discharge lifter 330 descends, and the parts tray 11 moves from the third module 300 to the fourth module 400. are transferred

이와 동시에,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여 낸 세퍼레이터(600)는 그 부품트레이(11)가 이송모듈(700)에 의해 파지되고 이송되는 직후에 다시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여 낸다. 그리고 다시 이송모듈(700)의 트레이클램프(730)가 제3모듈(300)에서 제2모듈(200)로 복귀하여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고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At the same time, the separator 600, which separates the uppermost part tray 11, separates the next part tray 11 again immediately after the part tray 11 is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transfer module 700 pay Then, the tray clamp 730 of the transfer module 700 returns from the third module 300 to the second module 200, grips the next component tray 11, and transfers it to the third module 300.

상기 서포터(800)는 이송모듈(700)로부터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받은 후, 배출리프터(330)로 전달한다. 그리고 뒤이어 이송모듈(700)로부터 이송되는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연속으로 받아서 배출리프터(330)에 내려놓는다. The supporter 800 receives the part tray 11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ransfers it to the discharge lifter 330 . Subsequently, the component trays 11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module 700 are continuously received one by one and put down on the discharge lifter 330.

본 발명은 제2모듈(200)에 놓인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차례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시스템으로, 이송모듈(700)에 의해 제3모듈(300)로 옮겨진 부품트레이(11)가 낱개씩 차례로 제3모듈(300)에서 제4모듈(400)로 옮겨지거나, 또는 배출리프터(330) 상에 임의의 개수만큼 적층된 후에 제4모듈(400)로 옮겨질 수 있다. 부품트레이(11)가 제3모듈(300)에서 적층되는 개수는 공정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transferring the component trays 11 placed on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one by one, and the component trays transferred to the third module 300 by the transfer module 700 ( 11) may be transferred from the third module 300 to the fourth module 400 one by one, or may be transferred to the fourth module 400 after being stacked on the discharge lifter 330 by an arbitrary number. The number of component trays 11 stacked in the third module 3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ocess.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은 고속으로 부품트레이(11)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세퍼레이터(600), 이송모듈(700) 및 서포터(800)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매우 신속하게 트레이를 이송시킬 수 있다. In the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transfer the component tray 11 at high speed, the separator 600,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he supporter 800 ar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very quickly Trays can be transported.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은 셔틀판이 제2모듈(200) 또는 제3모듈(300)에 위치하는 지에 따라 트레이를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흡착한 트레이를 내려놓는 동작이 제약이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은 이송모듈(700)의 트레이클램프(730)의 위치와 상관없이 세퍼레이터(600) 및 서포터(800)가 동작이 가능하여 부품트레이(11)를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내려 놓을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tray moving module, depending on whether the shuttle plate is located in the second module 200 or the third module 300,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tray from the tray set 10 or putting down the adsorbed tray has been restricted. In the convey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600 and the supporter 800 can operat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tray clamp 730 of the conveying module 700, so that the part tray 11 is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or Alternatively, the gripped parts tray 11 may be put down.

따라서 세퍼레이터(600), 이송모듈(700) 및 서포터(800)의 동작을 최적의 타이밍을 동작하도록 하여서 트레이의 이송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일정 시간동안 처리할 수 있는 트레이의 개수가 증대된다. Therefore, by operating the separator 600,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he supporter 800 at the optimal timing, the transfer speed of the trays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rays that can be proc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creases.

그리고, 도 3을 참고하여 제1모듈(100), 제2모듈(200), 제3모듈(300) 및 제4모듈(400)에는 다음 단계로 이송되기 전 트레이를 정렬시키는 얼라이너(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이너(130)는 트레이의 측면을 타격함으로써, 트레이의 위치가 흐트러지거나 어긋나지 않고 정렬되도록 한다. 얼라이너(130)가 트레이를 향해 왕복이동함으로써 약간의 타격을 가할 수 있다. An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first module 100, the second module 200, the third module 300, and the fourth module 400, aligners 130 for aligning the trays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may be provided. The aligner 130 strikes the side of the tra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ray is aligned without being disturbed or misaligned. As the aligner 130 reciprocates toward the tray, a slight blow may be applied.

그리고 이송모듈(700)에 의하여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옮겨진 부품트레이(11)를 정렬하는 경사얼라이너(900)가 도 9와 같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얼라이너(900)는 부품트레이(11)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송모듈(700)을 통해 제3모듈(300)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는 서포터(800)에 의해 지지받는 상태이나 정렬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얼라이너(900)를 통하여 부품트레이(11)를 정렬시킨다. In addition, an inclined aligner 900 for aligning the parts tray 11 moved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by the transfer module 70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9 . The inclined aligner 900 is dispos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component tray 11 . The component tray 11 transferred to the third module 300 through the transfer module 7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er 800 but is not aligned. Therefore, the parts tray 11 is aligned through the inclined aligner 900 .

상기 경사얼라이너(900)의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부품트레이(11)에 접근하여 부품트레이(11)를 정렬한다.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에 접근하기 전(실린더의 신장 전) 패드(910)의 하단은 부품트레이(11)의 하단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되,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에 접근함에 따라 패드(910)가 상승하면서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시점에는 패드(910)의 하단이 부품트레이(11)의 하단을 받치고 부품트레이(11)를 정렬한다. The pad 910 of the inclined aligner 900 approaches the part tray 11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art tray 11 to align the part tray 11 . Before the pad 910 approaches the parts tray 11 (before the extension of the cylinder), the lower end of the pad 910 is position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end of the parts tray 11, but the pad 910 extends while the cylinder extends. As the pad 910 rises as it approaches the parts tray 11, the bottom of the pad 910 supports the bottom of the parts tray 11 and aligns the parts tray 11 at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parts tray 11. do.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1모듈(100)은 외부로부터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모듈이다. 제1모듈(100)을 통해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으로 트레이세트(10)가 유입되며, 제1모듈(100)의 제1컨베이어(110)로 트레이세트(10)를 이동시킨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first module 100 is a module that receives the tray set 10 from the outside. The tray set 10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tray set 10 is moved to the first conveyor 110 of the first module 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 중 탑커버(12)를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트레이세트(10)를 정렬시키기 위한 얼라이너(130)와 스토퍼(120)가 구비된다. 상기 얼라이너(130)는 트레이세트(10)의 측면을 타격하여 정렬하고, 상기 스토퍼(120)는 제1컨베이어(110)로 이송되는 트레이세트(10)를 일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막아선다. 트레이세트(10)는 제1컨베이어(110)를 따라 이동하다가 스토퍼(120)에 가로막혀 일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A process of removing the top cover 12 of the tray set 10 in the first module 100 is performed. Accordingly, an aligner 130 and a stopper 120 for aligning the tray set 10 are provided. The aligner 130 strikes and aligns the side of the tray set 10, and the stopper 120 blocks the tray set 10 being transported on the first conveyor 110 so as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onveyor 110, the tray set 10 is blocked by the stopper 120 and stops at a certain position.

외부에서 제1모듈(100)로 유입되는 트레이세트(10)에는 탑커버(12)가 구비된 트레이세트(10)이고 탑커버(12)를 제1모듈(100)에서 제거한 후 제2모듈(200)로 전달하여야 하므로 커버제거모듈(500)이 탑커버(12)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20)가 트레이세트(1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이후, 후술할 커버제거모듈(500)이 제1모듈(100)에서 탑커버(12)를 흡착하고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 The tray set 10 introduced into the first module 100 from the outside is a tray set 10 equipped with a top cover 12, and after removing the top cover 12 from the first module 100, the second module ( 200), the stopper 120 guides the position of the tray set 10 so that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can adsorb and remove the top cover 12. Thereafter,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absorbs the top cover 12 from the first module 100 and transfers it to the fourth module 400 .

커버제거모듈(500)이 제1모듈(100)에서 탑커버(12)를 흡착한 후 제4모듈(400)로 이송하나, 제4모듈(400)에서 계류하는 트레이가 남아 있을 경우 제1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받침대(140)에 임시로 거치한다. 상기 커버받침대(140)는 탑커버(12)의 측면을 지지한다.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absorbs the top cover 12 from the first module 100 and transfers it to the fourth module 400, but if the tray moored in the fourth module 400 remains, the first module It is temporarily mounted on the cover pedestal 14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100. The cover support 140 supports the side of the top cover 12 .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2모듈(2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컨베이어(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210) 사이에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리프터(230)는 공급승강대(220)를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The second module 200 receiving the tray set 10 from the first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veyor 21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a supply lifter between the second conveyor 210. 230 is provided. The supply lifter 23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upply lift platform 220 .

상기 공급리프터(23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트레이세트(10)가 안착되고, 공급승강대(220)가 공급리프터(230)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공급승강대(220)에는 공급리프터(23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다. 트레이세트(10)는 공급리프터(230)에 의하여 제2모듈(200)의 상부로 상승될 수 있다. The supply lifter 230 has a flat plate shape, on which the tray set 10 is seated, and the supply lifter 220 lifts the supply lifter 230 up and down. The supply lifter 2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that lifts the supply lifter 230 . The tray set 10 may be raised to the top of the second module 200 by the supply lifter 230 .

공급리프터(230)가 상승하면서 트레이세트(10)를 제2모듈(200)의 상부로 수직이동시키면 트레이세트(10) 중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후술할 세퍼레이터(600)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후 세퍼레이터(600)가 적층된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한다. As the supply lifter 230 rises and vertically moves the tray set 10 to the top of the second module 200, the uppermost part tray 11 among the tray sets 10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separator 600 to be described later do. Thereafter, in the tray set 10 on which the separators 600 are stacked, the uppermost part tray 11 is raised and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

상기 공급리프터(230)가 트레이세트(10)를 상승시키는 높이는 트레이세트(10)의 위치 및 거리를 인식하는 각종 센서의 값에 따라 제어된다. 적층된 트레이가 많아 트레이세트(10)의 높이가 큰 경우에 공급리프터(230)는 조금만 상승하여도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의 높이까지 올라오며, 적층된 트레이가 적어 트레이세트(1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공급리프터(230)가 많이 상승하여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의 높이까지 올라오도록 한다. The height at which the tray set 10 is raised by the supply lifter 230 is controlled according to values of various sensors that recognize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tray set 10 . When the height of the tray set 10 is high due to the large number of stacked trays, even if the supply lifter 230 rises slightly, the top part tray 11 rises to the height of the separator 600, and the tray set 10 has few stacked trays. When the height of (10) is low, the supply lifter 230 rises a lot so that the uppermost part tray 11 rises to the height of the separator 600.

따라서 각종 센서를 통해 트레이세트(10)의 높이를 인식하며 공급리프터(230)의 승강동작을 제어하여 트레이가 원활하게 이송된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tray set 10 is recognized through various sensors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upply lifter 230 is controlled so that the tray is smoothly transported.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2모듈(200)에서 공급리프터(230)에 의해 상승된 트레이세트(10)가 세퍼레이터(600)를 통하여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되며 이송모듈(700)이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2 and 3, the tray set 10 raised by the supply lifter 230 in the second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through the separator 600, and the transfer module 700 The separated component tray 11 is gripped and transferred to the third module 300 .

상기 제3모듈(300)은 제2모듈(200)로부터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차례로 이송받는 모듈이다. 제3모듈(300)의 하부에는 제3컨베이어(310)가 구비되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한다. 그리고 제3컨베이어(310) 사이에는 부품트레이(11)가 안착되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리프터(330)는 배출승강대(320)에 의하여 승강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승강대(320)는 배출리프터(33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다.The third module 300 is a module that sequentially receives the component trays 11 from the second module 200 one by one. A third conveyor 310 is provided under the third module 300 to transport the parts tray 11 . And between the third conveyor 310, a discharge lifter 330 on which the parts tray 11 is seated is provide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lifter 330 is performed by the discharge platform 320. The discharge elevator 3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discharge lifter 330 .

이송모듈(700)을 통해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부품트레이(11)가 이송되면, 먼저는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된 서포터(800)가 부품트레이(11)를 받고 서포터(800)가 부품트레이(11)를 상승된 상태의 배출리프터(330)로 내려놓는다. 그리고 배출리프터(330)가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로 내려놓고 부품트레이(11)는 제3컨베이어(310)를 통해 제4모듈(400)로 빠져나간다. When the parts tray 11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through the transfer module 700, first, the supporter 80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rd module 300 (11) is received and the supporter 800 puts the parts tray 11 down to the discharge lifter 330 in an elevated state. Then, the discharge lifter 330 descends to the third conveyor 310, and the parts tray 11 passes through the third conveyor 310 to the fourth module 400.

이때, 상기 배출리프터(330)가 받는 부품트레이(11)의 개수는 공정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낱개씩 이송되는 부품트레이(11)를 배출리프터(330) 상에 적층하지 않고 곧바로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를 통해 제4모듈(400)로 이송하거나,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적층한 이후, 배출리프터(330)가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로 내려놓고 제4모듈(400)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part trays 11 received by the discharge lifter 33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situation. For example, the component trays 11 transferred one by one are directly lowered without stacking on the discharge lifter 330 and transferred to the fourth module 400 through the third conveyor 310, or stacked by an arbitrary number After that, the discharge lifter 330 descends, puts it down on the third conveyor 310, and can be transferred to the fourth module 400.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4모듈(400)은 트레이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듈이다. 배출되는 트레이는 부품트레이(11)가 될 수 있고 탑커버(12)가 될 수 있다. 트레이를 배출하기 위해 제4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 있어 제4컨베이어(410)를 통하여 트레이를 외부로 배출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fourth module 400 is a module from which the tra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ischarged tray may be the parts tray 11 and may be the top cover 12 . A fourth conveyor 410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tray, and the tra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urth conveyor 410.

상기 제4모듈(400)은 제3모듈(300)로부터 부품트레이(11)를 이송받고, 제1모듈(100)로부터 탑커버(12)를 이송받는다. 탑커버(12)는 제1모듈(100)에서 커버제거모듈(500)에 의해 제4모듈(400)로 이송되고, 부품트레이(11)는 제1모듈(100), 제2모듈(200), 이송모듈(700), 제3모듈(300)을 거쳐 제4모듈(400)로 이송된다. 즉, 트레이세트(10)가 외부에서 제1모듈(100)로 유입되어서 탑커버(12) 및 부품트레이(11)가 낱개씩 이송되어 제4모듈(400)을 통해 빠져나간다.The fourth module 400 receives the component tray 11 from the third module 300 and receives the top cover 12 from the first module 100 . The top cover 12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fourth module 400 by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and the parts tray 11 is transferred to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 It is transferred to the fourth module 400 via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he third module 300. That is, the tray set 1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module 100 from the outside, and the top cover 12 and the component tray 11 are transported one by one and passed through the fourth module 400 .

상기 제4모듈(400)이 탑커버(12)를 유입받을 시에, 제4컨베이어(410) 상에 계류하고 있는 트레이가 존재하면 임시로 거치하는 커버받침대(140)가 상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커버제거모듈(500)이 제1모듈(100)에서 탑커버(12)를 흡착하여 제4컨베이어(410) 상으로 내려 놓기가 곤란할 경우 제1모듈(100) 또는 제4모듈(400)에 구비된 커버받침대(140)에 탑커버(12)를 임시로 거치해놓을 수 있다. When the fourth module 400 receives the top cover 12, if there is a tray moored on the fourth conveyor 410, a cover stand 140 is provided at the top to temporarily mount it. Therefore, if it is difficult for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to adsorb the top cover 12 on the first module 100 and put it down on the fourth conveyor 410, the first module 100 or the fourth module 400 The top cover 12 may be temporarily mounted on the provided cover stand 140 .

도 4를 참고하여,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으면 커버제거모듈(500)이 트레이세트(10)의 최상층에 위치한 탑커버(12)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상기 커버제거모듈(500)은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탑커버(12)를 제1모듈(100)에서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tray set 1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module 100 ,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separates and removes the top cover 12 locat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tray set 10 .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is disposed above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200 to transfer the top cover 12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fourth module 400 .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에서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하는 공정이 제1모듈(100)에서 수행된다. 트레이세트(10)가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될 시에 탑커버(12)가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모듈(2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곧바로 제3모듈(300)로 이송할 수 있다. In the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op cover 12 of the tray set 10 is performed in the first module 100 . When the tray set 10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second module 200, the top cover 12 is removed. Accordingly, the second module 200 can directly transfer the component tray 11 to the third module 300 .

상기 커버제거모듈(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모듈(100)과 제4모듈(40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커버제거레일대(5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는 수평방향으로 놓인다. 그리고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제1모듈(100)과 제4모듈(400)의 상부를 왕복하는 커버프레임(520)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프레임(520)에는 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30)가 구비된다. 이때 승강실린더(530)의 신장 방향은 하부를 향하고, 수축 방향은 상부로 향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530)의 로드 쪽에 흡착프레임(540)이 결합된다. 상기 흡착프레임(540)에는 탑커버(12)를 흡착하여 파지하는 흡착기(550)가 다수 배치된다. 상기 흡착기(550)는 공압을 이용하여 탑커버(12)를 흡착한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a cover removal rail stand 510 disposed to cross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fourth module 400 is provided. The cover removal rail stand 510 is plac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urther, a cover frame 520 reciprocating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fourth module 400 along the cover removal rail stand 510 is provided. The cover frame 520 is provided with a lifting cylinder 530 that lifts the rod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levating cylinder 530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contraction direction is directed upward. And, the adsorption frame 540 is coupled to the rod side of the elevating cylinder 530. A plurality of adsorbers 550 for adsorbing and holding the top cover 12 are disposed in the adsorption frame 540 . The adsorber 550 adsorbs the top cover 12 using pneumatic pressure.

제1모듈(100)로 트레이세트(10)가 유입되면 최상층의 탑커버(12)를 제거하기 위하여 커버프레임(520)이 제1모듈(100)의 상부 쪽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530)가 신장하여 흡착프레임(540)을 탑커버(12)의 상부까지 내린다. 그리고 흡착기(550)로 탑커버(12)를 흡착하여 파지하고, 다시 승강실린더(530)가 수축하여 탑커버(12)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커버프레임(520)이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제4모듈(400)쪽으로 이동한 후, 승강실린더(530)를 신장하여 흡착프레임(540)을 제4컨베이어(410) 쪽으로 하강시키고 흡착기(550)의 흡착 상태를 해제하여 탑커버(12)를 제4컨베이어(410)에 내려놓는다. When the tray set 1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module 100, the cover frame 5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dule 100 to remove the top cover 12 of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ift cylinder 530 extends. to lower the suction frame 540 to the top of the top cover 12. Then, the top cover 12 is adsorbed and held by the adsorber 550, and the lift cylinder 530 contracts again to lift the top cover 12. And after the cover frame 520 moves along the cover removal rail 510 toward the fourth module 400, the elevating cylinder 530 is extended to lower the suction frame 540 toward the fourth conveyor 410, The adsorption state of the adsorber 550 is released, and the top cover 12 is placed on the fourth conveyor 410.

이때, 상기 제4모듈(400)에 트레이가 계류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4모듈(400) 또는 제1모듈(100)에 구비된 커버받침대(140)에 올려놓을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tray is moored in the fourth module 400, it can be placed on the cover stand 140 provided in the fourth module 400 or the first module 100.

트레이세트(10)가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옮겨진 후 상기 공급리프터(230)를 통해 제2모듈(200)의 상부로 상승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600)가 트레이세트(10) 중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약간 더 상승시켜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한다. After the tray set 10 is moved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second module 200, it rises to the top of the second module 200 through the supply lifter 230. Then, the separator 600 slightly raises the uppermost part tray 11 among the tray sets 10 to separate it from the tray set 10 .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제2모듈(200)의 상부에 다수개로 배치되되, 부품트레이(11)가 상승하였을 시에 부품트레이(11)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위치는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이다. 세퍼레이터(600)의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의 측단부와 접촉하여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킨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eparator 600 is disposed in plurality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odule 200,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part tray 11 when the part tray 11 is raised. arranged to do This position is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fer rail units 710. The spiral protrusion 620 of the separator 600 contacts the side end of the component tray 11 to raise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체(61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된다. 나선돌기(620)는 제1회전체(610)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나 360°전부 감긴 형상이 아니고 일부만 감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parator 600 has a cylindrical first rotating body 610, and a spiral protrusion 620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610. The spiral protrusion 620 is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first rotating body 610, but is formed in an arc shape in which only a portion is wound, not a shape completely wound by 360°.

상기 나선돌기(620)는 제1회전체(610)에서 나선형상으로 경사진 면이 형성되는데, 부품트레이(11)가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제1회전체(610)가 회전하면 나선돌기(620)가 적층된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의 측단부에 접촉하고, 부품트레이(11)가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다.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이 부품트레이(11)와 접촉하며, 제1회전체(610)는 부품트레이(11)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에서 접촉되는 부위를 분리홈(13)이라 지칭한다. 상기 분리홈(13)은 세퍼레이터(6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단턱진 홈으로써, 나선돌기(620)의 경사면 중 제일 하부에 위치한 면이 분리홈(13)의 하부면과 접촉된다. The spiral protrusion 620 has a spirally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first rotating body 610, and the parts tray 11 ris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piral protrusion 620. That is,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610 rotates, the spiral projection 620 contacts the side end of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in the stacked tray set 10, and the component tray 11 rotates the spiral projection 620. ) and is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crew protrusion 620 contacts the component tray 11, and the first rotating body 610 does not contact the component tray 11. At this time, a portion where the screw protrusion 620 contacts the part tray 11 is referred to as a separation groove 13 . The separation groove 13 is a stepped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600, and the lowermost surface among inclined surfaces of the spiral protrusion 62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groove 13.

제1회전체(610)가 회전함에 따라 나선돌기(620)의 위치가 달라진다.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쪽으로 위치하면 부품트레이(11)가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에 접촉되고,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쪽이 아닌 외측으로 위치하면 상기 부품트레이(11)는 세퍼레이터(600)에 걸리지 않는다. 공급리프터(230)에서 트레이세트(10)를 들어올릴 시에 나선돌기(620)가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하여 부품트레이(11)와의 간섭을 피하고, 일정 높이에 부품트레이(11)가 위치하면 제1회전체(610)를 회전시켜 나선돌기(620)의 경사면과 접촉되게 하고 슬라이딩되게 함으로써 트레이세트(10)로부터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분리한다. 상기 제1회전체(610)가 회전되는 방향은, 나선돌기(620)의 하부면이 먼저 부품트레이(11)에 닿게 한 후 나선돌기(620)의 상부면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As the first rotating body 610 rotates, the position of the screw protrusion 620 changes. When the screw protrusion 620 is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parts tray 11, the parts tray 11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crew protrusion 620, and the screw protrusion 620 is on the outside, not the side facing the parts tray 11. , the parts tray 11 is not caught on the separator 600. When the tray set 10 is lifted by the supply lifter 230, the spiral protrusion 620 is positioned so that it faces outward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parts tray 11, and when the parts tray 11 i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By rotating the first rotating body 61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crew protrusion 620 and sliding it, the uppermost part tray 11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otating body 610 is rotated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protrusion 620 first touches the component tray 11 and then slide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protrusion 620 .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위치 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며, 동력을 받아 제1회전체(610)만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세퍼레이터(600)는 이송모듈(700)의 위치에 상관없이 트레이세트(10)로부터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며, 이로 인해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하려고 할 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더욱 진보한 구조로서, 이송모듈(700)과 세퍼레이터(600)의 동작과 타이밍이 연계하여 최적으로 작동하되,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The separator 600 is fixed in its position without position movement, and only the first rotating body 610 rotates in place by receiving power. The separator 600 separates the uppermost part tray 11 from the tray set 10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hus, when the transfer module 700 tries to transfer the part tray 11 does not interfere with This is a more advanced structure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is possible because the operation and timing of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he separator 600 are optimall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bu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세퍼레이터(600)에서 트레이세트(10) 중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세퍼레이터(600)를 통하여 분리하면 이송모듈(700)이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모듈(700)은 세퍼레이터(600), 또는 후술할 서포터(800)와 연계하여 동작하되, 상호 동작이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정 시간 내에 신속하게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할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600)에서 분리한 부품트레이(11)를 이송모듈(700)이 파지한 후 이송할 때에 세퍼레이터(600)는 이송모듈(700)의 동작과 상관없이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of the tray set 10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600 through the separator 600, the transfer module 700 transfers it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 As shown in FIGS. 5 and 7 , the transfer module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parator 600 or the supporter 800 to be described later, but the mutual operation does not interfere. Therefore, it operates at the optimal timing capable of quickly transferring the parts tray 11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when the transfer module 700 grips and transfers the parts tray 11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600, the separator 600 transfers the parts tray 11 of the next chapter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dule 700. An operation of separating may be performed.

상기 이송모듈(700)의 구조 및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이송모듈(7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이송모듈(700)이 상호 이격되며 그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부품트레이(11)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이송레일대(71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프레임(72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프레임(720)이 왕복이동 하는 동력은 이송구동부(740)로부터 전달받는다. Looking at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module 700, the transfer module 700 is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mponent tray 11 is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spaced apart spaces. In addition, a transfer rail stand 710 cross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module 200 and the third module 300 is provided, and a transfer frame 720 reciprocating along the transfer rail stand 710 is provided. The power for reciprocating the transfer frame 720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fer driver 740 .

그리고 상기 이송프레임(720)에는 수직실린더(760)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에 수평실린더(75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수직실린더(760)는 수직방향으로 로드를 이동시키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의 이동에 따라 수평실린더(750)가 상하로 승강한다. Further, a vertical cylinder 76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transfer frame 720, and a horizontal cylinder 750 is coupled to a rod of the vertical cylinder 760. That is, the vertical cylinder 760 moves the ro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cylinder 75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of the vertical cylinder 760.

상기 수평실린더(750)는 로드의 신축방향이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수평실린더(750)의 로드에는 트레이클램프(730)가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클램프(730)는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한다. 상기 트레이클램프(73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것이 아닌,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함으로써 세퍼레이터(600) 및 후술할 서포터(800)와의 동작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cylinder 750,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d is horizontal, and the tray clamp 730 is coupled to the rod of the horizontal cylinder 750. The tray clamp 730 grips the side of the component tray 11 . Operational interference with the separator 600 and the supporter 8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revented by holding the side of the component tray 11 instead of the tray clamp 730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tray 11, Transfer speed can be improved.

이송모듈(7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세퍼레이터(600)를 통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수평실린더(750)가 신장하여 트레이클램프(730)가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한다. 그리고 수직실린더(760)가 신장하여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한 트레이클램프(730)를 약간 더 상승시키는데, 이는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할 시에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dule 700, first, the horizontal cylinder 750 extends the parts tray 11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through the separator 600 so that the tray clamp 730 extends the part tray 11 grip the side of And the vertical cylinder 760 extends to slightly raise the tray clamp 730 holding the parts tray 11, which avoids interference when transferring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It is for

그리고 이송프레임(720)이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동한다. 그리고 수직실린더(760)가 수축하여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한 트레이클램프(730)를 약간 하강시키고, 수평실린더(750)가 수축하여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내려놓는다. Then, the transfer frame 720 moves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along the transfer rail stand 710 . In addition, the vertical cylinder 760 contracts to slightly lower the tray clamp 730 holding the parts tray 11, and the horizontal cylinder 750 contracts to put down the part tray 11 held.

트레이클램프(730)에 의해 파지된 부품트레이(11)는 수직실린더(760)가 신장하여 약간 상승된 상태이므로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되면서 세퍼레이터(600) 및 서포터(800)에 걸리지 않아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다. Since the parts tray 11 held by the tray clamp 730 is in a slightly raised state due to the extension of the vertical cylinder 760, the separator 600 and the supporter are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800), smooth transfer is possible.

이송모듈(700)을 통해 제2모듈(2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서포터(800)가 받는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800)는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에서 부품트레이(11)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The supporter 800 receives the parts tray 11 from the second module 200 through the transfer module 700 . As shown in FIGS. 5 and 8, the supporter 800 is disposed above the third module 300,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parts tray 11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fer rails 710 are placed

상기 서포터(800)에는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제2회전체(8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돌기(830) 및 경사돌기(82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돌기(830)는 평평한 면으로서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돌기이고, 상기 경사돌기(820)는 상기 받침돌기(830)와 이어지되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돌기(830)는 경사돌기(820)의 경사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즉, 받침돌기(830)의 면이 최상단면이 되며, 경사돌기(820)의 경사면이 점차 하부로 내려오도록 경사가 형성된다. The supporter 800 has a cylindrical second rotating body 810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and a supporting protrusion 830 and an inclined protrusion 820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is formed The support protrusion 830 is a flat surface that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s tray 11, and the inclined protrusion 820 continues with the support protrusion 830, 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It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The support protrusion 83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rotrusion 820 . That is, the surface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becomes the uppermost end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rotrusion 820 is inclined so that it gradually descends downward.

서포터(800)가 부품트레이(11)를 받을 때에, 먼저 받침돌기(83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받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부품트레이(11)가 지지된다. 그리고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면서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부분이 받침돌기(830)에서 경사돌기(820)의 경사면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부품트레이(11)가 경사돌기(82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한다. 하강된 부품트레이(11)는 상승되어 있던 배출리프터(330) 상에 내려오고 안착된다. When the supporter 800 receives the component tray 11, the support protrusion 830 is first placed in a position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tray 11 so that the component tray 11 is supported. And while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rotates,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parts tray 11 moves from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rotrusion 820. At this time, the parts tray 11 is inclined protrusion 820 descends while sliding along the slope of the The lowered part tray 11 is lowered and seated on the discharge lifter 330 that has been raised.

상기 경사돌기(820)는 제2회전체(810)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나 360°전부 감긴 형상이 아니고 일부만 감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돌기(830) 및 경사돌기(8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위치에 놓일 시에 부품트레이(11)를 지지하나, 받침돌기(830) 및 경사돌기(8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방향이 아닌 외측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면 부품트레이(11)가 서포터(800)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배출리프터(330) 상으로 떨어진다. The inclined protrusion 820 is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but is formed in an arc shape in which only a portion is wound, not a shape completely wound by 360°. Therefore, when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and the inclined protrusion 820 are placed in a position facing the parts tray 11, they support the parts tray 11, but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and the inclined protrusion 820 are part tray 11 ), the part tray 11 falls onto the discharge lifter 330 without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er 800.

먼저는 받침돌기(83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하게 위치하여 이송모듈(700)로부터 부품트레이(11)를 전달받고,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면서 부품트레이(11)를 받치는 면이 받침돌기(830)에서 경사돌기(820)로 옮겨진다. 부품트레이(11)는 경사돌기(82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하강하면서 배출리프터(330)로 안착된다. 상기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는 방향은 부품트레이(11)가 닿는 면이 받침돌기(830)에서 경사돌기(820)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First, the support protrusion 830 is positioned toward the parts tray 11 to receive the parts tray 11 from the transfer module 700,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is rotated while supporting the parts tray 11 It is moved from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to the inclined protrusion 820. The parts tray 11 slides along the inclined protrusion 820 and is seated on the discharge lifter 330 while descend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rotates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arts tray 11 moves from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to the inclined protrusion 820 .

상기 서포터(800)는 위치 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며, 동력을 받아 제2회전체(810)만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서포터(800)가 이송모듈(7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전달받은 후, 이송모듈(700)이 어느 위치에 있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간섭의 발생없이 신속하게 부품트레이(11)를 처리할 수 있다. The supporter 800 is fixed in its position without position movement, and only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rotates in place by receiving power. As a result, after the supporter 800 receives the parts tray 11 from the transfer module 700, the transfer module 700 can operate independently at any position, so that the parts tray 11 can be moved quickly without interference. can handle

이하,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의 전체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ntire operation sequence of the conveying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트레이세트(10)가 외부에서 제1모듈(100)로 유입되고 제1컨베이어(110)를 따라서 이송되다가, 제1모듈(100)의 스토퍼(120)에 부딪치면서 일정 위치에 정지한다. 그리고 제1모듈(100)의 얼라이너(130)를 통하여 정렬된다. 이때, 얼라이너(130)는 제1모듈(100), 제2모듈(200), 제3모듈(300), 제4모듈(4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가 다음 순서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한 후에 얼라이너(130)를 통한 정렬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모듈(200)에서 이송모듈(700)을 통하여 제3모듈(300)로 이동하는 부품트레이(11)도 경사얼라이너(900)를 통하여 정렬된다. First, the tray set 10 is brought into the first module 100 from the outside and transported along the first conveyor 110, and then stop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colliding with the stopper 120 of the first module 100. And aligned through the aligner 130 of the first module (100). At this time, the aligner 13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module 100, the second module 200, the third module 300, and the fourth module 400, respectively, and the tray moves to the next sequential position. After completion, alignment through the aligner 130 is performed. Also, the parts tray 11 moving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through the transfer module 700 is also aligned through the inclined aligner 900 .

커버제거모듈(500)의 커버프레임(520)이 제1모듈(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530)가 신장하여 흡착프레임(540)을 트레이세트(10)에 접근시키고, 흡착기(550)로 탑커버(12)를 흡착하여 파지한다. 이후 승강실린더(530)가 수축하여 탑커버(12)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커버프레임(520)이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제4모듈(400)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시 승강실린더(530)가 신장하여 흡착한 탑커버(12)를 제4모듈(400)의 제4컨베이어(410) 상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탑커버(12)는 제4컨베이어(410)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4모듈(400)에 잔류하는 트레이가 있다면 탑커버(12)는 제1모듈(100) 또는 제4모듈(400)의 커버받침대(140) 상에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cover frame 520 of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is located above the first module 100, the lift cylinder 530 extends to bring the adsorption frame 540 close to the tray set 10, and the adsorber ( 550) to adsorb and hold the top cover 12. Thereafter, the cover frame 520 moves to the fourth module 400 along the cover removal rail 510 in a state in which the lift cylinder 530 contracts and lifts the top cover 12 . Then, the lift cylinder 530 extends and places the adsorbed top cover 12 on the fourth conveyor 410 of the fourth module 400. Then, the top cover 12 moves along the fourth conveyor 4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if there is a remaining tray in the fourth module 400, the top cover 12 may be temporarily placed on the cover stand 140 of the first module 100 or the fourth module 400.

탑커버(12)가 제거된 트레이세트(10)는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된다. 제2모듈(200)이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을 때에 공급리프터(230)는 하강한 상태여서 트레이세트(10)를 공급리프터(230) 상에 올려놓을 수 있다.The tray set 10 from which the top cover 12 is removed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odule 100 to the second module 200 . When the second module 200 receives the tray set 10, the supply lifter 230 is in a lowered state, so that the tray set 10 can be placed on the supply lifter 230.

그리고 부품트레이(11)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하기 위해서 트레이세트(10)가 안착된 공급리프터(230)를 상승시킨다. 공급리프터(230)의 상승 높이는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의 나선돌기(620)에 인접한 높이까지 상승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600)의 제1회전체(610)가 회전하여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의 분리홈(13)에 나선돌기(620)가 접촉하여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을 따라 부품트레이(11)가 슬라이딩되고 상승한다. 이로써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트레이세트(10)에서 분리된다.Then, in order to transfer the component tray 11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the supply lifter 230 on which the tray set 10 is seated is raised. The lifting height of the supply lifter 230 is raised to a height adjacent to the screw protrusion 620 of the separator 600 at the uppermost part tray 11 . In addition, the first rotating body 610 of the separator 600 rotates so that the screw projection 620 contacts the separation groove 13 of the component tray 11 on the uppermost layer, an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crew projection 620, the parts tray ( 11) slides and rises. As a result,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is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

그리고 상기 이송모듈(700)의 수평실린더(750)가 신장하여 트레이클램프(730)가 분리된 부품트레이(11)의 측면을 파지하고, 수직실린더(760)가 신장하여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약간 더 상승시킨다. 그리고 이송프레임(720)이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동함으로써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한다. 제3모듈(300)의 상부로 이동한 부품트레이(11)는 서포터(800)에 안착되기 위해 수직실린더(760) 및 수평실린더(750)가 수축하여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한 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서포터(800)의 회전위치는 받침돌기(83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방향에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cylinder 750 of the transfer module 700 extends to grip the side of the separated parts tray 11 with the tray clamp 730, and the vertical cylinder 760 extends to grip the part tray 11 raise slightly more. In addition, the transfer frame 720 moves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along the transfer rail 710 to transfer the component tray 11 . The vertical cylinder 760 and the horizontal cylinder 750 contract so that the parts tray 11 moved to the top of the third module 300 is seated on the supporter 800, and the transfer module 700 moves the part tray 11 release the gripped state. At this tim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upporter 800 is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faces the parts tray 11 .

부품트레이(11)가 서포터(800)의 받침돌기(830)에 안착되고,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면서 부품트레이(11)가 슬라이딩되어 경사돌기(820)를 따라 하강한다. 경사돌기(820)의 하단에서 벗어난 부품트레이(11)는 상승되어 있는 배출리프터(330) 상에 올려진다. 배출리프터(330) 상에 올려지는 부품트레이(11)의 개수는 단일,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적층될 수 있다. The parts tray 11 is seated on the supporting protrusions 830 of the supporter 800,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rotates while the parts tray 11 slides and descends along the inclined protrusions 820. The parts tray 11 devi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rotrusion 820 is placed on the discharge lifter 330 which is raised. The number of component trays 11 placed on the discharge lifter 330 may be single or stacked by any number.

배출리프터(330)는 부품트레이(11)를 안착받고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에 전달하며,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 제4모듈(400)에서 트레이는 제4컨베이어(4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e discharge lifter 330 receives the component tray 11, descends, transfers it to the third conveyor 310, and transfers it to the fourth module 400. In the fourth module 400, the tra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urth conveyor 410.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한 이후, 제2모듈(200)로 이송하여 이송모듈(700)을 통해 곧바로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하여 매우 신속한 동작으로 트레이를 처리할 수 있다.In the transport system for processing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cover 12 of the tray set 10 is removed from the first module 100 and then transported to the second module 200 so that the transport module 700 ),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tray with a very rapid operation by transferring the parts tray 11 directly through.

또한,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할 시에 세퍼레이터(600)와 서포터(8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연계 타이밍을 고려하여 부품트레이(11)의 이송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nsfer module 7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parator 600 and the supporter 800 when transferring the part tray 11, it can operate independently, so the part tray 11 ) can further improve the feed rate.

더불어,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들어올리는 세퍼레이터(600)와,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배출리프터(330) 상에 내려놓는 서포터(800)가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고정되되 회전동작만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므로 부품트레이(11) 속도가 빠르며, 이송모듈(700)의 위치와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부품트레이(11)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parator 600 that lifts the uppermost part tray 11 in the tray set 10 and the supporter 800 that puts the separated part tray 11 down on the discharge lifter 330 do not move and Since it is fixed in place but performs its function only by rotation, the speed of the parts tray 11 is high, and since it can operat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module 700, a large amount of parts tray 11 can be quickly transferred. .


10:트레이세트 11:부품트레이 12:탑커버 13:분리홈
20:트레이이동모듈 21:이동프레임 22:이동흡착기 23:이동승강대
24:이동레일대 25:트레이적재판 26:셔틀판 27:안착흡착기
100:제1모듈 110:제1컨베이어 120:스토퍼 130:얼라이너 140:커버받침대
200:제2모듈 210:제2컨베이어 220:공급승강대 230:공급리프터
300:제3모듈 310:제3컨베이어 320:배출승강대 330:배출리프터
400:제4모듈 410:제4컨베이어
500:커버제거모듈 510:커버제거레일대 520:커버프레임 530:승강실린더
540:흡착프레임 550:흡착기
600:세퍼레이터 610:제1회전체 620:나선돌기
700:이송모듈 710:이송레일대 720:이송프레임 730:트레이클램프
740:이송구동부 750:수평실린더 760:수직실린더
800:서포터 810:제2회전체 820:경사돌기 830:받침돌기
900:경사얼라이너 910:패드

10: tray set 11: parts tray 12: top cover 13: separation groove
20: tray moving module 21: moving frame 22: moving suction machine 23: moving lift
24: movable rail stand 25: tray stacking board 26: shuttle board 27: seat adsorber
100: first module 110: first conveyor 120: stopper 130: aligner 140: cover support
200: second module 210: second conveyor 220: supply lift 230: supply lifter
300: third module 310: third conveyor 320: discharge lift 330: discharge lifter
400: fourth module 410: fourth conveyor
500: cover removal module 510: cover removal rail stand 520: cover frame 530: lift cylinder
540: adsorption frame 550: adsorber
600: separator 610: first rotating body 620: spiral protrusion
700: transfer module 710: transfer rail stand 720: transfer frame 730: tray clamp
740: transfer drive unit 750: horizontal cylinder 760: vertical cylinder
800: supporter 810: second rotating body 820: inclined projection 830: support projection
900: inclined aligner 910: pad

Claims (6)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공급된 부품트레이(11)를 승강시키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상기 제2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가 회전에 의하여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에 끼워져 트레이세트(10)로부터 낱개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키며 분리하는 복수개의 세퍼레이터(600); 및
상기 세퍼레이터(600)에 의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 first module 100 receiving a tray set 10 including a plurality of component trays 11 stor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a top cover 12 covering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a second module 200 receiving the tray set 10 from the first module 100 and having a supply lifter 230 for lifting the tray set 10;
a third module 300 receiving the component trays 11 transported from the second module 200 one by one and having a discharge lifter 330 for lifting the supplied component trays 11;
a fourth module 400 receiving the part tray 11 from the third module 30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odule, the cylindrical first rotating body 610 having spiral protrusions 620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ed so that the spiral protrusions 620 are inserted into the parts tray 11 to set the tray A plurality of separators 600 for lifting and separating the individual component trays 11 from (10); and
A transfer module 700 that grips the part tray 11 separated from the tray set 10 by the separator 600 and transfers it from the second module 200 to the third module 300;
A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의 제2회전체(8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에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돌기(83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830)와 이어진 나선형상의 경사돌기(820)가 형성되는 서포터(800);를 더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rd module 300, rotating the cylindrical second rotating body 810,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s tray 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810 A supporter 800 in which a protrusion 830 is formed and a spiral inclined protrusion 820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rotrusion 830 is formed;
A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600)와 서포터(800)는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부품트레이(11)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상기 공급리프터(230)의 상승 위치에 의하여 제2모듈(200)의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분리하며;
상기 서포터(800)는 이송모듈(700)에 의하여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하강시켜 상기 배출리프터(330) 위에 올려놓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eparator 600 and the supporter 800 ar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ansfer rails 710 and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mponent tray 11;
The separator 600 lifts and separates the uppermost component tray 11 in the tray set 10 of the second module 200 by the lifting position of the supply lifter 230;
The supporter 800 lowers the parts tray 11 transported by the transfer module 700 and places it on the discharge lifter 330;
A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700)은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이송레일대(710);
상기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프레임(720);
상기 이송프레임(72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실린더(760);
상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에 결합되는 수평실린더(750);
상기 수평실린더(750)의 로드에 결합되며,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하는 트레이클램프(730);를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module 700 is
A transfer rail stand 710 cross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module 200 and the third module 300;
A transfer frame 720 reciprocating along the transfer rail 710;
a vertical cylinder 760 coupled to the transfer frame 720 in a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cylinder 750 coupled to the rod of the vertical cylinder 760;
A tray clamp 730 coupled to the rod of the horizontal cylinder 750 and gripping the side of the parts tray 11;
A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제2항에 있어서,
제3모듈(300)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패드(910)가 실린더의 신장 전에 부품트레이(11)의 하단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다가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단을 받치는 경사얼라이너(900);를 더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It is dispos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parts tray 11 transferred to the third module 300, and the pad 910 in contact with the part tray 11 is at a height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arts tray 11 before the extension of the cylinder. Inclined aligner 900 in which the pad 910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parts tray 11 while the cylinder extends while in 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제1항에 있어서,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하는 커버제거모듈(500)은
상기 제1모듈(100) 및 제4모듈(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제거레일대(510);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프레임(520);
상기 커버프레임(520)에 결합되며, 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30);
상기 승강실린더(530)의 로드에 결합되며, 탑커버(12)를 흡착하는 흡착기(550)가 다수 배치되는 흡착프레임(540);을 포함하며,
트레이세트(10)가 상기 제1모듈(100)에서 커버제거모듈(500)에 의해 탑커버(12)가 제거되어 제2모듈(200)로 이송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for removing the top cover 12 of the tray set 10
a cover removal rail stand 510 disposed above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fourth module 400;
A cover frame 520 reciprocating along the cover removal rail 510;
an elevating cylinder 530 coupled to the cover frame 520 and elevating the rod vertically;
It is coupled to the rod of the lift cylinder 530 and includes a suction frame 540 in which a plurality of absorbers 550 for adsorbing the top cover 12 are disposed,
In the tray set 10, the top cover 12 is removed by the cover removal module 500 in the first module 100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module 200.
A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KR1020230047274A 2023-04-11 2023-04-11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ctive KR102561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274A KR102561650B1 (en) 2023-04-11 2023-04-11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274A KR102561650B1 (en) 2023-04-11 2023-04-11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50B1 true KR102561650B1 (en) 2023-07-28

Family

ID=8742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274A Active KR102561650B1 (en) 2023-04-11 2023-04-11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6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1930A (en) * 2023-12-25 2024-04-05 南通思瑞机器制造有限公司 Efficient stacking integrated system of distribution transform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3630A (en) * 1984-04-06 1985-10-25 Motoda Electronics Co Ltd Tray distributor
JP3164240B2 (en) * 1992-02-25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Tray changer for parts
JP2013121863A (en) 2011-12-09 2013-06-20 Seiko Epson Corp Apparatus and system for conveying tray
KR101593516B1 (en) * 2014-05-27 2016-02-15 (주)욱일에스피테크 Glass Panel Cycle For Tower Lift Device
JP2019001548A (en) * 2017-06-18 2019-01-10 Biデザイン合同会社 Pallet, plate material separation supporting device, plate material placing device and plate material carrying-in/out apparatus for storing pallet
JP6663708B2 (en) 2015-12-24 2020-03-13 平田機工株式会社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3630A (en) * 1984-04-06 1985-10-25 Motoda Electronics Co Ltd Tray distributor
JP3164240B2 (en) * 1992-02-25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Tray changer for parts
JP2013121863A (en) 2011-12-09 2013-06-20 Seiko Epson Corp Apparatus and system for conveying tray
KR101593516B1 (en) * 2014-05-27 2016-02-15 (주)욱일에스피테크 Glass Panel Cycle For Tower Lift Device
JP6663708B2 (en) 2015-12-24 2020-03-13 平田機工株式会社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JP2019001548A (en) * 2017-06-18 2019-01-10 Biデザイン合同会社 Pallet, plate material separation supporting device, plate material placing device and plate material carrying-in/out apparatus for storing pal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1930A (en) * 2023-12-25 2024-04-05 南通思瑞机器制造有限公司 Efficient stacking integrated system of distribution transfor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7900B (en) Production line and feeding device
US201502841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nd de-stacking goods carriers
CN1125483C (en) Tray storing and feeding apparatus
CN112357589B (en) Full-automatic screen feeding machine
JP2017095282A (en) Article transfer device
KR20180046549A (en) Lens Unit Sorting Apparatus And Lens Unit Sort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10027899B (en) Production line, feeding device and connection mechanism
KR102561650B1 (en)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JP2850474B2 (en) Parts supply device
CN116281797B (en) Tray capping and uncapping conveying system for chip cleaning
KR20080045027A (en) Semiconductor Package Unloading Handler
KR101409616B1 (en) Depalletizer of liquid storage bottle
KR20210127376A (en) System for unloading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CN115180214B (en) Automatic boxing equipment and boxing method for glass products
KR102143715B1 (en) Taping system and taping method
KR20100053125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emiconductor packages
KR101604044B1 (en) Tray Feeder Having a Structure of Multi-Stackers
KR100795964B1 (en) Boat recovery device for semiconductor package unloading handler
CN210943865U (en) Separation conveying mechanism for carrier
CN117775703B (en) A waterproof breathable valve body transfer device
KR200404813Y1 (en) A clamp type can load machine
KR102576514B1 (en) Tray multi-process conveying system
KR20130111700A (en) Sorting apparatus for tray
JP3790003B2 (en) Plate material transfer device
KR200286751Y1 (en) Tray Feeder of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