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0163B1 -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163B1
KR102560163B1 KR1020200162306A KR20200162306A KR102560163B1 KR 102560163 B1 KR102560163 B1 KR 102560163B1 KR 1020200162306 A KR1020200162306 A KR 1020200162306A KR 20200162306 A KR20200162306 A KR 20200162306A KR 102560163 B1 KR102560163 B1 KR 10256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nozzle assembly
inlet
cosmetic material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142A (ko
Inventor
김종근
한호영
이형윤
김고은
조기성
이찬주
이건구
정광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6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163B1/ko
Priority to PCT/KR2021/002951 priority patent/WO2022114400A1/ko
Priority to CN202180080127.7A priority patent/CN116670033A/zh
Priority to JP2023532445A priority patent/JP7549744B2/ja
Publication of KR2022007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60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rotatable
    • B65B43/62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rotatable about an axis located at the filling position, e.g. the axis of the container or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2039/009Multipl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는, 복수 개의 유입부, 복수 개의 토출부 및 하나의 유입부와 복수 개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채널을 갖는 본체; 및 내부에 연결채널이 형성되며 본체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NOZZLE ASSEMBLY FOR COSMETIC RAW MATERIALS INJECTION,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얼굴이 화사하면서 아름답게 보이도록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한다.
이러한 화장품은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프레그런스(fragrance), 약용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은 크림, 분말, 액상의 상태로 구분되고, 화장품의 상태에 따라 알맞은 용기에 보관된다.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중에서 액상 또는 겔상으로 된 파운데션과 같은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충전된 상태로 제조된다.
최근, 파운데이션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의 경우, 사용자의 색상 선호도에 따라 구매 취향이 포괄적이고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장 소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하나로 합쳐진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제품군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색상을 가지는 다색 파운데이션이나 서로 다른 기능이 하나로 합쳐진 다기능 파운데이션이 많이 제작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파운데이션에 충전되는 화장료들의 색상을 달리하고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들이 충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파운데이션에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각 화장료를 동일한 유량으로 용기에 충전하는 것이 어렵고,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를 충전하더라도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의 양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운데이션에 충전되는 화장료는 지속적인 유동성을 가지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를 용기에 충전시 원하는 패턴으로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1591호(공개일: 2020.08.28.)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용기 내에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가 동일한 유량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화장료의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부 및 하나의 유입부와 하나 이상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공간부를 갖는 본체;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채널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상기 유입부와 하나의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채널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본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는, 열전도 및 열복사를 통해 상기 연결채널 및 상기 토출부를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복수 개의 블록이 적층 배열되며, 적층 배열된 복수 개의 블록을 둘러싸는 내측 하우징; 및 상기 내측 하우징이 삽입 결합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하우징 및 상기 외측 하우징의 상부에는 하우징 커버가 마련되고, 하우징 커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받은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 노즐; 및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노즐이 장착되는 노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 노즐은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그 일부분이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토출 노즐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 노즐이 관통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의 개수는 상기 유입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이 3개로 마련될 때 상기 유입부도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유입부에는,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가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상기 노즐 조립체; 및 상기 노즐 조립체로부터 화장료를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가 배치되는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는, 상기 용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 지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는, 상기 용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용기로 공급된 화장료를 휘저어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를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의하면,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로 화장료가 주입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화장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온도 측정 단계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가열부가 작동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본체의 온도가 가온 영역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가 주입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부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가 공급되고, 상기 화장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가 상기 용기로 한 꺼번에 충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를 동일한 유량으로 분사할 수 있어서 화장료를 용기 내에 사용자가 미리 정해놓은 패턴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를 동일 유량으로 일정하게 보다 머랭과 같은 질감을 가지는 머랭형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은, 가열부에 의해 화장료의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서 토출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기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으로 화장료를 충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은 종래 단조로운 패턴을 가지는 화장료와 달리 사용자에게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가 쌍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의 하단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에 의해 화장료가 충전된 용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는 유입부(111), 토출부 및 유입부(111)와 토출부를 연결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본체(110) 및 본체(110)와 결합되는 블록(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외부에서 제조된 화장료(R; cosmetic Raw materials)가 유입되고 유입된 화장료(R)가 용기(C)로 토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본체(110)에는 유입부(111), 토출부 및 유입부(111)와 토출부를 연결하는 공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부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본체(110)의 공간부에는 후술할 하우징(115)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본체(110)의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마련되며, 중공으로 형성된 부분이 본체(110)의 공간부일 수 있다.
본체(110)의 공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채널(113)이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112)과 유입부(111), 토출부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의 공간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111)와 하나 이상의 토출부가 연결될 수 있다.
유입부(111)와 토출부를 연결하기 위한 본체(110)의 내부 구성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10)의 하우징(11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112),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블록(112)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블록(112)을 1차적으로 둘러싸는 내측 하우징(117)과 내부에 내측 하우징(117)이 삽입 결합되는 외측 하우징(116) 및 내측 하우징(117)이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하우징(117) 및 외측 하우징(116)을 덮는 하우징 커버(115a)로 구분된다.
이때, 하우징 커버(115a)와 외측 하우징(116)은 볼트(bolt) 등과 같은 결합부재(117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 커버(115a)의 가장자리와 외측 하우징(116)의 가장자리가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117a)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참고로, 하우징 커버(115a) 및 외측 하우징(116)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미도시)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1)는 유입부는 본체(110), 즉 하우징 커버(115a)의 상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화장료(R)를 공급받는 부분이다.
이러한 유입부(111)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는 유입부(111)가 3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3개의 유입부(111)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R)가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유입부(1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유입부(111)로 유입된 화장료를 제1 화장료(R1)라 하고, 3개의 유입부(111) 중에서 다른 유입부(111)들의 각각으로 유입된 화장료를 제2 화장료(R2), 제3 화장료(R3)라 한다.
참고로, 3개의 유입부(111)에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이종의 화장료가 공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개의 유입부(111)는 유입부 장착블럭(114)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커버(115a)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토출부는 3개의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화장료(R)를 외부로 토출하여 용기(C)에 충전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토출부는 유입부(111)와 반대되는 위치인 외측 하우징(116)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토출부는 상술한 유입부(111)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화장료(R)는 하나 이상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러한, 토출부는 유입부(111)를 통해 공급받은 화장료(R)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노즐(118)과 토출 노즐(118)을 통과시키는 노즐 커버(119)를 포함한다.
토출 노즐(118)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로 마련되는 토출 노즐(118)의 개수는 용기(C)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pattern)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유입부(111)의 개수와 비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로 마련되는 토출 노즐(118)은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로 마련된 토출 노즐(118)의 내경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 토출 노즐(118)이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마련됨에 따라,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을 통해 토출되는 화장료(R)의 유량과 유속은 모두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로부터 용기(C)에 충전되는 화장료(R)를 평면 상에 동일한 패턴으로 분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참고로,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로부터 용기(C)에 충전되는 화장료(R)의 유량과 유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부(111)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미도시)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의 내부에서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은 외측 하우징(116)을 통과하여 노즐 커버(119)와 결합된다.
노즐 커버(119)는 외측 하우징(116)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이 장착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은 외측 하우징(116)의 내부에 형성된 노즐 관통홈(116a)을 통과하여 노즐 커버(119)와 결합된다.
참고로, 외측 하우징(116)에 관통 형성된 노즐 관통홈(116a)의 개수는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의 개수와 대응되는 크기 및 개수로 형성된다.
즉,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은 외측 하우징(116)의 노즐 관통홈(116a)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그 일부분이 외측 하우징(116)의 하단부에 대해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외측 하우징(116)의 하단부에 대해 돌출된 상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은 외측 하우징(116)의 하단부에 결합된 노즐 커버(119)에 결합된다.
노즐 커버(119)에는 복수 개의 노즐 연통홈(119a)이 관통 형성된다.
노즐 커버(119)에 결합된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은 노즐 커버(119)의 복수 개의 노즐 연통홈(119a)과 연통되게 된다.
결국, 복수 개의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화장료(R)는 노즐 커버(119)의 노즐 연통홈(119a)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토출된다.
참고로, 노즐 커버(119)는 외측 하우징(116)의 하단부에 볼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119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노즐 커버(119)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홈(미도시) 및 결합부재(119b)를 이용하여 외측 하우징(116)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유입부(111)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는 하나의 연결채널(11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유입부(111)는 복수 개의 연결채널(113)을 통해 복수 개의 토출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채널(113)도 유입부(111) 및 토출부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채널(113)은 블록(112)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112)은 유입부(111)와 토출부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내부에 복수 개의 연결채널(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블록(112)은 복수 개로 마련된다.
복수 개로 마련된 블록(112)은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하우징(115)에 삽입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블록(112)은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내측 하우징(117)에 적층 배열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블록(112)이 적층 배열된 내측 하우징(117)은 외측 하우징(116)에 의해 둘러쌓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블록(112)을 내측 하우징(117) 및 외측 하우징(116)이 둘러쌈에 따라 후술할 가열부(130)에 의해 히팅된 블록(112)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측 하우징(117)은 내부에 복수 개의 블록(112)이 적층 배열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115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커버(115a)와 내측 하우징(117)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가열부(130)에 의해 히팅된 내측 하우징(117) 및 내측 하우징(117)으로부터 열이 전도된 복수 개의 블록(112)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한 경우에 하우징 커버(115a)는 내측 하우징(117)과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커버(115a)이 내측 하우징(117)과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 커버(115a)은 내측 하우징(117)과 볼트 등의 결합부재나 용접 등을 이용한 결합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하우징 커버(115a)와 내측 하우징(117)이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도 내측 하우징(117) 및 복수 개의 블록(112)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하우징 커버(115a)와 내측 하우징(117)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 보다는 열 손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즉, 내측 하우징(117) 및 복수 개의 블록(112)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측 하우징(117)의 내부에 복수 개의 블록(112)이 적층 배열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115a)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블록(112) 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연결채널(113)은 서로 인접한 블록(112)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연결채널(113)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112)은 유입부(111)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111)가 3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블록(112)도 유입부(111)와 동일하게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블록(112)이 3개로 마련될 때, 내측 하우징(117) 및 외측 하우징(116)의 내부에 적층된 순서대로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제3 블록(112c)이라 한다.
이러한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은 실질적으로 모두 동일한 구조 및 형태를 가지는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블록(112a)은 제1 화장료(R1)가 이동하는 제1 연결채널(113a) 중에서 메인의 제1 연결채널(113a)이 형성되는 부분이고, 제2 블록(112b)은 제2 화장료(R2)가 이동하는 제2 연결채널(113b) 중에서 메인의 제2 연결채널(113b)이 형성되는 부분이며, 제3 블록(112c)은 제3 화장료(R3)가 이동하는 제3 연결채널(113c)중에서 메인의 제3 연결채널(113c)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즉, 제1 화장료(R1)는 어느 하나의 유입부(111)를 통해 제1 블록(112a)으로 유입되어, 제1 블록(112a)에 형성된 메인의 제1 연결채널(113a)로부터 분기된 복수 개의 제1 연결채널(113a)을 따라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을 거치고, 복수 개의 제1 연결채널(113a)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제1 화장료(R1)는 용기(C)에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충전된다.
또한, 제2 화장료(R2)는 다른 하나의 유입부(111)를 통해 제1 블록(112a) 및 제2 블록(112b)으로 유입되고, 제2 블록(112b)에 형성된 메인의 제2 연결채널(113b)로부터 분기된 복수 개의 제2 연결채널(113b)을 따라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을 거쳐서, 복수 개의 제2 연결채널(113b)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제2 화장료(R2)는 용기(C)에 제1 화장료(R1)가 위치된 위치를 제외하고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놓은 위치에 충전된다.
또한, 제3 화장료(R3)는 또 다른 유입부(111)를 통해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으로 유입되고, 제3 블록(112c)에 형성된 메인의 제3 연결채널(113c)로부터 분기된 복수 개의 제3 연결채널(113c)을 따라 제3 블록(112c)을 거쳐서, 복수 개의 제3 연결채널(113c)에 연결된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제3 화장료(R3)는 용기(C)에 제1 화장료(R1) 및 제2 화장료(R2)가 위치된 위치를 제외하고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놓은 위치에 충전된다.
상술하 바와 같이,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연결채널(113a,113b,113c) 각각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112a) 및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연결채널(113a,113b,113c) 중에서, 제1 화장료(R1)가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채널(113a)은 서로 연결되고 제2 화장료(R2)가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채널(113b)은 서로 연결되며, 제3 화장료(R3)가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채널(113c)은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연결채널(113a,113b,113c) 중에서, 제1 화장료(R1)가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채널(113a)과 제2 화장료(R2) 및 제3 화장료(R3)가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2, 제3 연결채널(113b,113c) 각각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연결채널(113a,113b,113c) 중에서, 제2 화장료(R2)가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채널(113b)과 제1 화장료(R1) 및 제3 화장료(R3)가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1, 제3 연결채널(113a, 113c) 각각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3개의 유입부(111) 각각을 통해 유입되는 제1 화장료(R1), 제2 화장료(R2) 및 제3 화장료(R3)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제1 블록(112a), 제2 블록(112b) 및 제3 블록(112c)을 거쳐서 용기(C)에 충전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유입부(111)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연결채널(113)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제1 화장료(R1)가 토출부로 이동되는데 필요한 제1 연결채널(113a)의 길이와 다른 하나의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제2 화장료(R2)가 토출부로 이동되는데 필요한 제2 연결채널(113b)의 길이 및 제3 화장료(R3)가 토출부로 이동되는데 필요한 제3 연결채널(113c)의 길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화장료(R1), 제2 화장료(R2) 및 제3 화장료(R3)가 이동되는 제1, 제2, 제3 연결채널(113a,113b,113c) 각각의 전체 길이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제1 화장료(R1), 제2 화장료(R2) 및 제3 화장료(R3)의 유량 및 유속은 모두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토출 노즐(118)을 통해 용기(C)로 충전되는 제1 화장료(R1), 제2 화장료(R2) 및 제3 화장료(R3) 각각은 용기(C)의 평면 상에 동일한 패턴으로 분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3개의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제1 화장료(R1), 제2 화장료(R2) 및 제3 화장료(R3)는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만약,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화장료(R)가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용기(C)에 충전되기까지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블록(112)의 연결채널(113) 및 토출부의 토출 노즐(118)이 막힐 수 있어서 화장료(R)가 용기(C)로 충분히 충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 자체가 고장날 수 있어서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화장품이 제조되더라도 완성된 화장품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어서 화장품 자체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는 가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30)는 본체(11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가열부(130)는 열전도 및 열복사 원리를 이용하여 화장품 제조를 위해 유입된 화장료(R)의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열부(130)는 본체(110)와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열부(130)는 본체(110)를 통해 유입부(111)로 유입된 화장료(R)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토출되는데까지 유동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130)는 가열부 케이스(132) 및 가열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 케이스(132)는 가열부재(134)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본체(110)와 접촉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분이다.
가열부 케이스(132)는 폭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열부 케이스(132)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 장착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 케이스(132)에 형성되는 가열부재 장착홈(133)은 가열부 케이스(132)의 폭 방향 길이를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 장착홈(133)에 장착되는 가열부재(134)는 열선이나 히팅 파이프(heating pipe)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10)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가능하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가 2개가 하나의 세트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화장품 제조 상의 효율을 위한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따라, 가열부(130)가 한 쌍의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에 걸쳐서 접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1개의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열부(130)의 크기 및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한편, 가열부 케이스(132)의 내부에 장착된 가열부재(134)의 열이 본체(110)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열부(130)는 물론, 본체(110) 및 본체(110)를 구성하는 블록(112) 및 하우징(115)은 열 전달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부(130)는 외측 하우징(116)과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열부(130)의 가열부재(134)로부터 발생된 열은 외측 하우징(116)을 통해 내측 하우징(117)으로 전달되고, 내측 하우징(117)을 통해 복수 개의 블록(112) 들로 전달되게 된다.
결국, 복수 개의 블록(112)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채널(113)을 통해 이동되는 화장료(R)에도 가열부재(134)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게 됨으로써, 화장료(R)가 유입되어 토출될 때까지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열부(130)의 가열부 케이스(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장착홈(131)은 본체(1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2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센서 장착홈(131)은 센서(120)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센서 장착홈(131)은 상술한 가열부재 장착홈(133)과는 다르게 가열부 케이스(132)의 내부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130)는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본체(110)의 온도 측정값에 따라 가열부재(134)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부(130), 즉 가열부재(134)로부터 발생된 열은 가열부 케이스(132)에 의해 열 손실이 차단되고, 하우징(115)을 통해 화장료(R)에 전달된 열은 외측 하우징(116), 외측 하우징(116) 및 하우징 커버(115a)에 의해 열 손실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열부(130)에 의해 화장료(R)의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상태라면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으로 용기(C)에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용기(C)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각각에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R1,R2,R3)가 충전되도록 하면서 중앙부 및 가장 자리의 패턴의 형태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부(130)에 의해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된 화장료(R)는 머랭과 같은 질감을 가지는 머랭형 화장료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는 장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40)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를 후술할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장착부(140)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와 결합되는 장착 지지대(142)와 장착 지지대(142)에 복수 개로 마련되어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에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가 결합되도록 하는 장착 컬럼(144)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5에는 장착 컬럼(144)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가 장착되는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의 형태 및 그 위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이하 '화장품 제조 장치' 라 함)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는 전술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 및 용기 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는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화장료(R)가 본체(110)에 마련된 블록(112)을 통과하여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어 용기(C)에 충전되도록 한다.
이때, 용기 지지부(210)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로부터 토출된 화장료(R)를 공급받기 위한 용기(C)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용기 지지부(210)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로부터 토출된 화장료(R)가 용기(C)로 공급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에 장착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용기 지지부(210)는 용기(C)가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플레이트(plat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용기 지지부(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C)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용기(C)의 개수에 따라 용기 지지부(210)의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200)는 제1 구동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20)는 용기 지지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제1 구동부(220)는 용기 지지부(2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용기 지지부(210)를 회전시켜서 용기 지지부(210)에 놓인 용기(C)로 화장료(R)가 공급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부(220)에 의해 용기 지지부(210)가 회전되고 용기 지지부(210)의 회전으로 회전된 용기(C)에 화장료(R)가 공급되면, 용기(C)에 충전된 화장료(R)의 형태가 마블(marble) 형태를 가지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마블형 패턴의 화장료가 충전된 화장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300)는 블레이드(330) 및 제2 구동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330)는 용기 지지부(210)에 배치되는 용기(C)로 공급된 화장료를 휘저어주기 위한 부분이다.
제2 구동부(340)는 블레이드(330)와 결합되어 블레이드(330)를 피벗(pivot)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블레이드(330)는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일종의 핀(pin)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30)는 용기(C)에 화장료(R)가 공급된 이후에 제2 구동부(340)에 의해 피벗 회전되어 용기(C)로 공급된 화장료(R)를 휘젓(stir)게 된다.
그러면, 용기(C)에 충전된 화장료(R)의 형태가 스티어(stir)형을 가지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스티어형 패턴의 화장료가 충전된 화장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2 구동부(340)에 구동되는 블레이드(330)를 이용하여 용기(C)에 공급된 화장료(R)를 휘젓는 경우, 제1 구동부(220)에 의해 용기 지지부(210)에 놓인 용기(C)가 회전되는 상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는 제1 구동부(220), 블레이드(330) 및 제2 구동부(340)에 의해 사용자에게 단조로운 패턴이 아닌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방법은 전술한 화장품 제조 장치(200,300)를 이용한다.
먼저, 본체(110)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본체(110)의 온도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100)의 가열부(130)에 의해 상승되게 된다.
그 다음, 본체(110)의 온도를 측정한다.
본체(110)의 온도 측정은 센서(120)를 이용한다.
여기서, 센서(120)는 본체(11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에서 가열부(130)가 작동되고 어느 정도이나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본체(110)의 온도를 측정한다.
특히, 센서(120)는 가열부(130)가 동작되어 가열부(130)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서 본체(110)의 온도가 가온(加溫) 영역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센서(120)에 의해 본체(110)의 온도가 가온 영역을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본체(11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센서(120)에 의해 본체(110)의 온도가 가온 영역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복수 개의 유입부(111)를 통해 화장료(R)를 주입한다.
이때, 화장료(R)는 복수 개의 유입부(111)를 통해 주입되며, 복수 개의 유입부(111)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화장료(R)가 주입될 수 있다.
그 다음,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 화장료(R)가 용기(C)에 공급된다.
복수 개의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R)는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토출된 화장료(R)는 용기(C)로 공급된다.
이때, 복수 개의 토출부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R)가 용기(C)로 한 꺼번에 충전되게 된다.
또한, 화장료(R)가 용기(C)에 공급되는 단계에서, 제1 구동부(220), 블레이드(330) 및 제2 구동부(34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용기(C)에 충전된 화장료의 패턴은 마블형, 스티어형 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화장료 제조용 노즐 조립체
110: 본체 111: 유입부
112: 블럭 113: 연결채널
114: 유입부 장착블럭 115: 하우징
115a: 하우징 커버 116: 외측 하우징
117: 내측 하우징 118: 토출 노즐
119: 노즐 커버 120: 센서
130: 가열부 131: 센서 장착홈
132: 가열부 케이스 133: 가열부재 장착홈
134: 가열부재 140: 장착부
200, 300: 화장품 제조 장치
210: 용기 지지부 220: 제1 구동부
330: 블레이드 340: 제2 구동부C: 용기 R(R1,R2,R3): 화장료

Claims (1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부 및 하나의 유입부와 하나 이상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공간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채널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블록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유입부와 상기 하나의 토출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채널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마련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본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열전도 및 열복사를 통해 상기 연결채널 및 상기 토출부를 가열하도록 마련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복수 개의 블록이 적층 배열되며, 적층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블록을 둘러싸는 내측 하우징; 및
    상기내측 하우징이 삽입 결합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 및 상기 외측 하우징의 상부에는 하우징 커버가 마련되고,
    하우징 커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부가 형성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받은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 노즐; 및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노즐이 장착되는 노즐 커버를 포함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은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그 일부분이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외측 하우징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토출 노즐이 결합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 노즐이 관통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 관통홈이 형성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개수는 상기 유입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이 3개로 마련될 때 상기 유입부도 3개로 마련되는,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유입부에는,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14. 제3항에 따른 상기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및
    상기 노즐 조립체로부터 화장료를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가 배치되는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 지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용기로 공급된 화장료를 휘저어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를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17. 제14항에 따른 상기 화장품 제조 장치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로 화장료가 주입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화장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온도 측정 단계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가열부가 작동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본체의 온도가 가온 영역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주입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부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가 공급되고,
    상기 화장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이종의 화장료가 용기로 한 꺼번에 충전되도록 마련된, 화장품 제조 방법.
KR1020200162306A 2020-11-27 2020-11-27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Active KR10256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06A KR102560163B1 (ko) 2020-11-27 2020-11-27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PCT/KR2021/002951 WO2022114400A1 (ko) 2020-11-27 2021-03-10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CN202180080127.7A CN116670033A (zh) 2020-11-27 2021-03-10 化妆品原料注入用喷嘴组件、包括其的化妆品制造装置以及利用其的化妆品制造方法
JP2023532445A JP7549744B2 (ja) 2020-11-27 2021-03-10 化粧料注入用ノズル組立体、これを含む化粧品製造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化粧品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06A KR102560163B1 (ko) 2020-11-27 2020-11-27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42A KR20220074142A (ko) 2022-06-03
KR102560163B1 true KR102560163B1 (ko) 2023-07-27

Family

ID=8175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06A Active KR102560163B1 (ko) 2020-11-27 2020-11-27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549744B2 (ko)
KR (1) KR102560163B1 (ko)
CN (1) CN116670033A (ko)
WO (1) WO2022114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0263B1 (ko) * 2022-12-15 2025-02-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다색 마블링이 구현된 스틱형 화장품 제조를 위한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990A (ja) * 2012-06-28 2014-01-20 Kose Corp 油性化粧料の充填ノズル
KR101525532B1 (ko) * 2015-01-15 2015-06-11 (주)씨아이티 화장품용 함침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71647B1 (ko) * 2018-01-09 2019-04-23 김형수 쿠션화장품용 충진노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51B1 (ko) * 1995-08-30 1999-01-15 임충헌 다색의 마블 무늬를 가진 분말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0406822Y1 (ko) 2005-11-04 2006-01-24 주식회사 태평양 클렌져 버블 발생 방지장치
KR100758807B1 (ko) 2006-11-14 200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중 액상 조성물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JP5592315B2 (ja) * 2011-06-24 2014-09-17 株式会社トキワ 多色化粧料の製造方法
KR101770315B1 (ko) * 2016-05-25 2017-08-23 (주) 우정테크 사이드 인젝션 방식 화장용 펜슬의 심체 성형장치
KR101959261B1 (ko) * 2017-04-06 2019-03-19 남광우 화장품 충진장치
KR102015821B1 (ko) * 2017-11-22 2019-08-30 (주)뷰티화장품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장치
KR102217678B1 (ko) 2019-02-20 2021-02-23 (주)레이덱스 다색 내용물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990A (ja) * 2012-06-28 2014-01-20 Kose Corp 油性化粧料の充填ノズル
KR101525532B1 (ko) * 2015-01-15 2015-06-11 (주)씨아이티 화장품용 함침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71647B1 (ko) * 2018-01-09 2019-04-23 김형수 쿠션화장품용 충진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1277A (ja) 2023-12-07
KR20220074142A (ko) 2022-06-03
CN116670033A (zh) 2023-08-29
WO2022114400A1 (ko) 2022-06-02
JP7549744B2 (ja) 202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5724A (en) Process and machine for multi-color injection molding
KR102560163B1 (ko)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EP1307120B1 (en) Lipstick moulding machine and method
JP2000229817A (ja) 多色固形化粧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H02282083A (ja) マルチキャビティ分配容器
AU2002212121A1 (en) Lipstick moulding machine and method
US6283742B1 (en) Molding system for producing solidified articles
US6776600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producing injection-molded articles
KR20240172866A (ko) 화장료 주입용 노즐 조립체
KR102217678B1 (ko) 다색 내용물 충전장치
JPH049282Y2 (ko)
CN216993093U (zh) 多色耗材生产装置及3d打印线材生产装备
KR102770263B1 (ko) 다색 마블링이 구현된 스틱형 화장품 제조를 위한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KR102463055B1 (ko) 화장용 슬러리 조성물 패턴 혼합장치
CN114506080A (zh) 多色耗材生产装置及3d打印线材生产装备
KR100860925B1 (ko) 액체 조성물을 혼합 및 분배하는 방법 및 장치
CA1314029C (en) Mixing valve nozzle
JP2818007B2 (ja) 断面模様入り口紅の製法
US20060120981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ulticoloured poured cosmetic products with various shapes
KR0142890B1 (ko) 2색 배합이 가능한 초컬릿 디포지터
KR101041935B1 (ko) 혼합 디바이스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펜서
JP2020527431A (ja) 混合ベースの複合製品加工機械、混合エレメント、および混合アセンブリ
JPS59204520A (ja) 樹脂の混練装置
KR200180734Y1 (ko) 화장용 2색 이상의 컬러 스폰지 제조 장치
JPH1017029A (ja) 2液混合容器用ジョイント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