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974B1 -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9974B1 KR102559974B1 KR1020180092161A KR20180092161A KR102559974B1 KR 102559974 B1 KR102559974 B1 KR 102559974B1 KR 1020180092161 A KR1020180092161 A KR 1020180092161A KR 20180092161 A KR20180092161 A KR 20180092161A KR 102559974 B1 KR102559974 B1 KR 1025599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ommunication
- gui
- display
- electronic device
- stylus p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5 finger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55 kines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펜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과 연관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과 연관된 G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배터리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제1 GUI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과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동안에 표시되는 GUI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과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의 탈착 여부에 기반하여 디지털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펜들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펜들 중 하나의 디지털 펜을 선택하는 UI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펜들 중 선택된 하나의 디지털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는 무선 통신 연결(connection)을 수립(establish)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립된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 됨을 감지하고, 및
상기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 및 상기 측정된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및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GUI를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됨을 감지하고,
상기 삽입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의 표시를 해제(release)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bluetooth) SIG(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하여 규정되는 블루투스 표준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표준 규격에 기반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GUI가 상기 배터리 상태를 단계(level) 별로 나타내도록 상기 제1 GUI를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release)됨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GUI가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재 수립(re-establish)하고,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재 수립 되는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GUI가 깜빡이는 효과를 제공하고, 및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재 수립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G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색상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색상과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색상을 가지는 제3 G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오프(off) 된 상태에서, 상기 제3 G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는 무선 통신 연결(connection)을 수립(establish)하는 동작;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립된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탈착 됨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 및 상기 측정된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제1 GUI 및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를 나태는 제2 GUI를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됨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삽입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의 표시를 해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GUI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GUI가 상기 배터리 상태를 단계(level) 별로 나타내도록 상기 제1 GUI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release)됨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2 GUI가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재 수립(re-establish)하는 동작;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재 수립 되는 동안에, 상기 제1 GUI가 깜빡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재 수립 되면, 상기 제2 G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색상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색상과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색상을 가지는 제3 G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3 GUI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오프(off) 된 상태에서, 상기 제3 GUI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는 무선 통신 연결(connection)을 수립(establish)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 됨을 감지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립된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배터리 상태와 연관된 정보 및 상기 측정된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및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GUI를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됨을 감지하고,
상기 삽입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의 표시를 해제(release)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release)됨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GUI가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재 수립(re-establish)하고,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재 수립 되는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GUI가 깜빡이는 효과를 제공하고, 및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재 수립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G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색상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색상과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색상을 가지는 제3 G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161A KR102559974B1 (ko) | 2018-08-08 | 2018-08-08 |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PCT/KR2019/009772 WO2020032525A1 (en) | 2018-08-08 | 2019-08-06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
EP19847421.5A EP3791254B1 (en) | 2018-08-08 | 2019-08-06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
US16/533,023 US11307618B2 (en) | 2018-08-08 | 2019-08-06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
CN201980047304.4A CN112424741B (zh) | 2018-08-08 | 2019-08-06 | 用于显示关于触控笔的信息的电子设备及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161A KR102559974B1 (ko) | 2018-08-08 | 2018-08-08 |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7042A KR20200017042A (ko) | 2020-02-18 |
KR102559974B1 true KR102559974B1 (ko) | 2023-07-27 |
Family
ID=6940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2161A Active KR102559974B1 (ko) | 2018-08-08 | 2018-08-08 |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307618B2 (ko) |
EP (1) | EP3791254B1 (ko) |
KR (1) | KR102559974B1 (ko) |
CN (1) | CN112424741B (ko) |
WO (1) | WO20200325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7853B1 (ko) * | 2018-08-06 | 2022-1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어포던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USD952649S1 (en) * | 2019-09-02 | 2022-05-24 | Koninklijke Philips N.V.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11273992B (zh) * | 2020-01-21 | 2024-04-1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图标显示方法及电子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53464A1 (en) * | 2013-03-11 | 2014-09-11 | Barnesandnoble.Com Llc |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stylus idle functionality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1895B1 (ko) | 2006-03-24 | 2013-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터치펜을 이용한 기능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 단말기 |
US7673379B1 (en) | 2007-05-11 | 2010-03-09 |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 Method of producing a stent-balloon assembly |
KR101233215B1 (ko) | 2011-07-01 | 2013-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JP2013239009A (ja) | 2012-05-15 | 2013-11-28 | Panasonic Corp | 画像表示装置 |
KR101909031B1 (ko) | 2012-07-26 | 2018-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EP2778834A1 (en) | 2013-03-15 | 2014-09-17 | BlackBerry Limited | Active stylus low energy indication on a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
KR20140118099A (ko) * | 2013-03-28 | 2014-10-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펜을 갖는 전자 장치 |
US20150370352A1 (en) * | 2014-06-20 | 2015-12-24 | Kabushiki Kaisha Toshiba | Active stylus pen, data in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ctive stylus pen |
KR20160016278A (ko) | 2014-08-04 | 2016-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KR20160035535A (ko) * | 2014-09-23 | 2016-03-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통신 페어링 방법, 통신 매개 장치,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
CN104320579A (zh) | 2014-10-22 | 2015-01-28 |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 一种拍照装置及方法 |
KR102333720B1 (ko) * | 2015-04-09 | 2021-1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펜, 터치 시스템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
US9924019B2 (en) * | 2015-05-15 | 2018-03-2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utomatic device pairing |
KR102356968B1 (ko) * | 2015-09-01 | 2022-01-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장치와의 연결 방법 및 장치 |
KR102393683B1 (ko) * | 2015-10-21 | 2022-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US10101828B2 (en) * | 2016-08-11 | 2018-10-1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Pen wake up on screen detect |
US10846076B2 (en) * | 2016-10-11 | 2020-11-24 | Barfield, Inc. | Remote application update of measurement device field firmware |
-
2018
- 2018-08-08 KR KR1020180092161A patent/KR102559974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8-06 EP EP19847421.5A patent/EP3791254B1/en active Active
- 2019-08-06 CN CN201980047304.4A patent/CN112424741B/zh active Active
- 2019-08-06 WO PCT/KR2019/009772 patent/WO2020032525A1/en unknown
- 2019-08-06 US US16/533,023 patent/US1130761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53464A1 (en) * | 2013-03-11 | 2014-09-11 | Barnesandnoble.Com Llc |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stylus idle functiona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050242A1 (en) | 2020-02-13 |
EP3791254B1 (en) | 2024-10-16 |
WO2020032525A1 (en) | 2020-02-13 |
EP3791254A1 (en) | 2021-03-17 |
KR20200017042A (ko) | 2020-02-18 |
EP3791254A4 (en) | 2021-07-07 |
CN112424741B (zh) | 2025-01-21 |
CN112424741A (zh) | 2021-02-26 |
US11307618B2 (en) | 2022-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8813B1 (ko) |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102540757B1 (ko) |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EP3477773B1 (en) | Antenna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etec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76127B1 (ko) |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20200017308A (ko) |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475781B1 (ko) |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500309B1 (ko) |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20220147161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rrection for styl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US20210325981A1 (en) | Electronic device and stylus pen charging method using same | |
KR20210121547A (ko) | 원격 입력 장치의 거리에 기초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210035002A (ko) |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10115796A (ko) | 원격 인터렉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 |
EP3819748B1 (en) | Method for processing input made with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KR102559974B1 (ko) |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20200044455A (ko) |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 |
US10990199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 |
KR20200100929A (ko) | 필기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00053251A (ko) | 식별한 커버들의 종류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574210B1 (ko) |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200015973A (ko) |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20210063786A (ko) | 하드웨어 리셋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210101689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센서 운용 방법 | |
KR20200038640A (ko) | 디지털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