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680B1 - Filter Assembly for Faucet - Google Patents
Filter Assembly for Fauc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7680B1 KR102557680B1 KR1020210017423A KR20210017423A KR102557680B1 KR 102557680 B1 KR102557680 B1 KR 102557680B1 KR 1020210017423 A KR1020210017423 A KR 1020210017423A KR 20210017423 A KR20210017423 A KR 20210017423A KR 102557680 B1 KR102557680 B1 KR 1025576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water
- bushing
- foreign substances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1805 ba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7 nanoba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9—Housings with transparent par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을 통해 송수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수전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수전용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유입구(3)로 공급된 물을 송수하고 배출구(4)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파이프(2); 일측에 입수공(1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출수공(13)이 형성된 일정 직경의 부싱(11)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필터파이프(2)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폐홀더(14)가 형성되고, 상기 부싱(11)의 표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대(15)의 단부에 마개(16)가 결합된 필터지지체(10); 상기 부싱(11)의 외측면과 밀폐홀더(14)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20); 상기 마개(16)와 지지대(15)를 수용하고 노출된 부싱(1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필터(20)의 내측에서 부싱(11)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필터(30); 상기 제1필터(2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1필터(2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캡(40); 상기 필터파이프(2)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2필터(30)의 일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캡(5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20)는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낸 후 제1필터(20)의 내측으로 배출하여 부싱(11)으로 공급하고, 제2필터(30)는 상기 부싱(11)에서 공급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걸러낸 후 제2필터(3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전에서 투명캡의 개폐로 제1필터와 제2필터가 결합된 필터지지체를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고, 투명캡을 통해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며, 필터지지체에 필터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transmitted through a water pipe, and in the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the water supplied to the inlet (3) is transmit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 filter pipe (2); A bushing 11 having a certain diameter having an inlet hole 12 formed on one side and a water outlet hole 13 formed 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and after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11, it is formed to extend to a certain length to one side, An airtight holder 14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pe 2, and a stopper 16 is provided at the end of a pair of supports 15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bushing 11. Combined filter support (10); A first filter 20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14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nsisting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 The stopper 16 and the support 15 are accommodated and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osed bushing 11 to be fixedly coupled, and included in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bushing 11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20 A second filter 30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made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A blocking cap 40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filter 20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first filter 20; a transparent cap 50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lter pipe 2 and capable of seeing through a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30; Including, the first filter 20 first filters ou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permeated water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n discharges it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20 and supplies it to the bushing 11, and the second filter (30) is to secondarily filter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ushing 11 and then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upport in which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are combined can be easily and quickly replac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parent cap at the faucet, and the filter replacement time can be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transparent cap, and only the filter is placed on the filter support. It can be replaced, which reduces replacement cos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전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을 통해 송수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수전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ower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ower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water transmitted through a water pipe.
일반적으로 필터는 액체나 기체 속에 들어 있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것이다. 더욱이 수전에 결합된 필터는 송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통상 수전에 결합된 필터는 수도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걸러내는 것으로, 단일의 필터나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다.In general, a filter is to filter out impurities contained in a liquid or gas. Furthermore, the filter coupled to the faucet is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water being supplied. Typically, a filter coupled to a faucet filters water introduced through a water pipe, and a single filter or a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본체부(140)와 결합부(110) 내부에 필터(130)가 결합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수도꼭지에서 유입된 물이 필터(130)의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된 후에 샤워기 수전(300)으로 배출되는 동안 필터에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있어 단일의 필터에 의한 필터링 효과가 크지 않고,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판단할 수 없으며,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필터가 내장된 본체부와 결합부를 모두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전의 필터파이프 내부에 고정 결합된 필터조립체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필터지지체로부터 필터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최소화하며, 2중의 필터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하고, 필터의 일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place the filter assembly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pipe of the faucet, and can replace only the filter from the filter support body, thereby minimizing the replacement cost and including it in the water as a double filter. The purpose is to maximize the filtering effect of foreign substances and make it easy to know when to replace the filter by making some of the filter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전용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유입구로 공급된 물을 송수하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파이프; 일측에 입수공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출수공이 형성된 일정 직경의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필터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폐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부싱의 표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대의 단부에 마개가 결합된 필터지지체; 상기 부싱의 외측면과 밀폐홀더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 상기 마개와 지지대를 수용하고 노출된 부싱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필터의 내측에서 부싱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필터; 상기 제1필터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1필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캡; 상기 필터파이프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2필터의 일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캡;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는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낸 후 제1필터의 내측으로 배출하여 부싱으로 공급하고, 제2필터는 상기 부싱에서 공급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걸러낸 후 제2필터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수전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comprising: a filter pipe for transmitting water supplied through an inlet and discharging water through an outlet; A bushing having a certain diameter having an inlet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n outlet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and after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a sealed holder is formed that extends to one side to a certain length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pe. a filter support body having a stopper coupled to ends of a pair of support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bushing; A first filter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mposed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A second filter that accommodates the stopper and the support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osed bushing, and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mposed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bush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a blocking cap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filter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first filter; a transparent cap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lter pipe and capable of seeing through a part of the second filter; Including, the first filter firs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permeated water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n discharges them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and supplies them to the bushing, and the second filter is included 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ushing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secondarily and then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부싱에 결합되는 제1필터와 제2필터는 억지끼움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coupled to the bushing may be press fit or screw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밀폐홀더의 외측면은 일정의 기울기로 확장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may be expanded at a predetermined slope and have different thicknes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부싱의 출수공은 입수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hole of the bushing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let ho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필터는 제2필터보다 길이가 길고 물이 관통하는 투수성이 클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ter may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second filter and may have greater water perme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 내부에 물과의 화학작용이 이루어지는 볼필터가 복수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ll filters having a chemical reaction with w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또한, 본 발명은, 수전용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유입구로 공급된 물을 송수하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파이프; 일정 직경의 부싱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필터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폐홀더가 형성된 제1필터고정체; 상기 부싱의 외측면과 밀폐홀더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필터의 내측에서 부싱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필터; 일정 직경의 부싱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필터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폐홀더가 형성된 제2필터고정체; 상기 부싱의 외측면과 밀폐홀더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3필터;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3필터의 내측에서 부싱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4필터; 차단막의 상부 및 하부로 부싱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의 부싱이 상기 제2필터의 단부와 고정 결합되고, 상부의 부싱이 상기 제3필터의 단부와 고정 결합되는 필터연결체; 상기 제1필터의 단부와 제4필터의 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제1필터와 제4필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캡; 상기 필터파이프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4필터의 일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캡;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투과시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낸 후 제1필터의 내측으로 배출하여 제1필터고정체의 부싱을 통해 제2필터의 내부로 공급하고, 제2필터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걸러낸 후 제2필터의 외측으로 배출하여 필터파이프를 통해 공급하며, 제3필터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3차로 걸러낸 후 제3필터의 내측으로 배출하여 제2필터고정체의 부싱을 통해 제4필터의 내부로 공급하고, 제4필터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걸러낸 후 제4필터의 외측으로 배출하여 필터파이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수전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comprising: a filter pipe that transmits water supplied to an inlet and discharges water through an outlet; A first filter fixtur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extending to one sid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ealing holder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pe; A first filter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mposed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a second filter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and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mposed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bush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fixtur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extending to one sid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ealed holder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pe; A third filter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made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a fourth filter inserted into and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mposed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bushing from the inside of the third filter; a filter connection body in which bushings protrude from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locking film, a lower bushing is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filter, and an upper bushing is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third filter; a blocking cap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filter and an end of the fourth filter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first filter and the fourth filter; a transparent cap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lter pipe and capable of seeing through a portion of the fourth filter; Including, the first filter permeates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to first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and then discharges them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to form a bushing of the first filter fixtur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secondarily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and then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and supplies them through the filter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의 필터파이프 내부에 필터조립체를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고, 필터지지체의 상하에 2개의 필터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2개의 필터로 내부에서 외부로 그리고 외에서 내부로 물을 걸러 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필터의 일부를 외부에서 투시하여 인식할 수 있어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어 수전용 필터의 기능성과 편의성 및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assembly inside the filter pipe of the faucet can be easily and quickly replaced, and only two filters above and below the filter support can be replaced, thereby minimizing the replacement co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iltering effect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by filtering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part of the filter can be recognized by seeing through from the outside, so it is easy to know when to replace the filter. Cost savings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수전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필터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필터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assembly for power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lter assembly for power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ilter assembly for power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서, 필터조립체(1)는 필터파이프(2)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필터파이프(2)는 수도관을 통해 송수된 물이나 보일러를 거쳐 공급된 온수를 공급, 차단, 혼합 또는 변환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세면대용 수전이나 싱크대용 수전 또는 샤워기용 수전 등의 본체에 해당된다. 필터파이프(2)는 단부에 형성된 유입구(3)로 공급된 물을 송수한 후 필터조립체(1)를 거쳐 배출구(4)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이다.1 and 2, the
도 3에서, 필터조립체(1)로서 필터지지체(10)는 제1필터(20) 및 제2필터(30)와 조립된다. 필터지지체(10)의 부싱(11)은 대략 일정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일측에 입수공(1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출수공(13)이 형성된다. 부싱(11)에 형성된 출수공(13)은 입수공(12)보다 작은 직경이다. 입수공(12)에서 출수공(13)으로 물이 송수되는 동안 물의 유속은 빨라질 것이다.In FIG. 3 , the
밀폐홀더(14)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부싱(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 즉 제1필터(20)가 결합되는 쪽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된다. 더욱이 밀폐홀더(14)는 필터파이프(2)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것으로 대략 깔때기 형상이어도 좋다. 밀폐홀더(14)의 외측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일정의 기울기로 확장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밀폐홀더(14)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밀폐홀더(14)는 필터파이프(2)로 유입된 물이 제1필터(20)의 외부에서 내부로만 흡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필터파이프(2)로 유입된 물이 제2필터(30)로 무단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밀폐홀더(14)의 표면은 필터파이프(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필터지지체(10)의 부싱(11)의 일측 표면에서 일정 길이로 한 쌍의 지지대(15)가 돌출되어 결합되고, 지지대(15)의 단부에는 마개(16)가 결합된다. 마개(16)는 삽입 결합된 제2필터(3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제2필터(30)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무단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addition, a pair of
제1필터(20)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제1필터(20)의 일측이 부싱(11)의 외측면과 밀폐홀더(14)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제1필터(20)는 부싱(11)에 억지끼움이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필터(20)는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낸다. 제1필터(20)는 투수성을 갖는 재질이 적용된다.The
제2필터(30)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제2필터(30)는 마개(16)와 지지대(15)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노출된 부싱(1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제2필터(30)는 제1필터(20)의 내측에서 부싱(11)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낸다. 제2필터(30)는 부싱(11)에 억지끼움이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필터(30)는 투수성을 갖는 재질이 적용된다.The
더욱이 제1필터(20)는 제2필터(30)와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제1필터(20)보다 제2필터(30)의 길이가 길거나 또는 제2필터(30)가 제1필터(2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20)는 제2필터(30)와 동일한 크기의 투수성을 갖거나 또는 제1필터(20)보다 제2필터(30)의 투수성이 크거나 또는 제2필터(30)가 제1필터(20)보다 투수성이 큰 것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차단캡(40)은 제1필터(2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1필터(20)의 내부로 물이 무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차단캡(40)은 제1필터(20)를 거치지 않고 제1필터(2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차단캡(40)은 제1필터(20)에 억지끼움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blocking
투명캡(50)은 필터파이프(2)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2필터(30)의 일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투명캡(50)은 필터파이프(2)와 오링(51)을 두고 나사 결합되면서 필터파이프(2)를 밀폐시킨다. 투명캡(50)은 필터파이프(2)의 길이에 따라 내부에 고정 결합된 제1필터(20)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더욱이 필터파이프(2)를 투명한 재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캡(50)이 필터파이프(2)에 결합된 후에 제1필터(20)와 제2필터(30)가 결합된 필터지지체(10)는 투명캡(50)의 내측면에서 필터파이프(2)의 단부 사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필터지지체(1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인 것이 좋다.The
볼필터(43)는 제1필터(20) 및 제2필터(30) 내부에 물과의 화학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필터(43)는 세라믹볼, 은나노볼, 염소제거볼, 비타민볼 등이 적용되어 물에 대한 해당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전 필터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ower receiving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서 필터파이프(2)는 일측에서 물이 유입되고, 타측에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구조로 내부에 도관이 형성된 것으로, 필터파이프(2)는 수도관으로부터 송수된 물이나 보일러를 거쳐 공급된 온수를 공급, 차단, 혼합 또는 변환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세면대용 수전이나 싱크대용 수전 또는 샤워기용 수전 등의 본체에 해당될 것이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필터파이프(2)에 수도관이나 보일러 등에서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필터조립체(1)를 결합한다. 필터조립체(1)를 결합하기 위하여 투명캡(50)을 필터파이프(2)로부터 개방한다. 그리고 필터조립체(1)를 필터파이프(2)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필터지지체(10)에는 제1필터(20)의 일측이 부싱(11)과 밀폐홀더(14) 사이에 삽입되고, 제1필터(20)의 타측에는 차단캡(40)을 삽입하여 밀폐시키며, 제2필터(30)는 일측을 관통공을 통해 필터지지체(10)의 차단마개(16)와 지지대(15)에 삽입한 후 부싱(11)에 삽입하여 밀폐시켜 조립한다.Therefore, the
필터파이프(2)에 필터조립체(1)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투명캡(50)에 오링(51)을 삽입한 후 필터파이프(2)에 결합하여 필터파이프(2)를 밀폐시킨다.When the
이후, 수도관에 연결된 필터파이프(2)로 물이 송수되면, 송수된 물은 제1필터(20)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제1필터(20)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낸다. 제1필터(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부싱(11)의 입수공(12)을 통해 출수공(13)으로 배출된다. 더욱이 수도관에서 필터지지체(10)에 결합된 제1필터(20)의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은 차단캡(40)에 의한 차단과 부싱(11)에 결합된 밀폐홀더(14)의 밀착 결합에 의하여 제1필터(20)의 내부나 제2필터(30) 쪽으로 무단 유입되지 않는다.Thereafte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또한, 부싱(11)의 출수공(13)을 통해 제2필터(30)의 내부로 송수된 물은 제2필터(30)의 내주면을 투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2필터(30)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걸러낸다. 제2필터(30)를 거쳐 배출된 물은 필터파이프(2)의 단부에 형성된 수전의 배출 통로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In addition,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또한, 제1필터(20) 및 제2필터(30) 내부에 복수로 채워진 볼필터(43)는 세라믹볼이나 은나노볼 또는 염소제거볼이나 비타민볼 등으로, 물과의 화학작용을 일으켜 정수된 물의 다양한 기능이나 효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필터파이프(2)에 결합된 필터조립체(1)를 통해 수전을 사용하는 동안 제1필터(20)와 제2필터(30)에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필터의 교체시기가 도래한다. 이때, 투명캡(50)을 통해 제2필터(30)의 표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in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4에서, 제1필터(20)와 제2필터(30)가 결합된 필터조립체(1)가 내장된 복수의 필터파이프(2)를 각각 유입구(3)에 유출구(4)를 호스 등으로 접속하여 다단으로 물을 정수시킨 후 저장탱크에 저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의 필터파이프(2)의 배출구(4)를 제2의 필터파이프(2)의 유입구(3)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다단의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용 필터에 적용되어 다단의 필터조립체를 이용하여 물을 정수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서, 필터파이프(2)에 복수의 필터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일정 길이의 필터파이프(2)의 내부에 제1필터(20)와 제2필터(30)가 고정 결합된 제1필터고정체(21)와, 제3필터(41)와 제4필터(42)가 고정 결합된 제2필터고정체(31)를 삽입하되, 제2필터(30)와 제3필터(41)는 필터연결체(44)를 이용하여 직렬로 연결한다. 그리고 제1필터(20)와 제4필터(42)의 단부에는 마감캡(40)을 각각 결합하여 제1필터(20)의 내부로 물이 무단으로 유입되거나 제4필터(42)의 내부의 물이 외부로 무단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필터파이프(2)의 상단에는 투명캡(50)을 적용하여 제4필터(42)의 일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a plurality of filters may be inserted into the
따라서 필터파이프(2)의 유입구(3)를 통해 정수되지 않은 수돗물 등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제1필터(20)의 외측면에서 투과되는 동안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다. 그리고 제1필터(20)의 내부로 투과되어 유입된 물은 제1필터고정체(21)를 거쳐 제2필터(3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1필터고정체(21)의 부싱(22)에 구성된 밀폐홀더(23)는 필터파이프(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필터(20)의 외측면으로 유입된 물이 제2필터(30)의 외측면으로 무단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2필터(3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2필터(30)를 거쳐 투과되는 동안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이 2차로 걸러진 후 제3필터(41)의 외측면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2필터(30)와 제3필터(41)를 연결하는 필터연결체(44)의 부싱(45)의 외주에 외측으로 확장된 차단막(46)에 의하여 제2필터(30)의 내부에서 제3필터(41)의 내부로 물이 무단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3필터(41)의 외측면으로 유입된 물은 제3필터(41)를 거쳐 투과되는 동안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이 3차로 걸러진 후 내부로 유입되고, 제3필터(4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2필터고정체(31)를 거쳐 제4필터(42)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2필터고정체(31)의 부싱(32)에 구성된 밀폐홀더(33)는 필터파이프(2)에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3필터(41)의 외측면으로 유입된 물이 제4필터(42)의 외측면으로 무단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4필터(42)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4필터(42)를 거쳐 투과되는 동안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이 4차로 걸러진 후 제4필터(42)의 외측면으로 배출된다. 제4필터(42)의 외측면으로 투과된 물은 필터파이프(2)의 배출구(4)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필터파이프(2) 내부에 결합된 제1필터(20) 내지 제4필터(40)를 거치는 동안 물은 4번의 필터링에 의하여 보다 정수된 물을 배출하게 된다.Therefore, unpurified tap water or the like is introduced through the
더욱이 필터파이프(2)의 단부에 결합된 투명캡(50)을 통해 제4필터(42)의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어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필터파이프(2) 내부에 복수의 필터를 고정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고도의 정수기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Moreover, sinc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전용 필터조립체는 수전에서 투명캡의 개폐로 제1필터와 제2필터가 결합된 필터지지체를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고, 투명캡을 통해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며, 필터지지체에 필터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lter assembly for fauc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upport body in which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are combined can be easily and quickly replac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parent cap at the faucet, and the filter replacement time can be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transparent cap. And, since only the filter can be replaced on the filter support,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has it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1: 필터조립체 2: 필터파이프 3: 유입구 4: 배출구
10: 필터지지체 11: 부싱 12: 입수공 13: 출수공 14: 밀폐홀더 15: 지지대 16: 마개
20: 제1필터 21: 제1필터고정체 22: 부싱 23: 밀폐홀더
30: 제2필터 31: 제2필터고정체 32: 부싱 33: 밀폐홀더
40: 차단캡 41: 제3필터 42: 제4필터 43: 볼필터 44: 필터연결체 45: 부싱 46: 차단막
50: 투명캡 51: 오링 52: 손잡이1: filter assembly 2: filter pipe 3: inlet 4: outlet
Reference Numerals 10: filter support 11: bushing 12: inlet hole 13: outlet hole 14: sealing holder 15: support 16: stopper
20: first filter 21: first filter fixture 22: bushing 23: sealing holder
30: second filter 31: second filter fixture 32: bushing 33: sealing holder
40: blocking cap 41: third filter 42: fourth filter 43: ball filter 44: filter connection body 45: bushing 46: blocking film
50: transparent cap 51: O-ring 52: handle
Claims (8)
유입구(3)로 공급된 물을 송수하고 배출구(4)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파이프(2);
일측에 입수공(1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출수공(13)이 형성된 일정 직경의 부싱(11)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필터파이프(2)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폐홀더(14)가 형성되고, 상기 부싱(11)의 표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대(15)의 단부에 마개(16)가 결합된 필터지지체(10);
상기 부싱(11)의 외측면과 밀폐홀더(14)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20);
상기 마개(16)와 지지대(15)를 수용하고 노출된 부싱(1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필터(20)의 내측에서 부싱(11)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필터(30);
상기 제1필터(2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1필터(2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캡(40);
상기 필터파이프(2)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2필터(30)의 일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캡(5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20)는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낸 후 제1필터(20)의 내측으로 배출하여 부싱(11)으로 공급하고, 제2필터(30)는 상기 부싱(11)에서 공급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걸러낸 후 제2필터(3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수전용 필터조립체.
In the water filter assembly,
A filter pipe (2) for transporting water supplied to the inlet (3)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outlet (4);
A bushing 11 having a certain diameter having an inlet hole 12 formed on one side and a water outlet hole 13 formed 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and after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11, it is formed to extend to a certain length to one side, An airtight holder 14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pe 2, and a stopper 16 is provided at the end of a pair of supports 15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bushing 11. Combined filter support (10);
A first filter 20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14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nsisting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
The stopper 16 and the support 15 are accommodated and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osed bushing 11 to be fixedly coupled, and included in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bushing 11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20 A second filter 30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made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A blocking cap (40)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filter (20) to block wa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20);
a transparent cap 50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filter pipe 2 and capable of seeing through a part of the second filter 30; including,
The first filter 20 firs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permeated water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n discharges them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20 and supplies them to the bushing 11, and the second filter 30 A filter assembly for water supply, wherein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ushing (11) are secondarily filtered out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30).
The filter assembly for power receiv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ter (20) and the second filter (30) coupled to the bushing (11) are tightly fitted or screwed together.
The power receiving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14) is expanded with a slope in which a diameter increa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filter assembly for receiving pow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outlet hole (13) of the bushing (11)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water inlet hole (12).
The water power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ter (20) is longer than the second filter (30) and has a high water permeability.
The water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52)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cap (50) for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transparent cap (50).
The water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ball filters (43) having a chemical reaction with water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ilter (20) and the second filter (30).
유입구(3)로 공급된 물을 송수하고 배출구(4)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파이프(2);
일정 직경의 부싱(22)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필터파이프(2)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폐홀더(23)가 형성된 제1필터고정체(21);
상기 부싱(22)의 외측면과 밀폐홀더(23)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20);
상기 부싱(2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필터(20)의 내측에서 부싱(22)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필터(30);
일정 직경의 부싱(32)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상기 필터파이프(2)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폐홀더(33)가 형성된 제2필터고정체(31);
상기 부싱(32)의 외측면과 밀폐홀더(33)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측면에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3필터(41);
상기 부싱(3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3필터(41)의 내측에서 부싱(32)을 거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4필터(42);
차단막(46)의 상부 및 하부로 부싱(45)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의 부싱(45)이 상기 제2필터(30)의 단부와 고정 결합되고, 상부의 부싱(45)이 상기 제3필터(41)의 단부와 고정 결합되는 필터연결체(44);
상기 제1필터(20)의 단부와 제4필터(42)의 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제1필터(20)와 제4필터(42)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캡(40);
상기 필터파이프(2)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4필터(42)의 일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캡(5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20)는 유입구(3)를 통해 유입된 물을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투과시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낸 후 제1필터(20)의 내측으로 배출하여 제1필터고정체(21)의 부싱(22)을 통해 제2필터(30)의 내부로 공급하고, 제2필터(30)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로 걸러낸 후 제2필터(30)의 외측으로 배출하여 필터파이프(2)를 통해 공급하며, 제3필터(41)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3차로 걸러낸 후 제3필터(41)의 내측으로 배출하여 제2필터고정체(31)의 부싱(32)을 통해 제4필터(42)의 내부로 공급하고, 제4필터(42)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4차로 걸러낸 후 제4필터(42)의 외측으로 배출하여 필터파이프(2)의 배출구(4)를 통해 배출하는, 수전용 필터조립체.In the water filter assembly,
A filter pipe (2) for transporting water supplied to the inlet (3)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outlet (4);
A first filter fixture 21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22 of a certain diameter and extending to one side to a certain length, and having a sealed holder 23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pe 2 ;
A first filter 20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irtight holder 23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nsisting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
A second filter ( 30);
A second filter fixture 31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32 of a certain diameter and extending to one side to a certain length, and having a sealing holder 33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pe 2 ;
A third filter 41 that is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3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holder 33 and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made of particles of a certain size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
A fourth filter ( 42);
Bushings 45 protrude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blocking film 46, the lower bushing 45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filter 30, and the upper bushing 45 is the third filter A filter connection body 44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41);
The blocking cap 40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filter 20 and the end of the fourth filter 42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first filter 20 and the fourth filter 42. );
a transparent cap 50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lter pipe 2 and capable of seeing through a portion of the fourth filter 42; including,
The first filter 20 transmits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to primarily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and then discharges the water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20 to provide a first filter. I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lter 30 through the bushing 22 of the filter fixture 21, and the second filter 30 secondarily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The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30 and supplied through the filter pipe 2, and the third filter 41 thirdly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water permeated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and then the third filter 41 It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41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ourth filter 42 through the bushing 32 of the second filter fixture 31, and the fourth filter 42 permeates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A filter assembly for water power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iltered water four times and then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of the fourth filter 42 and discharges them through the outlet 4 of the filter pipe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423A KR102557680B1 (en) | 2021-02-08 | 2021-02-08 | Filter Assembly for Fauc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423A KR102557680B1 (en) | 2021-02-08 | 2021-02-08 | Filter Assembly for Fauc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4201A KR20220114201A (en) | 2022-08-17 |
KR102557680B1 true KR102557680B1 (en) | 2023-07-20 |
Family
ID=8311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423A Active KR102557680B1 (en) | 2021-02-08 | 2021-02-08 | Filter Assembly for Fauc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768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5199A (en) | 2004-06-30 | 2006-01-19 | Toto Ltd | Water purifying cartridge built into faucet |
KR200465935Y1 (en) | 2012-09-07 | 2013-03-18 | 이평호 | The complex filter which the inside case is useless |
JP2017197937A (en) | 2016-04-26 | 2017-11-02 |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 Faucet and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3250U (en) * | 1997-09-24 | 1999-04-15 | 권태웅 | Piping cleaning filter device |
KR200461431Y1 (en) * | 2008-10-28 | 2012-07-12 | 주식회사 피코그램 | filter cartridge of water purifier system |
KR20120004463U (en) * | 2010-12-14 | 2012-06-22 | 이평호 | Water purifier filter |
KR101429823B1 (en) * | 2012-11-29 | 2014-08-12 | 한병량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aucet for sink |
KR101772995B1 (en) | 2016-02-18 | 2017-09-12 | 김선홍 | Shower Filters |
KR102230855B1 (en) * | 2019-04-19 | 2021-03-22 | 고종애 | A hole-type faucet |
-
2021
- 2021-02-08 KR KR1020210017423A patent/KR1025576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5199A (en) | 2004-06-30 | 2006-01-19 | Toto Ltd | Water purifying cartridge built into faucet |
KR200465935Y1 (en) | 2012-09-07 | 2013-03-18 | 이평호 | The complex filter which the inside case is useless |
JP2017197937A (en) | 2016-04-26 | 2017-11-02 |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 Faucet and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4201A (en) | 202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22018A (en) | Water filter device | |
US6423223B1 (en) | Multi-element, reverse osmosis, liquid filter system with flushing and filtering circuits | |
US20070221561A1 (en) | Liquid filtration systems | |
US20020104794A1 (en) | Filter apparatus using alternate types of replaceable filter elements | |
KR102445389B1 (en) | Composite filter with side flow type RO filter | |
CN101479015B (en) | A water purifier system and a filter element for such system | |
KR20180020622A (en) | Water purifying filter for faucet | |
KR102557680B1 (en) | Filter Assembly for Faucet | |
KR100476096B1 (en) | Filter for water purifier | |
KR100494595B1 (en) | Filtering device for a water purifier | |
JP2006000747A (en) | Joint for filter unit, filter unit using the same and filter apparatus | |
US20180050284A1 (en) |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 |
KR20120112914A (en) | Filter housing having fluid pathway in cover | |
KR0133567Y1 (en) | Portable water purifier | |
KR20220114204A (en) | Shelf Shower Faucet Combined Filter Assembly for Faucet | |
US20240116690A1 (en) | Flexible tank | |
JP3900047B2 (en) |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 |
US20240050879A1 (en) | Self-locking filter cartridge and assembly | |
KR200399248Y1 (en) | Filter for water-purifier | |
CN209835771U (en) | Scale inhibition component and central water purifier comprising same | |
KR200181877Y1 (en) | Purified water reservoir connecting apparatus for purifier | |
KR200257574Y1 (en) | Faucet Auxiliary Head with Filter | |
KR200320277Y1 (en) | Spring Water Bottle having Purification Function | |
KR890005598Y1 (en) | Device for addition of calcium element in filter of water | |
JP5132684B2 (en) | Fluid supply joint for membrane cleaning and filtr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