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으로,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컨택트(2), 상기 컨택트(2)들이 설치된 절연부(3), 상기 절연부(3)를 가리도록 배치된 차단부(4), 및 상기 절연부(3)가 설치된 커버(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5)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커버(5)가 갖는 삽입홈(5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전면(前面)(3a, 도 1에 도시됨)이 상기 삽입홈(50)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절연부(3)의 전면(前面)(3a) 쪽 및 상기 절연부(3)의 후면(後面)(3b, 도 2에 도시됨) 쪽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5)에서 상기 절연부(3)의 전면(前面)(3a) 쪽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개방되도록 구현되어야 하지만, 상기 커버(5)에서 상기 절연부(3)의 후면(後面)(3b, 도 2에 도시됨) 쪽은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5)에서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불필요하게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4)를 이용하여 신호 전송 시에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신호에 대한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사된 신호로 인해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 방사된 신호로 인해 휴대폰에 구비된 안테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더라도,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적용 전자기기가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적용 전자기기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트(2), 상기 절연부(3), 상기 차단부(4), 및 상기 커버(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에는 상기 컨택트(2)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택트(2)를 예시로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택트(2)는 접속부재(21) 및 실장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에 지지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재(2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절연부(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연결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일측이 상기 접속부재(2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실장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 상기 실장부재(22), 및 상기 접속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는 경사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31)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에 비해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실장부재(22)들 간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구현된 경사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2)는 상기 경사부재(231)가 없이 구현된 연결부재(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와 상기 실장부재(22)가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높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는 절곡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재(2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절곡부재(2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디귿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에는 상기 컨택트(2)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상면에 위치한 컨택트[이하, '제1컨택트(2a)'라 함] 및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하면에 위치한 컨택트[이하, '제2컨택트(2a)'라 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3)의 상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3)의 하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전면(前面)(3a)이 상기 삽입홈(50)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삽입홈(50)을 통해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된 접속부재(2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제1지지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31)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부재(21)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상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하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전면(前面)은, 상기 절연부(3)의 전면(前面)(3a)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전면(前面)이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절연부(3)는 제2지지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실장부재(2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제1지지부재(31)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일부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지지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의 절곡부재(232) 및 상기 제2컨택트(2b)의 절곡부재(232)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서로 다른 열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의 연결부재(23) 및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2) 및 상기 제1지지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을 가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및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및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가림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4)는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4)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4)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기판을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커버(5)를 통해 접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5)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버(5)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5)를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 및 상기 커버(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제1차단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32)가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접촉면(411, 도 9에 도시됨) 및 대향면(412,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411)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면(411)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411)은 상기 제1차단부재(41)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전면(前面)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접촉면(41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컨택트(2)들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제1차단부재(41)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412)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향면(412) 및 상기 접촉면(411) 간의 사잇각(Included Angle)(412a)은 둔각(鈍角)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된 컨택트(2)들의 절곡부재(232)들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도,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절곡부재(23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1, 도 9에 도시됨)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상기 절곡부재(232)들이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절곡부재(23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절곡부재(23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대향면(412) 및 상기 절곡부재(232)들 간에 최단거리로 이격된 부분이 0.3 mm 이상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된 컨택트(2)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2, 도 9에 도시됨)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41)의 대향면(412)이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2)를 늘릴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대향면(412) 및 상기 실장부재(22)들 간에 최단거리로 이격된 부분이 0.5 mm 이상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제2차단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전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이용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으로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으로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실장부재(22)들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3, 도 11에 도시됨)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3)를 늘릴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실장부재(42)들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실장부재(42)들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 및 상기 실장부재(22)들 간에 최단거리로 이격된 부분이 0.5 mm 이상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22)들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轉)된 제2상태인 경우에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중에서 어느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더라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이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14핀(Pi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4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접속부재(21)들에 대한 핀맵(Pin Map)으로,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는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가 뒤집힌 것으로, 도 11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관계되는 것이고, 숫자 2가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관계되는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VBUS),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3a)(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23b)(CC2),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이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이 속한다. 도 11에 사선으로 해칭된 컨택트들이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및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및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유에스비 규격 중에서 USB Type-C 규격을 만족하도록 14핀으로 구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24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24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접속부재(21)들에 대한 핀맵으로,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13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관계되는 것이고, 숫자 2가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관계되는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도 13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GND),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5a)(TX1+, TX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VBUS),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3a)(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제1보조컨택트(26a)(SBU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5a')(RX2-, RX2+),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컨택트(26a)(SBU1)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다음,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도 13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25b)(RX1+, RX1-),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제2보조컨택트(26b)(SBU2),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23b)(CC2),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25b')(TX2-, TX2+),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컨택트(26b)(SBU2)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이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이 속한다. 도 13에 사선으로 해칭된 컨택트들이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TX1+, TX1-),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상기 제1보조컨택트(26a)(SBU1)가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RX1+, RX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TX1+, TX1-),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및 상기 제1보조컨택트(26a)(SBU1)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RX1+, RX1-),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RX2-, RX2+)가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보조컨택트(26b)(SBU2),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TX2-, TX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RX2-, RX2+)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 상기 제2보조컨택트(26b)(SBU2),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TX2-, TX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유에스비 규격 중에서 USB Type-C 규격을 만족하도록 24핀으로 구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제1이격홈(43,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홈(43)은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43)이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22b)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컨택트(22b)는 상기 제2컨택트(2b)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전원컨택트(22b)의 실장부재(22)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2, 도 9에 도시됨)를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전원컨택트(22b)의 절곡부재(232)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1, 도 9에 도시됨)를 더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전원컨택트(22b)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전원컨택트(22b)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대해 더 안정적인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43)이 상기 전원컨택트(22b)가 갖는 실장부재(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1이격홈(43)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이격홈들(43, 4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들(43, 43')이 각각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들(22b, 22b')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들(43, 43')이 각각 상기 전원컨택트들(22b, 22b')이 갖는 실장부재(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제2이격홈(44,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격홈(44)은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44)이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22a)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도 11에 도시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컨택트(22a)는 상기 제1컨택트(2a)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전원컨택트(22a)의 실장부재(22)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3, 도 11에 도시됨)를 더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에 대해 더 안정적인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44)이 상기 전원컨택트(22a)가 갖는 실장부재(2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2이격홈(44)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이격홈들(44, 4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들(44, 44')이 각각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들(22a, 22a')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들(44, 44')이 각각 상기 전원컨택트들(22a, 22a')이 갖는 실장부재(2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7,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상기 절연부(3)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커버(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삽입홈(50, 도 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삽입홈(5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한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 및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5)의 개방된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삽입홈(50)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커버(5)의 개방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차단부(4)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를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4)는 신호에 대한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기판을 통해 직접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5)는 하부커버(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절연부(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절연부(3)의 하면을 가림과 동시에, 상기 절연부(3)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에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도록 상기 하부커버(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쪽으로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벤딩(Bending)되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를 통해 접지된 상태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를 가리도록 구현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하부실장부재(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미도시)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들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하부연결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절연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와 동일한 개수의 하부연결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들은 각각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부커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절연부(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절연부(3)의 상면을 가림과 동시에, 상기 절연부(3)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양측면은, 상기 상부커버(52) 및 상기 하부커버(51)에 의해 전면(全面)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에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상기 상부커버(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으로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벤딩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상부커버(52)를 통해 접지된 상태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를 가리도록 구현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부실장부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 사이에는 수용홈(511a, 도 15에 도시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수용홈(511a)에 솔더 페이스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수용홈(511a)을 통해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솔더 페이스트의 양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들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부연결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절연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22)가 상기 하부연결부재(51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커버(51)가 상기 기판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와 동일한 개수의 상부연결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들은 각각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내부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절연부(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절연부(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상부커버(5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내부커버(5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내부커버(53), 상기 하부커버(51), 및 상기 상부커버(52)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이중구조로 가리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에는 상기 하부커버(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내부커버(53)의 하측에 위치하여 용접에 의해 상기 내부커버(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에는 상기 상부커버(5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내부커버(53)의 상측에 위치하여 용접에 의해 상기 내부커버(5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5)가 갖는 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견고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 및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의 개방된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삽입홈(50)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의 개방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차단부(4)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내부실장부재(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사이에는 수용홈(531a, 도 18에 도시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수용홈(531a)에 솔더 페이스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수용홈(531a)을 통해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솔더 페이스트의 양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들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들의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내부연결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절연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연결부재(532)가 상기 상부연결부재(5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22)가 상기 내부연결부재(53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커버(53)가 상기 기판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와 동일한 개수의 내부연결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들은 각각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보조실장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를 이용하여 더 견고하게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실장부재(53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서로 다른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들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들은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실장부재(521)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하부실장부재(511) 및 2개의 내부실장부재(531)가 구비된 경우, 상기 상부커버(52)는 4개의 상부실장부재(5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제1폐쇄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막는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에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벤딩되어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41)와 상기 하부커버(51)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 및 상기 제1폐쇄부재(54)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에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통해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부분적으로 막음으로써, 틈새들 각각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는 것과 대비할 때,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9에는 상기 커버(5)가 4개의 제1폐쇄부재(5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5)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1폐쇄부재(54)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서로 간에 일부가 중첩(重疊)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폐쇄부재(54)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가운데 부분이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어서 벤딩되도록 상기 하부커버(51)에 연결됨과 동시에 양측 부분이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의 양측 부분 및 상기 하부커버(51) 사이의 틈새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재(41)와 상기 하부커버(51) 사이의 틈새 중에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와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제1폐쇄부재(54)를 형성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복수개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41)들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상기 제1차단부재(41)들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가 간섭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형성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은, 상기 제1폐쇄부재(54) 없이도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제2폐쇄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막는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상부커버(52)에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벤딩되어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와 상기 상부커버(52)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 및 상기 제2폐쇄부재(55)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에 레이저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제2폐쇄부재(5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을 통해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부분적으로 막음으로써, 틈새들 각각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는 것과 대비할 때,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9에는 상기 커버(5)가 4개의 제2폐쇄부재(5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5)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2폐쇄부재(55)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서로 간에 일부가 중첩(重疊)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가운데 부분이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어서 벤딩되도록 상기 상부커버(52)에 연결됨과 동시에 양측 부분이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상기 제2차단부재(42)의 양측 부분 및 상기 상부커버(52)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3)는 미드플레이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 및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접지된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에는 절연공(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미드플레이트(3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 각각이 상기 미드플레이트(33)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1, S2)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공(331)을 통해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복수개의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이 구비되는 경우,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의 제1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의 제2접속부재(3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이 상기 미드플레이트(33)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이 상기 미드플레이트(33)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2) 모두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공(331)을 통해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미드플레이트(33)에서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미드플레이트(33)가 2개 이상의 접지본체들(332, 332')로 구현되어서 상기 접지본체들(332, 332')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공(331)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절연공(331)을 향하는 접지면(3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상기 접지면(332a)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접속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를 기준으로 상기 절연공(331)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는 면적이 증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 및 상기 접지면(332a)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를 향하는 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공(331)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절연공(331)을 향하는 접지면(3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상기 접지면(332a')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접속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를 기준으로 상기 절연공(331)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는 면적이 증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 및 상기 접지면(332a')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를 향하는 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