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147B1 - 안전 밸브 - Google Patents
안전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6147B1 KR102556147B1 KR1020220142011A KR20220142011A KR102556147B1 KR 102556147 B1 KR102556147 B1 KR 102556147B1 KR 1020220142011 A KR1020220142011 A KR 1020220142011A KR 20220142011 A KR20220142011 A KR 20220142011A KR 102556147 B1 KR102556147 B1 KR 102556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odule
- space
- cap module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774 Perfluoro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7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valves provided with a li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oviding a large discharge passage
- F16K17/087—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oviding a large discharge passage with bello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1—Damping of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밸브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밸브에 제공되는 개폐 모듈이 내부공간에 위치 고정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밸브에 제공되는 개폐 모듈을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밸브에 제공되는 개폐 모듈이 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00: 하부 캡 모듈
200: 상부 캡 모듈
300: 하부 라이닝 모듈
310: 하부 포위 유닛
320: 하부 돌출 유닛
330: 하부 폐쇄 유닛
340: 하부 접촉 유닛
400: 상부 라이닝 모듈
410: 상부 포위 유닛
420: 상부 돌출 유닛
430: 상부 폐쇄 유닛
440: 상부 접촉 유닛
500: 개폐 모듈
502: 플러그 유닛
504: 샤프트 유닛
506: 탄성 유닛
510: 하우징 유닛
600: 체결 유닛
Claims (28)
- 제1 공간 내의 유체에 의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유체를 제2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 밸브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제1 공간 내의 상기 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 모듈;
타측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상부 캡 모듈 - 상기 상부 캡 모듈은,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하부 캡 모듈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제공되도록 함 -;
상기 하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하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부인 제1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 라이닝 모듈;
상기 상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나머지 일부인 제2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과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시,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되되,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 및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공간 내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은,
상기 상부 캡 모듈의 내면을 포위하기 위한 상부 포위 유닛, 및 상기 상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방사 방향 및 상측 방향으로의 상기 개폐 모듈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돌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은,
상기 하부 캡 모듈의 내면을 포위하기 위한 하부 포위 유닛, 상기 하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사 방향으로의 상기 개폐 모듈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부 돌출 유닛, 및 상기 유입구의 크기를 규정하고 상기 개폐 모듈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유입구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하부 폐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은,
각각 상부 접촉 유닛 및 하부 접촉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접촉 유닛 및 상기 하부 접촉 유닛은,
상기 상부 캡 모듈과 상기 하부 캡 모듈이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서로 접촉되도록 각각 상기 상부 포위 유닛 및 상기 하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 및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정도에 기초한 상기 상부 접촉 유닛 및 상기 하부 접촉 유닛의 압축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 내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 공간 내의 유체에 의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유체를 제2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 밸브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제1 공간 내의 상기 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 모듈;
타측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상부 캡 모듈 - 상기 상부 캡 모듈은,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하부 캡 모듈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제공되록 함 -;
상기 하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하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부인 제1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 라이닝 모듈;
상기 상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나머지 일부인 제2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과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정도에 기초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의 압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초기 상태의 폐쇄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은,
상기 상부 캡 모듈의 내면을 포위하기 위한 상부 포위 유닛, 및 상기 상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방사 방향 및 상측 방향으로의 상기 개폐 모듈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돌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은,
상기 하부 캡 모듈의 내면을 포위하기 위한 하부 포위 유닛, 상기 하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사 방향으로의 상기 개폐 모듈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부 돌출 유닛, 및 상기 유입구의 크기를 규정하고 상기 개폐 모듈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유입구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하부 폐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은,
각각 상부 접촉 유닛 및 하부 접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접촉 유닛 및 상기 하부 접촉 유닛은,
상기 상부 캡 모듈과 상기 하부 캡 모듈이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서로 접촉되도록 각각 상기 상부 포위 유닛 및 상기 하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 및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정도에 기초한 상기 상부 접촉 유닛 및 상기 하부 접촉 유닛의 압축에 의해, 상기 초기 상태의 폐쇄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 공간 내의 유체에 의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유체를 제2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 밸브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제1 공간 내의 상기 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하부 캡 모듈;
타측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상부 캡 모듈 - 상기 상부 캡 모듈은,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하부 캡 모듈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제공됨 -;
상기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유입구와 관련된 벽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플러그 유닛, 상기 플러그 유닛과 연동되어 승강 가능한 샤프트 유닛, 상기 플러그 유닛에 대해 상기 벽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탄성 유닛, 상기 탄성 유닛을 포위하기 위한 하우징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과의 나사 체결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 유닛 내에서 상기 탄성 유닛의 초기 탄성 변형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탄성 조절 유닛,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벨로우즈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벨로우즈 유닛은,
상기 플러그 유닛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압축과 신장이 구현되는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 유닛의 승강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삭제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유닛은,
상기 샤프트 유닛을 수용하여 상기 승강과, 상기 압축과 신장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부, 상기 압축과 신장이 구현되는 신축부,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연동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연동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동부 내에서 상기 샤프트 유닛이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유닛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샤프트 유닛이 상기 수용 유닛 내에서 승강이 방지되고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유닛을 관통한 채 상기 수용 유닛에 형성된 원주 방향으로의 장홀에 삽입되는 핀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탄성 유닛을 다이렉트로 포위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 유닛,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조절 유닛은,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과 나사 체결되어 상기 탄성 유닛의 초기 탄성 변형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샤프트 유닛과 축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 유닛과 연동되어 승강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하측단을 지지하는 하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외부 하우징 유닛 내에서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승 후 하강하는 상기 하측 지지 유닛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댐핑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 유닛은,
상기 댐핑 유닛으로부터 상승한 후 하강하는 경우, 상기 댐핑 유닛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 내의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하측 지지 유닛이 상승한 후 하강하는 경우, 상기 하측 지지 유닛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은,
상기 하측 지지 유닛의 상승 시 상기 하측 지지 유닛이 걸리게 되어 상승의 한계가 규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샤프트 유닛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 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측단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조절 유닛은,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과 나사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측 지지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 유닛의 초기 탄성 변형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 유닛 및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은,
각각 상기 샤프트 유닛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 내에 존재하는 압축된 공기가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출홀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배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탄성 조절 유닛이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과 나사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측 지지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제2 배출홀 및 상기 제3 배출홀이 서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상측 지지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지지 유닛과 분리되어 회전 가능한 베어링 회전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외부 하우징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 유닛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탄성 조절 유닛을 포위하는 외부 포위 유닛, 및 상기 외부 포위 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제2 배출홀 및 상기 제3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압축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배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탄성 조절 유닛의 상측에서 상기 탄성 조절 유닛과 접촉되도록, 상기 탄성 조절 유닛을 관통한 채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상기 샤프트 유닛과 나사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 유닛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삭제
- 삭제
-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7항, 제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하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부인 제1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상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나머지 일부인 제2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과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시,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되되,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 및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공간 내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은,
상기 상부 캡 모듈의 내면을 포위하기 위한 상부 포위 유닛, 및 상기 상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방사 방향 및 상측 방향으로의 상기 개폐 모듈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돌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은,
상기 하부 캡 모듈의 내면을 포위하기 위한 하부 포위 유닛, 상기 하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사 방향으로의 상기 개폐 모듈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부 돌출 유닛, 및 상기 유입구의 크기를 규정하고 상기 개폐 모듈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유입구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하부 폐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은,
각각 상부 접촉 유닛 및 하부 접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접촉 유닛 및 상기 하부 접촉 유닛은,
상기 상부 캡 모듈과 상기 하부 캡 모듈이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서로 접촉되도록 각각 상기 상부 포위 유닛 및 상기 하부 포위 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 및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정도에 기초한 상기 상부 접촉 유닛 및 상기 하부 접촉 유닛의 압축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 내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7항, 제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하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부인 제1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상부 캡 모듈의 내면에 제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의 산화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나머지 일부인 제2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한 상기 상부 캡 모듈과 상기 하부 캡 모듈 간의 결합 정도에 기초한 상기 상부 라이닝 모듈 및 상기 하부 라이닝 모듈의 압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초기 상태의 폐쇄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밸브.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011A KR102556147B1 (ko) | 2022-10-31 | 2022-10-31 | 안전 밸브 |
KR1020230088318A KR102624505B1 (ko) | 2022-10-31 | 2023-07-07 | 폐쇄력 조절이 가능한 안전 밸브 |
KR1020230088319A KR102624506B1 (ko) | 2022-10-31 | 2023-07-07 | 하이브리드 안전 밸브 |
KR1020230088320A KR102636352B1 (ko) | 2022-10-31 | 2023-07-07 | 안전 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011A KR102556147B1 (ko) | 2022-10-31 | 2022-10-31 | 안전 밸브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8320A Division KR102636352B1 (ko) | 2022-10-31 | 2023-07-07 | 안전 밸브 |
KR1020230088319A Division KR102624506B1 (ko) | 2022-10-31 | 2023-07-07 | 하이브리드 안전 밸브 |
KR1020230088318A Division KR102624505B1 (ko) | 2022-10-31 | 2023-07-07 | 폐쇄력 조절이 가능한 안전 밸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6147B1 true KR102556147B1 (ko) | 2023-07-19 |
Family
ID=8742566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2011A Active KR102556147B1 (ko) | 2022-10-31 | 2022-10-31 | 안전 밸브 |
KR1020230088319A Active KR102624506B1 (ko) | 2022-10-31 | 2023-07-07 | 하이브리드 안전 밸브 |
KR1020230088318A Active KR102624505B1 (ko) | 2022-10-31 | 2023-07-07 | 폐쇄력 조절이 가능한 안전 밸브 |
KR1020230088320A Active KR102636352B1 (ko) | 2022-10-31 | 2023-07-07 | 안전 밸브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8319A Active KR102624506B1 (ko) | 2022-10-31 | 2023-07-07 | 하이브리드 안전 밸브 |
KR1020230088318A Active KR102624505B1 (ko) | 2022-10-31 | 2023-07-07 | 폐쇄력 조절이 가능한 안전 밸브 |
KR1020230088320A Active KR102636352B1 (ko) | 2022-10-31 | 2023-07-07 | 안전 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55614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1682A (ko) * | 2014-02-03 | 2015-08-12 | 주식회사 유연 | 내구성이 강화된 진공 해소용 진공안전밸브 |
KR20170043103A (ko) * | 2017-04-02 | 2017-04-20 | 조승호 | 일자형안전밸브 |
KR102373717B1 (ko) * | 2021-09-30 | 2022-03-14 | (주) 케이투앤 | 댐핑 기능을 구비한 안전 밸브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48823B2 (ja) * | 2004-03-31 | 2010-09-22 |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 安全弁装置 |
KR200420144Y1 (ko) * | 2006-04-12 | 2006-07-03 | 강신한 | 플러그 밸브 |
KR20180028678A (ko) * | 2016-09-09 | 2018-03-19 | 안경근 |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제작된 밀봉부재를 이용한 안전밸브 |
KR101991713B1 (ko) * | 2019-01-17 | 2019-09-30 | 주식회사 썬프리시즌 | 탄성체 밀폐형 안전밸브 |
-
2022
- 2022-10-31 KR KR1020220142011A patent/KR102556147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07-07 KR KR1020230088319A patent/KR102624506B1/ko active Active
- 2023-07-07 KR KR1020230088318A patent/KR102624505B1/ko active Active
- 2023-07-07 KR KR1020230088320A patent/KR10263635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1682A (ko) * | 2014-02-03 | 2015-08-12 | 주식회사 유연 | 내구성이 강화된 진공 해소용 진공안전밸브 |
KR20170043103A (ko) * | 2017-04-02 | 2017-04-20 | 조승호 | 일자형안전밸브 |
KR102373717B1 (ko) * | 2021-09-30 | 2022-03-14 | (주) 케이투앤 | 댐핑 기능을 구비한 안전 밸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4505B1 (ko) | 2024-01-15 |
KR102636352B1 (ko) | 2024-02-14 |
KR102624506B1 (ko) | 2024-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91878B2 (ja) | 流体制御器 | |
CA2816377C (en) | Switch valve | |
WO2011093348A1 (ja) | スプリンクラヘッド | |
KR100515120B1 (ko) | 가스연료용기의 과압안전장치 | |
KR100991065B1 (ko) | 감압밸브 및 그 밸브의 제작방법 | |
KR102556147B1 (ko) | 안전 밸브 | |
JP4674255B2 (ja) | 液化ガス容器用過流遮断バルブ | |
TWI836632B (zh) | 具備阻尼功能的安全閥 | |
KR20200123226A (ko) | 다이어프램 밸브 | |
KR20050005519A (ko) | 로터리 밸브용 액츄에이터 | |
CN109563941B (zh) | 角型止回阀 | |
US7540170B2 (en) | Liquid pressure-feed device | |
KR101405313B1 (ko) | 고속 압력 밸브 | |
KR101147815B1 (ko) | 실린더 작동식 밀폐형 안전밸브 | |
EP2154418A2 (en) | Valve device for filling containers, in particular containers intended to contain liquefied gases | |
US4408626A (en) | Valve seat assembly for a steam trap | |
US8152479B2 (en) | Liquid pressure-feed device | |
KR100951619B1 (ko) | 미압유지밸브 | |
CN113757391A (zh) | 电动阀 | |
KR20200003994A (ko) | 안전 릴리프 밸브 | |
KR101354920B1 (ko) | 고속 압력 밸브 | |
KR102412500B1 (ko) | 셧다운 다이어프램 밸브 | |
CN222880339U (zh) | 液体流量控制阀 | |
KR20100107125A (ko) | 고압 가스 실린더 밸브 | |
KR101147816B1 (ko) | 실린더 작동식 개방형 안전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70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