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6102B1 -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102B1
KR102556102B1 KR1020200063310A KR20200063310A KR102556102B1 KR 102556102 B1 KR102556102 B1 KR 102556102B1 KR 1020200063310 A KR1020200063310 A KR 1020200063310A KR 20200063310 A KR20200063310 A KR 20200063310A KR 102556102 B1 KR102556102 B1 KR 10255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discharge plate
inner space
stored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177A (ko
Inventor
김대성
김윤현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홍사정
민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사정, 민병철 filed Critical 홍사정
Priority to KR102020006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1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1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5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장고의 내공간에 전하를 방사하여 저장물의 물분자를 지속적으로 진동시켜 세균 발생을 억제토록 하면서 신선도를 더욱 오랫동안 유지시켜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각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shness preservation period is expnded while the bacterial occurrence is controlled.}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장고의 내공간에 전하를 방사하여 저장물의 물분자를 지속적으로 진동시켜 세균 발생을 억제토록 하면서 신선도를 더욱 오랫동안 유지시켜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각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는 전기제품이며,
특히 실시 예에 따라서는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에 별도로 신선도 유지칸을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 냉장실 안쪽에 신선도 유지칸을 형성하여, 상기 신선도 유지칸을 통해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는 열교환방식에 의해 생성된 0도 이하의 냉기가 제1유로따라 냉동실 안쪽으로 이동되어져 내부에 얼음이 생성되게 하고, 상기 냉동실의 냉기는 제2유로를 따라 신선도 유지칸으로 이동되어져 0 ~ 10도 사이의 온도에서 저장물이 신선하게 보관되게 하고, 상기 신선도 유지칸의 냉기는 제3유로를 따라 냉장실로 이동되어져 저장물이 저온 보관되게 하고, 상기 냉장실의 냉기는 제4유로를 통해 다시 냉동실로 이동되어 순환되게 구성한다.
따라서 종래의 냉장고는, 신선도 유지칸이 냉기의 순환 구조를 바탕으로 하면서 냉동실과 냉장실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특히 냄새와 세균 등이 냉기의 순환구조에 의해 냉장고 전체로 퍼쳐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신선도 유지칸과 냉장실은 일정량 이상의 습기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고. 반대로 냉동실은 성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건조한 상태로 냉각되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신선도 유지칸이 충분한 습기와 냉기로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신선도 유지칸의 습기가 냉기의 순환구조에 의해 냉동실로 이동되어져 성애가 발생되고, 상기 냉동실은 성애 때문에 냉기를 신선도 유지칸으로 원활하게 급할 수 없게 되면서 점점 더 그 작동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종래의 냉장고는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여 곰팡이와 같은 세균이 발생하면 냉기의 순환구조에 의해 각각의 유로를 따라 냉동실과 신선도 유지칸 전체로 퍼지면서 보관된 저장물을 오염시켜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 냉기의 순환구조에 상관없이 세균발생을 억제하면서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내공간을 전하로 충전된 전장으로 만들어 저장물의 물분자를 지속적으로 진동시켜 세균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신선도를 더욱 더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 혹은 신선도 유지칸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수분 함량이 서로 다름에 따라 저장물의 종류 또는 특성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전판에 의해 방사된 정전하가 내공간 안쪽에 골고루 분사되어 최대한 균일한 전장(電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공간 안쪽에 저장된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는 내공간에 설치된 방전판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하를 방사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고의 내공간에는 컨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내공간 안쪽으로 전하를 방사하여 내공간 전체를 전장으로 만들어 상기 전하가 저장물의 물분자를 지속적으로 진동시켜 신선도를 유지하는 한편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방전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냉장고의 내공간 안쪽으로 보관되는 저장물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이 형성된 컨트롤패널과,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결되어 메뉴버튼을 통해 설정된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전판에 고전압이 걸리도록 하면서 진동을 가하여 내공간을 전체를 전장으로 만들어주도록 컨트롤하는 마이컴과, 일차코일과 이차코일이 자기 결합되어 상용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주기 위한 트랜스와,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는 한편 트랜스의 이차코일과 연결되어 마이컴의 지시에 따라 조정된 고전압이 방전판에 걸리도록 컨트롤하는 전압조정부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전압조정부는 컨트롤패널을 통해 저장물의 종류를 지정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고전압을 방전판에 가하라는 마이컴의 지시에 따라 복수의 강하부 중 어느 하나와 트랜스의 이차코일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에 컨트롤패널을 통해 지정된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출력전압을 강하시켜 방사되는 전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강하부로 구성되어,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전판이 전하를 방사할 때에, 진동을 가하여 전하가 내공간 안쪽으로 골고루 퍼져 분산되게 하는 발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전판은 금속판의 테두리에 절연테로 마감되되, 상기 금속판은 상방향으로 꼬깔 형상으로 돌출되어 방사된 전하의 직진성 및 이동거리를 향상시키는 돌출부를 형성하되, 이웃한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내입되는 동시에 타공홀이 형성되어 방사된 전하가 좌우로 넓게 분사되게 하는 내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기의 순환구조에 상관없이 내공간 전체를 자유롭게 신선도 유지칸으로 만들어 범용성 있게 사용되게 하고,
특히 내공간에 충전된 전하가 물분자를 지속적으로 진동시켜 세균 발생을 억제토록 하면서도 -전하의 충전 또는 +전하의 충전에 의해 저장물의 산화 반응을 지연시켜 신선도를 더욱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온 숙성되게 하여 육류의 맛과 풍미를 증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저장물의 종류(예, 상추, 배추, 캣잎, 과일 등등) 또는 특성에 맞춰 냉장고의 내공간을 전장(電場)으로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진부와, 돌출부 및 내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방전판에 의해, 전하를 골고루 분산시켜 최대한 균일한 전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장고에 방전판과 컨트롤러가 설치된 일실시 예
도 3과 도 4는 냉장고의 내공간을 전장으로 만들어 주었을 때에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메뉴 설정 모습
도 7은 분산된게 작동하는 모습
도 8은 방전판의 모습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상에 기재된 실시 예에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의 구성을 대체할 수 있는 균등물과 변형 예들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냉장고의 내공간에 방전판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방전판이 전하를 방사하여 내공간 전체를 전장으로 만들어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전하가 저장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자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컨트롤러의 패널을 통해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각각의 저장물의 종류/특성에 맞춰 내공간을 전장(電場)으로 만들어 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마이컴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전판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은 방전판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물이 보관되는 냉장고(1)의 내공간(2)에는 컨트롤러(10)의 지시에 따라 내공간(2) 안쪽으로 전하를 방사하여 상기 내공간 전체를 전장으로 만들어 주는 한편 상기 전하가 저장물(3)의 물분자를 지속적으로 자극을 가하여 신선도가 유지되게 하면서 향상된 보존기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세균 발생을 억제하도록 방전판(60)이 설치되고, 상기 내공간 외측에는 상기 방전판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하를 방사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0)가 구비된 냉장고이다,
이때 상기 냉장고의 컨트롤러(10)는 각각의 방전판(60)을 통해 전하를 방사할 때에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각각의 저장물(3)의 종류/특성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양을 조정해서 상기 냉장고의 내공간을 전장(電場)으로 만들어 줄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저장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적을 때에는 다량의 전하를 방사하여 내공간을 전장으로 만들고, 저장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많을 때에는 소량의 전하를 방사하여 내공간 전체를 전장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내공간에 설치된 방전판(60)은 컨트롤러에 의해 가해진 진동에 의해 전하가 내공간 안쪽에 골고루 분산되게 퍼져 가능한 균일한 전장을 형성하여, 각각의 저장물이 균일하게 보관되어지게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10)는 외측에는 냉장고의 내공간 안쪽으로 보관되는 저장물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11)이 형성된 컨트롤패널이 구비되어 있고,
내측에는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결되어 메뉴버튼(11)을 통해 설정된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전판에 고전압이 걸리도록 하면서 진동을 가하여 내공간을 전체를 전장으로 만들어 주도록 컨트롤하는 마이컴(20)이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차코일과 이차코일이 자기 결합되어 상용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주는 트랜스(30)가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는 한편 트랜스의 이차코일과 연결되어 마이컴의 지시에 따라 조정된 고전압이 방전판에 인가되도록 컨트롤하는 전압조정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전압조정부(40)는 메뉴버튼(11)을 통해 저장물의 종류를 지정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전압을 방전판에 가하도록 지시하는 마이컴에 의해 복수의 강하부(42) 중 어느 하나와 트랜스의 이차코일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칭부(41)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에 메뉴버튼(11)을 통해 지정된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출력전압을 강하시켜 방사되는 전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강하부(42)로 구성되어, 내공간에 저장된 저장물의 종류(에, 과일, 야채 등등)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방전판(60)에 진동을 가하여 전하가 내공간 안쪽으로 골고루 퍼져 분산되게 하는 발진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방전판에 가해진 진동에 의해 전하가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냉장고(1)는 냉기에 의해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전시냉장고나 쇼케이스 일 수도 있으며, 업소에 설치되는 상업용 냉장고나 일반 가정에 설치되는 냉장고일 수도 있으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냉장고의 내공간은 저장물이 냉장 보관되는 공간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냉동 보관되는 공간일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10)의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에는 메뉴버튼(11)을 눌러 내공간 보관되어지는 저장물(예, 육류, 채소류, 어패류, 등등)의 종류를 설정(지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실시 예에 따라 냉장 혹은 냉동 보관하기 위한 온도설정버튼과, 전장을 형성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설정버튼와, 각각의 버튼들에 의해 설정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컴(20)은 각각의 저장물(3)에 함유된 수분의 농도에 따라 방전판(60)에 인가되는 고전압값을 메모리(21)에 저장하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이때 마이컴은 메뉴버튼(11)을 통해 저장물(3)의 종류를 지정받았을 때 전압조정부(40)와 발진부(50)를 컨트롤하여 설정된 저장물에 대응하는 고전압이 방전판(60)에 걸리도록 컨트롤하여 내공간(2) 안쪽을 전하로 채워진 정전장을 형성하도록 컨트롤한다.
더불어 상기 마이컴(20)은 내공간 안쪽에 설치된 복수의 방전판(60)을 동시에 모두 작동시킬 수 있지만 복수의 방전판 중 어느 하나를 혹은 일부를 일정한 패턴(예, 좌측 방전판 10분 동작시킨 후 우측 방전판 10분을 동작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에 맞춰 구동시켜 줌으로써,
내공간(2) 안에 다수의 저장물(3)이 불규칙하게 보관되더라도 내공간 전체를 최대한 균일한 전장으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20)은 각각의 방전판(61,61a,62,62a)이 설정된 패턴에 따라 작동을 완료후에는 특정 방정판 혹은 모든 방전판에 순간적으로 평상시보다 높은 고전압을 인가하거나 발진되어지게 컨트롤한다.
더불어 상기 마이컴(20)은 실시 예에 따라 타이머 설정버튼(12)을 통해 작동시간이 설정되어지면서 방전판(60)을 통해 방사되는 전하의 방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트랜스(30)는 일차코일(31)과 이차코일(32)이 자기 결합되어 상용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주는 것으로서, AC 220V의 상용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트랜스(30)는 역기전력 발생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퓨즈와 함께 상기 마이컴에 의해 ON/OFF 컨트롤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압조정부(40)는 저장물(3)에 맞춰서 방전판(60)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설정하여 주는 부분으로, 상기 마이컴(30)과 연결되는 한편 트랜스(40)의 이차코일(32)과 연결되어, 마이컴(30)의 지시에 따라 방전판(60)을 통해 출력되는 고전압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전압조정부(40)는 메뉴별로 출력되는 전압을 강하하여 주는 복수의 강하부(42)를 구성한 상태에서,
메뉴버튼(11)을 통해 저장물(3)의 종류를 지정하였을 때 대응하는 고전압을 방전판(60)에 가하라는 마이컴(30)의 지시를 받았을 경우,
스위칭부(41)가 마이컴(30)의 지시를 토대로 복수의 강하부(42) 중 어느 하나와 트랜스(30)의 이차코일(32)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방전판(60)을 통해 출력되는 고전압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발진부(50)는 상기 방전판(60)이 전하를 방사할 때 진동을 가하여 전하가 내공간(2) 안쪽에 골고루 분산되어지게 하여 가능한 균일한 전장을 형성하여
각각의 저장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자극하여 혹은 -전하의 충전 또는 +전하의 충전에 의해 저장물의 산화 반응을 지연시켜, 저장물의 신선도를 더욱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면서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참고로 저장물을 -4℃ ~ 0℃에서 보관할 때에는 자극에 의해 저장물의 수분이 동결되지 않은 상태로 냉장 보관 되어짐으로써,
육류같은 경우 저장물의 조직이 파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숙성되어져 맛과 풍미가 유지되고, 해동시 수율이 낮아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진부(50)는 실시 예에 따라 피드백회로를 통해 상기 트랜스에 출력되는 전압을 피드백시켜 방전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면서 딜레이 차에 의해 자동으로 방전판이 발진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발진부(50)가 별도의 발진회로로 구성되어 물분자에 자극을 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방전판(60)은 고전압 인가시 내공간(2) 안쪽으로 전하를 방사하는 것으로서, 내측에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단과 테두리에는 절연체로 마감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방전판(60)은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방전판(61,61a)이 하나 이상 병렬(62,62a)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방전판(61,61a,62,62a)은 내공간 안쪽에 다각도로 설치된 복수의 방전판 중 어느 하나가 혹은 일부기 마이컴에 의해 설정된 패턴에 맞춰 구동되어지면서, 내공간(2)에 저장물이 불규칙하게 보관되어 있더라도 골고루 전하를 방사하여 줄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전판(60)은 평평한 금속판(60a)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볼록한 돌출부(60b)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웃한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내입부(60c)를 형성한다. 이때 내입부(60c)에는 프레스로 드로잉 작업시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타공홀(60d)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60a)의 테두리에는 절연테(60e)로 마감하는 동시에 전류단자(60f)를 형성하여, 냉장고의 내공간에 설치한다.
이때 돌출부(60b)와 내입부는 원형 고깔 모양의 엠보싱과 펀칭이 동시에 이루어져 타공된 끝 부분은 날까롭게 엣지되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방사된 전하의 직진성 및 이동거리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한편, 내입부에 의해 방사된 전하는 좌우로 넓게 퍼지면서 분산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저장물(3)의 종류에 맞춰 내공간(2)을 전장(電場)으로 만들어 줄 수 있고, 이때 방사된 전하는 각각의 저장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자극하여 혹은 -전하의 충전 또는 +전하의 충전에 의해 저장물의 산화 반응을 지연시켜, 저장물의 신선도를 더욱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면서 보존기간을 연장하면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전압조정부 및 발진부와 방전판의 구조에 의해 내공간에 불규칙하게 저장물이 보관되더라도 최대한 균일한 전장을 형성하여 저자물을 더욱 신선하게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냉장고 2:내공간
3:저장물 10:컨트롤러
11:메뉴버튼 20:마이컴
21:메모리 30:트랜스
31:일차코일 32:이차코일
40:전압조정부 41:스위칭부
42:강하부 50:발진부
60:방전판 60a:금속판
60b:돌출부 60c:내입부
60d:타공홀 60e:마감테
60f:전류단자

Claims (4)

  1. 내공간이 냉동실 냉장실 신선도 유지칸으로 구획된 상태에서, 열교환방식에 의해 생성된 0도 이하의 냉기가 제1유로를 따라 냉동실 안쪽으로 이동되어져 내부에 얼음이 생성되게 하고, 상기 냉동실의 냉기는 제2유로를 따라 신선도 유지칸으로 이동되어져 0 ~ 10도 사이의 온도에서 저장물이 신선하게 보관되게 하고, 상기 신선도 유지칸의 냉기는 제3유로를 따라 냉장실로 이동되어져 저장물이 저온 보관되게 하고, 상기 냉장실의 냉기는 제4유로를 통해 다시 냉동실로 이동되어 순환되게 구성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는 방전판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하를 방사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내공간 안쪽으로 전하를 방사하여 내공간 전체를 전장으로 만들어 주되 상기 전하가 저장물의 물분자를 지속적으로 진동시켜 신선도가 유지되게 하는 한편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방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는 냉장고의 내공간 안쪽으로 보관되는 저장물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이 형성된 컨트롤패널과,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결되어 메뉴버튼을 통해 설정된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전판에 고전압이 걸리도록 하는 컨트롤하는 마이컴과, 일차코일과 이차코일이 자기 결합되어 상용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주는 트랜스와,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는 한편 트랜스의 이차코일과 연결되어 마이컴의 지시에 따라 조정된 고전압이 방전판에 걸리도록 컨트롤하는 전압조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압조정부는 컨트롤패널을 통해 저장물의 종류를 지정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고전압을 방전판에 가하라는 마이컴의 지시에 따라 복수의 강하부 중 어느 하나와 트랜스의 이차코일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에 컨트롤패널을 통해 지정된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출력전압을 강하시켜 방사되는 전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강하부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방전판에 진동을 가하여 전하가 내공간 안쪽으로 골고루 퍼져 분산되게 하는 발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판은 평평한 금속판의 테두리에 절연테로 마감되고, 상기 금속판은 상방향으로 꼬깔 형상으로 돌출되어 방사된 전하의 직진성 및 이동거리를 향상시키는 돌출부를 형성하되, 이웃한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내입되는 동시에 타공홀이 형성되어 방사된 전하가 좌우로 넓게 분산되게 하는 내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00063310A 2020-05-26 2020-05-26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 Active KR10255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10A KR102556102B1 (ko) 2020-05-26 2020-05-26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10A KR102556102B1 (ko) 2020-05-26 2020-05-26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177A KR20210146177A (ko) 2021-12-03
KR102556102B1 true KR102556102B1 (ko) 2023-07-18

Family

ID=7886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310A Active KR102556102B1 (ko) 2020-05-26 2020-05-26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1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641B1 (ko) 2012-02-17 2012-08-13 (주)넥스그로벌코리아 플라즈마 방전형 신선도 유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185U (ko) * 2008-11-11 2010-05-20 (주)엘티아이 전자차지 냉장고
JP5683032B1 (ja) * 2014-02-17 2015-03-11 錦隆 後藤 空間電位発生装置を利用した鮮度保持装置
KR102295952B1 (ko) * 2020-01-06 2021-08-30 김대성 내공간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저장창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641B1 (ko) 2012-02-17 2012-08-13 (주)넥스그로벌코리아 플라즈마 방전형 신선도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177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813B1 (ko) 공간 전위 발생장치, 그 공간 전위 발생장치를 이용한 신선도 유지 장치 및 공간 전위발생장치를 구비한 튀김기
US20090044544A1 (en) Refrigerator
US20130160467A1 (en) Refrigeration device with a region for storing food items in a generated field
WO2008004765A2 (en) Supercooling apparatus
CN101371091A (zh) 非冷冻冰箱
EP1991820B1 (en) Non-freezing refrigerator
KR102295952B1 (ko) 내공간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종류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저장창고.
JPH07155154A (ja) 冷蔵庫
KR102556102B1 (ko) 세균 발생이 억제되면서 신선도 보존기간이 연장된 냉장고.
CN119769552B (zh) 保鲜装置、制冷设备、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5288287B2 (ja) 冷蔵・冷凍庫における冷却装置
JPH0769105B2 (ja) 食品保存装置
JP2021060172A (ja) 冷蔵庫
JPH0678733A (ja) 冷蔵庫
JP3747218B2 (ja) アミノ酸増加豚肉の製造方法およびアミノ酸増加豚肉の製造装置
KR102660619B1 (ko) 상품 진열 및 보관용 쇼케이스의 에어쉴더
KR102681254B1 (ko) 빙온 숙성되는 한 숙성고의 에어 에이징 장치.
KR102606540B1 (ko) 냉동 및 해동용 에어쉴더.
JP2021060175A (ja) 冷蔵庫
CN117469925B (zh) 应用于保鲜冰箱的肉品熟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217436374U (zh) 收纳库
JPH09250856A (ja) 食品貯蔵庫
KR20080003272A (ko) 냉장고
MX2008010564A (en) Non-freezing refrigerator
RU202011355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хранения свеже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арки, генератор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отенциал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ации воды,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ре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и кондицион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