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64B1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managing part replacement timeing - Google Patents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managing part replacement time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5964B1 KR102555964B1 KR1020220185327A KR20220185327A KR102555964B1 KR 102555964 B1 KR102555964 B1 KR 102555964B1 KR 1020220185327 A KR1020220185327 A KR 1020220185327A KR 20220185327 A KR20220185327 A KR 20220185327A KR 102555964 B1 KR102555964 B1 KR 1025559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 air
- use period
- discharge amount
- per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9—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산소 발생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외부 공기로부터 산소를 추출하기 위한 실외 장치; 상기 실외 장치를 통해 추출된 산소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 장치; 및 상기 실외 장치 및 상기 토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산소가 포함되어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제1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토출 장치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산소가 포함되어 상기 토출 장치로 공급되는 제2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실외 장치의 단위 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1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2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한다.An oxygen generating system is disclosed. The system includes an outdoor device for extracting oxygen from outside air; a discharge device for supplying oxygen extracted through the outdoor device to a room;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door device and the discharge device, wherein the control device calculates a first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device supplying first air containing oxygen and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calculating a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by accumulating the first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and calculating a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outdoor device supplying second air containing oxygen and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calculating a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by accum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setting a first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scharge device based on the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and setting the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A second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utdoor device is set based on the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Description
본 개시는 산소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 발생 시스템에 포함된 실외 장치 및 토출 장치 각각의 부품 교체 시기를 관리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oxygen gener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xygen generating system for managing parts replacement timing of an outdoor device and a discharge device included in the oxygen generating system.
최근 들어, 자동차 매연 등의 대기환경 오염의 증가로 인해 실내에 산소농도가 높은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산소발생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산소발생장치의 응용이 확대되고 있는 분야로는 병원용 산소발생장치, 가정용 공기정화기, 가정용 정수기, 에어컨, 차량용 산소발생장치, 가정의 실내환기용 산소발생장치 등이 있다.In recent years, the need for an oxygen generator for supplying fresh air with a high oxygen concentration to the room ha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air pollution such as automobile exhaust. Fields in which the applications of such oxygen generators are expanding include hospital oxygen generators, home air purifiers, household water purifiers, air conditioners, vehicle oxygen generators, and indoor ventilation oxygen generators at home.
이와 같은, 종래의 산소발생장치는 소정의 펌핑압을 발생시키는 펌프와, 펌프의 펌핑압을 통해 공기중의 산소성분과 질소성분을 분리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분리모듈을 포함하고 있다.Such a conventional oxygen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pump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mping pressure and an oxygen separation module generating oxygen by separating oxygen and nitrogen components in the air through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산소분리모듈의 산소배출구측에는 사용자가 있는 외부의 실내공간으로 산소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상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태의 산소배출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An oxygen exhaust pipe in the form of a tube made of metal,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oxygen outlet side of the oxygen separation module so that oxygen can be discharged to an outdoor indoor space where a user is located.
이러한 종래의 산소발생장치는 사용량에 따라 일부 부품을 교체하는 과정을 수행해야지만, 본래의 성능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산소발생장치는 산소발생장치의 사용량에 따라 부품 각각의 교체 필요 여부를 관리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Such a conventional oxygen generator can operate with its original performance, although a process of replacing some parts according to usage is perform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oxygen generator, there is no method for managing whether each part needs to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oxygen generator used.
본 개시는 실외 장치의 산소 토출량 및 공기 토출량에 따라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잔여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토출 장치의 공기 투출량에 따라 토출 장치의 잔여 사용 기간을 산출하며, 잔여 사용 기간에 따라 부품 교체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calculates the remaining use period of parts included in the outdoor devi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oxygen and air discharged from the outdoor device, calculates the remaining use period of th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evice, and calculates the remaining use period of th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remaining use period. Provided is an oxygen generating system that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parts replacement.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은, 외부 공기로부터 산소를 추출하기 위한 실외 장치; 상기 실외 장치를 통해 추출된 산소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 장치; 및 상기 실외 장치 및 상기 토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산소가 포함되어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제1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토출 장치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산소가 포함되어 상기 토출 장치로 공급되는 제2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실외 장치의 단위 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1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2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An oxygen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outdoor device for extracting oxygen from outside air; a discharge device for supplying oxygen extracted through the outdoor device to a room;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door device and the discharge device, wherein the control device calculates a first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device supplying first air containing oxygen and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calculating a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by accumulating the first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and calculating a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outdoor device supplying second air containing oxygen and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calculating a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by accum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setting a first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scharge device based on the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and setting the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A second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utdoor device may be set based on the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상기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차감하여 상기 제1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checks a first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charge device, and calculates a first subtracted use period subtracted from the first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in response to the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The first remaining usage period may be set by subtracting the first subtracted usage period from the first initial remaining usage period.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차감하여 상기 제2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checks a second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door device, and calculates a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subtracted from the second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in response to the second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The second remaining usage period may be set by subtracting the second subtracted usage period from the second initial remaining usage period.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때, 상기 제2 공기의 산소 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와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장치의 단위시간당 제2 산소 토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제2 산소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산소 토출량을 산출하고, 제2 누적 산소 토출량이 클수록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산출된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할 수 있다.When calc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the control device checks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and based on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the unit of the outdoor device A second oxygen discharge amount per hour is calculated, a second accumulated oxygen discharge amount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second oxygen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and as the second accumulated oxygen discharge amount increases, the second subtraction calcula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The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may be corrected so that the use period becomes longer.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때, 상기 외부 공기의 습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와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장치의 단위시간당 수분 유입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수분 유입량을 누적하여 누적 수분 유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When calc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the controller checks the humidity of the external air,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minutes per unit time of the outdoor device based on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The inflow amount may be calculated, and the accumulated moisture inflow amount may be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moisture inflow amount per unit time.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누적 수분 유입량이 클수록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산출되고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2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correct the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so that a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calcula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and subtracted from the second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becomes longer as the cumulative water inflow amount increases.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누적 수분 유입량이 클수록 상기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산출되고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1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correct the first subtracted use period so that a first subtracted use period calcula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and subtracted from the first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becomes longer as the cumulative water inflow amount increases.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잔여 사용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미만이면 상기 토출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교체를 요청하는 제1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잔여 사용 기간이 제2 기준 기간 미만이면 상기 외부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교체를 요청하는 제2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outputs a first replacement request signal requesting replacement of parts included in the discharge device when the first remaining usage period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period, and the second remaining usage period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period. If this is the case, a second replacement request signal requesting replacement of parts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may be output.
본 개시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은, 실외 장치의 산소 토출량 및 공기 토출량에 따라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잔여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토출 장치의 공기 투출량에 따라 토출 장치의 잔여 사용 기간을 산출하며, 잔여 사용 기간에 따라 부품 교체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산소 발생 시스템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부품을 관리할 수 있다.An oxygen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lculates the remaining use period of parts included in the outdoor devi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oxygen discharged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door device, calculates the remaining use period of th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evice, , By sending a signal requesting parts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remaining usage period, the parts can be managed so that the oxygen generator system exhibits optimal performanc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에 구비된 실외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 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oxygen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out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outdoor device provided in an oxygen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within an oxygen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First,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general term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ymbo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hat is, even if all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shown in a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ese ordinal numbers are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 numbers. For example,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of elements associated with such ordinal number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module,” “unit,” and “part” are terms used to refer to component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ese components are hardware or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or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units", "parts", etc.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or chip, except for cases where each of them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pecific hardware, so that at least one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출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oxygen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out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산소 발생 시스템(10)은 실외 장치(100), 복수의 토출 장치(200), 및 제어 장치(300)를 포함한다.1 to 3 , the
산소 발생 시스템(10)은, 가정용, 병원용, 차량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정수기, 에어컨 등의 가전 기기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실외 장치(1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산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추출된 산소(: 산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실내에 구비된 토출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실외 장치(100)는 PSA 또는 RVSA 방식으로 산소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새롭게 개발되는 산소 추출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PSA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실외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후술한다.The
토출 장치(200)는 실외 장치(100)를 통해 추출된 산소를 실내 영역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노즐 등을 통해 실외 장치(10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토출 장치(200)는 압력조절 장치, 밸브, 팬 등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The
토출 장치(200)는 실내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 장치(200)는 목걸이형과 같이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하나의 실외 장치(100)가 서로 다른 복수의 실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토출 장치(200)로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One
즉, 산소 발생 시스템(10)은, 복수의 토출 장치(200)가 포함되고, 복수의 토출 장치(200) 각각은 복수의 실내 영역에 배치되어 산소를 각 실내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 및 토출 장치(200)를 제어하여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 및/또는 토출 장치(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실외 장치(1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산소를 추출할 수 있고, 토출 장치(200)는 밸브를 개방하거나 및/또는 팬을 구동하여 실외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실내로 제공할 수 있다.The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 장치(300)는 버튼 또는 터치(ex. 디스플레이 터치)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외 장치(100) 및 토출 장치(200)를 구동하여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 경우, 제어 장치(300)는 산소 발생 시스템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는, 산소 발생 시스템(10)의 산소 공급 여부, 산소 공급 세기(ex. 단위시간당 산소 공급량), 산소 공급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실외 장치(100)는 필터 모듈(110), 압축 모듈(120), 흡착 모듈(130), 배출 모듈(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필터 모듈(110)은 외부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기 중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등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 모듈(110)은 헤파 필터, 나노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일 예로, 실외 장치(100)은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팬과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의 구동에 따라 팬이 회전한 결과, 흡입된 공기가 필터 모듈(110)을 거쳐 필터링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압축 모듈(120)은 필터 모듈(110)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 압축 모듈(120)은 내부 공간의 부피 조절이 가능한 금속 컴프레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한편, 실외 장치(100)는 압축 모듈(120)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흡착 모듈(130)은 압축된 공기 내에서 산소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구체적으로, 흡착 모듈(130)은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제올라이트 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질소 등이 분리되어 산소가 추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배출 모듈(140)은 흡착 모듈(130)을 통해 추출된 산소를 (노즐 등을 통해) 토출 장치(20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배출 모듈(140)은 압력 조절 모듈, 유량계(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에 구비된 실외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PSA 방식의 실외 장치(10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outdoor device provided in an oxygen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shows an exampl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모듈(110)을 거쳐 정화된 실외 공기는 압축 모듈(120) 내에서 압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outdoor air purified through the
압축 모듈(120) 상에서 외부 공기가 압축됨과 동시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외부 공기가 실외 장치(100)의 흡입구를 거쳐 필터 모듈(110)로 유입되고, 필터 모듈(110)을 거쳐 정화된 외부 공기가 압축 모듈(1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가 압축됨으로써 추후 흡착 모듈(130)를 통한 산소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external air is compressed on the
압축된 공기가 흡착 모듈(130)에 다다르면, 흡착 모듈(130)의 제올라이트 배드 상에 질소 등이 흡착된 결과 산소가 추출될 수 있다.When the compressed air reaches the
제올라이트 배드 상에는 제올라이트 분자체(Zeolite Molecular Sieve)가 충전되어 있어, 제올라이트 분자체와 친화력이 높은 질소 분자를 흡착하고 산소는 통과시킬 수 있다.A zeolite molecular sieve is filled on the zeolite bed, so that nitrogen molecules having a high affinity with the zeolite molecular sieve can be adsorbed and oxygen can pass therethrough.
일정 기간 이상 이용 시 제올라이트 배드가 교체될 수 있도록 실외 장치(100)의 외측에는 제올라이트 배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개폐구(도면에 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개방된 개폐구를 통해 제올라이트 배드를 교체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 배드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카트리지 형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실외 장치(100)는 흡착 모듈(130)의 제올라이트 배드의 흡착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밸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131)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실외 장치(100)는 제올라이트 배드 이전의 밸브(131)를 개방하여 제올라이트 배드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질소의 흡착이 수행된 이후에는 제올라이트 배드 이후의 밸브(131)를 개방하여 산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저장 모듈(1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실외 장치(100)는 복수의 밸브(13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제올라이트 배드의 흡착 및 탈착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The
한편, 실외 장치(100)는 제올라이트 배드를 통해 흡착된 질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저장 모듈(150')는 추출된 산소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장 모듈(150')은 산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산소량을 충족하면 개방하여 배출 모듈(140)측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orage module 150' is a component for storing extracted oxygen. The storage module 150' stores air with a high oxygen concentration, and when a user's desired amount of oxygen is met, the storage module 150' opens and supplies the air to the
배출 모듈(140)은 저장 모듈(150')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노즐(145)을 통해 복수의 토출 장치(20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이를 위해, 배출 모듈(140)은 복수의 토출 장치(200)와 연통되는 노즐(145)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배출 모듈(140)은 압력조절부(141) 또는 밸브 등을 통해 산소를 노즐(145)로 배출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41)는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노즐(145)로 배출되는 배출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배출 모듈(140)은 유량계(142)를 통해 공기의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한편, 배출 모듈(140)은 노즐(145)과의 연결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수통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산소는 수통 내 물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수통 내 물을 거쳐 산소가 배출됨으로써 산소가 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통 내 물이 산소로 인해 작은 입자로 나뉘어져 산소 배출과 동시에 수통 내 물이 수분입자로 산소와 함께 배출되어 실내 습도 조절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수통 내 물에 아로마 오일 등이 함유되어 가습효과와 함께 방향효과나 실내 사용자에게 심신 안정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실외 장치(100)는 압축 모듈(12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온도 센서(160)는 압축 모듈(1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압축 모듈(12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The
한편, 실외 장치(100)는 필터 모듈(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산소 발생 시스템(10)은 실외 장치(100)를 통해 추출된 산소의 농도 및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산소 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산소 센서(180)는 실외 장치(100)에서 생성된 산소를 토출 장치(200)로 전송하는 경로인 노즐(145) 상에 구비될 수 있다.The
제어 장치(300)는 산소 센서(180)를 통해 실외 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배출 모듈(150)에 포함된 유량계(14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어 장치(300)는 공기의 산소 농도 및 유량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이하, 제어 장치(300)가 복수의 실내 영역 각각의 산소 농도가 복수의 실내 영역 각각의 목표 산소 농도 이상이 되도록 실외 장치(100) 및 토출 장치(200)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실내 영역 각각의 산소 농도가 복수의 실내 영역 각각의 목표 산소 농도 이상이 되도록 실외 장치(100) 및 복수의 토출 장치(200)를 통한 산소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The
우선,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실외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실내 영역 각각의 산소 농도를 수신하고, 복수의 실내 영역 중에서 산소 농도가 복수의 실내 영역 별로 설정된 목표 산소 농도 미만인 제1 실내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the
이후, 제어 장치(300)는 산소 농도가 목표 산소 농도 미만인 제1 실내 영역의 실내 영역 부피를 추정할 수 있다.Then, the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에 배치된 제1 토출 장치(200)의 감지 센서(250)로부터 측정된 사물과의 이격 거리인 거리 측정값을 수신하고, 거리 측정값을 이용하여 제1 실내 영역의 실내 영역 부피를 추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여기서, 거리 측정값은, 제1 토출 장치(200) 및 제1 토출 장치(200)의 전방에 위치한 벽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1 거리 측정값, 제1 토출 장치(200) 및 제1 토출 장치(200)의 하부에 위치한 바닥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2 거리 측정값, 제1 토출 장치(200) 및 제1 토출 장치(200)의 상부에 위치한 천장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3 거리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ing a distance to the
제어 장치(300)는 제1 내지 제3 거리 측정 값을 곱하여 제1 실내 영역의 실내 영역 부피로 산출할 수 있다.The
여기서, 산출된 실내 영역 부피는 실제 제1 실내 영역의 실제 부피와 오차가 있으나, 대략적인 실내 영역의 부피로 추정되는 값일 수 있다.Here, the calculated volume of the indoor region has an error with the actual volume of the first indoor region, but may be a value estimated as an approximate volume of the indoor region.
이후,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와 제1 실내 영역의 목표 산소 농도 간의 산소 농도차를 산출하고, 실내 영역 부피 및 산소 농도차에 기초하여 제1 실내 영역의 부족 산소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실내 영역 부피 및 산소 농도차를 곱하여 부족 산소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어서,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토출 장치(200) 중에서 제1 실내 영역으로 산소가 포함된 제1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토출 장치(200)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제1 토출 장치(200) 및 제1 실내 영역을 연통하고 제1 공기가 유동하는 제1 토출 장치(200)의 토출관의 단면적과 제1 토출 장치(200)의 토출관을 유동하는 제1 공기의 유속을 곱하여 상술된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를 위해, 제1 토출 장치(200)는 제1 토출 장치(200)의 토출관을 유동하는 제1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이후, 제어 장치(300)는 제1 공기의 산소 농도와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제1 토출 장치의 단위시간당 제1 산소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n,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제1 토출 장치(200)의 토출관에 구비된 산소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 공기의 산소 농도와 상술된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곱하여 단위시간당 제1 산소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즉, 제어 장치(300)는 제1 토출 장치(200)가 현재 제1 실내 영역으로 단위시간당 토출하는 공기의 양을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으로 산출하고, 제1 토출 장치(200)가 현재 제1 실내 영역으로 단위시간당 토출하는 산소의 양을 단위시간당 제1 산소 토출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어서,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의 부족 산소량 및 제1 토출 장치(200)의 단위시간당 제1 산소 토출량을 이용하여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가 제1 실내 영역의 목표 산소 농도 이상이 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의 부족 산소량을 제1 토출 장치(200)의 단위시간당 제1 산소 토출량으로 나누어 소요 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후, 제어 장치(300)는 소요 시간이 제1 실내 영역에 설정된 기준 소요 시간을 초과하면, 소요 시간이 기준 소요 시간 이하가 되도록 제1 토출 장치(200)의 단위시간당 제1 목표 공기 토출량을 설정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required time exceeds the standard required time set in the first indoor area, the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의 부족 산소량을 제1 실내 영역에 설정된 기준 소요 시간으로 나눈 값을 제1 토출 장치(200)의 단위시간당 제1 목표 공기 토출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detail, the
이에 따라, 제어 장치(300)는 설정된 단위시간당 제1 목표 공기 토출량만큼 제1 공기를 제1 토출 장치(200)가 제1 실내 영역으로 토출하도록 제1 토출 장치(200)에 토출량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제1 토출 장치(200)는 토출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이, 앞서 설정된 단위시간당 제1 목표 공기 토출량과 동일해지도록 제1 공기의 압력 및 제1 공기의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signal, the
구체적으로, 제1 토출 장치(200)는 토출관에 구비된 밸브(B), 팬(P)을 제어하여 제1 공기의 압력 및 제1 공기의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토출 장치(200)로 산소가 포함된 제2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 장치(100)의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 및 복수의 토출 장치(200)를 연통하고 제2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 장치(100)의 토출관의 단면적과 실외 장치(100)의 토출관을 유동하는 제2 공기의 유속을 곱하여 상술된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를 위해, 실외 장치(100)는 실외 장치(100)의 토출관을 유동하는 제2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이어서, 제어 장치(300)는 복수의 토출 장치(200) 각각에 설정된 단위시간당 제1 목표 공기 토출량의 합을 공기 토출량 합으로 산출하고,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이 공기 토출량 합 미만이면,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이 공기 토출량 합 이상이 되도록 실외 장치(100)의 단위시간당 제2 목표 공기 토출량을 설정할 수 있다.Next, the
이에 따라, 제어 장치(300)는 설정된 단위시간당 제2 목표 공기 토출량만큼 제2 공기를 실외 장치(100)가 복수의 토출 장치(200)로 토출하도록 실외 장치(100)에 토출량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실외 장치(100)는 토출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이, 앞서 설정된 단위시간당 제2 목표 공기 토출량과 동일해지도록 제2 공기의 압력 및 제2 공기의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signal, the
구체적으로, 실외 장치(100)는 토출관에 구비된 밸브(B), 팬(P)을 제어하여 제2 공기의 압력 및 제2 공기의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의 단위시간당 최대 공기 토출량을 확인하고, 단위시간당 제2 목표 공기 토출량이 단위시간당 최대 공기 토출량을 초과하면, 단위시간당 제2 목표 공기 토출량을 단위시간당 최대 공기 토출량으로 재설정하고,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의 증가를 요청하는 산소 농도 증가 신호를 실외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의 공기 토출량을 최대로 증가시키더라도 기준 소요 시간 이내에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를 목표 산소 농도 이상으로 변경하기 불가한 경우, 실외 장치(100)에서 복수의 토출 장치(200)로 토출되는 제2 공기의 산소 농도가 증가되도록 산소 농도 증가 신호를 실외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인원 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인원 수가 많을수록 기준 소요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체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원 수를 추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의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가 제1 실내 영역의 목표 산소 농도 미만이 된 미만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과거 기간 동안의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를 확인하고, 미만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과거 기간 동안의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를 이용하여 상술된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제어 장치(300)는 감소율 구간 별로 감소 레벨이 할당되고, 감소 레벨 마다 기준 소요 시간이 할당된 참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술된 감소율이 포함되는 감소율 구간의 감소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감소 레벨에 할당된 기준 소요 시간을 확인하여 제1 실내 영역의 기준 소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감소율이 클수록 기준 소요 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즉, 제어 장치(300)는 상술된 미만 시점에서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에 대한 감소율이 크면(즉, 산소 농도가 빨리 감소되면) 기준 소요 시간을 짧게 설정하여 제1 실내 영역의 산소 농도가 목표 산소 농도에 빠르게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f the reduction rate of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first indoor area is large (ie, if the oxygen concentration decreases quickly) at the point below the above-mentioned time point, the
이하, 제어 장치(300)가 실외 장치(100) 및 토출 장치(200) 각각에 포함된 부품의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잔여 사용 기간이 기준 기간 미만이면 부품의 교체를 요청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제어 장치(300)는 상술된 토출 장치(200)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토출 장치(200)에 포함된 부품이 교체된 교체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제어 장치(300)는 토출 장치(200)에 포함된 부품별로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토출 장치(200)에 포함된 부품 A-1이 교체된 교체 시점 A-1'부터 현재까지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부품 A-1의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토출 장치(200)에 포함된 부품 A-2이 교체된 교체 시점 A-2'부터 현재까지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부품 A-2의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제어 장치(300)에 의해 산출되는 토출 장치(200)의 부품별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은 해당 부품이 교체된 교체 시점부터 토출 장치(200)에 의해 토출된 공기의 양을 나타내고, 해당 부품이 토출하는 공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That is, the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for each part of the
이어서, 제어 장치(300)는 토출 장치(200)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을 확인하고,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차감하여 제1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부품 별로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따른 제1 차감 사용 기간이 매핑된 매핑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상술된 실외 장치(100)의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에 포함된 부품이 교체된 교체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에 포함된 부품별로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에 포함된 부품 B-1이 교체된 교체 시점 B-1'부터 현재까지의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부품 B-1의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실외 장치(100)에 포함된 부품 B-2이 교체된 교체 시점 B-2'부터 현재까지의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부품 B-2의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제어 장치(300)에 의해 산출되는 실외 장치(100)의 부품별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은 해당 부품이 교체된 교체 시점부터 실외 장치(100)에 의해 토출된 공기의 양을 나타내고, 해당 부품이 토출하는 공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That is, the second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for each part of the
이어서,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을 확인하고,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차감하여 제2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부품 별로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따른 제2 차감 사용 기간에 매핑된 매핑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때, 제2 공기의 산소 농도를 확인하고,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와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실외 장치(100)의 단위시간당 제2 산소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calc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the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와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곱하여 단위시간당 제2 산소 토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즉, 제어 장치(300)에 의해 산출되는 실외 장치(100)의 부품별 제2 산소 토출량은 해당 부품이 교체된 교체 시점부터 실외 장치(100)에 의해 토출된 산소의 양을 나타내고, 해당 부품이 토출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That is, the second oxygen discharge amount for each part of the
이어서, 제어 장치(300)는 단위시간당 제2 산소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산소 토출량을 산출하고, 제2 누적 산소 토출량이 클수록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산출된 제2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할 수 있다.Then, the
즉,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가 동일한 공기 토출량을 토출하더라도 공기와 함께 토출된 산소의 양이 많을수록 외부 공기에서 산소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부품들의 사용이 많아짐을 고려하여 제2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때, 외부 공기의 습도를 확인하고,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와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실외 장치(100)의 단위시간당 수분 유입량을 산출하고, 단위시간당 수분 유입량을 누적하여 누적 수분 유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calc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실외 장치(100)와 토출 장치(200)에 포함된 부품 각각이 교체된 교체 시점을 기준으로 부품별로 누적 수분 유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후, 제어 장치(300)는 누적 수분 유입량이 클수록 제2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또한, 제어 장치(300)는 누적 수분 유입량이 클수록 제1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 장치(300)는 제1 잔여 사용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미만이면 토출 장치(200)에 포함된 부품의 교체를 요청하는 제1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잔여 사용 기간이 제2 기준 기간 미만이면 외부 장치(100)에 포함된 부품의 교체를 요청하는 제2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f the first remaining usage period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period, the
한편,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 내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within the oxygen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실외 장치(100)는 필터 모듈(110), 압축 모듈(120), 흡착 모듈(130), 배출 모듈(140) 외에 제어 모듈(150), 온도 센서(160), 습도 센서(170), 산소 센서(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제어 모듈(150)은 실외 장치(100)의 다른 구성들과 연결되어 실외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모듈(150)은 제어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본 제어 모듈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장치(3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식의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제어 모듈(150)은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필터 압축 모듈(120), 흡착 모듈(130)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밸브, 배출 모듈(140)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 모듈(150)은 각종 센서(160, 170, 180)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온도 센서(160)는 실외 장치(100) 내 적어도 하나의 구성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온도 센서(16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열전쌍, 써미스터, 저항온도 검출, 적외선 기반 측정 등 다양한 방식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온도 센서(160)가 압축 모듈(1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 밖에도 실외 장치 내 다양한 공간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습도 센서(170)는 실외 장치(100)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습도 센서(170)는 건습구 습도계, 염화 리튬 습도 센서, 전해 습도 센서, 고분자막 습도 센서, 수정진동식 습도 센서, 산화알루미늄 습도 센서, 세라믹 습도 센서, 서미스터 습도 센서, 마이크로파 습도 센서, 결로 센서, 노점 센서 등 다양한 방식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산소 센서(180)는 실외 장치(100)의 흡입구, 배출구, 또는 저장 모듈(150') 등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산소 센서(180)는, 일 예로 전극 상에서 수행되는 산소분자의 환원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 밖에도 종래 알려졌거나 향후 고안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외 장치(100)는 음이온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음이온 생성 모듈은 음이온을 생성하여 배출할 수 있다.The negative ion generation module may generate and discharge negative ions.
이때, 음이온 생성 모듈은 생성된 음이온을 토출 장치(200)로 공급하고, 토출 장치(200)는 공급받은 음이온을 실내 영역으로 토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egative ion generating module supplies generated negative ions to the
이를 위해, 음이온 생성 모듈은 토출 장치(200)와 연통되도록 유로관으로 연결되고, 토출 장치(200)는 음이온이 실내 영역으로 토출되는 음이온 토출관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negative ion generating module may be connected through a flow pipe to communicate with the
한편, 제어 장치(300)는 양이온 농도에 대응하여 음이온 생성 모듈이 단위시간 당 생성해야 하는 음이온의 생성량을 나타내는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여기서, 양이온 농도는 음이온 토출관 내의 기체에 포함된 양이온의 농도일 수 있으며, 후술되는 음이온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값일 수 있다.Here, the concentration of cations may be the concentration of cations included in the gas in the anion discharge pipe, and may be a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an anion sensor described later.
제어 장치(300)는 양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음이온 생성 모듈에서 단위시간 당 생성해야 하는 음이온의 생성량이 많아지도록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이후, 제어 장치(300)는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에 대응하여 음이온 생성 모듈이 음이온을 생성하도록 음이온 생성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때, 제어 장치(300)는 음이온 생성 모듈이 음이온을 생성하는 방식에 적용가능한 제어 신호를 음이온 생성 모듈로 출력함으로써, 음이온 생성 모듈이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에 대응되는 생성량 만큼의 음이온을 생성하도록 음이온 생성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를 통해, 제어 장치(300)는 음이온 생성 모듈을 통해 생성 및 배출된 음이온 중에서 음이온 토출관에서 실내 영역으로 토출되기 전에, 음이온 토출관 내에서 유동하는 양이온과 결합되어 토출 영역으로 토출되지 않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현상을 고려하여, 음이온 농도에 대응하여 음이온 생성 모듈의 음이온 생성량을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즉, 제어 장치(300)는 토출관(150) 내에서 유동하는 양이온이 많아 양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음이온 생성 모듈이 더 많은 양의 음이온을 생성하도록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를 설정하여 음이온 생성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일부 음이온이 양이온과 결합하여 토출 영역으로 토출되지 않더라도 토출 영역으로 토출되는 음이온의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제어 장치(300)는 양이온 농도 및 토출관 체적을 이용하여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0)는 양이온 농도와 토출관 체적을 곱하여 토출관 내 양이온량을 산출하고, 양이온량과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가 매핑된 참조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양이온량에 매핑된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를 목표 음이온 생성량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토출관 체적은 미리 정해져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한편, 제어 장치(300)는 음이온 토출관으로부터 측정된 양이온 농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 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양이온 농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 농도를 초과하면, 양이온 농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 농도를 초과한 초과 시점부터 도과된 시간인 도과 시간으로 산출하고, 도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초과하면, 음이온 토출관을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음이온 토출관으로 교체해야 함을 알리는 음이온 토출관 교체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Here, the volume of the discharge pipe may be predetermined and acquired information. Meanwhile, the
여기서, 외부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Here, the external may be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to a user.
도 6을 참조하면, 토출 장치(200)는 배출 모듈(210), 제어 모듈(220), 수분 공급 모듈(230), 산소 센서(240), 감지 센서(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배출 모듈(210)은 실외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팬, 밸브, 압력조절 장치 등을 통해 산소를 배출할 수 있다.The
제어 모듈(220)은 토출 장치(200)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어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 모듈(220)은,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배출 모듈(210)의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외 장치(100)로부터 토출 장치(200)로 공급된 산소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수분 공급 모듈(230)은 배출되는 산소에 습기를 부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수분 공급 모듈(230)은 물이 담길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급된 산소가 수통을 통과함에 따라 습도가 더해진 산소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통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탈착 및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ex. 회전식 체결 구조, 고리형 체결 구조 등)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간편하게 수통 내 물을 충전할 수 있다.Here, the water bottle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eg, a rotational fastening structure, a ring-shaped fastening structure, etc.) that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by the user, and in this case, the user can conveniently fill the water in the water bottle.
산소 센서(240)는 실내 공기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모듈(220)은 산소 센서(240)의 센싱 데이터를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감지 센서(250)는 실내 영역로부터 상술된 거리 측정값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인원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센서(250)는 적외선 센서, 거리 측정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제어 장치(300)는 제어 모듈(310), 통신 모듈(320), 사용자입력 모듈(330), 출력 모듈(340), 이산화탄소 센서(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어 모듈(310)은 제어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외 장치(100) 및 토출 장치(200)와 유무선 연결되어 실외 장치(100) 및 토출 장치(200)의 산소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The
통신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 및/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통신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와 연동될 수 있으며,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The
통신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또한, 통신 모듈(320)은 리모컨 등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 모듈(320)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Also, the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300)의 동작은, 통신 모듈(320)을 통해 연결된 서버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모듈(120)의 온도에 따른 산소 공급 중단 등과 관련된 제어 정보는, 서버를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Also, the operation of the
통신 모듈(320)은,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외 장치(ex. 서버, 사용자 단말 등)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320)은 외부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ex.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etc., depending on the area or size, and an intranet, It may be an extranet or the Internet.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LTE (long-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 5G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 (Wireless Broadband),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etc. can include
유선 통신은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Ethernet, optical network,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Thunderbolt.
사용자 입력 모듈(330)은 사용자 명령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 모듈(330)는 터치 센서, 버튼, 카메라, 마이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출력 모듈(340)은,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 모듈(31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산소 발생 시스템(10)의 동작 상태(ex. 산소 공급 여부, 산소 공급 시간)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모듈(310)은 이산화탄소 센서(350)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The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실시 예가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제어 장치(300)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itself. 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300)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산소 발생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산소 발생 시스템의 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computer instructions or computer program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operations of the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Specific examples of th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산소 발생 시스템 100: 실외 장치
200: 토출 장치 300: 제어 장치10: Oxygen generating system 100: Outdoor device
200: discharge device 300: control device
Claims (8)
외부 공기로부터 산소를 추출하기 위한 실외 장치;
상기 실외 장치를 통해 추출된 산소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 장치; 및
상기 실외 장치 및 상기 토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산소가 포함되어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제1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토출 장치의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제1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산소가 포함되어 상기 토출 장치로 공급되는 제2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실외 장치의 단위 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1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2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때, 상기 외부 공기의 습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와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장치의 단위시간당 수분 유입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수분 유입량을 누적하여 누적 수분 유입량을 산출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
In the oxygen generating system,
outdoor devices for extracting oxygen from outside air;
a discharge device for supplying oxygen extracted through the outdoor device to a room;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door device and the discharge device;
The control device
A first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device for supplying first air containing oxygen to the room is calculated, and a first accumulated air discharge rate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first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A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outdoor device supplied with second air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is calculated, a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and the first air discharge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a first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scharge device is set, and a second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utdoor device is set based on the second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
The control device
When calc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the humidity of the outside air is checked, and the moisture inflow rate per unit time of the outdoor devi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 Oxygen generating system that calculates the cumulative moisture inflow by accumulating the moisture inflow per unit time.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상기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차감하여 상기 제1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A first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charge device is identified, a first subtracted use period subtracted from the first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is calculated in response to the first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and the first subtracted use period is calculated. and setting the first remaining use period by subtracting the first subtracted use period from the remaining use period.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 각각의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차감하여 상기 제2 잔여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A second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of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door device is identified, a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subtracted from the second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is calcula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and the second initial use period is calculated. and setting the second remaining use period by subtracting the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from the remaining use period.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을 산출할 때, 상기 제2 공기의 산소 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공기의 산소 농도와 상기 단위시간당 제2 공기 토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장치의 단위시간당 제2 산소 토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제2 산소 토출량을 누적하여 제2 누적 산소 토출량을 산출하고, 제2 누적 산소 토출량이 클수록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산출된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device
When calculating the second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is checked, and the second oxygen concentration per unit time of the outdoor device is based on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rate per unit time. The discharge amount is calculated, the second accumulated oxygen discharge amount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second oxygen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and the second accumulated oxygen discharge amount is calcula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cumulative air discharge amount as the second accumulated oxygen discharge amount increases. Correcting the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so that the oxygen generating system.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누적 수분 유입량이 클수록 상기 제2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산출되고 제2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2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제2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The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is corrected so that the second subtracted use period calcula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and subtracted from the second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becomes longer as the cumulative moisture inflow amount increases.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누적 수분 유입량이 클수록 상기 제1 누적 공기 토출량에 대응하여 산출되고 제1 최초 잔여 사용 기간에서 차감되는 제1 차감 사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제1 차감 사용 기간을 보정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device
The oxygen generating system correcting the first subtracted use period so that the first subtracted use period calculated in response to the first accumulated air discharge amount and subtracted from the first initial remaining use period becomes longer as the cumulative moisture inflow amount increases.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잔여 사용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미만이면 상기 토출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교체를 요청하는 제1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잔여 사용 기간이 제2 기준 기간 미만이면 상기 실외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교체를 요청하는 제2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산소 발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If the first remaining usage period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period, a first replacement request signal requesting replacement of parts included in the discharge device is output, and if the second remaining usage period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period, the outdoor device Outputting a second replacement request signal requesting replacement of parts included in the oxygen generat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5327A KR102555964B1 (en) | 2022-12-27 | 2022-12-27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managing part replacement time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5327A KR102555964B1 (en) | 2022-12-27 | 2022-12-27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managing part replacement time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5964B1 true KR102555964B1 (en) | 2023-07-14 |
Family
ID=8715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5327A Active KR102555964B1 (en) | 2022-12-27 | 2022-12-27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managing part replacement time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596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6678A (en) * | 2012-10-10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air conditioner |
KR101779409B1 (en) | 2016-07-22 | 2017-09-19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generaing oxygen using enhanced psa principle |
KR102450172B1 (en) * | 2021-03-29 | 2022-10-06 | 주식회사 세이버 | Internet of things techinic based intelligent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ng state by monitoring sensing data |
-
2022
- 2022-12-27 KR KR1020220185327A patent/KR1025559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6678A (en) * | 2012-10-10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air conditioner |
KR101779409B1 (en) | 2016-07-22 | 2017-09-19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generaing oxygen using enhanced psa principle |
KR102450172B1 (en) * | 2021-03-29 | 2022-10-06 | 주식회사 세이버 | Internet of things techinic based intelligent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ng state by monitoring sensing dat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0172B1 (en) | Internet of things techinic based intelligent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ng state by monitoring sensing data | |
KR102542918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OXYGEN SUPPLY, IMPROVING AIR QUALITY AND SENSING AIR QUALITY USING IoT | |
JP6143939B2 (en) |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CN106705383B (en) | Dehumidific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quipment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
CN101235977B (en) | Air conditioner | |
US11555626B2 (en) | Ventilation unit, system and method | |
US20180306455A1 (en) | Air treatment system | |
JP2018501459A (en) |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room air management | |
CN111527351A (en) | Intelligent air purification | |
CN106662351A (en) | Control device, ventilation control system, and program | |
CN107621050B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 |
WO2017046321A1 (en) | Gas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2565323B1 (en)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vantilating in response to carbon dioxide | |
US20180058706A1 (en) | Temperature-Based Adaptive Dehumidification System | |
KR102555964B1 (en)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managing part replacement timeing | |
KR102551825B1 (en)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supplying multiple indoor areas | |
KR102556682B1 (en)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oxygent supply | |
CN113757962B (en) | Fresh air humidity control method and device, air conditioner and storage medium | |
KR102104448B1 (en) |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 |
CN108344081B (en) | Air conditioner and safety detection method | |
CN104896577A (en) | Air conditioner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and humidif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CN204100465U (en) | Store wet damping device and apply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the air-conditioning system of this device | |
JP6644152B2 (en) |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heat pump system and liquid level detecting method | |
KR102776895B1 (en) |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reduc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rough inhalation of indoor air | |
CN204358853U (en) | The new blower fan of condensation heat air dra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