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5793B1 -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 Google Patents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793B1
KR102555793B1 KR1020210046493A KR20210046493A KR102555793B1 KR 102555793 B1 KR102555793 B1 KR 102555793B1 KR 1020210046493 A KR1020210046493 A KR 1020210046493A KR 20210046493 A KR20210046493 A KR 20210046493A KR 102555793 B1 KR102555793 B1 KR 10255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roller
unit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0248A (en
Inventor
최강민
Original Assignee
(주) 엑스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엑스골프 filed Critical (주) 엑스골프
Priority to KR102021004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793B1/en
Publication of KR2022014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79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non-electronic mean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n a target or the point of entry in the go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교환 시 사람이 별도의 통로로 뒤공간으로 가지 않고 부스의 뒤쪽을 슬라이드시켜 바로 부스 내측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면 양쪽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면에 롤러부를 연결시켜 롤러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프레임부와의 거리를 벌려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 by allowing a person to slide the back of the booth and work directly inside the booth without going to the back space through a separate passage when replacing the screen. , A frame part forming a square frame, a guide part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part, a roller part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part and moving along the guide part, and a roller part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par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ll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creen holder that moves along and can be separated by widening the distance from the frame.

Description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Modular mobile screen golf booth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본 발명은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스의 스크린을 교환할 때 스크린 뒤쪽의 스크린거치부를 분리되게 하여 뒤로 슬라이드시키면 별도의 통로 및 작업 공간이 필요 없고 스크린거치부 앞의 부스 안쪽에서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nd more particularly, when replacing the screen of the booth, if the screen holder at the back of the screen is separated and slid backward, a separate passage and work space are not required, and the screen holder in front of the screen holder It is about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that can easily and safely work inside the booth.

근래에 들어,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골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서도 실제로 골프장에서 골프 경기를 즐기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라고 불리우는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golf has in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 virtual golf simulation system called “screen golf” has emerged that provides a sense of reality as if you are actually playing golf on a golf course even indoors.

이러한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타격방향의 전면부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프로젝터)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골퍼는 골프공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타격하는 동시에 스크린 상에 투영되는 영상을 보면서 스크린 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한다.This virtual golf simulation system projects an image provided from a golf simulation device (projector) onto a screen installed at the front of a screen golf booth in the hitting direction forming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golfers can direct a golf ball toward the screen. It is provided so that you can enjoy screen golf while watching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as hitting.

통상적인 기존의 골프 연습용 스크린 박스는 목수가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설치한 목재질의 프레임상에 끈종류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목재질의 프레임상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여러조각으로 나누어져 부착되어 설치되는 측면 커버 및 천정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현장마다 다른 목수가 직접 제작하다 보니, 치수가 일정하지 않아 치수관리 및 미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작 납기를 정확히 계획하기가 힘들다. 측면 커버 및 천정 커버는 타격된 공에 여러 번 맞을 시에 벨크로가 분리되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기 쉽다. 또한, 사용이 필요 없어 철거할 경우, 초기 제작에 투입된 자금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처리해야 할 폐자재가 많이 발생한다.A typical screen box for practicing golf is a screen installed using a kind of string on a wooden frame manufactured and installed by a carpenter on site, and divided into several pieces using Velcro and attached to the wooden frame. It consists of a side cover and a ceiling cover. Since each site is produced by a different carpenter, the dimensions are not constant, which can cause problems with dimension management and aesthetics,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lan the production delivery date. When the side cover and the ceiling cover are hit by a hit ball several times, the Velcro is separated and is likely to be separated from the frame. In addition, when it is demolished because it is not used, it not only takes money and time invested in the initial production, but also generates a lot of waste materials to be disposed of.

일부 특수용도의 주문식의 경우, 천막형태의 "ㄷ" 박스 구조로 만들어 금속프레임에 걸어서 설치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ㄷ" 박스 구조의 측면커버와 천정커버를 일체로 재봉하여 골조에 걸어서 설치함으로 무겁고 커서 작업이 매우 어렵다. 이때, 상기 천막은 제작 시에도 치수관리가 매우 어렵고, 천이 늘어나기 때문에 설치 후 주름이 많이 생겨 심미감이 매우 떨어진다. 스크린천은 주름 없이 설치하기 위하여 4방향(상/하,좌/우)에서 당김에 따라 낮은 탄도로 타격된 골프공이 스크린천의 하단에 맞을 경우 반발이 커서 되튕겨나와 골퍼가 맞게 되어 매우 위험하며, 반면 이를 느슨하게 설치할 경우 심미감이 매우 떨어진다.In the case of some special-purpose custom-made meals, it is made into a tent-shaped "c" box structure and installed by hanging it on a metal frame. In general, it is very difficult to work because the side cover and the ceiling cover of the "c" box structure are integrally sewn and installed by hanging on the frame, which is heavy and large. At this time, it is very difficult to manage the size of the tent even during manufacture, and since the fabric is stretched, many wrinkles occur after installation, resulting in a very poor aesthetic. As the screen cloth is pulled in four directions (up/down, left/right) in order to install it without wrinkles, when a golf ball hit with a low trajectory hits the bottom of the screen cloth, it bounces back with a large rebound and hits the golfer, which is very dangerous. On the other hand, if it is installed loosely, the aesthetic sense is very poor.

또한, 스크린천은 오염이나 손상으로 인한 교환설치가 잦은데, 부스의 스크린 거치대 뒤에서 작업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뒤로 가는 별도의 통로 및 작업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로 인해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creen cloth is frequently replaced due to contamination or damage. The work is done behind the screen holder in the booth, which requires a separate aisle and work space to be prepared for this, which takes a lot of time and labo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was reduced due to inconvenienc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53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595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린 교환 시, 뒷 공간으로 이동하여 작업하는 별도 공간 및 통로가 필요치 않고, 내측에서 바로 작업할 수 있게 스크린을 뒤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move the screen to the rear so that a separate space and passage to work by moving to the back space is not required when replacing the screen, so that work can be performed directly from the inside. It is to provide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g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는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면 양쪽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면에 롤러부를 연결시켜 롤러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프레임부와의 거리를 벌려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forming a square frame, guide parts provided on both lower part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a guide part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part. It may include a roller unit that moves along, and a screen holder unit that connects the roller uni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is mov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to widen a distance from the frame unit so that it can be separated.

상기 가이드부는 프레임부의 후면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바닥판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어 롤러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include a bottom plat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a lower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a guide rail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to allow movement of the roller unit.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부에는 이동되는 롤러부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의 상단 보다 높게 이탈방지편이 구비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guide rail, a separation prevention piece may be provid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so that the moving roller unit is not caught and separated.

상기 롤러부는 가이드부의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고 이동프레임부의 하부에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The roller unit may be seated on a guide rail of the guide unit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unit by a hinge.

상기 스크린거치부는 프레임부의 후면에 구비되어 롤러부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부에 밀착되거나 멀어지며, 하부에 롤러부가 안쪽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The screen holder may b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moved by the roller unit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or away from the frame unit, and a connecting piece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so that the roller unit may be connected inwardly.

상기 스크린거치부와 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creen holder and the frame portion to support the moving frame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지지부는 스크린거치부에 연결되고 프레임부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끼워져 관통홈을 통해 슬라이드되되 상하를 관통하여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스크린거치부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screen holder and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ame part, slid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inserted into a support bar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by penetrating up and down, and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to temporarily stop the movement of the screen holder A stop member may be included.

상기 끼움홈은 스크린거치부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스톱부재가 끼워지는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stop member is inserted can be changed in order to adjus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creen hold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에 의하면, 프레임부의 후면 바닥에 가이드부를 연결하고 프레임부의 후면에 마련되는 스크린거치부를 가이드레일에 올려지는 롤러부와 연결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에 의해 프레임부의 후면과 스크린거치부가 멀어져 프레임부와 스크린거치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등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프레임부의 뒤쪽으로 진입이 용이하여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자에게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unit is connected to the rear floor of the frame unit, and the screen holder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unit is connected to the roller unit mounted on the guide rail to follow the guide rail. The back of the frame part and the screen holder part are separated by the moving roller part,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ame part and the screen holder part,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enter the rear part of the frame part for repair and replacement work such as screen, and the work is convenient. Working time can be reduced, thus maximizing work efficiency and worker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가이드부와 롤러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가이드부와 롤러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지지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지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part and a roller part of a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part and a roller part of a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and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r claims.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In addition, the expression 'connected/coupled' is used as a meaning including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In addition,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includ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on" or "under/under" the substrate, each side (film), region, pad or pattern. The description of "formed on" includes all formed directly or through another layer. The criteria for upper/upper or lower/lower of each lay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가이드부와 롤러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가이드부와 롤러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지지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지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dular movabl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howing a golf booth,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portion and a roller portion of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uide portion of the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art of a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upport part of a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10)는 프레임부(100)와, 가이드부(200)와, 롤러부(300)와, 스크린거치부(400)와, 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100, a guide part 200, a roller part 300, and a screen holder ( 400) and a support part 500.

상기 프레임부(100)는 부스 형성을 위한 골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110) 및 수평부재(120)를 직육면체 형태로 조립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The frame portion 100 corresponds to a framework for forming a booth, and may be installed by assembling a vertical member 110 and a horizontal member 120 made of metal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가이드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수직부재(110) 후면 양쪽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guide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both lower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110 of the frame part 100 .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00)는 수직부재(110)의 후면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바닥판(210)이 연결되며, 상기 바닥판(210)의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어 롤러부(3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20)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5, the guid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110, and is vertical to the top of the bottom plate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guide rail 2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oller unit 300 can be moved.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바닥판(210)의 상부 좌,우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rails 2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210 .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끝단부에는 롤러부(300)가 이동될 때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220)의 상단 보다 높게 이탈방지편(23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ion prevention piece 23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guide rail 220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220 so that the roller unit 300 is not caught and separated when moving.

즉, 상기 이탈방지편(230)이 가이드레일(220)의 상단 보다 높게 됨으로써 이동프레임부(400)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롤러부(300)가 이동될 때 상기 롤러부(300)가 이탈방지편(230)에 걸리게 되어 스크린거치부(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oller unit 300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220 to move the moving frame unit 400 by mak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230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220, the roller unit ( 300 is caught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230, so that separation of the screen holder 400 can be prevented.

상기 롤러부(300)는 가이드부(200)의 가이드레일(220) 상에 안착되어 스크린거치부(4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roller unit 300 may be seated on the guide rail 220 of the guide unit 200 and move along the guide rail 220 to move the screen holder 400 .

또한, 상기 롤러부(300)는 가이드레일(220) 상부에 안착되고 스크린거치부(400)의 하부에 힌지(h)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unit 300 may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220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holder 400 by a hinge (h).

그리고, 상기 롤러부(300)의 중앙 둘레에는 가이드레일(2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요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oove 310 may be formed around the center of the roller unit 300 so that the guide rail 220 can be inserted therein.

상기 롤러부(300)의 내부에는 롤러부(300)가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B)이 구비될 수 있다.A bearing B may be provided inside the roller unit 300 so that the roller unit 300 can smoothly rotate along the guide rail 220 .

상기 스크린거치부(400)는 프레임부(100)의 후면에 롤러부(300)를 연결시키며, 상기 롤러부(3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프레임부(100)와의 거리를 벌려 작업자가 프레임부(100) 안쪽으로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The screen holder 400 connects the roller unit 3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100, and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300 to increase the distance from the frame unit 100 so that the operator can use the frame unit. (100) Make it easy to get in and out.

즉, 상기 스크린거치부(400)는 프레임부(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롤러부(300)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부(100)의 후면에 밀착되거나 멀어져 분리될 수 있다.That is, the screen holder 40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100 and is moved by the roller unit 300 so that the screen holder 400 can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100 or be separated by moving away from the frame unit 100 .

또한, 상기 스크린거치부(400)의 하부에는 롤러부(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편(41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ng piece 41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holder 400 so that the roller unit 300 can be connected to it.

상기 연결편(410)은 롤러부(300)가 안쪽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ece 410 may be formed in a '∩' shape so that the roller unit 300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상기 스크린거치부(400)에는 프레임부(100)의 후면을 막을 수 있도록 천 재질의 마감막(420)이 구비될 수 있다.A finishing film 420 made of cloth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holder 400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100 .

또한, 상기 스크린거치부(400)의 외측면에는 마감막(420)의 연결 부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적 심미감을 높일 수 있게 커버(430)가 마그네틱(M)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43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en holder 400 through a magnetic M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nishing film 42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o enhance the external aesthetics. there is.

상기 지지부(500)는 스크린거치부(400)와 프레임부(100)에 연결되어 프레임부(100)로부터 스크린거치부(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screen holder 400 and the frame part 100 to stably support the screen holder 400 from the frame part 100 .

또한, 상기 지지부(500)는 스크린거치부(400)와 프레임부(100)에 상,하 및 좌,우로 복수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500 may be connected to the screen holder 400 and the frame part 100 in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500)는 지지바(510)와, 스톱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to 8 , the support part 500 may include a support bar 510 and a stop member 520 .

상기 지지바(510)는 스크린거치부(400)에 연결되고 프레임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130)으로 끼워져 관통홈(130)을 통해 슬라이드될 수 있다.The support bar 510 is connected to the screen holder 400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0 formed in the frame part 100 so as to sl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

또한, 상기 지지바(510)에는 상,하를 관통하여 끼움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itting grooves 511 may be formed throug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ar 510 .

이때, 상기 끼움홈(511)은 스크린거치부(40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스톱부재(520)가 끼워지는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tting groove 511 may be formed in plurality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stop member 520 is inserted can be changed to adjus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creen holder 400 .

상기 스톱부재(520)는 끼움홈(511)에 끼워져 롤러부(300)를 통해 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400)를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The stop member 5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511 to temporarily stop the moving frame unit 400 moving through the roller unit 300 .

또한, 상기 스톱부재(520)는 끼움홈(511)에 끼워진 상태에서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 member 520 may be formed in a 'L' shape so that it does not fall down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511.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s follows.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 뒤쪽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을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부(100)의 후면에 스크린거치부(400)를 설치하되 상기 스크린거치부(400)가 가이드레일(220) 상에 올려지는 롤러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300)의 이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In order to protect a screen (not shown) installed on the inside rear of the frame unit 100, a screen holder 40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100, but the screen holder 400 is a guide rail ( 220), it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unit 300 placed on the roller unit 300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300.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20) 상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롤러부(300)에 의해 상기 스크린거치부(400)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0)의 후면에 밀착되어 있는 스크린거치부(400)가 프레임부(100)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프레임부(100)와 스크린거치부(400) 사이에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creen holder 400 is moved by the roller unit 300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n the guide rail 220, the screen holder 400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100 Moving away from the frame part 100, a space in which a worker can come in and out may be formed between the frame part 100 and the screen holder 400.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거치부(400)의 이동에 따라 프레임부(100)로부터 스크린거치부(400)가 멀어지면서 프레임부(100)와 스크린거치부(4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프레임부(100) 안쪽으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어 스크린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은 물론 기타 다른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screen holder 400 moves away from the frame part 1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reen holder 40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ame part 100 and the screen holder 400 so that the operator can use the frame It can easily enter the inside of the unit 100, so that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screen as well as other operations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또한, 상기 스크린거치부(400)와 프레임부(100)에 지지부(5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0)에 고정되지 않는 스크린거치부(400)를 상기 지지부(500)가 지지할 수 있어 스크린거치부(400)가 프레임부(100)에 밀착되거나 이동되어 멀어질 때 상기 스크린거치부(4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support part 500 to the screen holder 400 and the frame part 100, the support part 500 can support the screen holder 400 that is not fixed to the frame part 100. When the screen holder 40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unit 100 or moves away from it, the screen holder 400 can move stably without tilt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do various thi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스크린 골프용 부스 100 : 프레임부
110 : 수직부재 120 : 수평부재
130 : 관통홈 200 : 가이드부
210 : 바닥판 220 : 가이드레일
230 : 이탈방지편 300 : 롤러부
310 : 요홈 400 : 스크린거치부
410 : 연결편 420 : 마감막
430 : 커버 500 : 지지부
510 : 지지바 511 : 끼움홈
520 : 스톱부재 M : 마그네틱
10: booth for screen golf 100: frame part
110: vertical member 120: horizontal member
130: through groove 200: guide part
210: bottom plate 220: guide rail
230: departure prevention piece 300: roller part
310: groove 400: screen holder
410: connecting flight 420: closing curtain
430: cover 500: support
510: support bar 511: fitting groove
520: stop member M: magnetic

Claims (8)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후면 양쪽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면에 롤러부를 연결시켜 롤러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프레임부와의 거리를 벌려 작업자가 프레임부 뒤쪽에서 안쪽으로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분리시키는 스크린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프레임부의 후면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바닥판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어 롤러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부에는 이동되는 롤러부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의 상단 보다 높게 이탈방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린거치부와 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스크린거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부는, 스크린거치부에 연결되고 프레임부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끼워져 관통홈을 통해 슬라이드되되 상하를 관통하여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바; 및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스크린거치부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스크린거치부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스톱부재가 끼워지는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
A frame portion forming a square frame;
Guide units provided on both lower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a roller unit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unit and moving along the guide unit; and
A screen holder that connects the roller uni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is mov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to increase the distance from the frame unit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enter and exit from the back of the frame unit.
The guide part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a lower rear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a guide rail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n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roller part can be mov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a separation prevention piece is provid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so that the moving roller part is not caught and separated,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creen holding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to support the screen holding portion is further included,
The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creen holder and is fitted into a through-groove formed in the frame portion, and slides through the through-groove, and a support bar through which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And a stop member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to temporarily stop the movement of the screen holder;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in plurality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stop member is inserted is different in order to adjus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creen hol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가이드부의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고 스크린거치부의 하부에 힌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part is seated on the guide rail of the guide part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holder by a hi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거치부는, 프레임부의 후면에 구비되어 롤러부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부에 밀착되거나 멀어지며, 하부에 롤러부가 안쪽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이동식 스크린 골프용 부스.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e movable screen golf booth,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holder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frame and moved by the roller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or away from the frame, and a connecting piece is provided at the bottom so that the roller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46493A 2021-04-09 2021-04-09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ctive KR1025557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93A KR102555793B1 (en) 2021-04-09 2021-04-09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93A KR102555793B1 (en) 2021-04-09 2021-04-09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48A KR20220140248A (en) 2022-10-18
KR102555793B1 true KR102555793B1 (en) 2023-07-17

Family

ID=8380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493A Active KR102555793B1 (en) 2021-04-09 2021-04-09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79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783A1 (en) * 1998-05-22 2001-10-25 Landoll Donald R. Container lockdown device
KR101592315B1 (en) * 2015-10-07 2016-02-1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Outdoor type module container switchbgear
KR102213285B1 (en) * 2020-06-29 2021-02-05 박영환 Golf driving ran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30Y1 (en) 2004-02-13 2004-08-21 주식회사 브이알필드 A Screen box for golf trai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783A1 (en) * 1998-05-22 2001-10-25 Landoll Donald R. Container lockdown device
KR101592315B1 (en) * 2015-10-07 2016-02-1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Outdoor type module container switchbgear
KR102213285B1 (en) * 2020-06-29 2021-02-05 박영환 Golf driving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48A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8140A (en) Golfing target including a slit along the boundary of a simulated green
US20240293703A1 (en) Golf Ball Dispenser With Embedded Display Device, Separate Front Waterfall Panel and/or Blower Assembly
US20210060402A1 (en) Golf practice net
KR102555793B1 (en) Modular movable screen golf booth
US1677442A (en) Indoor golf apparatus
KR102303087B1 (en) Mobile screen golf training center of possible for outdoor landscape check
US20140155186A1 (en) 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KR102213285B1 (en) Golf driving range
CN109637333B (en) Sand table is used in city planning convenient to dismouting
KR20120082679A (en) Device for supporting golf club and receiving golf bag
KR102569453B1 (en) Module movable installation tent type screen golf booth
GB122498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pparatus for playing or practising the game of golf
KR101710947B1 (en) Mat for screen golf having auxiliary tee
KR102555791B1 (en) Module movable installation tent type screen golf booth
CN105944360B (en) A kind of Intelligent golf exercise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KR101818959B1 (en) Baseball pitching speed and accuracy with a ball screen measuring machine
KR20220140247A (en) Module assembly type magnetic screen golf booth
KR101924544B1 (en) Height adjustable golf ball marker
KR101467510B1 (en) Mat assembly for golf practice
CN207694204U (en) A kind of storage type basketball stands blocked
KR20170083806A (en) Golf play system
KR20220140249A (en) Continuous installation type screen golf booth
KR102691512B1 (en) Barrier screen and park golf simulator system having the same
CN217183382U (en) Visual intercom device for community entrance guard face recognition
CN222228109U (en) A container-type golf practice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