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449B1 - 증폭 회로,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폭 회로,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5449B1 KR102555449B1 KR1020180081451A KR20180081451A KR102555449B1 KR 102555449 B1 KR102555449 B1 KR 102555449B1 KR 1020180081451 A KR1020180081451 A KR 1020180081451A KR 20180081451 A KR20180081451 A KR 20180081451A KR 102555449 B1 KR102555449 B1 KR 102555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output node
- input signal
- node
- common n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5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24—Automatic control in frequency-selective amplifiers
- H03G5/28—Automatic control in frequency-selective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7—Control dependent on the supply voltag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8—Control by switched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97—Pl typ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8—A variable capacitor being added in the output circuit, e.g. collector, drain, of an amplifier stag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6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LC comprising one or more capacitors, e.g. coupling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7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LC comprising one resisto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ubclass H03G
- H03G2201/10—Gai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d element
- H03G2201/103—Gai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d element being an amplifying el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폭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폭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폭 회로의 주파수에 대한 이득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24)
- 고전압 레일과 제 1 출력 노드 및 제 2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제 1 출력 노드와 제 1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키는 제 1 입력부;
상기 제 2 출력 노드와 제 2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 2 출력 노드를 통해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입력부;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제 2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저항;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저전압 레일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상기 저전압 레일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캐패시터; 및
일 단으로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부스팅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고전압 레일과 상기 제 1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저항 소자; 및
상기 고전압 레일과 상기 제 2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는 게이트로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드레인이 상기 제 1 출력 노드와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게이트로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드레인이 상기 제 2 출력 노드와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저항은 가변 저항 값을 갖는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 소자인 증폭 회로. - 삭제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싱글 엔디드 신호이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스윙하는 범위의 중간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 기준전압인 증폭 회로. - 고전압 레일과 제 1 출력 노드 및 제 2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제 1 출력 노드와 제 1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키는 제 1 입력부;
상기 제 2 출력 노드와 제 2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 2 출력 노드를 통해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입력부;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제 2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저항;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저전압 레일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상기 저전압 레일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 및
일 단으로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부스팅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고전압 레일과 상기 제 1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저항 소자; 및
상기 고전압 레일과 상기 제 2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는 게이트로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드레인이 상기 제 1 출력 노드와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게이트로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드레인이 상기 제 2 출력 노드와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저항은 가변 저항 값을 갖는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 소자인 증폭 회로.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는 상기 제 2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와 서로 다른 캐패시턴스를 갖는 증폭 회로.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2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는 감소되는 증폭 회로. - 삭제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싱글 엔디드 신호이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스윙하는 범위의 중간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 기준전압인 증폭 회로. - 고전압 레일과 제 1 출력 노드 및 제 2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제 1 출력 노드와 제 1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키는 제 1 입력부;
상기 제 2 출력 노드와 제 2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 2 출력 노드로부터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입력부;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제 2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저항;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저전압 레일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일 단으로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부스팅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고전압 레일과 상기 제 1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저항 소자; 및
상기 고전압 레일과 상기 제 2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는 게이트로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드레인이 상기 제 1 출력 노드와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제 1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게이트로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드레인이 상기 제 2 출력 노드와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제 2 공통 노드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 -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저항은 가변 저항 값을 갖는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인 증폭 회로. -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는 가변 캐패시턴스를 갖는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인 증폭 회로. - 삭제
-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싱글 엔디드 신호이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스윙하는 범위의 중간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 기준전압인 증폭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451A KR102555449B1 (ko) | 2018-07-13 | 2018-07-13 | 증폭 회로,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US16/228,110 US10778163B2 (en) | 2018-07-13 | 2018-12-20 | Amplification circuit, and receiving circuit,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emiconductor system using the amplification circuit |
TW107146780A TWI751395B (zh) | 2018-07-13 | 2018-12-24 | 放大電路及使用其的接收電路、半導體裝置和半導體系統 |
CN201811622231.0A CN110719080B (zh) | 2018-07-13 | 2018-12-28 | 放大电路及使用其的接收电路、半导体装置和半导体系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451A KR102555449B1 (ko) | 2018-07-13 | 2018-07-13 | 증폭 회로,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7397A KR20200007397A (ko) | 2020-01-22 |
KR102555449B1 true KR102555449B1 (ko) | 2023-07-18 |
Family
ID=6913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451A Active KR102555449B1 (ko) | 2018-07-13 | 2018-07-13 | 증폭 회로,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778163B2 (ko) |
KR (1) | KR102555449B1 (ko) |
CN (1) | CN110719080B (ko) |
TW (1) | TWI75139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96729B2 (en) * | 2019-02-05 | 2020-10-06 | Micron Technology, Inc. | Dynamic allocation of a capacitive component in a memory device |
KR102539631B1 (ko) * | 2020-07-24 | 2023-06-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신호 수신 장치 및 신호 수신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
US11411781B2 (en) | 2020-07-24 | 2022-08-09 | Lg Electronics Inc. |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43710A (en) | 1997-11-14 | 2000-03-28 | Mitel Semiconductor Limited | Low-voltage amplifiers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07477A3 (nl) | 1993-09-06 | 1995-07-11 | Philips Electronics Nv | Oscillator. |
KR100518230B1 (ko) * | 2003-06-16 | 2005-10-0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용 구동전압 드라이버 |
US7193468B2 (en) * | 2004-05-14 | 2007-03-20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Active load circuit for low-voltage CMOS voltage gain amplifier with wide bandwidth and high gain characteristic |
US8228120B2 (en) * | 2009-05-29 | 2012-07-24 | Intersil Americas Inc. | Negative capacitance synthesis for use with differential circuits |
US8212620B2 (en) * | 2009-08-28 | 2012-07-03 | Rockford Corporation | Boosted-rail amplifier |
US8248164B2 (en) * | 2010-09-02 | 2012-08-21 |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 Integrated circuit single ended-to-differential amplifier |
CN201813350U (zh) * | 2010-10-19 | 2011-04-27 | 杭州电子科技大学 | 低压轨至轨运算放大电路 |
US8610497B2 (en) * | 2011-07-14 | 2013-12-17 | Infineon Technologies Ag |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ive signal source amplifier |
EP2557687B1 (en) * | 2011-08-11 | 2018-06-1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Low-noise amplifier, recei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KR20150025780A (ko) * | 2013-08-30 | 2015-03-1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의 증폭 회로 |
KR102105619B1 (ko) * | 2013-10-30 | 2020-04-28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입력 공통모드 전압 샘플링 기반의 차동 증폭기 및 그를 이용한 비교기 |
KR102073367B1 (ko) * | 2014-07-07 | 2020-02-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버퍼 증폭기 및 버퍼 증폭기를 포함하는 트랜스 임피던스 증폭기 |
KR20170025883A (ko) * | 2015-08-31 | 2017-03-08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버퍼 회로, 이를 이용하는 리시버 및 시스템 |
-
2018
- 2018-07-13 KR KR1020180081451A patent/KR102555449B1/ko active Active
- 2018-12-20 US US16/228,110 patent/US10778163B2/en active Active
- 2018-12-24 TW TW107146780A patent/TWI751395B/zh active
- 2018-12-28 CN CN201811622231.0A patent/CN11071908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43710A (en) | 1997-11-14 | 2000-03-28 | Mitel Semiconductor Limited | Low-voltage amplifier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논문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021260A1 (en) | 2020-01-16 |
CN110719080B (zh) | 2023-10-13 |
US10778163B2 (en) | 2020-09-15 |
CN110719080A (zh) | 2020-01-21 |
KR20200007397A (ko) | 2020-01-22 |
TW202007073A (zh) | 2020-02-01 |
TWI751395B (zh) | 2022-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94244B2 (en) | Receiver circuit with de-emphasis function | |
KR102661496B1 (ko) | 수신 회로,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
US9746864B1 (en) | Fast transient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for a voltage-mode driver | |
CN104113498A (zh) | 均衡器电路和包括均衡器电路的接收器电路 | |
KR102555449B1 (ko) | 증폭 회로,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
CN101110581B (zh) | 减少码元间干扰和补偿信号增益损失的接收机及其方法 | |
KR20170025883A (ko) | 버퍼 회로, 이를 이용하는 리시버 및 시스템 | |
CN111159081A (zh) | 信号接收电路及使用其的半导体装置和半导体系统 | |
KR102618526B1 (ko) | 수신기, 이를 포함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
KR102728607B1 (ko) | 증폭기, 이를 포함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
CN113258919B (zh) | 接收电路和使用其的半导体装置和半导体系统 | |
KR102745830B1 (ko) | 증폭기,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
KR20230032191A (ko) |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버퍼 회로, 이를 포함하는 수신 회로 및 반도체 장치 | |
KR20190098491A (ko) | 버퍼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