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765B1 - Heat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at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4765B1 KR102554765B1 KR1020200140902A KR20200140902A KR102554765B1 KR 102554765 B1 KR102554765 B1 KR 102554765B1 KR 1020200140902 A KR1020200140902 A KR 1020200140902A KR 20200140902 A KR20200140902 A KR 20200140902A KR 102554765 B1 KR102554765 B1 KR 1025547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unit
- vehicle
- electrode layer
- he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6—Electric heaters using radia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대응하여 히터부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하는 히터부와,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차량에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대응하여 히터부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heater unit in response to whether an occupant is in a vehicle, the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heater unit provided inside a vehicle and generating heat when power is supplied; It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are occupants in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that turns on or of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nts in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unit.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whether or not an occupant is in the vehicle, so that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대응하여 히터부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heater unit in response to whether or not an occupant is in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난방은 엔진의 열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즉, 엔진의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히터코어를 경유하도록 하고, 히터코어로 공기를 통과시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난방을 실시한다.In general, vehicle heating is performed using engine heat. That is, the cooling water that absorbs engine heat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air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heats the air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and supplies the heated air to the room to perform heating. do.
그러나, 엔진의 열을 이용하는 난방 방식의 경우, 엔진이 충분한 온도로 가열되기 전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으므로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엔진 운전 초기에는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온풍을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탑승자 개개인 전용으로 국부적인 난방은 실시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heating method using engine heat, heating is not performed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low before the engine is heated to a sufficient temperature. That is,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heating was not performed at the initial stage of engine operation. In addition, since it is a method of supplying warm air,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local heating exclusively for each occupant.
또한, 엔진이 없는 전기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방식의 난방을 근본적으로 실시할 수 없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without an engine, the above method of heating cannot be fundamentally implemented.
따라서,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고, 발생 열을 복사열의 형태로 차실내로 방출하며, 국부 난방이 가능한 복사열 히터를 설치하게 되었다. 차량에 설치되는 복사열 히터는 주로 얇은 평판 형상이기 때문에 패널 히터(panel heater)라 칭하기도 한다.Therefore, a radiant heater capable of generating heat using electricity, discharging generated heat into a vehicle interior in the form of radiant heat, and performing local heating has been installed. A radiant heat heater installed in a vehicle is often referred to as a panel heater because it is mainly in the shape of a thin flat plate.
종래의 복사열 히터는 일정 거리로 떨어진 신체를 보온하는데 있어 신체의 초기 상태나, 외기 온도에 따라 요구되는 난방의 가변이 불가하여 추운 날에 난방 성능이 부족한 점이 있다.Conventional radiant heat heaters have insufficient heating performance on cold days because they cannot change the heating required according to the initial state of the body or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n keeping the body warm at a certain distance.
또한, 복사열 히터는 많이 춥지 않은 날에는 과다한 난방 등으로 난방 쾌적성이 떨어지거나,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radiant heat heaters have problems in that heating comfort is deteriorated due to excessive heating on days when it is not very cold, or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대응하여 히터부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heater unit in response to whether or not an occupant is in a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 온도, 외기 온도, 또는 탑승자의 신체 온도에 대응하여 히터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heater part in response to the vehicle's indoor temperature, outdoor air temperature, or body temperature of an occupa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하는 히터부;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er unit provided inside a vehicle and generating heat when power is supplied; a sensor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ccupant in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urn on or of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ccupant in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unit.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 유무를 측정하는 안전벨트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seat belt sensor that measure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wearing a seat belt.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벨트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히터부를 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eater unit to turn on when data is received from the seat belt senso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wears the seat bel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제어 위치와, 상기 히터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히터오프 위치와, 상기 히터부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히터온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omatic control position for applying a signal so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er unit, a heater off position for blocking power to the heater unit, and the heater unit A switch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any one of the heater-on positions where power is supplied to operate; may be further included.
나아가, 차량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it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실내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data from the interior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 the heater unit to turn on or off in response to the interi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그리고, 차량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nd,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vehicle.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외기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 the heater unit to turn on or off in response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vehicle.
또한, 탑승자의 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신체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 may be further included.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탑승자의 신체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data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or and turn on or of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
그리고, 상기 히터부는,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지고,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so, the heater uni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have different heating values for each section.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신체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data from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temperature data.
그리고, 상기 히터부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웃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발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heater unit, the base layer; a first electrode layer laminated on the bas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stacked on the base layer; and at least one heating layer stacked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generating heat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r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에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대응하여 히터부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ssenger in the vehicle,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improving usabilit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 온도, 외기 온도, 또는 탑승자의 신체 온도에 대응하여 히터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 차량의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unit can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vehicle's interior temperature, outdoor air temperature, or occupant's body temperature, so that the vehicle's interior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서 히터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서 히터부가 헤드라이닝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heater part extracted from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er unit is applied to a headlining in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and/or"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서 히터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상기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에서 히터부가 헤드라이닝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heater unit extracted from the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nd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er unit is applied to the headlining in the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100)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하는 히터부(110)와,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부, 그리고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 to 4, a vehicle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 유무를 측정하는 안전벨트 센서(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안전벨트 센서(1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여 차량의 실내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하였는지 유무를 측정하는 하중 센서(12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하중 센서(12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트에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여 차량의 실내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to turn on the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하중 센서(121)와 상기 안전벨트 센서(122) 모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트에 탑승자가 탑승한 후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여 차량의 실내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즉,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운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고,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at is, if the user wears a seat belt after getting into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driving, and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발열 히터부(110)를 상기 제어부(130)를 통하여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온 또는 오프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상기 스위치(140)는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히터부(110)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제어 위치와, 상기 히터부(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히터오프 위치와, 상기 히터부(110)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히터온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즉,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40)를 자동제어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발열 히터부(11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되도록 동작한다. That is, when the user places th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40)를 히터오프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발열 히터부(11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항시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즉, 여름철과 같이 차량의 실내를 가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상기 스위치(140)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 히터부(110)가 동작하지 않도록 강제로 오프 시킬 수 있다.Also, when the user places th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40)를 히터온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발열 히터부(110)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항시 온 상태가 유지된다. 즉, 겨울철과 같이 차량의 실내를 항시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상기 스위치(140)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 히터부(110)가 계속 동작하도록 강제로 온 시킬 수 있다.Also, when the user places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100)은 실내 온도센서(123), 외기 온도센서(124), 신체 온도센서(1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상기 실내 온도센서(123)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실내 온도센서(123)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실내 온도센서(12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실내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110)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즉, 새벽 또는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은 날씨에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차량의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고, 이후 차량의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히터부(110)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hicle is driven in low temperature weather such as dawn or winter, when the vehicle's interior temperature drops below a set temperature, the
상기 외기 온도센서(124)는 차량의 실외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The outside
이와 같이, 상기 외기 온도센서(124)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기 온도센서(12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외기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110)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outside
즉, 새벽 또는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은 날씨에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차량의 실외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차량의 실내를 보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고, 이후 차량의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히터부(110)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hicle is driven at low temperatures such as dawn or winter,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drops below a set temperature, the
상기 신체 온도센서(125)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신체 온도센서(125)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신체 온도센서(12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탑승자의 신체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110)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즉, 새벽 또는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은 날씨에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신체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여 차량의 실내 온도를 높이고, 이후 탑승자의 신체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히터부(110)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when driving a vehicle in low temperature weather such as dawn or win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temperature of an occupant in the vehicle is below a set temperature, the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실내 온도센서(123)와 상기 외기 온도센서(124)와 상기 신체 온도센서(12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 가지의 온도 데이터 중 어느 하나라도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히터부(110)를 온하고, 수신된 세 가지의 온도 데이터 모두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히터부(110)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히터부(11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발열 온도가 조절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실내 온도센서(123)와 상기 외기 온도센서(124)와 상기 신체 온도센서(12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 가지의 온도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110)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히터부(110)는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지고,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도록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히터부(110)가 6개의 구간으로 나뉘어서 차량의 헤드라이팅에 배치되되, 3개의 구간은 차량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3개는 차량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 the
그리고, 각 구간의 히터부(110)에는 발열가변부(150)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6개 구간의 히터부(110)는 각각 서로 다른 온도로 발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일 예로, 차량에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에는, 6개 구간의 히터부(110) 중에서 차량의 전방 측에서 운전석 위에 배치된 히터부만 가열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각 좌석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좌석에만 발열부가 가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ly the driver rides in the vehicle, only the heater unit disposed above the driver's seat a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mong the
또한, 차량에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에는, 6개 구간의 히터부(110) 중에서 차량의 전방 측에서 운전석 위에 배치된 발열부만 높은 온도로 가열되게 동작하고, 다른 구간의 발열부에서는 낮은 온도로 가열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각 좌석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좌석에만 발열부가 높은 온도로 가열하도록 동작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ly the driver is in the vehicle, only the heating unit disposed above the driver's seat a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mong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100)은 상기 히터부(110)와, 복수의 상기 히터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히터부(110)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저항을 가변하여 상기 히터부(110)의 발열량을 가변하는 발열가변부(150)와, 상기 히터부(1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vehic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터부(110)는 베이스층(111)과, 상기 베이스층(111)에 적층되는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이웃하여 상기 베이스층(111)에 적층되는 제2 전극층(113),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발열층(114)을 포함하여 필름 형태의 발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베이스층(111)은 차량에 설치되는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탄성 굴곡 변형 가능한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층(111)은 PI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은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층은 두께가 50~8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러한,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은 인쇄 공정 또는 에칭(etching)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공정 또는 에칭 공정을 통하여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발열층(114)은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구성이다. The
상기 발열층(114)은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의 상부에 인쇄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공정을 통하여 발열층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발열층(114)은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보다 저항이 큰 소재로 형성된다. The
일 예로, 상기 발열층(114)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또는 탄소 분말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112) 및 상기 제2 전극층(113)과 상기 발열층(1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층(1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상기 보호층(115)은 PI 필름으로 마련되어, 상기 발열층(114)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The
상기 히터부(110)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극층(112)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의 일측단은 전원부(16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발열가변부(150)에 연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간(A, B, C)의 히터부(1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 구간에 배치된 히터부(110)의 제1 전극층(112)의 일측단은 상기 전원부(160)의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극층(113)의 일측단은 상기 전원부(160)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층(112)의 타측단과 상기 제2 전극층(113)의 타측단은 상기 발열가변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이를 통하여, 각 구간별로 구비된 발열가변부(150)의 저항 또는 전압을 조절하여 각 히터부(110)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each
상기 발열가변부(150)는 상기 히터부(110)가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구간별로 나뉘어진 히터부(110)에 연결되어,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도록 각각 구간의 히터부(110)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저항을 가변하여 히터부(110)의 발열량을 가변하는 구성이다. The variable
일 예로, 상기 발열가변부(150)는 가변저항기 또는 가변전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구간별로 연결된 상기 발열가변부(150)의 저항값 또는 전압값을 가변하여, 각각의 히터부(110)의 발열량을 가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히터(100)는 발광부(1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발광부(116)는 상기 히터부(110)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부(110)의 발열량이 변함에 따라 함께 색상이 변경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부(116)는 광섬유로 제작되는 엠비언트 라이트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제작되는 필름 발광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이와 같이, 상기 발광부(116)가 엠비언트 라이트로 마련되면, 상기 히터부(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거나, 특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또는, 상기 발광부(116)가 필름 발광체로 마련되면, 상기 히터부(110)의 보호층(115)에 일체로 적층되게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발열가변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116)의 발열량을 가변하는 경우에 그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116)에서 발광되는 색상을 가변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일 예로, 상기 히터부(110)가 90℃로 발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116)가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70℃로 발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116)가 주황색으로 표시되고, 50℃로 발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116)가 노란색으로 표시되게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각 온도에 따른 색상을 설정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t and change the color according to each temperatur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 110 : 히터부
111 : 베이스층 112 : 제1 전극층
113 : 제2 전극층 114 : 발열층
115 : 보호층 116 : 발광부
121 : 하중 센서 122 : 안전벨트 센서
123 : 실내 온도센서 124 : 외기 온도센서
125 : 신체 온도센서 130 : 제어부
140 : 스위치 150 : 발열가변부
160 : 전원부100: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110: heater unit
111: base layer 112: first electrode layer
113: second electrode layer 114: heating layer
115: protective layer 116: light emitting part
121: load sensor 122: seat belt sensor
123: indoor temperature sensor 124: outdoor temperature sensor
125: body temperature sensor 130: control unit
140: switch 150: variable heating unit
160: power supply
Claims (10)
복수의 상기 히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히터부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저항을 가변하여 상기 히터부의 발열량을 가변하는 발열가변부;
상기 히터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에 탑승자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제어부; 및
상기 히터부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부의 발열량이 변함에 따라 함께 색상이 변경되며, 광섬유로 제작되는 엠비언트 라이트 또는 OLED로 마련된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차량에 설치되는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탄성 굴곡 변형 가능한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어 일측단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발열가변부에 연결되며, 두께가 50~80㎛인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웃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어 일측단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발열가변부에 연결되며, 두께가 50~80㎛인 제2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 분말로 제작된 발열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발열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구간별로 발열가변부가 연결되어 있어,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
a heater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generating heat when power is supplied;
a heating variable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eater units and configured to vary a heating amount of the heater unit by varying a voltage or resistance applied to the heater unit;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heater unit;
a sensor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ccupant in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or of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ccupant in the vehicle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heater unit, the color of which changes as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changes, and made of an ambient light or an OLED made of an optical fiber;
the heater part,
A base layer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part installed in a vehicle;
a first electrode layer laminated on the base layer,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eating variable unit, and having a thickness of 50 to 80 μm;
a second electrode layer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stacked on the base lay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eating variable unit, and having a thickness of 50 to 80 μm;
At least one layer is stack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heating layer made of carbon nanotubes or carbon powder generates heat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r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protective layer prot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heating lay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heater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heater units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 variable heating unit is connected to each section,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have a different amount of heat for each section. Heater control system.
상기 센서부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 유무를 측정하는 안전벨트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a seat belt sensor that measures whether an occupant is wearing a seat belt;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벨트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히터부를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The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heater part is turned on when data is received from the seat belt senso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wearing a seat belt.
상기 제어부가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제어 위치와, 상기 히터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히터오프 위치와, 상기 히터부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히터온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Positioned at any one of an automatic control position where the control unit applies a signal to control the heater unit, a heater off position where power is cut off so that the heater unit is not supplied, and a heater on position where power is supplied to operate the heater unit. a switch provided to do so;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히터부는,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지고,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er part,
A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have different heating values for each section.
차량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
차량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 및
탑승자의 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신체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신체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터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n interio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interi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d
It further includes;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
The control unit,
The vehic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data is received from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unit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temperature dat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0902A KR102554765B1 (en) | 2020-10-28 | 2020-10-28 | Heat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0902A KR102554765B1 (en) | 2020-10-28 | 2020-10-28 | Heat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6377A KR20220056377A (en) | 2022-05-06 |
KR102554765B1 true KR102554765B1 (en) | 2023-07-12 |
Family
ID=8158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0902A Active KR102554765B1 (en) | 2020-10-28 | 2020-10-28 | Heat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476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5345B1 (en) * | 2023-05-09 | 2024-11-04 | 한국자동차연구원 | Apparatus for vehicle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30534A (en) * | 2014-07-29 | 2016-03-07 | 株式会社デンソー | Radiation heater device |
KR101689092B1 (en) * | 2015-11-23 | 2017-01-02 | 현대다이모스(주)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Steering for Vehicle |
JP2017087770A (en) * | 2015-11-02 | 2017-05-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Radiation heater device |
JP2017132306A (en) | 2016-01-26 | 2017-08-03 | マツダ株式会社 | Seat heater control device using electrostatic sensor |
-
2020
- 2020-10-28 KR KR1020200140902A patent/KR1025547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30534A (en) * | 2014-07-29 | 2016-03-07 | 株式会社デンソー | Radiation heater device |
JP2017087770A (en) * | 2015-11-02 | 2017-05-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Radiation heater device |
KR101689092B1 (en) * | 2015-11-23 | 2017-01-02 | 현대다이모스(주)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Steering for Vehicle |
JP2017132306A (en) | 2016-01-26 | 2017-08-03 | マツダ株式会社 | Seat heater control device using electrostatic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6377A (en) | 2022-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58015B2 (en) | Vehicle comfort system with efficient coordination of complementary thermal units | |
US8362398B2 (en) | Vehicle radiant heating control system | |
US7477969B2 (en) | Temperature conditioned assembly having a controller in communication with a temperature sensor | |
KR100894008B1 (en) | Automobile auxiliary electric heating device and method | |
US9873309B2 (en) | Radiant heater air-conditioning system | |
US20120074118A1 (en) | Vehicle He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PTC Heater | |
US20160059670A1 (en) | Vehicle Having an Electric Heating Device | |
US20190320503A1 (en) | Ptc radiant heating system and method | |
KR102554765B1 (en) | Heat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CN109562673A (en) |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6221985B2 (en) | Radiation heater device | |
CN201214443Y (en) | Automobile steering wheel | |
KR101666557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
CN102963235B (en) |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 |
KR10222655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adiation heater for a vehicle | |
KR100999668B1 (en) |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seat air conditioner of vehicle and its method | |
KR20110136997A (en) |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seat air conditioner of vehicle and its method | |
KR20120047084A (en) | Air conditioner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 |
KR101282338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 |
KR102131279B1 (en) | PTC heater with anti-fogging part | |
US20090314766A1 (en) | Heating Device with Plural Thermistors | |
KR20040098290A (en) | Hot Wire Type Seat Assembly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KR20180072913A (en) | Vehicle type thermal radiation heat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10136094A (en) | Car air conditioner | |
KR102437435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